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504A -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504A
KR20120088504A KR1020110091742A KR20110091742A KR20120088504A KR 20120088504 A KR20120088504 A KR 20120088504A KR 1020110091742 A KR1020110091742 A KR 1020110091742A KR 20110091742 A KR20110091742 A KR 20110091742A KR 20120088504 A KR20120088504 A KR 20120088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recording medium
image data
ring
j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8872B1 (ko
Inventor
?스께 이구찌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8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42B5/08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 B42B5/12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the elements being co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G03G15/6541Binding sets of sheets, e.g. by stapling, glueing
    • G03G15/6544Details about the binding means or proced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01Input data handling means
    • G06K15/1803Receiving particular commands
    • G06K15/1806Receiving job control commands
    • G06K15/1809Receiving job control commands relating to the printing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의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앞표지용 화상 데이터, 본문용 화상 데이터 및 뒤표지용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잡이 수신된다. 수신된 잡이, 인쇄된 시트를 링을 사용하여 제본하도록 지정된 잡일 경우에, 본문용 화상 데이터, 앞표지용 화상 데이터 및 뒤표지용 화상 데이터, 또는 뒤표지용 화상 데이터, 앞표지용 화상 데이터 및 본문용 화상 데이터의 인쇄 순서로 배열되고, 그 후에 배열된 인쇄 순서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행한다.

Description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PRINT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쇄물에 펀처로 구멍을 뚫고, 이 인쇄물을 와이어 형태의 링을 이용해서 철하는 링 제본 장치가 존재한다.
도 2a 및 도 2b는 링 제본에 사용되는 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링(201)은, 하나의 와이어를 구부려 만들어져, 이중 루프 링이라고 불린다.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철하기 전, 링(201)은 C자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 C자형 링을 가압하여 폐쇄시킴으로써,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방식으로 와이어가 변형하여, 링은 결과적으로 원 모양으로 되어서 용지 등이 탈락하지 않게 된다.
링 제본에 있어서는, 전술한 크림프 철하기(crimp binding)를 행하는 경우, 철 위치(202)가 존재한다. 철 위치(202)는 외관상 보기에 좋지 않고, 상하 단부에 와이어의 절단부가 들어나 감촉도 좋지 않다. 일반적으로, 수작업으로 링 제본할 때에는, 제본물의 후방에 철 위치가 나타나지 않도록, 뒤표지의 바로 앞이나, 앞표지의 바로 뒤에 철 위치가 숨겨지도록 제본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039852호에서는, 철 위치가 제본물의 후방에 나타나지 않도록, 내지(즉, 책의 본문)를 충분히 둘러싸는 크기의 표지를 접고, 접은 것을 천공해서 철 위치를 숨기도록 구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링 제본 공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철 위치(202)를 숨기기 위해서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지(302) 위에, 뒤표지(303)와 앞표지(304)를 배치하여 천공하고, 천공된 구멍에 링(201)을 통과시킨 후, 링(201)을 상하로 가압하여 링을 폐쇄시킨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앞표지(304)를 링(201)을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철 위치(202)가 숨겨진 제본물을 얻을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링 제본을,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되어 반송된 시트에 대하여 행하는 인-라인 타입의 링 제본 장치가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인-라인 타입의 링 제본 장치를 사용하여 링 제본을 행할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도 4는 종래의 수신 페이지 기술 언어(PDL) 데이터와 종래의 제본용 페이지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인쇄 장치에 의해 수신된 페이지 기술 언어(PDL) 데이터(400)는, 표지를 포함하여 1 페이지로부터 N 페이지의 순서로 소팅되어 있다. 인쇄 장치에 있어서, 이러한 PDL 데이터를 수신하여, 양면 인쇄할 경우, 인쇄 장치는 앞표지(앞과 뒤)(401), 내지(앞과 뒤)(402), 뒤표지(앞과 뒤)(403)의 순서로 인쇄한다. 스테이플을 사용하여 제본할 경우에는, 이러한 순서로 시트를 인쇄하고, 인쇄된 시트를 포개서 이들을 스테이플링함으로써 옳은 순서를 갖는 제본물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인-라인 타입의 링 제본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앞표지(앞과 뒤)(401), 내지(앞과 뒤)(402) 및 뒤표지(앞과 뒤)(403)의 순서로 인쇄된 시트를 그 순서로 포개서 제본하면, 철 위치(202)가 후방에 나타나는 제본은 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도 3b를 참고하여 설명한 것 같이, 철 위치가 감추어지도록 제본하는 경우, 인쇄 데이터를 작성하는 시점에서 미리, 표지의 데이터가 내지의 데이터보다도 앞 또는 뒤에 있도록 데이터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표지의 데이터가 내지의 데이터보다도 앞 또는 뒤에 있는 인쇄 데이터는 스테이플 제본에 사용될 수 없고, 따라서 유저는, 링 제본을 할지 스테이플 제본을 할지에 따라, 표지의 위치를 명백하게 변경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은 종래 기술이 갖고 있던 전술한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링을 이용해서 제본을 행하는 잡(job)에 대응하는 페이지를, 본문-앞표지-뒤표지, 또는 뒤표지-앞표지-본문으로 배열함으로써, 인쇄물의 품질과 조작성을 개선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앞표지용 화상 데이터, 본문용 화상 데이터 및 뒤표지용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잡(job)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잡이, 인쇄된 시트를 링을 사용하여 제본하도록 지정된 경우에, 상기 수신된 잡의 화상 데이터의 인쇄 순서를, 상기 본문용 화상 데이터, 상기 앞표지용 화상 데이터 및 상기 뒤표지용 화상 데이터로, 또는 상기 뒤표지용 화상 데이터, 상기 앞표지용 화상 데이터 및 상기 본문용 화상 데이터로 배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배열된 인쇄 순서로 상기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수단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앞표지용 화상 데이터, 본문용 화상 데이터 및 뒤표지용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잡의 실행 지시를 접수하고, 인쇄된 시트를 링을 사용하여 제본하는 지시 수단과, 상기 지시 수단에 의해 상기 지시가 접수된 경우, 상기 화상 데이터의 인쇄 순서가 본문용 화상 데이터, 앞표지용 화상 데이터 및 뒤표지용 화상 데이터, 또는 뒤표지용 화상 데이터, 앞표지용 화상 데이터 및 본문용 화상 데이터로 배열되는 잡을 생성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의 인쇄 순서가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배열되는 잡을 인쇄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기록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 장치이며, 상기 기록 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상기 기록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를 링을 사용하여 제본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링 제본 판정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정착 수단의 온도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링 제본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가 링을 사용하여 제본되는 것으로 판정되고,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정착 수단의 온도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인쇄될 복수 부(copy) 중 한 부의 인쇄가, 복수 부 중 상기 한 부에 앞선 부의 최종 인쇄에 사용된 기록 매체와 동일한 종류의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인쇄로부터 개시되도록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수단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기록 매체 상에 전사되어 정착기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에 정착되는 화상을 상기 기록 매체에 인쇄하는 인쇄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이며, 상기 기록 매체를 링을 사용하여 제본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정착기의 온도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가 링을 사용하여 제본되는 것으로 판정되고, 상기 정착기의 온도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인쇄될 복수 부 중 한 부의 인쇄가, 복수 부 중 상기 한 부에 앞선 부의 최종 인쇄에 사용된 기록 매체와 동일한 종류의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인쇄로부터 개시되도록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명세서에 통합되어 그 일부를 이루는 첨부 도면은 본원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원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링 제본을 위한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a 및 도 2b는 링 제본에 사용할 수 있는 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링 제본 공정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4는 수신 페이지 기술 언어(PDL) 데이터와, 링 제본의 페이지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잡의 페이지 구성 및 인쇄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의 컨트롤러의 구성과 클라이언트 컴퓨터와의 접속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30)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조작 유닛 및 프린터 드라이버의 화면에 표시되는 설정 창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 제본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어에 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어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4는 링 제본 잡에 있어서의 시트(인쇄물)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링 제본 잡에 있어서의 인쇄 시간과 온도 조정 시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컨트롤러에 의한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잡의 페이지 구성 및 인쇄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8a 및 도 18b는, 링 제본 잡의 공정(18a)과, 제1 실시예에 따른 링 제본 잡의 공정(18b)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어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어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이하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되는 태양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인 것이라고는 할 수 없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1 실시예>>
<장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 제본을 위한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인쇄 장치(100)는 현상 스테이션(101), 정착 스테이션(102) 및 급지 데크(109)를 구비한다. 컨트롤러(130)는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이다. 조작 유닛(150)는 LCD/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인쇄 장치의 유저가 인쇄 상황을 확인하거나, 각종 설정을 하는데에도 사용된다. 각각 CMYK 색상에 대해 제공되는 현상제(104 내지 107)에 있어서, 컨트롤러(130)로부터 입력된 화상이, 각 현상제에 내장되는 감광 드럼(도시되지 않음)에 현상되고, 토너가 현상부에 부착되어 감광 드럼 위에 토너상이 형성된다. 현상된 CMYK 토너상은, 먼저 중간 전사 벨트(108)에 전사된 후, 급지 데크(109)로부터 공급된 시트(기록 매체)에 전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는 정착 스테이션(102)에 보내져, 정착 롤러(110)에 의해 열과 압력이 시트에 인가된다. 결과적으로, 토너가 융해해서 시트 위에 정착하여 인쇄 공정을 완료한다.
