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3523A -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과 이를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 제조방법 및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과 이를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 제조방법 및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3523A
KR20120093523A KR1020110013137A KR20110013137A KR20120093523A KR 20120093523 A KR20120093523 A KR 20120093523A KR 1020110013137 A KR1020110013137 A KR 1020110013137A KR 20110013137 A KR20110013137 A KR 20110013137A KR 20120093523 A KR20120093523 A KR 20120093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solution
lacquer
fermentation
powder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0814B1 (ko
Inventor
하정완
Original Assignee
하정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정완 filed Critical 하정완
Priority to KR1020110013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814B1/ko
Priority to PCT/KR2012/000609 priority patent/WO2012111923A2/ko
Priority to US13/372,333 priority patent/US20120208230A1/en
Publication of KR20120093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5/00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 C09K15/34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plant or animal materials of unknown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otan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ir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Anti-Oxidant Or Stabilizer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과 이를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 제조방법 및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은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 Micro-organisms) 원액 20 ~ 35 중량%와, 옻물 수용액 65 ~ 80 중량%를 혼합한 EM 옻물 수용액 20L와, 유기농 황설탕 100~200g 또는 천일염 50~150g 또는 제주 감귤오일 50~100g 또는 매실농축액 50~100g 또는 천년초 분말 50~100g 또는 진피 분말 50~100g 또는 녹차분말 5~30g 또는 다시마 분말 5~30g 또는 쌀겨 5~30g 또는 동백유 5~30g 또는 콩분말 5~30g 중 하나 이상의 천연 성분을 혼합하여 구성되어, 무독성 물질로 만들어져 생활용이나 산업용 또는 환경 정화용 등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과 이를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 제조방법 및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anti-oxidant materials manufacturing and process method using EM-lacquer water solution}
본 발명은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과 이를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 제조방법 및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효에 의한 미생물의 유효성분과 항산화 성질 및 항산화 장점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물질을 만들고, 이를 생활용이나 산업용 또는 환경 정화용 등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과 이를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 제조방법 및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소는 각종 물리적, 화학적 및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다양한 활성산소로 전환된다. 인체는 항산화 방어벽에 문제가 생겨 활성산소가 축적될 경우 산화적 스트레스가 야기되며, 세포 구성성분에 손상을 주어 노화는 물론 뇌졸중 등 각종 질병을 초래하게 된다.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는 1969년 McCord와 Fridovich가 superoxide radical을 소거하는 효소인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SOD;Super Oxide Dismutase)를 발견한 것을 계기로 생체 내 활성산소의 발생, in vivo에서 독성 및 방어.