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816A - 수용물 취출 장치 - Google Patents
수용물 취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87816A KR20120087816A KR1020120002723A KR20120002723A KR20120087816A KR 20120087816 A KR20120087816 A KR 20120087816A KR 1020120002723 A KR1020120002723 A KR 1020120002723A KR 20120002723 A KR20120002723 A KR 20120002723A KR 20120087816 A KR20120087816 A KR 201200878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n
- type
- passage
- holding
- coi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2—Testing the dimensions, e.g. thickness, diameter; Testing the deformation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6—Devices for stacking or otherwise arranging coins on a support, e.g. apertured plate for use in counting coi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4—Coin chutes
- G07F1/041—Coin chutes with means, other than for testing currency, for dealing with inserted foreign matter, e.g. "stuffing", "stringing" or "salting"
- G07F1/042—Coin chutes with means, other than for testing currency, for dealing with inserted foreign matter, e.g. "stuffing", "stringing" or "salting" the foreign matter being a long flexible member attached to a coin
- G07F1/044—Automatic detection of the flexible member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4—Coin chutes
- G07F1/047—Coin chutes with means for temporarily storing coi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2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specially adapted for registering coins as credit, e.g. mechanically actuated
- G07F5/22—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specially adapted for registering coins as credit, e.g. mechanically actuated electrically actu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가격 설정의 자유도를 늘릴 수 있는 수용물 취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종류의 코인과 당해 제1 종류의 코인보다도 직경이 큰 제2 종류의 코인을 각각 소정 매수 보유 지지 가능한 코인 보유 지지부(60)와, 조작부(40)의 조작의 초기 조작에 따라서, 코인 보유 지지부(60)에 제1 종류의 코인과 제2 종류의 코인이 각각 소정 매수 보유 지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코인 검출 장치(70)로 이루어지고, 코인 검출 장치(70)는 코인 보유 지지부(60)에 있어서 제1 종류의 코인 또는 제2 종류의 코인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소정 매수 보유 지지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했을 때, 조작부(40)의 초기 조작 이후의 조작을 저지하고, 소정 매수 보유 지지되어 있는 것을 검출했을 때, 초기 조작 이후의 조작을 허용한다. 2종류의 코인(C)을 사용하여 수용물(A)을 구입할 수 있으므로, 가격 설정의 자유도를 늘릴 수 있다.
제1 종류의 코인과 당해 제1 종류의 코인보다도 직경이 큰 제2 종류의 코인을 각각 소정 매수 보유 지지 가능한 코인 보유 지지부(60)와, 조작부(40)의 조작의 초기 조작에 따라서, 코인 보유 지지부(60)에 제1 종류의 코인과 제2 종류의 코인이 각각 소정 매수 보유 지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코인 검출 장치(70)로 이루어지고, 코인 검출 장치(70)는 코인 보유 지지부(60)에 있어서 제1 종류의 코인 또는 제2 종류의 코인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소정 매수 보유 지지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했을 때, 조작부(40)의 초기 조작 이후의 조작을 저지하고, 소정 매수 보유 지지되어 있는 것을 검출했을 때, 초기 조작 이후의 조작을 허용한다. 2종류의 코인(C)을 사용하여 수용물(A)을 구입할 수 있으므로, 가격 설정의 자유도를 늘릴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인을 소정 매수 삽입하고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수용되어 있는, 예를 들어 완구 등의 수용물이 취출되는 수용물 취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투명 캡슐 등의 용기에 수용된 완구 등의 물품을 판매하는 물품 취출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물품 취출 장치에서는, 물품 취출 장치에 수용되어 있는 경화 수용 장치에 코인을 삽입하고 조작 핸들을 조작하여, 수용되어 있는 완구 등의 물품을 취출한다.
조작 핸들은 경화 수용 장치와 연동되어 있고, 삽입된 코인을 일단 보유 지지하고, 소정 매수의 코인이 보유 지지되면 조작 핸들이 조작 가능하게 되어 물품을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삽입된 코인이, 소정 매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작 핸들을 조작할 수 없도록 되어 있어, 물품을 취출할 수 없게 되어 있다.
