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2040A - 페이스트상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 Google Patents

페이스트상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2040A
KR20120092040A KR1020120012615A KR20120012615A KR20120092040A KR 20120092040 A KR20120092040 A KR 20120092040A KR 1020120012615 A KR1020120012615 A KR 1020120012615A KR 20120012615 A KR20120012615 A KR 20120012615A KR 20120092040 A KR20120092040 A KR 20120092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ass
formula
acid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루끼 이께다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2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04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 C08G77/5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by carbon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08K5/5419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containing at least one Si—C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4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유 등의 유제에 대하여 높은 증점 효과를 나타내고, 퍼짐의 불량, 기름기, 끈적임, 유막감 등이 없고, 보송보송한 가벼운 감촉의 페이스트상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 (i)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1종 이상과, (ii) 지방족 불포화기 함유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실록산 혼합물을 부가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와,
(II)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천연 동식물유 및 반합성유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25℃에서 액체인 유제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상 조성물.

Description

페이스트상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PASTY COMPOSITION AND COSMETIC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페이스트상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실리콘유 등의 유제는 그의 특성, 안전성 등으로 인해 화장료나 식품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스킨 케어, 메이크업 화장료 등의 용도에서는 피부의 보호 효과, 유연 효과, 습윤 효과, 사용감 등의 향상의 목적으로 실리콘유가 배합되고 있다. 특히 동점도 100 mm2/s 이하의 저점도 실리콘유는 신전성 및 그의 산뜻한 느낌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실리콘유는 다른 화장료 유제와의 상용성이 나쁘고, 또한 저점도이기 때문에 화장료에 안정적으로 배합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특정 실리콘 중합물과 저점도 실리콘유 등의 유제를 전단력 하에서 혼합하여 얻어지는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화장료에 배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한 페이스트상 조성물은 화장료에 대한 배합 안정성은 개량되어 있지만, 미끈감이나 유막감 등의 기름진 감촉이 느껴지는 것이 문제였다. 또한,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는 Si-H 함유 폴리실록산과 디엔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교 엘라스토머와 희석제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 조성물과 실리콘유 등의 유제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화장료에 배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1,4-펜타디엔, 1,5-헥사디엔으로 대표되는 것과 같은 디엔 화합물은 불쾌한 특이 냄새를 갖고 있어, 잔류했을 경우, 화장료 용도에는 부적합해지는 것이 문제였다.
한편, 실리콘유 등의 유제 특유의 매끈거림이나 보송보송감 등의 사용감 등을 개량할 목적으로, 구상 실리콘 입자를 실리콘유 등의 유제와 혼합하여 얻어지는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화장료에 배합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입경을 갖는 구상의 가교 실리콘 입자와 실리콘유 등의 유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화장료에 배합하는 방법(특허문헌 4, 특허문헌 5)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페이스트상 조성물에서는 매끈거림이나 보송보송감 등의 감촉을 개량하는 효과가 보이지만, 구상 실리콘 입자의 실리콘유 등의 유제에 대한 증점성은 불충분하였다. 이 때문에, 화장료에 대한 배합 안정성을 고려하여 유동성이 적은 페이스트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구상 실리콘 입자를 많이 배합할 필요가 있고, 또한 실리콘유 등의 유제의 분리, 구상 실리콘 입자의 응집 등의 보존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실리콘유 등의 유제의 화장료에 대한 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 실리콘유 등의 유제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페이스트상 조성물은 개발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실리콘유 등의 유제의 화장료에 대한 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퍼짐의 불량, 기름기, 끈적임, 유막감 등이 없고, 보송보송한 가벼운 감촉을 갖는 페이스트상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일본 특허 제2582275호 공보 미국 특허 제5654362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5-537364호 공보 일본 특허 제3488573호 공보 일본 특허 제4025454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실리콘유 등의 유제의 화장료에 대한 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퍼짐의 불량, 기름기, 끈적임, 유막감 등이 없고, 보송보송한 가벼운 감촉을 갖는 페이스트상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I) (i)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1종 이상과,
(ii)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지방족 불포화기 함유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1종 이상
을 포함하고,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의 총 질량 중 40 질량% 이상은 (a+b)≥30, (c+d)≥30 및 (e+f)≥30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것을 적어도 2종 함유하는 폴리실록산 혼합물을 부가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와,
(II)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천연 동식물유 및 반합성유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25℃에서 액체인 유제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 중, R1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지방족 불포화기를 갖지 않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a≥1, b≥0의 정수이고, 상기 화학식 2 중, R2는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지방족 불포화기를 갖지 않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c≥0, d≥1의 정수임)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3 중, R3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지방족 불포화기를 갖지 않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R4는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말단에 불포화기를 갖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8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e≥1, f≥0의 정수임)
이러한 페이스트상 조성물이면,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가 실리콘유 등의 (II) 유제에 대하여 높은 증점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실리콘유 등의 유제의 화장료에 대한 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페이스트상 조성물이 되며, 이들을 포함하는 페이스트상 조성물은 퍼짐의 불량, 기름기, 끈적임, 유막감 등이 없고, 보송보송한 가벼운 감촉의 페이스트상 조성물이 된다.
또한, 상기 화학식 3에서의 R4가 비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ii)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1종 이상 포함하는 폴리실록산 혼합물을 부가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이면, 특히 실리콘유 등의 (II) 유제에 대하여 높은 증점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에 대하여 상기 유제를 질량비로 1/20 이상 20/1 이하로 포함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질량비로,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와 실리콘유 등의 (II) 유제를 포함하는 페이스트상 조성물이면, 퍼짐의 불량, 기름기, 끈적임, 유막감 등이 없고, 보송보송한 가벼운 감촉의 페이스트상 조성물이 되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상기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이면, 퍼짐의 불량, 기름기, 끈적임, 유막감 등이 없고, 보송보송한 가벼운 감촉이 부여된 화장료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페이스트상 조성물이면,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가 실리콘유 등의 (II) 유제에 대하여 높은 증점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실리콘유 등의 유제의 화장료에 대한 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페이스트상 조성물이 되며, 이들을 포함하는 페이스트상 조성물은 퍼짐의 불량, 기름기, 끈적임, 유막감 등이 없고, 보송보송한 가벼운 감촉의 페이스트상 조성물이 된다. 또한, 이러한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는 퍼짐의 불량, 기름기, 끈적임, 유막감 등이 없고, 구상 입자와 같은 파우더를 배합하지 않더라도 기름기가 없이 보송보송한 파우더감을 갖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페이스트상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유 등의 유제의 화장료에 대한 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어, 퍼짐의 불량, 기름기, 끈적임, 유막감 등이 없고, 보송보송한 가벼운 감촉의 페이스트상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I) (i) 하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중 1종 이상과, (ii)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지방족 불포화기 함유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1종 이상을 포함하고,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의 총 질량 중 40 질량% 이상은 (a+b)≥30, (c+d)≥30 및 (e+f)≥30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것을 적어도 2종 함유하는 폴리실록산 혼합물을 부가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이면, 실리콘유 등의 유제에 대하여 높은 증점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고,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와 (II)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천연 동식물유 및 반합성유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25℃에서 액체인 유제를 포함하는 페이스트상 조성물이면, 실리콘유 등의 유제의 화장료에 대한 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페이스트상 조성물이 되며, 퍼짐의 불량, 기름기, 끈적임, 유막감 등이 없고, 보송보송한 가벼운 감촉의 페이스트상 조성물이 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이면, 퍼짐의 불량, 기름기, 끈적임, 유막감 등이 없고, 보송보송한 가벼운 감촉이 부여된 화장료가 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이하, 상세히 설명해 간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I) (i)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1종 이상과,
(ii)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지방족 불포화기 함유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1종 이상
을 포함하고,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의 총 질량 중 40 질량% 이상은 (a+b)≥30, (c+d)≥30 및 (e+f)≥30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것을 적어도 2종 함유하는 폴리실록산 혼합물을 부가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와,
(II)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천연 동식물유 및 반합성유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25℃에서 액체인 유제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화학식 2>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 중, R1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지방족 불포화기를 갖지 않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a≥1, b≥0의 정수이고, 상기 화학식 2 중, R2는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지방족 불포화기를 갖지 않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c≥0, d≥1의 정수임)
<화학식 3>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3 중, R3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지방족 불포화기를 갖지 않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R4는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말단에 불포화기를 갖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8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e≥1, f≥0의 정수임)
[(i)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지방족 불포화기를 갖지 않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a≥1, b≥0의 정수이다. R1의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등의 알킬기, 페닐기 등이지만, 바람직하게는 R1로 표시되는 전체 1가 탄화수소기의 합계 몰수의 70% 이상이 메틸기이다. 또한, a는 a≥1이지만, 상기 중합되는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의 상기 (II) 유제에 대한 팽윤성과, 상기 페이스트상 조성물의 감촉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0이다. 또한, b는 (ii) 지방족 불포화기 함유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부가 반응하여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단위(R1HSiO2 /2로 표시되는 단위)의 반복을 나타내는 수이지만, 이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단위가 20 이하이면 상기 중합되는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의 유제에 대한 팽윤성이 증가하고, 1 이상이면 상기 페이스트상 조성물의 끈적감이 한층 억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이다.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R2는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지방족 불포화기를 갖지 않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c≥0, d≥1의 정수이다. R2의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등의 알킬기, 페닐기 등이지만, 바람직하게는 R2로 표시되는 전체 1가 탄화수소기의 합계 몰수의 70% 이상이 메틸기이다. 또한, c는 c≥0이지만, 상기 중합되는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의 상기 (II) 유제에 대한 팽윤성과, 상기 페이스트상 조성물의 감촉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이다. 또한, d는 (ii) 지방족 불포화기 함유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부가 반응하여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단위(R2HSiO2 /2로 표시되는 단위)의 반복을 나타내는 수이지만, 이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단위가 20 이하이면 상기 중합되는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의 유제에 대한 팽윤성이 증가하고, 1 이상이면 상기 페이스트상 조성물의 끈적감이 한층 억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이다.
