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099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099A
KR20120094099A KR1020127017580A KR20127017580A KR20120094099A KR 20120094099 A KR20120094099 A KR 20120094099A KR 1020127017580 A KR1020127017580 A KR 1020127017580A KR 20127017580 A KR20127017580 A KR 20127017580A KR 20120094099 A KR20120094099 A KR 20120094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guide plate
light
pattern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6124B1 (ko
Inventor
미쓰히데 사카모토
히로시 나카시마
에이스케 하타노
토시야키 야기
쥬니치 안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에스.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44842A external-priority patent/JP47242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36765A external-priority patent/JP4551974B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에스.케이.지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에스.케이.지
Publication of KR20120094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를 장착하는 시설의 형상이나 사용자의 요망에 맞추어 발광부분의 외형 형상이나 광 배치 특성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동시에 광의 도출 효율을 향상시키고, 광의 명암의 차이 및 시인 각도에 의한 광의 강도 분포의 차이를 각각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낮은 비용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확산광을 도출하는 오목 형상 패턴, 볼록 형상 패턴 혹은 오목 형상 및 볼록 형상 패턴이 적어도 일면 이상에 형성된 복수로 분기된 도광판을 설치한 도광부, 도광부에 인접하고, 도광판의 하면으로부터 대향하는 상면을 향해 도광판의 내부에 빛을 도입하게 하는 광원을 설치한 광원부, 광원부의 이면에 접촉하고 광원부에 발생한 열을 흡수하고 방열하는 방열부, 광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광원부에 대해 전력 공급을 중개하는 급전부, 도광부의 일단에 접하고, 적어도 도광부를 방열부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소량다품종의 도광판을 입체적으로 설치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LED광을 광원으로 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특히 전구 램프형에 있어서, 입체적인 광 배열 특성을 가지도록, 예를 들면, 다수의 백색 LDE를 입체적으로 설치한 구성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기구에 관하여, 기체(기구 몸체)의 외면에 복수의 방열 핀(fin)이 돌설(突設:돌출 설치)되고 발광다이오드를 각각 기체 내면에 근접되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제조 비용을 증대시키지 않고 발광 다이오드의 방열성을 향상시킨 조명장치의 구성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마찬가지로, 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서 사용한 전구형 LED 램프에 관하여, 금속기판에 절연성 접착층을 이용하여 LED 칩이 실장된 LED 기판의 타면측을 홀더(holder)의 광원 설치부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접촉시켜는 것에 의해 고출력용 LED 기판을 사용한 경우에도 방열성을 가지는 전구형 LED램프의 구성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일특개 2005-310561호 공보 일특개 2006-040727호 공보 일특개 2009-037995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구성에는 조명장치를 장착하는 시설의 환경이나 사용자의 요망에 맞추어진 발광부분의 외형 형상이나 광 배치 특성을 선택하는 것이 곤란하고, 또한, 조명장치의 시인(보고 감지하는) 각도에 의해 광의 강도 분포에 얼룩이 생기고, 광의 도출 효율이 좋지 않고, 더욱이 제조 비용이 더 드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발광부분의 외형 형상이나 광 배치 특성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동시에 광의 도출 효율을 향상시키고, 광의 명암의 차이 및 시인 각도(빛을 조사하는 각도)에 의한 광의 강도 분포의 차이를 각각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낮은 비용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초음파가공용 혼(horn)에 설치된 매트릭스 형상의 가공도트가 누르는 것에 의해 이 가공도트의 형상을 반영한 반사토트가 형성된 복수의 도광판과, 이 도광판에 LED광을 입사시키는 LED 광원과, 이 LED 광원을 보호, 유지하는 지지부재를 가지고, 이 복수의 도광판은 반사도트가 형성된 주면이 각각 서로 다른 각도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조명장치에 따르면, 조명장치를 장착한 시설의 형상이나 사용자의 바람에 맞추어진 발광부분의 외형 형상이나 배광특성(광 배치 특성)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동시에 광의 도출효율 향상시키면서, 광의 명암 차이 및 시인 각도에 의한 광의 강도 분포의 차이를 각각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낮은 비용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배치된 도광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도광판의 표면부를 나타내는 도면, (b)는 도광판의 측면부를 나타내는 도면, (c)는 도광판의 이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배치된 도광판의 표면부의 일부를 타나태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배치된 도광판의 표면부에 형성되는 표면부 오목패턴자국과 이면부에 형성되는 이면부 오목패턴자국을 투과된 상태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표면부 오목패턴자국에 대응하는 이면부 오목패턴자국이 마주볼 때 동일위치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표면부 오목패턴자국에 대응하는 이면부 오목패턴자국이 X방향으로 반 피치 편심되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c)는 표면부 오목패턴자국에 대응하는 이면부 오목패턴자국이 Y방향으로 반 피치 편심되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d)는 표면부 오목패턴자국에 대응하는 이면부 오목패턴자국이 X, Y 방향으로 모두 반 피치 편심되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배치된 표면부 오목패턴자국과 이면부 오목패턴자국의 깊이를 각각 다르게 한 도광판의 측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배치된 표면부 오목패턴자국과 이면부 오목패턴자국의 깊이를 각각 다르게 한 도광판과 해당 도광판에 접착시킨 반사테이프의 측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조명장치를 구성별로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조명장치에 배치된 도광판과 광원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a)는 오목 형상의 패턴 혹은 볼록 형상의 패턴이 대향하는 면에 마주보고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과 광원을 나타내는 단면도, (b)는 오목 형상의 패턴과 볼록형상의 패턴이 대향하는 면에 동일하지 않게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과 광원을 나타내는 단면도, (c)는 오목 형상의 패턴과 볼록형상의 패턴이 하면부로부터 상면부를 향하여 단계적으로 깊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과 광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조명장치에 배치된 방열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a)는 만곡된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진 방열용 핀이 외주에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방열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진 방열용 핀이 외주에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방열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c)는 외주에 방열용 핀이 설치되지 않은 방열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하여 복수로 분기된, 상면부의 높이가 다르도록 형성된 도광판을 복수로 조합하여(짜맞추어 합하여) 배치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하여 열십자 형상으로 4개로 분기된 부분 각각으로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 도광판을 복수로 조합하여 배치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하여 열십자 형태로 설치된 4개의 상면부가 각각 원호상이 되도록 복수의 도광판을 조합하여 배치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하여 열십자 형태로 설치된 4개의 측면부가 각각 다각형상이 되도록 복수의 도광판을 조합하여 배치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하여 열십자 형태로 설치된 4개의 측면부가 각각 유선형상이 되도록 복수의 도광판을 조합하여 배치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하여 복수로 분기된 상면부 혹은 측면부에 대해서도 각각 오목(凹) 형상의 패턴 혹은 볼록(凸) 형상의 패턴이 형성된 복수의 도광판을 조합하여 배치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의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배치되는 도광판에 설치된 오목패턴자국을 형성하는 엠보스 가공용의 초음파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의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배치되는 도광판에 설치된 오목패턴자국을 형성하는 엠보스 가공용의 가공구(加工具)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가공구의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 (b)는 가공구의 초음파가공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의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배치된 도광판에 설치되는 오목패턴자국을 형성하는 엠보스 가공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내지 (e)는 엠보스 가공을 하기 전에 가공부재의 가공개시기준높이를 측정하고, 다음으로 이 가공개시기준높이에 맞추어 가공부재에 대해 엠보스 가공을 행하는 상태를 순서에 따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의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배치된 도광판의 측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가공부재에 만곡부나 두께얼룩이 없는 경우의 도광판의 측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가공부재에 만곡부나 두께얼룩이 있는 경우의 도광판의 측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2는 종래의 도광판의 제조에 있어서, 가공부재에 만곡부나 두께 얼룩이 있는 경우의 도광판의 측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조명장치에 관한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이하의 기술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관한 구성에 관하여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관한 구성과 관련하여 도8 내지 도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관한 구성과 관련하여 도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동일하게,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관한 구성과 관련하여 도13 내지 도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동일하게,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관한 구성과 관련하여 도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최후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의 조명장치에 각각 배치된 도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도18 내지 도22 등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100)에 관하여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조명장치(100)는 도광판(110), LED 유닛(120), 하우징(筐體:housing:130) 및 꼭지쇠(口金:140)로 구성된다. 먼저 조명장치(100)에 관한 전체 구성에 관련하여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후, 다음으로 조명장치(100)에 관한 중요한 구성이 되는 도광판(110)의 상세에 관하여 제3 내지 제7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조명장치(100)에 관한 전체의 구성에 관련하여,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조명장치(100)를 구성하는 도광판(110)은 도광판(110A) 혹은 도광판(110B)으로부터 구성된다. 도광판(110A)은 도1 및 도2에 나타나듯이 판상의 도광판의 4 모퉁이를 절삭가공 등에 의해, 예를 들면, 램프의 형상과 비슷하게 형성한다. 도광판(110B)은 예를 들면 도광판(110A)의 양면의 중앙부에 각각 접착,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도광판(110A)과 도광판(110B)을 상면으로부터 볼 때, 예를 들면 대략 열십자(十)의 형상이 되도록 도광판(110A)과 도광판(110B)을 접합한다. 또한, 도광판은 가공부재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한다. 도광판(110)의 상세한 구성에 관하여 도3 내지 도7을 참조하면서 후술한다.
