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3077A - 교합기 - Google Patents

교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3077A
KR20120093077A KR1020120011978A KR20120011978A KR20120093077A KR 20120093077 A KR20120093077 A KR 20120093077A KR 1020120011978 A KR1020120011978 A KR 1020120011978A KR 20120011978 A KR20120011978 A KR 20120011978A KR 20120093077 A KR20120093077 A KR 20120093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rticulator
holding
guide
upper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4696B1 (ko
Inventor
야스히코 쿠와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씬
Publication of KR20120093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61C11/02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with two adjustable pivoting points, e.g. Argon-type artic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04Force
    • F04C2270/041Controlled or regul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관절부에서의 아래턱 지지부와 위턱 지지부의 연결 기구를 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교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교합기(1)는, 제 1 치과용 모형(40)이 고정되어 제 1 치과용 모형(40)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10), 제 2 치과용 모형(50)이 고정되어 제 2 치과용 모형(50)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20), 및 제 1 지지부(10)와 제 2 지지부(20)를 연결하는 관절부(30)를 구비한다. 관절부(30)는, 제 1 지지부(10)의 뒷측에 형성되어 좌우로 돌출하는 한쌍의 돌출부(31), 및 제 2 지지부(20)의 뒷측에 형성되어 한쌍의 돌출부(31)에 결합되고, 제 2 지지부(20)를 한쌍의 돌출부(31)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결합 지지부(32)를 구비하고, 돌출부(31)와 결합 지지부(32)는 자력에 의해 서로 흡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교합기{ARTICULATOR}
본 발명은,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치과분야에는 의치(義齒)나 치과 보철물을 제작하는 경우 등에 인체의 턱운동을 재현하는 교합기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교합기는, 위턱 모형이 고정되는 위턱 지지부, 아래턱 모형이 고정되는 아래턱 지지부, 및 이들 위턱 지지부와 아래턱 지지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관절부를 구비한다.
또한, 인체의 턱운동을 보다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도록, 관절부를, 위턱 지지부에 형성된 돌출부, 아래턱 지지부에 형성되어 돌출부에 결합되는 U자 형상의 홈형절제부, 및 돌출부에 연결되어서 이 돌출부를 홈형절제부의 바닥측으로 잡아 당기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합기도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된 교합기에 의하면, 아래턱 지지부와 위턱 지지부는 돌출부를 지점으로 하여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위턱 지지부는 돌출부가 홈형절제부로 안내 됨으로써 아래턱 지지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돌출부는, 고무밴드나 스프링 등의 탄성체에 의해 홈형절제부의 바닥측으로 잡아 당겨져 소정 위치에 유지된다. 이에 따라 특허문헌 1에 개시되고 있는 교합기는, 위턱 지지부와 아래턱 지지부가 상하 운동 및 측방 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아래턱 지지부와 위턱 지지부의 결합 위치, 즉 돌출부의 홈형절제부와의 결합 위치가 소정 위치(예를 들면 중심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된 교합기는, 탄성체에 의해 아래턱 지지부와 위턱 지지부가 소정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관절부에서의 연결 기구가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1. 일본 특허 공개 2009-125086호 공보
본 발명은, 관절부에서의 아래턱 지지부와 위턱 지지부의 연결 기구를 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교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측에 제 1 치과용 모형이 고정되어 상기 제 1 치과용 모형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 앞측에 제 2 치과용 모형이 고정되어 상기 제 2 치과용 모형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 및 상기 제 1 지지부의 뒷측과 상기 제 2 지지부의 뒷측을 연결하는 관절부를 구비하는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제 1 지지부의 뒷측에 형성되어 좌우로 돌출하는 한쌍의 돌출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의 뒷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쌍의 돌출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지지부를, 상기 한쌍의 돌출부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결합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결합 지지부는 자력에 의해 서로 흡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결합 지지부 중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 지지부는, 상기 결합 지지부의 기단측에 위치하여 자력에 의해 상기 돌출부를 유지하는 유지부 및 상기 유지부에 연속되어 형성되어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제 1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제 1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가 닫혀있는 닫힘 상태에서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 1 유지부간의 흡착력은,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가 열려있는 열림 상태에서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 1 유지부간의 흡착력보다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합기는, 상기 제 1 유지부에 배치되는 유지부측 자석, 상기 닫힘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에서의 상기 제 1 유지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유지부측 자석에 흡착 가능한 흡착 부재, 및 상기 열림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 1 유지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유지부측 