[(ii) 지방족 불포화기 함유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R3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지방족 불포화기를 갖지 않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1가 탄화수소기이다. R3의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등의 알킬기, 페닐기이지만, 바람직하게는 R3으로 표시되는 전체 1가 탄화수소기의 합계 몰수의 70% 이상이 메틸기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R4는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말단에 불포화기를 갖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8의 1가 탄화수소기이다. R4의 예로서는, 비닐기, 알릴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펜테닐기, 헥세닐기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비닐기이다.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R4가 비닐기인 (ii)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1종 이상 포함하는 폴리실록산 혼합물을 부가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이면, 특히 실리콘유 등의 (II) 유제에 대하여 높은 증점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e≥1, f≥0의 정수이다. e는 e≥1이지만, 상기 중합되는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의 실리콘유 등의 상기 (II) 유제로의 팽윤성과, 상기 페이스트상 조성물의 감촉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0이다. 또한, f는 f≥0의 수, 바람직하게는 10≥f≥0, 보다 바람직하게는 5≥f≥0이다.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는 (i) 상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중 1종 이상과 (ii)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지방족 불포화기 함유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의 총 질량 중 4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은 (a+b)≥30, (c+d)≥30 및 (e+f)≥30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것을 적어도 2종 함유하는 폴리실록산 혼합물을 부가 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부가 중합은 주지의 부가 중합 촉매, 예를 들면 염화백금산, 알코올 변성 염화백금산, 염화백금산-비닐실록산 착체 등의 백금 화합물, 로듐, 팔라듐 등의 백금족 금속 화합물의 존재 하에 20 내지 150℃에서 행해진다. 상기 부가 중합 촉매의 첨가량은 주지의 유효량이면 되고, 폴리실록산 혼합물의 합계량에 대하여 백금족 금속의 환산 질량으로, 통상 0.1 내지 500 pp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0 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ppm이다.
또한, 상기 부가 중합 반응은 무용제로 행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유기 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n-펜탄, n-헥산,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고 (평)6-55897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 즉 비반응성의 실리콘유 또는 유기유를 공존시켜 상기 부가 중합 반응을 행할 수도 있다. 특히 화장료 용도로서 사용하는 관점에서, 무용제로 하거나 에탄올 또는 2-프로판올을 용제로 하거나, 비반응성의 실리콘유 또는 유기유를 공존시켜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실록산 혼합물에 포함되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의 총 질량 중 40 질량% 이상은 (a+b)≥30, (c+d)≥30, (e+f)≥30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것을 적어도 2종 함유하는 폴리실록산 혼합물이 아니면, 부가 중합 반응을 하더라도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의 실리콘유 등의 유제에 대한 증점 효과는 낮고, 기름기가 없는 파우더리한 감촉이 얻어지지 않는 페이스트상 조성물이 된다. 또한, (a+b), (c+d), (e+f)가 모두 30보다 작은 조합이나, (a+b)≥30, (c+d)≥30, (e+f)≥30을 만족시키는 것이 1종만인 경우에는 감촉이 무거워지거나 기름기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는 상기 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적어도 100 질량부의 (II) 유제를 포함하여 팽윤할 수 있다. 팽윤의 확인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한다.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와 25℃에서 액체인 (II) 유제를 3축 롤로 혼련하고, 얻어진 혼련물을 100 메쉬의 망 위에 두고 1시간 방치하더라도 25℃에서 액체인 (II) 유제의 침출이 보이지 않는 것을 육안에 의해 확인한다.
[(II) 유제]
본 발명의 페이스트상 조성물에 포함되는 (II) 유제는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천연 동식물유 및 반합성유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25℃에서 액체인 유제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II) 유제로서는 25℃에서 액체인 유제로서, 특히 25℃에서의 동점도가 0.65 내지 10000 mm2/s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II) 유제로서는 이하의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천연 동식물유, 반합성유가 예시된다.
상기 실리콘유의 예로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점도 0.65 내지 10000 mm2/s, 바람직하게는 점도 0.65 내지 1000 mm2/s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의 환상 실록산,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란, 테트라키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등의 분지상 실록산, 카프릴릴메티콘, 알킬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유로서는 쇄식 및 환식의 탄화수소, 예를 들면 α-올레핀 올리고머, 경질 이소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스쿠알란, 합성 스쿠알란, 식물성 스쿠알란, 유동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수소 첨가 이소부텐,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유로서는, 숙신산디옥틸,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 디(2-헵틸운데실), 세박산디이소프로필, 세박산디옥틸, 세박산디부틸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시트르산트리에틸,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옥탄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올레산펜타에리트리톨,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아밀,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세틸,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라우르산에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미리스틸, 미리스트산이소세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옥틸, 팔미트산세틸, 팔미트산이소세틸, 팔미트산이소스테아릴, 스테아르산부틸, 스테아르산헥실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산데실, 올레산올레일, 올레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락트산세틸, 락트산미리스틸, 히드록시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라우로일글루탐산 디옥틸도데실, 라우로일사르코신이소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천연 동식물유 및 상기 반합성유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밀배아유, 호마유, 쌀배아유, 미강유, 사탕수수 왁스, 애기동백유, 홍화유, 계피유, 스쿠알란, 스쿠알렌, 거북이유, 대두유, 차실유, 동백유, 달맞이꽃유, 옥수수유, 유채씨유, 일본 동유, 배아유, 해바라기유, 포도유, 호호바유, 마카다미아 너트유, 면실유, 야자유, 경화 야자유, 트리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낙화생유, 난황유 등을 들 수 있다.
[페이스트상 조성물]
본 발명의 페이스트상 조성물은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와 (II) 유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용제를 사용하여 상기 부가 중합 반응을 행한 경우에는 유기 용제를 제거한 후,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라도 목적에 따라서 휘발 성분을 제거한 후,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를 25℃에서 액상인 (II) 유제와 혼련하고, 또한 비반응성의 실리콘유 또는 유기유를 공존시켜 상기 부가 중합 반응을 행한 경우에는 추가의 (II) 유제와 혼련하여 상기 유제에 의해 팽윤된 페이스트상 조성물로 한다.
