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017A -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017A
KR20120090017A KR1020120056653A KR20120056653A KR20120090017A KR 20120090017 A KR20120090017 A KR 20120090017A KR 1020120056653 A KR1020120056653 A KR 1020120056653A KR 20120056653 A KR20120056653 A KR 20120056653A KR 20120090017 A KR20120090017 A KR 20120090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hair
red ginseng
hair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3944B1 (ko
Inventor
고인순
Original Assignee
고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인순 filed Critical 고인순
Priority to KR1020120056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9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90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α-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실제 동물실험과 임상시험에 있어서도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뱀딸기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eneration}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뱀딸기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 약물의 오남용 등에 따른 부작용, 사회 환경적인 스트레스 등으로 탈모 인구는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다.
인체의 모발은 성장기, 퇴행기 및 휴지기를 거쳐 성장?탈락하는데, 탈모는 이러한 성장기의 모발의 숫자가 적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발의 숫자가 많아져 생겨나는 증상이다.
현재까지 탈모의 원인은 명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혈액 순환 불량,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의 과다 생성 등에 따른 피지 과잉 분비, 과산화물 또는 세균 등에 의한 두피 기능 저하, 노화, 유전적 요인, 스트레스, 이들이 복합적인 작용 등이 탈모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탈모 증상을 지니는 사람에게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이 생체내에서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음이 관찰됨에 따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과다 생성이 탈모의 주요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은 5α-리덕타아제에 의해 테스토스테론이라는 남성 호르몬으로부터 생겨나는 또 다른 남성 호르몬이다.
5α-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저해시킴으로써 탈모 방지 등의 효과를 보이는 약물로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미국 머크(Merck) 사가 개발하여 현재 FAD의 승인을 받은 프로페이시아(성분명: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를 들 수 있다(미국 특허 제5547957호, 제5760046호 또는 대한민국 특허 제375083호).
본 발명도 5α-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실제 동물실험과 임상시험에 있어서도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뱀딸기 추출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양태 등은 이하에서 개시된다.
본 발명자는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보여지듯이, 건조한 뱀딸기 전초(全草)를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고, 그 각 추출물에 대하여,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생성함으로써 탈모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5α-리덕타아제의 억제 활성을 살펴본 결과, 대조군(뱀딸기 추출물이 첨가되지 아니한 실험군)에 비해 물 추출물은 64.3%, 에탄올 추출물은 58.7%의 억제 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효소 실험 결과는 동물실험과 임상시험 결과에서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홍삼 추출물을 뱀딸기 추출물에 첨가한 경우에 전체적으로 5α-리덕타아제의 억제 활성이 높아졌을 뿐 아니라, 동물실험과 임상시험에서도 발모 촉진 및/또는 탈모 방지 효과가 전체적으로 상승하였다.
특히 뱀딸기 추출물의 홍삼 추출물과의 혼합 비율을 9:1 내지 7:3(중량비)의 비율로 하였을 때는 뱀딸기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보다도 5α-리덕타아제의 억제 활성뿐 아니라, 동물실험에서의 발모 촉진 활성이 현저히 높았으며, 혼합 비율을 8:2로 하여 실시한 임상시험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시판 양모제인 목시딜보다도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들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뱀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유효성분으로서 홍삼 추출물/분말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탈모"란 그 발생의 직?