링 제본 장치(103)는, 인쇄 장치(100)의 정착 스테이션(102)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인쇄 장치(100)로부터 보내진 인쇄된 시트는 링 제본 장치(103)에 입력되고, 잡이 링 제본 잡인 경우에는, 펀처(120)에 의해, 이들 시트에 링에 적합한 천공이 행하여진다. 다음으로, 시트는 적재 유닛(121)에 보내져서, 시트가 적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1권 분량의 시트가 모두 적재 유닛(121)에 적재되면, 링 크림핑 유닛(122)이, 적재된 시트의 구멍에 링을 회전식으로 관통시킨다. 그 후, 링의 상하로부터 압력을 가해서 철하기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제어함으로써, 인쇄에서부터 링 제본까지의 공정은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링 제본 장치(103)보다 하류측에는, 대용량 적재기나 중철 제본 장치(saddle stitching apparatus) 등이 접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철 제본 장치(191)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중철 제본 장치(191)는, 링 제본 장치(103)로부터 반송된 시트를 스테이플링 유닛(192)에 축적하고, 스테이플링될 매수의 시트가 축적되면, 시트를 스테이플링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봉합된 시트는 배출 트레이(193)로 배출된다.
<컨트롤러 구성>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의 컨트롤러(130)의 구성과, 클라이언트 컴퓨터와의 접속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중앙 연산 장치(CPU)(601)는 RAM(603)에 전개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 내의 각 유닛의 제어 및 연산을 실행한다. RAM(603)은, 프로그램용 기억 영역, 각종 데이터용 일시 기억 영역, 및 워킹 메모리로서 이용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604)는 대용량의 기억장치이며, CPU(601)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인스톨하고 있다. 또한, HDD(604)는 처리 대상인 각종 데이터용 일시 기억 영역으로서도 이용된다. ROM(606)은 기동 프로그램(부팅 프로그램), 각종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인쇄 장치의 전원이 온 되면, ROM(606)의 부팅 프로그램이 기동되어, HDD(604)에 인스톨되어 있는 OS나 제어 프로그램 등이 읽어 들어져 RAM(603)에 전개되어 로딩된다. 그리고, CPU(601)는, RAM(603)에 전개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처리를 실행하여, 후술하는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F)(602)는 외부 네트워크를 거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정보 처리 장치)(630)와 같은 다른 장치와 통신한다. 엔진 인터페이스(I/F)(605)는 프린터 엔진(608)과의 통신 및 제어를 담당한다. 프린터 엔진(608)은, 도 1에 도시되는 현상 스테이션(101), 정착 스테이션(102), 링 제본 장치(103), 중철 제본 장치(191) 등을 포함한다. CPU(601)는, 현상 스테이션(101), 정착 스테이션(102) 및 링 제본 장치(103)와 신호선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고, 신호선을 거쳐서 명령을 송신함으로써, 이들 유닛의 동작을 제어한다. 시스템 버스(607)는, CPU(601)와 전술한 구성요소를 접속하는 버스이며, 제어 신호, 어드레스, 데이터 등을 전달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630)에는 프린터 드라이버(650)가 인스톨 되어 있다. 프린터 드라이버(650)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렌더링 명령을, 인쇄 장치(100)에 의해 출력될 수 있는 PDL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프린터 드라이버(650)는, 각종 인쇄 장치의 설정을 상기 PDL 데이터에 부가하고, 결과 데이터를 인쇄 장치(100)에 송신한다.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30)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각각의 소프트웨어 모듈의 기능은, RAM(603)에 전개된 제어 프로그램을 CPU(601)가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잡 수신부(70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F)(602)를 거쳐서 인쇄 잡을 수신하고, 이들 잡을 스풀러(710)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잡 전개부(702)는, 스풀러(710)에 저장된 인쇄 잡을 읽어 들여 해석하고, 이들 잡을 전개하여, PDL 인터프리터(703)에 보내 준다. PDL 인터프리터(703)는, 이들 인쇄 잡에 포함되는 PDL(페이지 기술 언어) 데이터를 전개하고, 중간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여기에서, PDL 데이터는, 예를 들면 Adobe PDF 데이터이다.
RIP 처리부(704)는, 중간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RIP 처리를 행하여 그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결과 데이터를 스풀러(720)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페이지 처리부(705)는, 스풀러(720)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페이지의 순서를 배열하는 처리를 행한다. 잡 송신부(706)는, 이렇게 배열된 화상 데이터를, 엔진 I/F(605)를 거쳐서 프린터 엔진(608)으로 송신해서 인쇄를 행한다. 스풀러(710, 720)는, RAM(603)에 제공되거나, HDD(604)에 제공될 수도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페이지 소팅 방법>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잡의 페이지 구성 및 인쇄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설명에서는, 양면 인쇄 잡을 전제로 하지만, 인쇄 잡은 단면 인쇄 잡일 수도 있고, 또는 단면 인쇄와 양면 인쇄가 혼재된 잡일 수도 있다.
