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2607A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2607A
KR20120092607A KR1020127010961A KR20127010961A KR20120092607A KR 20120092607 A KR20120092607 A KR 20120092607A KR 1020127010961 A KR1020127010961 A KR 1020127010961A KR 20127010961 A KR20127010961 A KR 20127010961A KR 20120092607 A KR20120092607 A KR 20120092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command
control unit
input
sho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0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이찌로 후꾸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92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38Releasing-devices separate from shut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5Blur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비접촉 스크린이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는, 조작체가 비접촉 스크린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비접촉 스크린의 면적 위에 유지되어 있는 조작체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비접촉 스크린의 면적 위에 유지되어 있는 조작체의 크기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감지된 크기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촬영 장치, 촬영 제어 방법 및 촬영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어, 피사체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고 피사체의 동화상을 촬영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적용하기 적합한 것이다.
종래의 비디오 카메라는 그 외장을 구성하는 케이스 상에 촬영 스타트/스톱 스위치나 줌 스위치 등의 다양한 조작 스위치가 제공되어 있다. 비디오 카메라는 조작 스위치의 누름 조작에 따라, 피사체를 포함하는 촬영 범위를 선택할 수 있고, 해당 피사체의 동화상을 촬영할 수 있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20759호(16쪽, 도 13) 참조).
하지만, 이러한 구성의 비디오 카메라에서, 피사체의 동화상을 촬영하기 위해 조작 스위치가 눌러지면, 그 누름 조작에 따라 케이스가 움직여서 조작자의 손떨림이 생긴다(즉, 촬영된 화상에 흔들림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촬영 시 조작자의 손떨림을 방지할 수 있는 촬영 장치, 촬영 제어 방법 및 촬영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는, 조작체가 조작 스크린의 표면 위에 유지되어 있을 때, 그 조작 스크린에 의해 검출되는 해당 표면에 대한 조작체의 헬드 오버 영역(held-over region)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에 의한 해당 피사체의 촬영을 제어하며, 이로써, 피사체가 촬영부에 의해 촬영될 때, 제어부는, 조작 키를 누르기 위한 외력을 가하지 않고 촬영부가 명령을 입력하게 함으로써, 해당 촬영부에 의한 피사체의 촬영을 제어하며, 이는 촬영 동안 조작자의 손떨림을 방지할 수 있는 촬영 장치, 촬영 제어 방법 및 촬영 제어 프로그램을 실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장치의 회로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a는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b는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디지털 카메라의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조작 스크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각 화소의 컬러 필터 및 광 센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조작 스크린의 표시면 위에 조작체가 유지되어 있을 때의 적외선 반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조작 스크린의 표시면이 조작자에 의해 접촉되었을 때의 적외선 반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영역 검출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각 화소 위치의 광 센서의 주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영역 데이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1은 헬드 오버 영역의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2는 촬영 모드 시, 명령 입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3은 촬영 준비 명령의 입력에 따른 촬영 준비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4는 촬영 명령의 입력에 따른 사진 촬영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5a는 줌인(zoom-in) 명령의 입력에 따른 줌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5b는 줌인 명령의 입력에 따른 줌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6a는 줌아웃(zoom-out) 명령의 입력에 따른 줌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6b는 줌아웃 명령의 입력에 따른 줌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7은 기록 개시 명령의 입력에 따른 동화상 촬영 처리의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8은 기록 종료 명령의 입력에 따른 동화상 촬영 처리의 종료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9a는 이동 명령의 입력에 따른 이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9b는 이동 명령의 입력에 따른 이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9c는 이동 명령의 입력에 따른 이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0a는 한쪽 손의 홀딩 오버 조작(holding-over operation)에 의한 페이딩 명령의 입력에 따른 페이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0b는 한쪽 손의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한 페이딩 명령의 입력에 따른 페이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0c는 한쪽 손의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한 페이딩 명령의 입력에 따른 페이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1a는 양쪽 손의 홀딩 오버 조작에 따른 페이딩 명령의 입력에 따른 페이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1b는 양쪽 손의 홀딩 오버 조작에 따른 페이딩 명령의 입력에 따른 페이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2는 촬영 제어 처리 수순(1)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3은 촬영 제어 처리 수순(2)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4는 촬영 제어 처리 수순(3)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5는 촬영 제어 처리 수순(4)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6은 촬영 제어 처리 수순(5)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에서는, 동일한 기능 및 구조를 가진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이하, 실시예들로 지칭됨)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실시예
2. 변형예
<1. 실시예>
(1-1. 실시예의 개요)
우선 실시예의 개요를 설명한다. 이 개요를 설명한 후, 본 실시예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부호(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 전체를 나타낸다. 촬영 장치(1)에서 촬영부(2)는 피사체를 촬영한다. 촬영 장치(1)에서 조작 스크린(3)은, 조작체가 표면 위에 유지되어 있을 때, 해당 표면에 대한 조작체의 헬드 오버 영역을 검출한다. 촬영 장치(1)에서 제어부(4)는, 조작 스크린(3)에 의해 검출되는 헬드 오버 영역에 따라, 촬영부(2)에 의한 피사체의 촬영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촬영 장치(1)는, 촬영부(2)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할 때, 조작 키를 누르기 위한 외력을 가하지 않고 명령을 입력시켜서, 그 촬영부(2)에 의한 피사체의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장치(1)는 촬영 동안 조작자의 손떨림을 방지할 수 있다.
(1-2.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 구성)
다음에,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촬영 장치(1)의 구체예로서 디지털 카메라(10)의 외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0)는 한쪽 손으로 꽉 쥘 수 있을 정도로 큰 대략 평평한 사각형상의 케이싱(11)을 갖는다.
케이싱(11)의 전면(front face)(11A)에는, 그 상부에, 촬영 렌즈(12), 오토 포커스(AF:Auto Focus) 일루미네이터(13) 및 플래시(14)가 제공되어 있다. 오토 포커스 일루미네이터(13)는 셀프 타이머 램프(self-timer lamp)의 역할도 한다.
전면(11A)에는, 렌즈 커버(15)가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렌즈 커버(15)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드 했을 경우, 케이싱(11)은 촬영 렌즈(12), 오토 포커스 일루미네이터(13) 및 플래시(14)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렌즈 커버(15)가 상방향에 슬라이드 했을 경우, 케이싱(11)은 촬영 렌즈(12), 오토 포커스 일루미네이터(13) 및 플래시(14)를 덮어,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렌즈 커버(15)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드 했을 경우, 자동으로 전원을 온할 수 있다.
케이싱(11)의 배면(11B)에는, 조작 스크린(16)이 제공되어 있다. 조작 스크린(16)은, 손바닥,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접촉시키지 않고, 이것을 조작 스크린 위에 유지함으로써,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사진 화상 또는 동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로서의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조작 스크린(16)의 표시면 위에, 명령 입력을 위해 유지되어 있을 수 있는 손바닥,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조작체라고 한다. 또한, 조작 스크린(16)의 표시면 위에, 명령 입력을 위해 조작체를 유지하는 조작을, 홀딩 오버 조작이라고 지칭한다.
케이싱(11)의 상면(11C)에는, 전원 키(17) 및 재생 키(18)가 배치되어 있다. 재생 키(18)는, 디지털 카메라(10)의 동작 모드를, 사진 화상 또는 동화상을 재생하여 조작 스크린(16)에 표시하는 재생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하드웨어 키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렌즈 커버(15)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드되거나, 전원 키(17)가 누름 조작되면, 디지털 카메라(10)는 전원을 온하고, 예를 들어, 촬영 모드에서 기동한다.
디지털 카메라(10)는, 촬영 모드 시, 촬영 렌즈(12)를 통해 피사체를 연속 촬영하면서 촬영 범위, 구도, 및 포커스 등의 촬영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촬영 상태 제시 화상(즉, 스루 화상(through image))을 생성하여 조작 스크린(16)에 표시한다.
이때, 디지털 카메라(10)는 조작 스크린(16)의 표시면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따라 줌잉(zooming)(TELE/WIDE)을 행한다. 이런 방식으로, 디지털 카메라(10)는, 조작 스크린(16)에 표시된 촬영 상태 제시 화상에 의해, 피사체의 촬영 상태를 유저에게 확인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10)는, 조작 스크린(16)의 표시면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라는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촬영 렌즈(12)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여 사진 화상을 생성 및 기록한다.
디지털 카메라(10)는, 조작 스크린(16)의 표시면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피사체의 연속 촬영의 기록을 개시하라는 기록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촬영 렌즈(12)를 통해 피사체를 연속적으로 촬영하면서 촬영을 기록하기 위한 동화상 촬영을 개시한다.
이후, 디지털 카메라(10)는, 조작 스크린(16)의 표시면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촬영의 기록을 종료하라는 기록 종료 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피사체의 동화상을 연속적으로 촬영하면서 그 동화상을 생성 및 기록한다.
이런 방식으로, 디지털 카메라(10)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그 사진 화상을 생성 및 기록할 수 있고, 추가로 피사체의 동화상을 촬영하여 그 동화상을 생성 및 기록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는, 재생 키(18)가 누름 조작되면, 촬영 모드로부터 재생 모드로 이행한다. 이때, 디지털 카메라(10)는, 예를 들어, 이전에 기록된 사진 화상 및 동화상 중 1개를 조작 스크린(16)에 표시한다. 그 후, 디지털 카메라(10)는, 조작 스크린(16)의 표시면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따라, 사진 화상 또는 동화상을 전환하여 조작 스크린(16)상에 표시시킨다.
디지털 카메라(10)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기록해 놓았던 사진 화상, 또는 피사체의 동화상을 촬영하여 기록해 놓았던 동화상을 재생 및 제시할 수 있다.
(1-3. 디지털 카메라(10)의 회로 구성)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디지털 카메라(10)의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회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구조의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제어부(20)는 미리 내부 메모리(도시 생략)에 저장해 놓았던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소정의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20)는, 예를 들어, 조작 스크린(16)의 표시면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 또는 전원 키(17) 및 재생 키(18) 등의 케이싱(11)에 제공된 조작 키(21)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20)는, 전원 키의 조작에 의해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면, 예를 들어, 전원을 온하여 촬영 모드에서 기동한다. 제어부(20)는, 예를 들어, 재생 모드 시, 조작 스크린(16)의 표시면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재생 모드를 촬영 모드로 전환하라는 모드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재생 모드로부터 촬영 모드로 이행한다.
촬영 모드 시, 제어부(20)는, 피사체를 포함하는 촬영 범위로부터 도래하는 촬상 광을, 촬영부(22)에서 광학 유닛(23)을 통해 촬상 소자(24)의 수광면에서 수광한다. 광학 유닛(23)은, 촬영 렌즈(12)뿐만 아니라 포커스 렌즈 및 줌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촬상 소자(24)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어부(20)는, 드라이버(25)를 통해 광학 유닛(23)을 적절히 구동하는 것을 제어하여, 광학 유닛(23)에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 또는 조리개의 개구량을 조정함으로써, 피사체를 포함하는 촬영 범위에 대한 포커스 또는 노출을 자동 조정한다.
제어부(20)는, 조작 스크린(16)의 표시면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줌 명령이 입력되면, 그 줌 명령에 따라 드라이버(25)를 통해 광학 유닛(23)의 줌 렌즈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촬영 범위를 넓히거나 좁히기 위한 줌 배율을 조정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20)는 타이밍 제너레이터(26)를 제어하여, 그 타이밍 제너레이터(26)로부터 소정의 주기로 타이밍 신호를 촬상 소자(24)에 송신한다. 촬상 소자(24)는, 수광면에 수광되는 촬상 광을, 타이밍 신호의 입력 타이밍에 광전 변환하여, 해당 촬상 광에 따른 아날로그 광전 변환 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한다.
촬상 소자(24)는, 광전 변환 신호가 생성될 때마다, 생성된 광전 변환 신호를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회로(이하, AFE 회로라고 지칭됨)(27)에 송신한다.
AFE 회로(27)는, 촬상 소자(24)로부터 광전 변환 신호가 제공될 때마다, 그 광전 변환 신호에 증폭 처리 또는 노이즈 저감 처리 등의 소정의 아날로그 처리를 행하여 아날로그 촬상 신호를 생성한다. AFE 회로(27)는, 촬상 신호를 생성할 때마다, 생성된 촬상 신호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를 행하고, 얻어진 신호를 디지털 촬상 데이터로서 디지털 처리 회로(28)에 송신한다.
디지털 처리 회로(28)는, AFE 회로(27)로부터 촬상 데이터가 제공될 때마다, 그 촬상 데이터에 쉐이딩 보정 처리, 또는 조작 스크린(16)의 표시 해상도에 따라 화소를 씨닝아웃(thinning out)하는 화상 축소 처리 등의 촬영 상태 제시용의 디지털 처리를 행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촬영 상태 제시용의 디지털 처리를 상태 제시 디지털 처리라고 지칭한다.
디지털 처리 회로(28)는, AFE 회로(27)로부터 순차 제공되는 촬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촬영 상태 제시 화상을 구성하는 시간적으로 연속한 복수의 상태 제시 단위 화상의 상태 제시 단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디지털 처리 회로(28)는, 촬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태 제시 단위 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생성하고, 또한 생성된 상태 제시 단위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링을, 촬영 상태 제시 화상 데이터로서 제어부(20)에 송신한다.
이때, 제어부(20)는, 디지털 처리 회로(28)로부터 제공된 촬영 상태 제시 화상 데이터를 조작 스크린(16)에 송신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조작 스크린(16)에 촬영 상태 제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촬영 상태 제시 화상을 표시한다(즉, 상태 제시 단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상태 제시 단위 화상을 순차 전환하여 그것을 촬영 상태 제시 화상으로서 표시한다).
제어부(20)는, 유저가 조작 스크린(16)에 표시된 촬영 상태 제시 화상에 의해, 촬영 범위, 구도 및 포커스 등의 피사체의 촬영 상태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디지털 카메라(10)에 통합된 배터리(도시 생략)의 잔량 또는 촬영 조건 등의 디지털 카메라(1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 등의 화상 데이터를, 촬영 상태 제시 화상 데이터에 합성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조작 스크린(16)에 표시된 촬영 상태 제시 화상 위에 그 아이콘을 표시하고, 해당 아이콘에 의해 배터리의 잔량 또는 이 시점에 선택되는 촬영 조건 등의 디지털 카메라(10)의 사용 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20)는, 조작 스크린(16)의 표시면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그 촬영 명령의 입력에 따라, 촬영부(22) 또는 코덱(29)을 제어한다.
제어부(20)는, 타이밍 제너레이터(26)를 제어하여, 사진 촬영용의 소정의 셔터 속도로 촬상 광에 의해 촬상 소자(24)의 수광면을 노광시킨다. 따라서, 촬상 소자(24)는, 수광면을 노광시키는 촬상 광을 광전 변환하여, 노광된 촬상 광에 따른 광전 변환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광전 변환 신호를 AFE 회로(27)에 송신한다.
AFE 회로(27)는, 이때 촬상 소자(24)로부터 제공된 광전 변환 신호에 아날로그 처리를 행하여 촬상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촬상 신호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를 행하여 그것을 촬상 데이터로서 디지털 처리 회로(28)에 송신한다.