간접적인 원인을 불문하고 당업계에서 탈모로서 분류되는 모든 증상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혈액 순환 불량,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과다 생성 등에 따른 피지 과잉 분비, 과산화물 또는 세균 등에 의한 두피 기능 저하, 노화, 유전적 요인, 스트레스, 이들의 복합적인 작용 등에 의한 탈모 증상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는 아래의 실험예(실험예 3)에서 보여지듯이, 무작위로 선출된 탈모 증상을 갖는 120명의 남성(1 그룹은 30명임)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실시한 결과, 뱀딸기 추출물을 사용한 2개의 실험군 모두에서 뚜렷하게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효과가 나타난 점에 비추어서도 그러하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뱀딸기 추출물"이란 추출 방법을 불문하고 추출 대상인 뱀딸기를 증류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침지시켜 추출하여 얻어진 조추출물과 그 조추출물을 상기 열거된 용매로 분획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되며, 또 추출 방법을 불문하므로, 추출 대상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추출되는 한, 추출 방법은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등 임의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뱀딸기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홍삼 추출물"은 그 추출 대상인 홍삼인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뱀딸기 추출물"과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는 홍삼 추출물을 사용하였지만, 당업자에게 홍삼 분말을 사용한 경우도 유사한 효과를 보일 것임이 자명하므로, 홍삼 추출물을 대신하여 또는 홍삼 추출물과 함께 홍삼 분말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홍삼 추출물이 첨가된 경우 전체적으로 뱀딸기 추출물의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가 상승하지만, 특히 첨가 비율이 9:1 내지 7:3(뱀딸기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혼합 중량 비율)인 경우가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가 상승하였다. 그러므로 홍삼 추출물이 첨가될 때, 뱀딸기 추출물과의 혼합 비율은 9:1 내지 7:3(뱀딸기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혼합 중량 비율)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뱀딸기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혼합 비율은 동일한 성상에서의 혼합 비율이다. 예컨대 추출 용매가 제거된 고형상의 뱀딸기 추출물이라면 마찬가지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고형상의 홍삼 추출물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또 예컨대 추출액 형태라면 아래의 실시예에서처럼 동일한 추출 조건에서 얻어진 액상의 추출액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효성분"의 의미는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정의되지 아니한 용어에 대해서는 국어사전적 의미나 당업계에서 통상 받아들여지고 있는 의미를 따른다.
한편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뱀딸기 추출물은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99.999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탈모 방지 또는 발모를 촉진시킬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뱀딸기 추출물 이외에,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효과를 상승 또는 보강시킬 수 있도록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효과가 있다고 이미 알려진 화합물이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앞으로 양모제의 제조에 통상 사용하는 화합물이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합물이나 식물 추출물로서는 프로게스테론, 에스트로겐 등의 여성 호르몬, 녹차추출물, 피나스테라이드, 백자인 추출물, 고삼 추출물, 리놀레익애씨드, 감마리놀레닉애씨드, 호호바유,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아보카도유, 대두유 첨가 레시틴, 정향 추출물, 의이인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 울금 추출물, 빈랑자 추출물, 아선약 추출물, 견우자 추출물, 차전자 추출물, 강진향 추출물, 감초 추출물, 보골지 추출물, 소팔미토, 사과 추출물, 당약 추출물, 인삼 추출물, 생지황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황정 추출물, 판토테닐에칠에텔, 디판테놀, 헨나 추출물, 창포 추출물, 히노키티올, 니코틴산아미드, 엘멘톨, 미녹시딜, 은행 추출물, 초산토코페롤, 니코틴산벤질, 살리실산, 피록톤올아민, 케토코나졸 등을 들 수 있다.
위에서 예시된 바의 화합물 또는 식물 추출물은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뱀딸기 추출물과 함께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모발 화장품(Hair cosmetics)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이 모발 화장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 그 화장품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분말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모발 화장품 조성물은 뱀딸기 추출물 등 이외에 모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는 알콜,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방부제,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희석제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방부제,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희석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몇 가지를 예시하여 보면, 알콜로서는 고급 알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소르비톨,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수용성 다가 알콜 등을 들 수 있고, 오일로서는 아보가드유, 팜유, 우지, 호호바유 등을 들 수 있고, 방부제로서는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을 들 수 있으며, 보습제로서는 히알론산, 황산콘드로이친(chondroitin sulfate), 피롤리돈카복실산염 등을 들 수 있으며, 희석제로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 샴푸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이 