수신한 N 페이지로 구성되는 PDL 데이터(400)의 페이지 구성이 내지(501), 뒤표지(502) 및 앞표지(503)의 순서로 소팅되는 패턴을, 패턴 A라고 한다. 한편, 뒤표지(504), 앞표지(505), 내지(본문)(506)의 순서로 소팅되는 패턴을, 패턴 B라고 한다. 패턴 A의 경우, 수신한 PDL 데이터는, 앞표지(503)의 앞과 뒤에 인쇄되는 1 페이지 및 2 페이지가 최종 페이지(즉, N 번째 페이지)의 뒤에 소팅되도록 소팅된다. 한편, 패턴 B의 경우, 수신한 PDL 데이터는, 뒤표지(504)의 앞과 뒤에 인쇄되는 (N-1) 번째 페이지와 N 번째 페이지가 1 페이지의 앞에 소팅되도록 소팅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링 제본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패턴 A에서, 링 제본은 내지(1002)(도 5의 "501"에 대응)를 먼저 인쇄하고, 그 후 뒤표지(1001)(도 5의 "502"에 대응) 및 앞표지(1003)(도 5의 "503"에 대응)를 인쇄함으로써 실행된다. 그 후, 도 10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앞표지(1003)를 링(201)을 따라 1 회전시켜, 내지(1002)의 앞에 배치시킨다. 이에 따라, 앞표지(1003)의 바로 뒤에 철 위치(202)가 배치되어, 의도된 순서로 소팅된 최종 생성물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0b는, 패턴 B에 따라 인쇄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뒤표지(1004)(도 5의 "504"에 대응), 앞표지(1006)(도 5의 "505"에 대응) 및 내지(1005)(도 5의 "506"에 대응)의 순서로 인쇄해서 링 제본을 행하고 있다. 여기에서, 뒤표지(1004)를 링(201)을 따라 1 회전시켜, 내지(1005)의 뒤에 배치시킨다. 이에 따라, 뒤표지(1004)의 바로 앞에 철 위치(202)가 배치되어, 의도된 순서로 소팅된 최종 생성물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도 10a의 경우와 도 10b의 경우 양자 모두에서, 철 위치(202)가, 앞표지(1003) 또는 뒤표지(1004)에 의해 숨겨지는 제본물을 생성할 수 있다.
<설정 창>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라 인쇄 장치(100)에 제공되는 조작 유닛(150)의 화면에 표시되는 설정 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설정 창(901)은 조작 유닛(150)에 표시된다. 조작 유닛(150)은 설정 창(901)이 표시된 경우에, 터치 패널을 거쳐서 유저로부터 입력을 접수한다. 설정 창(901)은, 링 제본을 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체크 박스(902)와, 링 철 위치를 설정하는 풀-다운 메뉴(903)와, OK 버튼(904)과, 취소 버튼(905)으로 구성된다. 링 철 위치를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풀-다운 메뉴(903)는, 링 제본을 행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하는 체크 박스(902)가 체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비활성화[그레이 아웃(gray out)]된다. 링 철 위치를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풀-다운 메뉴(903)는, "디폴트", "앞표지의 뒤" 및 "뒤표지의 앞"의 3가지의 선택 사항으로 구성된다. "디폴트"는, 도 4에 도시된 수신 PDL 데이터와 동일한 순서로, 다시 말해 앞표지(401), 내지(402) 및 뒤표지(403)의 순서로 인쇄하는 방법이다. "앞표지의 뒤"는, 도 5에 도시된 패턴 A에 대응하는 반면, "뒤표지의 앞"은 도 5에 도시된 패턴 B에 대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링 제본의 가부를 설정하고 철 위치를 설정한 후에, 유저가 OK 버튼(904)을 누르면, 컨트롤러(130)가 그 설정을 RAM(603) 또는 HDD(604)에 보존한다.
동일한 유형의 설정 창은, 인쇄 장치(100)에 제공되는 조작 유닛(150)에서보다는, 네트워크I/F(602)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컴퓨터(630)에 인스톨된 프린터 드라이버(650)에 있어서도, 동일한 구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유저가 설정한 링 제본의 실행 가부의 정보 및 철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인쇄 잡의 일부로서 인쇄 장치에 송신된다. 인쇄 장치의 CPU(601)는, 프린터 드라이버(650)에 의해 송신되는 인쇄 잡에 포함되는 잡 설정 정보에 따라 인쇄 동작을 제어한다.
조작 유닛(150)과 프린터 드라이버(650) 양자를 통해, 링 제본의 실행 가부의 정보 및 철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특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린터 드라이버(650)에 의해 특정된 링 제본의 실행 가부의 정보 및 철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우선된다.
<제1 실시예의 인쇄 플로우>
다음으로, 제1 실시예에 따라 인쇄 장치(100)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0)의 컨트롤러(130)에 의한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ROM(606)으로부터 읽어 들여져 RAM(603)에 전개되고, CPU(601)가 이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이 흐름도에서 제시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우선, 단계(S801)에서, CPU(601)에 의한 처리가 개시되어, 네트워크 I/F(602)를 거쳐서 인쇄 잡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S802)로 진행되고, 잡 전개부(702)가, 입력된 인쇄 잡을 PDL 인터프리터(703)로 보낸다. 또한, RIP 처리부(704)가, PDL 인터프리터(703)가 생성한 중간 데이터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화상 데이터를 스풀러(710)에 저장한 후, 처리는 단계(S803)로 진행한다.
단계(S803)에서는, 페이지 처리부(705)가, 인쇄 잡을 해석하고, 더 나아가 HDD(604) 또는 RAM(603)을 참조하여, 그 인쇄 잡이 링 제본을 위한 잡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인쇄 잡이 링 제본을 위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처리는 단계(S820)로 진행되어, 일반적인 인쇄를 실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쇄 잡이, 후-처리가 지정되지 않은 인쇄 잡, 스테이플링을 행하도록 지정된 인쇄 잡 등인 경우에는, CPU(601)는, 처리를 단계(S803)로부터 단계(S820)로 진행시키고, 단계(S820)에서 일반적인 인쇄를 실행하고, 인쇄물에 대하여 스테이플링 처리를 행한 후, 처리를 종료한다.
그러나, 단계(S803)에서, 입력된 인쇄 잡이 링 제본을 위한 잡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804)로 진행되고, 페이지 처리부(705)는, 그 입력된 인쇄 잡을 더 해석한다. 페이지 처리부(705)는, 인쇄 잡을 해석하고, 또한 HDD(604) 또는 RAM(603)을 참조하여 인쇄 잡의 링 철 위치 설정을 취득한다.
다음에, 처리는 단계(S805)로 진행되고, 페이지 처리부(705)가, 취득한 링 철 위치가 "디폴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링 철 위치가 "디폴트"라고 판단하면, 처리는 단계(S810)로 진행되고, 페이지 처리부(705)가 잡 송신부(706)를 거쳐서 프린터 엔진(608)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 후 페이지의 소팅을 행하지 않고 프린터 엔진(608)에 의해 인쇄를 행한다. 다음에, 단계(S811)에서, 링 제본 장치(103)가 그대로 링 제본을 행하고,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S805)에서 링 철 위치가 "디폴트"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807)로 진행되고, 페이지 처리부(705)가, 취득한 링 철 위치가 패턴 A인지 패턴 B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링 철 위치가 패턴 A에 대응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808)로 진행되고, 페이지 처리부(705)가, 패턴 A에 따라 페이지를 소팅한다. 한편, 링 철 위치가 패턴 B에 대응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809)로 진행되고, 페이지 처리부(705)가, 패턴 B에 따라 페이지를 소팅한다. 다음에, 처리는 단계(S810)로 진행되고, 페이지 처리부(705)가 잡 송신부(706)를 거쳐서 프린터 엔진(608)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 후 패턴 A 또는 패턴 B에 따라 소팅된 페이지 순서에 따라 인쇄를 행한 다음에, 단계(S811)에서, 링 제본 장치(103)가 그대로 링 제본을 행하고,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인쇄를 제어함으로써, 링 제본 잡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설정에 기초하여, 링 철 위치를 적절하게 반영하고, 고품질의 인쇄물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저가 페이지를 재배열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성도 향상된다. 또한, 스테이플 제본을 행하는 잡이면, 페이지를 소팅하지 않고 인쇄가 실행되고, 따라서 유저는, 실행될 후-처리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페이지 순서로 페이지를 재배열할 필요가 없어진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는 페이지를 소팅하기 위해 인쇄 장치(100)에서 행해지는 제어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서는, 페이지의 소팅을 미리 클라이언트 컴퓨터(630)에 인스톨되어 있는 프린터 드라이버(650)에 의해 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의 흐름도에 도시되는 각 단계는 클라이언트 컴퓨터(630)의 CPU가 클라이언트 컴퓨터(630)의 ROM으로부터 읽어낸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제2 실시예의 인쇄 장치(100) 및 링 제본 장치(103) 등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의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드라이버(650)의 제어에 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S1101)에서, 프린터 드라이버(650)에 의한 처리가 개시되어, 유저로부터 인쇄의 실행 지시를 수신한다. 다음에, 처리는 단계(S1102)로 진행되어, 프린터 드라이버(650)가, 수신한 실행 지시로부터 인쇄 설정을 취득한다.