조명장치(100)를 구성하는 LED 유닛(120)은 LED 광원에 있는 예를 들면 내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봉상부(봉 형태부)로 형성되고, 1개 이상의 백색 LED가 배치되어 있다. 이런 형태의 LED 유닛(120)은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광판(110A)이나 도광판(110B)의 측면부의 길이에 맞추어, 각각을 소정의 길이로 형성한다. 각 도광판의 측면부 길이에 맞추어 LED 유닛(120)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도 좋다. 또한, 열십자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LED 유닛(120)에 복수의 백색 LED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백색 LED에 구동 전류를 인가하는 것에 따라 백색 LED광을 도광판에 입사시키면 그 백색 LED광이 도광판의 표면부 및 이면부에 형성된 오목패턴자국에 조사되는 것에 의해 각각 확산광이 발생한다. 또한, LED 유닛(120)은 도광판(110A) 및 도광판(110B)에 대해, 예를 들면, 접착으로 고정한다. LED 유닛(120)에 배치하는 LED는 예를 들면 백색, 적색, 청색 혹은 녹색 중의 한 색으로 이루어지는 LED 혹은 이들 각 색의 LED의 조합으로 할 수도 있다.
조명장치(100)를 구성하는 하우징(13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내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대략 원추형상부로 형성된다. 이런 형태의 하우징(130)의 일단부에 LED 유닛(120)을, 예를 들면 접착 고정하고, 혹은 도시되지 않은 나사 등을 이용하여 나사고정을 한다. 하우징(130)은 종래의 전구의 하우징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외형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종래의 조명설비에 조명장치(100)를 설치하는 때에 하우징(130)이 조명설비에 간섭하여 설치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조명장치(100)을 구성하는 꼭지쇠(140)는 도1에 나타나듯이 조명장치(100)를 도시되지 않은 전구소켓에 접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런 형태의 꼭지쇠(140)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대략 원통형 상부로 형성되고, 조명장치(100)에 설치되는 LED를 통전시키기 위한 금속이 외주 일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꼭지쇠(140)에 하우징(130)을 예를 들면 접착 고정하거나, 혹은 압입 가공 등으로 고정한다. 또한, 꼭지쇠(140)는 종래의 전구에 마련되어 있는 꼭지쇠와 동일한 외형 형상 및 사양으로 하는 것에 의해 조명장치(100)를 종래의 전구소켓에 장착 가능하게 한다. 또한, 꼭지쇠(140)의 직경은 예를 들면 가장 일반적인 전구의 꼭지쇠 사이즈인 직경 26mm로 한다. 또한, 상술한 하우징(130)과 꼭지쇠(140)는 LED 유닛(120)을 유지하는 지지부재로서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조명장치(100)에 관한 중요한 구성인 도광판(110)의 상세에 관하여 도3 내지 도7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광판(110)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최초에 도광판(110)의 기본적인 구성예인 도광판(111)에 관련하여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고, 다음으로 도광판(111)의 응용예로 도광판(112)에 관하여 도6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고, 최후로 도광판(112)의 응용예로 도광판(113)에 관하여 도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최초로, 도광판(110)의 기본적인 구성예인 도광판(111)에 관련하여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광판(111)은, 도3 및 도4에 도시되듯이, 예를 들면 메타크릴 수지(Polymethylmethacrylate)판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오목패턴자국이 형성된 소정의 크기의 판상부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당해 판상부의 크기는 예를 들면 100mm×100mm 로부터 B0판 사이즈에 해당하는 1450mm×1030mm의 직사각형으로, 2mm부터 12mm까지의 두께에 대응한다. 조명장치(100)의 사양에 적합하게, 도광판(111)을 소정의 크기로 가공한다. 여기서, 도1에 나타나듯이, 도광판(111)의 표면부(111A)에는 표면부 오목패턴자국(111B)이 형성되고, 도광판(111)의 이면부(111D)에는 이면부 오목패턴자국(111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러한 오목패턴자국은 예로써, 장경(長徑) 0.6mm, 깊이 0.4mm의 사각추형상의 자국으로 형성된 피치 패턴으로서, 예를 들면 1.2, 1.5, 2.0 및 8.0mm 피치 등으로 구성된 매트릭스 형의 성형 자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되듯이, 도광판(111)의 표면부(111A)에 형성되는 표면부 오목패턴자국(111B)과 이면부(111D)에 형성되는 이면부 오목패턴자국(111E)에 대하여, 각각 LED광이 조사된다. 구체적으로는 도5(a) 내지 (d)의 각 도에 있어서, 오목패턴자국에 대하여 도5의 수평방향 X로부터 LED광인 입사광 L1이 조사된다. 마찬가지로, 도5(a) 내지 (d)의 각 도에 있어서, 오목패턴자국에 대하여 도5의 수직방향 Y로부터 LED광인 입사광 L2가 조사된다. 조명장치(100)에 배치된 도광판(111)은 도5에 나타난 도광판(111)의 수평방향 X 혹은 수직방향 Y의 어느 쪽이든 한 방향으로부터만 LED광이 입사되는 구성이지만, 참고로 두 방향으로부터 LED광이 입사되는 구성으로 설명한다.
이하, 도광판(111)에 형성된 오목패턴자국에 관한 광학적 특성에 관하여, 도5(a)에 도시된 표면부 오목패턴자국(111B)와 이면부 오목패턴자국(111E)이 마주볼 때 동일하게(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상태를 기준 조건으로서, 도5(b) 내지 (d)에 도시된 표면부 오목패턴자국(111B)에 대응하는 이면부 오목패턴자국(111E)이 반 피치(P2) 편심되어 있는 3가지 조건에 관한 광학특성에 관련하여 각각 설명한다.
도5(b)에 나타나는 것처럼 표면부 오목패턴자국(111B)에 대하여 이면부 오목패턴자국(10E)이 X 방향으로 반 피치(P2) 편심되어 형성된 조건에서의 광학적 특성에 관련하여, 도5(a)와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이런 조건에 있어서, 도광판(111)의 표면부(111A)측으로부터 시인(視認) 가능한 X방향에서의 도광판(10)에 형성된 오목패턴자국의 시인 가능한 밀도는 도5(a)의 경우와 비교할 때 2배가 된다. 이때문에 도5(a)의 경우와 비교할 때, 도광판(111)의 표면부(111A)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오목패턴자국에 의해 빛나는 점(휘점)이 X 방향에서 2배가 되어서 빛의 명암 차가 작게 된다. 또한, 도광판(111)의 표면부(111A)측으로부터 인식할 수 있는 Y방향의 도광판 (111)에 형성된 오목패턴자국의 밀도는 도5(a)의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5(a)에 비교할 때 Y방향에 대한 빛의 명암의 차이는 동일하다.
또한, 도5(c)에 나타난 것처럼 표면부 오목패턴자국(111B)에 대해 이면부 오목패턴자국(111E)이 Y방향으로 반 피치 (P2) 편심되어 형성된 조건에서의 광학적 특성에 관하여, 도5(a)와 비교하며 설명한다. 이런 조건에 관하여, 도광판(111)의 표면부(111A)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Y방향에서의 도광판(111)에 형성된 오목패턴자국의 밀도는 도5(a)의 경우와 비교할 때 2배가 된다. 그러므로, 도5(a)의 경우와 비교할 때, 도광판(111)의 표면부(111a)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오목패턴자국에 의해 확산광이 Y방향에 있어서 2배가 되어 빛의 명암의 차이가 작게 된다. 또한, 도광판(111)의 표면부(111A)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X방향으로의 도광판(111)에 형성된 오목패턴자국의 밀도는 도5(a)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5(a)의 경우와 비교할 때, X방향에서 빛의 명암의 차이는 동일하다.
동일하게, 도5(d)에 나타나듯이 표면부 오목패턴자국(111B)에 대한 이면부 오목패턴자국(111E)이 X, Y 방향 모두에 반 피치 (P2) 편심되어 형성된 조건에서의 도광판(111)의 광학적 특성에 관하여, 도5(a)와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이런 조건에 관하여, 도광판(111)의 표면부(111A)측으로부터 시인가능한 X, Y 방향에서의 도광판(111)에 형성된 오목패턴자국의 밀도는 도5(a)의 경우와 비교할 때 각각 2배가 된다. 따라서, 도5(a)의 경우와 비교할 때, 도광판(111)의 표면부(111A)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오목패턴자국에 의해 확산광이 X, Y 방향 모두에서 2배가 되므로 광의 명암의 차가 각각 작게 된다.
이상 도광판(111)은 도5(a) 내지 (d)를 참조하면서 상술된 바에 따르면, 표면부 오목패턴자국(111B)에 대한 이면부 오목패턴자국(111E)의 위치를 X, Y 방향으로 편심되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광학특성을 임의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도5(d)에 나타난 조건에 있어서, 도5(a)에 나타난 조건과 비교할 때 X, Y 방향 모두에서 빛의 명암의 차가 각각 작게 되므로, 양호한 광학특성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광판(111)의 응용예인 도광판(112)에 관하여, 도6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광판(112)은 도6에 나타나듯이, 도광판(111)에 형성된 대략 일정한 깊이의 표면부 오목패턴자국(111B) 및 이면부 오목패턴자국(111E)과 달리, 표면부 및 이면부의 오목패턴자국의 깊이를 단계적으로 다르게 하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도광판(112)를 측면부(112C)로부터 볼 때, 도6의 좌측의 표면 및 이면 오목패턴자국의 깊이를 비교하면, 도6 우측의 표면 및 이면 오목패턴자국 쪽이 단계적으로 깊어지도록 오목패턴자국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측면부(112C)의 도6 좌측으로부터 LED광인 입사광 L3가 조사되고, 광학특성에 의해 광원에 접근할수록 광밀도가 높고, 멀수록 광밀도가 낮게 되므로, 도6 좌측으로부터의 오목패턴자국의 반사면적을 작은 것에서 큰 것으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확산광의 인출이 고르게 된다. 즉, 도광판(112)은 도광판(111)보다도 확산광의 도출을 평균화(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오목패턴자국 가공은 편측 광원 사용시에 유효하게 된다.