디지털 처리 회로(28)는, AFE 회로(27)로부터 제공된 촬상 데이터에 대한 쉐이딩 보정 처리, 또는 이전에 사진 화상용으로 선택된 화상 사이즈에 따라 화소를 씨닝아웃하는 화상 축소 처리 등의 사진 촬영용의 디지털 처리를 행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사진 촬영용의 디지털 처리를 사진 촬영 디지털 처리라고 지칭한다.
디지털 처리 회로(28)는, AFE 회로(27)로부터 제공된 촬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사체를 포함하는 촬영 범위를 촬영하여 얻어지는 사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진 화상 데이터를 코덱(29)에 송신한다.
코덱(29)은, 디지털 처리 회로(28)로부터 사진 화상 데이터가 제공되면, 그 사진 화상 데이터에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등의 소정의 압축 인코딩 방식으로 압축 인코딩 처리를 행하여 압축 사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코덱(29)은 사진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소를 씨닝아웃하는 축소 처리를 행하여 축소 사진 화상의 축소 사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축소 사진 화상을 사진 썸네일이라고 지칭하고, 축소 사진 화상 데이터를 사진 썸네일 데이터라고 지칭한다.
코덱(29)은, 압축 사진 화상 데이터를, 사진 썸네일 데이터와 함께 기록 매체(30)에 송신한다. 따라서, 코덱(29)은, 기록 매체(30)에 압축 사진 화상 데이터와 사진 썸네일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록한다. 이런 방식으로, 제어부(20)는 피사체를 사진 촬영할 수 있고, 그 결과로 얻어진 사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조작 스크린(16)의 표시면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기록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이에 따라 동화상 촬영을 개시한다. 이후, 제어부(20)는, 조작 스크린(16)의 표시면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기록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이에 따라 동화상 촬영을 종료한다.
제어부(20)는, 촬영 모드 시, 기록 개시 명령이 입력되고 나서 기록 종료 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디지털 처리 회로(28) 및 코덱(29)을 피사체의 동화상 촬영용으로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0)는, 타이밍 제너레이터(26)를 제어하고, 해당 타이밍 제너레이터(26)로부터 소정 주기로 타이밍 신호를 촬상 소자(24)에 송신한다. 따라서, 촬상 소자(24)는, 수광면에 수광되는 촬상 광을, 타이밍 신호의 입력 타이밍에 광전 변환하고, 해당 촬상 광에 따른 광전 변환 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AFE 회로(27)에 송신한다.
AFE 회로(27)는, 촬상 소자(24)로부터 광전 변환 신호가 공급될 때마다, 그 광전 변환 신호에 아날로그 처리를 행하여 촬상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촬상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를 행하여 그것을 촬상 데이터로서 디지털 처리 회로(28)에 송신한다.
디지털 처리 회로(28)는, AFE 회로(27)로부터 촬상 데이터가 공급될 때마다, 그 촬상 데이터에 대한 쉐이딩 보정 처리, 또는 이전에 동화상용으로 선택된 화상 사이즈에 따라 화소를 씨닝아웃하는 화상 축소 처리 등의 동화상 촬영용의 디지털 처리를 행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화상 촬영용의 디지털 처리를 동화상 촬영 디지털 처리라고 지칭한다.
디지털 처리 회로(28)는, AFE 회로(27)로부터 순차 제공되는 촬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화상을 구성하는 시간적으로 연속한 복수의 프레임 또는 필드 등의 단위 동화상의 단위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디지털 처리 회로(28)는, 촬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위 동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면서, 생성된 단위 동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링을 동화상 데이터로서 코덱(29)에 송신한다.
디지털 카메라(10)에는, 해당 디지털 카메라(10)에 제공된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음성 생성부(31)가 제공되어 있다. 음성 생성부(31)는, 피사체의 동화상을 촬영하는 동안, 마이크로폰을 통해 디지털 카메라(10)의 주위의 음성을 집음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
음성 생성부(31)는, 그 음성 신호에 증폭 처리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를 행하여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어부(20)에 송신한다. 제어부(20)는, 음성 생성부(31)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제공되면, 그 음성 데이터를 코덱(29)에 송신한다.
코덱(29)은, 디지털 처리 회로(28)로부터 제공되는 동화상 데이터에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등의 소정의 압축 인코딩 방식으로 압축 인코딩 처리를 행하여 압축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코덱(29)은, 제어부(2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MPEG 방식 등의 소정의 압축 인코딩 방식으로 압축 인코딩 처리를 행하여 압축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코덱(29)은 압축 동화상 데이터 및 압축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면서, 이러한 항목의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 단위마다 시분할 다중화를 행하여 다중화된 데이터(이하, 영상 데이터라고 지칭됨)를 생성한다.
코덱(29)은, 동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 항목의 단위 동화상 데이터 중 선두의 단위 동화상 데이터에 화소를 씨닝아웃하는 축소 처리를 행함으로써, 축소 단위 동화상의 축소 단위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축소 단위 동화상을, 동화상 썸네일이라고 지칭하고, 축소 단위 동화상 데이터를, 동화상 썸네일 데이터라고 지칭한다.
코덱(29)은, 영상 데이터를, 동화상 썸네일 데이터와 함께 기록 매체(30)에 송신한다. 따라서, 코덱(29)은 기록 매체(30)에 영상 데이터와 동화상 썸네일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록한다. 이런 방식으로, 제어부(20)는, 피사체를 동화상 촬영하고, 그 결과 얻어진 동화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로서 기록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조작 스크린(16)의 표시면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줌 명령이 입력되면, 그 줌 명령에 따라 드라이버(25)를 통해 광학 유닛(23)의 줌 렌즈를 이동시켜서 촬영 범위를 넓히거나 좁힐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는, 피사체의 동화상 촬영 시,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방향(즉, 촬영 렌즈(12)의 방향)이 이동 중인 피사체를 따라가도록 유저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디지털 처리 회로(28)는, 동화상 촬영 동안, AFE 회로(27)로부터 제공되는 촬상 데이터에 동화상 촬영 디지털 처리를 행하여 단위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촬상 데이터에 상태 제시 디지털 처리를 행하여 상태 제시 단위 화상 데이터도 생성한다.
디지털 처리 회로(28)는, 복수 항목의 단위 동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링을 동화상 데이터로서 코덱(29)에 송신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복수 항목의 상태 제시 단위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링을 촬영 상태 제시 화상 데이터로서 제어부(20)에 송신한다.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 동안, 디지털 처리 회로(28)로부터 제공되는 촬영 상태 제시 화상 데이터를 조작 스크린(16)에 송신하고, 해당 조작 스크린(16)에 촬영 상태 제시 화상을 표시한다.
제어부(20)는, 피사체를 동화상 촬영하는 동안에도, 조작 스크린(16)에 표시된 촬영 상태 제시 화상에 의해, 유저가 촬영 범위, 구도, 및 포커싱 등의 피사체의 촬영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제어부(20)는, 촬영 상태 제시 화상 데이터에, 배터리의 잔량, 촬영 조건 및 기록 매체(30)의 남은 용량 등의 디지털 카메라(1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들의 화상 데이터를 합성한다. 제어부(20)는, 촬영 상태 제시 화상 데이터에, 촬영 기록 시간(동화상 촬영의 경과 시간) 등의 동화상 촬영 상태를 나타내는 텍스트의 텍스트 데이터를 합성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조작 스크린(16)에 표시된 촬영 상태 제시 화상 위에, 아이콘 또는 텍스트(문자열)를 겹쳐서 표시하고, 그 아이콘 또는 텍스트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0)의 사용 상태 또는 동화상 촬영의 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피사체의 동화상 촬영 동안, 조작 스크린(16)의 표시면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디지털 처리 회로(28) 및 코덱(29)을 피사체의 동화상 촬영용으로 제어하면서, 동시에 그것을 촬영 명령의 입력에 따른 사진 촬영용으로도 제어한다.
이때, 디지털 처리 회로(28)는,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AFE 회로(27)로부터 제공되는 1개 항목의 촬상 데이터에 대하여, 동화상 촬영 디지털 처리와 사진 촬영 디지털 처리를 행한다.
디지털 처리 회로(28)는,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AFE 회로(27)로부터 제공되는 1개 항목의 촬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위 동화상 데이터와 사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디지털 처리 회로(28)는, 이러한 방식으로 촬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위 동화상 데이터와 사진 화상 데이터가 생성되면, 그 단위 동화상 데이터를 동화상 데이터의 일부로서 코덱(29)에 송신하고, 추가로 사진 화상 데이터도 코덱(29)에 송신한다.
따라서, 코덱(29)은, 피사체의 동화상 촬영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면서, 사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압축 사진 화상 데이터 및 사진 썸네일 데이터를 생성한다.
코덱(29)은, 압축 사진 화상 데이터를 사진 썸네일 데이터와 함께 기록 매체(30)에 송신하고, 해당 기록 매체(30)에, 압축 사진 화상 데이터와 사진 썸네일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록한다. 제어부(20)는, 피사체의 동화상 촬영의 도중에도, 그 피사체를 촬영하고, 그 결과 얻어진 사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사진 촬영 또는 동화상 촬영의 때에, 오토 포커스 일루미네이터(13) 및 플래시(14)를 갖는 발광부(32)를 적절히 제어하여 발광시킴으로써, 포커싱의 자동 조정을 통지하고, 피사체를 촬영용으로 조명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는, 촬영 모드 시, 유저에 의해 재생 키(18)가 조작되어, 모드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그 모드 전환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촬영 모드로부터 재생 모드로 이행한다.
제어부(20)는, 재생 모드 시, 예를 들어, 코덱(29)을 통해 기록 매체(30)로부터 사진 썸네일 데이터 및 동화상 썸네일 데이터를 모두 판독하여, 그것을 조작 스크린(16)에 송신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조작 스크린(16)에, 사진 썸네일 데이터에 기초하는 사진 썸네일과, 동화상 썸네일 데이터에 기초하는 동화상 썸네일을 1개의 리스트로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20)는, 조작 스크린(16)의 표시면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예를 들어, 사진 썸네일이 재생용으로 선택되면, 코덱(29)이 기록 매체(30)로부터 그 선택된 사진 썸네일에 대응하는 압축 사진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게 한다.
이때, 코덱(29)은 압축 사진 화상 데이터를 신장 및 디코딩하여 원래의 사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사진 화상 데이터에, 조작 스크린(16)의 표시 해상도에 따라 화소를 씨닝아웃하는 화상 축소 처리를 행하여 표시용의 사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해 제어부(20)에 송신한다.
제어부(20)는, 코덱(29)으로부터 표시용의 사진 화상 데이터가 제공되면, 그 사진 화상 데이터를 조작 스크린(16)에 송신함으로써, 해당 조작 스크린(16)에, 그 사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사진 화상을 표시한다. 제어부(20)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기록해 놓았던 사진 화상을 제시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조작 스크린(16)의 표시면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예를 들어, 동화상 썸네일이 재생용으로 선택되면, 코덱(29)이 기록 매체(30)로부터 그 선택된 동화상 썸네일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게 한다.
이때, 코덱(29)은 영상 데이터를 압축 동화상 데이터 및 압축 음성 데이터로 분리한다. 코덱(29)은 그 압축 동화상 데이터를 신장 및 디코딩하여 원래의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코덱(29)은 동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위 동화상 데이터의 개개의 항목에, 조작 스크린(16)의 표시 해상도에 따라 화소를 씨닝아웃하는 화상 축소 처리를 행함으로써 표시용의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코덱(29)은 압축 음성 데이터에 대해서도 신장 및 디코딩하여 원래의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코덱(29)은 동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제어부(20)에 송신한다.
제어부(20)는, 코덱(29)으로부터 표시용의 동화상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와 함께 제공되면, 그 동화상 데이터를 조작 스크린(16)에 송신하고,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카메라(10)에 구비된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성 출력부(33)에 송신한다.
제어부(20)는, 조작 스크린(16)에 의해 동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동화상이 표시되게 하고, 그 표시에 동기하여, 음성 출력부(33)에 의해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는 음성이 출력되게 한다. 제어부(20)는, 피사체를 동화상 촬영하여 기록해 놓았던 동화상을, 그 때에 녹음해 놓았던 주위의 음성과 함께 제시할 수 있다.
(1-4. 조작 스크린의 구성)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조작 스크린(16)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스크린(16)은, 도광판(40)과, 액정 패널(41)과, 투명한 광 투과성 보호판(42)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그 전체의 두께가 상당히 얇게 되어 있는, 광 센서 내장형 표시부(43)를 포함한다.
광 센서 내장형 표시부(43)는, 도광판(40)의 일단에, 가시 광선 또는 적외선을 조명광으로서 방출하는 백라이트(44)가 배치되어 있다. 광 센서 내장형 표시부(43)는, 디지털 카메라(10)(도 2)에 의해, 보호판(42)의 표면이 표시면(43A)으로서 케이싱(11)의 배면(11B)으로부터 노출되게 하고, 도광판(40) 및 액정 패널(41)을 백라이트(44)와 함께 케이싱(11)에 수납한다.
액정 패널(41)은, 2개의 직사각형의 투명 기판 사이에 액정이 봉입되어 형성된 액정층을 갖는다. 액정 패널(41)은, 액정층의 표면(보호판(42)의 방향)에 컬러 필터 기판과, 예를 들어, 수직 편광 필터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액정 패널(41)은, 액정층의 이면(도광판(40)의 방향)에 전극 기판과, 예를 들어, 수평 방향의 편광 필터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전극 기판은, 직사각형의 투명한 기재 위에, 복수의 어레이형 화소의 화소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투명 전극이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컬러 필터 기판은, 직사각형의 투명한 기재 위에, 각 화소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투명 전극이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컬러 필터 기판은, 그 기재 위에, 각 화소 위치에 대응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3색(적색, 녹색, 청색)의 컬러 필터(CF1 내지 CF3) 및 적외선 수광용의 투명한 광 센서(LS)가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조작 스크린(16)(도 4)은, 디지털 카메라(10)에 내장된 회로 소자로서 표시 처리부(47) 및 영역 검출부(48)를 포함한다. 표시 처리부(47)는 전극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의 각 투명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영역 검출부(48)는 컬러 필터 기판의 각 광 센서(LS)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조작 스크린(16)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배터리를 갖는 전원 블록, 또는 제어부(20)로부터 라이트 발광 전력이 백라이트(44)에 공급되면, 그 라이트 발광 전력에 의해 백라이트(44)가 발광되게 한다.
따라서, 조작 스크린(16)은, 백라이트(44)의 발광에 의해 얻어지는 조명광을, 도광판(40)을 통해 액정 패널(41)의 이면 전체에 조사하고, 해당 액정 패널(41)에 투과시킨다.
조작 스크린(16)은, 제어부(2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 상태 제시 화상 데이터, 사진 화상 데이터, 동화상 데이터 등의 표시 화상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47)에 취득한다(fetch). 표시 처리부(47)는, 그 표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정 패널(41)에서 전극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의 투명 전극을 통해 액정층의 각 화소 위치의 액정 분자에 전압을 인가한다.
따라서, 조작 스크린(16)은, 액정층의 각 화소 위치의 액정 분자의 배향을 제어하고, 이들 액정 분자의 위치를 통해(액정층의 이면측으로부터 그 상부면으로 투과시킴) 조명광의 편향을 변화시킨다.