그때, 에너지 절약의 관점 및 고장이 적기 때문에, 코인의 선별 및 물품의 취출을 전기적으로 행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적으로 선별 및 물품의 취출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물품 취출 장치에 있어서는, 대상이 되는 코인의 금종은 1종류이므로, 물품의 가격 설정의 자유도가 낮다. 또한, 소비세를 고려한 가격 설정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가격 설정의 자유도가 늘어난 수용물 취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용물 취출 장치는 제1 종류의 코인과 당해 제1 종류의 코인보다도 직경이 큰 제2 종류의 코인을 각각 소정 매수 삽입하여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수용물 수용부로부터 수용물이 취출되는 수용물 취출 장치이며, 상기 제1 종류의 코인과 상기 제2 종류의 코인을 각각 소정 매수 보유 지지 가능한 코인 보유 지지부와, 상기 조작부의 초기 조작에 따라서, 상기 코인 보유 지지부에 제1 종류의 코인과 제2 종류의 코인이 각각 소정 매수 보유 지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코인 검출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인 검출 장치는 상기 코인 보유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류의 코인 또는 상기 제2 종류의 코인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소정 매수 보유 지지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조작부의 초기 조작 이후의 조작을 저지하고, 또한 상기 코인 보유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류의 코인 또는 상기 제2 종류의 코인의 양쪽이 소정 매수 보유 지지되어 있는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조작부의 초기 조작 이후의 조작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용물 취출 장치는 삽입된 코인을 제1 종류의 코인과 제2 종류의 코인으로 선별 가능한 코인 선별부를 갖고, 당해 코인 선별부는 중력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된 코인 삽입구와, 코인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코인이 통과하는 코인 통로와, 상기 코인 통로에 설치되고, 코인 삽입구에 삽입되어 중력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 상태에서 상기 코인 통로를 통과 중인 제1 종류의 코인에 대해서는, 경사 상태 그대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고, 코인 삽입구로부터 삽입되어 중력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 상태에서 상기 코인 통로를 통과 중인 제2 종류의 코인에 대해서는, 그 상부와 접촉함으로써, 제2 종류의 코인의 자세를 경사 상태로부터 중력 방향과 평행이 되는 평행 상태를 향해 변경하는 코인 자세 변경부와, 상기 코인 자세 변경부를 경사 상태 그대로 통과한 제1 종류의 코인이 진입하는 제1 코인 통로와, 상기 코인 자세 변경부에 의해 자세가 변경된 제2 종류의 코인이 진입하는 제2 코인 통로를 갖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용물 취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코인 보유 지지부는 상기 제1 코인 통로를 통과한 제1 종류의 코인을 보유 지지하는 제1 코인 보유 지지부와, 상기 제2 코인 통로를 통과한 제2 종류의 코인을 보유 지지하는 제2 코인 보유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제1 코인 보유 지지부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제1 종류의 코인과 접촉하여 지지하고, 상기 제2 코인 보유 지지부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제2 종류의 코인과 접촉하여 지지하고 있고, 또한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의 초기 조작 이후의 조작에 따라서, 초기 위치에 있는 제1 코인 보유 지지부, 제2 코인 보유 지지부를 퇴피 위치로 대략 동시에 이동시키고, 제1 코인 보유 지지부, 제2 코인 보유 지지부 각각에 있어서의 코인의 지지를 대략 동시에 해제하는 해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수용물 취출 장치에 따르면, 가격 설정의 자유도가 늘어난 수용물 취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의 수용물 취출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 방향으로부터 본 투시도.
도 3은 수용물 취출 장치의 내부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4는 코인 선별부 등을 내장하는 유닛의 전체 사시도.
도 5는 코인 선별부의 일부의 정면도.
도 6은 코인 선별부의 일부를 배면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7은 코인 보유 지지부 및 코인 검출 장치의 사시도.
도 8의 (A)는 코인 지지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8의 (B)는 측면도이고, 도 8의 (C)는 바닥면도.
도 9의 (A)는 제2 코인 보유 지지부의 평면도이고, 도 9의 (B)는 베이스부의 평면도이고, 도 9의 (C)는 제1 코인 보유 지지부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Ⅱ 방향으로부터 본 투시도.
도 3은 수용물 취출 장치의 내부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4는 코인 선별부 등을 내장하는 유닛의 전체 사시도.
도 5는 코인 선별부의 일부의 정면도.
도 6은 코인 선별부의 일부를 배면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7은 코인 보유 지지부 및 코인 검출 장치의 사시도.
도 8의 (A)는 코인 지지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8의 (B)는 측면도이고, 도 8의 (C)는 바닥면도.
도 9의 (A)는 제2 코인 보유 지지부의 평면도이고, 도 9의 (B)는 베이스부의 평면도이고, 도 9의 (C)는 제1 코인 보유 지지부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의 수용물 취출 장치(10)는 상자형의 하우징(11)을 갖고 있고, 하우징(11)의 상부에는, 예를 들어 완구 등을 캡슐 등의 용기에 포장한 수용물(A)을 수용하는 수용물 수용부인 수납 케이스(12)가 설치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12)의 바닥면은 후방부를 향해 경사져 있고, 바닥면의 후방부의 중간벽(13)에는 수용물(A)이 낙하 가능한 취출 구멍(131)이 1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용물(A)을, 완구 등을 캡슐 등의 용기에 포장한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와의 관계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수용물 취출 장치에 수용 가능하고, 또한 취출 가능한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따라서, 수용물에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고정 형상의 것도 포함되고, 부정형의 기체, 액체라도 좋다. 또한, 수용물은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취출되는 것이라도 좋지만, 자중에 의한 낙하가 아니라, 어떤 수단에 의해 수용물 취출 장치 밖으로 송출됨으로써 취출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납 케이스(12)의 바닥벽을 구성하는 중간벽(13)에는 구입자가 수납 케이스(12)로부터 수용물(A)을 취출하는 수용물 취출 기구로서의 회전대(14)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대(14)에는 수용물(A)이 통과 가능한 절결부(141)가 복수 형성되어 있고, 절결부(141)는 수납 케이스(12)의 중간벽(13)에 형성되어 있는 취출 구멍(131)에 대응하는 위치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12)의 하측의 내부 공간에는 삽입된 코인을 보유 지지하는 코인 보유 지지부, 소정 매수의 코인이 보유 지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코인 검출 장치(70)가 내장된 유닛(20) 및 수용물 취출 시에 조작되는 조작부(40)를 갖지만, 상세는 후술한다.
