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616A - 생분해성 수지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616A
KR20120088616A KR1020120064383A KR20120064383A KR20120088616A KR 20120088616 A KR20120088616 A KR 20120088616A KR 1020120064383 A KR1020120064383 A KR 1020120064383A KR 20120064383 A KR20120064383 A KR 20120064383A KR 20120088616 A KR20120088616 A KR 20120088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biodegradable resin
diisocyanate
polyester prepolymer
p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돈
윤기철
천종필
안지수
김예진
김세훈
홍성용
박성배
Original Assignee
에스엔폴 주식회사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엔폴 주식회사,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엔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4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8616A/ko
Publication of KR20120088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61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88Post-polymerisation treatment
    • C08G63/90Purification; 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9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와 사슬연장제로서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생성되는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로서, 사슬연장제의 사용을 제한하면서도, 우수한 물성을 가지도록 생분해성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따라 수지 내에 포함된 질소의 함량이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분해성 수지의 제조 과정에서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성분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그로부터 식품 또는 의약품 포장재 등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생분해성 수지가 제조된다.

Description

생분해성 수지{biodegradable resin}
본 발명은 생분해성 수지에 관한 것으로, 수지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사슬연장제의 사용량을 제한하면서도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수지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생분해성 수지를 제공한다.
생분해성 수지는 박테리아, 조류, 곰팡이와 같은 자연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물과 이산화탄소 또는 물과 메탄가스로 분해되어 환경오염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새로운 소재로서 개발된 합성수지를 말한다. 생분해성 수지로는 셀룰로오스 계열의 고분자, 전분류, 폴리락타이드(PLA)가 있는데, 이들은 고분자량으로 제조하기가 힘들어 기계적 강도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Poly(butylene succinate)(PBS), Poly(butylene succinate-co-adipate)(PBSA), Poly(butylene adipate-co-terephtalate)(PBAT)등의 폴리에스테르 계 생분해성 수지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중합체간의 결합을 유도함으로써 분자량을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이소시아네이트 류의 사슬연장제이다.
그러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생명체의 호흡기에서 독성을 나타내고, 눈 및 상부 호흡기관을 자극시키며, 피부나 눈에 접촉시에 염증을 일으키는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다. 또한, 토양, 지하수 및 대기 등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오염 인자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사용량을 최소한으로 하면서도 수지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 또는 향상시키는 방법이 강구되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 제0129794호에서는 사슬연장제로서 다가 이소시아네이트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0.1~5중량부로 사용하여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 제0365455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 95 내지 99.9중량%에 대하여 0.1~5중량%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거나, 폴리에스테르를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히, 제0129794호에서는 다가 이소시아네이트를 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첨가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생분해성 수지의 제조에 있어서 사슬연장제로서의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양을 최소한으로 하면서도 바람직한 기계적 물성을 달성할 수 있는 생분해성 수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 또는 의약품 포장재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에 민감한 물품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생분해성 수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프리폴리머와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되는 우레탄 결합에 포함된 질소 원자 함량이 160ppm 이하이고, melt flow index(융용 흐름 지수, MFI)가 3.5g/10분(190℃, 2160g의 하중) 이하인 생분해성 수지로서, 상기 폴리에스터 프리폴리머 내의 수분 함량은 200ppm 이하이고, 상기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폴리에스터 프리폴리머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인 생분해성 수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는 1,4-부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및 1,2-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2가 알코올 모노머와 숙신산, 아디프산, 수베린산, 세바신산, 테레프탈산, 이들의 무수물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2가 카르복실산 모노머의 축중합 반응으로부터 생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페닐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생분해성 수지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품은 어망, 자망, 통발, 낚시줄, 농업용 멀칭 필름, 드레인 보드, 종량제 봉투, 식품 포장재 또는 의약품 포장재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분해성 수지의 제조에 있어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성분인 사슬연장제의 사용을 최소한으로 하면서도, 우수한 물성을 갖는 생분해성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분해성 수지는 식품, 의약품 포장재를 비롯한 유해 성분에 민감한 분야에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를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하 '이소시아네이트'라고도 함)과 반응시켜 둘 이상의 프리폴리머를 연결함으로써 분자량을 늘리고, 바람직한 물성이 달성되도록 하는 생분해성 수지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는 알코올 모노머와 카르복실산 모노머를 축중합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으로, 프리폴리머의 제조에 사용되는 모노머의 종류 및 양에 따라 제조되는 프리폴리머의 주쇄 및 말단에는 반응하지 않고 남아있는 여분의 수산화기(-OH)가 포함되어 있다. 이 수산화기가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면 하기와 같은 우레탄 결합이 형성되면서 둘 이상의 프리폴리머가 연결된다.
