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9196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9196A
KR20120089196A KR1020120007590A KR20120007590A KR20120089196A KR 20120089196 A KR20120089196 A KR 20120089196A KR 1020120007590 A KR1020120007590 A KR 1020120007590A KR 20120007590 A KR20120007590 A KR 20120007590A KR 20120089196 A KR20120089196 A KR 20120089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ll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3404B1 (ko
Inventor
가즈야 미도리카와
마사유키 고토
데츠야 오오이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9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금형을 간단한 형상으로 하여, 그 금형의 강도 및 하우징의 강도의 양방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단자 (20) 의 탄성 아암부 (22) 가, 기부 (23) 로부터, 이행부 (25) 를 거쳐 돌출 벽부 (12) 를 따라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돌출 벽부 (12) 는,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에서 간격을 가지고 위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조벽부 (12C) 와, 인접하는 조벽부 (12C) 끼리 사이에서, 그 조벽부 (12C) 의 측면의 위치에서 가라앉아 형성되고, 단자 (20) 의 탄성 아암부 (22) 의 탄성 변위를 허용 가능하게 하는 변위 허용 오목부 (12A) 를 가지고 있는 커넥터 (1) 에 있어서, 하우징 (10) 은, 변위 허용 오목부 (12A) 의 하방 위치에서 저벽 (11) 을 관통하는 구멍부 (11A) 가 형성되어 있고, 변위 허용 오목부 (12A) 가 구멍부 (11A) 에 연통되어 있고, 단자 (20) 는, 기부 (23) 와 이행부 (25) 가 변위 허용 오목부 (12A) 밖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IRC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단자가 하우징에 일체 성형에 의해 배열 유지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는, 하우징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측벽 및 그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인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벽으로 이루어지는 주벽과, 그 주벽의 하단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그 주벽 내의 공간을 하방에서 막는 저벽 (底壁) 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저벽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하고, 상기 주벽에 둘러싸여 있는 돌출 벽부를 가지고 있다. 그 주벽과 돌출 벽부 사이에서 상방으로 개구하는 공간은,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로서 기능한다.
상기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의 단자는, 상기 측벽측에서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어 있고 그 자유단측인 탄성 아암부가 상기 돌출 벽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그 단자는 하우징의 저벽을 따라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기부와, 그 폭 방향에서의 돌출 벽부 근처 위치에서 그 수평 기부로부터, 굴곡된 이행부를 거쳐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단측에 접촉부가 형성된 탄성 아암부와, 그 폭 방향에서의 측벽 근처 위치에서 그 수평 기부로부터 경사진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하방 연장부와, 그 하방 연장부로부터 하우징 밖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접속부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의 돌출 벽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단자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단자의 상기 이행부 및 상기 탄성 아암부를 수용하기 위한 단자 홈이 그 돌출 벽부의 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방으로 개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그 돌출 벽부는, 인접하는 단자 홈끼리 사이 그리고 길이 방향 양단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벽부 (條壁部)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의 저벽은,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 위치에, 상기 폭 방향에서 돌출 벽부 근처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 홈이 그 구멍부를 개재하여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단자는, 상기 수평 기부의 측벽 근처 부분 그리고 하방 연장부가, 하우징과의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하우징의 측벽과 저벽의 경계역에서 유지되어 있고, 상기 이행부 및 상기 탄성 아암부가 하우징의 단자 홈 내에, 상기 폭 방향에서 그 단자 홈의 홈 바닥으로부터 이간되도록 하여 수용되어 있고, 그 폭 방향에서의 그 홈 바닥을 향한 탄성 아암부의 휨에 의한 탄성 변위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이행부 및 탄성 아암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단자 홈의 내벽면을 이루는 조벽부의 면과 이간되어 위치하고 있지만, 단자 홈 내의 일부가 상기 이행부 및 상기 탄성 아암부에 의해 차지되는 결과, 그 이행부 및 탄성 아암부와 상기 조벽부의 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좁은 간극이 된다.
이러한 특허문헌 1 에서는, 단자의 수평 기부의 돌출 벽부 근처 부분 및 이행부의 하방에서 하우징의 저벽에 상기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 기부의 휨에 의해 그 돌출 벽부 근처 부분 및 이행부가 하방으로 탄성 변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그 이행부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아암부의 탄성 변위는, 상기 서술한 홈 바닥을 향한 변위와 하방에 대한 변위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 이행부는 하방에 대한 변위만이 된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11-000099호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에서는, 하우징과 단자의 일체 몰드 성형시에, 통상,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 및 단자 홈을 형성하기 위한 상측 금형이 상방으로부터 배치됨과 함께, 하우징의 저벽의 구멍부를 형성하기 위한 하측 금형이 하방으로부터 배치된다고 생각된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그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에서는, 단자의 이행부 및 탄성 아암부가 단자 홈 내에 위치되어 있고, 또, 그 이행부는 단자 홈의 홈 바닥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탄성 변위할 수 없기 때문에, 일체 몰드 성형시에 상측 금형이 이행부를 홈 바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그 이행부 및 탄성 아암부와 조벽부 사이의 공간은 좁은 간극인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상측 금형이 상기 간극에 대응하여 진입하는 부분은, 이 좁은 간극에 넣는 치수가 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커넥터의 소형화의 요구가 매우 강하고, 단자가 조밀하게 배열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간극은 매우 좁게 설계되는 경우가 많고, 상기 상측 금형의 일부를 이 좁은 간극에 대응하는 치수로 만드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또, 만약, 그 상측 금형의 일부를 그러한 좁은 간극에 대응하는 치수로 만들 수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 상측 금형은, 그 형상이 복잡하여 제조 곤란해지고, 상기 간극에 대응하는 부분의 강도가 매우 낮아진다. 한편, 단자 홈의 수와 하우징의 길이 방향 치수, 바꿔 말하면 단자의 배열 밀도를 유지한 채, 상기 간극의 치수를 크게 설계하여 상측 금형의 형상을 간단하게 함으로써 제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그 상측 금형의 강도를 크게 하고자 하는 조건하에서는, 상기 조벽부의 길이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해야 하기 때문에, 그 조벽부의 강도의 저하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상측 금형의 제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강도를 유지하는 것과, 하우징의 돌출 벽부의 조벽부의 강도를 유지하는 것은, 상기 조건하에서는 상반되는 관계에 있다. 