KR20120094431A - 누전 검지 장치 - Google Patents

누전 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431A
KR20120094431A KR1020120014075A KR20120014075A KR20120094431A KR 20120094431 A KR20120094431 A KR 20120094431A KR 1020120014075 A KR1020120014075 A KR 1020120014075A KR 20120014075 A KR20120014075 A KR 20120014075A KR 20120094431 A KR20120094431 A KR 20120094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ulse
coupling capacitor
discharge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1549B1 (ko
Inventor
히데아키 나루세
사토루 미야모토
마사키 후지이
카즈시 코다이라
요시히로 이쿠시마
Original Assignee
오므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4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Abstract

과제
누전을 신속하게 검지할 수 있는 누전 검지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누전 검지 장치(100)는, 커플링 콘덴서(C1)에 펄스를 공급하는 펄스 발생기(2)와, 커플링 콘덴서(C1)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6)와, 전압 검출부(6)가 검출한 전압을 제 1의 임계치와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직류 전원(B)의 누전의 유무를 판정하는 누전 판정부(7)와, 전압 검출부(6)가 검출한 전압을, 제 1의 임계치보다도 작은 제 2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커플링 콘덴서(C1)의 방전에 의해, 검출 전압이 제 2의 임계치 미만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전 판정부(8)를 구비한다. 펄스 발생기(2)는, 방전 판정부(8)에 의해 검출 전압이 제 2의 임계치 미만이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새로운 펄스를 상승시킨다.

Description

누전 검지 장치{ELECTRIC LEAKAGE DET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직류 전원의 누전을 검지하는 누전 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에서는, 모터나 차량탑재 기기를 구동하기 위한 고전압의 직류 전원이 탑재된다. 이 직류 전원은, 접지되어 있는 차체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지만, 어떠한 원인으로 직류 전원과 차체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직류 전원으로부터 차체를 통하여 그라운드로 전류가 흐르고, 누전(또는 지락(地絡))이 생긴다. 그래서, 이 누전 등을 검지하기 위한 검지 장치가, 직류 전원에 부설된다. 하기의 특허문헌1에는, 전기자동차에 탑재되는 지락 검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서는, 커플링 콘덴서의 일단측에 직류 전원의 플러스 단자를 접속하고, 커플링 콘덴서의 타단측이 되는 측정점에, 구형파 펄스 신호를 인가하여, 커플링 콘덴서를 충전하고, 이 때 측정점에 발생하는 전압 신호를 검출하여, 직류 전원의 지락을 검출하는 차량용 지락 검출 장치에 있어서, 구형파 펄스 신호가 제 1의 위상이 되는 시점에서, 측정점에서 측정되는 전압과, 구형파 펄스 신호가 제 2의 위상이 되는 시점에서, 측정점에서 측정되는 전압치와의 차분을 구하고, 이 차분 전압에 의거하여, 직류 전원의 지락을 검출한다.