조작 스크린(16)은, 액정층의 각 액정 분자의 위치를 투과하는 조명광을, 컬러 필터(CF1 내지 CF3)를 통해 착색시키고, 액정 패널(41) 내의 편광 필터를 통해 그 착색된 조명광을 표시용의 광으로서 보호판(42)에 선택적으로 투과시킨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액정 패널(41)에서 생성되는 표시용의 광을, 표시광이라고 지칭한다.
조작 스크린(16)은, 액정층의 각 화소 위치의 액정 분자가 편향 필터 및 컬러 필터(CF1 내지 CF3)와 함께 화상의 화소로서 기능하게 하고, 광 센서 내장형 표시부(43)에 촬영 상태 제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광 센서 내장형 표시부(43)에 촬영 상태 제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광은, 백라이트(44)에 의해 방출된 조명광으로부터 생성되고, 결과적으로 가시 광선과 적외선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광에 포함되는 적외선은, 보호판(42)의 이면으로부터 그 상부면으로 거의 수직으로 투과되어, 전체 표시면(43A)(즉, 보호판(42)의 상부면)으로부터 디지털 카메라(10)의 외측으로 방출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표시광에 포함되고 디지털 카메라(10)의 외측으로 방출되는 적외선을, 출사 적외선이라고 지칭한다.
출사 적외선은, 조작자에 의해 유지되는 손, 손가락, 스타일러스 또는 그 밖의 조작체가 표시면(43A) 위에 유지되어 있을 때, 그 조작체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표시면(43A)으로 되돌아간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조작체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표시면(43A)으로 되돌아가는 출사 적외선을, 반사 적외선이라고 지칭한다.
조작 스크린(16)은, 출사 적외선이 표시면(43A) 위에 유지되어 있는 조작체의 표면에서 반사되었을 때, 그 반사에 의해 얻어지는 반사 적외선을 보호판(42)을 통해 투과시켜서 취득하고 복수의 광 센서(LS)에서 수광한다.
조작 스크린(16)은, 광 센서(LS)에 의한 반사 적외선의 수광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면(43A)상의 조작체 뒤에 은폐된 영역(즉, 조작체 뒤에 은폐된 부분이 표시면(43A)상에 투영되는 영역)을, 명령 입력용의 헬드 오버 영역으로서 검출한다.
표시면(43A)으로부터 방출되는 출사 적외선은, 해당 표시면(43A)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광량이 감쇠된다. 조작체의 표면에서 얻어지는 반사 적외선의 경우도, 표시면(43A)과 조작체의 표면이 가까울수록, 표시면(43A)에서 광량의 감쇠가 적고, 표시면(43A)과 조작체의 표면이 멀어질수록, 표시면(43A)에서 광량의 감쇠가 커진다.
조작체는, 표시면(43A) 위에 거의 평행하게 또는 비스듬히 유지되어 있을 수 있다. 조작체가 유저의 손(손바닥 또는 손가락)인 경우, 그 표면은 관절, 지문, 주름 또는 피부의 부분적인 차이로 인해 기복이 있다. 특히, 조작체가 유저의 손(손바닥 또는 손가락)인 경우, 그 단부는 동그랗다.
이 때문에 출사 적외선은, 조작체의 표면에 조사되면, 그 출사 경로를 역으로 찾아가도록 반사(즉, 바로 아래로 반사)되어 표시면(43A)으로 되돌아가는 부분도 있지만, 조작자의 손의 단부의 형태로 인해, 조작체의 주위에서 확산되도록 비스듬히 반사되어, 표시면(43A)으로 되돌아가는 다른 부분도 있다.
하지만, 출사 적외선이 조작체의 주위에서 확산되도록 반사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조작체가 표시면(43A)에 근접할수록, 해당 조작체의 표면에서의 반사 위치와 표시면(43A) 사이의 거리가 짧아진다.
그 결과, 출사 적외선이 조작체의 주위에서 확산되도록 반사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광량의 감쇠가 상당히 저감되어, 조작체의 바로 아래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광 센서(LS)에 의해 그 부분이 반사 적외선으로서 수광된다.
조작 스크린(16)은,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조작체가 표시면(43A)에 근접할수록, 해당 표시면(43A)상의 조작체 뒤에 은폐된 영역을 헬드 오버 영역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출사 적외선이 조작체의 주위에서 확산되도록 반사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표시면(43A)으로부터 조작체가 멀어질수록, 해당 조작체의 표면에서의 반사 위치와 표시면(43A)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거나, 그 부분이 표시면(43A)의 주변까지 진행하고, 광량의 감쇠가 커진다.
조작 스크린(16)에 의해 검출되는 헬드 오버 영역은, 표시면(43A)으로부터 조작체가 멀어질수록, 표시면(43A)상의 조작체 뒤에 은폐된 실제의 영역보다도 작아진다.
조작 스크린(16)에서는, 예를 들어, 표시면(43A)으로부터 수십(cm) 정도 떨어진 조작체의 표면에서 출사 적외선이 반사되는 경우에도, 광 센서(LS)에 의해, 소정량의 반사 적외선이 수광될 수 있도록, 출사 적외선의 소스(source)가 되는 조명광의 광량이 선택된다.
조작 스크린(16)은, 표시면(43A)으로부터 수십(cm) 정도의 범위 내로 조작체가 해당 표시면(43A)에 근접하고, 또한 그 표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될 때, 조작에 따른 헬드 오버 영역의 크기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조작 스크린(16)은, 예를 들어, 조작체로서 한쪽 손 및 다른 쪽 손이 표시면(43A) 위에 동시에 유지되어 있을 때, 해당 표시면(43A)에서 한쪽 손 또는 다른 쪽 손 뒤에 은폐되어 있는 2개의 영역을, 각각 헬드 오버 영역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사 적외선은, 표시면(43A) 위에 유지되어 있을 작정인 조작체가 접촉되더라도(즉, 표시면(43A)이 조작체에 의해 접촉되더라도), 그 조작체의 표면에서 반사되고, 반사 적외선으로서 표시면(43A)으로 되돌아간다.
조작 스크린(16)은, 표시면(43A)에 접촉되는 조작체의 표면에서 출사 적외선이 반사되었을 경우에도, 그 반사에 의해 얻어지는 반사 적외선을 보호판(42)을 통해 투과시켜 취득하고, 광 센서(LS)에 의해 수광한다.
조작 스크린(16)은, 광 센서(LS)에 의한 반사 적외선의 수광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면(43A)에 접촉한 조작체 뒤에 은폐되어 있는 영역을, 명령 입력용의 헬드 오버 영역으로서 검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로 조작 스크린(16)에서 각 화소 위치의 광 센서(LS)는, 반사 적외선을 수광하면, 그 수광된 반사 적외선을 광전 변환하고, 그 반사 적외선의 광량에 따른 아날로그 광전 신호를 생성한다. 각 화소 위치의 광 센서(LS)는, 반사 적외선을 수광하지 않으면, 그 값이 거의 0인 아날로그 광전 신호를 생성한다.
영역 검출부(48)에서 센서 주사 회로(50)는,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화소 위치의 광 센서(LS)를, 표시면(43A)의 좌측 상단 코너부로부터 우측 하단 코너부까지 순차적으로 1 라인씩 주사하고, 모든 화소 위치의 광 센서(LS)로부터 광전 신호를 취한다.
센서 주사 회로(50)는, 모든 광 센서(LS)로부터의 광전 신호를, 상당히 짧은 소정 주기로 반복하여 취한다. 센서 주사 회로(50)는, 모든 광 센서(LS)로부터 취득한 광전 신호를 해석 회로(51)에 송신한다.
해석 회로(51)는, 모든 광 센서(LS)로부터 취해진 복수의 광전 신호가 센서 주사 회로(50)로부터 제공될 때마다, 광전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고, 복수 항목의 디지털 수광 데이터를 생성한다.
해석 회로(51)는, 복수 항목의 수광 데이터의 각 값을, 사전설정된 임계값과 순차적으로 비교한다. 따라서, 해석 회로(51)는,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각 화소 위치의 광 센서(LS)가 반사 적외선을 수광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수광 유무 데이터(reception presence data)를 생성한다.
해석 회로(51)는, 각 화소 위치에서의 수광 유무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면(43A) 내에서 반사 적외선을 수광한 광 센서(LS)가 집합한 영역(반사 적외선을 수광한 광 센서(LS)가 배치되어 있는 화소 위치가 인접하여 집합한 영역)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표시면(43A) 내에서 반사 적외선을 수광한 광 센서(LS)가 집합한 영역을, 수광 영역이라고 지칭한다.
그 결과, 해석 회로(51)는, 표시면(43A) 내에서 1개 또는 복수의 수광 영역이 검출되면, 화소 위치의 좌표로 나타내어지는 수광 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검출된 수광 영역을 검출 회로(52)에 송신한다. 해석 회로(51)는, 표시면(43A) 내에서 어떠한 수광 영역도 검출되지 않을 때, 어떠한 것도 검출 회로(51)에 송신하지 않는다.
검출 회로(52)는, 해석 회로(51)로부터 수광 영역 데이터가 제공되면, 그 수광 영역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수광 영역의 개수를 검출한다. 그 결과, 검출 회로(52)는, 1개 또는 복수의 수광 영역이 검출되면, 그 수광 영역을, 명령 입력용의 헬드 오버 영역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검출 회로(52)는, 헬드 오버 영역의 면적(이하, 영역 면적이라고 지칭됨)을, 해당 헬드 오버 영역 내에 위치되는 화소의 개수로서 검출한다. 검출 회로(52)는, 헬드 오버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이하,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라고 지칭됨)를, 화소 위치의 좌표로서 검출한다.
검출 회로(52)는, 헬드 오버 영역에서 표시면의 수평 방향의 우단의 위치 및 좌단의 위치(즉, 표시면의 수평 방향의 최우측 위치 및 최좌측 위치)를 각각 화소 위치의 좌표로서 검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헬드 오버 영역의 우단의 위치를 영역의 우단 위치라고 지칭하고, 헬드 오버 영역의 좌단의 위치를, 영역의 좌단 위치라고 지칭한다.
검출 회로(52)는, 헬드 오버 영역에서 표시면의 수직 방향의 상단의 위치 및 하단의 위치(즉, 표시면의 수직 방향의 최상부 위치 및 최하부 위치)를 각각 화소 위치의 좌표로서 검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헬드 오버 영역의 상단의 위치를 영역의 상단 위치라고 지칭하고, 헬드 오버 영역의 하단의 위치를, 영역의 하단 위치라고 지칭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헬드 오버 영역에 대하여 검출된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영역 면적, 영역의 우단 위치, 영역의 좌단 위치, 영역의 상단 위치 및 영역의 하단 위치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경우, 이들을 통합하여 영역 정보라고 지칭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영역의 우단 위치, 영역의 좌단 위치, 영역의 상단 위치 및 영역의 하단 위치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경우, 이들을 통합하여 영역 위치라고 지칭한다.
검출 회로(52)는, 헬드 오버 영역에 대하여 검출된 영역 정보(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영역 면적, 영역의 우단 위치, 영역의 좌단 위치, 영역의 상단 위치, 영역의 하단 위치)를 영역 데이터 생성 회로(53)에 송신한다.
검출 회로(52)는, 수광 영역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수광 영역이 복수개 존재하면, 해당 수광 영역의 면적을 각 수광 영역 내에 위치되는 화소의 개수로서 검출한다. 검출 회로(52)는, 사전설정된 검출 개수(예를 들어, 5개)를 상한으로서, 최대 면적의 수광 영역으로부터 내림 차순으로, 보다 작은 면적의 수광 영역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명령 입력용의 헬드 오버 영역이라고 가정한다.
검출 회로(5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헬드 오버 영역에 대하여 영역 위치를 검출한다. 검출 회로(52)는, 각 헬드 오버 영역의 영역 정보(즉,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영역 면적(이 경우에는 수광 영역으로서 검출되어 있었던 면적), 영역의 우단 위치, 영역의 좌단 위치, 영역의 상단 위치 및 영역의 하단 위치)를 영역 데이터 생성 회로(53)에 송신한다.
영역 데이터 생성 회로(53)는, 검출 회로(52)로부터, 1개 또는 복수의 헬드 오버 영역의 영역 정보가 공급되면, 그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도 10에 나타낸 영역 데이터를 생성한다. 영역 데이터 생성 회로(53)는, 검출되는 헬드 오버 영역의 개수를 나타내는 개수 정보를 영역 데이터에 저장하고, 해당 검출되는 헬드 오버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영역 식별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한다.
영역 데이터 생성 회로(53)는, 영역 식별 정보를, 예를 들어, 최대 면적의 헬드 오버 영역으로부터 내림 차순으로, 보다 작은 면적의 헬드 오버 영역에 순차적으로 할당되는 번호로서 생성한다.
영역 데이터 생성 회로(53)는, 각 헬드 오버 영역의 영역 정보(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영역 면적, 영역의 우단 위치, 영역의 좌단 위치, 영역의 상단 위치, 영역의 하단 위치)를, 해당 헬드 오버 영역의 영역 식별 정보에 관련시키고, 그것을 영역 데이터에 저장한다. 영역 데이터 생성 회로(53)는 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된 영역 데이터를 제어부(20)에 송신한다.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예를 들어, 조작체로서의 손가락(손가락의 측면)을 표시면(43A) 위에 유지하는 조작을, 명령 입력용의 홀딩 오버 조작으로서 채용 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면(43A) 위에 손가락을 유지하는 조작 외에, 표시면(43A)의 비교적 넓은 다양한 영역 위에 조작체를 유지하는 조작을, 명령 입력용으로 채용하고 있다.
영역 데이터 생성 회로(53)는, 복수의 헬드 오버 영역이 검출되면, 예를 들어, 최대 면적의 헬드 오버 영역의 영역 정보로부터 내림 차순으로, 보다 작은 면적의 헬드 오버 영역의 영역 정보를 영역 데이터에 저장한다.
영역 데이터 생성 회로(53)는, 제어부(20)가, 영역 데이터로부터 최대 면적의 헬드 오버 영역의 영역 정보를 최초로 추출하게 하고, 이것을 명령 판단 처리에 사용하여,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을 가능한 신속하게 판단하게 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스크린(16)은, 홀딩 오버 조작이 행해졌을 때, 표시면(43A) 내의 1개 또는 복수의 헬드 오버 영역(55 및 56)을,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P1 및 P2) 또는 영역 면적(Area1 및 Area2) 등의 영역 정보로서 각각 검출한다.
조작 스크린(16)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광 센서(LS)로부터의 광전 신호를, 상당히 짧은 소정 주기로 반복하여 취한다. 조작 스크린(16)은, 예를 들어, 조작체가 표시면(43A)에 서서히 접근하거나, 그 표시면으로부터 멀어질 때, 예를 들어, 서서히 그 크기가 변화하는 헬드 오버 영역을 영역 정보로서 순차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조작 스크린(16)은, 헬드 오버 영역의 검출 결과를 영역 데이터로서 제어부(20)에 통지함으로써, 해당 제어부(20)가, 표시면(43A)에 대하여 행해진 홀딩 오버 조작을 정확하게 판단하게 한다.