[반응식 1]
R-(N=C=O)n + R'-(OH)n → -RNHCOOR'-
(n≥2)
본 발명에서는 사슬연장제에 의해 둘 이상의 프리폴리머들이 연결된 후의 것을 연결 전의 프리폴리머와 구분하여, '수지'로 명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분해성 수지에는 우레탄 결합 및 질소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수지는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사용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수지에 포함된 질소 성분을 160ppm 이하의 양으로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를 제공한다. 이렇게 제한된 함량의 질소 성분을 나타내는 수지는 사슬연장제로 사용하는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양을 한정함으로써 가능하게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분해성 수지는 제조 과정에서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성분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2가 알코올 모노머와 2가 카르복실산 모노머의 축중합 반응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의 수분 함량을 200ppm 이하로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200ppm이하의 수분 함량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를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시켜 프리폴리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는 1종 이상의 2가 알코올 모노머 와 1종 이상의 2가 카르복실산 모노머의 에스테르 축중합 반응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2가 알콜 모노머의 예로는 1,4-부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1,2-에틸렌 글리콜을 들 수 있고, 2가 카르복실산 모노머의 예로는 숙신산, 아디프산, 수베린산, 세바신산, 테레프탈산, 이들의 무수물 및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알콜 모노머와 카르복실산 모노머 중 특히 바람직한 조합은 부틸렌 글리콜, 아디프산 및 테레프탈산을 함께 축중합시킨 것이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모노머의 양을 과량으로 사용하며, 카르복실산 모노머에 대한 알코올 모노머를 몰비로 1 내지 1.5의 양으로 투입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모노머를 1.2~1.4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내에 여분의 수산화기가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후에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으로 프리폴리머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알코올 모노머와 카르복실산 모노머의 축중합 반응은 알코올과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통상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Poly(butylene succinate)(PBS)의 경우, 진공 상태에서 숙신산과 1,4-부틸렌 글리콜을 가열하여 축중합 반응시키면서 유출되는 물을 제거함으로써 제조하고, Poly(butylene adipate-co-terephtalate)(PBAT)은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와 1,4-부틸렌 글리콜을 먼저 축중합 반응시켜 발생하는 메탄올을 제거한 뒤, 추가적으로 아디프산을 넣고 축중합 반응시켜 발생하는 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리폴리머의 수분 함량을 200ppm 이하로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축중합 반응 결과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의 수분 함량(이하 '함수율'이라고도 함)을 200ppm이하로 조절한다. 이를 위해 진공 건조의 공정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20 Torr이하의 진공 조건에서 70 내지 80℃의 온도로 4시간 이상 진행한다. 함수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건조시간을 달리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렇게 건조된 프리폴리머의 함수율은 함수율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함수율이 200ppm 이하로 조절된 프리폴리머를 사슬연장제로 연결시켜 생분해성 수지를 제조한다. 이를 위해, 함수율을 200ppm 이하로 떨어뜨린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에 대하여 0.1중량% 미만으로 제한된 양의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넣고 반응시킨다.