본 발명의 페이스트상 조성물로 하기 위한 혼련 방법으로서는, 본 발명에 따른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를 25℃에서 액체인 (II) 유제와 혼합한 후, 전단력 하에서 혼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외관이 매끄러운 페이스트상 조성물이 얻어진다. 전단력 하의 혼련은, 예를 들면 3축 롤밀, 2축 롤밀, 샌드 그라인더, 콜로이드밀, 균질기, 울트라 믹서, 호모 믹서, 호모디스퍼 등으로 행할 수 있지만, 3축 롤밀 또는 호모디스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에 대하여 (II) 유제의 혼합 비율은 1/20 이상 20/1 이하(질량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1이다.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에 대하여 (II) 유제의 혼합 비율이 1/20 이상 20/1 이하(질량비)인 페이스트상 조성물이면, 퍼짐의 불량, 기름기, 끈적임, 유막감 등이 없고, 보송보송한 가벼운 감촉의 페이스트상 조성물이 되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화장료]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상기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이면, 퍼짐의 불량, 기름기, 끈적임, 유막감 등이 없고, 보송보송한 가벼운 감촉이 부여된 화장료가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기 페이스트상 조성물에 추가로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성분, 즉 (A) 유제, (B) 물, (C)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D)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 화합물, (E) 분체, (F) 계면활성제, (G) 관용의 실리콘 수지, 본 발명의 페이스트상 조성물 이외의 (H) 공지된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액상유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 (A) 유제는 고체, 반고체, 액상 중 어느 것일 수 있다. 액상 유제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페이스트상 조성물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액상 유제, 또는 그 밖의 액상 유제, 및 그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액상 유제의 구체예는 상술한 바와 같다.
그 밖의 (A) 유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마인유, 백랍, 들깨유, 카카오 버터, 케이폭 왁스, 비자나무유, 카르나우바 왁스, 간유, 칸데릴라 왁스, 정제칸데릴라 왁스, 우지, 우각지, 우골지, 경화 우지, 행인유, 경랍, 경화유, 시어버터, 오동유, 호호바 왁스, 셸락 왁스, 돈지, 마지, 쌀겨 왁스, 퍼식유, 팜유, 팜핵유, 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베이베리 왁스, 밀랍, 밍크유, 메도우폼유, 양지, 면랍, 목랍, 목랍핵유, 몬탄 왁스, 라놀린, 액상 라놀린, 환원 라놀린, 라놀린 알코올, 경질 라놀린, 아세트산라놀린, 아세트산라놀린 알코올,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 알코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 알코올아세테이트,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수소 첨가 라놀린 알코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A) 유제 성분에 포함되는 탄화수소유로서는,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파라핀,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왁스, 프리스탄, 폴리이소부틸렌, 미소 결정질 왁스, 바셀린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A) 유제 성분에 포함되는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이소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A) 유제 성분에 포함되는 고급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 원자수가 바람직하게는 6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인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상기 고급 알코올의 구체예로서는,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팔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헥사데실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헥실도데카놀, 옥틸도데카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롤에테르,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 알코올), 모노올레일글리세릴에테르(세라킬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A) 유제 성분에 포함되는 불소계 유제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데칼린, 퍼플루오로옥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A) 유제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화장료의 형태에 의존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전체의 1 내지 98 질량%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정된다.
상기 (B) 물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화장료의 형태에 의존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전체의 1 내지 95 질량%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정된다.
상기 (C)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탄소 원자수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인 저급 알코올(저급 1가 알코올); 소르비톨, 말토오스 등의 당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피토스테롤, 라노스테롤 등의 스테롤;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C) 성분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체의 0.1 내지 98 질량%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아라비아검, 트래거캔스, 갈락탄, 캐로브검, 구아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킨스 시드(마르멜로),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등), 알개 콜로이드, 트랜트검, 로커스트 빈 검 등의 식물계 고분자 화합물; 크산탄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풀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화합물;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 화합물;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화합물;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화합물;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등의 비닐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염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중합체 등의 다른 합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벤토나이트,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몬모릴로나이트, 베이델라이트, 논트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무수 규산 등의 무기계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피막 형성제도 예시된다. 상기 (D)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화장료 전체의 0.1 내지 25 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E) 분체로서는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그의 형상(구상, 침상, 판상 등)이나 입경(연무상, 미립자, 안료급 등), 입자 구조(다공질, 무공질 등)를 막론하고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기 분체, 유기 분체, 계면활성제 금속염 분체, 유색 안료, 펄 안료, 금속 분말 안료, 천연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분체의 예로서는, 산화티탄, 운모 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탈크, 벽개 탈크, 마이커, 카올린, 견운모, 백운모, 합성 운모, 금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 운모, 규산, 이산화규소, 흄드 실리카, 함수 이산화규소,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바륨,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버미큘라이트, 히길리트,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제올라이트, 세라믹, 제2인산칼슘,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보론, 유리 등을 포함하는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분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산?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비닐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벤조구아나민, 폴리메틸벤조구아나민,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예를 들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 셀룰로오스, 실크, 나일론,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실리콘 엘라스토머 입자,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일본 특허 제2832143호 공보 기재의 실리콘 엘라스토머 입자 표면을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으로 피막하여 이루어지는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금속염 분체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미리스트산아연, 미리스트산마그네슘, 세틸인산아연, 세틸인산칼슘, 세틸인산아연나트륨 등을 포함하는 분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유색 안료의 예로서는, 산화철, 수산화철, 티탄산철 등의 무기 적색계 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 갈색계 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 황색계 안료, 흑산화철, 카본 블랙 등의 무기 흑색계 안료, 망간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의 무기 자색계 안료, 수산화크롬, 산화크롬, 산화코발트, 티탄산 코발트 등의 무기 녹색계 안료, 감청, 군청 등의 무기 청색계 안료, 타르계 색소를 레이크화한 것, 천연 색소를 레이크화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펄 안료의 구체예로서는, 산화티탄 피복 운모, 옥시염화비스무스, 산화티탄 피복 옥시염화비스무스, 산화티탄 피복 탈크, 어린박, 산화티탄 피복 착색 운모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분말 안료로서는 알루미늄 파우더, 구리 파우더, 스테인리스 파우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타르계 색소로서는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적색 228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황색 204호, 황색 401호, 청색 1호, 청색 2호, 청색 201호, 청색 404호, 녹색 3호, 녹색 201호, 녹색 204호, 녹색 205호, 오렌지색 201호, 오렌지색 203호, 오렌지색 204호, 오렌지색 206호, 오렌지색 207호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천연 색소로서는 카르민산, 락카인산, 카르타민, 브라질린, 크로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E) 분체 중,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입자,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일본 특허 제2832143호 공보 기재의 실리콘 엘라스토머 입자 표면을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으로 피막하여 이루어지는 입자가 바람직하고, 또한 불소기를 갖는 분체 및 또는 착색제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E) 분체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분체를 복합화한 것이나, 일반 유제, 실리콘유, 불소 화합물, 계면활성제 등으로 처리한 분체, 반응성을 갖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가수분해성 알콕시실란기를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가수분해성 실릴기를 갖는 아크릴-실리콘계 공중합체 등으로 처리된 분체도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이들 (E) 분체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체의 0.1 내지 99 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특히, 분말 고형 화장료의 경우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체의 80 내지 99 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F) 계면활성제로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및 양쪽성의 계면활성제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염, N-아실타우린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술폰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모노알킬술포숙신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술포숙신산염, 지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아세트산염, N-아실아미노산염, 알케닐숙신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폴리스티렌술폰산염,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방향족 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카르복실산 고분자, 스티렌옥시알킬렌 산무수물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디메틸암모늄염, 디폴리옥시에틸렌알킬메틸암모늄염, 트리폴리옥시에틸렌알킬암모늄염,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염, 알킬피리디늄염, 모노알킬아민염, 모노알킬아미드아민염,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아미드,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폴리글리세린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일본 특허 제2613124호 공보), 실리콘 분지상 알킬 변성 실리콘(일본 특허 제3850202호 공보), 실리콘 분지상 폴리옥시알킬렌?장쇄 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일본 특허 제3724988호 공보), 실리콘 분지상 폴리글리세린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일본 특허 제3976226호 공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베타인, 아미노카르복실산염, 이미다졸린 유도체, 아미드아민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F)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분자 중에 폴리글리세린쇄 또는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상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또는 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고, 친수성의 폴리옥시에틸렌기 또는 폴리글리세린기의 함유량이 분자 중의 10 내지 70 질량%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합량은 화장료 전체의 0.1 내지 2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한 것은 0.2 내지 10 질량%이다.