즉, 조작 스크린(16)은, 제어부(20)가, 명령 입력용으로 조작체가 표시면(43A)의 어느 부분 위에 유지되어 있는지, 혹은 어떻게 유지되어 있는지(서서히 표시면(43A)에 접근하거나, 혹은 그 표시면으로부터 멀러지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하게 할 수 있다.
(1-5. 입력 판단 처리)
다음에, 제어부(20)에 의해, 영역 데이터에 기초하여,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을 판단하기 위해서 실행되는 명령 판단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20)는, 예를 들어, 내부 메모리에,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을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데이터 테이블(이하, 판단 테이블이라고 지칭됨)을 미리 저장한다.
판단 테이블은, 예를 들어, 동작 모드(촬영 모드, 재생 모드 또는 메뉴 표시 모드) 각각에 대하여 생성되어 있다. 각 동작 모드에 대한 판단 테이블에는, 해당 동작 모드에서 입력가능한 명령과, 그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기 위한 입력 판단 조건이 관련지어 저장되어 있다.
실제로, 제어부(20)는, 메뉴 표시 모드 시, 조작 스크린(16)(즉, 표시면(43A))에, 서로 다른 메뉴 항목을 나타내고, 조작체로서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홀딩 오버 조작으로 지정될 수 있는 복수의 아이콘을 표시한다.
메뉴 표시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에는, 아이콘 지정에 의해 입력가능한 명령(아이콘 표시 영역에 할당되는 명령)과, 그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기 위한 입력 판단 조건을 나타내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가 관련지어 저장되어 있다.
이 경우, 입력 판단 조건 정보에는, 예를 들어, 아이콘 표시 영역을 화소 위치의 좌표로 나타내는 표시 영역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입력 판단 조건 정보에는,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가 그 표시 영역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표시 영역 내이며, 그 영역 면적이 사전에 선택된 최대 면적 이하인 것을 나타내는 조건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최대 면적은 화소의 개수로 나타내어져 있다.
제어부(20)는, 메뉴 표시 모드 시, 조작 스크린(16)으로부터 영역 데이터가 제공되면, 그 영역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헬드 오버 영역의 개수를 판단한다.
제어부(20)는, 1개의 헬드 오버 영역이 검출되면, 영역 데이터로부터, 헬드 오버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를 추출한다. 제어부(20)는, 복수의 헬드 오버 영역이 검출되면, 영역 데이터로부터, 최대 면적의 1개의 헬드 오버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를 추출한다.
제어부(20)는, 메뉴 표시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로부터 복수의 입력 판단 조건 정보를 판독하면서, 해당 판독된 입력 판단 조건 정보의 내용을,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또는 영역 면적과 순차적으로 비교한다.
그 결과, 제어부(20)는,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을 나타내고, 또한 영역 면적이상의 최대 면적을 나타내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가 존재하면, 그 입력 판단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이,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라고 판단할 때, 해당 판단된 명령에 따라, 촬영 조건의 설정 또는 특정한 처리의 실행의 설정 등의 다양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20)는,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 및/또는 영역 면적이상의 최대 면적값을 나타내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어떠한 명령도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한 아이콘의 지정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을 판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촬영 모드 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명령 입력 영역으로서, 전체 표시면(43A)이 명령 입력 영역(CIA1)으로 설정된다.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촬영 모드 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명령 입력 영역으로서, 표시면(43A)의 수평 방향의 우측 절반 및 좌측 절반이 각각 명령 입력 영역(CIA2 및 CIA3)으로 설정된다.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촬영 모드 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명령 입력 영역으로서, 표시면(43A)의 수직 방향의 상측 절반 및 하측 절반이 각각 명령 입력 영역(CIA4 및 CIA5)으로 설정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촬영 모드 시, 전체 표시면(43A)으로 이루어진 명령 입력 영역(CIA1)을, 전체면 입력 영역(CIA1)이라고 지칭한다. 촬영 모드 시, 표시면(43A)의 우측 절반으로 이루어진 명령 입력 영역(CIA2)을, 우측 입력 영역(CIA2)이라고 지칭하고, 표시면(43A)의 좌측 절반으로 이루어진 명령 입력 영역(CIA3)을, 좌측 입력 영역(CIA3)이라고 지칭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촬영 모드 시, 표시면(43A)의 상측 절반으로 이루어진 명령 입력 영역(CIA4)을, 상측 입력 영역(CIA4)이라고 지칭하고, 표시면(43A)의 하측 절반으로 이루어진 명령 입력 영역(CIA5)을, 하측 입력 영역(CIA5)이라고 지칭한다.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촬영 모드 시에 입력가능한 명령으로서, 전체면 입력 영역(CIA1)에 사진 촬영용의 촬영 명령이 할당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예를 들어, 촬영 모드 시에 입력가능한 명령으로서, 우측 입력 영역(CIA2)에 촬영 범위를 넓히기 위한 줌 명령이 할당된다.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예를 들어, 촬영 모드 시에 입력가능한 명령으로서, 좌측 입력 영역(CIA3)에 촬영 범위를 좁히기 위한 줌 명령이 할당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촬영 범위를 넓히기 위한 줌 명령을, 줌아웃 명령이라고 지칭하고, 촬영 범위를 좁히기 위한 줌 명령을, 줌인 명령이라고 지칭한다.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예를 들어, 촬영 모드 시에 입력가능한 명령으로서, 상측 입력 영역(CIA4)에 동화상 촬영용의 기록 개시 명령을 할당할 수 있고, 하측 입력 영역(CIA5)에 동화상 촬영용의 기록 종료 명령이 할당된다.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에는, 이들 명령 입력 영역에 할당되는 명령과, 그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기 위한 입력 판단 조건을 나타내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가 관련지어 저장되어 있다.
촬영 명령에 관련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에는, 영역 면적이 사전설정된 제1 면적 임계값 이상인 것을 나타내는 조건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촬영 명령에 관련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에는, 초기 상태로서 촬영 모드 전반에 걸쳐 촬영 명령의 입력이 유효한 것을 나타내는 입력 유무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제1 면적 임계값은 화소의 개수로 나타내어지며, 전체면 입력 영역(CIA1)의 면적에 따라, 거의 전체 표시면(43A) 위에 조작체가 유지되어 있다는 것을 검출하도록 선택된다.
줌아웃 명령에 관련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에는, 예를 들어, 우측 입력 영역(CIA2)을 화소 위치의 좌표로 나타내는 표시 영역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입력 판단 조건 정보에는, 예를 들어, 영역 위치(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영역의 우단 위치, 영역의 좌단 위치, 영역의 상단 위치 또는 영역의 하단 위치)가 우측 입력 영역(CIA2) 내이며, 그 영역 면적이 사전설정된 제2 면적 임계값 이상인 것을 나타내는 조건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줌아웃 명령에 관련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에는, 초기 상태로서 촬영 모드 전반에 걸쳐 줌아웃 명령의 입력이 유효한 것을 나타내는 입력 유무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제2 면적 임계값은, 화소의 개수로 나타내어지고, 전체 표시면(43A)의 거의 절반으로서의 면적에 따라, 조작체가 표시면(43A)의 거의 절반 위에 유지되어 있다는 것을 검출하도록 선택된다.
줌인 명령에 관련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에는, 예를 들어, 좌측 입력 영역(CIA3)을 화소 위치의 좌표로 나타내는 표시 영역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줌인 명령에 관련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에는, 예를 들어, 영역 위치가 좌측 입력 영역(CIA3) 내이며, 그 영역 면적이 제2 면적 임계값 이상인 것을 나타내는 조건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줌인 명령에 관련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에는, 초기 상태로서 촬영 모드 전반에 걸쳐 줌인 명령의 입력이 유효한 것을 나타내는 입력 유무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기록 개시 명령에 관련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에는, 예를 들어, 상측 입력 영역(CIA4)을 화소 위치의 좌표로 나타내는 표시 영역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기록 개시 명령에 관련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에는, 예를 들어, 영역 위치가 상측 입력 영역(CIA4) 내이며, 그 영역 면적이 제2 면적 임계값 이상인 것을 나타내는 조건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기록 종료 명령에 관련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에는, 예를 들어, 하측 입력 영역(CIA5)을 화소 위치의 좌표로 나타내는 표시 영역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기록 종료 명령에 관련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에는, 예를 들어, 영역 위치가 하측 입력 영역(CIA5) 내이며, 그 영역 면적이 제2 면적 임계값 이상인 것을 나타내는 조건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예를 들어, 촬영 모드 시에 입력가능한 명령으로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지정된 위치(예를 들어,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에 포커스 또는 노출 등을 정합(conforming)하여 사진 촬영을 준비하라는 촬영 준비 명령이 포함된다.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에는, 그 촬영 준비 명령과, 해당 촬영 준비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기 위한 입력 판단 조건을 나타내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가 관련지어 저장되어 있다.
촬영 준비 명령에 관련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에는, 예를 들어, 영역 면적이 사전설정된 제3 면적 임계값 이하인 것을 나타내는 조건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촬영 준비 명령에 관련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에는, 동화상 촬영 동안을 제외한 촬영 모드 시, 촬영 준비 명령의 입력이 유효한 것을 나타내는 입력 유무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제3 면적 임계값은, 화소의 개수로 나타내어지고, 예를 들어, 사람의 검지 손가락의 평균 크기에 따라, 조작체로서의 손가락이 표시면(43A) 위에 유지되어 있다는 것을 검출하도록 선택된다.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예를 들어, 촬영 모드 시에 입력가능한 명령으로서, 촬영 상태 제시 화상에 위에 겹쳐서 표시되는 해당 디지털 카메라(10)의 사용 상태 또는 동화상 촬영의 상황을 나타내는 아이콘 또는 텍스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명령이 포함된다.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에는, 그 이동 명령과, 해당 이동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기 위한 입력 판단 조건을 나타내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가 관련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동 명령에 관련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에는, 예를 들어, 영역 면적이 사전설정된 하한 임계값과 상한 임계값 사이인 것을 나타내는 조건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입력 판단 조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한 임계값 및 하한 임계값은, 화소의 개수로 나타내어지고, 예를 들어, 하한 임계값은 제3 면적 임계값보다 큰 값으로 선택되고, 상한 임계값은 제2 면적 임계값보다 작은 값으로 선택된다.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예를 들어, 촬영 모드 시, 특히 동화상 촬영 도중에 입력가능한 명령으로서, 기록중의 동화상을 서서히 보이지 않게(fading out)하고, 또한 서서히 보이도록(fading in)하는 페이딩 명령이 포함된다.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에는, 그 페이딩 명령과, 해당 페이딩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기 위한 입력 판단 조건을 나타내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가 관련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 경우, 페이딩 명령에 관련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에는, 예를 들어, 동화상 촬영시에 1개 또는 2개의 헬드 오버 영역의 영역 면적이 사전설정된 제4 면적 임계값 이상인 것을 나타내는 조건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페이딩 명령에 관련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에는, 초기 상태로서 촬영 모드 전반에 걸쳐 해당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무효한 것을 나타내는 입력 유무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입력 판단 조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제4 면적 임계값은, 화소의 개수로 나타내어지고, 예를 들어, 제2 면적 임계값보다 작은 값으로 선택된다.
제어부(20)는, 예를 들어, 메뉴 표시 모드 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한 아이콘의 지정에 따라, 조작 스크린(16)에 표시된 소정의 설정 화상 상에서, 페이딩 명령의 입력을 유효하게 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무효한 상태에서, 그 입력을 유효하게 하는 것이 선택되면,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에서 페이딩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유무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여, 동화상 촬영 도중에 그 입력이 유효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 도중에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유효하게 되도록 설정한다.
제어부(20)는,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유효하게 되더라도, 뒤에 그 입력을 무효하게 하는 것이 선택되면,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에서 페이딩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유무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여, 촬영 모드 전반에 걸쳐 그 입력이 무효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촬영 모드 전반에 걸쳐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무효하게 되도록 설정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예를 들어, 표시면(43A)의 전체면 입력 영역(CIA1), 우측 입력 영역(CIA2) 또는 좌측 입력 영역(CIA3) 위에 조작체를 유지함으로써, 페이딩 명령을 입력시킨다.
즉, 페이딩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홀딩 오버 조작은, 촬영 명령, 줌아웃 명령 또는 줌인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홀딩 오버 조작과 구별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어부(20)는,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유효하게 되도록 설정되면,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에서 촬영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유무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여, 동화상 촬영 도중에 촬영 명령의 입력이 무효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 도중에 촬영 명령의 입력이 무효하게 되도록 설정한다.
제어부(20)는,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유효하게 되도록 설정되면,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에서 줌아웃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유무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여, 동화상 촬영 도중에 해당 줌아웃 명령의 입력이 무효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 도중에 줌아웃 명령의 입력이 무효하게 되도록 설정한다.
제어부(20)는,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유효하게 되도록 설정하면,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에서 줌인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유무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여, 동화상 촬영 도중에 해당 줌인 명령의 입력이 무효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 도중에 줌인 명령의 입력이 무효하게 되도록 설정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20)는,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무효하게 되도록 설정되면,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에서 촬영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유무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여, 촬영 모드 전반에 걸쳐 그 입력이 유효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촬영 모드 전반에 걸쳐 촬영 명령의 입력이 유효하게 되도록 설정한다.
제어부(20)는,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무효하게 되도록 설정되면,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에서 줌아웃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유무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여, 촬영 모드 전반에 걸쳐 줌아웃 명령의 입력이 유효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촬영 모드 전반에 걸쳐 줌아웃 명령의 입력이 유효하게 되도록 설정한다.
제어부(20)는,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무효하게 되도록 설정되면,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에서 줌인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유무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여, 촬영 모드 전반에 걸쳐 해당 줌인 명령의 입력이 유효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촬영 모드 전반에 걸쳐 줌인 명령의 입력이 유효하게 되도록 설정한다.
제어부(20)는,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무효하게 되도록 설정되면, 촬영 모드 전반에 걸쳐 촬영 명령, 촬영 준비 명령, 줌아웃 명령 및 줌인 명령의 입력이 유효하게 되도록 설정한다.
제어부(20)는,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유효하게 되도록 설정되면, 동화상 촬영 도중에 촬영 명령, 촬영 준비 명령, 줌아웃 명령 및 줌인 명령의 입력이 무효하게 되도록 설정한다.
제어부(20)는, 촬영 모드 시, 동화상 촬영이 행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조작 스크린(16)으로부터 영역 데이터가 제공되면, 그 영역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헬드 오버 영역의 개수를 판단한다.
제어부(20)는, 1개의 헬드 오버 영역이 검출되면, 영역 데이터로부터, 그 헬드 오버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를 추출한다. 제어부(20)는, 복수의 헬드 오버 영역이 검출되면, 영역 데이터로부터, 최대 면적의 1개의 헬드 오버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제어부(20)는,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로부터, 예를 들어, 촬영 준비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를 판독한다. 그 후, 제어부(20)는,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영역 면적을, 촬영 준비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의 내용과 비교한다.