소거 메커니즘 등에 관하여 관심을 갖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주로 식품첨가물로서의 항산화제 개발을 위한 연구에서 최근에는 활성산소가 각종 질병 및 노화 등에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노화억제 및 질병치료제로서의 항산화제를 찾으려는 연구로 전환되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항산화제로는 tert-butylhydroxytoluene(BHT), tert-butylhydroxyanisol(BHA) 등과 같은 합성 항산화제, α-tocopherol, vitamin C, carotenoids, flavonoids, 탄닌 등과 같은 일부 천연항산화제 및 SOD와 같은 항산화효소이다. 그런데 이들 항산화제는 독성, 저활성 및 용도의 한계성 등으로 인하여 사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강한 항산화제를 천연물 또는 미생물 대사산물로부터 얻고자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항산화제의 대상은 지질과산화 생성 억제물질에서 생체 내에서 산화적 피해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free radical 및 활성산소 생성 자체를 억제하는 예방적 항산화물질로 확산되고 있으며, SOD와 같은 고분자물질과 합성항산화제에서 실용성이 크고 안전한 저분자 천연항산화제로 연구의 방향이 전환되고 있다. 또한 산화적 손상 및 이로부터 유발되는 갖가지 질병으로부터 생물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기구로서 천연항산화물질들의 규명과 항산화 방어 메커니즘 및 이들 항산화제들의 유전자발현 및 세포조절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의 천연으로부터 항산화제 탐색은 1992년부터 시작되어 미생물 대사산물 등 다양한 새로운 항산화물질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현재 항염증제, 뇌신경세포보호제, 피부노화방지제 및 식품첨가물의 개발을 목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개발에 따라 발명된 것으로, 발효에 의한 미생물의 유효성분과 항산화 성질 및 항산화 장점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물질을 만들고, 이를 생활용이나 산업용 또는 환경 정화용 등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과 이를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 제조방법 및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은,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 Micro-organisms) 원액 20 ~ 35 중량%와, 옻물 수용액 65 ~ 80 중량%를 혼합한 EM 옻물 수용액 20L와, 유기농 황설탕 100~200g 또는 천일염 50~150g 또는 제주 감귤오일 50~100g 또는 매실농축액 50~100g 또는 천년초 분말 50~100g 또는 진피 분말 50~100g 또는 녹차분말 5~30g 또는 다시마 분말 5~30g 또는 쌀겨 5~30g 또는 동백유 5~30g 또는 콩분말 5~30g 중 하나 이상의 천연 성분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 제조방법은,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 Micro-organisms) 원액 20 ~ 35 중량%와, 옻물 수용액 65 ~ 80 중량%를 혼합하여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EM 옻물 수용액 20L와, 유기농 황설탕 100~200g 또는 천일염 50~150g 또는 제주 감귤오일 50~100g 또는 매실농축액 50~100g 또는 천년초 분말 50~100g 또는 진피 분말 50~100g 또는 녹차분말 5~30g 또는 다시마 분말 5~30g 또는 쌀겨 5~30g 또는 동백유 5~30g 또는 콩분말 5~30g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15 ~ 40℃에서 2개월간 상온 발효하여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온 발효하여 숙성하는 단계는, 38 ~ 40℃에서 10일간 발효하여 미생물을 활성화하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를 진행한 후, 17 ~ 27℃에서 50일간 발효하여 미생물을 안정화하는 숙성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온 발효 숙성하는 단계를 진행한 후, 필터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진행한다.
이때 상기 필터는, 10㎛의 백필터 또는 0.2㎛의 마이크로필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은,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 Micro-organisms) 원액 20 ~ 35 중량%와, 옻물 수용액 65 ~ 80 중량%를 혼합하여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EM 옻물 수용액 20L와, 유기농 황설탕 100~200g 또는 천일염 50~150g 또는 제주 감귤오일 50~100g 또는 매실농축액 50~100g 또는 천년초 분말 50~100g 또는 진피 분말 50~100g 또는 녹차분말 5~30g 또는 다시마 분말 5~30g 또는 쌀겨 5~30g 또는 동백유 5~30g 또는 콩분말 5~30g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15 ~ 40℃에서 2개월간 상온 발효 숙성하는 단계;를 진행하여 이루어진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을, 동결건조기를 사용하되, 10-3 ~ 1torr의 진공압력과 0 ~ -55℃의 온도로 가공하여 분말 형태의 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을, 식품전용농축기를 사용하되, 2 ~ 8㎏/㎠의 압력과 5 ~ 55℃의 