최후로, 도광판(112)의 응용예로서 도광판(113)에 관하여, 도7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광판(113)은, 도7에 나타나듯이, 도광판(111)에 형성된 대략 균일한 깊이의 표면부 오목패턴자국(111B) 및 이면부 오목패턴자국(111E)과 달리, 표면부 및 이면부의 요철패턴자국의 깊이를 단계적으로 다르게 하고, 도광판(113)의 측면부의 옆쪽에, 예를 들면 가시광 영역의 빛에 대해 반사율이 높게 박막 형태로 형성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반사테이프(115)를 접착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광판(113)의 구조에 관련하여, 표면부(113A)의 표면부 오목패턴자국(113B)의 깊이와, 이면부(113D)의 이면부 오목패턴자국(113E)의 깊이는 도7 좌측의 측면부(113C')로부터 우측의 측면부(113C")에 대해, 각각 단계적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 도7 우단의 측면부(113C")에는 표면부(113A)의 표면부 오목패턴자국(113B)의 깊이와 이면부(113D)의 이면부 오목패턴자국(113E)의 깊이 모두가 상대적으로 얕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7에 나타난 표면부(113A)의 표면부 오목패턴자국(113B)와 관련하여, 오목패턴자국의 깊이는 오목패턴자국 T1이 가장 얕고, 오목패턴자국 T5가 가장 깊고, 오목패턴자국에서는 T1<T2<T3<T4<T5의 관계가 있다.
또한, 도광판(113)에 관련하여, 도7 좌측의 측면부(113C')로부터 LED광인 입사광 L4가 조사되고, 광학 특성에 기인하여 광원에 가까울수록 광밀도가 높고, 멀수록 광밀도가 낮아지므로, 도7 좌측으로부터 오목패턴자국의 반사면적을 작은 것에서 큰 것으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표면부(113A) 및 이면부(113D)에 있어서의 확산광의 도출이 고르게 된다. 여기서, 도광판(113)의 측면부(113C")에 접착된 반사테이프(115)에 의해 LED광인 입사광 L4가 측면부(113C")에서 반사된 반사광 L5가 발생된다. 이 반사광 L5가 오목패턴자국에 의해 확산광으로 변환되는 것에 의해 LED광이 확산광으로 변환되는 비율이 증가한다. 이러한 반사광 L5는 측면부(113C")에 가까운 오목패턴자국에 있어서의 확산광에 영향을 미치게 한다. 따라서, 측면부(113C")에서는 표면부(113A)의 표면부 오목패턴자국(113B)의 깊이와 이면부(113D)의 이면부 오목패턴자국(113E)의 깊이가 함께, 상대적으로 얕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도광판(113)의 측면부의 편측에 반사테이프(115)를 접착시킨 구성에 있어서, 필요한 발광면 크기에 대응한 균일한 확산광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광판(113)은 도광판(112)보다도 다시 한번 확산광의 도출을 평균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조명장치(100)에 따르면, 도광판(110)의 표면부 오목패턴자국에 대한 이면부 오목패턴자국의 위치를 X, Y 방향으로 편심시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광의 명암 차에 관한 광학특성을 임의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표면부 오목패턴자국에 대한 이면부 오목패턴자국의 위치를 X, Y 방향으로 반 피치(P2) 편심시켜 형성하는 것에 의해 X, Y 방향 모두로 광의 명암의 차를 각각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광판(112)의 형태로 표면부 및 이면부의 요철패턴자국의 깊이를 단계적으로 다르게 한다거나, 도광판(113)의 형태로 표면부 및 이면부의 오목패턴자국의 깊이를 단계적으로 다르게 하고, 또한 측면부의 편측에 예를 들면 가시광 영역의 빛에 대한 반사율이 높은 박막 상태로 형성된 금속으로 형성된 반사 테이프(115)를 접착하는 것에 의해, 확산광의 도출을 평균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조명장치(100)에 따르면, 예를 들면 대략 열십자 형상이 되도록 도광판 110A와 110B를 접합한 도광판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광의 명암의 차이를 억제하고, 또한 조사되는 각도에 의존하지 않는 상태에서, LED광을 면발광으로부터 입체발광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공간에 대해 보다 확장성을 가지는 간접조명이나 장식조명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조명장치(100)에 따르면, 조사 각도에 의존하지 않고 더욱 균일하게 확산되는 LED광을 바닥면이나 측면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조명장치(100)에 따르면, 도광판을 절단 혹은 절삭 가공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므로 복수의 도광판을 소정의 각도로 조합시켜 접합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형상의 발광부를 가진 조명장치(100)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시설의 형상이나 사용자의 요망에 따른 광 배열 특성을 가지는 조명장치(100)를 용이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조명장치(100)에는 도18 내지 도22를 참조하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공구(1010)의 초음파가공부(1010A)를 가공부재(1100)의 일 주면에 압박시키는 것으로 가공부재(1100)의 일 주면에 대해 매트릭스 형태의 가공도트를 반영시킨 복수의 반사도트를 한 번에 형성시킨 도광판(100)을 배치하게 된다. 이런 형태의 도광판(100)의 제조에서는 초음파 멀티 혼(multi horn)을 이용하여 플렉시블(flexible)한 도트 가공이 대응가능하게 되며 제조에 관한 택트(tact time)를 대폭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조명장치(200)에 관한 구성에 관련하여, 도8 내지 도11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조명장치(200)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조명장치(100)와 달리, 도광부(210)의 도광판 상면부가 각각 복수로 분기되고 도광부(210)나 광원부(220)를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가진다.
조명장치(200)은 도8 및 도9에 나타나듯이, 도광부(210), 광원부(220), 방열부(230), 급전부(240: 전기공급부) 및 지지부(250)로 구성된다. 이하, 조명장치(200)의 구성에 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조명장치(200)을 구성하는 도광부(210)에는, 도9에 나타나듯이, 확산광을 도출하는 오목형상의 패턴, 볼록형상의 패턴 혹은 오목 및 볼록 형상의 패턴이 적어도 1면 이상에 형성된 복수로 분기된 도광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런 형태의 도광부(210)는 예를 들면 도광판(211) 및 도광판(212)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광부(21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광판(211) 및 도광판(212)은 각각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판이나 메타크릴 수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광판(211)은 상면부(211G)가 3 개소에서 오목한 것에 의해 분기부위(211'), 분기부위(211"), 분기부위(211''') 및 분기부위(211'''')의 4 갈래로 분기된다. 동일하게, 도광판(212)도 상면부(212G)가 3 개소에서 오목한 것에 의해 분기부위(212'), 분기부위(212"), 분기부위(212''') 및 분기부위(212'''')의 4 갈래로 분기된다.
또한, 조명장치(200)을 구성하는 도광부(210)에 관하여, 도광판(211)의 분기부위(211'')와 분기부위(211''')와의 사이의 홈부(오목부)에 형성되는 접합부(211E)와 도광판(212) 하면부(212F)의 중앙에 설치되는 접합부(212E)가 접합하도록 도광판(211)에 대하여 도광판(212)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접합부(211E)와 접합부(212E)를 접합시킬 때 도광판(211)의 하면부(211F)의 위치와 도광판(212)의 하면부(212F)의 위치(높이)가 동일해지도록 도광판(211) 및 도광판(212)가 형성되어 있다. 동일하게, 접합부(211E)와 접합부(212E)를 접합시킨 때에 도광판(211)의 분기부위(211'), 분기부위(211''), 분기부위(211''') 및 분기부위(211'''')의 상면부(211G)의 높이와 도광판(212)의 분기부위(212'), 분기부위(212''), 분기부위(212''') 및 분기부위(212'''')의 상면부(212G)의 높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도광판(211) 및 도광판(212)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조명장치(200)을 구성하는 도광부(210)에 관하여, 도광판(211) 및 도광판(212)에는 확산광을 도출하는 오목형상 패턴, 볼록형상 패턴 또는 오목 및 볼록 형상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패턴(211P) 및 패턴(212P)이 각각 매트릭스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턴(211P) 및 패턴(212P)의 간격은, 예를 들면 2mm부터 6mm이다. 또한, 패턴(211P) 및 패턴(212P)에 관계되는 도광판(211) 및 도광판(212)의 광학특성에 관해서는, 광원부(220)의 설명 뒤에 도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광판(211) 및 도광판(212)에는 방수, 방오 및 방진 등의 기능을 가진 도시되지 않은 유리 코팅제를 도포하거나, 혹은 방수, 방오 및 방진 기능을 가진 도시되지 않은 투명수지를 피복하여도 좋다.