그 결과, 제어부(20)는, 영역 면적이 제3 면적 임계값 이하일 때,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 촬영 준비 명령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촬영 준비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 그 촬영 준비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촬영 준비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20)는, 영역 면적이 제3 면적 임계값보다 클 때, 촬영 준비 명령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20)는,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로부터, 예를 들어, 촬영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를 판독한다. 그 후, 제어부(20)는,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영역 면적을, 촬영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의 내용과 비교한다.
그 결과, 제어부(20)는, 영역 면적이 제1 면적 임계값 이상일 때,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 촬영 명령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촬영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 그 촬영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사진 촬영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20)는, 영역 면적이 제1 면적 임계값보다 작을 때, 촬영 명령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로부터, 예를 들어, 줌인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를 판독한다.
제어부(20)는,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영역 면적,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영역의 우단 위치, 영역의 좌단 위치, 영역의 상단 위치 및 영역의 하단 위치를, 줌인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의 내용과 비교한다.
그 결과, 제어부(20)는, 영역 위치가 좌측 입력 영역(CIA3) 내이며 그 영역 면적이 제2 면적 임계값 이상일 때, 이때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 줌인 명령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줌인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 그 줌인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줌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20)는, 영역 면적이 제2 면적 임계값 이상이고,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영역의 우단 위치, 영역의 좌단 위치, 영역의 상단 위치 및 영역의 하단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좌측 입력 영역(CIA3) 외이면, 줌인 명령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로부터, 예를 들어, 줌아웃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를 판독한다. 그 후, 제어부(20)는,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영역 위치를, 줌아웃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의 내용과 비교한다.
그 결과, 제어부(20)는, 영역 위치가 우측 입력 영역(CIA2) 내이면,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 줌아웃 명령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줌아웃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 그 줌아웃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줌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20)는,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영역의 우단 위치, 영역의 좌단 위치, 영역의 상단 위치 및 영역의 하단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우측 입력 영역(CIA2) 외이면, 줌아웃 명령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20)는,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로부터, 예를 들어, 기록 개시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를 판독한다. 그 후, 제어부(20)는,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영역 위치를, 기록 개시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의 내용과 비교한다.
그 결과, 제어부(20)는, 영역 위치가 상측 입력 영역(CIA4) 내이면,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 기록 개시 명령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기록 개시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 그 기록 개시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동화상 촬영 처리를 개시(즉, 동화상 촬영의 기록을 개시)한다.
제어부(20)는,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영역의 우단 위치, 영역의 좌단 위치, 영역의 상단 위치 및 영역의 하단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측 입력 영역(CIA4) 외이면, 어떠한 명령도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영역 면적이 제2 면적 임계값보다 작으면,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로부터,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를 판독한다. 그 후, 제어부(20)는,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영역 면적을,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의 내용과 비교한다.
그 결과, 제어부(20)는, 영역 면적이 하한 임계값과 상한 임계값 사이이면,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 이동 명령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이동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 그 이동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이동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20)는, 영역 면적이 하한 임계값보다 작거나 상한 임계값보다 크면, 어떠한 명령도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촬영 모드 시, 동화상 촬영을 개시할 때까지,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촬영 준비 명령, 촬영 명령, 줌인 명령, 줌아웃 명령, 이동 명령 및 기록 개시 명령 중 어느 것이 입력되었는지를 적절히 판단한다.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 처리를 개시하면,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유효한지를 판단한다. 그 결과, 제어부(20)는,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무효하면, 조작 스크린(16)에 의해, 홀딩 오버 조작의 검출을 대기한다.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 동안, 조작 스크린(16)으로부터 영역 데이터가 제공되면, 그 영역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헬드 오버 영역의 개수를 판단한다. 제어부(20)는, 1개의 헬드 오버 영역이 검출되면, 영역 데이터로부터, 그 헬드 오버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를 추출한다. 제어부(20)는, 복수의 헬드 오버 영역이 검출되면, 영역 데이터로부터, 최대 면적의 1개의 헬드 오버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를 추출한다.
제어부(20)는,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로부터, 예를 들어, 촬영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를 판독한다. 제어부(20)는,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영역 면적을, 촬영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의 내용과 비교한다.
그 결과, 제어부(20)는, 영역 면적이 제1 면적 임계값 이상이면,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 촬영 명령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촬영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 동화상 촬영 처리를 실행하면서, 그 촬영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사진 촬영 처리도 실행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20)는, 영역 면적이 제1 면적 임계값보다 작으면, 촬영 명령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로부터, 예를 들어, 줌인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를 판독한다.
제어부(20)는,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영역 면적,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영역의 우단 위치, 영역의 좌단 위치, 영역의 상단 위치 및 영역의 하단 위치를, 줌인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의 내용과 비교한다.
그 결과, 제어부(20)는, 영역 위치가 좌측 입력 영역(CIA3) 내이고, 그 영역 면적이 제2 면적 임계값 이상이면,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 줌인 명령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줌인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 동화상 촬영 처리를 실행하면서, 그 줌인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줌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20)는, 영역 면적이 제2 면적 임계값 이상이고,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영역의 우단 위치, 영역의 좌단 위치, 영역의 상단 위치 및 영역의 하단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좌측 입력 영역(CIA3) 외이면, 줌인 명령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로부터, 예를 들어, 줌아웃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를 판독한다. 그 후, 제어부(20)는,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영역 위치를, 줌아웃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의 내용과 비교한다.
그 결과, 제어부(20)는, 영역 위치가 우측 입력 영역(CIA2) 내이면,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 줌아웃 명령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줌아웃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 동화상 촬영 처리를 실행하면서, 그 줌아웃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줌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20)는,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영역의 우단 위치, 영역의 좌단 위치, 영역의 상단 위치, 영역의 하단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우측 입력 영역(CIA2) 외이면, 줌아웃 명령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20)는,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로부터, 예를 들어, 기록 종료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를 판독한다. 그 후, 제어부(20)는,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영역 위치를, 기록 종료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의 내용과 비교한다.
그 결과, 제어부(20)는, 영역 위치가 하측 입력 영역(CIA5) 내이면,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 기록 종료 명령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기록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 그 기록 종료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동화상 촬영 처리를 종료(즉, 동화상 촬영의 기록을 종료)한다.
제어부(20)는,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영역의 우단 위치, 영역의 좌단 위치, 영역의 상단 위치 및 영역의 하단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하측 입력 영역(CIA5) 외이면, 어떠한 명령도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영역 면적이 제2 면적 임계값보다 작으면,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로부터, 예를 들어,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를 판독한다. 그 후, 제어부(20)는,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영역 면적을,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의 내용과 비교한다.
그 결과, 제어부(20)는, 영역 면적이 하한 임계값과 상한 임계값 사이이면,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 이동 명령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이동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 동화상 촬영 처리를 실행하면서, 그 이동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이동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20)는, 영역 면적이 하한 임계값보다 작거나 상한 임계값보다 크면, 어떠한 명령도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 도중에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무효할 때,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촬영 명령, 줌인 명령, 줌아웃 명령, 이동 명령 및 기록 종료 명령 중 어느 것이 입력되었는지를 적절히 판단한다.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 처리가 개시되었고,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유효한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로서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조작 스크린(16)에 의해, 홀딩 오버 조작의 검출을 대기한다.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 도중에 조작 스크린(16)으로부터 영역 데이터가 제공되면, 그 영역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헬드 오버 영역의 개수를 판단한다. 제어부(20)는, 1개의 헬드 오버 영역이 검출되면, 영역 데이터로부터, 그 헬드 오버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를 추출한다.
제어부(20)는, 예를 들어,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로부터, 기록 종료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를 판독한다.
그 후, 제어부(20)는,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영역 면적,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영역의 우단 위치, 영역의 좌단 위치, 영역의 상단 위치 및 영역의 하단 위치를, 기록 종료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의 내용과 비교한다.
그 결과, 제어부(20)는, 영역 위치가 하측 입력 영역(CIA5) 내이고, 그 영역 면적이 제2 면적 임계값 이상이면,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 기록 종료 명령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기록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 그 기록 종료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동화상 촬영 처리를 종료(즉, 동화상 촬영의 기록을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20)는,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영역의 우단 위치, 영역의 좌단 위치, 영역의 상단 위치 및 영역의 하단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하측 입력 영역(CIA5) 외이고, 및/또는 그 영역 면적이 제2 면적 임계값보다 작으면, 기록 종료 명령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기록 종료 명령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로부터, 예를 들어, 페이딩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를 판독한다. 그 후, 제어부(20)는,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영역 면적을, 페이딩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의 내용과 비교한다.
그 결과, 제어부(20)는, 영역 면적이 제4 면적 임계값 이상이면,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 페이딩 명령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페이딩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 그 페이딩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페이딩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20)는, 영역 면적이 제4 면적 임계값보다도 작으면, 어떠한 명령도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 도중에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유효한 상태에서, 조작 스크린(16) 상에서 적어도 2개의 헬드 오버 영역이 검출되면, 제공되는 영역 데이터로부터, 최대 헬드 오버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를 추출한다.
제어부(20)는, 예를 들어,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로부터, 기록 종료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를 판독한다.
제어부(20)는,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영역 면적,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영역의 우단 위치, 영역의 좌단 위치, 영역의 상단 위치 및 영역의 하단 위치를, 기록 종료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의 내용과 비교한다.
그 결과, 제어부(20)는, 영역 위치가 하측 입력 영역(CIA5) 내이고, 그 영역 면적이 제2 면적 임계값 이상이면,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 기록 종료 명령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기록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 그 기록 종료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동화상 촬영 처리를 종료(즉, 동화상 촬영의 기록을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20)는,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영역의 우단 위치, 영역의 좌단 위치, 영역의 상단 위치 및 영역의 하단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하측 입력 영역(CIA5) 외이고, 및/또는 그 영역 면적이 제2 면적 임계값보다 작으면, 기록 종료 명령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조작 스크린(16)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역 데이터로부터, 최대 다음의 헬드 오버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를 추출한다. 제어부(20)는, 촬영 모드용의 판단 테이블로부터, 예를 들어, 페이딩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를 판독한다.
그 후, 제어부(20)는, 2개 항목의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영역 면적을, 페이딩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판단 조건 정보의 내용과 비교한다. 그 결과, 제어부(20)는, 적어도 1개의 영역 면적이 제4 면적 임계값 이상이면,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 페이딩 명령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페이딩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 그 페이딩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페이딩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20)는, 2개의 영역 면적 모두가 제4 면적 임계값보다 작으면, 어떠한 명령도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 도중에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유효하면,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기록 종료 명령 및 페이딩 명령 중 어느 것이 입력되었는지를 적절히 판단한다.
(1-6. 촬영 제어 처리)
이하에, 제어부(20)가, 촬영 모드 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을 판단하고, 그 판단한 명령에 기초하여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 동안을 제외한, 조작 스크린(16) 상에서 촬영 상태 제시 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에, 예를 들어, 조작체로서의 손가락이 피사체(인물의 얼굴) 위에 유지되어 있어 촬영 준비 명령이 입력되면, 촬영 준비 처리를 실행한다.
이때, 제어부(20)는, 예를 들어, 드라이버(25)를 통해 광학 유닛(23)을 구동하는 것을 제어한다. 제어부(20)는, 촬영 상태 제시 화상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촬영 범위 중에서,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지정된 인물의 얼굴과 같은 특정한 부분)의 포커스 또는 노출을 조정하여 사진 촬영을 준비한다.
제어부(20)는, 사진 촬영 준비를 완료하면, 그 준비가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사전설정된 유지 시간(수초간)이 경과할 때까지, 준비된 상태(이하, 준비 완료 상태라고 지칭됨)를 유지한다. 제어부(20)는, 촬영 준비 명령의 입력에 후속하여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촬영 준비 상태에서 피사체를 사진 촬영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조작 스크린(16) 상에 촬영 상태 제시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조작체로서의 손바닥이 거의 전체 표시면(43A) 위에 유지되어 있어,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사진 촬영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20)는, 동화상을 촬영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준비 완료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촬영부(22) 및 코덱(29)을 함께 제어하여 피사체를 사진 촬영하고 사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 후, 제어부(20)는, 그 사진 화상 데이터(즉, 압축 사진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30)에 기록한다.
제어부(20)는, 촬영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사진 촬영 준비가 완료되지 않았다면, 촬영 범위 중에서, 홀딩 오버 조작에서 검출된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의 포커스 또는 노출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사진 촬영을 준비한다.
즉, 제어부(20)는, 촬영 준비 명령이 미리 입력되지 않고 촬영 명령이 입력되었을 경우, 혹은 촬영 준비 후에 촬영 명령이 입력되었을 경우, 사진 촬영을 준비한다.
그 후, 제어부(20)는, 촬영부(22) 및 코덱(29)을 함께 제어하여 피사체를 사진 촬영하고 사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그 사진 화상 데이터(즉, 압축 사진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30)에 기록한다.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 도중에도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무효하게 되면, 촬영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사진 촬영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 도중에 사진 촬영하는 경우, 사진 촬영을 준비하기 위해 촬영 범위 내의 특정한 부분의 포커스 또는 노출을 조정하지는 않으며, 촬영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사진 촬영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에 의해 얻어지는 동화상에서, 인물의 얼굴 등의 특정한 부분의 포커스 또는 노출이 다른 부분과는 다르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촬영 상태 제시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예를 들어, 조작체로서의 손바닥이 표시면(43A)의 거의 좌측 절반 위에 유지되어 있어, 줌인 명령이 입력되면, 줌 처리를 실행한다. 이때, 제어부(20)는, 예를 들어, 드라이버(25)를 통해 광학 유닛(23)을 구동하는 것을 제어함으로써 줌 렌즈를 이동시켜서 촬영 범위를 좁힌다.
제어부(20)는, 손바닥이 표시면(43A)의 거의 좌측 절반 위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줌 렌즈를 서서히 이동시킨다. 제어부(20)는, 손바닥이 표시면(43A)의 거의 좌측 절반 위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에 따라, 촬영 범위를 어느 정도 좁힐 것인지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촬영 상태 제시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조작체로서의 손바닥이 표시면(43A)의 거의 우측 절반 위에 유지되어 있어, 줌아웃 명령이 입력되면, 줌 처리를 실행한다. 이때, 제어부(20)는, 예를 들어, 드라이버(25)를 통해 광학 유닛(23)을 구동하는 것을 제어함으로써 줌 렌즈를 이동시켜서 촬영 범위를 넓힌다.
제어부(20)는, 손바닥이 표시면(43A)의 거의 우측 절반 위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줌 렌즈를 서서히 이동시킨다. 제어부(20)는, 손바닥이 표시면(43A)의 거의 우측 절반 위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에 의해, 촬영 범위를 어느 정도 넓힐 것일지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조작 스크린(16)에 촬영 상태 제시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조작체로서의 손바닥이 표시면(43A)의 상측 절반 위에 유지되어 있어, 기록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동화상 촬영 처리를 개시한다.
이때, 제어부(20)는, 촬영부(22) 및 코덱(29)을 함께 제어하여 피사체의 동화상 촬영을 개시(즉, 촬영의 기록을 개시)함으로써, 동화상 데이터(즉, 압축 동화상 데이터)의 생성 및 기록 매체(30)로의 기록을 개시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 처리를 개시한 후, 예를 들어, 조작체로서의 손바닥이 표시면(43A)의 하측 절반 위에 유지되어 있어, 기록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실행 중이었던 동화상 촬영 처리를 종료한다.