상기 (G) 관용의 실리콘 수지로서는 상온에서 검상 내지 고체상인 것이 예시되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에 균일 용해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상 실리콘 수지로서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직쇄상의 폴리실록산이고,
Figure pat00007
R5는 메틸기 또는 탄소 원자수 6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가 3 내지 15인 아미노기 함유 알킬기, 불소 치환 알킬기, 4급 암모늄염기 함유 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g는 1000 내지 20000을 만족시키는 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h는 1 내지 5000을 만족시키는 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g+h)은 2000 내지 20000을 만족시키는 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고체상의 실리콘 수지로서는, 모노알킬실록시 단위(M 단위), 디알킬실록시 단위(D 단위), 트리알킬실록시 단위(T 단위), 4 관능성의 실록시 단위(Q 단위)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MQ 수지, MDQ 수지, MTQ 수지, MDTQ 수지, T 수지, TD 수지, TQ 수지, TDQ 수지 등의 실리콘 망상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실리콘 그래프트 공중합체, 아크릴/실리콘 블록 공중합체 등을 포함하는 아크릴 실리콘 수지를 들 수 있다(구체예로서는, 신에쓰 가가꾸 고교 제조: 아크릴/실리콘그래프트 공중합체의 환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용액: KP-545 등을 들 수 있음). 또한, 피롤리돈 부분, 장쇄 알킬 부분,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및 플루오로알킬 부분, 카르복실산 등의 음이온 부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분자 중에 함유하는 아크릴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검상 실리콘 수지, 상기 실리콘 망상 화합물, 상기 아크릴 실리콘 수지 등의 (G) 관용의 실리콘 수지는 저점도 실리콘유나 휘발성 실리콘유, 및 그 밖의 용제에 용해시킨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G) 관용의 실리콘 수지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총량에 대하여 수지 성분량이 0.1 내지 2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질량%이다.
상기 (H) 공지된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액상유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본 발명의 페이스트상 조성물 이외의 것이고,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고 (평)6-55897호 공보, 일본 특허 제2631772호 공보, 일본 특허 제3969728호 공보, 일본 특허 제4001342호 공보, 일본 특허 제449081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H) 성분에 포함되는 실리콘 오일로 팽윤된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KSG-15, 16, 17, 18, 21, 24, 210, 710(신에쓰 가가꾸 고교 제조), 상기 (H) 성분에 포함되는 탄화수소유로 팽윤된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KSG-31, 32, 34, 310, 320, 340, 41, 42, 44, 810, 820, 840(신에쓰 가가꾸 고교 제조), 상기 (H) 성분에 포함되는 에스테르유로 팽윤된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KSG-33, 330, 43, 830(신에쓰 가가꾸 고교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 (H) 공지된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액상유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고, 화장료의 총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질량%이다.
[그 밖의 성분]
추가로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유용성 겔화제, 제한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 산란제, 보습제, 항균 방부제, 향료, 염류,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킬레이트제, 청량제, 항염증제, 피부 미용용 성분(미백제, 세포 부활제, 피부 거칠어짐 개선제, 혈행 촉진제, 피부 수렴제, 항지루제 등),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핵산, 호르몬, 포접 화합물, 모발용 고형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유용성 겔화제로서는,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아연 미리스테이트 등의 금속 비누; N-라우로일-L-글루탐산, α,γ-디-n-부틸아민 등의 아미노산 유도체; 덱스트린 팔미트산 에스테르, 덱스트린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덱스트린 2-에틸헥산산팔미트산 에스테르 등의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팔미트산 에스테르,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등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프럭토올리고당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프럭토올리고당 2-에틸헥산산 에스테르 등의 프럭토올리고당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벤질리덴 소르비톨, 디벤질리덴 소르비톨 등의 소르비톨의 벤질리덴 유도체; 디메틸벤질도데실암모늄 몬모릴로나이트 클레이,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몬모릴로나이트 클레이 등의 유기 변성 점토 광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한제로서는, 알루미늄클로로하이드레이트, 염화알루미늄, 알루미늄세스퀴클로로하이드레이트, 지르코닐히드록시클로라이드, 알루미늄지르코늄히드록시클로라이드, 알루미늄지르코늄글리신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등의 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 안트라닐산메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옥틸, 살리실산트리메틸시클로헥실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파라메톡시신남산옥틸 등의 신남산계 자외선 흡수제;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우로칸산에틸 등의 우로칸산계 자외선 흡수제;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등의 디벤조일메탄계 자외선 흡수제;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 트리아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흡수 산란제로서는, 미립자 산화티탄, 미립자 철 함유 산화티탄, 미립자 산화아연, 미립자 산화세륨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의, 자외선을 흡수 산란하는 입자를 들 수 있고, 이들 자외선을 흡수 산란하는 입자를 미리 유제에 분산시킨 분산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글루코오스, 자일리톨, 말티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 난황 레시틴, 대두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스핑고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항균 방부제로서는, 파라히드록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소르브산, 소르브산칼륨, 페녹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항균제로서는, 벤조산, 살리실산, 석탄산, 소르브산, 파라히드록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파라클로로메타크레졸, 헥사클로로펜, 염화벤즈알코늄, 염화클로르헥시딘,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감광소, 페녹시에탄올, 메틸이소티아졸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향료로서는 천연 향료 및 합성 향료를 들 수 있다. 천연 향료로서는 꽃, 잎, 재, 과피 등으로부터 분리한 식물성 향료; 머스크, 시빗 등의 동물성 향료를 들 수 있다. 합성 향료로서는 모노테르펜 등의 탄화수소류; 지방족 알코올, 방향족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테르펜알데히드, 방향족 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 지환식 케톤 등의 케톤류; 테르펜계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락톤류; 페놀류; 옥사이드류; 질소 함유 화합물류; 아세탈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염류로서는 무기염, 유기산염, 아민염 및 아미노산염을 들 수 있다. 무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황산, 탄산, 질산 등의 무기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알루미늄염, 지르코늄염, 아연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데히드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산, 숙신산, 아스코르브산, 스테아르산 등의 유기산류의 염을 들 수 있다. 아민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민류의 염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류의 염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밖에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등의 염, 알루미늄지르코늄글리신 착체 등, 나아가 화장료 처방 중에서 사용되는 산-알칼리의 중화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토코페롤, p-t-부틸페놀,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피틴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로서는 락트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DL-말산,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킬레이트제로서는 알라닌, 에데트산나트륨염,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청량제로서는 L-멘톨, 캄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항염증제로서는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 및 그의 염, 글리시르레틴산 및 글리시르레틴산스테아릴, 트라넥삼산, 아줄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피부 미용용 성분으로서는, 태반 추출액, 알부틴, 글루타티온, 호이초 추출물 등의 미백제; 로얄 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송아지 혈액 추출액 등의 세포 부활제; 피부 거칠어짐 개선제;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캡사이신, 진저론, 칸타리스 팅크, 이크타몰, 카페인,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톨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오리자놀 등의 혈행 촉진제; 산화아연, 탄닌산 등의 피부 수렴제; 황, 티안톨 등의 항지루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타민류로서는, 비타민 A유, 레티놀, 아세트산레티놀, 팔미트산레티놀 등의 비타민 A류; 리보플라빈, 부티르산 리보플라빈, 플라빈 아데닌 뉴클레오티드 등의 비타민 B2류, 피리독신염산염, 피리독신 디옥타노에이트, 피리독신 트리팔미테이트 등의 비타민 B6류, 비타민 B12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B15 및 그의 유도체 등의 비타민 B류; L-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디팔미트산 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2-황산나트륨, L-아스코르브산인산디에스테르 디칼륨 등의 비타민 C류; 에르고칼시페롤, 콜레칼시페롤 등의 비타민 D류;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니코틴산 DL-α-토코페롤, 숙신산 DL-α-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류; 니코틴산, 니코틴산벤질, 니코틴산아미드 등의 니코틴산류; 비타민 H, 비타민 P, 판토텐산칼슘, D-판토테닐 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아세틸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의 판토텐산류, 비오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류로서는, 글리신, 발린, 류신, 이소류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아르기닌, 리신, 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트립토판 등을 들 수 있다. 핵산으로서는 데옥시리보핵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호르몬으로서는 에스트라디올, 에테닐에스트라디올 등을 들 수 있다. 포접 화합물로서는 시클로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모발용 고형화제로서는 양쪽 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의 각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고,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계 고분자 화합물, 메틸비닐에테르/무수 말레산알킬 하프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산성 비닐에테르계 고분자 화합물, 아세트산비닐/크로톤산 공중합체 등의 산성 폴리아세트산비닐계 고분자 화합물, (메트)아크릴산/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등의 산성 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 N-메타크릴로일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산옥틸아미드 공중합체 등의 양쪽성 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 또는 그의 유도체, 케라틴 또는 그의 유도체, 콜라겐 또는 그의 유도체 등의 천연 유래고분자 화합물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화장료로서는, 상기 화장료 성분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유액, 크림, 클렌징, 팩, 오일 리퀴드, 마사지 재료, 미용액, 세정제, 탈취제, 핸드 크림, 립 크림 등의 스킨케어 화장료, 메이크업 바탕, 백분, 리퀴드 파운데이션, 유성 파운데이션, 볼 터치, 아이섀도우,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 블로우, 립스틱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샴푸, 린스, 컨디셔너, 트리트먼트, 세팅제 등의 모발 화장료, 제한제, 햇볕 그을림 방지 유액이나 햇볕 그을림 방지 크림 등의 자외선 방어 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장료의 형태로서는, 액상, 유액상, 크림상, 고형상, 페이스트상, 겔상, 분말상, 프레스상, 다층상, 무스상, 스프레이상, 스틱상 등 다양한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페이스트상 조성물의 합성 실시예 및 합성 비교예, 본 발명의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점도는 25℃에서의 측정치이고, 점도의 측정에는 브룩필드사 제조 디지탈 점도계(DV-II+Pro)를 이용하였다.