온도로 가공하여 농축액 형태의 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을, 저온진공농축기를 사용하되, 10-1 ~ 760torr의 진공압력과 0 ~ 80℃의 온도로 가공하여 농축액 형태의 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을, 저온진공증류기를 사용하되, 10-1 ~ 760torr의 진공압력과 0 ~ 80℃의 온도로 가공하여 증류액 형태의 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을, 고온진공증류기를 사용하되, 10-3 ~ 1torr의 진공압력과 60 ~ 150℃의 온도로 가공하여 증류액 형태의 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을, 간접가열식증류기를 사용하되, 1 ~ 3㎏/㎠의 압력과 110~120℃의 온도로 가공하여 증류액 형태의 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들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에, 구연산 또는 젖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혼합하여 수소이온지수(PH)가 조절된 PH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에 구연산을 혼합하되, 상기 구연산은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의 20중량% 이하로 혼합하고,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에 젖산을 혼합하되, 상기 젖산은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의 80중량% 이하로 혼합하며,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에 구연산과 젖산을 혼합하되, 상기 구연산은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의 10중량% 이하로 혼합하고, 상기 젖산은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의 70중량% 이하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H발효 항산화 물질에, 한천분말 또는 곤약분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PH발효 항산화 물질의 10중량% 이상으로 더 혼합하여 6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녹인 후, 5℃ 이상의 상온에서 건조하여 점액질 수용액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과 이를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 제조방법 및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에 따르면,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만들고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함으로써, 발효에 의한 미생물의 유효성분과 항산화 성질 및 항산화 장점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물질을 만들고, 이를 생활용이나 산업용 또는 환경 정화용 등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무독성 물질로 만들어져, 상기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쉽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누구나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포장이나 보관 및 운반 등이 용이한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은,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 Micro-organisms) 원액 20 ~ 35 중량%와, 옻물 수용액 65 ~ 80 중량%를 혼합한 EM 옻물 수용액 20L와, 유기농 황설탕 100~200g 또는 천일염 50~150g 또는 제주 감귤오일 50~100g 또는 매실농축액 50~100g 또는 천년초 분말 50~100g 또는 진피 분말 50~100g 또는 녹차분말 5~30g 또는 다시마 분말 5~30g 또는 쌀겨 5~30g 또는 동백유 5~30g 또는 콩분말 5~30g 중 하나 이상의 천연 성분을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용미생물군(EM, Effectiv Micro-organisms)은, 많은 미생물 중에서 사람에서 유익한 미생물 수십종을 조합, 배양한 것을 말한다, 효모, 유산군, 누룩균, 광합성 세균 등의 미생물은 악취 제거, 수질 정화, 음식물 발효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축산용, 농업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EM 미생물 중에서 5가지 종균을 선택하여 사용하는데, 각각의 종균물질을 함유한 종균액을 각각 구매하여 균등 혼합하거나, 혼합되어있는 종균액 상품을 구입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5가지 종균액은 광합성균(Rhodopseumdomomas Palustris)이 2.9 x 104 cfu/ml 이상인 종균액과, 광합성균(Rhodopseumdomomas Spheroies)이 1.3x 101 cfu/ ml 이상인 종균액과, 효모균(Candida Valida)이 2.7 x 104 cfu/ml 이상인 종균액과, 유산균(lactobacillus paracasei)이 2,4 x 104 cfu/ ml 이상인 종균액 및 바실러스균(basillus subtilis)이 1.2x 104 cfu/ ml이상인 종균액이다.
그리고, 상기 5가지의 종균액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종균은 다음과 같은 배양조건에서 배양된 것을 사용한다.