그러나, 양자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간극 및 조벽부의 양방의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를 크게 해야 하고, 이것은, 그 길이 방향에서의 커넥터의 대형화에 연결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금형을 간단한 형상으로 하여, 그 금형의 강도 및 하우징의 강도의 양방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를 1 방향으로 배열 유지하는 하우징이, 부착 대상면에 대면하여 그 단자의 배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저벽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그 저벽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을 위한 돌출 벽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단자가, 상기 하우징에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그 단자는,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피유지부와, 상기 돌출 벽부측에 위치하여 접촉부가 형성된 탄성 아암부를 갖고, 그 탄성 아암부가,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저벽 근처 위치에서 상기 피유지부와 탄성 아암부를 연결하는 기부로부터, 굴곡된 이행부를 거쳐 상기 돌출 벽부를 따라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인 폭 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탄성 아암부의 상단측에, 상대 커넥터의 상대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상기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돌출 벽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간격을 가지고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조벽부와, 인접하는 조벽부끼리 사이에서, 상기 길이 방향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 조벽부의 측면의 위치로부터 가라앉아 형성되고, 상기 단자의 탄성 아암부의 탄성 변위를 허용 가능하게 하는 변위 허용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은, 적어도 변위 허용 오목부의 하방 위치에서 저벽을 관통하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변위 허용 오목부가 그 구멍부에 연통되어 있고, 단자는, 상기 기부와 이행부가 상기 변위 허용 오목부 밖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에서는, 상기 폭 방향으로 탄성 변위되지 않는 단자의 이행부가 상기 변위 허용 오목부 밖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을 단자와 일체 성형할 때, 상기 길이 방향에서 변위 허용 오목부를 크게 하지 않아도, 그 길이 방향에서의 변위 허용 오목부 전역을 하측 금형을 위해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전역을 이용한 하측 금형을 하방에서부터 설치함으로써 변위 허용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결과, 그 하측 금형에서 상기 변위 허용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하측 금형을 충분한 크기와 강도를 가지고 간단한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만약, 커넥터 완성시에, 탄성 아암부가 자유 상태에서 변위 허용 오목부 내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었다고 하더라도, 탄성 변위하지 않는 이행부가 상기 변위 허용 오목부 밖에 있음과 함께, 일체 성형시에는, 하측 금형이 탄성 아암부를 변위 허용 오목부 밖의 위치로 압출하듯이 탄성 변위시키므로, 그 하측 금형의 설치가 방해받는 경우는 없다. 그리고, 일체 성형 후는, 그 하측 금형을 저벽의 구멍부를 거쳐 하방으로 발출할 수 있다.
또, 자유 상태에 있는 탄성 아암부가 상기 변위 허용 오목부 밖에 위치하는 경우 그리고 변위 허용 오목부 내에 위치하는 경우의 어느 경우도, 일체 성형시에는, 탄성 아암부는 반드시 변위 허용 오목부 외, 즉 돌출 벽부의 주위 공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그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방으로부터 설치되는 상측 금형은, 상기 변위 허용 오목부에 제약되지 않고, 상기 탄성 아암부와 대응하는 부분을, 돌출 벽부측으로 개구한 홈부로서 형성하고, 그 홈부가 그 탄성 아암부를 삼방에서 둘러싸도록 만드는 것이 가능하고, 상측 금형을 간단한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자의 탄성 아암부는 변위 허용 오목부 밖에 있으므로, 그 탄성 아암부의 주위에는, 종래와 같이 그 변위 허용 오목부의 내벽면이 존재되어 있지는 않고, 넓게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금형의 상기 홈부의 주위 부분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종래에 있어서의 변위 허용 오목부의 내벽면과 탄성 아암부 사이의 간극보다 큰 치수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측 금형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일체 성형시에 상기 간극에 대응하는 부분을 상측 금형에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그 부분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를 크게 하는 것에 맞추어 하우징의 조벽부의 동 방향에서의 치수를 작게 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결과, 그 조벽부의 강도도 유지된다. 또, 금형 및 하우징의 길이 방향 치수를 크게 하지 않아도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가 대형화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하우징의 돌출 벽부는, 조벽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규제 돌기부를 갖고, 그 규제 돌기부는 그 돌출 정상부가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폭 방향에서의 상대 커넥터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고, 그 규제 돌기부는,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가 조벽부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조벽부에 규제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 그리고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커넥터 위치를 규제 돌기부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또, 규제 돌기부는,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가 조벽부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길이 방향에서의 규제 돌기부의 치수가 조벽부와 동일한 정도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 길이 방향에서의 규제 돌기부와 단자의 탄성 아암부의 간격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일체 성형시에 상측 금형에 있어서의 그 간격에 대응하는 부분의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가 작아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 결과, 상측 금형을 간단한 형상으로 할 수 있음과 함께, 그 상측 금형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하우징의 규제 돌기부는, 복수의 조벽부 중 임의의 2 개 이상의 조벽부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거리를 갖는 2 개 이상의 위치에서, 조벽부에 형성된 규제 돌기부에 의해, 상대 커넥터의 위치를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하우징의 규제 돌기부는, 돌출 벽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조벽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돌출 벽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조벽부에만 규제 돌기부를 형성하고, 인접하는 변위 허용 오목부끼리 사이에 위치하는 조벽부에는 규제 돌기부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규제 돌기부가 형성되지 않은 조벽부는, 그 만큼,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그 길이 방향에서의 하우징 나아가서는 커넥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양단에 위치하는 조벽부끼리 사이에는 충분히 거리가 있으므로, 그 조벽부의 위치가 2 개소 만이어도 상대 커넥터의 위치는 충분히 규제된다.