자석에 반발하는 돌출부측 자석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가 돌출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형성되는 구상(球狀)의 과두부(顆頭部)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 지지부는 상기 과두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선단측은 개방되며, 동시에 상기 선단측의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폭은 상기 과두부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 지지부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선단측에, 상기 제 1 가이드부에 연속되어 형성되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가이드부와,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선단측에,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에 연속되어 형성되며 제 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교합기에 의하면, 관절부에서의 아래턱 지지부와 위턱 지지부의 연결 기구를 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교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교합기의 측면도이고, 위턱 지지부와 아래턱 지지부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교합기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교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교합기의 위턱 지지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교합기의 위턱 지지부의 배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교합기의 아래턱 지지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교합기의 아래턱 지지부의 배면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교합기의 측면도이고, 위턱 지지부와 아래턱 지지부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교합기의 측면도로서, 도 9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돌출부를 슬라이드 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교합기의 측면도이고, 돌출부가 제 1 가이드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교합기의 측면도이고, 돌출부가 제 2 가이드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교합기의 측면도이고, 돌출부가 제 3 가이드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교합기의 측면도이고, 위턱 지지부와 아래턱 지지부를 닫은 상태(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b는, 도 14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a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교합기의 측면도이고, 닫힘 상태로부터 소정 각도로 위턱 지지부와 아래턱 지지부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b는, 도 15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a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교합기의 측면도이고, 도 15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더욱 위턱 지지부와 아래턱 지지부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b는, 도 16a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교합기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제 1 실시형태의 교합기(1)에 대하여, 도 1~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의 교합기(1)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치과모형으로서의 위턱 모형(40)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인 위턱 지지부(10), 제 2 치과모형으로서의 아래턱 모형(50)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인 아래턱 지지부(20), 및 이들 위턱 지지부(10)와 아래턱 지지부(20)를 연결하는 관절부(30)를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교합기(1)에 고정되는 위턱 모형(40) 및 아래턱 모형(50)의 앞니가 배치되는 측을 전방(前方)으로 하여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을 규정한다.
위턱 지지부(10)는, 경질의 합성 수지로 일체적으로 성형되고, 도 1~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턱 모형(40)이 고정되는 판상의 위턱 고정부(11), 상기 위턱 고정부(1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위턱 후방 연장부(12), 및 한쌍의 위턱 후방 연장부(12) 각각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3)를 구비한다.
위턱 고정부(11)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구성되며, 위턱 모형(40)은 이와 같은 위턱 고정부(11)의 앞면에 볼트(111)에 의해 고정된다.
한쌍의 위턱 후방 연장부(12)는, 위턱 고정부(11)의 뒷면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한쌍의 위턱 후방 연장부(12)는,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턱 고정부(11)에 고정된 위턱 모형(40)을 수평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비스듬하게 아래쪽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고 있다.
연결부(13)는, 길이 방향의 중앙부가 일부 도려내어진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13)의 길이 방향의 일단면 및 타단면에는 나사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아래턱 지지부(20)는, 경질의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고, 도 1~도 4,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턱 모형(50)이 고정되는 판상의 아래턱 고정부(21) 및 상기 아래턱 고정부(2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아래턱 후방 연장부(22)를 구비한다.
아래턱 고정부(21)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구성되며, 아래턱 모형(50)은, 이와 같은 아래턱 고정부(21)의 앞면에 볼트(211)에 의해 고정된다.
한쌍의 아래턱 후방 연장부(22)는, 아래턱 고정부(21)의 뒷면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한쌍의 아래턱 후방 연장부(22)는,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턱 고정부(21)에 고정된 아래턱 모형(50)을 수평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비스듬하게 위쪽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고 있다.