즉, 광합성균은 31±1℃, 협기 조건에서 7일간 배양되어 갈색을 띠고 PH가 9인 것, 효모균은 33℃±1℃, 협기 조건에서 5일간 배양되어 우유빛을 띠고 PH가 7인 것, 유산균은 32℃±1℃, 협기조건에서 5일간 배양되어 갈색을 띠고 PH가 4인 것, 바실러스균은 38℃±1℃, 호기조건(살균필터 통과된 공기주입)에서 10일간 배양되어 연한 황색을 띠고 PH가 6.8~7.0인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용 미생물군 원액은 배양시 필요한 복수의 영양성분이 필요한 액상 영양제 1~2kg, 당밀 1~2kg, 상기한 다섯가지 종균이 포함된 종균액 0.5~2kg, 천일염 0.1~1kg, 살균 처리된 황토 0.1~1kg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옻물 수용액은, 옻나무를 솥에 넣고 장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원액으로, 옻나무를 장시간 건조하여 소주를 첨가하여 가열하는 방법과 밤나무잎을 동량 첨가하여 제조하는 방법 및 옻의 가려움증의 원인 물질인 우루시올(Urushiol)을 제거한 옻물을 제조하는 방법 등 현재 다양한 방법으로 옻물을 제조하고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옻물 수용액을 구성하는 옻물로서 식용 가능한 참옻물을 사용한다.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인체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우루시올(urushiol)을 포함하지 않는 옻물 고형물 0.4~0.45%를 포함한 농축형 액상 제품을 사용하며, 액상 농축 옻물과 물을 1:20~4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옻물 수용액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은 성분들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천연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의 제조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EM 원액과 옷물 수용액을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1차로 38~40℃에서 10일간 발효 후, 2차로 17~20℃에서 20일간 발효시켜 미생물의 개체수를 증식시킨다. 발효가 완료되면 필터를 이용하여 불순물이 없는 액상 상태로 정제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천연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이 완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 제조방법은,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 Micro-organisms) 원액 20 ~ 35 중량%와, 옻물 수용액 65 ~ 80 중량%를 혼합하여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EM 옻물 수용액 20L와, 유기농 황설탕 100~200g 또는 천일염 50~150g 또는 제주 감귤오일 50~100g 또는 매실농축액 50~100g 또는 천년초 분말 50~100g 또는 진피 분말 50~100g 또는 녹차분말 5~30g 또는 다시마 분말 5~30g 또는 쌀겨 5~30g 또는 동백유 5~30g 또는 콩분말 5~30g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15 ~ 40℃에서 2개월간 상온 발효하여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탱크에 옻물 수용액을 넣은 후 60~70℃로 올려 살균하고, 살균된 옻물 수용액의 온도가 50℃이하로 내려가면, 유용 미생물군 원액을 넣는다. 그 후 35℃이하가 되었을 때 유기농 황설탕, 천일염, 제주 감귤오일, 매실농축액, 천년초 분말, 진피 분말, 녹차 분말, 다시마 분말, 쌀겨, 동백유, 콩분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탱크에 넣어 배양을 시작한다.
이후 최적의 온도 및 발효 숙성 기간은 1차로 38℃~40℃에서 10일간 미생물 활성화 발효단계를 거친후 2차로 약 17 ~ 20℃ 에서 50일간 미생물 안정화 숙성단계를 거쳐서, 약 2개월 간의 발효 숙성과정을 마친다.
여기서, 상기 상온 발효하여 숙성하는 단계를 자세하게 나누면 2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첫번째 단계는 제조된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38 ~ 40℃에서 10일간 발효하여 미생물을 활성화하는 발효단계이다.
두번째 단계는 첫번째 단계의 발효를 거쳐 미생물이 활성화된 것을 17 ~ 27℃에서 50일간 발효하여 미생물을 안정화하는 숙성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상온 발효 숙성하는 단계를 진행한 후에는 필터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진행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필터는 10㎛의 백필터 또는 0.2㎛의 마이크로필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한편,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상기한 첫번째 단계와 두번째 단계에 의하지 않고 17~20℃에서 60일동안 저온발효하여 숙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은 EM미생물의 배양 개체수 증가와 EM미생물의 생장상태와 신진대사의 기능을 향상시킬수 있어서 영양물질의 증대 및 미생물의 신진 대사과정에서 발생되는 항산화 물질의 증가를 크게 가져올 수 있으며, EM원액에 비하여 묽고, 끈적임 적어져 가공성이 편하다.