[합성 실시예 1]
반응 용기에, 하기 화학식 5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시록산 80.0 질량부, 하기 화학식 6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20.0 질량부, 하기 화학식 7의 메틸비닐폴리실록산 155.0 질량부 및 비반응성의 실리콘유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85.0 질량부를 투입하고, 부가 중합 촉매로서 염화백금산 2 질량%의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용액 0.09 질량부를 가하고, 내온을 70 내지 80℃로 유지하며 2시간 교반하여,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다음으로, 상기 생성물 100 질량부와, (II) 유제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275 질량부를 혼합하고, 3축 롤밀로 충분히 혼련하여,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디메틸폴리실록산=20/80 질량비이고 점도가 423,000 mPa?s인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얻었다.
[합성 실시예 2]
반응 용기에, 상기 화학식 5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80.0 질량부, 상기 화학식 6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20.0 질량부, 상기 화학식 7의 메틸비닐폴리실록산 137.0 질량부, 하기 화학식 8의 메틸비닐폴리실록산 59.0 질량부 및 비반응성의 실리콘유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127.0 질량부를 투입하고, 부가 중합 촉매로서 염화백금산 2 질량%의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용액 0.10 질량부를 가하고, 내온을 70 내지 80℃로 유지하며 2시간 교반하여,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11
다음으로, 상기 생성물 100 질량부와, (II) 유제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289 질량부를 혼합하고, 3축 롤밀로 충분히 혼련하여,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디메틸폴리실록산=18/82 질량비이고 점도가 407,000 mPa?s인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얻었다.
[합성 실시예 3]
반응 용기에, 상기 화학식 5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80.0 질량부, 상기 화학식 6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20.0 질량부, 상기 화학식 8의 메틸비닐폴리실록산 71.0 질량부, 하기 화학식 9의 메틸비닐폴리실록산 31.0 질량부 및 비반응성의 실리콘유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86.0 질량부를 투입하고, 부가 중합 촉매로서 염화백금산 2 질량%의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용액 0.07 질량부를 가하고, 내온을 70 내지 80℃로 유지하며 2시간 교반하여,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12
다음으로, 상기 생성물 100 질량부와, (II) 유제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289 질량부를 혼합하고, 3축 롤밀로 충분히 혼련하여,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디메틸폴리실록산=18/82 질량비이고 점도가 416,000 mPa?s인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얻었다.
[합성 실시예 4]
반응 용기에, 하기 화학식 10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60.0 질량부, 하기 화학식 11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40.0 질량부, 하기 화학식 12의 메틸비닐폴리실록산 236.0 질량부 및 비반응성의 실리콘유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84.0 질량부를 투입하고, 부가 중합 촉매로서 염화백금산 2 질량%의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용액 0.10 질량부를 가하고, 내온을 70 내지 80℃로 유지하며 2시간 교반하여,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다음으로, 상기 생성물 100 질량부와, (II) 유제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300 질량부를 혼합하고, 3축 롤밀로 충분히 혼련하여,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디메틸폴리실록산=20/80 질량비이고 점도가 419,000 mPa?s인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얻었다.
[합성 실시예 5]
반응 용기에, 상기 화학식 10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70.0 질량부, 하기 화학식 13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30.0 질량부 및 상기 화학식 12의 메틸비닐폴리실록산 130.0 질량부를 투입하고, 부가 중합 촉매로서 염화백금산 2 질량%의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용액 0.06 질량부를 가하고, 내온을 70 내지 80℃로 유지하며 2시간 교반하여,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16
다음으로, 상기 생성물 100 질량부와, (II) 유제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300 질량부를 혼합하고, 3축 롤밀로 충분히 혼련하여,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디메틸폴리실록산=25/75 질량비이고 점도가 435,000 mPa?s인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얻었다.
[합성 실시예 6]
반응 용기에, 상기 화학식 10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70.0 질량부, 상기 화학식 13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30.0 질량부 및 상기 화학식 12의 메틸비닐폴리실록산 130.0 질량부 및 비반응성의 실리콘유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1.5 mm2/s) 100.0 질량부를 투입하고, 부가 중합 촉매로서 염화백금산 2 질량%의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용액 0.08 질량부를 가하고, 내온을 70 내지 80℃로 유지하며 2시간 교반하여,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생성물 100 질량부와, (II) 유제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1.5 mm2/s) 250 질량부를 혼합하고, 3축 롤밀로 충분히 혼련하여,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디메틸폴리실록산=20/80 질량비이고 점도가 427,000 mPa?s인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얻었다.
[합성 실시예 7]
반응 용기에, 상기 화학식 5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80.0 질량부, 상기 화학식 6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20.0 질량부, 상기 화학식 8의 메틸비닐폴리실록산 71.0 질량부, 상기 화학식 9의 메틸비닐폴리실록산 31.0 질량부 및 비반응성의 실리콘유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1.5 mm2/s) 165.0 질량부를 투입하고, 부가 중합 촉매로서 염화백금산 2 질량%의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용액 0.09 질량부를 가하고, 내온을 70 내지 80℃로 유지하며 2시간 교반하여,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생성물 100 질량부와, (II) 유제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1.5 mm2/s) 265 질량부를 혼합하고, 3축 롤밀로 충분히 혼련하여,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디메틸폴리실록산=15/85 질량비이고 점도가 397,000 mPa?s인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얻었다.
[합성 실시예 8]
반응 용기에, 상기 화학식 10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80.0 질량부, 하기 화학식 14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20.0 질량부, 및 상기 화학식 12의 메틸비닐폴리실록산 117.0 질량부를 투입하고, 부가 중합 촉매로서 염화백금산 2 질량%의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용액 0.05 질량부를 가하고, 내온을 70 내지 80℃로 유지하며 2시간 교반하여,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17
다음으로, 상기 생성물 100 질량부와, (II) 유제로서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점도 4 mm2/s) 565 질량부를 혼합하고, 3축 롤밀로 충분히 혼련하여,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15/85 질량비이고 점도가 403,000 mPa?s인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얻었다.