단계(S1103)에서는, 프린터 드라이버(650)가, 취득한 인쇄 설정에 기초하여, 인쇄 잡이 링 제본을 위한 잡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인쇄 잡이 링 제본을 위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처리는 단계(S1120)로 진행되어, 프린터 드라이버(650)가 일반적인 PDL 데이터의 생성을 행하고, 그 데이터는 단계(S1112)에서 인쇄 장치(100)로 송신된 후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S1103)에서, 입력된 인쇄 잡이 링 제본을 위한 잡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104)로 진행되어, 프린터 드라이버(650)는, 인쇄 지시된 인쇄 잡의 링 철 위치 설정을 취득한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S1105)로 진행되고, 취득한 링 철 위치가 "디폴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링 철 위치가 "디폴트"라고 판단된 경우, 처리는 단계(S1111)로 진행되어, 프린터 드라이버(650)가, 인쇄 지시가 있었던 페이지를 소팅하지 않고 PDL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데이터는 단계(S1112)에서 인쇄 장치로 송신된 후, 처리를 종료한다. 예를 들면, 인쇄 잡이, 후-처리가 지정되지 않은 인쇄 잡이나 스테이플링이 지정된 인쇄 잡 등인 경우, 처리는 단계(S1103)로부터 단계(S1120)로 진행되어, PDL 데이터가 생성되고, 인쇄된 인쇄물을 스테이플링하는 처리가 실행되고, 이 후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S1105)에서 링 철 위치가 "디폴트"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107)로 진행되고, 프린터 드라이버(650)가, 취득한 링 철 위치가 패턴 A에 대응하는지 패턴 B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한다. 링 철 위치가 패턴 A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S1108)로 진행되어, 프린터 드라이버(650)가, 패턴 A에 따라 페이지를 소팅한다. 한편, 링 철 위치가 패턴 B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S1109)로 진행되어, 프린터 드라이버(650)가, 패턴 B에 따라 페이지를 소팅한다. 다음에, 단계(S1110)에서, 프린터 드라이버(650)가 인쇄 잡에 "소팅 완료" 플래그를 설정한다. 그 후, 처리는 단계(S1111)로 진행되어, 프린터 드라이버(650)가, 패턴 A 또는 패턴 B에 따라 인쇄가 지시된 페이지를 소팅하여 얻어진 페이지 순서로 PDL을 생성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S1112)로 진행되어, 프린터 드라이버(650)가 인쇄 장치(100)에 PDL 데이터를 송신한 후, 처리를 종료한다.
그 후, 인쇄 장치(100)에서는, 프린터 드라이버(650)가 생성한 인쇄 잡에 따라, 페이지를 소팅하지 않고 인쇄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프린터 드라이버(650)를 제어함으로써, 링 제본 잡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설정에 기초하여 링 철 위치를 적절하게 반영하는 고품질의 인쇄물 생성이 가능해 진다. 또한, 유저는 페이지를 재배열할 필요가 없고, 조작성도 향상된다. 또한, 잡이 스테이플 제본을 행하는 잡이면, 페이지를 소팅하지 않고 인쇄가 행해지기 때문에, 유저는 실행될 후-처리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페이지 순서로 재배열할 필요가 없어진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의 인쇄 장치(100) 및 링 제본 장치(103) 등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이들의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인쇄 장치(100)에 의해 행해지는 페이지의 소팅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린터 드라이버(650)에 의해 행해지는 페이지의 소팅에 의해, 유저에 의한 설정에 기초하여 철 위치에서의 링 제본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페이지가 프린터 드라이버(650)에 의해 소팅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페이지가 인쇄 장치(100)에 의해 추가로 소팅되면, 최종 생성물의 페이지 순서는 의도한 것과는 다르게 된다.
또한, 트레이가 가득 찼거나, 용지 걸림, 링 소진 등과 같은 오류가 링 제본 장치에서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서 고려해 볼 수 있다. 이 경우, 링 제본을 행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테이플링 철하기가 가능한 피니싱 장치를 대체 출력처로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프린터 드라이버(650)에서 이미 페이지의 소팅을 실행한 경우, 스테이플링을 실행하는 것은 의도한 페이지 순서로 인쇄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에 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의 흐름도에 도시되는 처리는, CPU(601)가 ROM(606)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실행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우선, 단계(S1201)에서, CPU(601)에 의한 처리가 개시되어, 네트워크 I/F(602)를 거쳐서 인쇄 잡을 수신한다. 다음에, 처리는 단계(S1202)로 진행되어, 잡 전개부(702)가, 입력된 인쇄 잡을 PDL 인터프리터(703)로 보낸다. 또한, RIP 처리부(704)가, PDL 인터프리터(703)가 생성한 중간 데이터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생성해서 이 화상 데이터를 스풀러(710)에 저장하고, 그 후 처리는 단계(S1203)로 진행한다.
단계(S1203)에서는, CPU(601)가, 링 제본 장치(103)에 제공된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링 제본 장치(103)의 상태를 검지한다. 다음에, 단계(S1204)에서, CPU(601)는, 검지한 링 제본 장치(103)의 상태를 참조하여, 링 제본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링 제본 장치(103)의 트레이가 가득차지 않았거나, 용지 걸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링 소진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 등에 있어서는, 링 제본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반면, 트레이가 가득찼다거나, 용지 걸림 또는 링 소진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링 제본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링 제본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CPU(601)는, 단계(S1205)(도 13)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그러나, 링 제본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CPU(601)는, 단계(S1206)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CPU(601)는, 링 제본 장치(103) 이외의 대체 출력처에 잡을 설정한다.
단계(S1207)에서, CPU(601)는, 인쇄 데이터를 참조하여, "소팅 완료" 플래그를 취득한다. 이 "소팅 완료" 플래그는, 단계(S1110)에서, 링 제본용 소팅이 프린터 드라이버(650)에 의해 실행된 경우에, 프린터 드라이버(650)에 의해 인쇄 데이터에 부여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단계(S1208)에서, CPU(601)는, "소팅 완료" 플래그에 기초하여, 인쇄 잡이 프린터 드라이버(650)에 의해 소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인쇄 잡이 소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S1213)로 진행되어 CPU(601)는, 현재의 페이지 순서로 인쇄를 행하고, 단계(S1214)에서 대체 출력처에서의 후-처리[예를 들면, 중철 제본 장치(191)에 의한 스테이플 철하기]를 행하고, 이 후, 이 처리를 종료한다.
그러나, 단계(S1208)에서, 인쇄 잡이 프린터 드라이버(650)에 의해 소팅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S1209)에서, 페이지 처리부(705)는, 그 입력된 인쇄 잡을 추가로 해석한다. 여기에서, 페이지 처리부(705)는 인쇄 잡을 해석하고, 또한 HDD(604) 또는 RAM(603)을 참조하여, 인쇄 잡의 링 철 위치 설정을 취득한다.