조명장치(200)를 구성하는 광원부(220)는 도9에 나타나듯이, 도광부(210)에 인접하고, 도광판(211) 및 도광판(212)의 하면부(211F) 및 하면부(212F)로부터 대향하는 상면부(211G) 및 상면부(212G)를 향하면서, 도광판(211) 및 도광판(212)의 내부로 빛을 도입시킨다. 이와 같은 광원부(220)는 광원(221) 및 기판(2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광원부(22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광원부(220)의 광원(221)은, 예를 들면 백색으로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9에서는, 일예로서 표면 실장형의 10개의 LED를 열십자 형태로 배열하고 있다. 또한, 광원(221)은 백색, 적색, 오렌지색, 황색, 녹색, 청색, 남색 또는 보라색의 어느 한 가지의 색 혹은 그러한 색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LED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광원(221)은 LED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유기발광 다이오드, 형광관, 냉음극관 혹은 네온관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조명장치(200)를 구성하는 광원부(220)에 관하여, 광원부(220)의 기판(222)은 광원(221)을 실장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판(222)은, 예를 들면 경량으로 일정한 강도를 가지는 알루미늄 판으로 이루어지고 원반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기판(222)을 방열성에서 우수한 동판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동일하게, 기판(222)을 가공성이 우수한 유리에폭시 기판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광부(210) 및 광원부(220)에 관련된 도광판의 광학 특성에 관하여 도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10에서는 도광판(211) 및 도광판(212)의 구성을 간략화된 도광판(213)과 그 도광판(213)에 인접한 광원(221)을 모식적으로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광판(213)의 하면부(213F)로부터 입사되는 광원(221)의 빛의 일부는 2개로 분기된 부분 사이의 단부(213S)에 의하여 2개로 분기되는 부분의 양쪽에 효율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그 반사되는 빛은 일 주면(213M)과 타 주면(213Q)의 사이를 다중반사하기 때문에 일 주면(213M)에 복수로 형성되는 패턴(213N)과 타 주면(213Q)에 복수로 형성되는 패턴(213R)으로 효율적으로 확산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213)의 하면부(213F)로부터 입사되는 광원(221)의 빛의 일부는 단부(213S)를 이용하는 일 없이 패턴(213N) 및 패턴(213R)에서 각각 확산광을 발생시킨다.
즉, 도광판의 광학 특성에 관하여, 종래와 같은 단순한 구(矩: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도광판의 경우, 도광판의 하면부로부터 입사하고 직진하는 빛의 대부분은 확산광으로 변환되지 않고 직진하여 상면부로 방출된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 관계된 도광판(213)의 형태로, 예를 들면 2 개로 분기되어진 형상으로부터 이루어진 도광판의 경우, 도광판(213)의 하면부(213F)로부터 입사되는 빛은 2 개로 분기된 부분의 사이의 단부(213S)나, 예를 들면 일 주면(213M)과 타 주면(213Q)의 사이에서 여러번 반사된다. 이와 같은 여러 차례의 반사와 관련하여, 도광판(213)의 각 면의 사이에서 빛이 전체(全體) 방위(方位)에 반사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상면부(213G)로 경사 입사로 조사되는 빛이 그 상면부(213G)로부터 방출되지 않고 하면부(213F) 측에 반사된다. 따라서, 도광판(213)의 하면부(213F)로부터 입사한 뒤에 확산광으로 변환되지 않고 직진하여 상면부(213G)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비율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의 광학 특성에 관하여, 도광판(213)에 형성되는 패턴(213N) 및 패턴(213R)의 밀도가 충분히 높으면 그 패턴(213N) 및 패턴(213R)에서 발생한 복수의 확산광은 거의 균일한 면광원으로서 도광판(213)의 일 주면(213M) 및 타 주면(213Q)로부터 도출된다. 또한, 일 주면(213M)의 패턴(213N)에서 발생한 확산광의 일부와 타 주면(213Q)의 패턴(213R)에서 발생한 확산광의 대부분은 시인자의 눈 E으로 시인(시각으로 감지)된다.
따라서, 도광판의 광학 특성에 관하여, 도10에 나타난 일 주면(213M)에 복수로 형성되는 패턴(213N)과 타 주면(213Q)에 복수로 형성되는 패턴(213R)이 반피치 빗나가게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213)의 경우, 시인자의 눈 E로 시인되는 확산광이 발생하는 패턴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도광판(213)에 있어서 빛의 명암 차이가 작아진다. 또한, 광원(221)의 빛의 강도가 도광판(213)의 하면부(213F)로부터 상면부(213G)를 향하고 단계적으로 깊게 형성하는 것에 따라, 발생하는 확산광의 강도를 높이고, 복수의 패턴으로부터 발생되는 확산광의 강도를 평균화시킬 수 있다.
조명장치(200)를 구성하는 방열부(230)는 도9에 나타나듯이 광원부(220)의 기판(222)의 이면에 접합되고, 광원부(220)의 광원(221)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하고 방열한다. 이와 같은 방열부(230)는 방열부재(231)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방열부(23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방열부재(231)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방열부재(231)의 내부에는 광원부(220)의 기판(222)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23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250)의 고정부재(252)를 기판(222)에 개구되는 구멍(222A)을 통하여 수용부(231A)에 설치되는 나사구멍(231B)에 나사고정하는 것에 의해 기판(222)의 이면이 수용부(231A)에 밀착한 상태로 고정되고 광원(221)에서 발생한 열이 효율적으로 방열부재(231)로 이동한다.
또한, 조명장치(200)을 구성하는 방열부(230)와 관련하여, 도9에 나타나듯이, 방열부재(231)의 외주에는, 예를 들면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효율적인 방열을 위하여 핀(231C)이 복수로 형성된다. 또한, 그 핀(231C)은, 예를 들면 도11(a)에 나타나듯이 만곡된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방열용 핀(231C')을 외주에 따라 복수개 형성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도11(b)에 나타나듯이 직선의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방열용 핀(231C'')을 외주에 따라 복수개 형성해도 좋다. 물론, 광원(221)의 구동 전류치가 충분히 낮은 경우나 전력 손실이 작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11(c)에 나타나듯이 외주에 방열용 핀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조명장치(200)를 구성하는 급전부(240)는 도9에 나타나듯이 광원부(2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광원(221)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개한다. 이와 같은 급전부(240)는 급전부재(241), 통체(242) 및 전원 유닛(243)으로 구성된다. 이하, 급전부(240)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급전부(240)의 급전부재(241)는, 예를 들면 옥내 시설에 시공되어 있는 소켓(socket)에 나사체결되어 전력 공급을 받는 꼭지쇠로 이루어진다. 또한, 꼭지쇠의 직경은, 예를 들면 일반적인 사이즈의 직경인 26mm로 한다. 여기에서, 급전부재(241)는 꼭지쇠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콘센트에 꽂아 전력의 공급을 받는 플러그(plug)나, 발전기 또는 축전지에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받도록 하는 단자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조명장치(200)을 구성하는 급전부(240)에 관하여, 하우징(242)은, 예를 들면 절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하우징(242)은 일 단부(242A)에 급전부재(241)를 끼워넣어 접속하고, 또 타 단부(242B)에 방열부(230)의 방열부재(231)를 끼워넣어 접합되고 있다. 또한, 급전부(240)의 전원 유닛(243)은 급전부재(241)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전력을, 광원(221)의 정해진 규격에 맞추어, 전압 강하, 직류 정전류로의 정류, 정류 후의 펄스 변조 및 노이즈(noise) 제거 등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전원 유닛(243)은, 예를 들면 변압기, 정류기 및 콘덴서로 구성된다. 또한, 전원 유닛(243)은, 예를 들면 하우징(242) 및 방열부재(231)가 서로 끼워지는 부분의 내부의 공간에 수납되어 있다.
조명장치(200)를 구성하는 지지부(250)는 도9에 나타나듯이 도광부(210)의 한 끝에 접하고, 적어도 도광부(210)를 방열부(230)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와 같은 지지부(50)는 지지부재(251)과 고정부재(252)로 구성된다. 이하, 지지부(25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지지부(250)의 지지부재(251)는 각각 반원반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지지부재(251', 251'')로 구성된다.
또한, 조명장치(200)를 구성하는 지지부(250)에 관하여, 지지부재(251')는 그 지지부재(251')의 중앙에 개구된 홈부(251'A)를 도광판(212)의 분기부위(212')에 설치되는 걸어맞춤부(212H)에 삽입하여 결합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재(251')의 양단에 형성되는 돌기부(251'B)를 도광판의 (211)의 분기부위(211') 및 분기부위(211'''')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오목 형태의 걸어맞춤부(211H)에 삽입하여 걸어맞추고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부재(251'')는 그 지지부재(251'')의 중앙에 개구되는 홈부(251''A)를 도광판(212)의 분기부위(212''')에 설치되는 걸어맞춤부(212H)에 삽입하여 걸어맞추고 있다. 또한, 지지부재(251'')는 그 지지부재(251'')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251''B)를 도광판(211)의 분기부위(211') 및 분기부위(211'''')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오목 형태의 걸어맞춤부(211H)에 삽입하여 걸어맞추고 있다.