하우징의 규제 돌기부는, 인접하는 변위 허용 오목부끼리 사이 그리고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조벽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하우징의 규제 돌기부를,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조벽부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변위 허용 오목부끼리 사이에 위치하는 조벽부에도 형성함으로써,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커넥터의 위치를 보다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 규제력을 많은 규제 돌기부에 분산시킴으로써, 1 개의 규제 돌기부가 받는 규제력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단자는, 띠상의 금속 스트립을 그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켜 만들어져 있고, 그 단자 기부는, 하우징의 저벽에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고, 그 기부의 양측 가장자리가, 돌출 벽부를 향함에 따라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부분을 갖고, 그 테이퍼 부분이 상기 저벽의 대응 부분에서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단자의 탄성 아암부의 접촉부가 상대 커넥터의 상대 단자에 압압되고 그 탄성 아암부가 변위 허용 오목부 내로 탄성 변위하면, 하우징의 폭 방향에서 돌출 벽부를 향한 성분을 갖는 외력이 기부에 작용한다. 단자 기부에 상기 테이퍼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그 테이퍼 부분이, 돌출 벽부를 향한 방향에서, 그 테이퍼 부분을 유지하는 저벽의 대응 부분에 쐐기상으로 파고 들어가기 때문에, 상기 기부가 저벽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폭 방향으로 탄성 변위되지 않는 단자의 이행부가 변위 허용 오목부 밖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단자와 하우징의 일체 성형시에 있어서, 변위 허용 오목부 전역을 이용한 길이 방향 치수로 하측 금형을 형성할 수 있고, 그 하측 금형을 충분한 강도를 가진 간단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상측 금형은, 상기 변위 허용 오목부에 제약되지 않고, 상기 탄성 아암부와 대응하는 부분을, 그 탄성 아암부를 삼방에서 둘러싸는 홈부로서 만들 수 있고, 그 홈부의 주위 부분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종래에 있어서의 변위 허용 오목부의 내벽면과 탄성 아암부 사이의 간극보다 큰 치수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측 금형을 충분한 강도를 가진 간단한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일체 성형시에 상기 간극에 대응하는 부분을 금형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부분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를 크게 하는 것에 맞추어 하우징의 조벽부의 동 방향에서의 치수를 작게 하지 않아도 되고, 하우징의 강도도 유지된다. 또한, 금형 및 하우징을 길이 방향에서 크게 하지 않아도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가 대형화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가지고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의 단면을, 상대 커넥터의 단면과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의 폭 방향에 대해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의 일부를 가지고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커넥터의 돌출 벽부 근방의 단면을 상방에서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는 단자와 하우징의 일체 성형시에 금형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A) 는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B) 는 하우징의 규제 돌기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6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돌출 벽부 근방의 단면을 상방에서 본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커넥터의 구성]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가지고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의 단면을, 상대 커넥터의 단면과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커넥터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의 폭 방향에 대해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가지고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단자 기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도 1 의 커넥터의 돌출 벽부 근방의 단면을 상방에서 본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는,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상에 부착되고, 후술하는 상대 커넥터 (2) 가 상방으로부터 끼워맞춤 접속되는 커넥터이고, 대략 직방체 외형을 이루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과 (10) 과, 그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에서 그 하우징 (10) 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금속제 단자 (20) 를 갖고 있다.
도 1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10) 은, 장착 대상면인 회로 기판의 면에 대면하여 단자 배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저벽 (11) 과,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그 저벽 (11) 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 벽부 (12) 와, 그 저벽 (11) 으로부터 기립하여 그 돌출 벽부 (12) 를 둘러싸는 주벽을 가지고 있다. 그 주벽은, 서로 대향하여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측벽 (13) 과, 그 2 개의 측벽의 단부끼리를 연결하고 그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인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단벽 (14) 을 가지고 있다. 상기 주벽과 돌출 벽부 (12) 사이에서 상방으로 개구된 사각 고리형의 공간은, 상대 커넥터 (2) 의 끼워맞춤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 (15) 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 벽부 (12) 는, 상기 길이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벽 (13) 의 내벽면과 대면하는 측면에, 그 길이 방향에서 정간격을 가지고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조벽부 (12C) 가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조벽부끼리 사이에는, 그 조벽부 (12C) 의 측면의 위치로부터 가라앉고, 후술하는 단자 (20) 의 탄성 아암부 (22) 의 탄성 변위를 허용 가능하게 하는 변위 허용 오목부 (12A)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변위 허용 오목부 (12A) 는, 도 1 및 도 2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돌출 벽부 (12) 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면의 변위 허용 오목부 (12A) 는, 그 돌출 벽부 (12) 의 상부에서는, 상단에서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격벽부 (12B) 에 의해 폭 방향 (도 1 및 도 2 에서의 좌우 방향) 에서 떨어져 있고,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를 이루고 있고, 하부에서는, 상기 폭 방향에서 서로 연통되고, 1 개의 슬릿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도 3 및 도 4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변위 허용 오목부 (12A) 의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내폭 치수 (도 4 에서의 L1) 는, 단자 (20) 의 탄성 아암부 (22) 의 폭 치수 (도 4 에서의 L2)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그 탄성 아암부 (22) 가 변위 허용 오목부 (12A) 내를 향하여 상기 폭 방향에서 어렵지 않게 탄성 변위하는 것이 허용되고 있다.
도 1, 도 3 및 도 4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조벽부 (12C) 의 대향면은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인 면을 이루어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고, 그 대향면 및 양측면의 변위 허용 오목부 (12A) 끼리를 구분하는 상기 격벽부 (12B) 의 측면이, 상기 변위 허용 오목부 (12A) 의 상부인 홈부의 내벽면을 형성하고 있다.