그 후, 처리는 단계(S1210)로 진행되고, 페이지 처리부(705)가, 취득한 링 철 위치가 패턴 A에 대응하는지 패턴 B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링 철 위치가 패턴 A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211)로 진행되는데, 이 단계에서는 페이지 처리부(705)가, 이미 패턴 A에 따라 소팅된 페이지에 대하여, 최종 2 페이지를 이들 소팅된 페이지의 선두로 이동시키는 소팅을 행한다. 그러나, 링 철 위치가 패턴 B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212)로 진행되는데, 이 단계에서는 페이지 처리부(705)가, 이미 패턴 B에 따라 소팅된 페이지에 대하여, 선두 2 페이지를 이들 소팅된 페이지의 최후로 복귀시키는 소팅을 행한다. 다음에, 단계(S1213)로 진행되어, 페이지 처리부(705)가, 소팅 완료된 페이지 순서의 페이지를 잡 송신부(706)를 통해 적합한 순서로 인쇄하고, 단계(S1214)에서 대체 출력처에 의해 행해지는 후-처리(예를 들면, 스테이플링)를 행하고,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0)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에 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S1205)에서 링 제본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인쇄 잡에 대하여, 단계(S1301)에서, 페이지 처리부(705)가 인쇄 데이터를 참조하여, "소팅 완료" 플래그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단계(S1302)에서, 페이지 처리부(705)는, 상기 취득한 "소팅 완료"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페이지가 소팅 완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308)로 진행되어, 페이지 처리부(705)가 잡 송신부(706)를 통해, 페이지의 소트를 행하지 않고 페이지의 인쇄를 행한다. 그리고, 단계(S1309)에서, 링 제본 장치(103)가 그대로 링 제본을 행하고,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S1302)에서, 페이지가 소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303)로 진행되어, 설정되어 있는 링 철 위치를 취득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S1304)로 진행되어, 페이지 처리부(705)가, 취득한 링 철 위치가 "디폴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링 철 위치가 "디폴트"라고 판단하면, 처리는 단계(S1308)로 진행되어, 페이지 처리부(705)가 잡 송신부(706)를 통해, 페이지의 소트를 행하지 않고 페이지의 인쇄를 행하고, 그 후 단계(S1309)에서 링 제본 장치(103)가 그대로 링 제본을 행하고,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S1304)에서 링 철 위치가 "디폴트"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305)로 진행되어, 페이지 처리부(705)가, 취득한 링 철 위치가 패턴 A에 대응하는지 패턴 B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한다. 링 철 위치가 패턴 A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S1306)로 진행되어, 페이지 처리부(705)가, 패턴 A에 따라 페이지를 소팅한다. 한편, 링 철 위치가 패턴 B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307)로 진행되어, 페이지 처리부(705)가 패턴 B에 따라 페이지를 소팅한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S1308)로 진행되어, 페이지 처리부(705)가 잡 송신부(706)를 통해, 패턴 A 또는 패턴 B에 따라 소팅하여 얻어진 페이지 순서에 따라 인쇄를 행하고, 그 후 단계(S1309)에서 링 제본 장치(103)가 그대로 링 제본을 행하고,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전술한 제어를 통해, 페이지가 미리 프린터 드라이버(650)에 의해 소팅되더라도, 적절하게 링 제본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미리 프린터 드라이버(650)에 의해 페이지가 소팅되었더라도, 대체 출력처에 대해 적절한 페이지 순서로 인쇄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제4 실시예>>
도 14는, 링 제본 잡을 도 5의 패턴 A의 방법으로, 복수 부(copy)(즉, 복수 잡) 연속해서 인쇄할 경우의 시트(인쇄물)의 배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모든 시트가 양면 인쇄되었다고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모든 시트가 단면 인쇄되거나, 양면 인쇄와 단면 인쇄가 혼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트의 배열을 얻기 위해서는, 우선 제1부터 제N 번째 내지(3302)가 인쇄되고, 그 후에 뒤표지(3303)의 앞과 뒤를 순차적으로 인쇄한 후, 앞표지(3304)의 앞과 뒤를 순차적으로 인쇄하고, 다음 부의 인쇄로 옮겨진다.
링 제본의 특징으로서, 많은 최종 생성물에 있어서, 본문 인쇄 시, 내지(3302)에 비해 앞표지(3304) 및 뒤표지(3303)에, 보다 두꺼운 종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사진 기술을 사용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는, 열원을 사용한 정착기에 의해 토너를 융해해서 시트에 정착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시트의 두께가 바뀌면, 이에 따라 정착기의 온도도 변경하지 않으면 안된다. 정착기의 온도를 낮은 온도에서 높은 온도로 올리는 경우에는, 보다 높은 전력을 열원에 공급함으로써 비교적 빠르게 설정 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정착기의 온도를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내리는 경우에는, 열원으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자연히 방열되어서 차가워질때까지 기다리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낮은 온도로 온도가 저하하는 경우에는, 특히 온도의 변경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도 15는, 도 14의 방법으로, 링 제본 잡을 실행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인쇄 시간과 온도 조정 시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선 내지로부터 인쇄를 시작한다. 표지 시트가 인쇄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표지에는 두꺼운 종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자주 있기 때문에, 정착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정착기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하고 나서, 뒤표지와 앞표지를 인쇄함으로써, 제1 부째의 인쇄를 종료한다. 제2 부째는, 제1 부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내지로부터 인쇄를 시작한다. 그러나, 이 경우, 제1 부째의 뒤표지와 앞표지의 인쇄를 위해 정착기의 온도가 상승되어 있기 때문에, 내지를 인쇄하기 전에 정착기의 온도를 내릴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내지를 인쇄하는데 최적인 온도로 온도가 저하하는 것을 기다려서 제2 부째의 인쇄가 개시된다. 다시 말해, 각 부를 인쇄할 때마다, 각각 2회의 정착기의 온도 조정을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제본 잡에 관한 것으로서는 없지만, 정착기의 온도 조정이 필요한 잡을 복수 부 인쇄할 경우에 있어서, 인쇄하는 페이지의 순서를 일반적인 순서와 반대 순서 사이에서 번갈아가며 제어하는 기술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6381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링 제본 잡에 있어서, 각 부를 인쇄할 때에, 소팅 및 인쇄는 뒤표지/앞표지, 및 내지 각각이 연속하여 인쇄되도록 행해진다. 이를 통해, 정착기의 온도가 조정되는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이하의 문제를 갖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63818호는 페이지가 역순으로 인쇄되는 것을 전제 조건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일면이 코팅되어 있는 시트와 같이 앞과 뒤의 특성이 상이한 시트가 링 제본물의 표지로 특정되는 상황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역순으로 올바르게 인쇄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앞과 뒤 특성을 갖는 시트의 앞과 뒤를 뒤집고 상이한 2개의 용지 공급 유닛으로부터 시트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또한, OHP 시트와 같은, 인쇄 장치의 기계적인 한계로 인해 양면에 인쇄될 수 없는 시트도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에, 시트는 뒤집힐 수 없게 되는데, 이로써 역순으로 시트를 인쇄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탭(tab) 처리된 시트에 있어서, 탭의 순서는 미리 결정된 순서에 따라 소팅되고, 따라서 탭의 순서가, 일반적인 순서와 반대 순서 사이에서 번갈아 진행되도록 재배열되는 경우, 요구되는 인쇄물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본 제4 실시예는 정착기의 온도를 조정하는 횟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인쇄물에 대한 생산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쇄 장치(100) 및 링 제본 장치(103)의 구성은, 각각 제1 실시예의 인쇄 장치(100) 및 링 제본 장치(103) 구성과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0)의 CPU(601)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들 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은 전술한 바와 같이, RAM(603)에 전개되고, 이 흐름도에 도시된 처리는 이들 제어 프로그램을 행하는 CPU(601)에 의해 행해진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먼저, 단계(S1801)에서, CPU(601)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가 개시되고, 인쇄 잡이 네트워크 I/F(602)를 통해 수신된다. 이 인쇄 잡은 복수 부에 대한 인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S1802)로 진행하여, 잡 전개부(702)가 입력된 인쇄 잡을 PDL 인터프리터(703)로 보낸다. 또한, RIP 처리부(704)는 PDL 인터프리터(703)에 의해 생성된 중간 데이터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화상 데이터를 스풀러(710)에 저장하고, 그 후에 처리는 단계(S1803)로 진행한다.