관절부(30)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턱 지지부(10)의 뒷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돌출부(31)와, 아래턱 지지부(20)의 뒷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결합 지지부로서의 한쌍의 과로부(condyle path element, 顆路部)(32)를 구비한다.
한쌍의 돌출부(31)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13)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돌출부(31) 중 일방의 돌출부(31)는 위턱 지지부(10)(연결부13)의 좌측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돌출부(31) 중 타방의 돌출부(31)는 위턱 지지부(10)(연결부13)의 우측면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31)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311), 과두부(312), 및 손잡이부(313)를 구비한다. 축부(311)는 우방향 또는 좌방향에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한쌍의 축부(311)는 동축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축부(311)의 일단측의 둘레면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과두부(312)는, 축부(3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구상(球狀)으로 구성되고, 축부(311)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제 1 실시형태에서 축부(311) 및 과두부(312)는 철 등의 자성체로 형성되었다. 손잡이부(313)는 경질의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축부(311)의 길이 방향의 타단측에 장착된다.
이상의 돌출부(31)는, 축부(311)의 일단측에 형성된 나사산을, 연결부(13)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나사결합 시킴으로써 위턱 지지부(10)에 연결된다.
한쌍의 과로부(32)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돌출부(31), 즉 제 1 실시형태에서의 과두부(312)에 결합되어 아래턱 지지부(20)가 한쌍의 돌출부(31), 즉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축부(311)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또한 위턱 지지부(10)에 대하여 제 1 방향(D1)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한다(도 2 및 도 7 참조).
한쌍의 과로부(32)는, 아래턱 후방 연장부(22)의 후단에 배치된다. 상기 과로부(32)는 경질의 합성 수지로 구성되고, 아래턱 지지부(20)와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과로부(32)는,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선단측 (뒷측)이 비스듬하게 뒤쪽 윗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유지부(321), 제 1 가이드부(322), 및 자석(323)을 구비한다.
제 1 유지부(321)는, 과로부(32)의 기단측(앞측)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1 유지부(321)의 내면은, 과두부(312)의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 곡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4 참조).
제 1 가이드부(322)는, 제 1 유지부(321)에 연속되어 형성되어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제 1 실시형태에서 제 1 가이드부(322)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턱 고정부(21)에 고정된 아래턱 모형(50)을 수평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비스듬하게 위쪽 후방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제 1 가이드부(322)의 폭은, 선단부(후단부)에서 과두부(312)의 직경(R1)보다 작게 구성되고(도 2 및 도 7에 나타낸 폭(W1) 참조), 이 선단부를 제외한 부분에서는 과두부(312)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구성된다(도 2 및 도 7에 나타낸 폭(W2) 참조).
자석(323)은, 과로부(32)의 기단측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석(323)은, 아래턱 후방 연장부(22)의 후단부 근방의 하면(下面)측에 장착되고, 이 자석(323)의 선단측이 제 1 유지부(321)의 내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도 4 참조). 자석은 영구자석, 전자석의 어느 것일 수 있고, 전자(前者)의 경우, 자력에 의한 흡착력을 충분히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네오디뮴 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교합기(1)는, 이하의 순서로 조립된다.
먼저, 위턱 지지부(10)에 위턱 모형(40)을 고정하고, 아래턱 지지부(20)에 아래턱 모형(50)을 고정한다. 이어서, 한쌍의 돌출부(31)를 각각 한쌍의 과로부(32)에 결합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쌍의 돌출부(31)는, 과두부(312)을 제 1 가이드부(322)의 개방된 선단측으로 삽입함으로써 결합된다.