상기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페닐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의 연결을 위해서는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와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혼합하여 160 내지 180℃에서 압출하면서 반응시킨다. 상기 반응에서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주쇄 및 말단의 수산화기가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둘 이상의 프리폴리머가 연결된다.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수에 따라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를 중심으로 2개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가 연결될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가 디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계속 연결됨으로써 제조되는 수지의 분자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생분해성 수지는 160ppm 이하의 질소 함량을 나타낸다. 또한, 10,000 이상의 수평균분자량 및 140,000이상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지고, 기계적 물성으로서 3.5g/10분(190℃, 2160g의 하중) 이하의 melt flow index(융용 흐름 지수, MFI)를 나타낸다. 나아가, 본 발명의 수지는 필름으로 압출할 때 작업성 및 압출된 필름의 표면 상태가 양호하다. 또한, 필름의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장율 등 물리적 특성면에서 종래의 수지로부터 제조된 것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분해성 수지는 제한된 양의 사슬연장제 사용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생분해성 수지가 사용되는 다양한 분야로의 적용에 적합한 물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수지가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용도의 예로서는 어망, 자망, 통발, 낚시줄, 농업용 멀칭 필름, 드레인 보드, 종량제 봉투는 물론, 식품 포장재 또는 의약품 포장재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에 민감한 용도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리폴리머 연결 반응에서는 산화방지제를 추가로 포함시켜 반응시킬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사슬연장제에 의한 프리폴리머의 연결 반응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라디컬과 반응하여 불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산화방지제는 사슬연장제의 사용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함께 증가된 양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슬연장제를 제한된 양으로 사용한 결과, 산화방지제의 경우에도 통상 사용되는 양에 비해 매우 적은 양으로 사용하더라도 최종적으로 수득되는 수지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의 제조]
기계적 교반 장치와 콘덴서를 장착한 500ml 3구 유리플라스크(Pyrex)에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imethyl terephthalate, DMT) 0.48mol, 1,4-부틸렌 글리콜(1,4-butylene glycol, 1,4-BD) 1.3mol, 촉매로서 antimony trioxide 0.03g 및 tetra-n-butyl titanate 0.2g을 첨가하여 180℃에서 2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한 후, 추가적으로 아디프산(adipic acid, AA) 0.52mol을 투입하고 1시간 동안 동일 온도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을 다시 진행하였다. 그런 다음, 220℃에서 2Torr 미만의 진공에서 축중합 반응을 200분간 실시하여 200g의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수분 함량 조절]
상기 합성된 프리폴리머를 고온 진공 건조기에 넣고 20Torr이하, 80℃에서 4시간 이상 진공 건조시켰다. 그런 다음, 칼피셔 수분측정장비(C30 Compact Karl Fischer Coulometer)를 이용하여 프리폴리머 내 함수율을 측정하였다.
[생분해성 수지 제조]
상기 수분 함량이 조절된 프리폴리머 200g에 사슬연장제로서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40mg을 투입하고, 추가적으로 산화방지제(Tetrakis[methylene(3,5-di-t-butyl-4-hydroxyhydrocinnamate)]methane, AO-60) 40mg 및 왁스(ethylene bis-stearamide, EBS) 40m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170℃에서 압출하면서 반응시켰다. 최종 생분해성 수지를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2
프리폴리머 함수율 조절 단계에서 조절되는 프리폴리머의 함수율 및 프리폴리머 연결 단계에서 사슬연장제와 산화방지제의 종류 및 양을 하기 표1에서와 같이 달리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생분해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시판되고 있는 제품으로 BASF사의 ecoflex BX7011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사슬연장제
(mg)
사슬연장제/프리폴리머
(중량%)
산화방지제
(mg)
프리폴리머 함수율
실시예 1 HMDI 40 0.02 40 148ppm
실시예 2 HMDI 100 0.05 40 162ppm
실시예 3 HMDI 160 0.08 40 153ppm
실시예 4 HMDI 100 0.05 1 152ppm
실시예 5 MDI  100 0.05 40 162ppm
실시예 6 TDI  100 0.05 40 171ppm
비교예 1 HMDI 100 0.05 40 313ppm
비교예 2 HMDI 800 0.4 100 358ppm
비교예 3 Ecoflex BX7011
사슬연장제
HMDI: hexamethylene diisocyanate
MDI: 4,4'-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TDI: 2,4-toluene diisocyanate
산화방지제: Tetrakis[methylene(3,5-di-t-butyl-4-hydroxyhydrocinnamate)]methane
생분해성 수지의 물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2에서 수득된 수지 및 대조군으로 사용한 비교예 3의 제품에 대해 융용흐름지수(melting flow index (MFI))와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MFI는 MELTINDEXER(GOTPFERT, MI-3)를 이용하여 190℃에서 2160g의 하중에서 10분간 흐르는 양을 측정하였다. 또한, 분자량은 수지에 대하여 0.1중량%의 클로로포름 용액을 제조한 후,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Agilent, HP 1100)를 이용하여 25℃에서 10ml/min의 유속으로 측정하였다. 아울러, 원소 분석기(FlashEA 1112, Thermo Finnigan, Italia)를 이용하여 수지 내에 포함된 질소 함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2에 정리하였다.