단계(S1803)에서는, 페이지 처리부(705)가, 인쇄 잡을 해석하고, 그 인쇄 잡이 링 제본을 포함하는 잡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인쇄 잡이 링 제본을 포함하는 인쇄 잡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처리는 단계(S1820)로 진행되어, 일반적인 인쇄가 실행되고 처리를 종료한다. 그러나, 단계(S1803)에서, 입력된 인쇄 잡이 링 제본을 포함하는 잡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804)로 진행되어, 페이지 처리부(705)는, 그 입력된 인쇄 잡을 추가로 해석하고, 내지와 앞표지 및 뒤표지 각각 설정되어 있는 시트의 평량을 판별한다.
다음에, 처리는 단계(S1805)로 진행하여, 단계(S1804)에서 판정한 시트의 평량(즉, 시트의 종류)에 따라, 페이지 처리부(705)는, 부의 도중에 내지와 앞표지 및 뒤표지 사이에서 정착기[이는 도 1에 도시된 정착 스테이션(102)에 대응함]의 정착 온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다시 말해, 일반적으로는, 내지보다도 앞표지 또는 뒤표지에는, 두꺼운 시트가 사용된다. 따라서, 앞표지 및 뒤표지용으로 사용되는 용지의 평량이 내지용으로 사용되는 용지의 평량보다 큰 미리 결정된 양 이상인 경우, 내지에 인쇄된 화상을 정착하는데 필요한 열량보다도, 앞표지 또는 뒤표지에 인쇄된 화상을 정착하는데도 필요한 열량이 크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정착기의 온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단계(S1805)에서, 정착기의 온도 조정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821)로 진행되어(도 16b), 페이지의 구성을, 내지, 뒤표지 및 앞표지의 순서(도 17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패턴 A)로 소팅한다. 다음에, 처리는 단계(S1822)로 진행되고, 잡 송신부(706)는, 단계(S1821)에서 소팅된 부를 구성하는 페이지의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 엔진(608)에 송신하고 이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인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쇄 부수의 한 부에 상당하는 페이지의 인쇄가 완료하면, 처리는 단계(S1823)로 진행되고, 컨트롤러(130)는, 링 제본 장치(103)를 제어하여, 인쇄된 시트의 링 제본을 행한다. 다음에, 단계(S1824)에서는, 페이지 처리부(705)는, 인쇄되어 링 제본한 부가 최종 부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부가 최종 부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821)로 복귀하고, 처리는 페이지 처리부(705)에 의한 처리를 되풀이한다. 그러나, 단계(S1824)에서, 페이지 처리부(705)가, 상기 부가 최종 부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이 처리를 종료한다. 이들 단계(S1821 내지 S1824)에서 제시하는 처리의 순서는, 주지의 처리의 순서와 같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잡의 페이지 구성 및 인쇄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 부째에서, 인쇄 데이터를 내지(본문용 화상 데이터), 뒤표지(뒤표지용 화상 데이터) 및 앞표지(앞표지용 화상 데이터)의 순서로 소팅한다. 이것을 패턴 A라 정의한다. 다음에, 제2 부째에서, 인쇄 순서는 뒤표지, 앞표지 및 내지의 순서로 설정된다. 이것을 패턴 B라 정의한다. 다음에, 제3 부째에서, 인쇄 데이터를 내지, 뒤표지 및 앞표지의 순서, 다시 말해, 패턴 A로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제4 부째에서, 인쇄 순서를 뒤표지, 앞표지 및 내지의 순서, 다시 말해, 패턴 B로 설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패턴 A와 패턴 B가 교대로 나타나도록 인쇄 순서를 설정한다. 결과적으로, 제1 부째의 뒤표지 및 앞표지와, 제2 부째의 뒤표지 및 앞표지가 연속해서 인쇄되기 때문에, 제1 부째의 인쇄와 제2 부째의 인쇄 사이에 정착기의 온도를 조정할 필요가 없다. 마찬가지로, 제2 부째의 내지가 인쇄되고, 제3 부째의 내지가 연속해서 인쇄되기 때문에, 제2 부째의 인쇄와 제3 부째의 인쇄 사이에 정착기의 온도를 조정할 필요가 없다. 그 후, 동일한 방식으로, 제3 부째의 인쇄와 제4 부째의 인쇄 사이, 제4 부째의 인쇄와 제5 부째의 인쇄 사이 등에 정착기의 온도를 조정할 필요가 없다.
도 16a로 돌아가서, 단계(S1805)에서 정착기의 온도가 조정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806)로 진행되어, 페이지 처리부(705)는 현재의 인쇄 부수가 제1 부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페이지 처리부(705)가, 현재 인쇄된 부수가 제1 부째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808)로 진행되고(도 16b), 인쇄 순서는 패턴 A로 설정된다. 한편, 단계(S1806)에서, 페이지 처리부(705)가, 현재의 인쇄 부수가 제1 부째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807)로 진행되고, 현재의 부에 한 부 선행하는 부가 패턴 A에 따라 소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페이지 처리부(705)가, 현재의 부에 한 부 선행하는 부가 패턴 A에 따라 소팅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809)로 진행되고(도 16b), 인쇄 순서는 패턴 B로 설정된다. 또한, 단계(S1807)에서, 페이지 처리부(705)가, 현재의 부에 한 부 선행하는 부가 패턴 A에 따라 소팅되지 않았다고, 다시 말해, 패턴 B에 따라 소팅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808)로 진행되고(도 16b), 상기 부는 패턴 A에 따라 소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계(S1808) 또는 단계(S1809)가 실행되면, 처리는 단계(S1810)로 진행되어, 잡 송신부(706)는, 단계(S1808) 또는 단계(S1809)에서 행해진 소팅에 의해 얻어진 인쇄 순서로, 그 부를 구성하는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 엔진(608)에 송신해서 인쇄 데이터가 인쇄된다. 다음에, 처리는 단계(S1811)로 진행되고, CPU(601)는, 링 제본 장치(103)를 제어하여 단계(S1810)에서 인쇄된 시트의 링 제본을 행한다. 다음에, 처리는 단계(S1812)로 진행되어, 페이지 처리부(705)는, 인쇄되어서 링 제본된 부가 최종 부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렇다면 처리를 종료하지만, 그렇지 않을 때에는 처리는 단계(S1806)에 복귀하고(도 16a), 전술한 페이지 처리부(705)에 의한 전술한 처리가 반복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링 제본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패턴 A에서는, 먼저 내지(1002)를 인쇄하고, 그 후에 뒤표지(1001) 및 앞표지(1003)를 인쇄하여 링 제본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도 10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앞표지(1003)를 링(201)을 따라 1 회전시켜, 내지(1002)의 앞에 배치시킨다. 이에 따라, 앞표지(1003)의 바로 뒤에 철 위치(202)가 배치되어, 의도된 순서로 소팅된 최종 생성물이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0b는, 패턴 B에 따라 인쇄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뒤표지(1004), 앞표지(1006) 및 내지(1005)를 이 순서로 인쇄하여 링 제본을 행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뒤표지(1004)를 링(201)을 따라 1 회전시켜, 내지(1005)의 뒤에 배치시킨다. 이에 따라, 뒤표지(1004)의 바로 앞에 철 위치(202)가 배치되어, 의도된 순서로 소팅된 최종 생성물이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전술된 실시예의 링 제본 잡의 공정(도 18a)과, 제4 실시예에 따른 링 제본 잡의 공정(도 18b)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a에 도시되는 링 제본 잡에서는, 정착기의 온도는 각 부가 인쇄될 때마다 2회 조정된다.