여기서, 제 1 실시형태의 교합기(1)에 의하면, 제 1 유지부(321)의 근방에 자석(323)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자석(323)의 자력에 의해 자성체로 구성된 과두부(312)가 자석(323)에 접촉 또는 근접되어 제 1 유지부(321)에 흡착되어 유지된다. 이로 인해 제 1 유지부(321)에서, 아래턱 지지부(20)가 축부(311)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도 2 및 도 9 참조). 또한, 제 1 유지부(321)에 연속되어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제 1 가이드부(322)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아래턱 지지부(20)을 위턱 지지부(10)에 대하여 제 1 방향(D1)으로 슬라이드 시킬 수 있다(도 9 및 도 10 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의 교합기(1)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1) 관절부(30)를, 돌출부(31)와 이 돌출부(31)에 결합되는 과로부(32)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그리고, 돌출부(31)를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과로부(32)를 자석(323)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돌출부(31)를 과로부(32)의 소정 위치에 자력으로 흡착시킴으로써 돌출부(31)와 과로부(32)의 흡착 위치에서 돌출부(31)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관절부(30)에서의 위턱 지지부(10)와 아래턱 지지부(20)의 연결 기구를 간단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2) 과로부(32)를, 제 1 유지부(321)와 제 1 가이드부(322)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아래턱 지지부(20)를 위턱 지지부(10)에 대하여 제 1 방향(D)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따라 돌출부(31)를 과로부(32)와의 흡착 위치인 제 1 유지부(321)로부터 슬라이드 시킨 경우에는, 돌출부(31)와 과로부(32)간의 흡착력이 크게 저감되므로, 돌출부(31)를 제 1 유지부(321)로부터 슬라이드 시킨 경우에는 흡착력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31)를 과로부(32)의 제 1 유지부(321)에서 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 돌출부(31)을 제 1 유지부(321)로부터 슬라이드 시킨 경우에는 흡착력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관절부(30)에서의 위턱 지지부(10)와 아래턱 지지부(20)의 결합 상태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3) 돌출부(31)를 축부(311)와 과두부(312)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과로부(32)를 과두부(312)에 결합시켰다. 이에 따라 관절부(30)의 구조를 인체에서의 위턱과 아래턱의 연결 구조와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인체의 턱운동을 보다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다. 또한, 과두부(312)를 구상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위턱 지지부(10)와 아래턱 지지부(20)의 위치조정을 할 경우의 조정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4) 제 1 가이드부(322)의 일단부를 개방하고, 동시에 상기 일단부에서의 제 1 가이드부(322)의 폭(W1)을 과두부(312)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돌출부(31)(과두부(312))를 제 1 가이드부(322)의 개방된 선단측(뒷측)으로 삽입함으로써 위턱 지지부(10)와 아래턱 지지부(20)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동시에, 삽입된 돌출부(31)가 과로부(32)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위턱 지지부(10)와 아래턱 지지부(20)의 착탈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교합기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1~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도 13은, 제 2 실시형태의 교합기(1A)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11은 돌출부(31)가 제 1 유지부(321A)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돌출부(31)가 제 2 유지부(326A)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3은 돌출부(31)가 제 3 유지부(327A)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실시형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구성 요건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화 한다.
제 2 실시형태의 교합기(1A)는, 주로 과로부(32A)의 구성에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제 2 실시형태의 교합기(1A)의 과로부(32A)는, 제 1 유지부(321A), 제 1 가이드부(322A), 및 자석(323A)에 추가로, 제 1 가이드부(322A)에 연속된 제 2 가이드부(324A), 제 3 가이드부(325A), 제 2 가이드부(324A)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 2 유지부(326A), 제 3 가이드부(325A)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 3 유지부(327A), 제 2 유지부(326A)에 배치되는 자석(328A), 및 제 3 유지부(327A)에 배치되는 자석(329A)을 구비한다.
제 2 가이드부(324A)는, 도 11~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 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 제 2 가이드부(324A)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턱 고정부(21)에 고정된 아래턱 모형(50)을 수평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 1 가이드부(322A)의 선단부로부터 연직방향 윗쪽을 향해서 연장되고 있다.
제 2 유지부(326A)는, 제 2 가이드부(324A)의 선단부가 폐쇄되어 구성되고 있으며, 자석(328A)은 제 2 가이드부(324A)의 폐쇄된 선단부에 배치된다.