이러한 발효 항산화 물질의 사용처로는 1. 부패 방지제, 산화 방지제 원료, 2. 영양제 원료(식물, 동물 영양제), 3. 살균제, 항균제 원료, 4. 윤활제 첨가제(부패방지, 금속 가공시 방청성유지), 5. 냄새제거제(악취제거), 6. 천연 세정제 첨가제(계면활성제, 섬유유연, 저독성 식품기계 세정제 원료), 7. 기름 분해제 (토양 및 해양에 오염된 유류의 생분해 촉진), 8, 천연 방청제 원료(금속 방청제의 원료로 사용가능: 녹제거 및 녹방지), 9. 유수분리제 원료, 10. 무독성 스케일, 녹제거제, 11. 세제 및 세정제 보조 첨가제, 12. 호수, 강, 연못 등의 수처리 개선제로 사용(정화), 13. 화장용 세안 보조제, 영양제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은,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 Micro-organisms) 원액 20 ~ 35 중량%와, 옻물 수용액 65 ~ 80 중량%를 혼합하여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EM 옻물 수용액 20L와, 유기농 황설탕 100~200g 또는 천일염 50~150g 또는 제주 감귤오일 50~100g 또는 매실농축액 50~100g 또는 천년초 분말 50~100g 또는 진피 분말 50~100g 또는 녹차분말 5~30g 또는 다시마 분말 5~30g 또는 쌀겨 5~30g 또는 동백유 5~30g 또는 콩분말 5~30g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15 ~ 40℃에서 2개월간 상온 발효 숙성하는 단계;를 진행하여 이루어진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을, 동결건조기를 사용하되, 10-3 ~ 1torr의 진공압력과 0 ~ -55℃의 온도에서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 형태의 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든다.
이렇게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장기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운반비용을 절감하며 보관 및 운송시에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을 가공하되, 동결건조기 대신 식품전용농축기를 사용하여 가공할 수도 있다. 이때는 2 ~ 8㎏/㎠의 압력과 5 ~ 55℃의 온도에서 농축하여 농축액 형태의 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든다.
또한, 동결건조기나 식품전용농축기 대신 저온진공농축기를 사용하여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을 가공할 수도 있다. 이때는 10-1 ~ 760torr의 진공압력과 0 ~ 80℃의 온도에서 진공농축하여 농축액 형태의 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든다.
또한, 동결건조기, 식품전용농축기 또는 저온진공농축기 대신에 저온진공증류기를 사용하여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을 가공할 수도 있다. 이때는 10-1 ~ 760torr의 진공압력과 0 ~ 80℃의 온도에서 저온진공 증류를 함으로써 증류액 형태의 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든다.
또한, 동결건조기, 식품전용농축기, 저온진공농축기 또는 저온진공증류기 대신에 고온진공증류기를 사용하여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을 가공할 수도 있다. 이때는 10-3 ~ 1torr의 진공압력과 60 ~ 150℃의 온도에서 고온진공 증류를 함으로써 증류액 형태의 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든다.
또한, 동결건조기, 식품전용농축기, 저온진공농축기, 저온진공증류기 또는 고온진공증류기 대신에 간접가열식증류기를 사용하여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을 가공할 수도 있다. 이때는 1 ~ 3㎏/㎠의 압력과 110~120℃의 온도에서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을 간접가열한 후 증류함으로써 증류액 형태의 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든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장치로 가공된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에, 구연산 또는 젖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혼합하여 수소이온지수(PH)가 조절된 PH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들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에 구연산을 혼합하되, 상기 구연산은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의 20중량% 이하로 혼합하고,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에 젖산을 혼합하되, 상기 젖산은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의 80중량% 이하로 혼합하며,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에 구연산과 젖산을 혼합하되, 상기 구연산은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의 10중량% 이하로 혼합하고, 상기 젖산은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의 70중량% 이하로 혼합한다.
구연산은 살균기능과 냄새 제거 능력이 가하며, 젖산은 스케일 제거와 녹제거, 방청 및 유수분해 기능이 강하여 PH발효 항산화 물질의 효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H발효 항산화 물질에, 한천분말 또는 곤약분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PH발효 항산화 물질의 10중량% 이상으로 더 혼합하여 6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녹인 후, 5℃ 이상의 상온에서 건조하여 점액질 수용액으로 만들 수 있다.