이에 반해, 도 18b에 도시되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연속하는 부의 인쇄에 있어서 표지 또는 내지가 연속해서 인쇄되기 때문에, 정착기의 온도는 각 부의 인쇄마다 1회만 조정되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링 제본 잡에 있어서, 정착기의 온도 조정의 횟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제5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0) 및 링 제본 장치(103)의 구성은 각각, 제1 실시예의 인쇄 장치(100) 및 링 제본 장치(103)의 구성과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상술된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부째의 인쇄 시, 내지가 먼저 인쇄되고, 그 다음에 앞표지 및 뒤표지를 인쇄하도록,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라 인쇄를 실행하였다. 그러나, 앞선 잡과 제1 부째의 내지의 인쇄와의 사이에서 정착기의 온도 조정이 필요할 경우에는, 제1 부째의 인쇄를 시작하기 전에 정착기의 온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5 실시예는, 정착기의 온도 설정이 이전 잡과 같은 정착기의 온도 설정이 되도록, 제1 부째의 인쇄 순서를 변경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0)의 컨트롤러(130)에 의한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상기한 바와 같이 RAM(603)에 전개되어 있고, CPU(601)가 이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이 흐름도에서 제시하는 처리가 실행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도 19a 및 도 19b에 있어서, 상술된 제4 실시예에 따른 도 16a 및 도 16b의 흐름도와 동일한 처리 단계는 동일한 기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S1805)에서 정착기의 온도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806)로 진행되어, 페이지 처리부(705)는 현재의 인쇄 부수가 제1 부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페이지 처리부(705)가, 현재의 인쇄 부수가 제1 부째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2201)로 진행되고, 현재의 정착기의 온도가 두꺼운 종이에 적절한 온도, 다시 말해, 통상보다도 고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2201)에서, 현재의 정착기의 온도가 두꺼운 종이에 정착하기 위한 온도라고 판단하면, 처리는 단계(S1809)로 진행되고(도 19b), 인쇄 순서는 뒤표지, 앞표지 및 내지의 순서로 설정, 다시 말해 페이지는 패턴 B에 따라 소팅된다. 한편, 단계(S2201)에서, 페이지 처리부(705)가, 현재의 정착기의 온도가 두꺼운 종이용의 정착 온도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처리는 단계(S1808)로 진행되고(도 19b), 인쇄 순서는 내지, 뒤표지 및 앞표지의 순서로 설정, 다시 말해 페이지는 패턴 A에 따라 소팅된다.
이상과 같이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이전 잡의 종료 시의 정착기의 온도 설정과, 제1 부째에서 최초로 인쇄하는 용지에 대한 온도 설정이 상이한 경우에서도, 정착기의 온도 조정을 행하지 않고 제1 부째의 인쇄를 시작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6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제6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 및 링 제본 장치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인쇄 장치(100) 및 링 제본 장치(103)의 구성과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상술된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부째의 인쇄 시, 내지가 먼저 인쇄되고, 다음에 뒤표지 및 앞표지가 인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착기의 온도 조정에 있어서, 정착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온도 조정은, 비교적 단시간에 행할 수 있지만, 정착기의 온도를 내리는 온도 조정은 자연 방열을 기다려야만 되고, 이는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시간의 차이는, 인쇄 장치가 놓여 있는 환경에 의존하지만, 정착기의 온도를 내리는 경우에는 정착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보다도 최대로 5배 정도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제6 실시예는, 정착기의 온도를 내리기 위한 온도 조정의 횟수를 감소시켜서, 인쇄 잡 전체의 소요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0)의 CPU(601)에 의한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상기한 바와 같이 RAM(603)에 전개되어 있고, CPU(601)가 이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이 흐름도에서 제시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도 20a 및 도 20b에 있어서, 전술한 제4 실시예에 따른 도 16a 및 도 16b의 흐름도와 공통되는 처리 단계는 동일한 기호를 첨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S1805)에서 정착기의 온도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806)로 진행되어, 페이지 처리부(705)는 현재의 인쇄 부수가 제1 부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페이지 처리부(705)가, 현재의 인쇄 부수가 제1 부째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2301)로 진행되고, 인쇄 잡에서 인쇄되는 인쇄 부수의 합계가 홀수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페이지 처리부(705)가, 인쇄 잡의 총 부수가 홀수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808)로 진행한다(도 20b). 한편, 페이지 처리부(705)가, 인쇄 잡의 총 부수가 홀수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2302)로 진행하여(도 20b), 패턴 A에 있어서의 정착기의 온도 조정 시간이, 패턴 B에 있어서의 정착기의 온도 조정 시간보다도 짧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페이지 처리부(705)가, 패턴 A에 있어서의 정착기의 온도 조정 시간이 짧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808)로 진행되고, 인쇄 순서는, 내지, 뒤표지 및 앞표지의 순서로 설정, 다시 말해 페이지가 패턴 A에 따라 소팅된다. 한편, 단계(S2302)에서, 페이지 처리부(705)가, 패턴 B에 있어서의 정착기의 온도 조정 시간이 짧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809)로 진행되고, 인쇄 순서는 뒤표지, 앞표지 및 내지의 순서로 설정, 다시 말해 페이지는 패턴 B에 따라 소팅된다.
통상은, 패턴 A쪽이 온도 조정 시간이 짧다고 예상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가 지극히 낮은 온도 환경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패턴 B쪽이 온도 조정 시간이 짧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단계(S2302)의 판정 처리를 행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인쇄 잡의 총 부수가 홀수인 경우에, 보다 긴 시간을 요하는 정착기의 온도 조정의 횟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 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착기의 온도 조정을 행할 필요가 없을 때는, 내지, 뒤표지 및 앞표지의 순서로 인쇄하는 패턴 A를 채용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뒤표지, 앞표지 및 내지의 순서로 인쇄하는 패턴 B를 채용해도 좋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 소자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와 같은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 소자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실행시키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메모리 소자(예를 들어,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인 각종 기록 매체로부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주는 이러한 변형 및 등가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인쇄 장치이며,
    앞표지용 화상 데이터, 본문용 화상 데이터 및 뒤표지용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잡(job)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잡이, 인쇄된 시트를 링을 사용하여 제본하도록 지정된 경우에, 상기 수신된 잡의 화상 데이터의 인쇄 순서를, 상기 본문용 화상 데이터, 상기 앞표지용 화상 데이터 및 상기 뒤표지용 화상 데이터로, 또는 상기 뒤표지용 화상 데이터, 상기 앞표지용 화상 데이터 및 상기 본문용 화상 데이터로 배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배열된 인쇄 순서로 상기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수단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잡이, 인쇄된 시트를 링을 사용하여 제본하도록 지정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인쇄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배열되지 않은 인쇄 순서로 상기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잡이, 인쇄된 시트를 스테이플링(stapling)하도록 지정된 경우에, 상기 인쇄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배열되지 않은 인쇄 순서로 상기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장치.