제 3 가이드부(325A)는, 도 11~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방향(D1) 및 제 2 방향(D2)과 교차하는 제 3 방향(D3)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 제 3 가이드부(325A)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턱 고정부(21)에 고정된 아래턱 모형(50)을 수평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 1 가이드부(322A)의 선단부로부터 비스듬하게 아래쪽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고 있다.
제 3 유지부(327A)는, 제 3 가이드부(325A)의 선단부가 폐쇄되어 구성되고 있으며, 자석(329A)은 제 3 가이드부(325A)의 폐쇄된 선단부에 배치된다.
제 2 실시형태의 교합기(1A)에 의하면, 상기 (1)~(3)의 효과를 나타내는 이외에,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5) 과로부(32A)를 제 1 가이드부(322A), 제 2 가이드부(324A), 및 제 3 가이드부(325A)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제 1 방향(D1)뿐만 아니라, 제 2 방향(D2) 및 제 3 방향(D3)으로도 슬라이드 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관절부(30A)에서의 위턱 지지부(10)와 아래턱 지지부(20)의 결합 상태의 자유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6) 제 2 가이드부(324A)의 선단측에 제 2 유지부(326A)를 형성하고, 제 3 가이드부(325A)의 선단측에 제 3 유지부(327A)를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돌출부(31)를, 제 2 유지부(326A) 및 제 3 유지부(327A)에서도 자력으로 흡착시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돌출부(31)를 과로부(32A)의 복수의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과로부(32A)에서의 복수의 위치를 회동축으로 한 위턱 지지부(10)와 아래턱 지지부(20)의 개폐 동작을 용이하게 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교합기의 제 3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4~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도 16은, 제 3실시형태의 교합기(1B)을 나타내는 측면도로, 도 14a는, 위턱 지지부(10)와 아래턱 지지부(20)를 닫은 상태(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b는, 도 14a의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15a는 닫힘 상태에서 소정 각도로 위턱 지지부(10)와 아래턱 지지부(20)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b는, 도 15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a는 도 15a에 나타낸 상태에서 더욱 위턱 지지부(10)와 아래턱 지지부(20)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b는 도 16a의 부분 확대도이다.
제 3 실시형태의 교합기(1B)는, 돌출부(31)와 과로부(32)간의 흡착력이 교합기(1B)의 닫힘 상태와 열림 상태에서 다르다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교합기(1)와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닫힘 상태에서의 돌출부(31)와 과로부(32)간의 흡착력이 열림 상태에서의 돌출부(31)와 과로부(32)간의 흡착력보다 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유지부(321)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자석인 유지부측 자석(323B)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지부측 자석(323B)은, N극 또는 S극 중 어느 하나의 극(예를 들면 N극)이 제 1 유지부(321)의 내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과두부(312B)는, 구상의 본체부(314), 상기 본체부(314)에 매립된 흡착 부재(315), 및 돌출부측 자석(316)을 구비한다.
본체부(314)는, 합성 수지 등의 비자성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314)에는 흡착 부재(315) 및 돌출부측 자석(316)이 매립되는 오목부(미도시)가 형성된다.
흡착 부재(315)는, 유지부측 자석(323B)에 흡착 가능한 부재로 구성된다. 제 3실시형태에서 흡착 부재(315)는 자석으로 구성된다.
흡착 부재(315)는,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합기(1B)의 닫힘 상태에서, 과두부(312B)의 제 1 유지부(321)에 배치된 유지부측 자석(323B)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흡착 부재(315)(자석)는, 유지부측 자석(323B)에서의 제 1 유지부(321)의 내면에 노출된 극과 다른 극(예를 들면, S극)이 본체부(314)의 표면에 위치하도록 본체부(314)에 형성된 오목부에 매립된다.
