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092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092A
KR20120094092A KR1020127017496A KR20127017496A KR20120094092A KR 20120094092 A KR20120094092 A KR 20120094092A KR 1020127017496 A KR1020127017496 A KR 1020127017496A KR 20127017496 A KR20127017496 A KR 20127017496A KR 20120094092 A KR20120094092 A KR 20120094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core
absorbent
sheet
liquid
leakage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5408B1 (ko
Inventor
타츠유키 야마구치
타카히로 카토
타쿠야 코우타
히로시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샘 방지 홈을 가지는 흡수성 물품에 특유의 과제의 해결에 비추어, 샘 방지 홈에 의한 흡수체 전체의 유연성의 저하를 완화하여, 옆 샘의 원인이 되는 액 확산을 방지하면서, 배설의 양에 따라 샘 방지 홈의 안쪽 및 바깥쪽의 흡수성 코어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피부접촉면측에 배치되는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비피부접촉면측에 배치되는 액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양 시트에 개재되는 흡수성 코어를 가지는 생리용 냅킨으로서, 상기 흡수성 코어는 길이방향과 이것에 직교하는 폭방향을 가지고, 상기 흡수성 코어는 그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이간부가 있으며,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이간부가 또한 상기 흡수성 코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도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코어가 종횡으로 독립적인 작은 흡수부의 집합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코어에는 상기 이간부의 하나 이상을 횡단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표면 시트와 함께 상기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압착된 샘 방지 홈이 형성되어 있는 생리용 냅킨.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이나 일회용 기저귀, 실금 팬츠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는, 최근 점점 그 요구가 높아지고, 그 종류나 형태도 다양화하여, 흡수 성능 뿐 아니라 착용감이나 추종성, 경우에 따라 귀여움 등의 양호한 외관도 요구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니즈에 부응하기 위해, 각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부재의 재료나 구조가 개량되고, 특히 최근에는 사용 시기나 상황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하는 기능적인 것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고성능화의 수법으로서, 표면 시트나 흡수체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는 형태에 있어서의 궁리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피부접촉면측의 표면재와, 비(非)피부접촉면측의 백시트와, 양 시트의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를 가지고,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접촉면측으로부터 상기 흡수체로 압착한 엠보싱이 실시된 생리용품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엠보싱이 샘 방지 홈이 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생리용품 중앙부에 있어서 표면 시트와 흡수체를 접합하여, 어긋남을 억제하면서, 액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보 제3877702호
그러나 한층 더한 개량을 고려하면, 생리용 냅킨 등에 실시된 엠보싱 가공에 의한 샘 방지 홈은 통상 두께가 있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여, 섬유가 압축되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강성(剛性)이 비교적 높아지기 쉽다. 그것에 의해 생리용 냅킨의 신체에의 피트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샘 방지 홈은 확산 억제 기능을 나타내는 점에서,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반대로 그 샘 방지 홈보다 바깥쪽에 있는 흡수성 코어가 사용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가능하면, 상기의 확산 억제 기능을 유지하면서 그 바깥쪽의 흡수성 부재를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요망된다.
상기의 점에 비추어, 본 발명은 샘 방지 홈을 가지는 흡수성 물품에 특유의 과제의 해결에 비추어, 샘 방지 홈에 의한 흡수체 전체의 유연성의 저하를 완화하여, 옆 샘의 원인이 되는 액 확산을 방지하면서, 배설의 양에 따라 샘 방지 홈의 안쪽 및 바깥쪽의 흡수성 코어를 유효하게 액의 흡수 유지에 활용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는 피부접촉면측에 배치되는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비피부접촉면측에 배치되는 액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양 시트에 개재되는 흡수성 코어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코어는 길이방향과 이것에 직교하는 폭방향을 가지고, 상기 흡수성 코어는 그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이간부가 있으며,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이간부가 또한 상기 흡수성 코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도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코어가 종횡(縱橫)으로 독립적인 작은 흡수부의 집합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코어에는 상기 이간부의 하나 이상을 횡단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표면 시트와 함께 상기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압착된 샘 방지 홈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의해 해결되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샘 방지 홈을 가지는 흡수성 물품에 특유의 과제의 해결에 비추어, 샘 방지 홈에 의한 흡수체 전체의 유연성의 저하를 완화하여, 옆 샘의 원인이 되는 액 확산을 방지하면서, 배설의 양에 따라 샘 방지 홈의 안쪽 및 바깥쪽의 흡수성 코어를 유효하게 액의 흡수 유지에 활용할 수 있는 뛰어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한 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을 피부접촉면 방향으로부터 나타낸 일부 컷어웨이(cutaway) 사시도(斜視圖)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의 소정의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 단면 사시도이며, A-A선 단면이 (i)이고, B-B선 단면이 (ii)이며, C-C선 단면이 (iii)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가 액의 배설을 받았을 때의 액의 이행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부분적인 평면도이며, (a)는 비교로서 분할을 하고 있지 않은 흡수체를 나타내고, (b)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의 배설이 적은 경우를 나타내며, (c)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의 배설이 많은 경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형태(실시형태 2)로서의 흡수부와 샘 방지 홈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형태(실시형태 3)로서의 흡수부와 샘 방지 홈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비교예에 