돌출 벽부 (12) 는, 상기 길이 방향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조벽부 (12C) 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규제 돌기부 (12D) 를 가지고 있다. 도 3 및 도 4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그 규제 돌기부 (12D) 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폭 치수 (도 4 에서의 L3) 가 조벽부 (12C) 의 폭 치수 (도 4 에서의 L4)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 규제 돌기부 (12D) 는,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 그리고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그 돌출 정상부가, 하우징 (10) 의 폭 방향에서, 상대 커넥터 (2) 의 끼워맞춤부와 맞닿음으로써, 그 폭 방향에서의 그 상대 커넥터 (2) 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결과, 단자 (20) 의 탄성 아암부 (22) 가 상대 단자 (40) 에 과잉으로 압압되어 변위하는 것에서 기인되어 그 탄성 아암부 (22) 가 손상되는, 즉, 「주저앉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접하는 단자 (20) 의 탄성 아암부 (22) 끼리 사이에 규제 돌기부 (12D) 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대 커넥터 (2) 의 삽입 발출시, 그 상대 커넥터 (2) 가 상기 길이 방향에서 갑자기 비틀어진 경우에도, 인접하는 단자 (20) 의 탄성 아암부 (22) 끼리가 동 방향으로 변형하여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 내지 도 3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그 규제 돌기부 (12D) 의 상단 위치는, 상기 탄성 아암부 (22) 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서, 만약, 상대 커넥터 (2) 가 상기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에서 끼워맞춤이 개시된 경우에는, 그 상대 커넥터 (2) 는, 우선, 상기 규제 돌기부 (12D) 의 상단에 맞닿는다. 따라서,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서 상대 커넥터 (2) 가 탄성 아암부 (22) 의 상단에 맞닿는 것에서 기인되어 생기는 그 탄성 아암부 (22) 의 좌굴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저벽 (11) 은,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 위치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과 단자 (20) 의 일체 몰드 성형시에, 주입된 수지의 고화 후에 하측 금형 (P1) (도 5 의 (A), (B) 참조) 의 하방에 대한 발출을 허용하는 구멍부 (11A) 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구멍부 (11A) 는, 하우징 (10) 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에서, 상기 돌출 벽부 (12) 를 포함하는 범위로 형성되어 있고, 변위 허용 오목부 (12A) 가 구멍부 (11A) 와 연통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구멍부 (11A) 는 돌출 벽부 (12) 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는데, 그 구멍부 (11A) 는 상기 폭 방향에서 적어도 상기 변위 허용 오목부 (12A)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도 1 및 도 2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측벽 (13) 은, 상기 길이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측벽 (13) 의 주요 부분을 이루는 주측벽 (13A) 과, 그 주측벽 (13A) 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상의 부측벽 (13B) 을 가지고 있다. 상기 주측벽 (13A) 은, 후술하는 단자 (20) 의 역 U 자형의 피유지부 (21) 를 그 역 U 자형 부분의 전역에 걸쳐서 유지한다. 또, 상기 부측벽 (13B) 은, 그 피유지부 (21) 의 역 U 자형 부분의 2 개의 각부 (脚部) 중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각부 (21B) 의 외측면을 유지한다.
단자 (20) 는, 금속판 스트립을 판두께 방향에서 대략 가로 S 자형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돌출 벽부 (12) 에 대해 대칭을 이루고 2 열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10) 에 유지되어 있다. 그 단자 (20) 는, 하우징 (10) 의 측벽 (13) 에 유지되는 역 U 자형의 피유지부 (21) 와, 그 하우징 (10) 의 폭 방향에서의 돌출 벽부 (12) 근처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자유단을 갖는 탄성 아암부 (22) 와, 하우징 (10) 의 저벽 (11) 에 유지되어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피유지부 (21) 의 일방의 각부 (후술하는 내측 각부 (21A)) 와 탄성 아암부 (22) 를 연결하는 기부 (23) 와, 피유지부 (21) 의 타방의 각부 (후술하는 외측 각부 (21B)) 로부터 하우징 (10) 밖으로 연장되어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상의 대응 회로에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 (24) 를 가지고 있다. 도 1 및 도 2 에서 잘 보이는 바와 같이, 단자 (20) 는, 상기 피유지부 (21) 및 기부 (23) 에서, 하우징 (10) 과의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가 하우징의 측벽 및 저벽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했는데, 단자를 유지하는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우징이 측벽을 갖고 있지 않는 커넥터에서는, 단자가 저벽만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탄성 아암부 (22) 는, 굴곡된 이행부 (25) 를 거쳐 상기 돌출 벽부 (12) 를 따라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그 판두께 방향에서의 휨에 의해, 상기 폭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탄성 아암부 (22) 는, 그 자유단측인 상단 부분이 측벽 (13) 을 향하여 볼록 만곡하고, 후술하는 상대 커넥터 (2) 의 상대 단자 (40) 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 (22A) 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탄성 아암부 (22) 가 자유 상태에 있을 때, 그 탄성 아암부 (22) 및 이행부 (25) 는, 하우징 (10) 의 변위 허용 오목부 (12A) 외에 위치하고 있다. 또, 상기 접촉부 (22A) 의 만곡 정상부는, 하우징 (10) 의 규제 돌기부 (12D) 의 돌출 정상부보다 더욱 돌출되어 있다.
도 2 에서 잘 보이는 바와 같이, 피유지부 (21)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역 U 자형을 이루고 있고, 주측벽 (13A) 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일방의 각부 (21A) (이하 「내측 각부 (21A)」라고 한다) 와, 주측벽 (13A) 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타방의 각부 (21B) (이하 「외측 각부 (21B)」라고 한다) 를 가지고 있다. 상기 내측 각부 (21A) 는, 그 상단 근처 위치에서 상기 접촉부 (22A) 와 대향하도록 수용 오목부 (15) 내에 돌출하는 로크부 (21A-1)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그 로크부 (21A-1) 는, 예를 들어, 엠보싱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폭 치수는 상기 내측 각부 (21A) 의 폭 치수보다 작게 되어 있다. 그 로크부 (21A-1) 는, 후술하는 상대 커넥터 (2) 의 상대 단자 (40) 의 피로크부 (41B-1) 에 걸림으로써,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함과 함께, 그 피로크부 (41B-1) 와의 걸림시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함으로써, 상기 접촉부 (22A) 를 보조하는 역할도 한다.
도 1 및 도 2 에서 잘 보이는 바와 같이, 피유지부 (21) 는, 주측벽 (13A) 을 상방으로부터 걸치듯이 하여 그 주측벽 (13A) 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그 피유지부 (21) 는, 역 U 자형 부분의 내측판면 및 측 가장자리가 주측벽 (13A) 에 접면 유지되어 있고, 그 주측벽 (13A) 으로부터 노정 (露呈) 된 상기 역 U 자형 부분의 외측판면이, 주측벽 (13A) 의 외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위치하고 있다. 또, 피유지부 (21) 는, 외측 각부 (21B) 의 외측면 (돌출 벽부 (12) 와 반대측을 향한 면) 이 상기 주측벽 (13A) 과 부측벽 (13B) 사이에 매설되어 유지되고 있다.