한천분말과 곤약분말은 60℃ 이상에서 서서히 액상화되어 녹기 시작하며, 식으면 젤리 또는 묵 형태로 고체화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한번 고체화된 물질은 상온~60℃ 사이에서 변형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포장 및 배송과정에서 온도에 의한 변형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 발효 항산화 물질 및 그 제조방법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당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6)

  1.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 Micro-organisms) 원액 20 ~ 35 중량%와, 옻물 수용액 65 ~ 80 중량%를 혼합한 EM 옻물 수용액 20L와,
    유기농 황설탕 100~200g 또는 천일염 50~150g 또는 제주 감귤오일 50~100g 또는 매실농축액 50~100g 또는 천년초 분말 50~100g 또는 진피 분말 50~100g 또는 녹차분말 5~30g 또는 다시마 분말 5~30g 또는 쌀겨 5~30g 또는 동백유 5~30g 또는 콩분말 5~30g 중 하나 이상의 천연 성분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
  2.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 Micro-organisms) 원액 20 ~ 35 중량%와, 옻물 수용액 65 ~ 80 중량%를 혼합하여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EM 옻물 수용액 20L와, 유기농 황설탕 100~200g 또는 천일염 50~150g 또는 제주 감귤오일 50~100g 또는 매실농축액 50~100g 또는 천년초 분말 50~100g 또는 진피 분말 50~100g 또는 녹차분말 5~30g 또는 다시마 분말 5~30g 또는 쌀겨 5~30g 또는 동백유 5~30g 또는 콩분말 5~30g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15 ~ 40℃에서 2개월간 상온 발효하여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온 발효하여 숙성하는 단계는,
    38 ~ 40℃에서 10일간 발효하여 미생물을 활성화하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를 진행한 후, 17 ~ 27℃에서 50일간 발효하여 미생물을 안정화하는 숙성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 제조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온 발효 숙성하는 단계를 진행한 후,
    필터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10㎛의 백필터 또는 0.2㎛의 마이크로필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 제조방법.
  6.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 Micro-organisms) 원액 20 ~ 35 중량%와, 옻물 수용액 65 ~ 80 중량%를 혼합하여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EM 옻물 수용액 20L와, 유기농 황설탕 100~200g 또는 천일염 50~150g 또는 제주 감귤오일 50~100g 또는 매실농축액 50~100g 또는 천년초 분말 50~100g 또는 진피 분말 50~100g 또는 녹차분말 5~30g 또는 다시마 분말 5~30g 또는 쌀겨 5~30g 또는 동백유 5~30g 또는 콩분말 5~30g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15 ~ 40℃에서 2개월간 상온 발효 숙성하는 단계;를 진행하여 이루어진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을,
    동결건조기를 사용하되, 10-3 ~ 1torr의 진공압력과 0 ~ -55℃의 온도로 가공하여 분말 형태의 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발효한 발효 항산화물질 가공방법.
  7.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 Micro-organisms) 원액 20 ~ 35 중량%와, 옻물 수용액 65 ~ 80 중량%를 혼합하여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EM 옻물 수용액 20L와, 유기농 황설탕 100~200g 또는 천일염 50~150g 또는 제주 감귤오일 50~100g 또는 매실농축액 50~100g 또는 천년초 분말 50~100g 또는 진피 분말 50~100g 또는 녹차분말 5~30g 또는 다시마 분말 5~30g 또는 쌀겨 5~30g 또는 동백유 5~30g 또는 콩분말 5~30g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15 ~ 40℃에서 2개월간 상온 발효 숙성하는 단계;를 진행하여 이루어진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을,
    식품전용농축기를 사용하되, 2 ~ 8㎏/㎠의 압력과 5 ~ 55℃의 온도로 가공하여 농축액 형태의 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발효한 발효 항산화물질 가공방법.
  8.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 Micro-organisms) 원액 20 ~ 35 중량%와, 옻물 수용액 65 ~ 80 중량%를 혼합하여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EM 옻물 수용액 20L와, 유기농 황설탕 100~200g 또는 천일염 50~150g 또는 제주 감귤오일 50~100g 또는 매실농축액 50~100g 또는 천년초 분말 50~100g 또는 진피 분말 50~100g 또는 녹차분말 5~30g 또는 다시마 분말 5~30g 또는 쌀겨 5~30g 또는 동백유 5~30g 또는 콩분말 5~30g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15 ~ 40℃에서 2개월간 상온 발효 숙성하는 단계;를 진행하여 이루어진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을,
    저온진공농축기를 사용하되, 10-1 ~ 760torr의 진공압력과 0 ~ 80℃의 온도로 가공하여 농축액 형태의 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발효한 발효 항산화물질 가공방법.