있어서의 벌크 소프트니스(bulk softness) 측정에 사용한 측정장치 및 그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비교예에 있어서의 흡수체 구부림 강성 측정에 사용한 측정장치 및 그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비교예에서 사용한 종래의 흡수체를 적용한 생리용 냅킨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컷어웨이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한 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을 피부접촉면 방향으로부터 나타낸 일부 컷어웨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A-A선 단면의 일부 단면 사시도가 (i)이며, B-B선 단면의 일부 단면 사시도가 (ii)이고, C-C선 단면의 일부 단면 사시도가 (iii)이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00)에 있어서는, 이면 시트(7)의 피부접촉면측에, 복수의 흡수부(3)를 포위 시트(2)로 포위한 흡수성 코어(흡수체)(10)가 접착제로 접합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그 이면 시트(7)의 피부접촉면측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코어(10)의 좌우 양측의 바깥쪽에서는 사이드 시트(8)가 이면 시트(7)에 접촉하여 접합되어 있다. 그 이면 시트(7)와 사이드 시트(8)가 접촉한 부분에서는 표면 시트(1)가 이면 시트(7)와 사이드 시트(8)로 끼워지고, 또한 그 폭방향(X방향) 내(內) 방향을 향해 표면 시트(1)가 흡수성 코어(10)보다도 피부접촉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흡수성 코어(10)는 다수의 흡수부(3)가 포위 시트(2)에 싸여져 있는데, 형성된 흡수부(3)를 포위 시트(2)로 감싼 후, 흡수부(3)와 포위 시트(2)와 압축함으로써 흡수부는 포위 시트에 어긋나지 않을 정도로 가볍게 압착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10)의 바깥쪽에서 냅킨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둘레 가장자리 씰(g)은 전체적인 신축성을 저해하지 않고, 한번 흡수한 액이 새지 않을 정도로 표면 시트(1), 이면 시트(7) 및 사이드 시트(8)를 히트씰 등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상기 사이드 시트(8)의 자유단(81)은 둘레 가장자리 씰(g) 이외에는 접합되어 있지 않고, 사이드 시트의 자유단(81)으로부터 둘레 가장자리 씰(g)에 걸쳐 포켓(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여, 액 등의 옆 샘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100)의 피부접촉면측에는 표면 시트(1)의 피부접촉면측으로부터 흡수부(3)에 걸쳐 압착한 샘 방지 홈(5)이 마련되어 있다. 샘 방지 홈(5)은, 흡수성 코어(10)의 길이방향 중앙부(P)에 있어서, 배설부를 중심으로 폭방향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2개의 샘 방지 홈은 흡수성 코어(10)의 전후단에 가까워질수록, 서서히 흡수성 코어(10)의 중앙방향을 향해 만곡(彎曲)하여, 전단, 후단이 일치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샘 방지 홈(5)은 평면으로 보아 무단(無端) 환상(環狀)으로 연속하여 생리용 냅킨(100)의 피부접촉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샘 방지 홈(5)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샘 방지 홈(5)은 전단, 후단이 일치하여 무단 환상으로 연속하고 있지만, 전단, 후단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어도 되고, 용도에 맞추어 적당히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설부란 경혈 혹은 분비물 등의 배설을 직접 받는 부분 및 그 근방이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을 구성하는 재료나 치수 등에 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1)는 배설된 체액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흡수체에 전달하는 관점과, 좋은 촉감의 관점에서 친수성의 에어스루 부직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면 시트(7)로서는, 통기성을 가진 투습성 필름을 단층으로 사용하고 있다. 흡수부(3)로서는 펄프 섬유와 초흡수성 폴리머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 포위 시트(2)로서는 신축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난(難)수용성의 티슈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면 시트(7)의 비피부접촉면측에는 생리용 냅킨(100)을 착의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제(도시하지 않음)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점착제에 의해 생리용 냅킨(10)이 사용자의 착의에 접착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00)은 그 표면 시트측을 착용자의 피부접촉면을 향하면서, 그 세로방향을 하복부로부터 둔부(臀部)에 걸쳐 배치하고, 바꿔 말하면 그 폭방향을 좌우의 발을 잇는 라인의 방향을 향해 배치하여 착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인체에 접촉하는 측을 피부면측 내지 피부접촉면측 혹은 표면측이라 하고, 속옷에 접하는 측을 비피부면측 내지 비피부접촉면측 혹은 이면측이라 한다. 또한 장착시에 인체의 앞측에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단부를 전단부라 하며, 뒷측에 위치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하고 그 단부를 후단부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생리용 냅킨의 표면 또는 이면의 법선방향을 두께방향이라 하고 그 양을 두께라 한다. 또한 생리용 냅킨을 평면으로 보아 상대적으로 길이가 있는 방향을 길이방향이라 하고, 이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 한다. 또한 상기 길이방향은 전형적으로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인체의 전후방향과 일치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100)의 피부접촉면측에는 엠보싱에 의해 형성된 샘 방지 홈(5)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생리용 냅킨(100)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10)는 독립적인 작은 흡수부(3)의 집합체(G)(도면 중의 부호로서는 나타내고 있지 않음)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흡수성 코어(10)가 작은 흡수부(3)의 집합체(G)인 것에 의해, 피부면의 기복(起伏)에 피트하는 "신체 적합성", 및 착용자의 움직임에도 양호하게 추종하여, 피부에 대하여 부분적인 틈이 생기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는 "동작 추종성"이 매우 높으며,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i)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부(3)에 마련된 샘 방지 홈(5) 부분을 폭방향 단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샘 방지 홈(5)은 엠보싱 가공에 의한 압착에 의해 형성되고, 표면 시트(1), 포위 시트(2)의 상측(21) 및 흡수부(3)를 접합하여, 상기 각 부재의 어긋남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엠보싱 가공에 의해 압착된 샘 방지 홈(5) 부분은, 그 부분에 있어서 섬유간의 밀도가 높기 때문에, 모관력이 그 외의 압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중앙에 배설된 액이 확산되도록 바깥쪽으로 이행해도, 샘 방지 홈(5) 부분에 있어서 그 이행은 차단되고, 액을 환상으로 마련한 샘 방지 홈(5)의 내측에 머무르게 하여, 그보다 외측으로 배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에서 흡수체 전체를 압박한 샘 방지 홈을 부가하면, 통상 그 부분에 있어서 제품의 강성이 높아져, 신체의 기복에 따라 변형하기 어려워져 피트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100)은 도 2(ii)에 나타내는 가요(可撓) 방류 영역(W)을 가지고, 그것에 의해 강성이 높아지기 쉬운 샘 방지 홈 부분에 높은 가요성을 발현할 수 있다.