특허문헌1의 지락 검출 장치에서는, 커플링 콘덴서에 공급되는 펄스의 주기는 항상 일정하다. 커플링 콘덴서에의 충전이 완료된 후는, 커플링 콘덴서로부터 방전이 시작되는데, 방전의 시작부터, 측정점의 전압이 0볼트로 내려갈 때까지는, 소정 시간을 요한다. 펄스가 하강하고 나서 다음의 펄스가 상승할 때까지의 간격은, 상기 방전에 요하는 소정 시간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펄스의 하강이나 상승의 타이밍에서 전압을 검출하여 지락 유무의 판정을 행하는 경우, 펄스의 하강부터 상승까지의 구간이 길어져서, 판정까지에 시간을 요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기의 특허문헌2에는, 직류 전원의 절연 상태를 콘덴서의 전압에 의거하여 검출하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콘덴서를 방전시키는 리셋 스위치가 마련되고, 콘덴서의 양단 전압이 정상 동작시의 최대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는, 콘덴서의 양단 전압이 일정 전압까지 내려가는 것을 기다리고, 일정 전압이 되면 리셋 스위치를 투입하여, 콘덴서를 급속 방전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1 : 일본 특개2003-250201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 특개2008-89322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직류 전원의 누전을 검지하는 누전 검지 장치에 있어서, 누전의 유무를 신속하게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누전 검지 장치는, 일단이 직류 전원에 접속되는 커플링 콘덴서와, 이 커플링 콘덴서의 타단에 펄스를 공급하는 펄스 발생기와, 상기 펄스에 의해 충전되는 커플링 콘덴서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와, 이 전압 검출부가 검출한 전압을 제 1의 임계치와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직류 전원의 누전의 유무를 판정하는 누전 판정부와, 전압 검출부가 검출한 전압을 제 1의 임계치보다도 작은 제 2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커플링 콘덴서의 방전에 의해, 검출 전압이 제 2의 임계치 미만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전 판정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펄스 발생기는, 방전 판정부에 의해 검출 전압이 제 2의 임계치 미만이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새로운 펄스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펄스에 의해 충전된 커플링 콘덴서가, 펄스의 하강의 시점부터 방전하여, 그 전압이 제 2의 임계치 미만이 되면, 다음의 펄스가 상승한다. 이 때문에, 펄스의 간격이 짧아지고, 누전 검지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누전 검지 장치는, 펄스가 하강한 후, 검출 전압이 제 2의 임계치 미만이 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계속한 경우에, 이상(異常)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하는 이상 판정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하면, 회로의 고장 등에 의해, 커플링 콘덴서가 정상적으로 방전할 수 없는 경우에,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누전 검지 장치는, 펄스가 하강한 후, 다음의 펄스가 상승할 때까지의 사이에, 커플링 콘덴서의 전하를 강제적으로 방전시키는 방전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커플링 콘덴서의 전하를 방전 회로를 이용하여 급속하게 방전시킬 수가 있어서, 펄스의 간격이 더욱 짧아져서, 누전 검지를 보다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누전 검지 장치에서는, 펄스가 상승하고 나서, 커플링 콘덴서의 전압이 포화할 때까지의 사이의 소정 시각에서, 누전 판정부가 누전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커플링 콘덴서가 포화하기 전의 시점에서, 누전 판정부에 의한 누전 유무 판정이 가능해져서, 누전 검지를 보다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누전 검지 장치에서는, 펄스 발생기로부터 새로운 펄스가 출력될 때마다, 누전 판정부가 누전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누전 판정의 회수를 늘려서, 누전 검지를 보다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전 검지 장치에 의하면, 커플링 콘덴서의 전압이 제 2의 임계치 미만이 되면, 다음의 펄스가 상승하기 때문에, 펄스의 간격이 짧아지고, 누전을 신속하게 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누전 검지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도 2는 누전시 및 비누전시에 있어서의 검출 전압의 파형도.
도 3은 누전 검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
도 4는 이상 판정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
도 5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누전 검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을 전기자동차에 탑재되는 누전 검지 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든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전 검지 장치(100)는, 제어부(1), 펄스 발생기(2), 방전 회로(3), 방전 회로(4), 메모리(5), 저항(R1 내지 R3), 콘덴서(C1, C2)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는, CPU로 구성되어 있고, 전압 검출부(6), 누전 판정부(7), 방전 판정부(8), 이상 판정부(9) 및 타이머(10)를 갖고 있다. 펄스 발생기(2)는, 제어부(1)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소정 주파수의 펄스를 생성한다. 저항(R1)은, 펄스 발생기(2)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R1)에는, 저항(R2)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저항(R2)의 값은, 저항(R1)의 값과 비교하여 충분히 작다. 콘덴서(C1)의 일단은, 직류 전원(B)의 부극에 접속되어 있고, 콘덴서(C1)의 타단은, 저항(R2)에 접속되어 있다. 이 콘덴서(C1)는, 누전 검지 장치(100)와 직류 전원(B)을 직류적으로 분리하는 커플링 콘덴서이다. 직류 전원(B)의 정극은 도시하지 않은 부하에 접속되어 있다. 직류 전원(B)과 그라운드(G)(차체)의 사이에는, 부유 용량(Co)이 존재한다.