  9.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 Micro-organisms) 원액 20 ~ 35 중량%와, 옻물 수용액 65 ~ 80 중량%를 혼합하여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EM 옻물 수용액 20L와, 유기농 황설탕 100~200g 또는 천일염 50~150g 또는 제주 감귤오일 50~100g 또는 매실농축액 50~100g 또는 천년초 분말 50~100g 또는 진피 분말 50~100g 또는 녹차분말 5~30g 또는 다시마 분말 5~30g 또는 쌀겨 5~30g 또는 동백유 5~30g 또는 콩분말 5~30g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15 ~ 40℃에서 2개월간 상온 발효 숙성하는 단계;를 진행하여 이루어진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을,
    저온진공증류기를 사용하되, 10-1 ~ 760torr의 진공압력과 0 ~ 80℃의 온도로 가공하여 증류액 형태의 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발효한 발효 항산화물질 가공방법.
  10.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 Micro-organisms) 원액 20 ~ 35 중량%와, 옻물 수용액 65 ~ 80 중량%를 혼합하여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EM 옻물 수용액 20L와, 유기농 황설탕 100~200g 또는 천일염 50~150g 또는 제주 감귤오일 50~100g 또는 매실농축액 50~100g 또는 천년초 분말 50~100g 또는 진피 분말 50~100g 또는 녹차분말 5~30g 또는 다시마 분말 5~30g 또는 쌀겨 5~30g 또는 동백유 5~30g 또는 콩분말 5~30g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15 ~ 40℃에서 2개월간 상온 발효 숙성하는 단계;를 진행하여 이루어진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을,
    고온진공증류기를 사용하되, 10-3 ~ 1torr의 진공압력과 60 ~ 150℃의 온도로 가공하여 증류액 형태의 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발효한 발효 항산화물질 가공방법.
  11.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 Micro-organisms) 원액 20 ~ 35 중량%와, 옻물 수용액 65 ~ 80 중량%를 혼합하여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EM 옻물 수용액 20L와, 유기농 황설탕 100~200g 또는 천일염 50~150g 또는 제주 감귤오일 50~100g 또는 매실농축액 50~100g 또는 천년초 분말 50~100g 또는 진피 분말 50~100g 또는 녹차분말 5~30g 또는 다시마 분말 5~30g 또는 쌀겨 5~30g 또는 동백유 5~30g 또는 콩분말 5~30g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15 ~ 40℃에서 2개월간 상온 발효 숙성하는 단계;를 진행하여 이루어진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을,
    간접가열식증류기를 사용하되, 1 ~ 3㎏/㎠의 압력과 110~120℃의 온도로 가공하여 증류액 형태의 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발효한 발효 항산화물질 가공방법.
  12. 청구항6, 청구항 7, 청구항 8, 청구항 9, 청구항 10, 청구항 11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에, 구연산 또는 젖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혼합하여 수소이온지수(PH)가 조절된 PH발효 항산화 물질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발효한 발효 항산화물질 가공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에 구연산을 혼합하되,
    상기 구연산은,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의 20중량% 이하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발효한 발효 항산화물질 가공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발효 항산화 가공물질에 젖산을 혼합하되,
    상기 젖산은,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의 80중량% 이하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발효한 발효 항산화물질 가공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발효 항산화 가공물질에 구연산과 젖산을 혼합하되,
    상기 구연산은,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의 10중량% 이하로 혼합하고,
    상기 젖산은, 상기 발효 항산화 물질의 70중량% 이하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발효한 발효 항산화물질 가공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PH발효 항산화 물질에,
    한천분말 또는 곤약분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PH발효 항산화 물질의 10중량% 이상으로 더 혼합하여 6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녹인 후, 5℃ 이상의 상온에서 건조하여 점액질 수용액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발효한 발효 항산화물질 가공방법.