동일하게, 조명장치(200)을 구성하는 지지부(250)에 관하여, 도광판(211)에 대하여 도광판(212)이 삽입되고 또한 한 쌍의 지지부재(251', 251'')가 걸어맞추어져 있는 상태로 지지부재(251') 및 지지부재(251'')의 외부에 각각 설치되는 벽부(251'C) 및 벽부(251''C)가 방열부재(231)의 수용부(231A)에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냄비 머리 나사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252)를 지지부재(251') 및 지지부재(251'')에 각각 형성되는 구멍(251'D) 및 구멍(251''D)에 통과시키고 또한, 기판(222)에 형성되는 구멍(222A)에도 통과시킨 뒤에 수용부(231A)에 복수개 설치되는 나사구멍(231D)에 나사고정하는 것에 의해 도광부(210) 및 광원부(220)를 방열부(230)에 대해 각각 착탈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도광부(210)과 광원부(220)를, 예를 들어 개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방열부(230)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조명장치(200)에 의하면, 시설 환경이나 사용자의 요망에 맞추어 지지부(250)에 의해 방열부(230)에 지지되는 도광부(210)나 광원부(220)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 발광부분의 외형 형상이나 배광특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조명장치(200)에 의하면, 도광부(210)에 입체적으로 조합시킨 복수의 도광판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시인하는 각도에 의한 빛의 강도 분포의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조명장치(200)에 의하면, 도광판을 복수로 분기시킨 것에 의해 도광판이 내부에서 빛을 정반사시키는 측면부의 표면적이 증가하는 것에 의해 그 측면부 사이에서 빛이 다중반사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도광판의 하면으로부터 상면부로 방출되어 버리는 빛의 비율이 감소하고, 오목 형상이나 볼록 형상의 패턴에서 확산광으로 변환되는 빛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에 의해 빛을 도출시키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조명장치(300)에 관계되는 구성에 관하여 도12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조명장치(300)는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분기된 도광판의 상면부의 높이가 같은 조명장치(200)와 다르고, 분기된 도광판의 상면부의 높이가 다른 것에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그 밖의 제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구성은 제2 실시형태에서 언급한 구성과 동일하다. 여기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실시형태와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조명장치(300)는 도12에 나타나듯이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조명장치(300)와 동일한 사양으로 이루어지는 광원부(220), 방열부(230), 급전부(240) 및 지지부(250)와 제3 실시형태에 특유한 도광부(3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하 조명장치(300)를 구성하는 도광부(3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조명장치(300)를 구성하는 도광부(310)는 도12에 나타나듯이 확산광을 도출시키는 오목 형태의 패턴, 볼록 형태의 패턴 또는 오목 및 볼록 형태의 패턴이 형성되는 도광판(311) 및 도광판(312)을 조합시켜 설치되고 있다. 여기서, 도광판(311) 및 도광판(312)은 도광판(211) 및 도광판(212)과 기본적 구성에서는 동일하지만 외형 형상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조명장치(300)를 구성하는 도광부(310)에 관하여, 도광판(311)은 도광판(211)과 마찬가지로 그 도광판(311)의 상면이 3군데에서 오목하게 들어가는 것에 의해 분기부위(311'), 분기부위(311"), 분기부위(311''') 및 분기부위(311'''')의 4 갈래로 분기된다. 여기에서 도광판(311)은 도광판(211)과 다르고, 분기부위(311'') 및 분기부위(311''')의 상면부(311G)의 높이가 분기부위(311') 및 분기부위(311'''')의 상면부(311G')의 높이보다도 높아지게 형성된다. 또, 도광판(311)에 삽입되고 조합되는 도광판(312)은 도광판(212)와 마찬가지로 그 도광판(312)의 상면이 오목하게 들어가는 것에 의해 분기부위(212'), 분기부위(212''), 분기부위(212''') 및 분기부위(212'''')의 4 갈래로 분기되어 있다. 여기서, 도광판(312)은 도광판(212)과 다르고, 분기부위(312'') 및 분기부위(312''')의 상면부(312G)의 높이가 분기부위(312') 및 분기부위(312''')의 상면부(312G')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상, 제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조명장치(300)에 의하면,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시설 환경이나 사용자의 요망에 맞추어, 지지부(250)에 따라서 방열부(230)로 지지되고 있는 도광부(310)나 광원부(220)을 교환하는 것에 의해 발광부분의 외형 형상이나 배광 특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조명장치(300)에 의하면, 도광부(310)에, 분기되는 높이가 다른 도광판을 입체적으로 조합시키기 때문에 디자인성이 우수하고 시인 각도에 의한 광의 강도 분포의 차이를 억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조명장치(300)에 의하면,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광판을 복수로 분기시킨 것으로 도광판의 내부에서 빛을 정반사시킨 측면부의 표면적이 증가하는 것에 의해 그 측면부 사이에서 빛이 다중반사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도광판의 하면부로부터 상면부로 방출되어 버리는 빛의 비율이 감소하고 오목 형상이나 볼록 형상의 패턴으로부터 확산광으로 변환되는 빛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에 의해 빛을 도출시키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조명장치(400) 내지 조명장치(700)에 관하여, 도13 내지 도16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조명장치(400) 내지 조명장치(700)는 제2 및 제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분기된 도광판의 측면부의 두께가 위치에 상관없이 같은 조명장치(200) 및 조명장치(300)와 달리 도광판의 횡폭이 도광판의 하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하여 연속적 혹은 주기적으로 증가, 감소 또는 증감하도록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그 밖에는 제4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구성은 제2 및 제3 실시형태에서 언급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및 제3 실시형태와는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조명장치(400) 내지 조명장치(700)은 도13 내지 도16에 나타나듯이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조명장치(200)와 각각 동일한 사양으로 이루어지는 광원부(220), 방열부(230), 급전부(240) 및 지지부(250)와, 조명장치(400) 내지 조명장치(700)에 각각 특유한 도광부(410) 내지 도광부(7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하 조명장치(400) 내지 조명장치(700)에 각각 설치되는 도광부(410) 내지 도광부(710)에 관하여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조명장치(400)에는 도13에서 나타나듯이 열십자 모양의 4 개로 분기된 부분이 각각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 도광판(411) 및 도광판(412)을 조합시킨 도광부(41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광판(411)은 그 도광판(411)의 상면부(411G)의 중앙이 오목하게 들어가는 것에 의해 분기부위(411') 및 분기부위(411'')의 2개로 분기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411)은 분기부위 (411') 및 분기부위(411'')의 상면부(411G)의 높이가 조명장치(300)의 주변으로부터 중심을 향하면서 낮아지도록 지지부(250)에 대하여 기울어지고 있는 것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411)으로 삽입되어 조합되는 도광판(412)은 도광판(411)과 동일한 형상이다.
조명장치(500)에는 도14에 나타나듯이 열십자 모양의 설치되는 4 개의 상면부가 각각 원호 형태가 되도록 도광판(511) 및 도광판(512)을 조합시킨 도광부(51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광판(511)은 그 도광판(511)의 상면부(511G)의 중앙이 오목하게 들어가는 것에 의해 분기부위(511') 및 분기부위(511'')의 두 개로 분기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511)은 분기부위(511') 및 분기부위(511'')의 상면부(511G)의 높이가 조명장치(500)의 주변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각각 높아지도록 지지부(250)에 대해 만곡하는 것으로, 각각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511)에 삽입되어 조합되는 도광판(512)은 상면부(512G)의 높이가 조명장치(500)의 주변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각각 만곡하고 있는 것에 의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명장치(600)는 도15에 나타나듯이 열십자상으로 설치되는 4개의 측면이 각각 다각형상이 되는 도광판(611) 및 도광판(612)을 조합시킨 도광부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도, 도광판(611)은 그 도광판(611)의 상면부(611G)의 중앙이 오목하게 들어가는 것에 의해 분기부위(611') 및 분기부위(611'')의 2개로 분기된다. 또한, 도광판(611)은 측면부(611U)가 각각 다른 각도로 연속한 5개의 면으로 이루어지는 측면부(611U)에 의해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광판(611)의 분기부위(611')는 분기부위(611'')와 마주볼 때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611)에 삽입되어 조합되는 도광판(612)도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측면부(612U) 각각이 각각 다른 각도로 연속한 5개의 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조명장치(700)은 도 16에 나타나듯이 열십자 형태로 설치되는 4개의 측면이 각각 유선형으로 되도록 도광판(711) 및 도광판(712)을 조합시킨 도광부(710)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도광판(711)은 그 도광판(711)의 상면부(711G)의 중앙이 오목하게 들어가는 것에 의해 분기부위(711') 및 분기부위(711'')의 2개로 분기된다. 