제어부(20)는, 촬영부(22) 및 코덱(29)을 함께 제어하여 피사체의 동화상 촬영을 종료(즉, 촬영의 기록을 종료)함으로써, 동화상 데이터(즉, 압축 동화상 데이터)의 생성 및 기록 매체(30)로의 기록을 종료한다.
도 19a 내지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 전에 조작 스크린(16)에 촬영 상태 제시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동안에, 그 촬영 상태 제시 화상 위에, 디지털 카메라(1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소정의 레이아웃에서 겹쳐서 표시한다.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 동안, 조작 스크린(16)에 촬영 상태 제시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 촬영 상태 제시 화상 위에, 동화상 촬영의 상태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소정의 레이아웃에서 겹쳐서 표시한다.
제어부(20)는, 조작 스크린(16)에 촬영 상태 제시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조작체로서의 손바닥이 표시면(43A)의 우단 근처, 좌단 근처, 상단 근처 또는 하단 근처 위에 유지되어 있어,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이동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20)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검출된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또는 영역 위치)에 따라, 표시면(43A)상의 헬드 오버 영역의 위치(표시면(43A)의 우단 근처, 좌단 근처, 상단 근처 또는 하단 근처)를 검출한다.
제어부(20)는, 그 검출 결과에 따라 촬영 상태 제시 화상 데이터에 대한 복수의 아이콘의 화상 데이터 또는 복수의 텍스트의 텍스트 데이터의 합성 위치를 변경한다. 제어부(20)는, 촬영 상태 제시 화상 상의, 조작체가 위에 유지되어 있는 부분으로, 복수의 아이콘 또는 텍스트를 이동시켜서 표시한다.
이런 방식으로, 제어부(20)는, 촬영 상태 제시 화상 내의 아이콘 또는 텍스트를 피사체 위로부터, 조작체가 위에 유지되어 있는 우단 근처, 좌단 근처, 상단 근처 또는 하단 근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아이콘 또는 텍스트에 의해 피사체의 촬영 상태의 확인이 어려워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 동안,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유효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조작체로서의 한쪽 손바닥이 표시면(43A) 위에 유지되어 있어, 페이딩 명령이 입력되면, 페이딩 처리를 실행한다.
실제로, 제어부(20)는, 헬드 오버 영역의 그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및 영역 면적의 크기에 따라 디지털 처리 회로(28)를 제어하고, 동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 항목의 단위 동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명도 또는 채도를 조정하는 페이딩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20)는, 조작체로서의 손바닥이 표시면(43A)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그 표시면에 가까워져서 영역 면적이 변화되면, 그 변화에 따라 디지털 처리 회로(28)를 제어한다. 제어부(20)는, 동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 항목의 단위 동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명도 또는 채도의 조정 값을 서서히 변화시키는 페이딩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20)는, 페이딩 명령의 입력 시점에, 손바닥이 표시면(43A)에 근접하여 있으면,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동화상에서 헬드 오버 영역에 대응하는 전체면, 혹은 우측 절반 또는 좌측 절반 등의 1개 부분을, 흑색 또는 백색으로 변화시킨다.
제어부(20)는,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동화상에서 헬드 오버 영역에 대응하는 전체면, 혹은 우측 절반 또는 좌측 절반을 거의 은폐시킨다.
제어부(20)는, 표시면(43A)에 근접하여 있었던 손바닥이 그 표시면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면,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동화상에서 헬드 오버 영역에 대응하는 전체면, 혹은 우측 절반 또는 좌측 절반으로부터 흑색 또는 백색을 서서히 제거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동화상에서 헬드 오버 영역에 대응하는 전체면, 혹은 우측 절반 또는 좌측 절반의 화상을 서서히 보이도록(즉, 페이드 인(fade in)) 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20)는, 페이딩 명령의 입력 시점에, 손바닥이 표시면(43A)으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으면,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동화상에서 헬드 오버 영역에 대응하는 전체면, 혹은 우측 절반 또는 좌측 절반 등의 1개 부분에 흑색 또는 백색을 약간 추가한다.
제어부(20)는,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동화상에서 헬드 오버 영역에 대응하는 전체면, 혹은 우측 절반 또는 좌측 절반에서, 화상을 약간 불분명하게 만든다.
제어부(20)는, 손바닥이 표시면(43A)에 서서히 가까워질 때에,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동화상에서 헬드 오버 영역에 대응하는 전체면, 혹은 우측 절반 또는 좌측 절반에 추가되는 흑색 또는 백색을 서서히 증가시킨다.
제어부(20)는,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동화상에서 헬드 오버 영역에 대응하는 전체면, 혹은 우측 절반 또는 좌측 절반의 화상을 서서히 은폐(즉, 페이드 아웃(fade-out))한다.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을 실행하면서, 동화상 데이터를 적절히 페이딩시켜서 생성 및 기록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동화상 데이터와 동시에 생성되는 촬영 상태 제시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페이딩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20)는, 조작 스크린(16)에 표시하고 있는 촬영 상태 제시 화상에 의해,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동화상에 실시되고 있는 페이드 상태를 확인시킬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 동안,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유효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2개의 동시 조작체로서의 양쪽 손바닥이 표시면(43A) 위에 유지되어 있어, 페이딩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도, 페이딩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20)는, 2개의 헬드 오버 영역 중, 1개의 헬드 오버 영역만이 페이딩 명령의 입력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도 20a 내지 도 20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한다.
제어부(20)는, 2개의 헬드 오버 영역이 페이딩 명령의 입력 조건을 만족시키면, 2개의 헬드 오버 영역의,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및 영역 면적에 따라 디지털 처리 회로(28)를 제어하고, 동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 항목의 단위 동화상 데이터에 페이딩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20)는, 양쪽 손바닥이 표시면(43A)으로부터 멀어진 뒤에 그 표시면에 가까워져서, 2개의 영역 면적이 변화되면, 그 변화에 따라 디지털 처리 회로(28)를 제어하고, 동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 항목의 단위 동화상 데이터에 페이딩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20)는, 페이딩 명령의 입력 시점에, 양쪽손바닥이 표시면(43A)에 근접하여 있으면,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동화상에서 2개의 헬드 오버 영역에 대응하는 우단 근처 및 좌단 근처, 또는 상단 근처 및 좌단 근처의 2부분을 흑색 또는 백색으로 변화시킨다.
제어부(20)는,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동화상에서 2개의 헬드 오버 영역에 대응하는 우단 근처 및 좌단 근처, 또는 상단 근처 및 좌단 근처의 2부분에서 화상을 거의 은폐시킨다.
제어부(20)는, 표시면(43A)에 근접하여 있었던 양쪽 손바닥이 그 표시면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면,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동화상에서 2개의 헬드 오버 영역에 대응하는 우단 근처 및 좌단 근처, 또는 상단 근처 및 좌단 근처의 2개 부분으로부터 흑색 또는 백색을 서서히 제거한다.
제어부(20)는,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동화상에서 2개의 헬드 오버 영역에 대응하는 우단 근처 및 좌단 근처, 또는 상단 근처 및 좌단 근처의 2개 부분에서 화상을 서서히 보이도록(즉, 페이드 인) 한다.
제어부(20)는, 페이딩 명령의 입력 시점에, 양쪽 손바닥이 표시면(43A)으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으면,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동화상에서 2개의 헬드 오버 영역에 대응하는 우단 근처 및 좌단 근처, 또는 상단 근처 및 좌단 근처의 2개 부분에 흑색 또는 백색을 약간 추가한다.
제어부(20)는,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동화상에서 2개의 헬드 오버 영역에 대응하는 우단 근처 및 좌단 근처, 또는 상단 근처 및 좌단 근처의 2개 부분에서 화상을 약간 불분명하게 만든다.
제어부(20)는, 양쪽 손바닥이 표시면(43A)에 서서히 가까워질 때,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동화상에서 2개의 헬드 오버 영역에 대응하는 우단 근처 및 좌단 근처, 또는 상단 근처 및 좌단 근처의 2개 부분에 추가되는 흑색 또는 백색을 서서히 증가시킨다.
제어부(20)는, 양쪽 손바닥이 표시면(43A)에 서서히 가까워질 때,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동화상에서 2개의 헬드 오버 영역에 대응하는 우단 근처 및 좌단 근처, 또는 상단 근처 및 좌단 근처의, 흑색 또는 백색이 추가되는 2개의 부분을 서서히 넓힌다.
제어부(20)는,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동화상에서 2개의 헬드 오버 영역에 대응하는 우단 근처 및 좌단 근처, 또는 상단 근처 및 좌단 근처의 2개의 부분의 화상을 서서히 은폐(즉, 페이드 아웃)시킨다.
제어부(20)는,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동화상에서, 2개 부분의 화상을 서서히 은폐시켜서 상기 2개의 부분을 서서히 넓히고, 최종적으로 단위 동화상 전체의 화상을 실질적으로 은폐시킨다.
제어부(20)는, 동화상 촬영을 실행하면서, 동화상 데이터를 적절히 페이딩시켜서 생성 및 기록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이때 동화상 데이터와 동시에 생성되는 촬영 상태 제시 화상 데이터에 마찬가지로 페이딩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20)는, 조작 스크린(16)에 표시된 촬영 상태 제시 화상에 의해, 홀딩 오버 조작에 따라 동화상에 실시되고 있는 페이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페이딩 처리가 실행되어,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동화상으로 이루어진 화상이 서서히 보이지 않게 되어, 최종적으로 단위 동화상 전체로 이루어진 화상이 완전히 보이지 않을 때, 그 시점으로부터 내부의 타이머에 의해 계시를 개시한다.
제어부(20)는, 단위 동화상 전체의 화상이 완전히 보이지 않게 된 후, 새롭게 페이딩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채, 소정의 시간에 도달하면, 동화상 촬영 처리를 자동으로 종료한다.
제어부(20)는, 동화상의 화상이 서서히 보이지 않게 되고, 최종적으로 동화상의 화상이 완전히 보이지 않게 된 채, 동화상 촬영이 종료되도록 요망되면, 기록 종료 명령의 입력 없이, 동화상 촬영을 자동으로 종료시킬 수 있다.
(1-7. 촬영 제어 처리 수순)
이하, 도 22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촬영 모드 시, 내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촬영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20)에 의해 실행되는 촬영 제어 처리 수순 RT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20)는, 촬영 모드로 들어가면, 내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촬영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도 22 내지 도 26에 나타내어진 촬영 제어 처리 수순 RT1을 개시한다. 촬영 제어 처리 수순 RT1이 개시되면, 제어부(20)는, 단계 SP1에서 헬드 오버 영역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P1에서 "아니오"의 결과는, 표시면(43A)에 대하여 홀딩 오버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1에서 "아니오"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다음 단계 SP2로 진행한다.
단계 SP2에서, 제어부(20)는 촬영 모드를 종료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P2에서 "아니오"의 결과는, 재생 모드로의 이행 또는 전원 오프가 지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2에서 "아니오"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P1로 되돌아간다.
제어부(20)는, 단계 SP1 또는 단계 SP2에서 "예"의 결과를 얻을 때까지, 단계 SP1 및 단계 SP2를 반복하여 실행하고, 홀딩 오버 조작 또는 촬영 모드의 종료를 대기한다.
단계 SP1에서 "예"의 결과는, 표시면(43A)에 대하여 홀딩 오버 조작이 행해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1에서 "예"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P3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단계 SP3에서, 홀딩 오버 조작으로부터 검출된 영역 면적이 제3 면적 임계값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P3에서 "예"의 결과는, 예를 들어, 조작체로서의 손가락이 표시면(43A) 위에 유지되어 있어, 촬영 준비 명령이 입력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3에서 "예"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다음 단계 SP4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단계 SP4에서, 드라이버(25)를 통해 광학 유닛(23)을 구동하는 것을 제어하여 촬영 준비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촬영 범위 내에서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의 포커스 또는 노출을 조정하여 사진 촬영을 준비한다. 또한 제어부(20)는, 내부 타이머에 의해 유지 시간의 계시(count)를 개시하고, 준비 완료된 상태를 유지한 채, 단계 SP1로 되돌아간다.
단계 SP3에서 "아니오"의 결과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촬영 명령, 줌아웃 명령, 줌인 명령, 이동 명령 및 기록 개시 명령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었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3에서 "아니오"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P5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단계 SP5에서, 홀딩 오버 조작으로부터 검출된 영역 면적이 제1 면적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P5에서 "예"의 결과는, 조작체로서의 손바닥이 거의 전체 표시면(43A) 위에 유지되어 있어, 촬영 명령이 입력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5에서 "예"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다음 단계 SP6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단계 SP6에서, 사진 촬영 준비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P6에서 "예"의 결과는, 촬영 준비 명령에 후속한 촬영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준비 완료된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6에서 "예"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다음 단계 SP7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단계 SP6에서 "아니오"의 결과는, 촬영 준비 명령의 입력 전에 촬영 명령이 입력되었고, 사진 촬영이 완벽히 준비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6에서 "아니오"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다음 단계 SP8로 진행한다.
단계 SP8에서, 제어부(20)는 드라이버(25)를 통해 광학 유닛(23)을 구동하는 것을 제어하여 촬영 준비 처리를 실행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촬영 범위 내에서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의 포커스 또는 노출을 조정하여 사진 촬영을 준비하고, 단계 SP7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사진 촬영을 준비한 채로, 단계 SP7에서, 촬영부(22) 및 코덱(29)을 제어하여 사진 촬영 처리를 실행한 후, 단계 SP1로 되돌아간다.
단계 SP5에서 "아니오"의 결과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줌아웃 명령, 줌인 명령, 이동 명령 및 기록 개시 명령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었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5에서 "아니오"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도 23의 단계 SP9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단계 SP9에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검출되는 영역 면적이 제2 면적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P9에서 "예"의 결과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줌아웃 명령, 줌인 명령 및 기록 개시 명령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었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9에서 "예"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P10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단계 SP10에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검출되는 영역 위치가 좌측 입력 영역(CIA3) 내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P10에서 "예"의 결과는, 조작체로서의 손바닥이 표시면(43A)의 거의 좌측 절반 위에 유지되어 있어, 줌아웃 명령이 입력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10에서 "예"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다음 단계 SP11로 진행한다.
단계 SP11에서 제어부(20)는 드라이버(25)를 통해 광학 유닛(23)을 구동하는 것을 제어하여 줌인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줌 렌즈를 이동시켜서 촬영 범위를 좁힌 후, 단계 SP1로 되돌아간다.
단계 SP10에서 "아니오"의 결과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줌아웃 명령 및 기록 개시 명령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었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10에서 "아니오"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P12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단계 SP12에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검출되는 영역 위치가 우측 입력 영역(CIA2) 내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P12에서 "예"의 결과는, 예를 들어, 조작체로서의 손바닥이 표시면(43A)의 거의 우측 절반 위에 유지되어 있어, 줌인 명령이 입력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12에서 "예"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다음 단계 SP13로 진행한다.
단계 SP13에서 제어부(20)는 드라이버(25)를 통해 광학 유닛(23)을 구동하는 것을 제어하여 줌아웃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줌 렌즈를 이동시켜서 촬영 범위를 넓힌 후, 단계 SP1로 되돌아간다.