상기 가요 방류 영역(W)은, 생리용 냅킨(100)에 마련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샘 방지 홈(5)과 흡수부(3)끼리의 이간한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이간부(m)가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의 이간부란 흡수성 코어의 일부가 분단되어 평면으로 보아 부재가 없는 부분이 존재하는 것 외에, 주된 부재 부분이 결여되어, 그 일부에 있어서 연속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부에서는 각각이 서로 분단되고, 한편 그 분단 부분에 있어서 포위 시트가 연속하여 이간부(m)를 구성하고 있다.
이간부(m)는 흡수성 코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샘 방지 홈(5)의 경로상에 있어서 흡수부(3)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며, 이면 시트(7)와 포위 시트(2)가 접촉하여 접합된 접합부(w1)와 흡수부(3)의 윤곽을 따라 형성되고, 흡수부(3)와 포위 시트(2)가 비접합 상태인 비접합부(w2)를 가지고 구성된 영역이다. 가요 방류 영역(W)에서는 엠보싱에 의해 압착되는 부분에 흡수부(3)의 두께가 있는 부재가 없어 압착에 의한 과도한 압밀화가 생기지 않아, 결과적으로 강성의 상승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100)에는, 강성이 높아지기 쉬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샘 방지 홈에 대하여, 그곳에 간헐적인 가요 영역이 분포하게 되어, 적어도 폭방향으로 분할된 이간부(m)를 가지는 흡수성 코어(10)의 특징인 높은 피트성을 크게 손상하지 않아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요 방류 영역(W)은 또한 특유의 액 확산성을 발휘한다. 이하에 이 점에 대하여 조금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종래의 엠보싱 가공에 의한 상황을 도 4(a)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방향(o)이 흡수성 코어의 폭방향 바깥쪽이며, 방향(i)이 폭방향 중앙방향(배설부 방향)이다. 또한 1점 쇄선으로 나타낸 것이 배설부로부터 배설된 액의 확산 영역(Q)을 나타내고 있다. 액의 확산 형상에 대해서는 모식화하여 나타내고 있고,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반드시 도시한 것과 동일한 형상이 되지 않아도 된다. 배설된 액이 다량이거나, 생리용 냅킨의 사용이 장시간인 경우가 사용 상황에 따라 많이 있다. 샘 방지 홈(5)의 액의 확산을 억제하는 효과는 상술했지만, 그러한 경우, 배설된 액은 배설부를 환상으로 둘러싸는 샘 방지 홈의 내부에 머물러, 외측의 흡수체가 사용되기 어렵고, 그 부분에 있어서 오히려 후끈거림 등이 생기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체액의 배설량이 한 시기에 많으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샘 방지 홈(5)에 의해 막혀서 고인 체액이, 마치 그 둑이 무너진 것 같이 한꺼번에 방출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그 양이 소량이면, 상기 샘 방지 홈의 폭방향 바깥쪽에 있는 흡수부에서 그 유출된 체액을 흡수하여 대응할 수 있지만, 그 양이 합쳐지면, 바로는 흡인되지 않는 과잉한 체액이 흡수부를 넘어서 새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 흡수성 코어의 중앙부(P)에 흡수 유지된 체액이 짜내질 때에 현저해져, 속옷이나 의복 등을 더럽히는 옆 샘으로 이어져 버린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이 작용하여, 상기와 같은 옆 샘을 쉽게는 일으키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100)에 있어서, 배설된 액의 양이 적은 경우에 있어서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 방지 홈(5)이 있는 부분의 압밀화된 흡수부(32)의 모관력에 의해, 액의 확산(Q)의 바깥쪽으로의 확산을 방해하여, 중앙부(P)측의 흡수부(31)로부터의 배설된 액의 이행에 의한 옆 샘을 방지한다. 이 작용은 일반적인 엠보싱 가공으로 얻어지는 것과 동일하다. 한편, 배설된 액이 비교적 많을 경우에는 종래의 것에는 없는 기능을 발휘하여,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요 방류 영역(W)에 있어서 액이 약간량씩 방류되어, 샘 방지 홈(5)보다 바깥쪽으로의 완만한 액의 확산(Q)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요 방류 영역(W)에서는 샘 방지 홈(5)의 경로상에 이간부(m)가 있고, 안쪽의 흡수부에서는 전부 흡수하지 못해 넘친 액이 있었다고 해도,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및 포위 시트가 벽을 이루는 이 가요 방류 영역(W) 부분을 유로로 한 액의 흐름(S)이 발생하여, 바깥쪽의 흡수부(33)로 흡인시킬 수 있어, 소량씩 그곳에 이행시킨다. 또한 가요 방류 영역(W)에는 부재끼리의 비접합 부분(w2)이 있고, 이 부분에 있어서도 유로가 확보된다. 즉, 가요 방류 영역(W)은, 샘 방지 홈(5)의 안쪽의 흡수부(31)의 포화 상태에 있어서 이것을 유속 조정 밸브와 같이 하여, 액량을 적당히 조절하면서 이행시킴으로써, 샘 방지 홈(5)의 바깥쪽의 흡수부(33)에 그 액을 흡수 유지시켜, 이 부분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한 시기에 많은 액의 배설이 있었을 때나,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 중앙으로부터 액이 짜내진 때에도, 적당한 드라이감을 유지하면서 옆 샘을 방지한다는 뛰어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위 시트(2)는 친수성의 시트이며, 상술한 액의 확산 효과를 더 높은 것으로 하고 있다. 