  4. 정보 처리 장치이며,
    앞표지용 화상 데이터, 본문용 화상 데이터 및 뒤표지용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잡의 실행 지시를 접수하고, 인쇄된 시트를 링을 사용하여 제본하는 지시 수단과,
    상기 지시 수단에 의해 상기 지시가 접수된 경우, 상기 화상 데이터의 인쇄 순서가 본문용 화상 데이터, 앞표지용 화상 데이터 및 뒤표지용 화상 데이터, 또는 뒤표지용 화상 데이터, 앞표지용 화상 데이터 및 본문용 화상 데이터로 배열되는 잡을 생성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의 인쇄 순서가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배열되는 잡을 인쇄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이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배열이 이미 행해졌음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인쇄 장치로 송신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기록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 장치이며,
    상기 기록 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상기 기록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를 링을 사용하여 제본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링 제본 판정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정착 수단의 온도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링 제본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가 링을 사용하여 제본되는 것으로 판정되고,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정착 수단의 온도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인쇄될 복수 부(copy) 중 한 부의 인쇄가, 복수 부 중 상기 한 부에 앞선 부의 최종 인쇄에 사용된 기록 매체와 동일한 종류의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인쇄로부터 개시되도록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수단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부 중 적어도 한 부에 대해서, 상기 인쇄 수단은, 상기 정착 수단의 온도 설정이 낮은 기록 매체 상의 인쇄 후에, 상기 정착 수단의 온도 설정이 높은 기록 매체 상에 인쇄하는 인쇄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부 중 적어도 한 부에 대해서, 상기 인쇄 수단은, 상기 정착 수단의 온도 설정이 높은 기록 매체 상의 인쇄 후에, 상기 정착 수단의 온도 설정이 낮은 기록 매체 상에 인쇄하는 인쇄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수단은, 제2 인쇄 잡에서 인쇄될 복수 부 중 제1 부째의 인쇄가 상기 제2 인쇄 잡에 앞선 제1 인쇄 잡의 최종 인쇄에 사용된 기록 매체와 동일한 종류의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인쇄로부터 개시되도록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각 부마다, 상기 인쇄 수단은, 상기 정착 수단의 온도 설정이 낮은 기록 매체 상의 인쇄 후에 상기 정착 수단의 온도 설정이 높은 기록 매체 상에의 인쇄와, 상기 정착 수단의 온도 설정이 높은 기록 매체 상의 인쇄 후에 상기 정착 수단의 온도 설정이 낮은 기록 매체 상에의 인쇄를 번갈아 행하는 인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부가 홀수 부인 경우에, 상기 복수 부의 제1 부째가 인쇄되는 순서를, 상기 정착 수단의 온도 설정이 낮은 기록 매체 상의 인쇄 후에 상기 정착 수단의 온도 설정이 높은 기록 매체 상에의 인쇄와, 상기 정착 수단의 온도 설정이 높은 기록 매체 상의 인쇄 후에 상기 정착 수단의 온도 설정이 낮은 기록 매체 상에의 인쇄 중에서, 짧은 시간이 걸리는 순서로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인쇄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를 링을 사용하여 제본하는 제본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는 내지, 뒤표지 및 앞표지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
  13. 기록 매체 상에 전사되고 정착기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에 정착되는 화상을 상기 기록 매체에 인쇄하는 인쇄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이며,
    상기 기록 매체를 링을 사용하여 제본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정착기의 온도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가 링을 사용하여 제본되는 것으로 판정되고, 상기 정착기의 온도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인쇄될 복수 부 중 한 부의 인쇄가, 복수 부 중 상기 한 부에 앞선 부의 최종 인쇄에 사용된 기록 매체와 동일한 종류의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인쇄로부터 개시되도록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10091742A 2010-09-21 2011-09-09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KR101438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11403 2010-09-21
JP2010211403 2010-09-21
JP2011153272A JP5791402B2 (ja) 2010-09-21 2011-07-11 印刷装置、情報処理装置、印刷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1-153272 2011-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504A true KR20120088504A (ko) 2012-08-08
KR101438872B1 KR101438872B1 (ko) 2014-09-05

Family

ID=4581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742A KR101438872B1 (ko) 2010-09-21 2011-09-09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20413B2 (ko)
JP (1) JP5791402B2 (ko)
KR (1) KR101438872B1 (ko)
CN (1) CN1024112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5442B2 (en) 2008-11-11 2017-10-24 Shifamed Holdings, Llc Ablation catheters
JP5614424B2 (ja) * 2012-04-02 2014-10-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226519B2 (ja) * 2012-11-13 2017-11-0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098694B2 (en) 2013-04-08 2018-10-16 Apama Medical, Inc. Tissue ablation and monitoring thereof
US10349824B2 (en) 2013-04-08 2019-07-16 Apama Medical, Inc. Tissue mapping and visualization systems
JP6376806B2 (ja) 2014-04-02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458925B2 (ja) * 2014-09-11 2019-0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8535739A (ja) 2015-11-16 2018-12-06 アパマ・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エネルギー送達デバイス
JP2019185568A (ja) * 2018-04-13 2019-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161685A (ja) * 2021-04-09 2022-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20230244429A1 (en) * 2022-01-31 2023-08-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output apparatus, image output method,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3499B2 (ja) * 2001-07-31 2011-08-24 ホリゾ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コイル綴じ製本用表紙及びその表紙付コイル綴じ冊子
JP4584627B2 (ja) * 2004-05-28 2010-11-24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処理システム
JP2007031067A (ja) * 2005-07-26 2007-02-08 Max Co Ltd 用紙処理装置
JP4659581B2 (ja) * 2005-10-07 2011-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09063818A (ja) * 2007-09-06 2009-03-26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5473237B2 (ja) 2008-03-10 2014-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223405A (ja) 2008-03-13 2009-10-0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5369698B2 (ja) * 2008-04-04 2013-12-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システム
JP5091752B2 (ja) * 2008-04-18 2012-12-0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パンチ穴検出装置
JP2010143646A (ja) 2008-12-16 2010-07-0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及び後処理制御方法並びに後処理制御プログラム
JP5223652B2 (ja) * 2008-12-18 2013-06-26 株式会社リコー 製本システム及び差し替え製本方法
JP5614149B2 (ja) 2010-07-29 2014-10-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11293A (zh) 2012-04-11
CN102411293B (zh) 2015-09-16
KR101438872B1 (ko) 2014-09-05
JP5791402B2 (ja) 2015-10-07
US9020413B2 (en) 2015-04-28
US20120069367A1 (en) 2012-03-22
JP2012086552A (ja)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8504A (ko)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US692482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program
US8228544B2 (en) Job controlling apparatus, job controll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7245845B2 (en) Print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JP5047221B2 (ja)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830249A2 (en) Print system, job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JP4868814B2 (ja) 印刷装置、印刷方法、及び、印刷プログラム
JP6270164B2 (ja) 印刷設定制御プログラム及び印刷設定制御方法
JP5904888B2 (ja)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28337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72484B2 (ja) 製本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921074B2 (ja)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599429B2 (en) Control progra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3056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5538755B2 (ja)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61515B2 (ja) シート処理装置、シート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26835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677071B2 (ja) シート処理装置、シート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063867A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3619038B2 (ja) 印刷ジョブ生成装置、方法、記憶媒体
US20150262049A1 (en) Image output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250288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4578359B2 (ja) 印刷システム
JP2021000731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187279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