또한, 도광판(711)은 측면부(711U)가 곡선 모양으로 가공되는 것에 의해 유선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711)의 분기부위(711')는 분기부위(711'')와 마주볼 때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711)에 삽입되어 조합되는 도광판(712)도 마주보게 설치되는 2개의 측면부(712U) 각각이 곡선상으로 가공되는 것에 의해 유선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상, 제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조명장치(400) 내지 조명장치(700)에 의하면, 제2 및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시설 환경이나 사용자의 요망에 맞추어, 지지부(250)에 따라서 방열부(230)로 지지되고 있는 도광부(410) 내지 도광부(710)나 광원부(220)을 교환하는 것에 의해 발광부분의 외형 형상이나 배광 특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조명장치(400) 내지 조명장치(700)에 의하면, 도광부(410) 내지 도광부(710)에, 측면부를 다각형상이나 유선형상으로 형성시킨 도광판을 입체적으로 조합시켜 이용하기 때문에 비상하게 디자인성이 우수하고, 시인 각도에 의한 광의 강도분포의 차이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조명장치(400) 내지 조명장치(700)에 의하면, 도광판의 측면부를 다각형상이나 유선형상으로 형성시킨 것으로 측면부 사이에서 광이 난반사된 상태로 다중반사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도광판의 하면부로부터 상면부로 방출되어 버리는 빛의 비율이 감소하고 오목 형상이나 볼록 형상의 패턴으로부터 확산광으로 변환되는 빛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에 의해 빛을 도출시키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조명장치(800)에 관계되는 구성에 관하여 도17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조명장치(800)는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조명장치(200) 내지 조명장치(700)와 다르고, 도광판의 상면부나 측면부에도 오목 형상의 패턴, 볼록 형상의 패턴 혹은 오목 형상 및 볼록 형상의 패턴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그 밖의 제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구성은 제2 내지 제4의 실시형태에서 언급한 구성과 동일하다. 여기서,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와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조명장치(800)는 도17에 나타나듯이, 도광판(811) 및 도광판(812)으로 이루어진 도광부(81)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도광판(811)의 외형 형상은 조명장치(200)에 설치되는 도광부(210)의 도광판(211)과 동일 형태이고, 상면부(811G)가 3군데에서 오목하게 들어가는 것에 의해 분기부위(811'), 분기부위(811"), 분기부위(811''') 및 분기부위(811'''')의 4 갈래로 분기된다. 마찬가지로, 도광판(812)도 상면부(812G)가 3군데에서 오목하게 들어가는 것에 의해 분기부위(812'), 분기부위(812"), 분기부위(812''') 및 분기부위(812'''')의 4 갈래로 분기된다. 한편, 도광판(811) 및 도광판(812)에는 상면부(811G) 및 상면부(8121G)나 측면부(811U) 및 측면부(812U)에도 오목 형상 패턴, 볼록 형상 패턴 혹은 오목 형상 및 볼록 형상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 제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조명장치(800)에 의하면,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시설 환경이나 사용자의 요망에 맞추어, 지지부(250)에 따라서 방열부(230)로 지지되고 있는 도광부(810)나 광원부(220)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 발광부분의 외형 형상이나 배광 특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조명장치(800)에 의하면, 상면부나 측면부에도 패턴이 형성된 복수개의 도광판을 배치한 도광부(810)를 설치하기 때문에 시인 각도에 의한 광의 강도 분포의 차이를 매우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조명장치(800)에 의하면,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광판을 복수로 분기시킨 것으로 도광판의 내부에서 빛을 정반사시킨 측면부의 표면적이 증가하는 것에 의해 그 측면부 사이에서 빛이 다중반사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도광판의 하면부로부터 상면부로 방출되어 버리는 빛의 비율이 감소하고 오목 형상이나 볼록 형상의 패턴에서 확산광으로 변환되는 빛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에 의해 빛을 도출시키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의 실시형태의 조명장치(100) 내지 조명장치(800)에 각각 배치되는 도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도18 내지 도22 등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광판 제조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초음파가공, 가열가공, 절삭가공, 레이저가공, 성형가공 및 실크인쇄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각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초음파 가공은 도광판의 표면에 접촉시킨 초음파 가공용 혼(horn)의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도광판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용융시키는 것에 의해 그 표면에 오목 형상의 패턴을 형성한다. 또한, 가열 가공에서는 도광판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가공 도구의 열을 이용하여 도광판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용융시키는 것에 의해 그 표면에 오목 형상의 패턴을 형성한다. 동일하게, 절삭가공에서는 도광판의 표면에 접촉되어 회전 혹은 힘을 가하는 절삭 공구를 이용하여 도광판이 표면을 부분적으로 깎아내는 것에 의해 그 표면에 오목 형상의 패턴을 형성한다. 동일하게, 레이저 가공에서는 도광판의 표면에 집속시킨 레이저광의 열을 이용하여 도광판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용융시키는 것에 의해 그 표면에 오목 형상의 패턴을 형성한다.
또한, 도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성형가공에서는 성형하는 도광판의 외형 형상을 반영시킨 형상을 금형의 내부에 형성하고, 예를 들면 사출성형기에 장착한 금형에 대하여 가열하여 연화시킨 수지를 주입하고 그 수지를 냉각시키는 것에 의해 도광판의 표면에 오목 형상의 패턴, 볼록 형상의 패턴 혹은 오목 및 볼록 형상의 패턴을 형성한다. 동일하게, 실크 인쇄에서는 도광판의 표면에 대해 소정의 구멍을 가진 판을 접촉시키고 그 구멍을 이용하여 경화성 수지를 표면에 부착시켜 그 표면을 부분적으로 수지로 피복시켜 그 표면에 볼록 형상의 패턴을 형성한다.
여기서는, 초음파 가공에 의한 도광판 제조방법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초음파가공장치(1000) 등의 구성에 관하여 도18 및 도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음으로 초음파 가공장치(1000)에 의한 가공부재(1100)에 대한 오목패턴자국 형성에 대해 도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후, 초음파 가공장치(1000)에 의한 가공부재(1100)에 대한 오목패턴자국의 형성의 효과에 대해 도21 및 도2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초음파 가공에 의한 도광판 제조방법에 관하여, 초음파가공장치(1000) 등의 구성에 관련하여 도18 및 도19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초음파가공장치(1000)는, 도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대(機臺: 1020), 작업대(1030), 이동기구(1040), 진공펌프(1050) 및 초음파발진기(1060) 등으로 구성된다. 초음파 가공장치(1000)에는 예를 들면 본원발명과 동일한 출원인에 의해 일본실용신안등록출원되고 등록번호3140292호로서 등록완료된 초음파 가공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형태의 초음파 가공장치(1000)에, 도19에 나타나는 가공구(1010)의 지지부(1010B)를 장착하고, 가공구(1010)의 초음파가공부(1010A)에 초음파진동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가공부재(1100)의 표면 혹은 이면 혹은 양면 모두에 오목패턴자국을 형성하여 도광판을 제조한다.
또한, 초음파 가공장치(1000)에 장착하는 가공구(1010)는 초음파 가공용 혼에 있는 초음파 가공용 혼의 사각형상의 선단면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가공 도트를 배열시킨 초음파가공부(1010A) 및 이 초음파가공부(1010A)를 지지하는 지지부(1010B)로 구성된다. 또한, 초음파가공부(1010A)에 관하여, 각 가공도트는 사각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19(b)에는 한 예로서 4행 4열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가공도트를 배열시킨 초음파가공부(1010A)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가공부(1010)의 초음파가공부(1010A)를 가공부재(1100)의 일 주면에 누르는 것에 의해 가공부재(1100)의 일 주면에 초음파가공부(1010A)에 설치된 가공도트를 반영한 반사도트를 형성한다. 가공토트의 사각추 형상의 능선의 연장방향의 적어도 일방향은 가공부재(1100)를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도광판(11)의 측면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입사방향과 실질적으로 대략 평행한 형태로 가공구(1010)의 초음파가공부(1010A)를 가공부재(1100)의 일 주면에 누르게 한다. 가공부재(1100)의 형상 오차를 고려할 때 더 구체적인 오목패턴자국의 형성방법에 관하여는 도20을 참조하면서 후술한다.
다음으로, 초음파가공에 의한 도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초음파 가공장치(1000)에 의한 가공부재(1100)으로의 오목패턴자국의 형성에 대하여 도20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초음파 가공장치(1000)에 의한 가공부재(1100)로의 오목패턴자국의 형성에 대하여, 도20(a)에 나타나듯이, 가공부재(1100)의 표면의 가공개시기준높이 H1을, 초음파 가공장치(1000)의 도시되지 않은 측정부에 배치한 가동식의 프로브(probe) D를 가공부재(1100)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검출한다. 또한 이러한 가공부재(1100)에는, 예를 들면 소정의 형상으로 투명한 메타크릴수지판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로브 D는 기계적인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초음파 가공장치(1000)의 도시되지 않은 측정부로부터 측정광을 조사하여 가공부재(1100)의 표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받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20(b)에 나타나는 것처럼 초음파 가공장치(1000)에 장착된 가공구(1010)를 가공개시기준높이 H1을 검출한 표면의 위쪽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이 가공개시기준높이 H1을 기준으로 가공구(1010)의 선단에 설치된 초음파가공부(1010A)에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고, 가공개시기준높이 H1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초음파가공부(1010A)를 하강시킨다. 또한, 다음의 초음파 가공 위치에 있는 가공부재(1100)의 표면의 가공개시기준높이 H2를 초음파 가공장치(1000)의 측정부에 설치된 가동식 프로브 D로부터 검출한다.
또한, 도20(c)에 나타난 것과 같이 초음파 가공장치(1000)에 장착된 가공구(1010)를 가공개시기준높이 H2를 검출한 표면의 위쪽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이 가공개시기준높이 H2를 기준으로 가공구(1010)의 선단에 설치된 초음파가공부(1010A)에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고, 가공개시기준높이 H2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초음파가공부(1010A)를 하강시킨다. 또한, 다음의 초음파 가공 위치에 있는 가공부재(1100)의 표면의 가공개시기준높이 H3을 초음파 가공장치(1000)의 측정부에 설치된 가동식 프로브 D로부터 검출한다.
동일하게, 도20(d)에 나타난 것과 같이, 초음파 가공장치(1000)에 장착된 가공구(1010)를 가공개시기준높이 H3을 검출한 표면의 위쪽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이 가공개시기준높이 H3을 기준으로 가공구(1010)의 선단에 설치된 초음파가공부(1010A)에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고, 가공개시기준높이 H3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초음파가공부(1010A)를 하강시킨다. 또한, 다음의 초음파 가공 위치에 있는 가공부재(1100)의 표면의 가공개시기준높이 H4를 초음파 가공장치(1000)의 측정부에 설치된 가동식 프로브 D로부터 검출한다.
