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052A - 식별 매체 및 그 식별 방법 - Google Patents

식별 매체 및 그 식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052A
KR20120094052A KR1020127015742A KR20127015742A KR20120094052A KR 20120094052 A KR20120094052 A KR 20120094052A KR 1020127015742 A KR1020127015742 A KR 1020127015742A KR 20127015742 A KR20127015742 A KR 20127015742A KR 20120094052 A KR20120094052 A KR 20120094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dentification medium
light
polarization
optically anisotr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5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2614B1 (ko
Inventor
히데카즈 호시노
이츠오 다케우치
도키오 사카우치
세이야 시부야
도루 이다
Original Assignee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4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9Securities; Bank no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64Liquid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28Diffraction gratings; Hologra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1/0252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 G03H1/0256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having specific functional layer
    • B42D2033/10
    • B42D2033/26
    • B42D2035/2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8Special inks
    • B42D25/391Special inks absorbing or reflecting polarised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1/024Hologram nature or properties
    • G03H1/0244Surface relief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50/00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 G03H2250/14Forming layer onto which a surface relief hologram is form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50/00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 G03H2250/36Conform enhancement lay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50/00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 G03H2250/38Liquid crystal

Abstract

(과제) 편광 필터를 당해 식별 매체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해도 복수의 색채를 가진 잠상을 관찰 가능한 식별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특정 편광 상태의 광을 반사하는 특정 편광 반사층으로서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을 구비하고, 그 위의 겹치는 위치에 굴절율 이방성을 갖는 광학 이방성층(106)을 설치한다. 광학 이방성층(106)에 주위와 상이한 광학 이방성을 갖는 영역으로 구성되는 상 A를 형성한다. 식별 매체(100)를 직시하면, 광학 이방성의 영향이 보이지 않고, 상 A는 보이지 않는다. 원편광 필터를 통하여 관찰하면, 광학 이방성의 영향으로 상 A가 특정 색채로 보인다.  

Description

식별 매체 및 그 식별 방법{IDENTIFICATION MEDIUM AND IDENTIFICA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식별 매체 및 그 식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에 홀로그램 가공을 실시한 식별 매체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반사층 상에 위상차층을 적층하고, 열에 의해 부분적으로 위상차를 변화시킴으로써, 편광 필터를 통한 관찰에 있어서 잠상이 관찰되는 식별 매체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위상차가 상이한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편광 필터를 통한 관찰에 있어서 상이한 색채 컬러의 잠상이 관찰되는 식별 매체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365248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7-113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9-175208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특정한 색의 화상을 식별에 이용 가능한데, 1개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이용할 경우, 복수의 색의 화상(예를 들면, 적색과 녹색의 화상)을 식별에 이용할 수 없다. 특허문헌 2, 3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로부터 떼어내면, 다양한 위상 상태의 광이 식별 매체에 입사하므로, 위상차층에 의한 반사 파장의 선택성(특정 파장의 광이 선택적으로 위상차층을 투과하는 성질)이나, 투과해 오는 광의 특정 편광성이 약해져, 시인(視認)되는 상과 그 색채가 불명료해진다. 이 때문에, 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에 접촉시키거나, 혹은 가까이 하지 않으면 식별 기능을 얻을 수 없으므로, 용도가 한정된다.
이러한 배경에 있어서, 본 발명은, 편광 필터를 당해 식별 매체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해도 복수의 색채를 가진 잠상을 관찰 가능한 식별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특정 편광 상태에 있는 광을 반사하는 특정 편광 반사층과, 상기 특정 편광 반사층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면 내에서 광학 이방성을 갖는 광학 이방성층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 이방성층에는, 다른 영역과 상이한 광학 이방성을 갖는 영역에 의해 구성되는 제1의 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매체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식별 매체로의 입사광 중, 특정 편광 상태에 있는 광이 특정 편광 반사층으로부터 반사된다. 특정 편광 상태란, 특정 방향으로 진폭 성분을 가진 직선 편광, 우선회의 원편광, 좌선회의 원편광을 말한다.
예를 들면, 특정 편광 반사층으로서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채용된다. 이 경우, 특정 중심 파장이고, 또한, 특정 선회 방향의 원편광이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부터 반사된다. 이 반사광은, 광학 이방성층을 통과하여, 식별 매체의 외부로 식별 매체로부터의 반사광으로서 출사된다. 특정 중심 파장을 가지고, 또한, 특정 선회 방향을 갖는 원편광이 광학 이방성층을 통과할 때, 복굴절 효과에 의해, 편광 상태가 타원 편광으로 변화(이 타원 편광의 극치(極値)로서 직선 편광이 존재)한다.
이 식별 매체를 직시한 경우, 편광 상태의 차이는, 사람의 눈으로는 인식할 수 없으므로, 광학 이방성층에 의한 상기 편광 상태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고, 하지(下地)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부터의 반사광이 관찰된다. 이 경우, 제1의 상은 관찰되지 않는다(혹은 관찰하기 어렵다).
그리고, 예를 들면,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우측 원편광을 선택 반사할 경우, 우선회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우측 원편광 필터를 통하여 당해 식별 매체를 관찰하면, 우선회의 원편광의 성분이 선택적으로 관찰된다. 이 때, 광학 이방성층의 제1의 상의 부분을 투과하는 광은, 복굴절 효과에 의해, 편광 상태가 변화된다. 따라서, 광학 이방성층의 제1의 상의 부분을 통과한 광은, 우선회 원편광 이외의 편광 성분도 포함하고 있다. 이 편광 상태의 변화는, 광학 이방성층에 있어서의 면 내의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율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이며, 파장 의존성이 있다. 이 때문에, 광학 이방성층을 통과함으로써 발생한 편광 상태의 차이는, 그 중의 어느 특정한 편광을 선택적으로 본 경우에 있어서의 그 편광의 파장 분포(파장의 스펙트럼)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원편광 필터에 의해, 당해 식별 매체로부터의 반사광 중, 특정 선회 방향의 원편광의 성분만을 투과시키면, 그 광은, 광학 이방성층에서 주어진 편광 상태의 변화의 정도에 따른 색채로 보인다. 따라서, 제1의 상이 주위와는 다른 색채로 보인다.
또한, 상기와 역선회 방향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원편광 필터를 통하여, 당해 식별 매체를 관찰하면, 상기의 경우와 역선회 방향의 원편광의 성분을 관찰하게 되므로, 상기의 경우와 다른 색채로 제1의 상이 보인다.