즉, 표면 시트(1)보다도 친수성이 높으면서, 적어도 밀도가 높은 부위를 가지기 때문에, 표면 시트(1)로부터 경혈 등의 배출액을 재빠르게 뽑아내어, 흡수부(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포위 시트(2)는 액 통과시의 저항이 적은 얇은 재료이면서, 흡수부(3)끼리가 이간한 이간부(m)가 구부리기 쉽게 할 수 있는 구부리기 쉬운 재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생리용 냅킨의 흡수성이 보다 높아지는 동시에 흡수체 전체의 유연성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코어(10)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비(非)신축성인 비피부면측 포위 시트(22)의 피부접촉면측에 다수의 각각 독립적인 흡수부(3)가 자연상태에 있어서 서로에 대하여 소정의 틈(d,e)(도 1 참조)을 가지도록 종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10)에 있어서는 흡수부(3)가 스태거 배열(staggered arrangement)에 의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태거 배열이란, 복수의 흡수부의 열을 병렬로 배치했을 때, 인접하는 열에 있어서의 흡수부의 피치를 어긋나게 한 배열을 말한다. 이 배열은 바꿔 말하면 소정의 열의 흡수부(3)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인접하는 흡수부(3)의 투영상과 일치하지 않는 배치이다. 이 구체예를 도 1에 의해 설명하면, 길이방향(X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수부열(B)에 병렬하는 흡수부열(A)이 인접하고, 이것이 교대로 반복되고 있다. 흡수부열(B)의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중심을 흡수부열(B)의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Y방향)으로 연속한 보조선(tb)을 상정한다. 한편, 흡수부열(A)에 있어서의 동일한 보조선(ta)을 상정한다. 이 보조선(ta) 및 보조선(tb)이 서로 반(半) 피치 어긋나도록, 즉 보조선(ta)과 보조선(tb)의 간격이 전체에 있어서 동일해지도록 배열되어 스태거 배열을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는 예를 들면 피치를 어긋나게 하는 방향을 90° 회전시킨, 흡수체의 폭방향(Y방향)에 흡수부열(A) 및 흡수부열(B)을 설정하고, 길이방향(X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선에 어긋남을 부여하는 실시형태를 들 수 있다. 또한 스태거상 배열을 돌쌓기(stone masonry)로 비유하여 말하면 가로쌓기(coursed masonry)라 할 수 있고, 이 변형예로서 능직쌓기(twill masonry), 화살깃쌓기(herringbone masonry), 귀갑(龜甲)쌓기(hexagonal masonry) 등을 들 수 있다.
이 흡수부(3)는 평면으로 보아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이며, 단면(도 2(i) 참조)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직방체 형상의 것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의 것을 채용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부(3)는 펄프 섬유와 초흡수성 폴리머로 구성되어 있고, 그 윤곽은 도시한 것과 같이 정형적(定形的)인 것이 아니어도 되고, 전체적으로 상술한 입체 형상의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부(3)의 종횡의 배열도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용도에 맞추어 적당히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부(3)는 단면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되고, 그 피부접촉면측인 표면(3a)의 면적과 비피부접촉면측인 이면(3b)의 면적이 거의 같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면에 있어서 측면(3c)은 이면(3b)과 거의 직교하고 있다. 각 흡수부(3)는 포위 시트에 어긋나지 않을 정도로 가볍게 접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코어(10)는, 독립적인 다수의 흡수부(3)의 집합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피부면의 기복에 피트하는 "신체 적합성"이 통상의 일체의 큰 흡수체에 비해 대폭으로 높아진다. 또한 착용자의 움직임에도 양호하게 추종하여, 피부에 대하여 부분적인 틈이 생기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는 "동작 추종성"이 매우 양호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러한 양호한 변형성과 상기 변형에 좌우되지 않는 양호한 액체 등의 흡수 유지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채용된 분단된 흡수부(3)가 다수 특정의 배열로 비피부면측 포위 시트(22)상에 배치된 것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우선, 매우 복잡하게 굴곡하는 피부면에도 매우 적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설 포인트로부터 엉덩이에 걸쳐 생리용 냅킨을 따르도록 했을 때에, 둔부(臀部)의 둥그스름함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만곡하는데, 내포되는 종래의 흡수체는 일반적으로 강성이 다른 부재보다 대폭으로 높아 좌굴(挫屈)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좌굴 변형과의 관계에서, 내부의 흡수체는 둔열(臀裂)에는 들어가기 어려워, 여기에 큰 틈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즉, 길이방향의 좌굴과 폭방향의 굴곡이 양립하기 어려워 충분한 피트성을 얻기 어렵다. 