방전 회로(3)는, 트랜지스터(Q1), 저항(R4), 저항(R5)으로 이루어진다.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는, 저항(R1)과 저항(R2)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는, 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는, 저항(R4)을 통하여, 제어부(1)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R5)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이미터에 걸쳐서 접속되어 있다. 이 방전 회로(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플링 콘덴서(C1) 및 부유 용량(Co)의 전하를, 화살표의 경로로 강제적으로 방전하기 위한 회로이다.
저항(R3)의 일단은, 저항(R1)과 저항(R2)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R3)의 타단은, 제어부(1)에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C2)는, 저항(R3)의 타단과 그라운드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이 콘덴서(C2)는, 필터용의 콘덴서로서, 저항(R3)과 함께, 제어부(1)에 입력되는 전압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 회로를 구성한다.
방전 회로(4)는, 트랜지스터(Q2), 저항(R6 내지 R8)으로 이루어진다.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는, 저항(R6)을 통하여, 저항(R3)과 콘덴서(C2)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2)의 이미터는, 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는, 저항(R7)을 통하여, 제어부(1)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R8)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이미터에 걸쳐서 접속되어 있다. 이 방전 회로(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덴서(C2)의 전하를 화살표의 경로로 강제적으로 방전하기 위한 회로이다.
메모리(5)는, ROM이나 RAM 등으로 이루어지고, 기억부를 구성한다. 이 메모리(5)에는, 후술하는 임계치(V1)(제 1의 임계치) 및 임계치(V2)(제 2의 임계치)가 기억되어 있다.
제어부(1)에서, 전압 검출부(6)는, 저항(R1, R2)의 접속점(n)으로부터 저항(R3) 및 콘덴서(C2)를 통하여, 제어부(1)에 받아들여진 전압에 의거하여, 커플링 콘덴서(C1)의 전압을 검출한다.
누전 판정부(7)는, 전압 검출부(6)가 검출한 전압을, 임계치(V1)와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누전의 유무를 판정한다.
방전 판정부(8)는, 전압 검출부(6)가 검출한 전압을, 임계치(V1)보다도 작은 임계치(V2)와 비교하고, 커플링 콘덴서(C1)의 방전에 의해, 전압이 임계치(V2) 미만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상 판정부(9)는, 커플링 콘덴서(C1)의 방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당해 이상을 판정한다.
타이머(10)는, 펄스 발생기(2)로부터 출력되는 펄스가 하강한 시점부터, 커플링 콘덴서(C1)의 전압이 임계치(V2) 미만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한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누전 검지 장치(100)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펄스 발생기(2)로부터 출력되는 펄스는, 저항(R1) 및 저항(R2)을 통하여, 커플링 콘덴서(C1)에 공급된다. 이 펄스에 의해 커플링 콘덴서(C1)가 충전되고(이 때, 부유 용량(Co)도 충전된다), n점의 전위가 상승한다. 이 n점의 전위는, 저항(R3) 및 콘덴서(C2)를 통하여, 제어부(1)에 입력된다. 전압 검출부(6)는, 이 입력 전압에 의거하여, 커플링 콘덴서(C1)의 전압을 검출한다. 이 검출된 전압을, 이하에서는 「검출 전압」이라고 한다.
직류 전원(B)으로부터 그라운드(G)에의 누전이 생기지 않은 경우는, 도 2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출 전압은 가파르게 상승한다. 이 때문에, 시각(to)에서 펄스가 상승하고 나서, 시각(t1)에서 펄스가 하강할 때까지의 사이에, 검출 전압은 임계치(V1)를 초과한다. 한편, 직류 전원(B)으로부터 그라운드(G)에의 누전이 생기고 있는 경우는, 도 2의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출 전압은, 누전 임피던스에 의거한 시정수의 영향에 의해, 완만하게 상승한다. 이 때문에, 시각(to)부터 시각(t1)까지의 사이에, 검출 전압은 임계치(V1)를 초과하지 않는다.