단계 SP9에서 "아니오"의 결과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이동 명령이 입력되었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9에서 "아니오"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P14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단계 SP14에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검출되는 영역 위치가 하한 임계값과 상한 임계값 사이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P14에서 "예"의 결과는, 조작체로서의 손바닥이 표시면(43A)의 우단 근처, 좌단 근처, 상단 근처 또는 하단 근처 위에 유지되어 있어, 이동 명령이 입력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14에서 "예"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다음 단계 SP15로 진행한다.
단계 SP15에서, 제어부(20)는, 촬영 상태 제시 화상 상의, 조작자가 위에 유지되어 있는 부분으로, 아이콘들 또는 텍스트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 처리를 실행한 후, 단계 SP1로 되돌아간다.
단계 SP14에서 "아니오"의 결과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표시면(43A) 위에 조작체가 유지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어떠한 명령도 입력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14에서 "아니오"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P1로 되돌아간다.
단계 SP12에서 "아니오"의 결과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기록 개시 명령이 입력되었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12에서 "아니오"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P16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단계 SP16에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검출되는 영역 위치가 상측 입력 영역(CIA4) 내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P16에서 "아니오"의 결과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표시면(43A) 위에 조작체가 유지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어떠한 명령도 입력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16에서 "아니오"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P1로 되돌아간다.
이에 대하여, 단계 SP16에서 "예"의 결과는, 조작체로서의 손바닥이 표시면(43A)의 거의 상측 절반 위에 유지되어 있어, 기록 개시 명령이 입력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16에서 "예"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다음 단계 SP17로 진행한다. 단계 SP17에서 제어부(20)는 촬영부(22) 및 코덱(29)을 제어하여 동화상 촬영 처리를 개시(촬영의 기록을 개시)하고, 다음 단계 SP18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단계 SP18에서, 현재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유효한지를 판단한다. 단계 SP18에서 "예"의 결과는, 동화상 촬영에 의해 얻어지는 동화상을 페이딩시키면서 기록하는 것이 요망되며,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유효하도록 사전설정되었음을 나타낸다.
단계 SP18에서 "예"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도 24의 다음 단계 SP19로 진행한다. 단계 SP19에서, 제어부(20)는, 헬드 오버 영역의 검출을 대기하고, 조작 스크린(16)에 의해 헬드 오버 영역이 검출되면, 다음 단계 SP20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단계 SP20에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검출되는 영역 위치가 하측 입력 영역(CIA4) 내이고, 영역 면적이 제2 면적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P20에서 "예"의 결과는, 조작체로서의 손바닥이 표시면(43A)의 거의 하측 절반 위에 유지되어 있어, 기록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20에서 "예"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다음 단계 SP21로 진행한다. 단계 SP21에서 제어부(20)는 촬영부(22) 및 코덱(29)을 제어하여 동화상 촬영 처리를 종료(촬영의 기록을 종료)한 후, 단계 SP1로 되돌아간다.
단계 SP20에서 "아니오"의 결과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페이딩 명령이 입력되었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20에서 "아니오"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P22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단계 SP22에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검출되는 영역 면적이 제4 면적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P22에서 "예"의 결과는, 조작체로서의 손바닥이 표시면(43A)의 1개 부분 또는 2개 부분 위에 유지되어 있어, 페이딩 명령이 입력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22에서 "예"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다음 단계 SP23로 진행한다. 단계 SP23에서 제어부(20)는 디지털 처리 회로(28)를 제어하여 동화상 데이터(및 촬영 상태 제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페이딩 처리를 실행하고, 다음 단계 SP24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단계 SP24에서, 동화상 촬영 처리를 자동으로 종료시킬 것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P24에서 "예"의 결과는, 동화상 촬영 처리를 자동으로 종료시키기 위하여, 동화상의 전체 화상이 보이는 상태(visible state)로부터 서서히 보이지 않게 되면서 최종적으로 전혀 보이지 않는 상태(invisible state)가 되고, 그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에 도달한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24에서 "예"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P21로 진행한다.
단계 SP24에서 "아니오"의 결과는, 동화상의 전체 화상이 전혀 보이지 않는 상태로부터 서서히 보이게 되면서 최종적으로 완전히 보이게 되어, 여전히 동화상 촬영을 계속하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24에서 "아니오"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P19로 되돌아간다.
단계 SP22에서 "아니오"의 결과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표시면(43A) 위에 조작체가 유지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어떠한 명령도 입력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22에서 "아니오"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P19로 되돌아간다.
단계 SP18에서 "아니오"의 결과는, 동화상 촬영에 의해 얻어지는 동화상을 페이딩시키면서 기록하는 것이 요망되지 않고,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무효하도록 사전설정되었음을 나타낸다.
단계 SP18에서 "아니오"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도 25의 단계 SP25로 진행한다. 단계 SP25에서 제어부(20)는 헬드 오버 영역의 검출을 대기하고, 조작 스크린(16)에 의해 헬드 오버 영역이 검출되면, 다음 단계 SP26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단계 SP26에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검출되는 영역 면적이 제1 면적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P26에서 "예"의 결과는, 조작체로서의 손바닥이 거의 전체 표시면(43A) 위에 유지되어 있어, 촬영 명령이 입력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26에서 "예"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다음 단계 SP27로 진행한다.
단계 SP27에서, 제어부(20)는, 사진 촬영을 완벽히 준비하기 전에, 촬영부(22) 및 코덱(29)을 제어하여 사진 촬영 처리를 실행한 후, 단계 SP25로 되돌아간다.
단계 SP26에서 "아니오"의 결과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줌아웃 명령, 줌인 명령, 이동 명령 및 기록 종료 명령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었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26에서 "아니오"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도 26의 단계 SP28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단계 SP28에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검출되는 영역 면적이 제2 면적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P28에서 "예"의 결과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줌아웃 명령, 줌인 명령 및 기록 개시 명령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었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28에서 "예"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P29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단계 SP29에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검출되는 영역 위치가 좌측 입력 영역(CIA3) 내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P29에서 "예"의 결과는, 조작체로서의 손바닥이 표시면(43A)의 거의 좌측 절반 위에 유지되어 있어, 줌아웃 명령이 입력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29에서 "예"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다음 단계 SP30로 진행한다.
단계 SP30에서, 제어부(20)는, 드라이버(25)를 통해 광학 유닛(23)을 구동하는 것을 제어하여 줌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줌 렌즈를 이동시켜서 촬영 범위를 좁힌 후, 단계 SP25로 되돌아간다.
단계 SP29에서 "아니오"의 결과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줌아웃 명령 및 기록 종료 명령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었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29에서 "아니오"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P31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단계 SP31에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검출되는 영역 위치가 우측 입력 영역(CIA2) 내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P31에서 "예"의 결과는, 조작체로서의 손바닥이 표시면(43A)의 거의 우측 절반 위에 유지되어 있어, 줌인 명령이 입력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31에서 "예"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다음 단계 SP32로 진행한다.
단계 SP32에서, 제어부(20)는, 드라이버(25)를 통해 광학 유닛(23)을 구동하는 것을 제어하여 줌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줌 렌즈를 이동시켜서 촬영 범위를 넓힌 후, 단계 SP25로 되돌아간다.
단계 SP28에서 "아니오"의 결과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이동 명령이 입력되었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28에서 "아니오"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P33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단계 SP33에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검출되는 영역 위치가 하한 임계값과 상한 임계값 사이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P33에서 "예"의 결과는, 조작체로서의 손바닥이 표시면(43A)의 우단 근처, 좌단 근처, 상단 근처 또는 하단 근처 위에 유지되어 있어, 이동 명령이 입력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33에서 "예"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다음 단계 SP34로 진행한다.
단계 SP34에서, 제어부(20)는, 촬영 상태 제시 화상 상의, 조작체가 위에 유지되어 있는 부분으로, 아이콘들 또는 텍스트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 처리를 실행한 후, 단계 SP25로 되돌아간다.
단계 SP33에서 "아니오"의 결과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표시면(43A) 위에 조작체가 유지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어떠한 명령도 입력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33에서 "아니오"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P25로 되돌아간다.
단계 SP31에서 "아니오"의 결과는,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기록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31에서 "아니오"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P35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단계 SP35에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검출되는 영역 위치가 하측 입력 영역(CIA4) 내이고, 그 영역 면적이 제2 면적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P35에서 "예"의 결과는, 조작체로서의 손바닥이 표시면(43A)의 거의 하측 절반 위에 유지되어 있어, 기록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35에서 "예"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다음 단계 SP36로 진행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단계 SP36에서 촬영부(22) 및 코덱(29)을 제어하여 동화상 촬영 처리를 종료(촬영의 기록을 종료)한 후, 단계 SP25로 되돌아간다.
단계 SP35에서 "아니오"의 결과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표시면(43A) 위에 조작체가 유지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어떠한 명령도 입력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35에서 "아니오"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P25로 되돌아간다.
제어부(20)는, 촬영 모드 시, 단계 SP1 내지 단계 SP36의 처리를 적절히 실행함으로써, 표시면(43A)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피사체의 사진 촬영 또는 동화상 촬영을 제어한다.
단계 SP2에서 "예"의 결과는, 재생 모드로의 이행 또는 전원 오프가 지시되어서 촬영 모드를 종료하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P2에서 "예"의 결과를 얻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P37로 진행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단계 SP37에서 촬영 제어 처리 수순 RT1을 종료한다.
(1-8. 실시예의 동작 및 효과)
이상의 구조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0)의 제어부(20)는, 촬영 모드 시, 조작체가 조작 스크린(16)상의 표시면(43A) 위에 유지되어 있을 때, 해당 조작 스크린(16)에 의해 헬드 오버 영역이 검출되게 한다.
디지털 카메라(10)의 제어부(20)는, 그 조작 스크린(16)에 의해 검출되는 헬드 오버 영역에 따라,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을 판단하고, 판단된 명령에 따라 피사체의 사진 촬영 또는 동화상 촬영을 제어한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의 제어부(20)는, 피사체를 사진 촬영 또는 동화상 촬영할 때, 해당 디지털 카메라(10)에서 조작 키를 누르기 위해 외력을 가하지 않고 명령을 입력시킴으로써, 그 입력에 따라 피사체의 사진 촬영 또는 동화상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0)는, 촬영 모드 시, 조작체가 조작 스크린(16)의 표시면(43A) 위에 유지되어 있을 때, 해당 조작 스크린(16)에 의해 검출된 헬드 오버 영역에 따라,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을 판단하고, 해당 판단한 명령에 따라 피사체의 사진 촬영 또는 동화상 촬영을 제어한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는, 피사체를 사진 촬영 또는 동화상 촬영하는 동안, 해당 디지털 카메라(10)에 조작 키를 누르기 위해 외력을 가하지 않고 명령을 입력시켜, 그 입력에 응답하여, 피사체의 사진 촬영 또는 동화상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는 촬영 동안 조작자의 손떨림을 방지할 수 있다.
실제, 디지털 카메라(10)는, 촬영 모드 시, 피사체를 사진 촬영할 때, 표시면(43A)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사진 촬영을 준비하라는 촬영 준비 명령, 또는 사진 촬영하라는 촬영 명령을 입력시킨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는, 피사체를 사진 촬영할 때, 촬영 준비 명령 또는 촬영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자의 손떨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는, 촬영 모드 시, 동화상 촬영 도중에 피사체의 사진을 촬영할 때, 표시면(43A)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촬영 명령을 입력시킨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는, 동화상 촬영 도중에 피사체의 사진을 촬영할 때에도, 촬영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자의 손떨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는, 촬영 모드 시, 피사체를 동화상 촬영하는 동안, 표시면(43A)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기록 개시 명령 또는 기록 종료 명령을 입력시킨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는, 피사체의 동화상 촬영을 개시할 때나 종료할 때에도, 조작자의 손떨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는, 피사체를 동화상 촬영하는 도중에 촬영 범위를 좁히거나 넓힐 때, 표시면(43A)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줌인 명령 또는 줌아웃 명령을 입력시킨다. 디지털 카메라(10)는, 피사체를 동화상 촬영하는 도중에 촬영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자의 손떨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는, 피사체를 동화상 촬영하는 동안, 표시면(43A)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페이딩 명령을 입력시킨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는, 피사체의 동화상 촬영 도중에 페이딩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자의 손떨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는, 피사체를 동화상 촬영하면서, 그 동화상 촬영에 의해 얻어지는 동화상을, 페이딩 처리하여 편집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는, 표시면(43A) 위에 유지되어 있는 조작체와 해당 표시면(43A)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동화상에 대한 페이딩의 정도를 조정한다.
디지털 카메라(10)는, 동화상을 페이딩 처리할 때, 표시면(43A)에 조작체를 가까이할 때와, 멀리할 때의 시간에 따라, 동화상에 대한 페이딩의 정도를 변화시키는 시간도 조정한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는, 페이딩 처리를 위한 번잡한 사전설정 없이, 동화상에 대하여, 용이하게 원하는 상태로 되도록 페이딩시킬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는, 피사체를 동화상 촬영하는 동안, 그 피사체의 촬영 상태를 확인시키기 위한 촬영 상태 제시 화상을 조작 스크린(16)에 표시한다. 디지털 카메라(10)는, 그 촬영 상태 제시 화상에, 디지털 카메라(10)의 사용 상태 또는 동화상 촬영의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들 또는 텍스트들을 겹쳐서 표시한다.
디지털 카메라(10)는, 표시면(43A)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촬영 상태 제시 화상 상의 아이콘 또는 텍스트를 이동시키라는 이동 명령을 입력시킨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는, 피사체를 동화상 촬영하는 동안, 이동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자의 손떨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는, 피사체의 동화상 촬영 동안, 촬영 상태 제시 화상 상의 아이콘 또는 텍스트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고, 촬영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시킬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는, 촬영 모드 시, 표시면(43A)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다양한 명령을 입력시킨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는, 명령의 입력 시에 조작 키의 위치를 확인하지 않고, 표시면(43A)을 보면서 해당 표시면(43A)에 조작체를 유지하는 간이한 조작에 의해 다양한 명령을 용이하게 입력시킬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는, 표시면(43A)에 대한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다양한 명령을 입력시킴으로써, 조작 키의 개수를 줄이고, 구성을 편리하게 했다.
<2. 변형예>
(2-1. 변형예 1)
표시면(43A)에 대하여 5개 명령 입력 영역을 사전설정하고, 이들 5개 명령 입력 영역에 입력가능한 명령을 고정적으로 할당하는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면(43A)에 대하여 해당 표시면(43A)의 전체면, 2분할, 3분할, 4분할 또는 6분할 등의 적어도 1개의 명령 입력 영역이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명령 입력 영역에 입력가능한 명령을 미리 할당하지만, 명령 입력 영역에 할당되는 명령을 임의로 변경해도 된다.