이와같이 하여, 직시에 의한 관찰에서는 관찰되지 않은 제1의 상이, 우측 원편광 필터를 통한 관찰 및 좌측 원편광 필터를 통한 관찰에 있어서 관찰되고, 또한 좌우의 원편광 필터를 이용한 경우에서 상이한 색채로 보이는 잠상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콜레스테릭 액정층에서는 특정 선회 방향의 원편광이 반사되고, 다른 파장의 광은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투과하므로, 원편광 필터를 당해 식별 매체로부터 떼어내도, 상기의 광학 원리는 바뀌지 않고, 상기의 광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만일, 광학 이방성층의 하지가 보통의 반사면(예를 들면 금속 반사층)이면, 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로부터 떼어냈을 때, 당해 식별 매체에 입사하는 광의 편광의 치우침이 없어지고, 그에 따라 광학 이방성층에 하지로부터 입사하는 광의 편광의 치우침도 없어져, 그 결과, 광학 이방성층을 통과한 후에 관찰자에게 관찰되는 광의 편광 상태가 자연광에 가까워진다. 이렇게 되면, 포함되는 편광의 상태가 랜덤의 상태에 근접하므로, 편광 상태의 파장 의존성이 저하된다. 이 때문에, 편광 필터를 통하여 관찰해도 특정한 편광 상태에 의존하는 파장의 차이(색채의 차이)를 인식하기 어려워진다. 즉, 식별 매체로부터 편광 필터를 떼어내면, 식별 매체의 광학 기능이 저하되고, 최종적으로 식별 기능을 얻을 수 없게 된다.
특정 편광 반사층으로서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채용한 경우와 동일한 광학 기능은, 특정 편광 반사층으로서, 금속 반사층과 직선 편광 필터층을 적층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도 얻어진다. 이 경우, 입사광 중, 특정 방향으로 편광한 직선 편광이 특정 편광 반사층으로부터 반사된다. 이 직선 편광은, 광학 이방성층을 통과할 때에, 타원 편광이 된다.
그리고, 광학 이방성층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을 직시하면, 편광 상태의 변화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광학 이방성층에 형성된 제1의 상은 관찰되지 않는다. 그리고, 관찰용의 직선 편광 필터를 통하여, 당해 식별 매체를 관찰하면, 광학 이방성층으로부터의 타원 편광 중의 어느 축방향의 성분이 당해 관찰용 직선 편광 필터를 투과하여, 그 성분이 시인된다. 이 성분은, 광학 이방성층에 있어서 주어진 위상차의 정도에 따라, 중심 파장이 다르기 때문에, 제1의 상이 주위와는 상이한 어떤 색채로 관찰된다. 또한, 관찰용의 직선 편광 필터를 회전시키면(혹은 당해 식별 매체를 회전시키면), 상이한 방향의 직선 편광이 관찰되어, 상의 농담 및 색채가 바뀐다.
또한, 상기의 동작을 시키기 위해서는, 직선 편광 필터층의 광축의 방향과, 광학 이방성층의 광축의 방향을 어긋나게 할 필요가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관찰용의 직선 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로부터 떼어내도, 상기의 광학 기능은 상실되지 않는다. 이는, 당해 식별 매체로부터 관찰용 직선 편광 필터를 떼어내고, 당해 식별 매체에 자연광이 입사하는 상태로 되어도, 당해 식별 매체로부터의 반사광의 상태는, 직선 편광 필터층의 기능에 의해, 상기 기재한 경우와 같아지기 때문이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특정 편광 반사층으로서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채용한 경우에 원편광 필터를 통해서 관찰하고, 특정 편광 반사층으로서 금속 반사층과 직선 편광 필터층을 적층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 직선 편광 필터를 통하여 관찰하는 경우를 설명했는데, 관찰용의 광학 필터로서, 전자의 경우에 직선 편광 필터를 이용하고, 후자의 경우에 원편광 필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의 수는, 복수여도 된다. 또한 상을 복수로 하고, 각 상에서 상이한 위상차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색채가 상이한 잠상을 동시에 관찰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으로는, 문자, 도형, 배경, 각종 모양을 들 수 있다. 또한 상 중에 있어서 광학 이방성이 상이한 영역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관찰용의 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에 근접시키거나, 혹은 접촉시킨 상태여도 동일한 식별 기능이 얻어진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관찰용의 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에 접촉시키거나, 또한 식별 매체로부터 떼어내도, 상이한 색채 표시를 잠상으로서 관찰할 수 있는 식별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특정 편광 반사층이 콜레스테릭 액정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특정 편광 반사층이, 금속 반사층과 특정 방향의 직선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층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특정 편광 반사층이, 금속 반사층과, 관찰면측을 향해서 자연광을 입사시겼을 때에 특정 선회 방향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원편광 필터층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금속 반사층과 원편광 필터층의 적층 구조는, 사이에 접착층 등의 다른 층이 개재되어도 되고, 그렇지 않아도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특정 편광 반사층에 홀로그램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콜레스테릭 액정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이용한 홀로그램은, 위조가 곤란하다고 하는 우위성이 있다. 즉, 보통의 광 투과성의 재료에 형성되고, 알루미늄 증착 등의 반사층이 있는 엠보스 홀로그램 가공은, 감광 재료를 그 위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자외역의 레이저광 등에 의한 간섭을 이 감광 재료에 감광함으로써, 홀로그램 가공을 구성하는 엠보스 구조(요철 구조)를 비교적 용이하게 모방할 수 있다(컨택트 카피). 한편, 콜레스테릭 액정층은, 특정 중심 파장의 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기재한 복제의 기술에서는, 그 반사 스펙트럼 특성에 맞는 감광 특성의 감광 재료가 필요해진다. 그러나,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반사 특성에 맞는 감광 특성의 감광 재료를 준비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콜레스테릭 액정층에 설치된 홀로그램 가공의 복제는, 원판을 입수하지 않는 한 곤란해진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5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별 매체를, 당해 식별 매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한 특정 방향의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편광 필터를 통하여 관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방법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해도, 식별 매체로부터의 색채를 수반한 반사광을 관찰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한 식별을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방향의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편광 필터에는, 직선 편광 필터, 우측 원편광 필터, 좌측 원편광 필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편광 필터를 당해 식별 매체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해도 복수의 색채를 가진 잠상을 관찰 가능한 식별 매체가 제공된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식별 매체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학 이방성층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의 식별 매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의 식별 매체의 단면도이다.
1. 제1의 실시 형태
(식별 매체 1)
이하, 특정 편광 반사층으로서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이용한 식별 매체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 1에는, 실시 형태의 식별 매체(100)의 제조 공정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우선, 제조 공정의 개략을 설명한다. 우선,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관찰광을 투과하고, 투과광의 편광 상태를 흐트러뜨리지 않는 재질로 구성된 지지체(101)를 준비한다. 이 예에서는, 지지체(101)로서 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필름을 이용한다. 지지체(101)를 준비하면, 그 일면에 우선회 원편광으로 녹색의 중심 파장의 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을 형성한다. 그리고,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의 노출된 표면에 홀로그램형(엠보스형)을 가압하고, 회절 격자 구조가 되는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홀로그램 가공(103)을 실시한다. 이와같이 하여 도 1(A)에 도시하는 상태를 얻는다.