MFI (g/10min) 수평균분자량
Mn (Da)
중량평균 분자량
Mw (Da)
Mw/Mn 질소 함량 (ppm)
이론값 측정값
실시예 1 3.1 10,600 164,700 15.54 33 37
실시예 2 2.7 12,000 192,300 16.02 83 78
실시예 3 2.6 12,700 203,300 16.01 133 151
실시예 4 2.6 12,100 191,800 15.85 83 88
실시예 5 2.9 11,330 147,400 13.01 56 68
실시예 6 2.8 11,780 180,600 15.33 80 77
비교예 1 4.1 7,890 124,000 15.72 83 82
비교예 2 3.0 10,275 148,600 14.46 666 712
비교예 3 2.7 12,860 158,200 12.30 - 682
상기 질소 함량의 이론값은 생분해성 수지에 사용된 총 화합물의 양에 대해 디이소시아네이트에 포함된 질소의 양을 계산한 것이다. 예를들어, 실시예1의 경우, 하기의 식으로 계산되었다.
생분해성 수지의 총 질량: 200g(프리폴리머)+40mg(HMDI)+40mg(A0-60)+40mg(EBS)= 200.12g
HMDI 내에 포함된 질소의 양: 40mg×(28/168)=6.67mg
생분해성 수지 내 질소의 함량: 6.67mg/200.12g=33ppm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대비 0.1 중량% 미만으로 제한하여 사용할 경우 최종적으로 수득되는 수지 내 질소 함량은 160ppm이하로 측정되었다. 이는 계산상 얻어지는 값(HMDI:166ppm/MDI:112ppm/TDI:160ppm)과 크게 차이 나지 않는 결과이다.
또한,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대비 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바람직한 수준의 분자량 및 기계적 물성을 얻기 위해서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의 수분 함량은 200ppm 이하로 조절되어야 하며, 비교예1에서와 같이 200pp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자량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MFI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FI는 가공시 제품의 기계적 강도를 결정하는 인자로서, MFI가 높으면 상대적으로 기계적 강도가 감소하여 제품으로서의 응용에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사슬연장제로서 다양한 종류의 디이소시아네트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산화방지제의 경우 실시예 4에서와 같이 40mg 에서 1mg으로 줄여서 사용하더라도 MFI 및 분자량 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생분해성 수지 필름 특성 평가
실시예 2 및 4, 비교예 2 및 3의 생분해성 수지를 50mm 필름 압출기에서 폭 42cm, 두께 35마이크론(종량제 비닐 봉투 20L 기준)의 필름으로 압출하여 필름의 색상, 작업성 및 필름의 표면상태를 비교?분석하였다. 압출 온도는 및 속도는 하기 표3에서와 같이 조정하였다.
압출온도 압출속도
(M/min)
필름 색상(L/a/b) 작업성 & 표면상태
실시예 2 190 6 81.65/-3.47/2.04 양호
실시예 4 190 6 81.6/-3.55/1.87 양호
비교예 2 190 6 82.3/-3.55/1.42 양호
비교예 3 180 5 85.47/1.23/13.18 결정화 느림
필름 색상 데이터에서 'L' 값은 높을수록 색상이 밝게 나타나고, 'a'와 'b' 값은 0에 가까울수록 색상이 우수하게 나타난다.
사슬연장제를 다량으로 사용한 비교예 2와 비교할 때 본 발명의 수지로부터 제조된 필름은 필름의 색상에 있어 별 차이가 없었다. 또한, 분산성 및 결정성 등의 작업성 및 압출된 필름의 표면 상태에 있어서는 오히려 시판 수지로부터 제조된 비교예 3의 경우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상기 4종의 압출된 필름을 샘플링하여 UTMU(Universal Testing Machine)을 통해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장율을 분석하였다.