샴푸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에,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뱀딸기 추출물 등 이외에 샴푸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그러한 담체로서는 계면활성제, 기포증진제, 유화제, 점증제, 향수(向水)제(hydrotrope), 방부제, pH 조절제, 살균제, 비듬방지제, 토닉제, 보습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기포 증진제, 유화제, 점증제, 향수(向水)제(hydrotrope), 방부제, pH 조절제, 살균제, 비듬방지제, 토닉제 등은 당업계에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계면활성제로는 알킬에테르황산염S(Alcohol Ethoxy Sulfate; Sodium Lauryl Ethoxylated Sulfate), 알킬황산염(Alcohol Sulfate), 아실싸르코신산염, 아실그루타민산염, 인산에스테르, 슈크로스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포 증진제로는 알카놀아미드와 아민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점증제로는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전분, 텍스트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향수제로는 에칠알콜, 부칠알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보습제로는 글리세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에,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비누 기재에 그 유효성분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첨가제로서 피부 보습제, 유화제, 경수 연화제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비누 기재로서는 야자유, 팜유, 대두유, 파마자유, 올리브유, 팜핵류 등의 식물유지 또는 우지, 돈지, 양지, 어유 등의 동물유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피부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에리트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실리콘 유도체, 알로에베라, 솔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로서는 천연오일, 왁스 지방알콜, 탄화수소류, 천연식물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경수연화제로서는 테트라소듐 이디티에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항균제, 분산제, 거품억제제, 용매, 물때 방지제, 부식 방지제, 향료, 색소, 금속이온 봉쇄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국소형 제형 예컨대 크림, 로션, 연고(반고형의 외용약), 마이크로로에멀젼, 젤, 페이스트, 경피제제(TTS)(예컨대 패치제, 붕대 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기능성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뱀딸기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 화장품, 샴푸, 비누, 식품, 약품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뱀딸기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제조
< 실시예 1> 뱀딸기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 뱀딸기 추출물의 제조예 1
건조한 뱀딸기 전초 1kg에 물 5ℓ를 넣고 70~90℃의 온도로 약 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고, 그 추출액을 2㎛의 여과지로 여과하여 뱀딸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 액상의 추출물을 그대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뱀딸기 추출물의 제조예 2
건조한 뱀딸기 전초 1kg를 70% 에탄올 2ℓ에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시켜 추출액을 얻고, 그 추출액을 2㎛의 여과지로 여과하여 뱀딸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 액상의 추출물을 그대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홍삼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2-1> 홍삼 추출물의 제조예 1
홍삼 세절물 1kg에 물 5ℓ를 넣고 70~90℃의 온도로 약 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고, 그 추출액을 2㎛의 여과지로 여과하여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 액상의 추출물을 그대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2> 홍삼 추출물의 제조예 2
홍삼 세절물 1kg를 70% 에탄올 2ℓ에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시켜 추출액을 얻고, 그 추출액을 2㎛의 여과지로 여과하여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 액상의 추출물을 그대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험예 > 뱀딸기 추출물 및/또는 홍삼 추출물의 탈모 억제 및/또는 발모 촉 진 활성 실험
<실험예 1-1> 뱀딸기 추출물 및/또는 홍삼 추출물의 5α- 리덕타아제 억제 활성 실험
상기 각 실시예의 뱀딸기 추출물의 5α-리덕타아제의 활성 억제 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할 5α-리덕타아제는 8주령의 Sprague-Dawley계 흰쥐의 간에서 얻었으며 Bradford 방법으로 단백질을 정량하여 일정량의 단백질 현탁액으로 준비하였다.
상기 5α-리덕타아제의 현탁액 30㎕을 효소반응용액 60㎕(50mM Na2HPO4(pH 6.8), 25mM KCl, 500mM NADPH)에 첨가함과 함께 상기 실시예의 시료(뱀딸기 추출물, 홍삼 추출물, 또는 뱀딸기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여러 비율(중량비)의 혼합물) 10㎕ 첨가하여 전체 반응용액의 양을 100㎕로 하였다.
이때 5α-리덕타아제의 반응 기질은 방사능 표지 테스토스테론(3H-Testosterone)을 사용하였다.
상기 반응 용액을 37℃ 항온조에서 20분간 방치하여 반응시킨 후, 반응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하고, 잔류물을 클로로포름 20㎕에 녹여 이것을 TLC 플레이트 상에 스포팅하고 TLC 챔버에서 30분간 전개 용매(톨루엔:아세톤=4:1)로 전개시킨 후, 전개된 플레이트를 하이퍼필름에 3일간 감광시켜 감광된 면적을 덴시토미터(Densitometer)로 정량 분석하였다.