다음에,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적당한 지지체(예를 들면 PET 필름)(104)을 준비하고, 그 일면에 용이 박리층(105)을 형성한다. 용이 박리층(105)은, 벗기는 것이 용이한 점착 재료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용이 박리층(105)을 형성하면, 그 노출면에 광학 이방성층(106)을 형성한다.
광학 이방성층(106)은, 복굴절성을 갖는 배향된 고분자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광을 비추면 고분자의 중합 반응이 발생하고, 배향 상태가 결정되는 재질의 것을 이용한다. 이 광학 이방성층 중의 고분자는 미반응의 반응성기를 갖는다. 노광에 의해 미반응의 반응성기가 반응하여 고분자쇄의 가교가 일어나고, 노광 조건이 상이한 노광에 따라 고분자쇄의 가교의 정도가 달라, 그 결과로서 리타데이션값이 변화되어 복굴절 패턴이 형성된다.
광학 이방성층(106)은, 20℃에 있어서 리타데이션이 5㎚ 이상이면 되고, 10㎚ 이상 1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 2000㎚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예에서는, 광학 이방성층의 제법으로서, 적어도 1개의 반응성기를 갖는 액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 건조하여 액정상을 형성한 후,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여 중합 고정화하여 제작하는 방법을 채용한다. 이 방법에 대해서는, 일본국 특허공개 2009-17520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당해 공보에는, 다른 방법으로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반응성기를 갖는 모노머를 중합 고정화한 층을 연신하는 방법,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층에 커플링제를 이용하여 반응성기를 도입한 후에 연신하는 방법, 또는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층을 연신한 후에 커플링제를 이용하여 반응성기를 도입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후에 기재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광학 이방성층은 전사에 의해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광학 이방성층(106)의 두께는, 0.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0.5?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광학 이방성층(106)의 형성 공정의 일예를 설명한다. 우선, 액정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예를 들면 도포액)을, 배향 처리를 실시한 용이 박리층(105) 상에 도포한다. 이 예에서는, 액정성 화합물로서, 봉형상 액정, 수평 배향제, 카티온계 광 중합 개시제, 중합 제어제, 메틸에틸케톤을 배합한 것을 이용한다. 그리고, 원하는 액정상을 나타내는 배향 상태로 한 후, 상기 배향 상태를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고정한다.
이 예에서는, 광 중합 반응에 의해, 배향시킨 액정성 화합물의 배향 상태가 고정된다. 광 조사의 조사 에너지는, 25?800mJ/㎠가 선택된다. 조사 파장으로는 250?450㎚에 피크를 갖는 자외선이 이용된다.
이 때, 도 2에 도시하는 패턴에 광 묘화를 행하여, 영역 A에서 발생하는 투과광의 위상차(복굴절 효과)와, 영역 B에서 발생하는 투과광의 위상차(복굴절 효과)와, 영역 C에 있어서 발생하는 투과광의 위상차(복굴절 효과)가 상이해지도록 조정한다. 즉, 각 영역에 있어서, 광학 이방성이 상이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조정은, 조사하는 광의 광량(노광량)을 바꿈으로써 행한다. 그 후, 200℃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가함으로써, 광의 조사광량에 따른 배향 상태의 고정화 상태가 결정되고, 그에 따라 부분적으로 복굴절의 상태가 상이한 광학 이방성층(106)이 얻어진다. 또한, 광을 비추지 않으면, 열처리 시에 배향 상태가 흐트러져, 그 영역의 복굴절성은 소실된다(단순한 광 투과층이 된다). 상기의 열처리는, 50℃?400℃의 범위에서 선택된 온도로 행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평면 내에 있어서의 직교 방향의 굴절율에 차이가 있고, 또한 그 차의 상태가 도 2에 나타내는 영역 A, 영역 B, 영역 C에 있어서 상이한 광학 이방성층(106)이 얻어진다. 이 예에서는, 원편광 필터를 이용한 관찰시에 있어서, 영역 A, 영역 B, 영역 C가 상이한 색채로 보이도록, 이들 영역에서 발생하는 위상차의 설정이 되어 있다. 또한, 영역 D는, 굴성율 이방성이 없는, 단순한 광 투과 영역으로서 형성된다.
도 1(B)에 도시하는 광학 이방성층(106)을 얻으면, 그 노출면에 전사 접착층(107)을 형성한다. 전사 접착층(107)은, 광 투과성의 접착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하여, 도 1(B)에 도시하는 상태를 얻는다.
다음에, 도 1(A)에 도시하는 적층체의 지지체(101)의 노출면에, 도 1(B)에 도시하는 적층체의 전사 접착층(107)을 맞붙이고, 전사 접착층(107)의 접착 기능에 의해, 지지체(101)와 전사 접착층(107)을 접착한다. 이어서,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의 노출면에 흑색이나 짙은 색의 염료나 안료를 첨가한 점착층(108)을 설치하고, 또한 이형지로서 기능하는 세퍼레이터(109)를 점착층(108)에 맞붙인다. 다음에, 용이 박리층(105)을 광학 이방성층(106)으로부터 떼어내, 도 1(C)에 도시하는 식별 매체(100)를 얻는다.
도시하는 바와같이 식별 매체(100)는, 시인하는 측(도면의 위쪽 방향)으로부터 봐서, 광학 이방성층(106)과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이 겹쳐 있다. 또한, 식별 매체(100)를 식별 대상이 되는 물품에 고정할 때는, 세퍼레이터(109)를 떼어내고, 점착층(108)의 접착 기능에 의해, 식별 매체(100)를 물품에 고정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점착층(108)은, 광학 이방성층(106)의 측으로부터 입사하고,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을 투과한 광을 흡수하는 광 흡수층으로서도 기능한다. 여기에서는, 점착층(108)을 광 흡수층으로서 기능시키는 예를 설명했는데, 점착층(108)을 광 투과성으로 하면, 식별 매체(100)를 통하여 물품의 표면이 보이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예시이며, 본 발명의 실시가 이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별 매체(1)의 광학 기능)
우선, 식별 매체(100)를 직시한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식별 매체(100)에 광학 이방성층(106)의 측으로부터 입사한 광 중, 녹색의 중심 파장을 갖는 우선회 원편광이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으로부터 도면의 위쪽 방향으로 반사된다. 이 녹색의 중심 파장을 갖는 우선회 원편광의 반사광은, 광학 이방성층(106)을 도면의 아래로부터 위의 방향으로 통과한다.