그러면, 둔열에 생긴 공간을 통해 경혈 등이 이행하기 쉬워져, 취침시의 등 방향으로의 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를 적용한 생리용 냅킨(100)이라면, 엉덩이의 둥그스름함에 완만하게 만곡하여 적합하면서 둔열에도 적당히 들어가 따르는, 이른바 안장면 형상 내지 쌍곡 포물선 면상으로 변형하여, 둔열에도 거의 틈이 생기지 않고 피트한다. 이것에 의해, 배설 포인트 근방으로부터 엉덩이에까지 걸쳐 거의 빈틈없이 접촉하는 매우 양호한 적합성이 실현된다. 그리고, 착용자가 자면서 몸을 뒤척이거나 보행하거나 했을 때에도 피부면의 움직임에 맞춰 추종하기 때문에, 틈이 생기지 않고 양호한 피트성이 지속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은 형태의 복원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개별 포장시에 세 부분으로 나뉘도록 접는 등 하여 접혀 있어도, 그것에 의한 접은 선이 남기 어려워, 착용 초기부터 상기의 양호한 신체 적합성과 추종성이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흡수부(3)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이용을 고려하면, 편입하는 생리용 냅킨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길이방향 길이(h1)(도 1 참조)는 10~40mm가 바람직하고, 15~20mm가 보다 바람직하다. 폭방향 길이(h2)는 5~20mm가 바람직하고, 10~15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간부 틈(d,e)은 각각 0.1~5.0mm, 0.5~2.0mm가 바람직하다. 또한 샘 방지 홈(5)의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술한 양호한 가요성 및 액 확산성을 고려하면, 표면 시트(1)의 두께가 샘 방지 홈(5)부 이외에서는 0.5mm이상의 두께를 가지고, 샘 방지 홈(5)부에 있어서 0.3mm이하로 압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흡수부(3)의 두께(u)(도 2)가 샘 방지 홈(5)부 이외에서는 2.0mm이상의 두께를 가지고, 샘 방지 홈(5)부에 있어서 1.0mm이하로 압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샘 방지 홈의 홈 바닥의 폭(h3)은 1.0~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샘 방지 홈(5) 이외에 있어서의 두께란, 크기 37mm×37mm, 두께 3mm의 아크릴 플레이트를 표면 시트(1), 혹은 흡수성 코어(10)상에 놓고, KEYENCE사 제품 비접촉식 레이저 변위계(레이저 헤드 상품명: LK-G30, 변위계 상품명: LK-GD500)를 사용하여 측정한 두께이며, 샘 방지 홈(5)부에 있어서의 두께란, 직접 KEYENCE사 제품 비접촉식 레이저 변위계로 측정한 두께를 가리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형태(실시형태 2)로서의 흡수부(3)와 샘 방지 홈(5)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흡수부(3)의 배열 이외에는 제1실시형태에서 나타낸 형태와 같고, 표면 시트(1), 이면 시트(7), 상측 포위 시트(21) 및 사이드 시트(8)는 도시하고 있지 않고, 하측 포위 시트(22)는 1점 쇄선으로 나타내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부(3)는 종횡으로 흡수부(3)를 투영했을 때에 서로 이웃하는 흡수부(3)와 일치하는 바둑판 무늬 배열이다. 즉, 다수의 흡수부를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어느 방향으로도 그 투영상이 겹치는 배치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길이방향 이간부(m1) 및 폭방향 이간부(m2)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가로지르도록 가지런하게 되어, 생리용 냅킨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의 가요성이 향상하여, 보다 양호한 피트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흡수부를 바둑판 무늬 배열로 함으로써, 배설된 경혈 등이 길이방향 이간부(m1) 및 폭방향 이간부(m2)를 통과하여, 제품의 길이방향, 폭방향 각각에 전달되기 때문에, 개개의 흡수부에서의 흡수성이 저하한 경우에도, 다른 흡수부로 액을 유도할 수 있어, 흡수체를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형태(실시형태 3)로서의 흡수부(3)와 샘 방지 홈(5)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흡수부(3)의 배열 및 형상 이외에는 제1실시형태에서 나타낸 형태와 같고, 표면 시트(1), 이면 시트(7), 상측 포위 시트(21) 및 사이드 시트(8)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며, 하측 포위 시트(22)는 1점 쇄선으로 나타내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부(3)는 평면으로 보아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육각형이며, 상기 육각형의 흡수부의 사이에 이간부(m)를 가진 허니컴(honeycomb)상 배열이다. 즉, 다수의 흡수부를 폭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그 투영상이 겹치는 배치가 되고, 이렇게 하면, 세로방향 이간부(m1) 및 폭방향 이간부(m2)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가로지르도록 가지런하게 되어, 생리용 냅킨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의 가요성이 향상하여, 높은 피트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흡수부를 허니컴상 배열로 함으로써, 폭방향이나 길이방향 이외의 비스듬한 방향에서의 형상 변형을 유발하기 쉽다. 또한 흡수체 이간부가 직선적인 통로가 아니기 때문에, 한 시기에 많은 액이 배설된 경우나,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중앙으로부터 다량의 액이 짜내진 때에도 폭방향으로의 액 흐름이 억제되어, 옆 샘을 방지할 수 있다.