5α-리덕타아제에 대한 활성 억제율은 다음의 식을 사용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5α-리덕타아제에 대한 활성 억제율 = 100(A-B/A)
A : 시료 미첨가시 테스토스테론에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
B : 시료 첨가시 테스토스테론에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
5α-리덕타아제에 대한 활성 억제율
구분 억제율(%)
실시예 1-1 64.3
실시예 1-2 58.7
실시예 2-1 21.3
실시예 2-2 17.5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의 9:1의 혼합물 77.8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의 8:2의 혼합물 83.5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의 7:3의 혼합물 75.3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의 6:4의 혼합물 65.2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의 5:5의 혼합물 54.3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의 4:6의 혼합물 43.5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의 3:7의 혼합물 34.4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의 2:8의 혼합물 29.8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의 1:9의 혼합물 24.5
상기 <표 1>의 결과는 상기 실시예의 뱀딸기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이 5α-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함을 보여준다. 특히 뱀딸기 추출물의 5α-리덕타아제의 억제 활성이 홍삼 추출물에 비하여 확연히 높았으며, 뱀딸기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혼합물의 경우는 9:1 내지 7:3 비율에서 현저히 높고 나머지 비율에서는 홍삼 추출물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감소하였다.
<실험예 2> 뱀딸기 추출물 및/또는 홍삼 추출물의 동물모델에서의 발모 촉진 활성 실험
7~8주령의 수컷 마우스 C57BL/6의 등 부위의 털을 면도날을 사용하여 조심스럽게 3~4cm2 정도의 넓이로 제거하고 24시간 후 잔모가 없음을 확인한 다음 실험군과 대조군을 각각 7마리씩 배정하였다.
상기 마우스에 상기 실시예의 시료(뱀딸기 추출물, 홍삼 추출물, 또는 뱀딸기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 여러 비율(중량비)의 혼합물)를 적당량 총 2주 동안 1일 2회 상기 털이 제거된 등 부위에 도포하고, 티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얻은 이미지를 화상 분석기(Image analyzer/Image-Pro Plus, U.S.A)로 분석하여 털이 제거된 면적 대비 신생모가 자란 면적을 비율로 발모 효율을 평가하였다.
대조군으로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평균값±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동물 모델에서의 발모 효율
구분 1주 후 2주 후
대조군 3.97±2.79 36.58±11.42
실시예 1-1 17.74±4.31 64.43±8.80
실시예 1-2 15.22±5.61 59.28±5.69
실시예 2-1 5.34±3.82 42.42±5.63
실시예 2-2 4.52±2.95 40.57±4.62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의 9:1의 혼합물 22.15±4.72 83.29±7.47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의 8:2의 혼합물 25.57±5.32 92.37±8.27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의 7:3의 혼합물 21.62±3.91 81.26±5.82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의 6:4의 혼합물 16.73±4.76 65.43±6.93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의 5:5의 혼합물 12.31±3.83 59.04±9.27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의 4:6의 혼합물 9.21±4.43 52.92±7.29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의 3:7의 혼합물 6.47±3.75 47.89±8.26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의 2:8의 혼합물 5.82±1.27 44.63±10.24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의 1:9의 혼합물 5.57±3.53 43.72±11.93
상기 <표 2>의 결과는 대체로 상기 [표 1]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뱀딸기 추출물이 홍삼 추출물에 비하여 발모 효율이 높았으며, 또 혼합물이 경우는 뱀딸기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9:1 내지 7:3 비율의 혼합물의 발모 효율이 높았다. 혼합물의 경우 홍삼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발모 효율이 떨여졌다.
<실험예 3> 뱀딸기 추출물 및/또는 홍삼 추출물의 탈모 방지 효과 및 발모 촉진 효과에 대한 임상시험
상기 실시예의 뱀딸기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탈모 방지 효과 및 발모 촉진 효과를 임상에서 확인하고자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표 3>과 같이 뱀딸기 추출물 및/또는 홍삼 추출물을 이용하여 양모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또 결과의 비교를 위하여 양성대조군으로서는 양모제인 목시딜®(한미약품, 한국)을 사용하였다.