또한, 수납 케이스(12)의 하방 전방면에는 하우징(11)의 전방면 개구를 덮는 전방벽(111)이,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방벽(111)으로부터는, 코인(C)을 삽입하기 위한 코인 삽입구(22)와, 수납 케이스(12)로부터 취출된 수용물(A)이 배출되는 수용물 취출구(15)가 노출되어 있고, 또한 반환되는 코인이 배출되는 코인 수용 접시(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방벽(111)에는 수용물(A)을 수납 케이스(12)로부터 취출하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부(40)를 구성하는 회전 핸들(41)이 전방벽(111)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전방벽(1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회전 핸들(41)은 상세를 후술하지만, 초기 상태로부터 약간 회전시키는 것(초기 조작)은 코인의 삽입의 유무에 관계없이 가능하지만, 초기 조작 이후의 조작은, 소정의 코인이 소정 매수 코인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것이 코인 검출 장치(70)에 있어서 검출된 경우에만 가능해진다. 또한, 전방벽(111)으로부터는, 삽입한 코인을 반환시키기 위한 반환 레버(17)가 돌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40)에 있어서는, 전방벽(111)의 전방면에 노출되어 있는 회전 핸들(41)의 회전 중심축에 기어 연동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주축체(42)의 일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주축체(42)는 하우징(11)의 후방벽(112)과 전방벽(111)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에 의해 양쪽 지지되는 동시에, 타단부에 평기어(43)를 고정하고 있다. 이 평기어(43)의 상방에는 이 평기어(43)와 맞물리는 피니언(44)이 후방벽(112)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피니언(44)의 상방에는, 이 피니언(44)과 맞물리는 평기어(45)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 평기어(45)에는, 서로 중심축이 동일해지는 기어부(45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납 케이스(12)의 바닥벽을 구성하는 중간벽(13) 상에는 회전대(1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회전대(14)의 바닥면에는 톱니형(142)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톱니형(142)에 대해 기어부(45A)가 맞물려 있다.
따라서, 회전 핸들(41)을 수동으로 화살표 T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주축체(42)를 통해 회전력이 평기어(43)로 전달되고, 이것에 맞물려 있는 피니언(44) 및 기어(45)를 통해 화살표 T2 방향의 회전력이 회전대(14)로 전달된다.
그리고, 회전 핸들(41)의 조작을 계속함으로써 회전대(14)가 소정 각도 회전하고, 회전대(14)의 절결부(141) 중 하나가 수납 케이스(12)의 중간벽(13)의 취출 구멍(131)과 일치하면, 수납 케이스(12) 내에 수납된 수용물(A) 중 하나가, 회전대(14)의 절결부(141)를 통해 취출 구멍(131)으로부터 떨어져, 수용물 취출구(15)로 보내진다.
또한, 후방벽(112)에 회전 축지지되어 있는 평기어(43)의 경사 하방에는 이 평기어(43)와 맞물리는 평기어(46)가 하우징(11)의 후방벽(112)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 평기어(46)의 하방에는, 이 평기어(46)와 맞물리는 피니언(47)이 일단부에 설치된 중간축(48)이, 전방벽(111)과 후방벽(112)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중간축(48)의 대략 중앙부에는 베벨 기어(49)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입자가 회전 핸들(41)을 회전시키면, 주축체(42)가 회전하여 평기어(43)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한쪽에서는 피니언(44) 및 평기어(45) 및 기어부(45A)를 통해 회전대(14)를 회전시킨다. 또한, 다른 쪽에서는 평기어(43)의 회전에 의해, 평기어(46) 및 피니언(47)을 통해 중간축(48)을 회전시키고, 베벨 기어(49)를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벨 기어(49)의 회전을 저지하면, 회전 핸들(41) 및 회전대(14)의 회전도 저지되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축(48)의 하방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단 중간벽(51)이 설치되어 있고, 하단 중간벽(51) 상에는 단면 コ자 형상의 착탈 부재(5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착탈 부재(52)는 상세를 후술하는 코인 검출 장치(70) 및 코인 보유 지지부(60)를 내장하는 유닛(20)이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는 것이고, 유닛(20)의 코인 보유 지지부(60)로부터 낙하하는 코인(C)이, 하단 중간벽(51)에 형성된 긴 구멍(도시 생략)을 통해 하방의 코인 저장부(53) 내로 낙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수용물 취출 장치(10)의 구조는, 수용물(A)을, 완구 등을 포장한 캡슐 등의 용기로 한 경우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을 전혀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할 때에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해서는, 수용물(A)에 따라서 적절한 구조를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또한, 수용물 취출 장치(10)에 있어서는, 제1 종류의 코인과 당해 제1 종류의 코인보다도 직경이 큰 제2 종류의 코인을 각각 소정 매수 삽입한 후, 조작부(40)[회전 핸들(41)]를 조작하면, 물품 수용부인 수납 케이스(12)로부터 수용물(A)이 취출되는 것이고, 코인은 하우징(11)의 전방벽(111)으로부터 노출된 코인 삽입구(22)로부터 삽입된다. 코인 삽입구(22)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코인 선별부(21)를 구성하지만,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코인 삽입구(22)로부터 삽입된 제1 종류, 제2 종류의 코인(C)은 각각 제1 코인 통로(27), 제2 코인 통로(28)를 통과하여, 하우징(11)의 하측의 내부 공간에 있는 유닛(20) 내의 코인 보유 지지부(60)에서 일단 보유 지지된다. 또한, 제1 코인 통로(27), 제2 코인 통로(28)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코인 선별부(21)를 구성하지만,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서 코인 보유 지지부(6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코인 보유 지지부(60)는 폭 방향 중앙에 코인(C)의 하부와 접촉하여 지지하는 코인 지지 부재(61)를 갖고, 코인 지지 부재(61)의 좌우에는 제1 코인 가이드부(62R), 제2 코인 가이드부(62L)가 설치되어 있다. 코인 지지 부재(61) 및 코인 가이드부(62L, 62R)는 하우징(11)의 전방면을 향해 경사져 있고, 선단은 코인 수용 접시(16)에 접속된다.
또한, 제1, 제2 코인 가이드부(62R, 62L)를 총칭할 때에는, 「코인 가이드부(62)」라고 기록하고, 구별하는 경우에는 「제1 코인 가이드부(62R)」, 「제2 코인 가이드부(62L)」라고 기재하는 것으로 한다.