도 1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기부 (23) 는, 하우징 (10) 의 폭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 그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여 돌출 벽부 (12) 를 향함에 따라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부 (23A)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기부 (23) 는, 하우징 (10) 의 저벽 (11) 에 매몰 유지되어 있고, 그 기부 (23) 의 상면과 저벽 (11) 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고, 기부 (23) 의 상면이 수용 오목부 (15) 에 노정되어 있다. 접속부 (24) 는, 도 1 및 도 2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저벽 (11) 의 하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고,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의 땜납 접속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4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 (도 4 에서의 좌우 방향) 에서의 변위 허용 오목부 (12A) 의 안치수 (L1) 는, 단자 (20) 의 탄성 아암부 (22) 의 폭 치수 (L2) 보다 커져 있다. 또, 규제 돌기부 (12D) 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폭 치수 (L3) 가 조벽부 (12C) 의 폭 치수 (L4)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길이 방향에서 인접한 규제 돌기부 (12D) 끼리 사이의 안거리 (L5) 는 상기 변위 허용 오목부 (12A) 의 안치수 (L1) 보다 커져 있다. 따라서,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탄성 아암부 (22) 와 규제 돌기부 (12D) 의 거리 (L6) 는, 그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탄성 아암부 (22) 와 변위 허용 오목부 (12A) 의 내벽면과의 거리 (L7) 보다 커져 있다.
[커넥터의 제조 공정]
커넥터 (1) 는, 이하의 요령으로 만들어진다. 도 5 는, 단자 (20) 와 하우징 (10) 의 일체 몰드 성형 과정에서 금형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A) 는 단자 (20) 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B) 는 하우징 (10) 의 규제 돌기부 (12D) 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5 의 (A), (B)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측 금형 (P1) 상의 소정 위치에 단자 (20) 를 하우징 (10) 의 폭 방향 (도 5 의 (A), (B) 에서의 좌우 방향) 에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하고, 상방으로부터 상측 금형 (P2), 측방 (도 5 의 (A), (B) 에서의 우측 및 좌측) 으로부터 가로 금형 (P3) 을, 상기 하측 금형 (P1) 과 함께 상기 단자 (20) 를 둘러싸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주입구 (도시 생략) 로부터 금형끼리의 사이의 공간으로 액상의 수지를 주입 충전한 후, 그 수지의 고화에 의해 하우징 (10) 을 성형한다. 이 결과, 그 하우징 (10) 과 단자 (20) 가 일체 몰드 성형되고, 커넥터 (1) 가 완성된다. 커넥터 (1) 의 완성 후, 하측 금형 (P1) 은, 하우징 (10) 의 저벽 (11) 의 구멍부 (11A) 를 거쳐 하방으로 발출된다. 또, 상측 금형 (P2) 은 상방으로 그리고 가로 금형 (P3) 은 측방으로 떼어낸다.
상기 하측 금형 (P1) 및 상측 금형 (P2) 은, 주로, 하우징 (10) 의 저벽 (11), 돌출 벽부 (12) 및 주측벽 (13A) 을 성형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가로 금형 (P3) 은, 주로, 부측벽 (13B) 을 성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5 의 (A)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 금형 (P1) 은, 판상의 베이스부 (P1A) 의 폭 방향 (도 5 의 (A) 에서 좌우 방향) 중앙부에, 그 베이스부 (P1A) 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P1B) 를 가지고 있다. 그 돌출부 (P1B) 는, 변위 허용 오목부 (12A) 를 포함하는 돌출 벽부 (12) 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며, 그 폭 치수 (도 5 의 (A) 의 지면에 직각인 방향측에서의 치수) 는 상기 변위 허용 오목부 (12A) 의 폭 치수와 동일하다. 그 돌출부 (P1B) 의 상측 부분에는, 상기 돌출 벽부 (12) 의 격벽부 (12B) 에 대응하여 가라앉은 오목부 (P1C) 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의 (A), (B)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 금형 (P2) 은, 수용 오목부 (15) 에 대응한 프레임상부를 가지고 있고, 그 프레임상부 중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벽부 (P2A) 끼리 사이에는, 돌출 벽부 (12) 에 대응하는 오목부 (P2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5 의 (A)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 (20)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벽부 (P2A) 는, 그 내측면이 단자 (20) 의 탄성 아암부 (22) 및 이행부 (25) 에 대응하여 가라앉아 형성된 내측 홈부 (P2C) 와, 외측면이 피유지부 (21) 의 내측 각부 (21A) 에 대응하여 가라앉아 형성된 외측 홈부 (P2D) 를 가지고 있다. 상기 내측 홈부 (P2C) 는, 돌출 벽부 (12) 측에 개구되어 있고, 일체 성형시에, 상기 탄성 아암부 (22) 를 삼방에서 둘러싸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외측 홈부 (P2D) 는, 돌출 벽부 (12) 와 반대측으로 개구되어 있고, 일체 성형시에, 상기 피유지부 (21) 의 내측 각부 (21A) 를 삼방에서 둘러싸도록 되어 있다.
도 5 의 (A)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가로 금형 (P3) 은, 그 측면에,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 (20)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단자 (20) 의 피유지부 (21) 에 대응하여 가라앉음과 함께,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측벽 (13) 의 범위에서 부측벽 (13B) 에 대응하여 더욱 가라앉아 형성된 오목부 (P3A) 를 가지고 있다.