이 때, 녹색의 중심 파장의 우선회 원편광은, 광학 이방성층(106)의 영역 A, B, C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직교하는 위상 성분의 밸런스가 무너져 타원 편광으로 서서히 변화된다. 이 타원 편광으로의 변화는, 영역 A, B, C의 각각에 있어서 상이하다. 또한, 영역 D에 있어서는, 우선회 원편광의 상태에 변화는 없고,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으로부터의 반사광이 그대로 통과한다.
이 광학 이방성층(106)을 통과한 광을 직접 관찰하면, 인간은, 편광 상태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영역 A, B, C의 패턴은 인식되지 않고,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으로부터의 녹색의 반사광이 관찰된다. 이 때, 도 2에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는데, 홀로그램 가공(103)에 의해 구성되는 홀로그램 상이 관찰된다.
다음에, 우선회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우측 원편광 필터를 통하여, 식별 매체(100)를 관찰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우측 원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100)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관찰을 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에는, 우측 원편광이 입사하고, 그 중에서 광학 이방성층(106)의 영역 A, B, C를 통과한 광은, 타원 편광(직선 편광도 포함한다)이 된다. 따라서 우측 원편광 필터를 통하여 반사광을 관찰하면, 영역 D의 부분은,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으로부터의 우측 원편광의 반사광이 그대로 보인다. 그리고, 영역 A, B, C의 부분으로부터의 반사광은, 우측 원편광 필터를 통과함으로써, 그 중의 우선회 원편광 성분이 추출된다. 이 때, 그 광 성분은, 녹색으로부터 벗어난 파장의 색을 가지고, 그 벗어난 정도가 각 영역에서 상이하게 된다. 이는, 파장에 따라, 광학 이방성층(106) 내에서 발생하는 위상차가 상이하고, 또한 발생하는 위상차에 파장 의존성이 있으므로, 어느 편광 성분에 주목하면, 광학 이방성층(106) 내에서 발생한 위상차에 따른 색의 파장이 중심이 되기 때문이다.
이 예에서는, 영역 A, B, C의 각 영역에 있어서, 상이한 위상차가 주어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우측 원편광 필터를 통해 본 경우에, 영역 A, B, C의 상은, 상이한 색채로 보인다. 이 때, 영역 A, B, C의 색은, 녹색이 아니라, 녹색의 파장에 가까운 다른 색으로 보인다. 또한, 원래의 광이 녹색의 중심 파장을 갖는 광의 스펙트럼이므로, 녹색으로부터 크게 떨어진 색(예를 들면 청색이나 보라색)은, 광량이 작아진다. 또한, 영역 D에서는 위상차가 주어지지 않으므로, 영역 D는 녹색으로 보이고, 동시에 홀로그램 가공(103)에 기인하는 홀로그램상이 관찰된다.
다음에, 우측 원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100)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관찰을 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에는, 랜덤의 편광 상태를 포함하는 자연광이 입사하는데,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으로부터는 녹색의 우측 원편광이 반사된다. 이 때문에, 상기 기재한 우측 원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100)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관찰을 행하는 경우와 동일한 내용이 관찰된다.
다음에, 좌선회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좌측 원편광 필터를 통하여, 식별 매체(100)를 관찰한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좌측 원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100)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관찰을 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영역 D로는 관찰면측으로부터 좌측 원편광이 입사하므로, 영역 D에 겹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으로부터의 반사는 없고, 영역 D는 검게 보인다. 그리고, 영역 A, B, C는, 좌측 원편광이 입사하는데, 복굴절성 효과에 의해 위상차가 생기므로, 이 위상차에 따른 색채로 보인다. 이 때, 영역 A, B, C로부터의 광은, 우선회 원편광으로부터 편광의 상태가 벗어나 있으므로, 영역 A, B, C로부터의 반사광은, 각각 우측 원편광 필터를 통해 본 경우와는 상이한 색채로 보인다. 물론, 설정 상태에 따라서는, 어둡게 암색으로 보이는 경우도 있다.
다음에, 좌측 원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100)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관찰을 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영역 D로는 관찰면측으로부터 자연광이 입사하므로, 영역 D에 겹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으로부터는, 우측 원편광이 반사된다. 이 영역 D로부터 반사되는 우측 원편광은, 좌측 원편광 필터로 차단되므로, 영역 D는 검게 보인다. 그리고, 영역 A, B, C에도 자연광이 입사하는데,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은 그 중의 녹색의 우측 원편광을 반사한다. 영역 A, B, C를 통과하는 이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으로부터의 반사광에는, 영역 A, B, C에 있어서의 복굴절성 효과의 영향이 미친다. 이 때문에, 각 영역에 있어서 생기는 위상차에 따른 색채에 영역 A, B, C가 보인다.
이와같이 하여, 영역 A, B, C의 문자상이, 직시로는 시인할 수 없고, 좌우의 원편광 필터를 통해 보면, 각각 상이한 색채로 보이는 잠상 효과가 얻어진다.
(식별 매체 1의 우위성)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직시로는 시인할 수 없고, 좌우의 원편광 필터를 통해 보면, 각 상이 상이한 색채로 보이는 잠상 효과가 얻어진다. 이 때, 상마다 상이한 색채를 관찰할 수 있으므로, 높은 식별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관찰에 이용하는 원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로부터 떼어내도, 그 광학 기능은 변함없는 우위성이 있다. 물론, 관찰용 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에 근접시키거나, 혹은 접촉시킨 상태여도 동일한 식별 기능이 얻어진다. 이 때문에, 관찰용 편광 필터의 사용 방법에 따라서는, 식별 기능이 저하, 혹은 소실되는 문제가 없는 식별 매체가 제공된다.