흡수부(3)의 구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섬유 재료, 다공질체, 그들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섬유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목재 펄프, 코튼, 삼 등의 천연 섬유,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단섬유, 이들 수지를 2종 이상 포함하는 복합 섬유, 아세테이트나 레이온 등의 반합성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사용할 경우, 상기 섬유는 열에 의해 형상이 변화하는 열 수축 섬유여도 된다. 예를 들면, 열에 의해 섬도(纖度)는 커지지만 섬유 길이가 짧아지는 것이나, 섬도는 거의 변화하지 않지만, 형상이 코일상으로 변화함으로써 외관의 섬유의 점유하는 길이가 짧아지는 것이어도 된다. 다공질체로서는 스폰지, 부직포, 고흡수성 폴리머의 응집물(고흡수성 폴리머와 섬유가 응집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부(3)가 고정되는 포위 시트(2)로서는 배설된 액의 끌어들임 및 확산 기능을 가지는 것이 사용된다. 즉, 포위 시트(2)는 표면 시트(1)보다 경혈 혹은 분비물을 재빠르게 뽑아, 흡수부(3)에 전달한다는 관점에서, 표면 시트(1)보다도 친수성이면서, 밀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1)는 액 투과성이며 피부에의 감촉이 소프트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코튼 등의 천연 섬유를 재료로 하는 부직포나, 각종 합성 섬유에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것을 재료로 하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는 액 불투과성의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 시트(7)는 필요에 따라 수증기의 투과성인 것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충분한 수증기 투과성을 얻기 위해, 탄산칼슘 등의 필러로 이루어지는 미분(微粉)을 분산시킨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제의 필름을 연신하여, 미세한 구멍을 뚫은 다공질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시트(8)로서는 부직포, 필름 시트, 종이 등을 들 수 있다. 샘 방지성의 관점에서는, 사이드 시트(8)를 액 불투과성 또는 난투과성인 소수성(疏水性) 부직포, 샘 방지성의 필름 시트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는 1장이어도 되고, 또한 기능성의 시트 등과 조합하여 2장 이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 종류의 흡수성 물품, 예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 실금 패드, 실금 라이너 등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경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에 오줌, 분비물, 무른 변 등에 대해서도 효과적이다. 또한 표면 시트(1), 흡수부(3), 이면 시트(7) 및 사이드 시트(8) 외에도 용도나 기능에 맞추어 적당히 부재를 편입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의 표면 시트(1) 및 이면 시트(7)의 재료, 제법에 있어서의 조건이나, 제품의 치수 제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생리용 냅킨 등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흡수부(3)에 대해서는 국제공개 제09/081744호 팜플렛에 기재된 사항을 참조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대하여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이 이것에 의해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하와 같이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흡수성 코어(10) 및 이것을 편입한 생리용 냅킨(시험체 1)을 제작하였다. 표면 시트로서는, 상층에 심(core) 부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초(sheath) 부분이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 섬유를 카딩(carding)하여, 열풍에 의해 섬유가 서로 융착하여 얻어진 웹, 하층에 폴리에틸렌 수지와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사이드?바이?사이드 구조를 취하는 열수축성 섬유를 카딩하여 얻어진 웹을 배치하고, 이 양자를 히트씰의 수법을 사용하여 일체화한 후, 열풍으로 처리하여 얻어진 에어스루 부직포를 적용하여 평량은 74g/m2로 하였다. 포위 시트는 난수용성의 티슈(박엽지)를 적용하고, 평량은 16g/m2로 하였다. 흡수부는 펄프 섬유와 고흡수성 폴리머로 구성하고, 각각 하기와 같은 치수가 되도록 성형하였다. 이면 시트는 비투습성의 고분자 수지 필름을 적용하고, 평량은 27g/m2로 하였다. 사이드 시트는 발수성의 에어스루 부직포를 적용하고, 평량은 20g/m2로 하였다. 또한 흡수부와 포위 시트는 형성된 흡수부를 포위 시트상에 전사하고, 흡수부를 감싸도록 포위 시트를 접은 후, 한 쌍의 프레스롤간에 통과시켜, 3.0kgf/cm2의 압력으로 압축함으로써, 각 흡수부가 포위 시트에 고정되도록 압착하였다.
<치수 제원>
h1: 20mm
h2: 10mm
h3: 1.0mm
e: 2.0mm
d: 1.5mm
u: 2.0mm
냅킨 전체의 길이×폭: 225mm×97mm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 대하여, 흡수성 코어를 흡수부에 분리되어 있지 않은 일체의 것으로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비교를 위한 생리용 냅킨(시험체 c1)을 제작하였다. 이때, 흡수성 코어의 재료 및 두께(t) 및 전체의 치수는 시험체 1과 같아지도록 설정하였다. 도 8은 시험체 c1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의 시험체 1 및 c1에 대하여, 하기의 벌크 소프트니스 측정 시험 및 흡수체 구부림 강성 측정 시험을 행하였다. 또한 양 시험체의 흡수성 코어만을 사용하여 이하의 흡수 속도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B에 나타낸다.