도 2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는, 단자 (20) 의 탄성 아암부 (22) 및 이행부 (25) 가 변위 허용 오목부 (12A) 밖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변위 허용 오목부 (12A) 의 폭 방향 전역을 하측 금형 (P1) 을 위해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폭 방향 전역의 폭 방향 치수 (도 4 에서의 L1) 로 형성된 하측 금형 (P1) 의 돌출부 (P1B) 를 하방으로부터 배치함으로써 변위 허용 오목부 (12A) 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하측 금형 (P1) 을 충분한 크기 (폭 치수) 와 강도를 가지고 간단한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에서는, 단자 (20) 의 탄성 아암부 (22) 및 이행부 (25) 는 변위 허용 오목부 (12A) 밖에 있는데, 이행부 (25) 만이 변위 허용 오목부 (12A) 외에 위치하고, 탄성 아암부 (22) 는 자유 상태에서 변위 허용 오목부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금형 (P1 내지 P3) 을 이용하여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유 상태에서 탄성 아암부 (22) 가 변위 허용 오목부 (12A) 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일체 성형시에, 하방으로부터 야기된 하측 금형 (P1) 이 탄성 아암부 (22) 를 변위 허용 오목부 (12A) 밖의 위치로 압출하도록 탄성 변위시키므로, 탄성 아암부 (22) 에 의해 그 하측 금형 (P1) 의 배치가 방해받지는 않는다. 즉, 탄성 아암부 (22) 의 위치에 관계없이, 이행부 (25) 가 변위 허용 오목부 (12A) 밖에 위치하고 있으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체 성형시에 있어서, 탄성 아암부 (22) 가 변위 허용 오목부 (12A) 밖, 즉 수용 오목부 (15) 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측 금형 (P2) 은, 상기 변위 허용 오목부 (12A) 에 제약되지 않고, 상기 탄성 아암부 (22) 와 대응하는 부분인 내측 홈부 (P2C) 를, 돌출 벽부 (12) 측으로 개구하여 그 탄성 아암부 (22) 를 삼방에서 둘러싸는 홈부, 즉 일방이 개방된 홈부로 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금형 (P2) 을 간단한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 (20) 의 탄성 아암부 (22) 는 변위 허용 오목부 (12A) 밖에 있으므로, 그 탄성 아암부 (22) 의 주위에는, 종래와 같이 그 변위 허용 오목부의 내벽면이 존재하고 있지는 않고, 넓게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금형 (P2) 의 상기 내측 홈부 (P2C) 의 주위 부분은,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종래에 있어서의 변위 허용 오목부 (12A) 의 내벽면과 탄성 아암부 사이의 간극의 치수 (도 4 에서의 L7) 보다 큰 치수 (도 4 에서의 L6) 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강도를 가진 간단한 형상으로 상측 금형 (P2) 을 만들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래와 같이 상기 간극에 대응하는 부분을 상측 금형 (P2) 에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그 부분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폭 치수를 크게 하는 것에 맞추어 하우징 (10) 의 조벽부 (12C) 의 동 방향에서의 폭 치수를 작게 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결과, 그 조벽부 (12C) 의 강도도 유지된다. 또, 금형 및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 치수를 크게 하지 않아도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 (1) 가 대형화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대 커넥터의 구성]
도 2 에 나타내는 상대 커넥터 (2) 는, 다른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에 장착되는 커넥터로서, 커넥터 (1) 의 수용 오목부 (15) 에 적합한 프레임상의 끼워맞춤부를 가지고 있고, 그 끼워맞춤부가 상기 수용 오목부 (15) 내에 끼워넣어짐으로써, 커넥터끼리가 끼워맞춤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그 상대 커넥터 (2)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외형의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 (30) 과, 그 하우징 (30) 의 길이 방향에서 그 하우징 (30) 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금속제의 단자 (40) (이하, 「상대 단자 (40)」라고 한다) 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 (30) 은, 상기 다른 회로 기판에 대면하는 저벽 (31) 과 그 저벽 (31) 으로부터 기립하는 주벽을 가지고 있고, 그 저벽 (31) 과 주벽에 의해 둘러싸여 도 2 에서의 하방으로 개구하는 공간이,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커넥터 (1) 의 하우징 (10) 의 돌출 벽부 (12) 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 (35) 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벽은, 서로 대향하여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측벽 (33) 을 가지고 있고, 그 측벽 (33) 이 상대 단자 (40) 를 배열 유지하고 있다.
상대 단자 (40) 는, 금속판 스트립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하우징 (30) 의 폭 방향 (도 2 에서의 좌우 방향) 에서 대칭을 이루어 2 열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30) 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상기 측벽 (33) 에 유지되는 U 자형의 끼워넣음부 (41) 와, 그 끼워넣음부 (41) 의 2 개의 각부 중 수용 오목부 (35) 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각부 (41A) (이하, 「내측 각부 (41A)」라고 한다) 로부터, 굴곡된 이행부 (45) 를 거쳐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다른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 (44) 를 가지고 있다. 도 2 에서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상대 단자 (40) 는, 상기 끼워넣음부 (41) 및 이행부 (45) 에서, 하우징 (30) 과의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상기 끼워넣음부 (41) 는, 측벽 (33) 을 하방으로부터 걸치듯이 하여 그 측벽 (33) 에 매몰되어 있다. 그 끼워넣음부 (41) 는, U 자형 부분의 내측판면 및 측 가장자리가 측벽 (33) 에 유지되어 있고, 그 측벽 (33) 으로부터 노정된 상기 U 자형 부분의 외측판면이, 측벽 (33) 의 외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위치하고 있다. 하우징 (30) 의 폭 방향 (도 2 에서의 좌우 방향) 에서의 상기 끼워넣음부 (41) 의 치수는, 커넥터 (1) 의 단자 (20) 의 접촉부 (22) 와 로크부 (21A-1) 의 간격보다 약간 커져 있다.
상기 끼워넣음부 (41) 의 내측 각부 (41A) 의 수용 오목부 (35) 측에 위치하는, 그 내측 각부 (41A) 의 판면은, 저벽 (31) 근처 위치 (도 2 에서의 상측 위치) 의 부분이,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커넥터 (1) 의 단자 (20) 의 접촉부 (22A) 와 접압을 가지고 접촉하는 대응 접촉부 (41A-1) 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끼워넣음부 (41) 의 타방의 각부 (41B) (이하, 「외측 각부 (41B)」라고 한다) 의 수용 오목부 (35) 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그 외측 각부 (41B) 의 판면은, 저벽 (31) 근처 위치 (도 2 에서의 상측 위치) 의 부분이 가라앉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부가 상기 단자 (20) 의 로크부 (21A-1) 와 걸리는 피로크부 (41B-1) 로서 기능한다.