종래 기술의 경우, 금속 반사층에 광학 이방성층이 적층되어 있으므로, 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로부터 떼어내면, 식별 매체에 입사하는 광의 자연광 성분이 증대하여, 반사층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자연광에 가까워진다. 자연광은, 광학 이방성층을 통과해도, 부분적인 위상차의 차이(부분적인 복굴절 효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고, 광학 이방성층의 패턴이 관찰되지 않는다. 즉, 랜덤으로 모든 편광 상태를 포함하는 자연광을 광학 이방성층에 입사시켜도, 출사하는 광도 랜덤으로 모든 편광 상태를 포함하는 자연광이므로, 부분적인 위상차의 영향은 관찰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로부터 떼어내면, 그 광학 기능은 소실되고, 식별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다. 이는, 식별 매체를 이용한 식별에 있어, 식별 방법을 제한하는 요인이 된다. 혹은, 필터의 사용방법에 따라서는, 식별 기능을 얻을 수 없는 요인이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식별 매체(100)에서는, 그러한 일이 없는 우위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의 반사광이 광학 이방성층을 통과할 때에 받는 복굴성에 의해 잠상의 색이 주어지므로, 제조 조건 등의 상세를 모르면, 그 색채의 재현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위조하기 어려운 식별 매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원편광 필터를 이용하여 식별을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을 했는데, 직선 편광 필터를 통한 관찰에 있어서도 색채의 변화를 이용한 식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제2의 실시 형태
(식별 매체 2)
이하, 특정 편광 반사층으로서 금속 반사층과 직선 편광 필터층의 적층 구조를 이용한 식별 매체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 3은, 실시 형태의 식별 매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는, 식별 매체(200)가 나타나 있다. 식별 매체(200)에 있어서의 도 1과 동일한 부호의 부분은, 도 1에 관련하여 설명한 부분과 동일하다. 이하, 주로 도 3에 도시하는 식별 매체(200)에 있어서의 도 1의 식별 매체(100)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의 식별 매체(200)는, 특정 편광 반사층으로서 금속 반사층(201)과 직선 편광층(202)을 적층한 구조를 구비한다. 금속 반사층(201)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광택을 가진 금속 박막의 층이며, 광 반사층으로서 기능한다. 직선 편광층(202)은, 어느 방향의 직선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직선 편광 필터로서 기능하는 층이다. 또한, 금속 반사층(201)이나 직선 편광층(202)에 회절 격자나 홀로그램 가공을 실시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광학 이방성층(106)의 광축과 직선 편광층(202)의 광축은, 어긋나 있고, 광학 이방성층(106)에 있어서, 직선 편광층(202)으로부터 출사한 직선 편광에 위상차가 생기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식별 매체(200)에서는, 금속 반사층(201)에서 입사광이 반사되고, 점착층(108)에는, 식별에 이용하는 광이 도달하지 않으므로, 점착층을 암색으로 할 필요는 없다.
식별 매체(200)는, 광학 이방성층(106)의 측으로부터 관찰된다. 광학 이방성층(106)의 측으로부터 입사한 광 중, 그 안에 포함되는 특정 방향의 직선 편광 성분이, 직선 편광층(202)을 투과한다. 그리고, 이 광은 금속 반사층(202)에 있어서, 도면 상의 방향으로 반사되고, 광학 이방성층(106)에 있어서, 위상차가 주어진다.
광학 이방성층(106)은, 도 2에 관련되어 설명한 패턴에 광학 이방성이 조정되어 있다. 따라서, 영역 A, B, C로부터 출사하는 광의 타원 편광의 상태는, 영역마다 다르다. 또한, 영역 D로부터 출사하는 광은, 직선 편광층(202)으로부터 출사한 상태의 직선 편광 그대로이다.
식별 매체(200)를 직시한 경우, 광학 이방성층(106)에서 주어진 편광 상태의 변화(위상차)는 인식되지 않고, 도 2의 상은 인식되지 않는다.
한편, 직선 편광 필터를 통하여 식별 매체(200)를 관찰하면, 도 2의 영역 A, B, C에 의해 구성되는 상으로부터의 광에 포함되는 특정 방향의 직선 편광 성분이 관찰된다. 각 상으로부터의 광은, 각각 상이한 타원 편광 상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중의 특정 방향의 직선 편광 성분도 상이하다. 광학 이방성층(106)에 있어서의 위상차는, 파장에 따라 다르므로, 상기 직선 편광 성분의 차이는 색의 차이(중심 파장의 차이)로서 관찰된다. 이 때문에, 영역 A, B, C에 의해 구성되는 각 상은, 상이한 색채로 보인다. 한편, 영역 D는 굴절 이방성이 없기 때문에 색채는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식별 매체(200)에 대하여 관찰용의 직선 편광판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투과하는 직선 편광의 편파면이 변하므로, 관찰하고 있는 각 상의 농담 및 색채가 변화된다.
광학 이방성층(106)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편광 상태는, 직선 편광층(202)에 의해 제한되므로, 관찰용 직선 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200)로부터 떼어내도, 관찰되는 상이 희미해지는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3. 제3의 실시 형태
(식별 매체 3)
이하, 특정 편광 반사층이, 금속 반사층과, 관찰면측을 향해서 자연광을 입사시켰을 때에 특정 선회 방향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원편광 필터층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 식별 매체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 4에는, 실시 형태의 식별 매체(300)가 나타나 있다. 식별 매체(300)는, 대상물에 부착되는 측으로부터, 세퍼레이터(301), 점착층(302)(점착층), 금속 반사층(303), 홀로그램 형성층(305), 전사 접착층(306), 직선 편광층(307), 위상차층(308), 전사 접착층(310), 광학 이방성층(311)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세퍼레이터(301)는, 점착층(302)의 노출면에 부착되어 있고, 식별 매체(300)가 대상물에 부착될 때에 점착층(302)으로부터 벗겨진다. 점착층(302)은, 식별 매체(300)를 대상물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금속 반사층(303)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증착층이다. 홀로그램 형성층(305)은, 투명한 수지의 층이며, 금속 반사층(303)의 측에 홀로그램을 형성하기 위한 엠보스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이 엠보스 구조 위에 금속 반사층(303)을 증착함으로써, 홀로그램 상을 관찰할 수 있다. 전사 접착층(306)은, 홀로그램 형성층(305)과 직선 편광층(307)을 접착하는 투명한 접착제의 층이다.
직선 편광층(307)과 위상차층(308)은, 원편광층(309)을 구성한다. 원편광층(309)은, 도면 아래의 방향으로부터 자연광을 입사시켰을 때에, 관찰면측(도면의 상측 방향)을 향해서 우측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원편광 필터로서 기능한다. 즉, 직선 편광층(307)은, 특정 방향의 직선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직선 편광 필터의 층이며, 위상차층(308)은, λ/4판이며, 직선 편광층(307)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08)의 지상축의 방향을 45°어긋나게 함으로써, 도면의 아래 방향으로부터 자연광을 입사시켰을 때에, 우측 원편광을 도면의 상방향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원편광층(309)의 도면의 상방향으로 선택 투과하는 원편광의 선회 방향은, 좌선회여도 된다. 이 선회 방향의 선택은, 직선 편광층(307)의 흡수축과 위상차층(308)의 지상축의 45°어긋나는 방향을 선택함으로써 설정된다.
전사 접착층(310)은, 원편광층(309)과 광학 이방성(311)을 접착하는 투명한 접착제의 층이다. 광학 이방성층(311)은, 도 1의 광학 이방성층(106)과 동일한 것이다. 도 4의 광학 이방성층(311)도 도 1의 광학 이방성층(106)과 마찬가지로, 정면으로부터 봐서 도 2에 도시하는 광학 이방성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즉, 광학 이방성층(311)은, 평면 내에 있어서의 직교 방향의 굴절율에 차이가 있고, 또한 그 차의 상태가 도 2에 나타내는 영역 A, 영역 B, 영역 C에 있어서 상이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영역 D는, 굴성율 이방성이 없는, 단순한 광 투과 영역으로 되어 있다.