흡착 부재(315)로는, 자석 대신에 자성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돌출부측 자석(316)은, 도 16a 및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합기(1B)를 닫힘 상태에서 소정 각도 연 열림 상태에서, 과두부(312B)의 제 1 유지부(321)에 배치된 유지부측 자석(323B)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돌출부측 자석(316)은, 유지부측 자석(323B)의 제 1 유지부(321)의 내면에 노출된 극과 동일한 극(예를 들면, N극)이 본체부(314)의 표면에 위치하도록, 본체부(314)에 형성된 오목부에 매립된다.
제 3실시형태의 교합기(1B)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합기(1B)의 닫힘 상태에서는, 흡착 부재(315)와 유지부측 자석(323B)이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교합기(1B)의 닫힘 상태에서는, 과두부(312B)가 제 1 유지부(321)의 내면에 흡착된 상태에서, 위턱 지지부(10)와 아래턱 지지부(20)가 연결된다.
이어서, 도 14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교합기(1B)을 열면,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과두부(312B)의 본체부(314)가 유지부측 자석(323B)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과두부(312B)와 제 1 유지부(321)간에 자력에 의한 흡착력은 발생되지 않으므로, 위턱 지지부(10)와 아래턱 지지부(20)간의 제 1 방향(D1)으로의 상대적인 이동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교합기(1B)를 더 열게 되면, 도 16a 및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과두부(312B)에서의 돌출부측 자석(316)과 유지부측 자석(323B)이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돌출부측 자석(316)과 유지부측 자석(323B)은 동일한 극이 표면에 노출되고 있기 때문에, 과두부(312B)와 제 1 유지부(321)간에는 반발력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과두부(312B)가 제 1 유지부(321)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위턱 지지부(10)와 아래턱 지지부(20)가 연결되게 된다.
제 3실시형태의 교합기(1B)에 의하면, 상기(1)~(4)의 효과를 나타내는 외에,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7) 닫힘 상태에서의 과두부(312B)와 제 1 유지부(321)간의 흡착력을, 열림 상태에서의 과두부(312B)와 제 1 유지부(321)간의 흡착력보다 강하게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교합기(1B)를 열림 상태로 했을 경우의 과두부(312B)와 제 1 유지부(321)간의 흡착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교합기(1B)의 열림 상태에서의 위턱 지지부(10)와 아래턱 지지부(20)의 결합 상태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8) 과로부(32)를 제 1 유지부(321)에 배치되는 유지부측 자석(323B)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과두부(312B)를, 교합기(1B)의 닫힘 상태에서 제 1 유지부(321)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흡착 부재(315) 및 교합기(1B)의 열림 상태에서 제 1 유지부(321)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유지부측 자석(323B)에 반발하는 돌출부측 자석(316)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교합기(1B)의 열림 상태에서, 과두부(312B)와 제 1 유지부(321)를 제 1 방향(D1)으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위턱 지지부(10)와 아래턱 지지부(2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와는 다른 교합 상태를 용이하게 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교합기의 바람직한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제 3실시형태에서는, 과두부(312)를 자성체로 구성하고 과로부(32)에 자석을 배치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과두부를 자석으로 구성하고, 과로부에 자성체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과두부 및 과로부를 전자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제 3 실시형태에서는, 위턱 지지부(10)에 돌출부(31)를 형성하고, 아래턱 지지부(20)에 과로부(32)을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위턱 지지부에 과로부를 형성하고, 아래턱 지지부에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제 3 실시형태에서는, 과두부(312)를 구상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과두부를 축부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가이드부(322)의 선단측의 개방폭을, 과두부(312)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1 가이드부의 선단측을, 과두부의 직경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과두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3 실시형태에서는 과로부(32)를 제 1 유지부(321) 및 제 1 가이드부(322)를 포함하여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과로부를 유지부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과로부(32A)를 제 1 가이드부(322A), 제 2 가이드부(324A), 및 제 3 가이드부(325A)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돌출부(31)를, 제 1 방향(D1), 제 2 방향(D2), 및 제 3 방향(D3)의 세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돌출부의 슬라이드 방향은, 두방향일 수 있고, 네방향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교육실습 및 지도에 이용되는 실습용의 교합기, 및 의치(義齒)나 치과 보철물을 제작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기공용의 교합기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1A: 교합기
10: 위턱 지지부 (제 1 지지부)
20: 아래턱 지지부 (제 2 지지부)
30, 30A: 관절부
31: 돌출부
32, 32A: 과로부(결합 지지부)
40: 위턱 모형(제 1 치과모형)
50: 아래턱 모형(제 2 치과모형)
311: 축부
312: 과두부
321: 제 1 유지부
322, 322A: 제 1 가이드부
323: 자석