접속부 (44) 는, 도 2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저벽 (31) 의 하면 (도 2 에서의 상면) 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고,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의 땜납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의 제조 공정]
상대 커넥터 (2) 는, 커넥터 (1) 용의 금형과는 상이한 다른 상측 금형 및 하측 금형 (도시 생략) 을 사용하고, 하우징 (30) 과 상대 단자 (40) 를 일체 몰드 성형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커넥터의 끼워맞춤 동작]
이하, 커넥터 (1) 와 상대 커넥터 (2) 의 끼워맞춤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커넥터 (1) 및 상대 커넥터 (2) 를 각각 대응하는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한다. 다음으로, 도 2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를 수용 오목부 (15) 가 상방으로 개구한 자세로 함과 함께, 상대 커넥터 (2) 를 수용 오목부 (35) 가 하방으로 개구한 자세로 하여 그 커넥터 (1) 의 상방 위치로 가져온다. 그리고 상대 커넥터 (2) 를 하방에 이동시키고, 상대 커넥터 (2) 의 끼워맞춤부를 커넥터 (1) 의 수용 오목부 (15) 내에 끼워넣는다.
이 결과, 상대 커넥터 (2) 의 상대 단자 (40) 의 끼워넣음부 (41) 는, 커넥터 (1) 의 단자 (20) 의 접촉부 (22A) 및 로크부 (21A-1) 사이를 눌러서 펼쳐 진입한다. 그리고, 접촉부 (22A) 가 변위 허용 오목부 (12A) 내를 향하여 압압됨으로써, 탄성 아암부 (22) 가 그 변위 허용 오목부 (12A) 내에 진입하도록 탄성 변위한다. 또한, 끼워넣음부 (41) 의 진입이 진행되면, 상기 접촉부 (22A) 가 상기 끼워넣음부 (41) 의 대응 접촉부 (41A-1) 와 접압을 가지고 접촉됨과 함께, 상기 로크부 (21A-1) 가 그 끼워넣음부 (41) 의 피로크부 (41B-1) 와 상하 방향에서 걸린다. 이 결과, 커넥터의 단자끼리가 전기적으로 도통됨과 함께 서로 로크되고,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접속이 완료된다.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 (1) 의 단자 (20) 의 탄성 아암부 (22) 가 변위 허용 오목부 (12A) 에서 돌출 벽부 (12) 를 향하여 탄성 변위하면, 하우징 (10) 의 폭 방향에서 돌출 벽부 (12) 를 향한 성분을 가지는 외력이 그 단자 (20) 의 기부 (23) 에 작용한다. 이 결과, 그 기부 (23) 의 테이퍼부 (23A) 가 돌출 벽부 (12) 를 향한 방향에서 그 테이퍼부 (23A) 를 유지하는 저벽 (11) 의 대응 부분에 쐐기상으로 파고 들어가기 때문에, 그 기부 (23) 가 저벽 (11) 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테이퍼부의 상면은, 저벽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고, 수용 오목부 내에 노정되어 있는 것으로 했는데, 이것 대신에, 테이퍼부의 상면을 노정시키지 않고, 그 테이퍼부 전체가 저벽 내에 매설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 테이퍼부를, 그 돌출 방향, 즉 기부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진 방향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하고, 테이퍼부 전체를 매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테이퍼부 전체를 저벽 내에 매설함으로써, 그 테이퍼부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저벽의 대응 부분에 의해 저지된다. 이 결과, 상기 저벽으로부터의 기부의 빠짐이 보다 확실하게 저지되므로, 단자의 빠짐 방지 효과가 향상된다.
<제 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돌출 벽부의 각 변위 허용 오목부의 대향면이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지 않고, 수용 오목부측, 즉 변위 허용 오목부의 개구측으로 향함에 따라 넓어지는 테이퍼면이 되어 있는 점에서, 그 대향면이 서로 평행인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돌출 벽부 (12) 근방의 단면을 상방에서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변위 허용 오목부 (12A) 의 대향면이 수용 오목부 (15) (도 1 및 도 2 참조) 측을 향함에 따라 넓어지는 테이퍼면이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대향면을 테이퍼면으로 하여 형성함으로써, 대향면이 평행이 되어 있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비교하여, 커넥터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하우징 (10) 과 단자 (20) 의 일체 성형 후, 변위 허용 오목부 (12A) 로부터 하측 금형을 용이하게 발출할 수 있다. 또, 상기 대향면끼리의 폭 치수가, 돌출 벽부 (12) 의 폭 방향 (도 6 에서의 상하 방향) 에 걸쳐서 균일하지 않은 만큼, 대향면끼리가 평행인 경우와 비교하여, 하측 금형의 변위 허용 오목부 (12A) 에 대응하는 부분의 폭 치수에 다소의 오차가 허용되므로, 그 하측 금형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변형예>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돌출 벽부의 모든 조벽부에 규제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는데, 규제 돌기부가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모두 조벽부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복수의 조벽부 중 임의의 2 개 이상의 조벽부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2 개 이상의 조벽부에 규제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도, 상대 커넥터의 위치를 양호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 인접하는 변위 허용 오목부끼리 사이에 위치하는 조벽부에 규제 돌기부를 형성하지 않고, 돌출 벽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조벽부에만 규제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결과, 규제 돌기부가 형성되지 않은 조벽부는, 그 만큼,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그 길이 방향에서의 하우징 나아가서는 커넥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1 : 커넥터
2 : 상대 커넥터
10 : 하우징
11 : 저벽
11A : 구멍부
12 : 돌출 벽부
12A : 변위 허용 오목부
12C : 조벽부
12D : 규제 돌기부
20 : 단자
21 : 피유지부
22 : 탄성 아암부
22A : 접촉부
23 : 기부
23A : 테이퍼부 (테이퍼 부분)
25 : 이행부

Claims (6)

  1. 복수의 단자를 1 방향으로 배열 유지하는 하우징이, 장착 대상면에 대면하여 그 단자의 배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저벽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그 저벽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을 위한 돌출 벽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단자가, 상기 하우징에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그 단자는,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피유지부와, 상기 돌출 벽부측에 위치하여 접촉부가 형성된 탄성 아암부를 갖고, 그 탄성 아암부가,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저벽 근처 위치에서 상기 피유지부와 탄성 아암부를 연결하는 기부에서, 굴곡된 이행부를 거쳐 상기 돌출 벽부를 따라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인 폭 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탄성 아암부의 상단측에, 상대 커넥터의 상대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상기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돌출 벽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간격을 가지고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조벽부와, 인접하는 조벽부끼리 사이에서, 상기 길이 방향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 조벽부의 측면의 위치에서 가라앉아 형성되고, 상기 단자의 탄성 아암부의 탄성 변위를 허용 가능하게 하는 변위 허용 오목부를 가지고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은, 적어도 변위 허용 오목부의 하방 위치에서 저벽을 관통하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변위 허용 오목부가 그 구멍부에 연통되어 있고, 단자는, 상기 기부와 이행부가 상기 변위 허용 오목부 밖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돌출 벽부는, 조벽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규제 돌기부를 갖고, 그 규제 돌기부는 그 돌출 정상부가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폭 방향에서의 상대 커넥터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고, 그 규제 