KR1020110013137A 2011-02-15 2011-02-15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발효한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 KR101230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137A KR101230814B1 (ko) 2011-02-15 2011-02-15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발효한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
PCT/KR2012/000609 WO2012111923A2 (ko) 2011-02-15 2012-02-03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과 이를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 제조방법 및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
US13/372,333 US20120208230A1 (en) 2011-02-15 2012-02-13 Em-Lacquer Water Solution Mixed with Natural Component, Method for Preparing Fermented Anti-Oxidant Material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137A KR101230814B1 (ko) 2011-02-15 2011-02-15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발효한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523A true KR20120093523A (ko) 2012-08-23
KR101230814B1 KR101230814B1 (ko) 2013-02-06

Family

ID=46637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137A KR101230814B1 (ko) 2011-02-15 2011-02-15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발효한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208230A1 (ko)
KR (1) KR101230814B1 (ko)
WO (1) WO201211192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824B1 (ko) 2014-05-22 2015-11-24 (주)원드림 친환경 악취 제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친환경 악취 제거제 조성물
CN104082345B (zh) * 2014-07-24 2016-04-13 中国水产科学研究院珠江水产研究所 一种水产养殖专用em菌粉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368270A (zh) * 2014-09-29 2015-02-25 浙江老树根油茶开发股份有限公司 一种乳化冷榨山茶油及其制备方法
US11298389B2 (en) * 2016-10-07 2022-04-12 Hunam YOON Method for preparing non-toxic lacquer, fermented rice bran powder u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wdered grain nutrient food
CN108410772A (zh) * 2018-04-09 2018-08-17 黑龙江省农业科学院植物脱毒苗木研究所 一种秸秆生物腐熟剂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328B1 (ko) * 2004-12-28 2005-09-05 (주)참옻나라 국균의 발효를 이용한 옻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제조된 옻물
KR100580849B1 (ko) * 2005-06-30 2006-05-16 김미현 옻과 느릅나무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기능성 된장
KR100802578B1 (ko) * 2006-05-10 2008-02-13 다이모스(주) 폴리우레탄 폼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저감시키는 항산화 발효미생물 제재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0814B1 (ko) 2013-02-06
WO2012111923A2 (ko) 2012-08-23
US20120208230A1 (en) 2012-08-16
WO2012111923A3 (ko) 201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041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발효산물과 발효추출물을 대량가공 하는 제조방법 및 조성물
JP6626902B2 (ja) 抗菌漢方薬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KR101532005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230814B1 (ko)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발효한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
KR101868507B1 (ko) 효소처리 그라비올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494741B (zh) 一种用于化妆品的纯天然防腐剂
KR101367512B1 (ko) 진달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13294B1 (ko) Em 발효 대사산물 및 단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CN103462860B (zh) 用于化妆品的复配防腐剂
CN103664320A (zh) 无土栽培除菌营养液添加剂
KR101465696B1 (ko) 항균 및 방충 조성물
KR20120029086A (ko) 도계육의 선도유지용 항산화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63969B1 (ko)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5264B1 (ko) 화장품 방부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00067075A (ko)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160093427A (ko) 발효된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4941B1 (ko) 맨드라미꽃 물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0660A (ko) 탱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5716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mi-1103 균주를 이용한 당근 발효물 제조방법
KR101750619B1 (ko) 여주와 어성초를 이용한 삼투압 효소 발효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10120481A (ko) 김치유산균 발효액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항균 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KR101863414B1 (ko) 진피 고초균 발효물을 이용한 세정제 조성물
RU241269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сметической маски
KR102196276B1 (ko) 여드름 유발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산화 효능을 갖는 녹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JP3776001B2 (ja) 抗微生物活性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