[표 B]
Figure pct00001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유연성을 실현하면서, 높은 액 흡수성 및 액 리터닝(returning)성을 실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샘 방지 홈의 효과에 의해 이것을 횡단하는 액 흐름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벌크 소프트니스 측정 시험>
도 6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가압부(91)를 밀어내려, 대좌(92)에 얹은 생리용 냅킨 시험체를 압박한다. 이때 생리용 냅킨 시험체는 통상(筒狀)으로 둥글게 하여, 가압부(91) 및 대좌(92)에, 통상의 냅킨의 상저(上底) 및 하저(下底)에 해당하는 부분(선도(先導) 곡선부)이 접촉하도록 설치한다. 100mm에서 60mm 가압했을 때에 냅킨이 좌굴하는 최대 하중점을 측정하여 벌크 소프트니스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생리용 냅킨의 사용시에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가해지는 하중 평가를 할 수 있으며, 400gf이하라고 하는 매우 양호한 착용감이 얻어진다.
<흡수체 구부림 강성 측정 시험>
도 7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가압판(94)을 밀어내려, 대좌(95)에 배치한 흡수성 코어 시험편(900)을 압박한다. 대좌의 이간 간격(R)은 40mm로 하였다. 가압판의 판 두께는 2mm로 하였다. 시험편은 흡수성 코어를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로 끼우고, 실제품의 형태를 고려하여 각 부재를 가볍게 접착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 밖의 치수 등은 상기 실시예?비교예에 기재한 바와 같다. 도시한 것에서는, 측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것으로서 간략화하여 나타냈지만, 본 발명의 시험체 1에 있어서는, 다수의 흡수부와 포위 시트로 이루어지는 복합 재료이다. 시험편의 치수는, 평면으로 보아 길이 100mm?폭 75mm의 직사각형의 것으로 하였다. 이 가압판을 8mm 밀어 내렸을 때의 압박력(응력)을 측정하였다. 이 값이 작을수록 실제품으로 했을 때의 제품 길이방향의 유연성의 성능이 뛰어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값이 30gf이하이면 매우 양호한 착용감이 얻어진다.
<액 흡수 속도 측정 시험>
상기 흡수체 구부림 강성 시험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시험편을 사용하여,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유사 혈액(말의 피)을 3g씩 적하하였다. 적하 후, 내부의 흡수성 코어에 침투하여 표면 시트로부터 유사 혈액이 없어지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이때의 시간을 1회째의 적하와 2회째의 적하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이 시간이 1회째(3g 주입)에서 6초 이하, 2회째(3g 더 주입으로 합계 6g 주입)에서 15초 이하이면 제품에 있어서도 매우 양호한 액 흡수성이 얻어진다.
<액 리터닝량 측정 시험>
상기 흡수체 구부림 강성 시험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시험편을 사용하여, 액 주입부의 개공 지름 10mm인 액 주입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말의 피 3g을 주입한다. 이때의 냅킨 표면으로부터 액이 흡수된 시간을 말의 피 3g의 흡수 속도로 하였다. 액 주입으로부터 1분 후에 중량 측정된 티슈를 냅킨 표면에 놓고, 또한 그 위로부터 125g의 금속 플레이트를 놓아서, 5초간 가압(압력 4.5g/cm2)하여, 티슈에 흡수된 액량을 측정한다. 또한 주입 플레이트의 냅킨 접촉면에 부착된 액량도 측정하여, 양자의 합계값을 말의 피 3g 주입시의 표층 액 리터닝량으로 하였다. 1회째의 주입으로부터 3분 후에, 다시 말의 피 3g을 주입하고, 주입 1분 후에 상기 동 조작을 반복하여, 누계 말의 피 6g 주입시의 흡수 속도 및 표층 액 리터닝량으로 하였다. 중량의 감소가 적은 것일수록 액 리터닝을 억제하는 성능이 뛰어나다. 이 값이 120mg이하이면 실제로 제품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매우 양호한 드라이감이 얻어진다.
<액 흐름 방지성>
생리용 냅킨 시험체 1 및 c1에 대하여, 평면으로 보아 중앙에, 그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낮용 냅킨 상정(想定)으로서는 과잉량인 유사 혈액 9g을 한번에 공급하였다. 이때에 샘 방지 홈을 넘어 폭방향으로 확산되는 유사 혈액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비교를 위한 시험편 c1의 젖음 확산을 A라 하고, 그것보다도 뒤지지만 둘레 가장자리 씰부까지 도달하지 않는 것을 B로 하였다. 대폭으로 뒤져 냅킨의 둘레 가장자리 씰(g)에까지 도달하는 것을 C로 하였다. 비교를 위한 시험편 c1과 동등 레벨(A)이면 실용상 충분한 옆 샘 방지성이 얻어진다.