양모제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
구분 성분 및 성분 비율 (중량%)
제조예 1 <실시예 1-1>의 뱀딸기 추출물(100%)
제조예 2 <실시예 2-1>의 홍삼 추출물(100%)
제조예 3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의 8:2(중량비)의 혼합물
상기 각 제조된 양모제 조성물을 탈모 증세가 있는 30세 내지 55세의 성인 남성 120명을 무작위로 선발하여 4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샴푸 후 3개월 동안 1일 1회 내지 2회 탈모 부위에 적량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피험자의 육안에 의한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여 평균값으로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양모제 조성물의 임상시험 결과
구분 관능평가 결과
제조예 1 3.78
제조예 2 2.31
제조예 3 4.46
양성대조군 4.21
* 평가 기준
5점: 육안 판정시 탈모가 현저히 감소하고 모발 생장이 일어난 경우
4점: 육안 판정시 탈모가 자각될 정도가 명백히 감소한 경우
3점: 육안 판정시 탈모가 자각될 정도로 감소한 경우
2점: 육안 판정시 탈모 증상이 불변인 경우
1점: 육안 판정시 탈모 증상이 악화된 경우
상기 <표 4>의 임상시험에 있어서도 뱀딸기 추출물이 홍삼 추출물에 비하여 발모 효율이 높았으며, 뱀딸기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혼합물의 경우는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목시딜 보다도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Claims (7)

  1. 뱀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홍삼 분말 또는 홍삼 추출물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 화장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샴푸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누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120056653A 2012-05-29 2012-05-29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233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653A KR101233944B1 (ko) 2012-05-29 2012-05-29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653A KR101233944B1 (ko) 2012-05-29 2012-05-29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945A Division KR101233910B1 (ko) 2010-04-07 2010-10-15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017A true KR20120090017A (ko) 2012-08-16
KR101233944B1 KR101233944B1 (ko) 2013-02-18

Family

ID=4688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653A KR101233944B1 (ko) 2012-05-29 2012-05-29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9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726A1 (ko) * 2021-07-09 2023-01-12 이정호 탈모방지 및 발모 효과를 갖는 한방조성물
CN115606797A (zh) * 2021-07-12 2023-01-17 芙蓝宝株式会社 利用水溶化乳香胶以及山胡椒提取物的生发促进或脱发抑制用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2834A1 (ko) * 2014-10-01 2016-04-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3986B2 (ja) * 1988-05-27 1997-08-25 ベイジン リーユエン リーヨン フアシュエ グーフェン ヨウシェン ゴンスー 頭部化粧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726A1 (ko) * 2021-07-09 2023-01-12 이정호 탈모방지 및 발모 효과를 갖는 한방조성물
CN115606797A (zh) * 2021-07-12 2023-01-17 芙蓝宝株式会社 利用水溶化乳香胶以及山胡椒提取物的生发促进或脱发抑制用组合物
CN115606797B (zh) * 2021-07-12 2024-05-03 芙蓝宝株式会社 利用水溶化乳香胶以及山胡椒提取物的生发促进或脱发抑制用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3944B1 (ko) 2013-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7499B2 (ja) 野生種スイカ抽出物を含有する活性酸素消去剤ならびに保湿剤
KR101848671B1 (ko) 식물세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및 발모 개선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1849924B1 (ko)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용 조성물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599763B1 (ko)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CN107530258B (zh) 用于促进毛发生长或毛发修复和用于抗炎的组合物
CN107412031B (zh) 含有橘皮素的皮肤外用剂组合物
KR101230277B1 (ko) 죽순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33910B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10125722A (ko) 녹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553378B1 (ko) 백급 추출물 등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KR101965595B1 (ko)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233944B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6902329B2 (ja) 皮脂腺細胞の活性化の抑制剤
KR20120029116A (ko) 편백나무 잎 발효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JP2002249772A (ja) 抗酸化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KR102106440B1 (ko)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 배양 유산균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20096277A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JP5419258B2 (ja) 化粧料
KR101712481B1 (ko) 자소엽 추출물 등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KR101888133B1 (ko) 감국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JP4869498B2 (ja) 抗男性ホルモン剤、及び養毛化粧料、皮脂分泌抑制剤並びに前立腺肥大抑制剤
KR101612386B1 (ko) 진귤 종자 가공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102292114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미세먼지 유발 염증 개선, 및 모공축소용 조성물
JP2011231056A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及び保湿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6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