(제조 공정)
우선, 직선 편광층(307)과 위상차층(308)을 맞붙인 필름을 제작한다. 또한, 미리 홀로그램 형성층(305)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고, 그 면에 알루미늄 증착막을 형성하고, 홀로그램 가공(304)이 실시된 금속 반사층(303)을 제작한다. 다음에, 상기의 직선 편광층(307)과 위상차층(308)을 맞붙인 필름의 직선 편광층(307)의 측에, 전사 접착층(306)을 통하여, 금속 반사층(303)이 설치된 홀로그램 형성층(305)을 부착한다. 그리고, 위상차층(308)에 전사 접착층(310)을 통하여 광학 이방성층(311)을 고정한다. 광학 이방성층(311)은, 제1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광학 이방성층(106)과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작성하고, 기재로부터 떼어낸 것을 사용한다. 최후에 점착층(302)을 형성하고, 그 노출면에 세퍼레이터(301)를 부착함으로써 도 4에 도시하는 식별 매체(300)를 얻는다.
(광학 특성)
식별 매체(300)의 관찰은, 도 4의 위의 방향으로부터 행해진다. 우선, 식별 매체(300)를 직접 보면, 홀로그램 가공(304)에 기인하는 홀로그램상(도시 생략)이 관찰된다. 이 때, 육안은 복굴절성의 차이를 구별할 수 없으므로, 도 2에 나타내는 영역 A, B, C의 문자는 시인할 수 없다.
다음에, 우측 원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300)의 광학 이방성층(311) 상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식별 매체(300)를 우측 원편광 필터 넘어 관찰한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원편광층(309)의 상면으로부터 우측 원편광이 입사하고, 원편광층(309)의 광학 기능에 의해, 금속 반사층(303)에는 직선 편광이 입사한다. 그리고 금속 반사층(303)으로부터의 홀로그램상을 포함하는 반사광은, 원편광층(309)에서 우측 원편광으로 되고, 광학 이방성층(311)을 도면의 아래로부터 위로 투과한다. 이 때, 도 2에 나타내는 영역 A, B, C에 있어서, 각각의 복굴절성의 차이(리타데이션값의 차이)에 따른 복굴절 효과를 받아, 영역 A, B, C의 각각이 상이한 색으로 보인다. 또한, 영역 D의 부분은, 우측 원편광의 반사광을 우측 원편광 필터를 통하여 관찰하게 되므로, 금속 광택의 반사광이 보이고, 동시에 홀로그램 가공(304)에 기인하는 홀로그램상(도시 생략)이 동시에 시인된다.
또한, 우측 원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300)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동일한 관찰을 행한 경우, 원편광층(309)에는, 도면의 상방으로부터 자연광이 입사하는데, 원편광층(309)의 기능에 의해, 금속 반사층(303)으로의 입사광은, 상기의 우측 원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300)에 접촉시킨 경우와 동일한 직선 편광이 되고, 광학 기능은 상기 기재한 경우와 동일하게 된다. 즉, 우측 원편광 필터를 통한 관찰에 있어서, 우측 원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300)에 접촉시키거나, 혹은 식별 매체(300)로부터 떼어내도, 관찰되는 내용은 같다.
다음에, 좌측 원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300)의 광학 이방성층(311) 상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식별 매체(300)를 관찰한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원편광층(309)의 상면으로부터 좌측 원편광이 입사하고, 영역 D의 부분에서는, 원편광층(309)에 의해 입사광은 차단된다. 이 때문에, 영역 D의 부분은 검게 보인다. 그리고, 영역 A, B, C의 부분에 있어서, 복굴절 효과를 받아서 타원 편광으로 된 광 성분의 일부가 원편광층(309)을 도면의 위로부터 아래로 향해서 투과하고, 금속 반사층(303)에서 반사된다. 이 반사광은, 원편광층(309)을 도면의 상방향을 향해서 투과하고, 또한 광학 이방성층(311)을 도면의 상방향으로 투과하여 좌측 원편광 필터를 통하여 관찰된다. 이 좌측 원편광 필터 넘어 관찰되는 영역 A, B, C로부터의 광은, 각 영역에 있어서 상이한 복굴절 효과를 받고, 좌측 원편광 필터를 투과하는 피크의 파장이 상이하므로, 상이한 색조로 보인다. 이와같이 하여, 홀로그램상은 거의 보이지 않고, 검은 배경 속에 영역 A, B, C의 각각이 상이한 색으로 보이는 상태가 된다.
다음에, 좌측 원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300)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좌측 원편광 필터 넘어 식별 매체(300)를 관찰할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원편광층(309)에는, 도면의 상면으로부터 자연광이 입사하는데, 원편광층(309)의 기능에 의해, 금속 반사층(303)에서 반사되고, 도면의 하방향으로부터 광학 이방성층(311)에 입사하는 광은, 우측 원편광이 주로 일부 영역 A, B, C의 부분으로의 입사광이 타원 편광으로 된다. 이 때문에, 영역 D의 부분으로부터의 반사광은, 우측 원편광이며, 관찰용의 좌측 원편광 필터로 차단된다. 따라서, 이 경우도 관찰용의 좌측 원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300)에 접촉시킨 경우와 마찬가지로, 영역 D의 부분은 검게 보인다. 또한, 영역 A, B, C의 부분은, 광학 이방성층(311)에 있어서 복굴절 효과를 받고, 좌측 원편광 필터를 투과하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각 영역의 복굴절 효과에 따른 색조로 보인다.
(우위성)
상술한 좌우의 원편광 필터를 통한 관찰에 있어서의 보이는 쪽은, 원편광 필터를 식별 매체(300)에 접촉시킨 경우나, 식별 매체(300)로부터 떼어낸 상태여도 동일하다. 이는, 원편광층(309)의 기능에 의해, 광학 이방성층(311)에 도면의 하방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이 우측 원편광에 제한되기 때문이다. 또한, 원편광을 관찰의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원편광 필터를 회전(혹은 반대로 식별 매체(300)를 회전)시켜도 관찰되는 내용에 변화는 생기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은, 관찰의 방법이 다소 대략적이어도 안정된 식별 기능을 얻으므로 편리하다. 예를 들면, 뷰어인 원편광 필터와 식별 매체의 위치 관계나 각도 위치의 관계가 정해져 있으면, 관찰의 방법에 따라 식별 기능을 안정되게 얻을 수 없고, 진위 판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증대한다. 이는, 일반 사용자 등의 경험이 적은 자가 진위의 판정을 행할 경우에, 정확한 진위 판정을 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증대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기재와 같이 다소 대략적 방법이어도, 미리 설정된 광학 식별 기능을 확실하게 관찰할 수 있으므로, 이 문제가 경감된다.