동일하게, 도20(e)에 나타난 것과 같이, 초음파 가공장치(1000)에 장착된 가공구(1010)를 가공개시기준높이 H4를 검출한 표면의 위쪽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이 가공개시기준높이 H4을 기준으로 가공구(1010)의 선단에 설치된 초음파가공부(1010A)에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고, 가공개시기준높이 H4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초음파가공부(1010A)를 하강시킨다.
다음으로, 초음파 가공에 의한 도광판 제조방법에 관련하여, 초음파 가공장치(1000)에 의한 가공부재(1110)에의 오목패턴자국 형성 효과에 관하여, 도21 및 도22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초음파 가공장치(1000)에 의한 가공부재(1110)에의 오목패턴자국 형성 효과에 관하여, 도21(a)에 나타나듯이, 도광판(1200)에 형성하기 전의 가공부재(1100)에 만곡이나 두께얼룩이 없는 경우, 가공할 때마다(加工每) 가공개시기준높이를 검출하지 않아도 도광판(1200)의 표면부(1200A)의 위치에 상관없이, 표면부(1200A)에 대응하는 일정 깊이의 표면부 오목패턴자국(1200B)을 형성할 수 있다. 동일하게, 도광판(1200)의 이면부(1200D)의 위치에 상관없이, 이면부(1200D)에 대응하는 일정 깊이의 이면부 오목패턴자국(1200E)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21(b)에 나타나듯이, 도광판(1200)에 형성하기 전의 가공부재(1100)에 만곡이나 두께얼룩이 있는 경우, 가공할 때마다 가공개시기준높이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표면부(1200A)에 대응하는 일정 깊이의 표면부 오목패턴자국(1200B)을 형성할 수 있다. 동일하게, 가공할 때마다 이면부(1200D)의 가공개시기준높이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이면부(1200D)에 대응하는 일정 깊이의 표면부 오목패턴자국(1200E)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가공부재(1100)로는, 예를 들면 메타크릴 수지을 사용한다. 메타크릴 수지판은 압출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므로 메타크릴 수지판의 두께의 개체별 차이는 기준치가 두께 8mm의 것에서 약 ±1mm가 될 수 있다. 또한, 일 매의 메타크릴 수지판에 있어서도 두께얼룩이 크고 구체적으로는 최대두께와 최소두께의 차이가 약 0.4mm가 된다. 메타크릴 수지판은 수분을 흡수하는 것에 의해 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렇게, 메타크릴 수지판은 두께의 개체별 차이, 두께얼룩 및 휘어짐 등으로 인하여 두께 성분의 오차가 크다. 한편, 도광판(1110)의 표면부(1110A)에 형성된 표면부 오목패턴자국(1110B)의 깊이 및 도광판(1110)의 이면부(1110D)에 형성된 이면부 오목패턴자국(1110E)의 깊이는 각각 0.3mm로부터 0.5mm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도22에 나타나는 종래의 도광판(1300)의 형태로, 도광판(1300)에 형성되기 전의 가공부재(1100)에 만곡이나 두께얼룩이 있는 경우, 이 가공부재(1100)의 가공개시기준높이를 검출하지 않으면 도광판(1300)의 표면부(1300A)에 있어서 일정한 깊이의 표면부 오목패턴자국(1300B)을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동일하게, 도광판(1300)의 이면부(1300D)에 있어서 일정 깊이의 이면부 오목패턴자국(1300E)를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에 관한 초음파가공장치(1000)에 의한 가공부재(1100)의 가공과 같이, 초음파 가공장치(1000)의 측정부에 장착된 가동식 프로프 D로 가공부재(1100)의 가공개시기준높이를 검출한 후, 이 가공개시기준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가공구(1010) 선단의 설치된 초음파가공부(1010A)에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면서 메타크릴수지판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까지 초음파가공부(1010A)를 하강시켜 가공하는 것이 필수다.
100: 조명장치 110, 110A, 110B: 도광판
111, 112, 113: 도광판 111A, 112A, 113A: 표면부
111B, 112B, 113B: 표면부 오목패턴자국
111C, 112C, 113C', 113C'': 측면부
111D, 112D, 113D: 이면부
111E, 112E, 113E: 이면부 오목패턴자국
115: 반사테이프 120: LED 유닛
130: 하우징(housing) 140: 꼭지쇠
200, 300, 400, 500, 600, 700, 800: 조명장치
210, 310, 410, 510, 610, 710, 810: 도광부
211, 212, 213, 311, 312, 411, 412, 511, 512, 611, 612, 711, 712, 811, 812: 도광판
211', 211'', 211''', 211'''', 212', 212'', 212''', 212'''', 311', 311'', 311''', 311'''', 312', 312'', 312''', 312'''', 411', 411'', 511', 511'', 611', 611'', 711', 711'', 811', 811'', 811''', 811'''', 812', 812'', 812''', 812'''': 분기부위
211E, 212E: 접합부 211F, 212F, 213F: 하면부
211G, 212G, 213G, 311G, 311G', 312G, 312G', 411G, 511G, 512G, 611G, 711G, 811G, 812G: 상면부
211H, 212H : 걸어맞춤부 211P, 212P, 213N, 213R: 패턴
213S: 단부 213M: 일 주면
213Q: 타 주면 220: 광원부 221: 광원
222: 기판 222A: 구멍
230: 방열부 231: 방열부재
231A: 수용부 231B: 나사구멍
231C, 231C', 231C'': 핀 240: 급전부
241: 급전부재 242: 하우징
242A: 일단 242B: 타단
243: 전원 유닛 250: 지지부
251, 251', 251'': 지지부재 251'A, 251''A: 구부
251'B, 251''B: 돌기부 251'C, 251''C : 벽부
251'D, 251''D : 공(구멍) 252: 고정부재
611U, 612U, 711U, 712U, 811U, 812U: 측면부
1010: 가공구 1010A: 초음파가공부
1010B: 지지부 1000: 초음파 가공장치
1020: 기대 1030: 작업대
1040: 이동장치 1050: 진공펌프
1060: 초음파 발진부 1100: 가공부재
1200, 1300: 도광판 1200A, 1300A: 표면부
1200B, 1300B: 표면부 오목패턴자국 1200C, 1300C: 측면부
1200D, 1300D: 이면부 1200E, 1300E: 이면부 오목패턴자국
P1: 피치 P2: 반 피치
L1, L2, L3, L4: 입사광 L5: 반사광
T1, T2, T3, T4, T5: 오목패턴자국 E: 눈
D: 프로브 H1, H2, H3, H4 : 가공개시기준높이

Claims (14)

  1. 확산광을 도출하는 오목 형상 패턴, 볼록 형상 패턴 혹은 오목 형상 및 볼록 형상 패턴이 적어도 일면 이상에 형성된 복수로 분기된 도광판을 설치한 도광부,
    상기 도광부에 인접하고, 상기 도광판의 하면으로부터 대향하는 상면을 향해 상기 도광판의 내부에 빛을 도입하게 하는 광원을 설치한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이면에 접촉하고 상기 광원부에 발생한 열을 흡수하고 방열하는 방열부,
    상기 광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광원부에 대해 전력 공급을 중개하는 급전부,
    상기 도광부의 일단에 접하고, 적어도 상기 도광부를 상기 방열부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도광판의 상기 상면이 부분적으로 오목한 것에 의해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기된 상기 도광판의 상기 상면의 높이가 같거나 혹은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도광판의 상기 상면이 부분적으로 오목한 부분에, 다른 상기 도광판의 상기 하면이 삽입되어 복수개가 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도광판의 상기 상면과 높이가, 다른 상기 도광판의 상기 상면의 높이와 같거나 혹은 다르도록 복수개가 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도광판의 횡폭이 상기 도광판의 상기 하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을 향하여 연속적 혹은 주기적으로 증가, 감소, 혹은 증감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오목 형상 패턴 혹은 상기 볼록 형상 패턴이 상기 도광판의 대향하는 면에 대하여, 마주볼 때 동일하지 않게 혹은 마주볼 때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오목 패턴 혹은 상기 볼록 패턴이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상기 일면 이상에서 상기 하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을 향할 때 단계적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적어도 일면 이상의 표면에 접하는 초음파 가공용 혼의 초음파 진동으로 상기 표면을 부분적으로 용융시키는 초음파 가공에 의해 상기 표면에 상기 오목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적어도 일면 이상의 표면에 접한 가공부의 열로, 상기 표면을 부분적으로 용융시키는 가열 가공에 의해 상기 표면에 상기 오목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적어도 일면 이상의 표면에 접하면서 회전하거나 힘을 가하는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표면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절삭 가공에 의해 상기 표면에 상기 오목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적어도 일면 이상의 표면에 집광시킨 레이저광의 열로, 상기 표면을 부분적으로 용융시키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상기 표면에 상기 오목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성형한 상기 도광판의 외형 형상을 반영한 형상을 금형의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금형에 대하여 가열하여 연화시킨 수지를 주입하고 상기 수지를 냉각시키는 성형 가공에 의해 적어도 일면 이상의 표면에 상기 오목 형상 패턴, 상기 볼록 형상 패턴 혹은 상기 오목 형상 및 볼록 형상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적어도 일면 이상의 표면에 대해 소정의 구멍을 가진 판을 접촉시키고 그 구멍을 이용하여 경화성 수지를 상기 표면에 부착시는 것으로써, 상기 표면을 부분적으로 상기 수지로 피복시키는 실크 인쇄에 의해 상기 표면에 볼록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27017580A 2009-06-18 2010-03-09 조명장치 KR101256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44842 2009-06-18
JP2009144842A JP4724238B2 (ja) 2009-06-18 2009-06-18 照明装置
JP2010036765A JP4551974B1 (ja) 2010-02-23 2010-02-23 照明装置
JPJP-P-2010-036765 2010-02-23
PCT/JP2010/001631 WO2010146746A1 (ja) 2009-06-18 2010-03-09 照明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574A Division KR101265118B1 (ko) 2009-06-18 2010-03-09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099A true KR20120094099A (ko) 2012-08-23
KR101256124B1 KR101256124B1 (ko) 2013-04-23

Family