전압 검출부(6)는, 펄스가 하강하는 시각(t1)에서, 커플링 콘덴서(C1)의 전압을 검출한다. 이 시각(t1)은, 펄스가 상승하고 나서, 커플링 콘덴서(C1)의 전압이 포화할 때까지의 사이에서, 미리 설정된 시각이다. 누전이 생기지 않은 경우는, 검출 전압은 Va가 되고, 누전이 생기고 있는 경우는, 검출 전압은 Vb가 된다. 누전 판정부(7)는, 검출 전압과 임계치(V1)를 비교하여, 검출 전압이 임계치(V1) 이상(Va)이면, 누전 없음으로 판정하고, 검출 전압이 임계치(V1) 미만(Vb)이면, 누전 있음으로 판정한다.
또한, 펄스가 하강하는 시각(t1)에서는, 제어부(1)로부터 방전 회로(3, 4)에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이 제어 신호에 의해, 방전 회로(3, 4)의 트랜지스터(Q1, Q2)는 각각 도통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커플링 콘덴서(C1) 및 부유 용량(Co)의 충전 전하는,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방전되고, 콘덴서(C2)의 충전 전하는, 트랜지스터(Q2)를 통하여 방전된다. 그 결과, 검출 전압은, 도 2와 같이 시각(t1) 이후는 감소한다.
이상이, 누전 검지의 기본적인 동작이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면서, 누전 검지 장치(100)의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펄스 발생기(2)는,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1의 펄스 폭을 가진 펄스를 출력한다. 이 펄스에 의해 충전되는 커플링 콘덴서(C1)의 전압은, 도 3의 (c)와 같이 변화한다. 그리고, 펄스의 하강의 타이밍(X)에서, 전압 검출부(6)가 커플링 콘덴서(C1)의 전압을 검출함과 함께, 누전 판정부(7)가 검출 전압과 임계치(V1)(제 1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누전 유무의 판정을 행한다.
또한, 펄스의 하강의 타이밍(X)에서, 제어부(1)(도 1)로부터 방전 회로(3)와 방전 회로(4)에 동시에 제어 신호가 출력되어, 방전 회로(3, 4)의 트랜지스터(Q1, Q2)가,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시에 ON이 된다. 즉, 방전 회로(3, 4)가 동시에 동작을 시작한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콘덴서(C1)의 전하는,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방전되고, 콘덴서(C2)의 전하는, 트랜지스터(Q2)를 통하여 방전된다. 그리고, 다음의 펄스의 상승의 타이밍에서, 방전 회로(3, 4)의 트랜지스터(Q1, Q2)는 동시에 OFF가 된다.
커플링 콘덴서(C1)가 방전을 시작한 시점부터, 전압 검출부(6)에 의해 검출되는 전압은, 도 3의 (c)와 같이 저하되어 간다. 그리고, 이 검출 전압이 임계치(V2)(제 2의 임계치) 미만이 된 것이 방전 판정부(8)에 의해 판정되면, 그 시점에서, 제어부(1)는, 다음의 펄스가 출력되도록 펄스 발생기(2)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커플링 콘덴서(C1)의 전압이 V2 미만이 된 시점에서, 새로운 펄스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펄스에 의해 충전된 커플링 콘덴서(C1)가, 펄스의 하강의 시점부터 방전하여, 그 전압이 임계치(V2) 미만이 된 시점에서, 다음의 펄스가 상승한다. 이 때문에, 펄스의 간격(T1)이 짧아져서, 누전 검지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도 3의 (d)는, 임계치(V2)를 마련하지 않은 경우의 펄스 출력을 나타내고 있고, 이 경우는, 커플링 콘덴서(C1)의 전압이 0볼트가 된 후에, 다음의 펄스가 상승한다. 이 때문에, 펄스의 간격(T0)이 길어지고, 누전 검지까지 시간이 걸린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펄스의 주기는 고정이 아니라, 커플링 콘덴서(C1)의 방전 상태에 의해 변화한다. 즉, 직류 전원(B)으로부터 그라운드(G)에의 누전이 발생하면, 누전 임피던스 때문에, 도 3의 (c)와 같이 커플링 콘덴서(C1)의 방전 시간이 길어지고, 그에 응하여 펄스의 간격(T1')도 길어진다. 따라서 이 구간(T1')에서 커플링 콘덴서(C1)의 전하는 거의 방전되어, 커플링 콘덴서(C1)의 검출 전압은, 임계치(V2) 미만까지 저하된다. 