324A: 제 2 가이드부
325A: 제 3 가이드부

Claims (8)

  1. 앞측에 제 1 치과용 모형이 고정되어 상기 제 1 치과용 모형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
    앞측에 제 2 치과용 모형이 고정되어 상기 제 2 치과용 모형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 및
    상기 제 1 지지부의 뒷측과 상기 제 2 지지부의 뒷측을 연결하는 관절부를 구비하는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제 1 지지부의 뒷측에 형성되어 좌우로 돌출하는 한쌍의 돌출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의 뒷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쌍의 돌출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지지부를 상기 한쌍의 돌출부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결합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결합 지지부는, 자력(磁力)에 의해 서로 흡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교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결합 지지부 중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지지부는, 상기 결합 지지부의 기단측에 위치하고 자력에 의해 상기 돌출부를 유지하는 제 1 유지부, 및 상기 제 1 유지부에 연속되어 형성되어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제 1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제 1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가 닫힌 닫힘 상태에서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 1 유지부간의 흡착력은,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가 열린 열림 상태에서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 1 유지부간의 흡착력보다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지부에 배치되는 유지부측 자석,
    상기 닫힘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 1 유지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유지부측 자석에 흡착 가능한 흡착 부재, 및
    상기 열림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 1 유지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유지부측 자석에 반발하는 돌출부측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가 돌출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 및 상기 축부에 형성되는 구상의 과두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 지지부는 상기 과두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선단측은 개방되고, 동시에 상기 선단측의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폭이 상기 과두부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지지부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선단측에, 상기 제 1 가이드부에 연속되어 형성되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선단측에,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에 연속되어 형성되며 제 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KR1020120011978A 2011-02-14 2012-02-06 교합기 KR101364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28371 2011-02-14
JP2011028371 2011-02-14
JPJP-P-2012-002750 2012-01-11
JP2012002750A JP6047740B2 (ja) 2011-02-14 2012-01-11 咬合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077A true KR20120093077A (ko) 2012-08-22
KR101364696B1 KR101364696B1 (ko) 2014-02-19

Family

ID=4565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978A KR101364696B1 (ko) 2011-02-14 2012-02-06 교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20578B2 (ko)
EP (1) EP2486891A1 (ko)
JP (1) JP6047740B2 (ko)
KR (1) KR101364696B1 (ko)
CN (1) CN102631248B (ko)
HK (1) HK11745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732B1 (ko) 2015-01-16 2015-09-01 (주) 디케이 문교 교합기
JP6951808B2 (ja) * 2018-09-27 2021-10-20 株式会社ニッシン 咬合器
CN109064862B (zh) * 2018-10-18 2020-12-01 温州迈德菲家居有限公司 一种颞下颌关节模拟演示装置的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4696A (en) * 1954-04-22 1959-05-05 Bonfanti Vittorio Articulator for prosthetic dentistry
US2816360A (en) * 1955-05-02 1957-12-17 Charles E Stuart Dental articulator
JPS4846190A (ko) * 1971-10-13 1973-07-02
US4047302A (en) * 1976-01-14 1977-09-13 Cheythey Arthur W Dental articulator
US4045873A (en) * 1976-06-28 1977-09-06 Burnett Walter L Dental articulator
US4439150A (en) * 1982-05-18 1984-03-27 Ab Dentatus Articulator for use in making dentures or parts thereof
US4453918A (en) * 1982-09-23 1984-06-12 Ab Dentatus Articulator for use in making dentures of parts thereof
JP2763718B2 (ja) * 1992-10-15 1998-06-11 恭稔 小野 自由運動に切替可能な平均値咬合器
JP2585208B2 (ja) * 1993-09-30 1997-02-26 金本歯科工業株式会社 咬交器
US5645425A (en) * 1996-06-20 1997-07-08 Nu-Logic Dental Mfg., Inc. Disposable dental articulator
IT1318578B1 (it) * 2000-06-15 2003-08-27 Lorenzo Battistutta Articolatore, particolarmente per le applicazioni in odontoiatria eodontotecnica.