제1 코인 가이드부(62R)는 제1 코인 통로(27)를 통과해 온 제1 종류의 코인(예를 들어, 100엔 경화)의 주면과 접촉하여 지지 가능하다. 또한, 제2 코인 가이드부(62L)는 제2 코인 통로(28)를 통과해 온, 제1 종류의 코인보다도 직경이 큰 제2 종류의 코인(예를 들어, 100엔 경화보다도 직경이 큰 10엔 경화)의 주면과 접촉하여 지지 가능하다. 제1, 제2 코인 가이드부(62R, 62L)는 각각 코인 지지 부재(61)와 함께 제1 종류, 제2 종류의 코인(C)을 코인 보유 지지부(60)에서 보유 지지하여, 낙하를 방지하는 동시에, 코인 보유 지지부(60)가 보유 지지 가능한 제1 종류, 제2 종류의 코인의 매수를 각각 개별로 설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코인 매수의 설정 기능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코인 가이드부(62)에는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스토퍼 설치부(621)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스토퍼 설치부(621)에는 스토퍼(62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토퍼(622)를 어떤 위치의 스토퍼 설치부(621)에 설치할지에 따라서, 코인 보유 지지부(60)가 보유 지지 가능한 제1 종류, 제2 종류의 코인의 매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스토퍼(622)에는 코인 보유 지지부(60) 내에 돌출되는 코인 지지 돌기(6221)가 설치되어 있고, 코인 지지 돌기(6221)는 코인 보유 지지부(60)로 진입해 오고, 코인 지지 부재(61)의 경사를 따라서 코인 보유 지지부(60) 내를 하우징(11)의 전방을 향해 구름 이동하려고 하는 코인(C)의 측부와 접촉하여, 그 위치에서 보유 지지 가능하다. 또한 코인 매수의 설정 기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제1 종류의 코인이 100엔 경화, 제2 종류의 코인이 10엔 경화인 경우에, 수용물(A)의 제공자가, 수용물(A)의 가격을 110엔으로 하는 것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수용물(A)의 제공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622)를,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스토퍼 설치부(621)로부터 1간격분 전방에 위치하는 스토퍼 설치부(621)에 설치하고, 제1 종류, 제2 종류의 코인 각각을 코인 보유 지지부(60)에서 보유 지지 가능한 매수를 1매로 설정하면 된다.
다음에, 코인 선별부(21)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코인 선별부(21)는 코인(C)을 삽입하기 위한 코인 삽입구(22), 코인 삽입구(22)와 연속하는 코인 통로(23), 코인 통로(23)와 연속하는 제1 코인 통로(27), 제2 코인 통로(28)를 갖고 있다.
코인 삽입구(2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력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코인 삽입구(22)에 삽입된 코인(C)은 중력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경사 상태에서, 코인 삽입구(22)의 후방에 연속해서 설치된 코인 통로(23)로 진입한다. 또한, 코인 삽입구(22)의 하방에는 삽입한 코인(C)을 반환시키기 위한 반환 레버(17)가 돌출되는 개구(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부에는 하우징(11)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26)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인 삽입구(22)의 후방[즉,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코인 통로(23)가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코인 통로(23)에는 코인 자세 변경부(24)가 설치되어 있고, 수용물 취출 장치(10)에서 사용되는 2종류의 코인(C) 중 어느 하나의 자세를 변경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수용물 취출 장치(10)에서 제1 종류의 코인과 당해 제1 종류의 코인보다도 직경이 큰 제2 종류의 코인이 사용 가능하다고 한 경우, 통과 중인 제2 종류의 코인의 상부와 접촉함으로써, 제2 종류의 코인의 자세를 중력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 상태로부터 중력 방향과 평행이 되는 평행 상태를 향해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코인 자세 변경부(24)는, 제1 종류의 코인에 대해서는, 그 상부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자세를 변경하는 일 없이, 중력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 상태 그대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코인 통로(23)[즉, 코인 자세 변경부(24)]에 연속되어 있는 제1 코인 통로(27)는 코인 삽입구(22)가 중력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방향의 측(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우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코인 통로(27)는 코인 자세 변경부(24)를 통과한 경사 상태 그대로의 제1 종류의 코인의 진행 방향에 존재하게 되므로, 코인 자세 변경부(24)를 통과한 제1 종류의 코인은, 경사 상태 그대로, 제1 코인 통로(27)에 진입하게 된다. 또한, 제2 코인 통로(28)는 마찬가지로 코인 통로(23)에 연속되어 있지만, 제1 코인 통로(27)와 대향하는 측(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코인 자세 변경부(24)를 통과하여 중력 방향과 평행이 되는 평행 상태를 향해 자세가 변경된 제2 종류의 코인의 진행 방향에 존재하게 되므로, 코인 자세 변경부(24)를 통과한 제2 종류의 코인은 제1 코인 통로(27)가 아니라, 제2 코인 통로(28)에 진입하게 된다. 이상과 같으므로, 코인 선별부(21)는 코인 삽입구(22)로부터 삽입된 코인(C)에 대해, 그 직경의 크기에 따른 코인 자세 변경부(24)에서의 자세 변경의 유무에 기초하여, 제1 코인 통로(27)와 제2 코인 통로(28) 중 어느 하나에 진입시킨다. 즉, 코인 선별부(21)는 코인 삽입구(22)로부터 삽입된 코인(C)에 대해, 그 직경의 크기에 따른 코인 자세 변경부(24)에서의 자세 변경의 유무에 기초하여, 코인(C)을 선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00엔 경화와 같은 소경의 코인(C)을 코인 삽입구(22)에 삽입하면, 기울어진 소경 코인(C)은 기울어진 채로 코인 통로(23)[코인 자세 변경부(24)]를 통과하고, 우측 방향으로 유도되어, 제1 코인 통로(27)로 진입한다.