커플링 콘덴서(C1)에 전하가 충분히 남아 있는 상태에서 다음의 펄스가 발생하면, 콘덴서(C1)가 재충전되어, 검출 전압이 임계치(V1)를 초과하여 「누전 없음」으로 오판정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플링 콘덴서(C1)의 방전 상태를, 임계치(V2)에 의거하여 확인한 다음, 다음의 펄스를 상승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전 회로(3)를 마련하여, 펄스가 하강한 후, 다음의 펄스가 상승할 때까지의 사이에, 커플링 콘덴서(C1)의 전하를,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강제적으로 방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커플링 콘덴서(C1)를 급속하게 방전시킬 수가 있어서, 펄스의 간격을 단축하고, 누전 검지를 보다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펄스가 상승하고 나서, 커플링 콘덴서(C1)의 전압이 포화할 때까지의 사이의 소정 시각(도 2의 t1)에서, 누전 판정부(7)가 누전의 유무를 판정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커플링 콘덴서(C1)의 전압이 포화하기 전에, 펄스가 하강하기 때문에, 커플링 콘덴서(C1)의 충전은 그 이상 행하여지지 않는다. 그리고, 펄스가 하강한 시점에서, 누전 판정부(7)가 누전의 유무를 판정한다. 이 때문에, 커플링 콘덴서(C1)가 포화하기 전의 시점에서, 누전 판정부(7)에 의한 누전 유무 판정이 가능해져서, 누전 검지를 보다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펄스 발생기(2)로부터 새로운 펄스가 출력될 때마다, 누전 판정부(7)에 의해 누전의 유무가 판정된다. 이 때문에, 누전 판정의 회수를 늘려서, 누전 검지를 보다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 판정부(9)에 의한 이상 판정에 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이머(10)는, 펄스가 하강한 시점부터, 커플링 콘덴서(C1)의 전압이 임계치(V2) 미만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한다. 그리고, 도 4의 (c)와 같이, 검출 전압이 임계치(V2) 미만이 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τ)만큼 계속하였다고 방전 판정부(8)가 판정한 경우에, 이상 판정부(9)는, 커플링 콘덴서(C1)의 방전이 정상적으로 행하여지지 않고,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한다.
이상(異常)의 원인으로서는, 방전 회로(3)의 고장(예를 들면, 트랜지스터(Q1)의 고장) 등이 생각된다. 이상 판정부(9)가 이상을 판정하면, 제어부(1)는, 이상 신호를 출력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커플링 콘덴서(C1)가 정상적으로 방전할 수 없는 경우에,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커플링 콘덴서(C1)의 전하를 강제적으로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 회로(3)를 마련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방전 회로(3)를 마련하지 않은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펄스가 하강한 시점부터의 커플링 콘덴서(C1)의 방전 시간이, 방전 회로(3)를 마련한 경우의 방전 시간에 비하여 길어진다. 따라서 펄스의 간격(T2, T2')은, 도 3에서의 T1, T1'에 비하여 길어진다. 그러나, 커플링 콘덴서(C1)의 전압이 임계치(V2) 미만이 된 시점에서, 새로운 펄스가 상승하는 것에 다름은 없기 때문에, 임계치(V2)를 마련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면, 펄스 간격이 짧아지고, 누전 검지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 기술한 이외에도 여러가지의 실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는, 저항(R3) 및 콘덴서(C2)로 이루어지는 필터 회로와, 콘덴서(C2)의 전하를 강제적으로 방전하기 위한 방전 회로(4)를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에서는, 필터 회로나 방전 회로(4)는 생략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펄스 발생기(2)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의 