US20040146829A1 (en) * 2003-01-29 2004-07-29 Lopez William Shawn Systems and methods for replicating positions of a mandible
CN100384387C (zh) * 2004-04-11 2008-04-30 杨学基 仿生型全调架
KR100601345B1 (ko) * 2005-03-12 2006-07-18 (주)알파덴트 듀얼 볼을 갖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TWI284495B (en) * 2005-05-17 2007-07-21 Asustek Comp Inc Device having magnetically rotary cover
BRMU8700162U (pt) * 2007-01-26 2008-09-09 Bio Art Equipamentos Odontolog sistema magnético de estabilização do ramo superior e inferior de articuladores
US8235727B2 (en) * 2007-04-10 2012-08-07 Acadental, Inc. Dental articulator with endodontic module
JP5268332B2 (ja) * 2007-11-19 2013-08-21 株式会社デンタス 咬合器
US8382474B2 (en) * 2008-12-31 2013-02-26 Cadent Ltd. Dental articulator
CN201350136Y (zh) * 2008-12-31 2009-11-25 浙江工业大学 牙齿咬合架
JP2011028371A (ja) 2009-07-22 2011-02-10 Fujitsu Ltd 移動体検知装置および移動体検知方法
KR100976044B1 (ko) * 2010-03-05 2010-08-18 이채붕 교합기
JP2012002750A (ja) 2010-06-18 2012-01-05 Tdk Corp 光学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31248B (zh) 2016-03-23
HK1174525A1 (zh) 2013-06-14
EP2486891A1 (en) 2012-08-15
KR101364696B1 (ko) 2014-02-19
CN102631248A (zh) 2012-08-15
US20120207535A1 (en) 2012-08-16
JP6047740B2 (ja) 2016-12-21
US9320578B2 (en) 2016-04-26
JP2012183296A (ja) 201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2474B2 (en) Dental articulator
JP5038329B2 (ja) 歯列不正を処置するための歯列矯正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5158886B2 (ja) 完全にインプラント可能な人工心臓と天然の心耳との急速連結装置
KR101364696B1 (ko) 교합기
KR101783605B1 (ko) 치과용 교합기
JP2009050301A (ja) 咬合平面分析器および咬合器並びに咬合平面分析方法
US8419425B2 (en) Dental model articulator
CN112770693B (zh) 咬合器
US7083410B2 (en) Dental articulator
KR101478706B1 (ko) 치아모형 교합기
KR101796001B1 (ko) 임플란트 모형 교합기
KR101397438B1 (ko) 유격방지수단이 구비된 교합기
JP2005152069A (ja) 歯科咬合器及び当該咬合器に用いる顎模型
CN215195389U (zh) 一种玩具人偶
JP3835597B2 (ja) 歯科咬合器、これを用いた歯科頭部模型、歯科実習台
CN117065315B (zh) 一种角块及魔方
US20200323722A1 (en) Instrument hose support device and dental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0300715Y1 (ko) 치과 기공용 교합기
KR102244666B1 (ko) 교합기
WO2008089528A3 (en) Stabilization magnetic system of articulators upper and lower arm
KR101518736B1 (ko) 치아교합기
JP3133306U (ja) 歯の模型の固定架の構造
KR20160088063A (ko) 치아모형 교합기
CN219207408U (zh) 一种口腔种植取模硬连接辅助工具
JPH0570527U (ja) ゴーグル・眼鏡のレンズ及びそ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