한편, 10엔 경화와 같은 대경의 코인(C)을 코인 삽입구(22)에 삽입하면, 기울어진 대경 코인(C)의 상부가 코인 통로(23) 상에 설치되어 있는 코인 자세 변경부(24)에 의해 경사와 반대 방향(좌측)으로 안내되고, 반대측으로 기울어져 좌측 방향으로 유도되어, 제2 코인 통로(28)로 진입한다.
또한, 제1 코인 통로(27) 및 제2 코인 통로(28)로부터 코인 보유 지지부(60)까지의 도중에, 투입된 코인(C)이 적절한 코인(C)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코인 셀렉터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인 통로(27)에 설치하는 코인 셀렉터는 코인(C)이 100엔 경화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제2 코인 통로(28)에서는 100엔 경화보다 직경이 큰 10엔 경화인지 여부를 검출한다. 코인(C)이 적절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코인 수용 접시(16)로 반환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인 지지 부재(61)는, 제2 종류의 코인(C)을 보유 지지하는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와, 제1 종류의 코인(C)을 보유 지지하는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를 갖고,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를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베이스부(65)를 갖는다.
베이스부(65)는 하우징(11)의 전방면을 향해 폭이 가늘어지는 가늘고 긴 판형상 부재이고, 상면의 대략 4 코너에 걸림 블록(651)이 설치되어 있다. 걸림 블록(651)에는 좌우 양 외측 및 상방을 향해 개방되는 걸림 오목부(65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는 베이스부(65)에 대응하여, 하우징(11)의 전방면을 향해 폭이 가늘어지는 가늘고 긴 판형상 부재인 보유 지지 부재 본체(631, 641)를 갖고 있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 본체(631, 641)의 후단부(도 8에 있어서 우측 단부)에는 걸림 블록(632) 및 걸림 블록(642)이 설치되어 있다.
걸림 블록(632, 642)은 보유 지지 부재 본체(631, 64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주부(633, 643)와, 지주부(633, 643)의 상단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내측으로 굴곡된 걸림부(634, 644)를 갖는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634, 644)는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서 설치되어 있고,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가 서로 접근해도, 걸림부(634, 644)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어떤 걸림부(634, 644)가 위인지는 임의이다.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의 보유 지지 부재 본체(631, 641)에는 장원 형상의 나사 구멍(635, 645)이 전후 방향으로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의 보유 지지 부재 본체(631)에 있어서는, 나사 구멍(635)은 후방을 향해 좌측 단부측으로 경사져 있고,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의 나사 구멍(645)은 후방을 향해 우측 단부측으로 경사져 있다. 즉, 나사 구멍(635) 및 나사 구멍(645)은 八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양 나사 구멍(635, 645)에는 나사(66)가 삽입 관통되어 있고, 나사(66)는 베이스부(65)의 하면에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를, 베이스부(65)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나사(66)가 나사 구멍(635, 645)의 전단부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코인 지지 부재(61)의 전체 폭이 커진다. 상시는, 가압 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가 확장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이 상태가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이고, 이때에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가 코인(C)을 보유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를, 베이스부(65)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나사(66)가 나사 구멍(635, 645)의 후단부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코인 지지 부재(61)의 전체 폭이 작아진다. 즉,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는 퇴피 위치로 대략 동시에 이동한다. 그러면,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 각각에 있어서의 코인(C)의 지지도 대략 동시에 해제되어, 보유 지지되어 있던 코인(C)은 자중에 의해 낙하하게 된다.
다음에, 코인 검출 장치(7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인 보유 지지부(60)의 후방(도 7에 있어서 좌측)에는 코인 검출 장치(70)가 설치되어 있다. 코인 검출 장치(70)는 제1 종류 및 제2 종류의 코인(C)이, 각각 소정 매수 코인 보유 지지부(60)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보유 지지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만 회전 핸들(41)의 회전을 허용하여 수용물(A)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코인 보유 지지부(60)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코인(C)을 코인 저장부(53)로 낙하시켜 수용하는 것이다.
제1 코인 통로(27) 및 제2 코인 통로(28)의 하방 위치에는 각각 대략 삼각 형상의 요동 부재(71R, 71L)가 요동 가능하고, 또한 상시, 도 7 중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도 7에 도시하는 위치에 있다.
또한, 좌우의 요동 부재를 총칭할 때에는, 「요동 부재(71)」라고 기재하고, 좌우를 구별하는 경우에는 「요동 부재(71L)」, 「요동 부재(71R)」라고 기재하는 것으로 한다.
요동 부재(71)는 코인(C)이 투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정상부(711)가 대략 위를 향하고 경사면(712)이 전방 상방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코인 통로(27) 및 제2 코인 통로(28)로부터 낙하해 온 코인(C)은 각각 요동 부재(71)의 경사면(712)에 접촉하여 코인 지지 부재(61) 상에 보유 지지된다. 이때, 투입된 코인(C)의 매수가, 소정의 매수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코인 지지 부재(61) 상을 구름 이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고, 코인 가이드부(62)에 설정되어 있는 스토퍼(622)에 접촉하여 정지하고, 코인 지지 부재(61) 상에 보유 지지된다.
소정 매수의 코인(C)이 투입되면, 최후의 코인(C)은 요동 부재(71)를 도 7 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정지한다.
요동 부재(71L, 71R)와 동일한 연직면 내에 각각 출몰 부재(72L, 72R)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출몰 부재(72R)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좌우의 출몰 부재를 총칭할 때에는, 「출몰 부재(72)」라고 기재하고, 좌우를 구별하는 경우에는 「출몰 부재(72L)」, 「출몰 부재(72R)」라고 기재하는 것으로 한다.