하강의 타이밍에서, 전압 검출부(6)가 커플링 콘덴서(C1)의 전압을 검출하고, 누전 판정부(7)가 누전의 유무를 판정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펄스가 하강하기 전의 미리 정해진 시점에서, 전압 검출부(6)에 의한 전압 검출 및 누전 판정부(7)에 의한 누전 유무 판정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커플링 콘덴서(C1)의 전압이 임계치(V2) 미만이 된 시점에서, 다음의 펄스가 상승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커플링 콘덴서(C1)의 전압이 임계치(V2) 미만이 된 시점부터 약간의 지연된 시점에서, 다음의 펄스가 상승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방전 회로(3)를 트랜지스터(Q1)나 저항(R4, R5)으로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방전 회로(3)를, 코일 및 접점을 갖는 릴레이로 구성하여도 좋다. 방전 회로(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에 탑재되는 누전 검지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들었지만, 본 발명은, 차량 이외의 용도에 사용되는 누전 검지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 제어부 2 : 펄스 발생기
3 : 방전 회로 4 : 방전 회로
5 : 메모리 6 : 전압 검출부
7 : 누전 판정부 8 : 방전 판정부
9 : 이상 판정부 10 : 타이머
100 : 누전 검지 장치 C1 : 커플링 콘덴서
B : 직류 전원 G : 그라운드
V1 : 제 1의 임계치 V2 : 제 2의 임계치

Claims (5)

  1. 일단이 직류 전원에 접속되는 커플링 콘덴서와,
    상기 커플링 콘덴서의 타단에 펄스를 공급하는 펄스 발생기와,
    상기 펄스에 의해 충전되는 상기 커플링 콘덴서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와,
    상기 전압 검출부가 검출한 전압을 제 1의 임계치와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직류 전원의 누전의 유무를 판정하는 누전 판정부를 구비한 누전 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부가 검출한 전압을, 상기 제 1의 임계치보다도 작은 제 2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커플링 콘덴서의 방전에 의해, 상기 전압이 상기 제 2의 임계치 미만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전 판정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펄스 발생기는, 상기 방전 판정부에 의해 상기 전압이 상기 제 2의 임계치 미만이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새로운 펄스를 상승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검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가 하강한 후, 상기 방전 판정부에 의해, 상기 전압이 상기 제 2의 임계치 미만이 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계속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하는 이상 판정부를 또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검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가 하강한 후, 다음의 펄스가 상승할 때까지의 사이에, 상기 커플링 콘덴서의 전하를 강제적으로 방전시키는 방전 회로를 또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검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 판정부는, 상기 펄스가 상승하고 나서, 상기 커플링 콘덴서의 전압이 포화할 때까지의 사이의 소정 시각에서, 누전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검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 판정부는, 상기 펄스 발생기로부터 상기 새로운 펄스가 출력될 때마다, 누전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검지 장치.