[합성 실시예 9]
반응 용기에, 상기 화학식 13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10.0 질량부, 하기 화학식 15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90.0 질량부, 상기 화학식 7의 메틸비닐폴리실록산 84.8 질량부, 상기 화학식 9의 메틸비닐폴리실록산 21.2 질량부 및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88.3부를 투입하고, 염화백금산 2 질량%의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용액 0.09 질량부를 가하고, 내온을 70 내지 80℃로 유지하며 2시간 교반하여,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생성물 100 질량부와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180 질량부를 혼합하고, 3축 롤밀로 충분히 혼련하여,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디메틸폴리실록산=25/75 질량비이고 점도가 480,000 mPa?s인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얻었다.
[합성 비교예 1]
반응 용기에, 상기 화학식 5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80.0 질량부, 상기 화학식 6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20.0 질량부, 상기 화학식 9의 메틸비닐폴리실록산 36.0 질량부 및 비반응성의 실리콘유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45.0 질량부를 투입하고, 부가 중합 촉매로서 염화백금산 2 질량%의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용액 0.05 질량부를 가하고, 내온을 70 내지 80℃로 유지하며 2시간 교반하여,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생성물 100 질량부와, 유제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200 질량부를 혼합하고, 3축 롤밀로 충분히 혼련하여,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디메틸폴리실록산=25/75 질량비이고 점도가 412,000 mPa?s인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얻었다.
[합성 비교예 2]
반응 용기에, 상기 화학식 10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60.0 질량부, 상기 화학식 11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40.0 질량부, 상기 화학식 9의 메틸비닐폴리실록산 41.0 질량부 및 비반응성의 실리콘유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35.0 질량부를 투입하고, 부가 중합 촉매로서 염화백금산 2 질량%의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용액 0.04 질량부를 가하고, 내온을 70 내지 80℃로 유지하며 2시간 교반하여,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생성물 100 질량부와, 유제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185 질량부를 혼합하고, 3축 롤밀로 충분히 혼련하여,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디메틸폴리실록산=28/72 질량비이고 점도가 414,000 mPa?s인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얻었다.
[합성 비교예 3]
반응 용기에, 하기 화학식 15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70.0 질량부, 상기 화학식 11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30.0 질량부, 상기 화학식 9의 메틸비닐폴리실록산 51.0 질량부 및 비반응성의 실리콘유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100.0 질량부를 투입하고, 부가 중합 촉매로서 염화백금산 2 질량%의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용액 0.06 질량부를 가하고, 내온을 70 내지 80℃로 유지하며 2시간 교반하여,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18
다음으로, 상기 생성물 100 질량부와, 유제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140 질량부를 혼합하고, 3축 롤밀로 충분히 혼련하여,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디메틸폴리실록산=25/75 질량비이고 점도가 424,000 mPa?s인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얻었다.
[합성 비교예 4]
반응 용기에, 상기 화학식 15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70.0 질량부, 상기 화학식 11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30.0 질량부, 상기 화학식 7의 메틸비닐폴리실록산 222.0 질량부 및 비반응성의 실리콘유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81.0 질량부를 투입하고, 부가 중합 촉매로서 염화백금산 2 질량%의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용액 0.10 질량부를 가하고, 내온을 70 내지 80℃로 유지하며 2시간 교반하여,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생성물 100 질량부와, 유제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185 질량부를 혼합하고, 3축 롤밀로 충분히 혼련하여,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디메틸폴리실록산=28/72 질량비이고 점도가 409,000 mPa?s인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얻었다.
[합성 비교예 5]
반응 용기에, 상기 화학식 5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20.0 질량부, 상기 화학식 15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80.0 질량부, 상기 화학식 9의 메틸비닐폴리실록산 28.0 질량부, 상기 화학식 7의 메틸비닐폴리실록산 42.0 질량부 및 비반응성의 실리콘유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43.0 질량부를 투입하고, 부가 중합 촉매로서 염화백금산 2 질량%의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용액 0.05 질량부를 가하고, 내온을 70 내지 80℃로 유지하며 2시간 교반하여,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생성물 100 질량부와, 유제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220 질량부를 혼합하고, 3축 롤밀로 충분히 혼련하여,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디메틸폴리실록산=25/75 질량비이고 점도가 422,000 mPa?s인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얻었다.
[합성 비교예 6]
반응 용기에, 상기 화학식 15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100.0 질량부, 상기 화학식 9의 메틸비닐폴리실록산 42.0 질량부 및 비반응성의 실리콘유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61.0 질량부를 투입하고, 부가 중합 촉매로서 염화백금산 2 질량%의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용액 0.05 질량부를 가하고, 내온을 70 내지 80℃로 유지하며 2시간 교반하여,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생성물 100 질량부와, 유제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180 질량부를 혼합하고, 3축 롤밀로 충분히 혼련하여,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디메틸폴리실록산=25/75 질량비이고 점도가 428,000 mPa?s인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얻었다.
이상, 합성 실시예 1 내지 8, 합성 비교예 1 내지 6의 페이스트상 조성물의 조성을 표 1에 통합하여 나타낸다. 식 중의 값의 단위는 질량부이다. 또한, 화학식 6, 9, 11 및 15로 표시되는 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또는 비닐폴리실록산은 (a+b)≥30, (c+d)≥30 및 (e+f)≥30의 어느 것도 만족시키지 않는 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또는 비닐폴리실록산이다. 또한, 합성 비교예 5는 (a+b)≥30, (c+d)≥30 및 (e+f)≥30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또는 비닐폴리실록산을, 상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의 총 질량 중 40 질량% 미만밖에 함유하지 않는 예이다.
Figure pat00019
합성 실시예 1 내지 8, 합성 비교예 1 내지 6에서 얻어진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감촉에 대하여, 표 2에 나타내는 기준에 따라 전문 패널리스트 10명에 의한 평가를 행하였다. 얻어진 평균점에 대하여 표 3에 나타내는 기준에 따라 판정을 행하였다. 판정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
Figure pat00020
[판정 기준]
Figure pat00021
[판정 결과]
Figure pat00022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합성 실시예 1 내지 8의 페이스트상 조성물은 합성 비교예 1 내지 6의 페이스트상 조성물에 비해 미끈감이 없고, 구상 분체를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파우더감을 느끼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페이스트상 조성물이면,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가 실리콘유 등의 (II) 유제에 대하여 높은 증점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유제의 배합 안정성이 높아지며, 이들을 포함하는 페이스트상 조성물은 퍼짐의 불량, 기름기, 끈적임, 유막감 등이 없고, 보송보송한 가벼운 감촉의 페이스트상 조성물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I)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및 (II) 유제를 포함하는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함유하는 각 화장료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1: W/O형 유액]
(성분) (질량부)
1. 합성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페이스트상 조성물 15.0
2.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12.0
3.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0.0
4. 트리옥탄산글리세릴 5.0
5.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 1) 3.0
6. 1,3-부탄디올 5.0
7. 방부제 적량
8. 향료 적량
9. 정제수 50.0
(주 1)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F-6017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5를 균일하게 교반 혼합하였다.
B: 성분 6 내지 9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A에 가하여 교반 혼합하여 유화물을 얻었다.
(결과)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유화물은 끈적임이 없고, 퍼짐이 가볍고, 산뜻한 감촉이고, 윤기가 있는 마무리가 얻어지는 W/O형 유액이 되었다.
[실시예 2: O/W형 크림]
(성분) (질량부)
1. 합성 실시예 2에서 얻어진 페이스트상 조성물 8.0
2. 가교형 메틸페닐폴리실록산(주 2) 2.0
3.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5.0
4. 디프로필렌글리콜 7.0
5. 글리세린 5.0
6. 2% 메틸셀룰로오스 용액(주 3) 7.0
7.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유화제(주 4) 2.0
8. 구아닌 1.0
9. 방부제 적량
10. 향료 적량
11. 정제수 63.0
(주 2)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SG-18
(주 3)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메톨로오즈 SM-4000
(주 4) SEPIC 제조 세피겔 305
(제조 방법)
A: 성분 3 내지 11을 균일하게 교반 혼합하였다.