좌우의 출몰 부재(72L, 72R)는 회전축(도시 생략)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회전축 주위에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좌우의 출몰 부재(72L, 72R)는 각각 개별로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위치와, 회전 중심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몰입한 몰입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해 몰입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즉, 좌우의 출몰 부재(72L, 72R)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돌출 위치에 있다. 또한, 이 회전축에는 베벨 기어(49)와 맞물리는 베벨 기어(75)(도 2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핸들(41)의 회전에 수반하여, 베벨 기어(49)가 회전하려고 하면, 베벨 기어(75)도 회전하려고 하므로, 출몰 부재(72)도 회전하려고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우의 출몰 부재(72L, 72R)와 요동 부재(71L, 71R)는 동일한 연직면 내에 있으므로, 출몰 부재(72)가 회전함으로써, 좌우의 출몰 부재(72L, 72R)와 요동 부재(71L, 71R)는 접촉하게 된다. 이때, 코인 보유 지지부(60)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제1 종류의 코인(C) 또는 제2 종류의 코인(C) 중 적어도 한쪽이 소정의 매수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요동 부재(71L, 71R)의 적어도 한쪽은 돌출 위치에 있는 출몰 부재(72)와 접촉함으로써, 전방(도 7에서 말하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출몰 부재(72)가 더욱 회전하면, 출몰 부재(72)는 돌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요동 부재(71)의 위치를 통과하고, 그 하방에 있는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와 접촉하여, 회전이 저지된다. 또한, 출몰 부재(72)가 회전하여 요동 부재(71)의 위치를 통과할 때까지의 회전 핸들(41)의 조작이 초기 조작에 있어서, 코인 보유 지지부(60)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코인(C)의 매수에 관계없이 행할 수 있는 동작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인 보유 지지부(60)에 소정 매수의 코인(C)이 보유 지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출몰 부재(72)의 회전이 저지되므로, 회전 핸들(41)도 초기 조작 이후의 조작이 저지된다. 또한, 따라서, 출몰 부재(72)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베벨 기어(75) 및 베벨 기어(49)도 회전이 저지되고, 회전 핸들(41)을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회전대(14)가 회전하지 않고, 수용물(A)을 취출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코인 보유 지지부(60)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제1 종류의 코인 및 제2 종류의 코인 모두가 소정 매수에 도달한 상태에 있어서, 회전 핸들(41)을 회전시킨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회전 핸들(41)이 회전하면, 출몰 부재(72)도 회전하고, 좌우의 출몰 부재(72L, 72R)와 요동 부재(71L, 71R)가 접촉한다. 그러나, 요동 부재(71L, 71R)는 전방(도 7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코인 보유 지지부(60)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코인(C)의 존재에 의해 회전 불능으로 되어 있다. 그러면, 반대로 출몰 부재(72)가 요동 부재(71)에 의해 압박되게 되고, 가압 부재에 의한 가압에 저항하여 몰입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이 상태 그대로, 출몰 부재(72)가 더욱 회전하여 요동 부재(71)의 위치를 통과해도, 출몰 부재(72)는 돌출 위치에 없으므로 스토퍼와 접촉하지 않고, 이후의 회전도 저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 핸들(41)은 초기 조작 이후의 조작이 허용되어, 회전대(14)가 회전하여, 수용물(A)을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출몰 부재(72)와 동일한 회전축에는 출몰 부재(72)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73)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판(73)의 주연(周緣)은 캠으로 되어 있고, 당해 캠은 회전에 수반하여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의 걸림 블록(632)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의 걸림 블록(642)과 접촉하여,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를 전방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 즉 대략 동시에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그러면, 코인 지지 부재(61)의 전체 폭이 작아져, 코인(C)의 지지가 대략 동시에 해제되므로, 코인(C)은 낙하하여 코인 저장부(53)에 수용된다. 즉, 본 발명에서 말하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제 수단은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의 걸림 블록(632),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의 걸림 블록(642), 출몰 부재(72)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의 걸림 블록(632)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의 걸림 블록(642)을 전방으로 누르는 회전판(73),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를, 각각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서로 접근하는 방향, 즉 대략 동시에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안내하는 베이스부(65), 나사 구멍(635, 634), 나사(66)에 의해 구성되어 있게 된다.
다음에, 수용물(A)의 구입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코인(C)을 투입하기 전에는 회전 핸들(41)의 초기 조작 이후의 회전이 저지되어 있어, 수용물(A)을 취출하는 회전대(14)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수용물(A)을 취출할 수는 없다.
다음에, 코인 삽입구(22)로부터 코인(C)을 투입하면, 제1 종류의 코인(C) 및 제2 종류의 코인(C)은 코인 자세 변경부(24)의 작용에 의해 제1 코인 통로(27)에 진입하는 것(즉, 제1 종류의 코인)과, 제2 코인 통로에 진입하는 것(즉, 제2 종류의 코인)으로 선별된다. 코인(C)은 제1 코인 통로(27) 및 제2 코인 통로(28) 내를 구름 이동하고, 각각 코인 지지 부재(61)의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 및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상에 보유 지지된다.
코인 보유 지지부(60)에 낙하해 온 코인(C)은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의 경사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고, 코인 가이드부(62)에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622)에 접촉하여 정지한다. 그리고, 보유 지지되는 코인(C)이 소정 매수에 도달하면, 최후의 코인(C)이 요동 부재(71L, 71R)에 접촉하여 후방(도 7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전방(도 7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불능으로 한다. 이에 의해 요동 부재(71)에 접촉한 출몰 부재(72)가 돌출 위치로부터 몰입 위치를 향해 이동하므로, 출몰 부재(72)는 요동 부재(71)의 위치를 초과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회전 핸들(41)의 초기 조작 이후의 회전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상태에서 회전 핸들(41)을 회전시키면, 베벨 기어(49) 및 베벨 기어(75)를 통해 출몰 부재(72) 및 회전판(73)이 회전하고,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를 전방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코인 지지 부재(61)의 전체 폭이 작아져, 코인(C)의 지지가 해제되므로, 코인(C)은 낙하하여 코인 저장부(53)에 수용된다.