KR1020120014075A 2011-02-16 2012-02-13 누전 검지 장치 KR101311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30399 2011-02-16
JP2011030399A JP5570455B2 (ja) 2011-02-16 2011-02-16 漏電検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431A true KR20120094431A (ko) 2012-08-24
KR101311549B1 KR101311549B1 (ko) 2013-09-26

Family

ID=4657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075A KR101311549B1 (ko) 2011-02-16 2012-02-13 누전 검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41413B2 (ko)
JP (1) JP5570455B2 (ko)
KR (1) KR101311549B1 (ko)
CN (1) CN102645606B (ko)
DE (1) DE10201210082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06162A (zh) * 2007-01-05 2009-12-16 质子世界国际公司 电子电路的临时锁定
EP2108163A1 (fr) * 2007-01-05 2009-10-14 Proton World International N.V. Protection d'informations contenues dans un circuit electronique
JP2012242330A (ja) * 2011-05-23 2012-12-10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漏電検知装置
JP5518138B2 (ja) * 2012-07-09 2014-06-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非接地回路の地絡検知装置
JP5615342B2 (ja) * 2012-10-19 2014-10-29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漏電検知装置
TWI627421B (zh) * 2017-08-22 2018-06-21 華邦電子股份有限公司 漏電流偵測裝置及其偵測方法
CN111263895B (zh) * 2017-10-23 2022-02-22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异常检测装置以及异常检测方法
CN108037470A (zh) * 2017-12-14 2018-05-15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dc电源漏电检测系统及检测方法
WO2020068131A1 (en) * 2018-09-28 2020-04-02 Liquid Robotics, Inc., A Subsidiary Of The Boeing Company Leakage detection for electronic device
JP7100554B2 (ja) * 2018-10-03 2022-07-13 株式会社Soken 漏電判定装置
EP3867651B1 (de) * 2018-12-05 2024-02-21 Siemens Energy Global GmbH & Co. KG Messvorrichtung, elektrische anlage mit mes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messen eines leckstromes
WO2020170557A1 (ja) * 2019-02-19 2020-08-27 三洋電機株式会社 漏電検出装置、車両用電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2736A (en) * 1995-04-19 1996-09-03 Hewlett-Packard Company Power supply detect circuit operable shortly after an on/off cycle of the power supply
JP3678151B2 (ja) * 2001-01-11 2005-08-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車両の地絡検出装置
JP3986823B2 (ja) * 2001-12-27 2007-10-03 パナソニック・イーブイ・エナジー株式会社 漏電検出装置
JP3783633B2 (ja) * 2002-02-26 2006-06-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地絡検出装置
US6646513B1 (en) * 2002-08-28 2003-11-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Oscillator circuit having an improved capacitor discharge circuit
CN101228447A (zh) * 2005-08-29 2008-07-2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绝缘电阻降低检测器和绝缘电阻降低检测器的故障自我诊断方法
JP4742103B2 (ja) * 2005-08-29 2011-08-10 日本電気株式会社 絶縁抵抗検出装置
JP4826264B2 (ja) * 2006-01-19 2011-11-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地絡検出装置
JP4674194B2 (ja) 2006-09-29 2011-04-20 矢崎総業株式会社 絶縁検出装置
JP4306781B2 (ja) * 2007-10-30 2009-08-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漏電検出回路
JP4862851B2 (ja) * 2008-03-20 2012-01-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光出力装置および当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448545B2 (ja) * 2009-04-20 2014-03-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用漏電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45606B (zh) 2015-04-29
US9041413B2 (en) 2015-05-26
DE102012100828A1 (de) 2012-08-16
DE102012100828B4 (de) 2018-02-15
KR101311549B1 (ko) 2013-09-26
CN102645606A (zh) 2012-08-22
JP5570455B2 (ja) 2014-08-13
JP2012168071A (ja) 2012-09-06
US20120206153A1 (en)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549B1 (ko) 누전 검지 장치
KR101311556B1 (ko) 누전 검지 장치
KR101291895B1 (ko) 누전 검지 장치
US7863910B2 (en) Insulation resistance detecting apparatus
KR101312852B1 (ko) 누전 검지 장치
JP2011021990A (ja) 絶縁状態検出装置
KR20140017631A (ko) 전기 차량들에 있어서 공급 전압을 측정하는 디바이스
JP5528370B2 (ja) 漏電検知装置、漏電検知装置における閾値等の設定方法
JP5615342B2 (ja) 漏電検知装置
JP6369407B2 (ja) 故障検知システム
JP2010256023A (ja) 漏電検出装置
JP4092654B2 (ja) 地絡検出装置
JP6804320B2 (ja) 地絡検出装置、電源システム
JP6836411B2 (ja) 地絡検出装置、電源システム
JP2013213750A (ja) 漏電検出装置
JP6822584B2 (ja) 漏電検知回路
KR20150083802A (ko) 배터리의 부하 스위치의 기능성 검출 방법, 및 배터리의 부하 스위치의 기능성 검출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
JP6460307B2 (ja) 漏電検出装置
JP2020003367A (ja) 漏電検知回路及び漏電検知方法
KR20160072739A (ko) 누전 검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