B: 성분 1 내지 2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A에 가하여 교반 혼합하여 유화물을 얻었다.
(결과)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유화물은 결이 곱고, 끈적임이 없으며, 퍼짐이 가볍고, 기름기가 없어,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화장 지속력도 좋고, 안정성이 우수한 O/W형 크림이 되었다.
[실시예 3: W/O형 크림]
(성분) (질량부)
1. 합성 실시예 8에서 얻어진 페이스트상 조성물 5.0
2.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10.0
3.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 5) 2.0
4. 폴리에테르 변성 분지형 실리콘(주 6) 0.5
5.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6. 시트르산나트륨 0.2
7. 에탄올 5.0
8. 방부제 적량
9. 향료 적량
10. 정제수 67.3
(주 5)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SG-210
(주 6)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F-6028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4를 균일하게 교반 혼합하였다.
B: 성분 5 내지 10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A에 가하여 교반 혼합하여 유화물을 얻었다.
(결과)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유화물은 미끈거림, 끈적임이 없고, 퍼짐이 가볍고, 촉촉한 산뜻한 사용감을 느끼는 W/O형 크림이 되었다.
[실시예 4: 파우더 파운데이션]
(성분) (질량부)
1. 합성 실시예 3에서 얻어진 페이스트상 조성물 6.0
2. 아크릴레이트/디메틸 실리콘 공중합체(주 7) 3.0
3. 스쿠알란 3.0
4. 아크릴 실리콘 처리 마이커(주 8) 50.0
5. 트리에톡시카프릴릴 처리 탈크(주 9) 24.0
6. 트리에톡시알킬 실리콘 처리 산화티탄(주 10) 9.0
7. 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주 11) 2.0
8. 구상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분체(주 12) 3.0
9. 트리에톡시알킬 실리콘 처리 안료(주 13) 적량
10. 방부제 적량
11. 향료 적량
(주 7)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P-561P
(주 8)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P-574 처리 마이커
(주 9)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AES-3083 처리 탈크
(주 10)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F-9909 처리 산화티탄
(주 11)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SP-300
(주 12)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MP-590
(주 13)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F-9909 처리 안료
(제조 방법)
A: 성분 4 내지 10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B: 성분 1 내지 3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A에 가하여 혼합하였다.
C: 성분 11을 첨가한 후, 금형에 프레스 성형하여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결과)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파우더 파운데이션은 끈적임이 없고, 퍼짐이 가볍고 펴짐이 좋고, 밀착성이 우수한 파우더 파운데이션이 되었다.
[실시예 5: W/O형 크림 파운데이션]
(성분) (질량부)
1. 합성 실시예 6에서 얻어진 페이스트상 조성물 8.0
2.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 14) 3.0
3.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 15) 1.0
4.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3.0
5. 데카메틸펜타실록산 9.0
6. 트리옥탄산글리세릴 5.0
7.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2.0
8. 구상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분체(주 16) 1.5
9. 폴리글리세린알킬 공변성 분지형 실리콘(주 17) 2.0
10. 트리에톡시알킬 실리콘 처리 안료(주 18) 5.0
11. 펜틸렌글리콜 5.0
12. 염화나트륨 0.5
13. 방부제 적량
14. 향료 적량
15. 정제수 55.0
(주 14)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SG-210
(주 15)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F-6017
(주 16)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MP-590
(주 17)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F-6105
(주 18)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F-9909 처리 안료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4, 5의 일부, 6 내지 8을 균일하게 교반 혼합하였다.
B: 성분 9 내지 10, 5의 잔부를 교반 혼합하였다.
C: 성분 11 내지 13, 15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D: C를 A에 가하여 교반 혼합하고 유화를 행하였다.
E: 성분 14 및 B를 D에 가하여 교반 혼합하였다.
(결과)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크림 파운데이션은 미끈거림, 끈적임이 없고, 퍼짐이 가볍고, 또한 안료의 분산성이 좋고, 밀착성이 우수한 W/O형 크림 파운데이션이 되었다.
[실시예 6: 아이섀도우]
(성분) (질량부)
1. 견운모 45.0
2. 마이커 12.0
3. 탈크 12.0
4. 산화티탄 10.0
5. 미립자 산화티탄 5.0
6. 스테아르산마그네슘 3.0
7. 안료 적량
8. 옥틸도데카놀 3.0
9.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4.0
10. 합성 실시예 7에서 얻어진 페이스트상 조성물 6.0
11. 방부제 적량
12. 향료 적량
(제조 방법)
A: 성분 8 내지 11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B: 성분 1 내지 7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A를 가하여 혼합하였다.
C: 성분 12를 B에 첨가하였다.
(결과)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아이섀도우는 퍼짐이 좋고, 밀착성이 우수한 화장 지속력이 좋은 아이섀도우가 되었다.
[실시예 7: 크림 아이칼라]
(성분) (질량부)
1. 합성 실시예 5에서 얻어진 페이스트상 조성물 3.5
2. 합성 실시예 7에서 얻어진 페이스트상 조성물 5.0
3. 폴리에테르 변성 분지형 실록산(주 19) 2.0
4.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6.5
5. 데카메틸펜타실록산 26.6
6. 트리에틸헥사노인 5.0
7. 유기 변성 벤토나이트 1.2
8. 아크릴레이트/디메틸 실리콘 공중합체(주 20) 1.5
9. 트리에톡시알킬 실리콘 처리 안료(주 21) 5.0
10. 디프로필렌글리콜 5.0
11. 시트르산나트륨 0.2
12. 방부제 적량
13. 향료 적량
14. 정제수 38.5
(주 19)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F-6028
(주 20)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P-575
(주 21)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F-9909 처리 안료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4, 5의 일부, 6 내지 7을 균일하게 교반 혼합하였다.
B: 성분 10 내지 12 및 14를 교반 혼합하였다.
C: 성분 8 내지 9 및 5의 잔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D: C를 A에 가하여 교반 혼합하여 유화를 행하였다.
E: 성분 13 및 B를 D에 가하여 교반 혼합하였다.
(결과)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크림 아이칼라는 미끈거림, 끈적임이 없고, 퍼짐이 가볍고, 또한 안료의 분산성이 좋고, 밀착성이 우수한 크림 아이칼라가 되었다.
[실시예 8: 롤 온 타입 제한제]
(성분) (질량부)
1. 합성 실시예 8에서 얻어진 페이스트상 조성물 20.0
2.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 22) 20.0
3.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주 23) 15.0
4.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10.0
5. 데카메틸펜타실록산 15.0
6. 알루미늄지르코늄테트라클로로하이드레이트 20.0
7. 향료 적량
(주 22)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SG-240
(주 23)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SG-15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5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B: 성분 6 내지 7을 A에 가하여 혼합 분산하였다.
(결과)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롤 온 타입 제한제는 끈적임이 없고, 퍼짐이 가볍고, 청량감이 있는 산뜻한 감촉의 롤 온 타입 제한제가 되었다.
[실시예 9: 햇빛 차단 크림]
(성분) (질량부)
1. 트리에톡시알킬 실리콘 처리 산화아연(주 24) 20.0
2. 알킬?폴리글리세린 공변성 실리콘(주 25) 12.0
3.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0.0
4.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7.0
5. 가교형 알킬폴리에테르 공변성 실리콘(주 26) 2.0
6. 합성 실시예 5에서 얻어진 페이스트상 조성물 5.0
7. 알킬폴리에테르 공변성 분지 실리콘(주 27) 1.0
8. 메톡시신남산옥틸 3.0
9. 시트르산나트륨 0.2
10. 디프로필렌글리콜 3.0
11. 방부제 적량
12. 향료 적량
13. 정제수 26.8
(주 24)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F-9909 처리 산화아연
(주 25)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F-6105
(주 26)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SG-310
(주 27)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F-6038
(제조 방법)
A: 성분 3의 일부 및 4 내지 8을 균일하게 교반 혼합하였다.