한편, 동시에, 수용물(A)을 보유 지지한 회전대(14)가 회전하고, 회전대(14)의 절결부(141)가, 중간벽(13)의 취출 구멍(131)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수용물(A)을 낙하하여, 수용물 취출구(15)에 수용물(A)을 취출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용물 취출 장치(10)에 따르면, 2종류의 코인(C)을 사용하여 수용물(A)을 구입할 수 있으므로, 가격 설정의 자유도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용물 취출 장치(10)에 있어서의 코인 선별부(21)에서는, 중력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된 코인 삽입구(22)와, 코인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코인이 통과하는 코인 통로(23)와, 코인 통로(23)에 설치되고, 코인 삽입구(22)에 삽입되어 중력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 상태에서 코인 통로(23)를 통과 중인 제1 종류의 코인에 대해서는, 경사 상태 그대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고, 코인 삽입구(22)로부터 삽입되어 중력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 상태에서 코인 통로(23)를 통과 중인 제2 종류의 코인에 대해서는, 그 상부와 접촉함으로써, 제2 종류의 코인의 자세를 경사 상태로부터 중력 방향과 평행이 되는 평행 상태를 향해 변경하는 코인 자세 변경부(24)와, 코인 자세 변경부(24)를 경사 상태 그대로 통과한 제1 종류의 코인이 진입하는 제1 코인 통로(27)와, 코인 자세 변경부(24)에 의해 자세가 변경된 제2 종류의 코인이 진입하는 제2 코인 통로(28)를 가지므로, 제1 종류의 코인과 제1 종류의 코인보다 직경이 큰 제2 종류의 코인을 기계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회전판(73) 등으로 이루어지는 해제 수단이,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를 퇴피 위치로 대략 동시에 이동시키고, 제2 코인 보유 지지부(63) 및 제1 코인 보유 지지부(64) 각각에 있어서의 코인의 지지를 대략 동시에 해제하므로, 보유 지지되어 있는 코인(C)끼리가 간섭하는 일이 적어, 코인 막힘이 일어나기 어렵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한 수용물 취출 장치는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 변화가 가능하다.
즉,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1대의 수용물 취출 장치(10)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2대의 수용물 취출 장치(10)를 상하에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점포의 한정된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하는 동시에, 예를 들어 어리고 키가 작은 자녀 등이 하단의 수용물 취출 장치를 조작하고, 어른이 상단의 수용물 취출 장치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10 : 수용물 취출 장치
12 : 수납 케이스(수용물 수용부)
14 : 회전대(수용물 취출 기구)
20 : 유닛
21 : 코인 선별부
22 : 코인 삽입구
23 : 코인 통로
24 : 코인 자세 변경부
27 : 제1 코인 통로
28 : 제2 코인 통로
40 : 조작부
53 : 코인 저장부
60 : 코인 보유 지지부
63 : 제1 코인 보유 지지부
64 : 제2 코인 보유 지지부
70 : 코인 검출 장치
A : 수용물
C : 코인
12 : 수납 케이스(수용물 수용부)
14 : 회전대(수용물 취출 기구)
20 : 유닛
21 : 코인 선별부
22 : 코인 삽입구
23 : 코인 통로
24 : 코인 자세 변경부
27 : 제1 코인 통로
28 : 제2 코인 통로
40 : 조작부
53 : 코인 저장부
60 : 코인 보유 지지부
63 : 제1 코인 보유 지지부
64 : 제2 코인 보유 지지부
70 : 코인 검출 장치
A : 수용물
C : 코인
Claims (3)
- 제1 종류의 코인과 당해 제1 종류의 코인보다도 직경이 큰 제2 종류의 코인을 각각 소정 매수 삽입하여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수용물 수용부로부터 수용물이 취출되는 수용물 취출 장치이며,
상기 제1 종류의 코인과 상기 제2 종류의 코인을 각각 소정 매수 보유 지지 가능한 코인 보유 지지부와,
상기 조작부의 초기 조작에 따라서, 상기 코인 보유 지지부에 제1 종류의 코인과 제2 종류의 코인이 각각 소정 매수 보유 지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코인 검출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인 검출 장치는,
상기 코인 보유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류의 코인 또는 상기 제2 종류의 코인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소정 매수 보유 지지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조작부의 초기 조작 이후의 조작을 저지하고,
또한, 상기 코인 보유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류의 코인 또는 상기 제2 종류의 코인의 양쪽이 소정 매수 보유 지지되어 있는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조작부의 초기 조작 이후의 조작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물 취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삽입된 코인을 제1 종류의 코인과 제2 종류의 코인으로 선별 가능한 코인 선별부를 갖고,
당해 코인 선별부는,
중력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된 코인 삽입구와,
코인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코인이 통과하는 코인 통로와,
상기 코인 통로에 설치되고, 코인 삽입구에 삽입되어 중력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 상태에서 상기 코인 통로를 통과 중인 제1 종류의 코인에 대해서는, 경사 상태 그대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고, 코인 삽입구로부터 삽입되어 중력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 상태에서 상기 코인 통로를 통과 중인 제2 종류의 코인에 대해서는, 그 상부와 접촉함으로써, 제2 종류의 코인의 자세를 경사 상태로부터 중력 방향과 평행이 되는 평행 상태를 향해 변경하는 코인 자세 변경부와,
상기 코인 자세 변경부를 경사 상태 그대로 통과한 제1 종류의 코인이 진입하는 제1 코인 통로와,
상기 코인 자세 변경부에 의해 자세가 변경된 제2 종류의 코인이 진입하는 제2 코인 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물 취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인 보유 지지부는,