(변형예)
도 4에는, 광학 이방성층(311)이 노출된 예가 나타나 있는데, 그 표면을 투명한 보호층으로 덮는 구조도 가능하다. 홀로그램 가공(304)은, 회절 격자를 형성하는 가공이어도 된다. 직선 편광층(307)으로는, PVA(폴리비닐알코올)에 옥소나 2색성 색소를 혼입하여 연신한 것, 리오트로픽 액정을 도포하여 배향시킨 것, 와이어 그리드의 편광층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위상차층(308)은, PC(폴리카보네이트)나 (COP)시클로올레핀폴리머를 연신한 것이나 이방성을 갖는 액정을 배향시킨 것을 이용할 수 있다.
4. 그 외
광학 이방성층은, 복굴절성을 갖는 광투 투과성의 필름 패턴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하는 패턴을 갖는 복굴절성을 갖는 광투 투과성의 필름 패턴을 준비하고, 이를 용이 박리층(105)에 전사하는 공정을 채용하면 된다. 홀로그램 가공(103)의 위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의 다른 면의 측이어도 되고, 또한 양면이어도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패턴은, 일예이며, 도안이나 모양이어도 된다.
이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부터의 반사광의 파장역을 확대하는 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영역을 세세하게 구분짓고, 복수의 도트형상의 콜레스테릭 액정 영역에 의해,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구성한다. 이 콜레스테릭 액정층은, 잉크젯법의 인쇄 장치의 원리를 이용하여, 잉크젯과 동일하게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원액을 노즐로부터 분사함으로써, 도트형상의 콜레스테릭 액정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형성한다.
이 때, 콜레스테릭 액정의 원액으로서, 카이랄제의 함유량이 상이한 것을 2종류 준비하고, 체크 무늬로 제1의 콜레스테릭 액정 영역과 제2의 콜레스테릭 액정 영역을 형성한다. 이들 2종류의 콜레스테릭 액정 영역은, 카이랄제 함유량의 차이에 따라, 나선 구조의 피치 폭이 상이한 것이 된다.
콜레스테릭 액정은, 나선 구조의 피치 폭에 따라, 반사광의 중심 파장이 결정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이한 2파장의 중심 파장의 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도트형상의 영역이 체크 무늬로 배치됨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층 전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의 대역이 넓어진다. 이 때문에, 보다 넓은 범위의 파장의 상을 식별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필터를 통한 관찰에 있어서, 영역 A의 상이 적색으로 보이고, 영역 C의 상이 청색으로 보이는 식별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2종류의 피치의 콜레스테릭 액정 영역을 이용하여, 2종류의 중심 파장의 반사광을 얻는 경우를 설명했는데, 상이한 피치의 수를 더욱 많게 하여, 더욱 많은 중심 파장의 광이 반사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체크 무늬가 아니라, 스트라이프형상으로 복수의 상이한 복수 피치의 콜레스테릭 액정 영역을 배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이한 피치의 콜레스테릭 액정을 잉크에 분산시킨 액정 잉크를 준비하고, 이를 칠함으로써, 2개의 중심 파장을 반사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상이 혼재된 반사층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RGB의 3종의 중심 파장을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적층하여, 반사광의 파장 영역을 넓히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2의 패턴에 있어서, 영역 D에도 복굴절성을 부여하여, 영역 D가 영역 A, B, C와 상이한 색으로 보이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진위의 식별을 행하기 위한 기술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식별 매체 200 : 식별 매체
300 : 식별 매체

Claims (6)

  1. 특정 편광 상태에 있는 광을 반사하는 특정 편광 반사층과,
    상기 특정 편광 반사층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면 내에서 광학 이방성을 갖는 광학 이방성층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 이방성층에는, 다른 영역과 상이한 광학 이방성을 갖는 영역에 의해 구성되는 제1의 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매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 편광 반사층이 콜레스테릭 액정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매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 편광 반사층이 금속 반사층과 특정 방향의 직선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층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매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 편광 반사층이,
    금속 반사층과,
    관찰면측을 향해서 자연광을 입사시켰을 때에 특정 선회 방향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원편광 필터층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매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편광 반사층에 홀로그램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매체.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별 매체를, 상기 식별 매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한 특정 방향의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편광 필터를 통하여 관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방법.
KR1020127015742A 2009-11-27 2010-11-12 식별 매체 및 그 식별 방법 KR101392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0012 2009-11-27
JP2009270012 2009-11-27
PCT/JP2010/070212 WO2011065242A1 (ja) 2009-11-27 2010-11-12 識別媒体およびその識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052A true KR20120094052A (ko) 2012-08-23
KR101392614B1 KR101392614B1 (ko) 2014-05-07

Family

ID=4406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742A KR101392614B1 (ko) 2009-11-27 2010-11-12 식별 매체 및 그 식별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70953B2 (ko)
EP (1) EP2506065B1 (ko)
JP (1) JP5462884B2 (ko)
KR (1) KR101392614B1 (ko)
CN (1) CN102667580A (ko)
WO (1) WO20110652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2922A1 (ja) * 2010-01-28 2011-08-04 日本発條株式会社 識別媒体およびその識別方法
JP6065409B2 (ja) * 2012-05-09 2017-01-25 凸版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媒体、偽造防止ステッカー、偽造防止転写箔及び検証方法
JP6291712B2 (ja) * 2013-02-27 2018-03-14 凸版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媒体及びその真贋判定方法
JP2015069070A (ja) * 2013-09-30 2015-04-13 凸版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用デバイスおよびその真偽判定方法
CN106461847A (zh) * 2014-06-30 2017-02-22 日本瑞翁株式会社 识别介质、识别介质的制造方法和识别介质的使用方法
US20180217308A1 (en) * 2014-09-05 2018-08-02 Kolon Industries, Inc. Security film
CN104385801B (zh) * 2014-11-18 2017-01-25 浙江京华激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纸质证件的微纳米全息防伪膜及生产工艺和应用
WO2016188937A1 (en) * 2015-05-26 2016-12-01 Rolic Ag Optical security device
AU2016267565B2 (en) * 2015-05-26 2021-08-12 Rolic Ag Multiple hidden image security device
EP3364378A4 (en) * 2015-10-08 2019-07-03 Universidad Politécnica de Madrid OPTICAL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WITH MULTIPLE LATENT IMAGES FOR SECURITY OF DOCUMENTS
WO2017110225A1 (ja) * 2015-12-25 2017-06-29 Jxエネルギー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JP6857384B2 (ja) 2016-11-24 2021-04-14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光学素子