두께(㎛) 인장강도(MD/TD)
(kgf/cm2)
인열강도(MD/TD)
(kgf/cm)
신장율(MD/TD)
(%)
실시예 2 70(±5) 521/564 132/148 650/600
실시예 4 70(±5) 526/607 131/149 650/600
비교예 2 70(±5) 519/527 136/135 650/600
비교예 3 75(±5) 503/601 131/143 675/625
UTM 측정 결과, 본 발명의 수지로부터 제조된 필름은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 모두 오차 범위 내에서 비교예 2 및 3의 수지로부터 제조된 필름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5)

  1. 폴리에스터 프리폴리머와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되는 우레탄 결합에 포함된 질소 원자 함량이 160ppm 이하이고, melt flow index(융용 흐름 지수, MFI)가 3.5g/10분(190℃, 2160g의 하중) 이하인 생분해성 수지로서, 상기 폴리에스터 프리폴리머 내의 수분 함량은 200ppm 이하이고, 상기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사용량은 상기 폴리에스터 프리폴리머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인 생분해성 수지.
  2. 제1항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는 1,4-부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및 1,2-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2가 알코올 모노머와 숙신산, 아디프산, 수베린산, 세바신산, 테레프탈산, 이들의 무수물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2가 카르복실산 모노머의 축중합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것인 생분해성 수지.
  3. 제1항에서,
    상기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페닐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생분해성 수지를 포함하는 물품.
  5. 제4항에서,
    상기 물품은 어망, 자망, 통발, 낚시줄, 농업용 멀칭 필름, 드레인 보드, 종량제 봉투, 식품 포장재 또는 의약품 포장재인 물품.
KR1020120064383A 2012-06-15 2012-06-15 생분해성 수지 KR20120088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383A KR20120088616A (ko) 2012-06-15 2012-06-15 생분해성 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383A KR20120088616A (ko) 2012-06-15 2012-06-15 생분해성 수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435A Division KR101163924B1 (ko) 2011-01-31 2011-01-31 생분해성 수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616A true KR20120088616A (ko) 2012-08-08

Family

ID=46873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383A KR20120088616A (ko) 2012-06-15 2012-06-15 생분해성 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86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0578A1 (ko) * 2013-10-25 2015-04-30 삼성정밀화학(주)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컴파운드 및 그로부터 얻어진 발포체
KR20160074831A (ko) 2014-12-18 2016-06-29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반응 압출용 스크류, 이를 포함하는 이축압출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수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0578A1 (ko) * 2013-10-25 2015-04-30 삼성정밀화학(주)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컴파운드 및 그로부터 얻어진 발포체
KR20160074831A (ko) 2014-12-18 2016-06-29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반응 압출용 스크류, 이를 포함하는 이축압출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수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09195T2 (de) Nachpolymerisierungs-spritzgiessen-verfahren bei der herstellung von kondensationspolymeren
KR0120326B1 (ko) 열가소성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및 그 제조방법
EP2719715B1 (en) Packaging film comprising a lactide copolymer
KR101191968B1 (ko)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
KR101163924B1 (ko) 생분해성 수지 및 그 제조방법
EP2639255B1 (en) Polylactic acid resin,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ackaging film comprising same
EP288141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iodegradable copolymer by split-injecting aromatic dicarboxylic acid compound
EP2653487B1 (en)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and packaging film
EP2669320B1 (en) Polylactic acid resin film
CN110809591B (zh) 热塑性聚氨酯
US5436056A (en) Method of producing a high molecular weight aliphatic polyester and film thereof
JP2019505659A (ja) ジブロック共重合体の製造方法
CN110072902A (zh) 具有高的抗撕裂蔓延强度的热塑性聚氨酯
KR20120088616A (ko) 생분해성 수지
EP2891674B1 (en) Lactide copolymer, and resin composition and film comprising same
EP2752438A2 (en) Production method for a biodegradable polyester copolymer resin
EP3153538B1 (en) Thermally adhesive flexible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KR101831854B1 (ko) 내가수분해성 및 생분해성이 우수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2508705B1 (ko) 장기저장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멀칭필름
JP3042096B2 (ja) ウレタン結合を含むポリエステルを用いて成形してなるフィルム
KR20230152423A (ko)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3079712B2 (ja) ウレタン結合を含むポリエステルを用いて成形してなるフィルム
KR20230170586A (ko) 생분해성 조성물 및 생분해성 필름
KR20230114483A (ko)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39441A (ko)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