즉, 본 발명은, 명령 입력 영역에 할당되는 명령을 임의로 변경하는 경우, 이전에 명령 입력 영역에 할당된 명령 중에서, 그 명령 입력 영역에 할당될 명령을 임의로 변경해도 된다. 본 발명은, 명령 입력 영역보다도 많은 명령을 준비해 두고, 명령 입력 영역에 원하는 명령을 할당할 수 있음으로써, 명령 입력 영역에 할당되는 명령을 변경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명령 입력 영역에 할당되는 명령을 유저의 요청에 따라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명령을 용이하게 입력시키고,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명령 입력 영역에 페이딩 명령 또는 이동 명령을 할당해도 되고, 전원 온 명령 또는 전원 오프 명령 등의 그 밖의 다양한 명령을 할당할 수 있다.
(2-2. 변형예 2)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영역 면적, 영역의 우단 위치, 영역의 좌단 위치, 영역의 상단 위치 및 영역의 하단 위치가 검출되고, 이들이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 및 영역 면적만이 검출되고, 이들이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을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를 적게 할 수 있어, 명령 판단 처리를 간이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에 대신에 헬드 오버 영역의 중심 위치를 검출하고, 그것을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명령을 판단하는데 사용해도 된다.
(2-3. 변형예 3)
피사체를 동화상 촬영하면서, 그 동화상 촬영에 의해 얻어지는 동화상 데이터를 적절히 페이딩시키는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피사체를 동화상 촬영하면서, 그 동화상 촬영에 의해 얻어지는 동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적절히 에러블러싱(airbrushing) 처리, 모자이크 처리, 및 세피아 또는 모노크롬과 같은 채도 변경 처리 등의 다양한 이펙트(effects)를 실시할 수 있다.
(2-4. 변형예 4)
피사체를 사진 촬영하고, 피사체를 동화상 촬영하고, 동화상 촬영 도중에 사진 촬영하도록 했을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피사체의 사진 촬영 및 동화상 촬영 중 어느 하나만이 실행되어도 되고, 피사체의 사진 촬영과 동화상 촬영이 따로따로 실행되어도 된다.
(2-5. 변형예 5)
메뉴 표시 모드에서, 페이딩 명령의 입력이 유효한 것인지, 혹은 무효한 것인지를 사전설정되는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촬영 모드 시, 또한 동화상 촬영 도중에, 촬영 상태 제시 화상 상에, 페이딩 명령의 입력을 유효로 할 것인지, 혹은 무효로 할 것인지를 설정하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촬영 모드 시 또는 동화상 촬영 도중에, 페이딩 명령의 입력을 유효로 할 것일지, 혹은 무효로 할 것인지를 설정하기 위한 아이콘을 홀딩 오버 조작에 의해 지정할 수 있다.
(2-6. 변형예 6)
사진 촬영의 준비를 완료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촬영 범위 내에서 영역의 무게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의 포커스 또는 노출을 조정하여 사진 촬영의 준비를 완료한 뒤에, 사진 촬영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진 촬영의 준비를 완료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촬영 범위에 대하여 얼굴 검출 처리를 실행하여 인물의 얼굴을 검출해도 된다. 그 후, 본 발명은 검출된 얼굴의 포커스 또는 노출을 조정하여 사진 촬영을 준비한 뒤에, 사진 촬영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2-7. 변형예 7)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장치가 도 1 내지 도 26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에 적용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촬영 기능을 갖는 컴퓨터, 촬영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기, 촬영 기능을 갖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촬영 기능을 갖는 휴대형 게임 기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진 촬영 기능만을 갖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동화상 촬영 기능만을 갖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다양하게 구성된 촬영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2-8. 변형예 8)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제어 프로그램이 도 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부(20)의 내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촬영 제어 프로그램에 적용된다. 그 촬영 제어 프로그램을 따라 도 22 내지 도 26를 참조하여 설명한 촬영 제어 처리 수순 RT1이 제어부(2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디지털 카메라(10)가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촬영 제어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설치된 촬영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촬영 제어 처리 수순 RT1을 실행해도 된다.
디지털 카메라(10)는, 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 또는 디지털 위성 방송 등의 유선 및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외부로부터 촬영 제어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촬영 제어 프로그램을 디지털 카메라(10)에 설치하여 이를 실행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플렉시블 디스크 등의 패키지 매체로 실현될 수 있다.
촬영 제어 프로그램을 디지털 카메라(10)에 설치하여 이를 실행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등 패키지 매체로 실현될 수 있다.
촬영 제어 프로그램을 디지털 카메라(10)에 설치하여 이를 실행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패키지 매체로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패키지 매체뿐만 아니라, 각종 프로그램이 일시적 혹은 영속적으로 저장되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자기 디스크로 실현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촬영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시키는 수단은, LAN, 인터넷 및 디지털 위성 방송 등의 유선 및 무선 통신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라우터 또는 모뎀 등의 각종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촬영 제어 프로그램을 그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2-9. 변형예 9)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부로서, 도 1 내지 도 26에 도시된 광학 유닛(23), 촬상 소자(24), AFE 회로(27) 및 디지털 처리 회로(28)를 포함하는 촬영부(22)를 적용했을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된 촬영부가 널리 적용될 수 있다.
(2-10. 변형예 10)
표면 위에 조작체가 유지되어 있을 때, 해당 표면에 대한 조작체의 헬드 오버 영역을 검출하는 조작 스크린으로서, 도 1 내지 도 26에 도시된 조작 스크린(16)을 적용했을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 기능을 갖지 않고, 표면 위에 조작체가 유지되어 있을 때, 헬드 오버 영역을 검출하는 조작부로서의 기능만을 갖는 조작 스크린 등의 그 밖의 다양하게 구성된 조작 스크린이 널리 적용될 수 있다.
(2-11. 변형예 11)
조작 스크린에 의해 검출된 헬드 오버 영역에 따라, 촬영부에 의한 피사체의 촬영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도 1 내지 도 26에 도시된 제어부(20)를 적용했을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작 스크린에 의해 검출된 헬드 오버 영역에 따라, 촬영부에 의한 피사체의 촬영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회로 구성의 전용 제어 회로 등의 그 밖에 다양하게 구성된 제어부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항들 또는 그 등가물의 범위 내에서 속하는 다양한 변경, 조합, 부분-조합 및 변형들이 설계 요건 및 그 밖의 요소에 따라 행해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2009년 11월 5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원 JP 2009-254248호에 개시된 것과 관련된 대상을 포함하고, 그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Claims (30)

  1.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조작체가 패널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조작체가 위에 유지(hold)되어 있는 상기 패널의 면적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감지부; 및
    상기 조작체가 상기 패널에 접촉하지 않고 감지된 상기 면적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조작체의 크기를 판단하거나 상기 조작체가 조작자의 손가락 또는 손바닥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조작체가 위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면적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어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동작은, 상기 감지부가 조작자의 손가락을 상기 조작체로서 감지할 때 실행되는 사진 촬영 동작인,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조작체의 4개의 위치 중 하나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패널의 우측, 상기 패널의 좌측, 상기 패널의 상측 또는 상기 패널의 하측 위에 상기 조작체가 유지되어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조작체가 위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면적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감지된 상기 조작체는 조작자의 손바닥인, 전자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제어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동작은, 상기 4개의 위치에 대응되는 줌인 동작, 줌아웃 동작, 동화상 촬영 처리 및 페이딩 명령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조작체의 크기 및 위치 둘 다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조작체가 위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면적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판단된 상기 크기 및 상기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조작체의 크기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조작체의 영역(region)의 우단 위치, 좌단 위치, 상단 위치 및 하단 위치를 규정하여, 상기 조작체의 상기 영역이 상기 패널의 면적 위에 유지되어 있다고 판단함으로써, 상기 조작체가 위에 유지되어 있는 면적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감지된 상기 조작체는 조작자의 손가락인,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또한 상기 조작체의 크기가 변화되는지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또한 상기 조작체의 복수의 크기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복수의 크기 중 최대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조작체의 크기 및 위치 둘 다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또한 상기 패널의 서로 다른 면적 위에 동시에 유지되어 있는 복수의 조작체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인, 전자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적외선을 방사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적외선의 반사를 감지하여 상기 패널의 면적 위에 유지되어 있는 조작체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16.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조작체가 패널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조작체가 위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패널의 면적을 감지하는 수단; 및
    상기 조작체가 상기 패널에 접촉하지 않고 감지된 상기 면적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디지털 카메라 기능 및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감지부에 의해, 조작체가 상기 패널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조작체가 위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패널의 면적을 감지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상기 조작체가 상기 패널에 접촉하지 않고 감지된 상기 면적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크기를 판단하거나 상기 조작체가 조작자의 손가락 또는 손바닥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조작체가 위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면적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제어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동작은, 상기 감지부가 조작자의 손가락을 상기 조작체로서 감지할 때 실행되는 사진 촬영 동작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체의 4개의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패널의 우측, 상기 패널의 좌측, 상기 패널의 상측 또는 상기 패널의 하측 위에 상기 조작체가 유지되어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조작체가 위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면적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감지된 상기 조작체는 조작자의 손바닥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제어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동작은 상기 4개의 위치에 대응되는 줌인 동작, 줌아웃 동작, 동화상 촬영 처리 및 페이딩 명령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체의 크기 및 위치 둘 다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조작체가 위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면적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판단된 상기 크기 및 상기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체의 크기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조작체의 영역의 우단 위치, 좌단 위치, 상단 위치 및 하단 위치를 규정하여, 상기 조작체의 영역이 상기 패널의 면적 위에 유지되어 있다고 판단함으로써, 상기 조작체가 위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면적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감지된 상기 조작체는 조작자의 손가락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또한 상기 조작체의 크기가 변화되는지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또한 상기 조작체의 복수의 크기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감지된 상기 복수의 크기 중 최대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체의 크기 및 위치 둘 다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2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패널의 서로 다른 면적 위에 동시에 유지되어 있는 복수의 조작체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3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27010961A 2009-11-05 2010-10-19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201200926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54248A JP2011101184A (ja) 2009-11-05 2009-11-05 撮影装置、撮影制御方法及び撮影制御プログラム
JPJP-P-2009-254248 2009-1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607A true KR20120092607A (ko) 2012-08-21

Family

ID=43969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0961A KR20120092607A (ko) 2009-11-05 2010-10-19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854523B2 (ko)
EP (2) EP3512189B1 (ko)
JP (1) JP2011101184A (ko)
KR (1) KR20120092607A (ko)
CN (1) CN102687498A (ko)
BR (1) BR112012010125A2 (ko)
RU (1) RU2012117811A (ko)
TW (1) TW201143390A (ko)
WO (1) WO201105549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0952A (ja) * 2011-08-30 2013-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タッチスクリーンを有する携帯端末機及びそ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
CN104750296A (zh) * 2013-12-26 2015-07-01 麦孚斯公司 使用触摸屏面板提供接近传感功能的触摸传感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7669A (zh) * 2012-03-05 2013-09-1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图像采集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9285886B2 (en) * 2013-06-24 2016-03-15 Sonos, Inc. Intelligent amplifier activation
CN104407786A (zh) * 2014-09-30 2015-03-11 深圳市亿思达科技集团有限公司 实现全息图像显示的交互式显示方法、控制方法及系统
JP6466222B2 (ja) * 2015-03-26 2019-02-0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617570B2 (ja) * 2016-01-13 2019-12-11 富士通株式会社 生体認証装置、生体認証方法、および生体認証プログラム
JP2017183799A (ja) * 2016-03-28 2017-10-0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機器、携帯機器の制御方法、携帯機器の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1435888B1 (en) * 2016-09-21 2022-09-06 Apple Inc. System with position-sensitive electronic device interface
KR102361885B1 (ko) * 2017-03-28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CN107026977B (zh) * 2017-03-31 2019-12-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动态图像拍摄方法及移动终端
CN111417896B (zh) 2018-02-12 2022-03-29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具有滑动件磁体的视野遮挡器
CN109521937B (zh) * 2018-11-22 2020-09-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屏幕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5617A (ja) * 1998-06-05 1999-12-24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器付きカメラ
JP2004172851A (ja) * 2002-11-19 2004-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端末並びに撮影倍率の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2006014074A (ja) * 2004-06-28 2006-01-12 Fuji Photo Film Co Ltd 携帯電話機
JP4765473B2 (ja) * 2005-08-15 2011-09-0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入出力パネルの制御装置
JP2007141177A (ja) * 2005-11-22 2007-06-07 Tokai Rika Co Ltd 操作入力装置
JP2007266661A (ja) * 2006-03-27 2007-10-11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情報処理装置、撮像表示システム
JP2008097172A (ja) * 2006-10-10 2008-04-24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4857097B2 (ja) * 2006-12-12 2012-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操作デバイス及びその制御方法
US7956847B2 (en) * 2007-01-05 2011-06-07 Apple Inc. Gestures for controlling, manipulating, and editing of media files using touch sensitive devices
JP2008176448A (ja) * 2007-01-17 2008-07-31 Casio Comput Co Ltd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4897596B2 (ja) * 2007-07-12 2012-03-14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記憶媒体、情報入力方法及び電子機器
KR101467766B1 (ko) * 2008-03-21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KR101506488B1 (ko) * 2008-04-04 2015-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센서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9254248A (ja) 2008-04-14 2009-11-05 Univ Nagoya 尾懸垂テストおよび強制水泳テストにおけるマウスの無動化を制御する遺伝子
KR101544475B1 (ko) * 2008-11-28 2015-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를 통한 입출력 제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0952A (ja) * 2011-08-30 2013-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タッチスクリーンを有する携帯端末機及びそ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
CN104750296A (zh) * 2013-12-26 2015-07-01 麦孚斯公司 使用触摸屏面板提供接近传感功能的触摸传感系统及方法
US9274589B2 (en) 2013-12-26 2016-03-01 Melfas Inc. Touch 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oximity sensing function using touch screen panel
US9778785B2 (en) 2013-12-26 2017-10-03 Melfas Inc. Touch 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oximity sensing function using touch screen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7262A1 (en) 2012-09-12
EP2497262B1 (en) 2019-04-03
US8854523B2 (en) 2014-10-07
BR112012010125A2 (pt) 2016-06-07
CN102687498A (zh) 2012-09-19
EP3512189A1 (en) 2019-07-17
WO2011055498A1 (en) 2011-05-12
JP2011101184A (ja) 2011-05-19
RU2012117811A (ru) 2013-11-10
US20120212650A1 (en) 2012-08-23
TW201143390A (en) 2011-12-01
EP3512189B1 (en) 2022-06-01
EP2497262A4 (en)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260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JP7210638B2 (ja) 撮像装置
CN101808193B (zh) 摄影装置和摄影装置的控制方法
CN102541354B (zh) 图像显示装置和图像显示方法
JP5617603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166404A1 (en) Device and Method Using a Touch-Detecting Surface
CN105122785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摄像设备
US20150241757A1 (en)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of imag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TW200901754A (en) Imaging device
JP6302215B2 (ja) 撮像装置
JP2012010256A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20130111866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4017665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979017B1 (ko) 근접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8405752B2 (en) Image taking apparatus
WO2017221664A1 (ja) 携帯端末
US9232133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for prioritizing shooting parameter setting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896740B2 (en) Projection device, projection method, and program
JP5907602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20115679A (ja) 物体検出装置、検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105738A1 (en) Projection control device, projec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22137136A (ja) 表示装置
JP2021180437A (ja) 撮像装置
JP2014212405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18180455A (ja) 撮像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