상기 제1 코인 통로를 통과한 제1 종류의 코인을 보유 지지하는 제1 코인 보유 지지부와, 상기 제2 코인 통로를 통과한 제2 종류의 코인을 보유 지지하는 제2 코인 보유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제1 코인 보유 지지부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제1 종류의 코인과 접촉하여 지지하고,
상기 제2 코인 보유 지지부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제2 종류의 코인과 접촉하여 지지하고 있고,
또한,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의 초기 조작 이후의 조작에 따라서, 초기 위치에 있는 제1 코인 보유 지지부, 제2 코인 보유 지지부를 퇴피 위치로 대략 동시에 이동시키고, 제1 코인 보유 지지부, 제2 코인 보유 지지부 각각에 있어서의 코인의 지지를 대략 동시에 해제하는 해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물 취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017157A JP5001440B1 (ja) | 2011-01-28 | 2011-01-28 | 収容物取出装置 |
JPJP-P-2011-017157 | 2011-01-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7816A true KR20120087816A (ko) | 2012-08-07 |
KR101284369B1 KR101284369B1 (ko) | 2013-07-09 |
Family
ID=4546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2723A KR101284369B1 (ko) | 2011-01-28 | 2012-01-10 | 수용물 취출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2487653A1 (ko) |
JP (1) | JP5001440B1 (ko) |
KR (1) | KR101284369B1 (ko) |
CN (1) | CN102568093B (ko) |
TW (1) | TWI382364B (ko)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729098A1 (de) * | 1987-09-01 | 1989-03-09 | Standard Elektrik Lorenz Ag | Muenzeneinwurfvorrichtung fuer selbstkassierer |
JPH0656862U (ja) * | 1992-12-25 | 1994-08-05 | 株式会社デュオ | 硬貨選別装置 |
US6536577B2 (en) * | 2000-03-22 | 2003-03-25 |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 Coin handling method and device |
KR100579816B1 (ko) | 2001-03-04 | 2006-05-12 |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 동전검출장치 |
JP2005242462A (ja) * | 2004-02-24 | 2005-09-08 | Sunlink:Kk | カプセル自販機 |
CN2751857Y (zh) * | 2004-11-05 | 2006-01-18 | 王泽汉 | 一种玩具自动售货机 |
JP4538832B2 (ja) * | 2005-03-04 | 2010-09-08 | 株式会社丸昌 | カプセル入玩具用自動販売機のコイン投入装置 |
US7144317B1 (en) * | 2005-04-29 | 2006-12-05 | Marcuso T L Marc | Coin sorting mechanism using controlled angular deflection |
JP2007299239A (ja) * | 2006-04-28 | 2007-11-15 | Alpha Corp | 硬貨検出装置及び硬貨式錠装置 |
-
2011
- 2011-01-28 JP JP2011017157A patent/JP5001440B1/ja active Active
-
2012
- 2012-01-10 KR KR1020120002723A patent/KR10128436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1-12 EP EP12150961A patent/EP2487653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2-01-16 CN CN201210019750.4A patent/CN102568093B/zh active Active
- 2012-01-16 TW TW101101622A patent/TWI382364B/zh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568093A (zh) | 2012-07-11 |
KR101284369B1 (ko) | 2013-07-09 |
JP5001440B1 (ja) | 2012-08-15 |
TWI382364B (zh) | 2013-01-11 |
JP2012159879A (ja) | 2012-08-23 |
TW201220254A (en) | 2012-05-16 |
EP2487653A1 (en) | 2012-08-15 |
CN102568093B (zh) | 2014-08-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651690B (zh) | 手動商品販賣裝置 | |
EP1357526A2 (en) | Commodity carrying-out apparatus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 |
JP5684197B2 (ja) | 収容物取出装置 | |
WO2002073547A1 (fr) | Detecteur de pieces | |
KR101284369B1 (ko) | 수용물 취출 장치 | |
JP5913647B2 (ja) | 収容物取出装置 | |
JP3156668U (ja) | 箸の繰出装置 | |
JP6261142B2 (ja) | 収容物取出装置 | |
JP7102497B2 (ja) | 投入物品検出装置及び収容物取出装置 | |
JP6817980B2 (ja) | 投入物品選別装置、投入物品検出装置及び収容物取出装置 | |
JP2002019705A (ja) | 薬剤分包機 | |
JP6302022B2 (ja) | 投入物品選別装置、投入物品検出装置及び収容物取出装置 | |
GB2072633A (en) | Dispensing machine | |
US3184105A (en) | Record vending machine | |
US923132A (en) | Vending apparatus. | |
JP2871074B2 (ja) | 自動販売機 | |
JP4181194B2 (ja) | 硬貨収容装置、硬貨収容装置を備えた硬貨検出装置、硬貨検出装置を備えた物品取出装置 | |
JPH10340383A (ja) |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 |
JP3967724B2 (ja) | 物品取出装置 | |
JP2005165641A (ja) | 自動販売機 | |
US3194430A (en) | Dispensing machine for articles | |
CN111653035A (zh) | 无人售卖柜及无人车 | |
CZ28126U1 (cs) | Mechanický prodejní automat pro prodej podlouhlých výrobků | |
JP2007293506A (ja) | ボトル商品の自動販売機 | |
CZ2015158A3 (cs) | Mechanický prodejní automat pro prodej podlouhlých výrobk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