B: 성분 9 내지 11 및 13을 혼합하였다.
C: 성분 1 내지 2 및 3의 잔부를 혼합하였다.
D: B를 A에 가하여 교반 혼합하여 유화를 행하였다.
E: C 및 성분 12를 D에 가하여 교반 혼합하였다.
(결과)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햇빛 차단 크림은 미끈거림, 끈적임이 없고, 퍼짐이 가볍고, 밀착성이 우수한 화장 지속력도 좋은 햇빛 차단 크림이 되었다.
[실시예 10: 햇빛 차단 유액]
(성분) (질량부)
1. 합성 실시예 7에서 얻어진 페이스트상 조성물 5.0
2. 합성 실시예 5에서 얻어진 페이스트상 조성물 1.0
3.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6 mm2/s) 5.0
4. 트리옥탄산글리세릴 2.0
5.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 28) 1.0
6. 산화티탄/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분산물(주 29) 30.0
7. 산화아연/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분산물(주 30) 30.0
8. 디프로필렌글리콜 3.0
9. 시트르산나트륨 0.2
10. 방부제 적량
11. 향료 적량
12. 정제수 22.8
(주 28)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KF-6017
(주 29)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SPD-T5
(주 30) 신에쓰 가가꾸 고교(주) 제조 SPD-Z5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5를 균일하게 교반 혼합하였다.
B: 성분 8 내지 10 및 12를 혼합하였다.
C: B를 A에 가하여 교반 혼합하여 유화를 행하였다.
D: 성분 6, 7, 11을 C에 가하여 교반 혼합하였다.
(결과)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햇빛 차단 유액은 미끈거림, 끈적임이 없고, 퍼짐이 가볍고, 화장 지속력이 좋은 햇빛 차단 유액이 되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는 퍼짐의 불량, 기름기, 끈적임, 유막감 등이 없고, 구상 입자와 같은 파우더를 배합하지 않더라도 기름기가 없이 보송보송한 파우더감을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 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어떠한 것이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4)

  1. 적어도,
    (I) (i)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1종 이상과,
    (ii)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지방족 불포화기 함유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1종 이상
    을 포함하고,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의 총 질량 중 40 질량% 이상은 (a+b)≥30, (c+d)≥30 및 (e+f)≥30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것을 적어도 2종 함유하는 폴리실록산 혼합물을 부가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와,
    (II)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천연 동식물유 및 반합성유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25℃에서 액체인 유제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23

    <화학식 2>
    Figure pat00024

    (상기 화학식 1 중, R1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지방족 불포화기를 갖지 않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a≥1, b≥0의 정수이고, 상기 화학식 2 중, R2는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지방족 불포화기를 갖지 않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c≥0, d≥1의 정수임)
    <화학식 3>
    Figure pat00025

    (상기 화학식 3 중, R3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지방족 불포화기를 갖지 않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R4는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말단에 불포화기를 갖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8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e≥1, f≥0의 정수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에서의 R4가 비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상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에 대하여 상기 유제를 질량비로 1/20 이상 20/1 이하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상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120012615A 2011-02-09 2012-02-08 페이스트상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KR201200920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26330 2011-02-09
JP2011026330A JP2012162700A (ja) 2011-02-09 2011-02-09 ペースト状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040A true KR20120092040A (ko) 2012-08-20

Family

ID=4565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615A KR20120092040A (ko) 2011-02-09 2012-02-08 페이스트상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202895A1 (ko)
EP (1) EP2487195B1 (ko)
JP (1) JP2012162700A (ko)
KR (1) KR201200920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8194A (ko) * 2014-01-23 2015-07-3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화장료
KR20200141256A (ko) * 2019-06-10 2020-12-18 한국콜마주식회사 클레이 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165B1 (ko) * 2010-02-26 2013-04-25 가부시키가이샤 피엔피에프 고형 세정제 조성물 및 고형 세정제
JP6968905B2 (ja) 2017-06-12 2021-11-17 ワッカー ケミー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Wacker Chemie AG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ゲルの製造方法
WO2022063405A1 (de) 2020-09-24 2022-03-31 Wacker Chemi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ydrophilen organopolysiloxangelen
JP2023011391A (ja) 2021-07-12 2023-01-2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ペースト状シリコーン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化粧料
WO2024106312A1 (ja) * 2022-11-17 2024-05-2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架橋型オルガノシロキサン重合物を有する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1555A (en) 1980-05-19 1981-12-11 Fuji Xerox Co Ltd Controller of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JP2582275B2 (ja) * 1987-10-15 1997-02-19 株式会社コーセー シリコーンゲル組成物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H0655897B2 (ja) 1988-04-22 1994-07-2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ーン組成物の製造方法
JPH0660286B2 (ja) * 1989-02-15 1994-08-1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油性ペースト組成物
JPH0425454A (ja) 1990-05-21 1992-01-29 Kuraray Co Ltd 積層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613124B2 (ja) 1990-08-30 1997-05-21 花王株式会社 新規シロキサ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631772B2 (ja) 1991-02-27 1997-07-1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なシリコーン重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水分散能を有するペースト状シリコーン組成物
JP2832143B2 (ja) 1993-12-28 1998-12-0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ーン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48709B2 (ja) * 1995-07-12 2002-01-2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乳化組成物
US5654362A (en) 1996-03-20 1997-08-05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oils and solvents thickened by silicone elastomers
JP3488573B2 (ja) 1996-06-03 2004-01-19 カネボウ株式会社 ボディ用化粧料の製造方法
US5929164A (en) * 1997-11-05 1999-07-27 Dow Corning Corporation Quenching post cure
US6057386A (en) * 1998-06-10 2000-05-02 Dow Corning Toray Silicone Co. Ltd. Silicone oil 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JP3850202B2 (ja) 1999-06-11 2006-11-2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JP3724988B2 (ja) 1999-07-30 2005-12-0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シリコーン化合物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化粧料
JP3976226B2 (ja) 2000-12-08 2007-09-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多価アルコール変性シリコーン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100898453B1 (ko) 2001-09-04 2009-05-2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페이스트상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US6770708B2 (en) 2002-08-27 2004-08-03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elastomers compositions
US6936686B2 (en) * 2002-12-11 2005-08-30 Nutech Corporation Cross-linked silicone gels; products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JP4490817B2 (ja) 2002-09-12 2010-06-3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な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重合物及びペースト状組成物並びにその組成物を用いた化粧料
JP4907884B2 (ja) * 2004-03-31 2012-04-04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8194A (ko) * 2014-01-23 2015-07-3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화장료
KR20200141256A (ko) * 2019-06-10 2020-12-18 한국콜마주식회사 클레이 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87195B1 (en) 2017-11-08
EP2487195A1 (en) 2012-08-15
US20120202895A1 (en) 2012-08-09
JP2012162700A (ja)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077B1 (ko) 유기폴리실록산과 그 제법 및 상기 유기폴리실록산을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98444B1 (ko) 페이스트상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JP5229187B2 (ja) シリコーン複合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化粧料
JP5532648B2 (ja) カルボキシル基を有す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で表面処理された粉体、該粉体の分散物および該粉体を含む化粧料
KR100965027B1 (ko) 분체 조성물 및 유중 분체 분산물, 및 이들을 포함하는화장료
JP5359593B2 (ja) 複合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化粧料
KR101018568B1 (ko) 신규 오가노폴리실록산 중합물, 페이스트상 조성물 및 이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KR101699552B1 (ko) 화장료
KR101699551B1 (ko) 화장료
JP5596065B2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5015994B2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及びその製法ならびに該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2236514B1 (ko) 화장료
KR20120092040A (ko) 페이스트상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JP2009185296A5 (ko)
JP2007269689A (ja) 油中粉体分散物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2009132638A (ja) 化粧料
JP5196193B2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化合物を含有する化粧料
JP5682662B2 (ja) 複合粒子の製造方法
JP5345309B2 (ja) 化粧料
JP6863463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化粧料
WO2020129461A1 (ja) 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並びに、それを含んだ化粧料
JP2009084188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