돌기부는,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가 조벽부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규제 돌기부는, 복수의 조벽부 중 임의의 2 개 이상의 조벽부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규제 돌기부는, 돌출 벽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조벽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규제 돌기부는, 인접하는 변위 허용 오목부끼리 사이 그리고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조벽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자는, 띠상의 금속 스트립을 그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켜 만들어져 있고, 그 단자 기부는, 하우징의 저벽에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고, 그 기부의 양측 가장자리가, 돌출 벽부를 향함에 따라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부분을 갖고, 그 테이퍼 부분이 상기 저벽의 대응 부분에서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20007590A 2011-02-01 2012-01-26 전기 커넥터 KR101383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19581A JP5369125B2 (ja) 2011-02-01 2011-02-01 電気コネクタ
JPJP-P-2011-019581 2011-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196A true KR20120089196A (ko) 2012-08-09
KR101383404B1 KR101383404B1 (ko) 2014-04-08

Family

ID=4657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590A KR101383404B1 (ko) 2011-02-01 2012-01-26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23580B2 (ko)
JP (1) JP5369125B2 (ko)
KR (1) KR101383404B1 (ko)
CN (2) CN104505630B (ko)
TW (1) TWI5175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JP6188638B2 (ja) * 2014-06-10 2017-08-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回路基板付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プラグコネクタ
JP6327973B2 (ja) * 2014-06-30 2018-05-2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068405B2 (ja) * 2014-08-27 2017-01-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41876B2 (ja) 2015-04-01 2018-06-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137737B2 (ja) * 2015-09-11 2017-05-31 株式会社安川電機 電気機器筐体及び電力変換装置
JP6591251B2 (ja) * 2015-10-01 2019-10-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17655B2 (ja) * 2015-10-09 2019-05-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635583B2 (ja) * 2015-10-30 2020-01-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6703900B2 (ja) * 2016-06-01 2020-06-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システム
CN107658592B (zh) * 2016-07-26 2020-05-12 株式会社藤仓 插座连接器以及插座连接器的制造方法
JP7073054B2 (ja) * 2016-07-26 2022-05-23 株式会社フジクラ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6950355B2 (ja) * 2017-08-23 2021-10-13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液圧制御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835687B2 (ja) * 2017-08-29 2021-02-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845992B2 (ja) * 2018-03-22 2021-03-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付き機器
JP7253337B2 (ja) * 2018-08-22 2023-04-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817272B2 (ja) * 2018-11-20 2021-01-2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CN209822934U (zh) * 2019-03-28 2019-12-20 东莞富强电子有限公司 弹片
TWI760873B (zh) * 2019-10-18 2022-04-11 日商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連接器
JP7069363B2 (ja) * 2021-01-15 2022-05-1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4197A (ja) * 1997-04-07 1998-10-23 Kueizaa Syst:Kk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605468Y2 (ja) * 1999-02-10 2000-07-1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プリント回路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JP3875677B2 (ja) * 2003-09-26 2007-01-3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726836B2 (ja) * 2004-08-02 2005-12-14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7035291A (ja) * 2005-07-22 2007-02-08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JP4555329B2 (ja) * 2007-11-08 2010-09-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CN201160164Y (zh) * 2008-01-05 2008-1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364991Y (zh) * 2009-01-22 2009-12-1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及其插座端子和插头端子
TWI396340B (zh) * 2009-07-31 2013-05-11 Hon Hai Prec Ind Co Ltd 電連接器
CN101997212B (zh) * 2009-08-11 2012-10-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05630A (zh) 2015-04-08
US20120196486A1 (en) 2012-08-02
US8523580B2 (en) 2013-09-03
JP5369125B2 (ja) 2013-12-18
TW201249032A (en) 2012-12-01
TWI517508B (zh) 2016-01-11
CN102629713A (zh) 2012-08-08
JP2012160360A (ja) 2012-08-23
KR101383404B1 (ko) 2014-04-08
CN104505630B (zh) 2017-07-25
CN102629713B (zh)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404B1 (ko) 전기 커넥터
KR101921116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552941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리셉터클 커넥터
JP4978313B2 (ja) コネクタ
JP4574692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383455B1 (ko) 전기 커넥터
JP4911735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20160118141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2014239001A (ja) ガイド金具付電気コネクタ
JP2012049015A (ja) 電気コネクタ
US5542851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KR20120123196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8113881B2 (en) Connector
JP2013232386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プラグコネクタ
KR20170042484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EP2846414A1 (en) Connector
US8500460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s and assembly thereof with contact-mounting wall having variable thickness
JP2012243599A (ja) 電気コネクタ
JP5369207B2 (ja) 電気コネクタ
US7029333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boards and method of making
JP6814051B2 (ja) コネクタ
JP6253718B1 (ja) コネクタ
JP6178395B2 (ja) プラグコネクタ
JP5408815B2 (ja) 電気コネクタ
JP5805288B2 (ja) プラグ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