ID=433560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574A KR101265118B1 (ko) 2009-06-18 2010-03-09 조명장치
KR1020127017580A KR101256124B1 (ko) 2009-06-18 2010-03-09 조명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574A KR101265118B1 (ko) 2009-06-18 2010-03-09 조명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140517A1 (ko)
EP (2) EP2518384A2 (ko)
KR (2) KR101265118B1 (ko)
CN (3) CN102635794B (ko)
HK (2) HK1198776A1 (ko)
TW (1) TWI390159B (ko)
WO (1) WO20101467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466A (ko) * 2002-01-17 2003-07-28 김윤홍 오소리 기름을 이용한 피부미용 크림의 제조 방법
US8596825B2 (en) 2009-08-04 2013-12-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olid state light with optical guide and integrated thermal guide
US8487518B2 (en) 2010-12-06 2013-07-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olid state light with optical guide and integrated thermal guide
EP3653924B1 (en) * 2010-12-22 2024-04-17 Signify Holding B.V. Lighting device
US8723424B2 (en) * 2010-12-30 2014-05-13 Elumigen Llc Light assembly having light sources and adjacent light tubes
CN102155653A (zh) * 2011-02-10 2011-08-17 上海向隆电子科技有限公司 照明装置
JP2012234783A (ja) * 2011-04-27 2012-11-29 Colcoat Kk 導光体を用いたled電球及び照明器具
JP4982618B1 (ja) * 2011-07-25 2012-07-25 株式会社エス・ケー・ジー 照明装置
JP5738708B2 (ja) * 2011-07-29 2015-06-24 三菱電機照明株式会社 照明装置
CN103047548A (zh) * 2011-10-12 2013-04-17 欧司朗股份有限公司 Led照明系统
US8926158B2 (en) 2012-04-30 2015-01-0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Array illumination system
US8926131B2 (en) 2012-05-08 2015-01-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olid state light with aligned light guide and integrated vented thermal guide
WO2013186977A1 (ja) 2012-06-11 2013-12-19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源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101602027B1 (ko) * 2012-12-21 2016-03-09 가부시끼가이샤 에스.케이.지 도광 부재 및 도광 부재의 제작 방법
CN103411141B (zh) * 2012-12-27 2016-09-07 中国计量大学 一种具有非球面角镜结构的led球泡灯
TWI502153B (zh) * 2013-06-20 2015-10-01 Skg Co Ltd 發光裝置
US8967837B2 (en) 2013-08-01 2015-03-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olid state light with features for controlling light distribution and air cooling channels
US9267674B2 (en) 2013-10-18 2016-02-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olid state light with enclosed light guide and integrated thermal guide
US9354386B2 (en) 2013-10-25 2016-05-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olid state area light and spotlight with light guide and integrated thermal guide
CN106062479A (zh) * 2014-02-24 2016-10-26 飞利浦照明控股有限公司 灯组件
CN204460089U (zh) * 2015-02-13 2015-07-08 杭州康榕进出口有限公司 导光板以及led灯具
CN104654200A (zh) * 2015-02-13 2015-05-27 杭州康榕进出口有限公司 导光板以及led灯具
JP6604589B2 (ja) 2015-06-25 2019-11-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器具
CN204853043U (zh) * 2015-08-06 2015-12-09 邓锦洪 带有导光柱的led灯及该导光柱
CN106996516A (zh) * 2016-01-26 2017-08-01 欧司朗股份有限公司 照明装置及组装照明装置的方法
CN105782891B (zh) * 2016-03-21 2018-10-23 深圳市顺发光电子有限公司 带遥控的能够声图互动的球形气氛灯
US10690312B2 (en) * 2017-05-18 2020-06-23 Tri Lite, Inc. Light emitting diode signal light
USD913538S1 (en) * 2017-10-27 2021-03-16 Jianlong Zhang Car light bulb
CN108050478A (zh) * 2018-01-15 2018-05-18 杭州川泽工艺品有限公司 透明导光板电子仿真火焰发光体及其制作方法和应用
US10780819B2 (en) * 2018-12-19 2020-09-22 Ficosa North America Corporation Vehicle winglet with sequential blink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978Y2 (ko) * 1986-07-15 1992-04-22
JPH05164923A (ja) * 1991-12-18 1993-06-29 Hitachi Cable Ltd 表示パネル照明用合成樹脂光伝送体及び合成樹脂伝送基板
US6712481B2 (en) * 1995-06-27 2004-03-30 Solid State Opto Limited Light emitting panel assemblies
CN1196016C (zh) * 2000-10-20 2005-04-06 三菱电机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用背光
JP2002297072A (ja) * 2001-03-30 2002-10-09 Okaya Electric Ind Co Ltd 光点式表示器
JP4648338B2 (ja) * 2002-07-16 2011-03-09 ライツ・アドバンスト・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216577B2 (ja) * 2002-12-20 2009-01-28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導光板
CN2594828Y (zh) * 2002-12-25 2003-12-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面光源装置
JP2004348072A (ja) * 2003-05-26 2004-12-09 Tokai Rika Co Ltd 分岐式ライトガイド
DE10332393A1 (de) * 2003-07-17 2005-02-03 Schefenacker Vision Systems Germany Gmbh & Co. Kg Leuchte für Fahrzeuge, vorzugsweise Kraftfahrzeuge
JP2005186557A (ja) * 2003-12-26 2005-07-14 Bussan Nanotech Research Institute Inc パターン形成装置、型保持ヘッド
TWI245932B (en) * 2004-03-10 2005-12-21 Wintek Corp Node structure of a light guide panel
JP4455141B2 (ja) 2004-04-21 2010-04-21 株式会社 アクティブ Led電球
JP2006040727A (ja) 2004-07-27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発光ダイオード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US7524091B2 (en) * 2004-08-09 2009-04-28 Valeo Sylvania Llc Led bulb refractive relector
US20080043490A1 (en) * 2005-09-09 2008-02-21 Fusion Optix Inc. Enhanced Light Guide
JP4403121B2 (ja) * 2005-09-12 2010-01-20 株式会社エス・ケー・ジー 導光板及びバックライト装置
TW200745490A (en) * 2006-06-07 2007-12-16 Jeng Shiang Prec Ind Co Ltd Light guide plate
JP4837494B2 (ja) * 2006-08-28 2011-12-14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導光体を有する灯具
JP4989170B2 (ja) * 2006-09-20 2012-08-01 オスラム・メルコ株式会社 コンパクト形ledランプ
GB2449262B (en) * 2007-05-14 2011-08-24 Visteon Global Tech Inc Illumination system
JP5029893B2 (ja) 2007-07-06 2012-09-19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電球形led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2009080966A (ja) * 2007-09-25 2009-04-1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装置
JP4392445B2 (ja) * 2007-12-14 2010-01-06 株式会社エス・ケー・ジー 導光板の製造方法、導光板、及び当該導光板を用いた発光式看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98776A1 (en) 2015-06-05
EP2518384A2 (en) 2012-10-31
KR101256124B1 (ko) 2013-04-23
CN102635794A (zh) 2012-08-15
US20120140517A1 (en) 2012-06-07
EP2444722A1 (en) 2012-04-25
HK1171065A1 (en) 2013-03-15
TW201102582A (en) 2011-01-16
TWI390159B (zh) 2013-03-21
CN102257318A (zh) 2011-11-23
CN102635794B (zh) 2015-01-21
KR101265118B1 (ko) 2013-05-16
WO2010146746A1 (ja) 2010-12-23
EP2444722A4 (en) 2014-11-12
CN103899956A (zh) 2014-07-02
KR20110079685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124B1 (ko) 조명장치
CN105264289B (zh) 侧光led平板式灯具
EP2527725A1 (en) Lighting module
JP4551974B1 (ja) 照明装置
WO2015133045A1 (ja) 照明器具
JP2011003367A (ja) 照明装置
KR101112020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 기구
JP6598022B2 (ja) 照明器具
JP5437896B2 (ja) 照明装置
JP6331193B2 (ja) Led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5291054B2 (ja) 照明装置
JP5443252B2 (ja) 照明装置
JP2015099640A (ja) Ledランプ
JP5474687B2 (ja) 照明装置
WO2012001843A1 (ja) 照明装置
JP5139556B2 (ja) 照明装置
JP2013218965A (ja) 照明器具
CN109716021A (zh) 照明装置
KR20130058935A (ko) 백라이트 유닛
JP4815023B1 (ja) 照明装置
JP3171662U (ja) 受付台装置
JP4857398B2 (ja) 照明装置
JP6175325B2 (ja) 照明装置
KR102014174B1 (ko) 조명 장치
KR20120114039A (ko) 지향각 변경이 가능한 엘이디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