1: 표면 시트 2: 포위 시트
3: 흡수부 5: 샘 방지 홈
7: 이면 시트 8: 사이드 시트
g: 둘레 가장자리 씰 10: 흡수성 코어
20: 흡수성 코어(비교예) 100: 생리용 냅킨
200: 생리용 냅킨(비교예)

Claims (6)

  1. 피부접촉면측에 배치되는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비피부접촉면측에 배치되는 액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양 시트에 개재되는 흡수성 코어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코어는 길이방향과 이것에 직교하는 폭방향을 가지고, 상기 흡수성 코어는 그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이간부가 있으며,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이간부가 또한 상기 흡수성 코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도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코어가 종횡으로 독립적인 작은 흡수부의 집합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코어에는 상기 이간부의 하나 이상을 횡단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표면 시트와 함께 상기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압착된 샘 방지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좌우 양측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샘 방지 홈이 상기 흡수성 코어의 전후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서서히 상기 흡수성 코어의 중앙방향을 향해 만곡(彎曲)하여, 상기 좌우의 샘 방지 홈의 전단 및 후단이 일치하고, 상기 샘 방지 홈이 평면으로 보아 무단(無端) 환상(環狀)으로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이간부의 이간 폭이 2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의 집합체가 평면으로 보아 스태거상(staggered form)으로 배치된 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가 0.5mm이상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샘 방지 홈부에 있어서 0.3mm이하로 압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는 이것을 고정하는 기반 시트상에 배치되고, 상기 기반 시트가 신장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127017496A 2009-12-09 2010-12-08 흡수성 물품 KR101595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9866 2009-12-09
JP2009279866 2009-12-09
JP2010273237A JP5685430B2 (ja) 2009-12-09 2010-12-08 吸収性物品
JPJP-P-2010-273237 2010-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092A true KR20120094092A (ko) 2012-08-23
KR101595408B1 KR101595408B1 (ko) 2016-02-18

Family

ID=4414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496A KR101595408B1 (ko) 2009-12-09 2010-12-08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685430B2 (ko)
KR (1) KR101595408B1 (ko)
CN (1) CN102740818B (ko)
TW (1) TWI513453B (ko)
WO (1) WO20110710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2483B2 (ja) * 2011-07-12 2016-10-0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841679B2 (ja) * 2012-01-31 2016-01-13 バタフライ ヘル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偶発的腸管漏出を処置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8591488B2 (en) 2012-01-31 2013-11-26 Butterfly Health, Inc.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accidental bowel leakage
USD720848S1 (en) 2012-05-21 2015-01-06 Butterfly Health, Inc. Body liner for anal leakage
WO2013180832A1 (en) 2012-05-29 2013-12-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polymeric foam and intermediates
JP6234046B2 (ja) * 2013-03-31 2017-11-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38449B2 (ja) * 2013-07-26 2015-06-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5029790A (ja) * 2013-08-05 2015-02-1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59393B2 (ja) * 2014-09-17 2018-07-1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JP6138864B2 (ja) * 2015-06-30 2017-05-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41392B2 (ja) * 2015-11-12 2017-06-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167859B1 (en) * 2015-11-16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JP6279009B2 (ja) * 2016-04-28 2018-0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502449B1 (ja) * 2017-09-29 2019-04-1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シート及び吸収シートを含む使い捨て着用物品
JP7454405B2 (ja) 2020-02-27 2024-03-22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2603659B (zh) * 2020-12-29 2024-03-29 露乐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吸收内芯、吸收芯体及吸收芯体的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9820A (ja) * 2002-11-12 2004-06-10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KR20060047550A (ko) * 2004-04-27 2006-05-18 가오가부시끼가이샤 흡수성 물품
JP3877702B2 (ja) 2003-04-23 2007-02-07 ピジョン株式会社 吸収性製品
JP2009172363A (ja) * 2007-12-25 2009-08-06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3034860A (ja) * 2011-07-12 2013-02-21 Kao Corp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5608A (en) * 1998-06-03 2000-01-18 Koslow Technologies Corporation Liquid absorbent pad with anti-gel-block laminate
JP2001190581A (ja) * 2000-01-12 2001-07-17 Nippon Kyushutai Gijutsu Kenkyusho:Kk 失禁用吸収パッド
JP3934855B2 (ja) * 2000-05-31 2007-06-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09072421A (ja) * 2007-09-21 2009-04-09 Kao Corp 吸収性物品
JP5043591B2 (ja) * 2007-10-22 2012-10-10 花王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5331331B2 (ja) * 2007-12-06 2013-10-30 花王株式会社 伸縮性吸収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9820A (ja) * 2002-11-12 2004-06-10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3877702B2 (ja) 2003-04-23 2007-02-07 ピジョン株式会社 吸収性製品
KR20060047550A (ko) * 2004-04-27 2006-05-18 가오가부시끼가이샤 흡수성 물품
JP2009172363A (ja) * 2007-12-25 2009-08-06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3034860A (ja) * 2011-07-12 2013-02-21 Kao Corp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408B1 (ko) 2016-02-18
JP2011139897A (ja) 2011-07-21
TW201127350A (en) 2011-08-16
JP5685430B2 (ja) 2015-03-18
TWI513453B (zh) 2015-12-21
CN102740818A (zh) 2012-10-17
WO2011071070A1 (ja) 2011-06-16
CN102740818B (zh)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4092A (ko) 흡수성 물품
JP5551926B2 (ja) 吸収性物品
JP5546441B2 (ja) 吸収性物品
US7147628B2 (en)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liquid-handling ability
KR102003105B1 (ko) 흡수성 물품
JP6080262B2 (ja) 吸収性物品
JP5455363B2 (ja) 薄型吸収性物品
JP6257297B2 (ja) 吸収性物品
TWI225784B (en) Absorbent article
TWI690304B (zh) 吸收性物品
JP2006239162A (ja) 吸収性物品
KR20060047550A (ko) 흡수성 물품
JP5792997B2 (ja) 吸収性物品
JP5795493B2 (ja) 吸収性物品
KR101876595B1 (ko) 흡수성 물품
TWI568428B (zh) An absorbent structure, and an absorbent wearing article using the absorbent structure
JP7452976B2 (ja) 吸収性物品
WO2017086327A1 (ja) 吸収性物品
JP5422768B1 (ja) 吸収性物品
CN108348376B (zh) 吸收性物品
WO2018029785A1 (ja) 吸収性物品
CN111150555A (zh) 吸收性物品
KR102674151B1 (ko) 흡수성 물품
CN117942226A (zh) 吸收性物品
CN117942225A (zh) 吸收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