WO2018212348A1 (ja) * 2017-05-19 2018-11-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素子および光学装置
CN110250667B (zh) * 2019-06-28 2023-12-29 深圳市华圣达拉链有限公司 滤色拉链结构
CN114981693A (zh) * 2020-01-31 2022-08-30 日本瑞翁株式会社 识别介质、物品以及识别介质的使用方法
KR20210138980A (ko) * 2020-05-13 2021-11-22 엔비에스티(주) 편광물질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및 이의 활용방법
CN117015730A (zh) * 2021-03-30 2023-11-07 日本瑞翁株式会社 光学显示介质、物品以及光学显示介质的使用方法
CN113147216B (zh) * 2021-05-24 2022-09-13 中钞印制技术研究院有限公司 光学防伪元件及其检测、制造方法和装置、安全物品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4364A (en) * 1992-06-10 1994-02-08 Anvik Corporation Increased-security identification card system
JPH0968927A (ja) * 1995-09-01 1997-03-11 Nitto Denko Corp 偽造防止方法及びそのラベル
CN1163765C (zh) * 1997-05-09 2004-08-25 罗利克有限公司 光学元件和包含它的防伪或防拷贝元器件
EP0911758B1 (en) 1997-07-29 2005-11-30 Nhk Spring Co.Ltd. Optical identification system using cholesteric liquid crystals
JP3652487B2 (ja) 1997-11-20 2005-05-25 日本発条株式会社 対象物の識別用媒体及び識別構造及び識別方法
US6496287B1 (en) * 1998-04-09 2002-12-17 Rolic Ag Optical identification element
WO2000013065A1 (en) * 1998-08-27 2000-03-09 Nippon Mitsubishi Oil Corporation Genuineness detecti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genuineness detecting film
JP4335352B2 (ja) * 1999-03-05 2009-09-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体及び偽造判別方法
US6344887B1 (en) * 1999-09-10 2002-02-05 Yao-Dong Ma Full spectrum reflective choleterics display employing circular polarizers with the same polarity but different disposition
EP1120737A1 (en) * 2000-01-27 2001-08-01 Rolic AG Optical security device
GB0201767D0 (en) * 2002-01-25 2002-03-13 Rue De Int Ltd Improvements in methods of manufacturing substrates
JP2003231380A (ja) * 2002-02-12 2003-08-19 Nhk Spring Co Ltd 対象物の識別媒体及び識別方法
TWI258603B (en) * 2002-04-23 2006-07-21 Nitto Denko Corp Polarized light device, polarized light sour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4392826B2 (ja) * 2003-05-16 2010-01-06 日本発條株式会社 対象物の識別媒体及び識別方法
JP4257903B2 (ja) * 2003-10-28 2009-04-30 日本発條株式会社 識別媒体、識別媒体の識別方法、識別対象物品および識別装置
US20070081144A1 (en) * 2003-12-26 2007-04-12 Nhk Spring Co., Ltd. Discrimination medium and discrimination method for discriminating the same
DE102004018702B4 (de) * 2004-04-17 2006-05-24 Leonhard Kurz Gmbh & Co. Kg Folie mit Polymerschicht
JP4670470B2 (ja) * 2005-05-16 2011-04-13 凸版印刷株式会社 隠蔽画像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09535B2 (ja) 2005-06-23 2012-04-04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反射体、認証カード、バーコードラベル、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領域形成システム
JP4967415B2 (ja) * 2006-03-31 2012-07-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真正性判定システム
JP4866129B2 (ja) 2006-04-03 2012-02-01 日本発條株式会社 識別媒体、識別方法および識別装置
JP5183165B2 (ja) * 2006-11-21 2013-04-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複屈折パターンを有する物品の製造方法
JP4959304B2 (ja) * 2006-11-22 2012-06-20 日本発條株式会社 識別媒体、識別方法および識別装置
JP4935328B2 (ja) 2006-11-30 2012-05-23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粘着ラベル、記録媒体、ラベル付き物品、検証具、キット及び判別方法
JP5028642B2 (ja) * 2006-11-30 2012-09-19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粘着ラベル、記録媒体、ラベル付き物品及び判別方法
JP5211474B2 (ja) 2006-11-30 2013-06-12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粘着ラベル、記録媒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227596B2 (ja) 2008-01-22 2013-07-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複屈折パターンを有する物品の製造方法
JP5245473B2 (ja) 2008-03-13 2013-07-24 凸版印刷株式会社 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380007B2 (ja) * 2008-06-16 2014-01-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偽造防止媒体
JP5361536B2 (ja) * 2009-05-26 2013-12-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複屈折パターン認証用ビューワ、複屈折パターン認証用キット、真正性認証媒体、および真正性認証方法
WO2011092922A1 (ja) * 2010-01-28 2011-08-04 日本発條株式会社 識別媒体およびその識別方法
JP5412350B2 (ja) * 2010-03-26 2014-02-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複屈折パターンを有する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62884B2 (ja) 2014-04-02
JPWO2011065242A1 (ja) 2013-04-11
CN102667580A (zh) 2012-09-12
EP2506065A4 (en) 2013-07-03
US20120236292A1 (en) 2012-09-20
WO2011065242A1 (ja) 2011-06-03
KR101392614B1 (ko) 2014-05-07
EP2506065A1 (en) 2012-10-03
WO2011065242A8 (ja) 2012-05-10
EP2506065B1 (en) 2015-04-29
US8970953B2 (en) 201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4052A (ko) 식별 매체 및 그 식별 방법
KR101510919B1 (ko) 식별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JP5245296B2 (ja) 偽造防止媒体および判別方法
JP5597940B2 (ja) 表示体、粘着ラベル、転写箔及びラベル付き物品
US8168080B2 (en) Identifying medium, identifying medium manufacturing method, article, and identifying medium identifying method
EP2687879B1 (en) Distinguishing medium
RU2456647C2 (ru) Оп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ламинат и маркированное изделие
KR20010031403A (ko) 진정성 식별시스템 및 진정성 식별필름의 사용방법
JP5380773B2 (ja) 積層体、粘着ラベル、転写箔、記録媒体、ラベル付き物品、キット及び判別方法
JP2009075169A (ja) 光学素子、ラベル付き物品、光学キット及び判別方法
TWI726090B (zh) 積層體、個人認證媒體、及積層體的製造方法
JP5638287B2 (ja) 識別媒体およびその識別方法
US20190084337A1 (en) Anti-counterfeiting medium
JP2005022292A (ja) 対象物の識別構造およびその構造が設けられた対象物
JP2009216722A (ja) 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4550235B2 (ja) 真偽判定体
JP4437721B2 (ja) 真偽判定用媒体、真偽判定可能な基材、真偽判定用媒体ラベル、および真偽判定用媒体転写シート
WO2018008231A1 (ja) 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245473B2 (ja) 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2015221523A (ja) 偽造防止媒体
JP5948735B2 (ja) 表示体及び表示体付き物品
JP2009098454A (ja) 光学素子、光学キット及びラベル付き印刷物
JP2017189888A (ja) 偽造防止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