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541A -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재,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 Google Patents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재,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541A
KR20120087541A KR1020110008798A KR20110008798A KR20120087541A KR 20120087541 A KR20120087541 A KR 20120087541A KR 1020110008798 A KR1020110008798 A KR 1020110008798A KR 20110008798 A KR20110008798 A KR 20110008798A KR 20120087541 A KR20120087541 A KR 20120087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hotosensitive
green resin
photosensitive green
s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현
박미희
이어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10008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7541A/ko
Publication of KR20120087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9/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59/235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carboxyl group
    • C07C59/245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carboxyl group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 C07C59/285Polyhydroxy dicarboxylic acids having five or more carbon atoms, e.g. saccharic ac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28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photosensitivity-increasing substances, e.g. photoinitiators
    • G03F7/029Inorganic compounds; Onium compounds; Organic compounds having hetero atoms other than oxygen, nitrogen or sulfur
    • G03F7/0295Photolytic halogen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 G03F7/033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the binders being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480nm 이하의 광을 흡수하는 염료, b) 바인더 수지 및 c)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녹색 감광재는 기존의 녹색 감광재에 비하여 우수한 색재현율과 고휘도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재,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PHOTOSENSITIVE GREEN RESIN COMPOSITION, PHOTOSENSITIVE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COLOR FILTER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재,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컬러필터에 사용되고 색재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재,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LCD)의 광원으로 기존의 CCFL 대신 LED 또는 OLED 소자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구동도 액정이 아닌 LED 또는 OLED 자체발광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LED 또는 OLED를 광원으로 이용하게 되면 자체로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이 나오기 때문에 별도의 컬러필터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LED 또는 OLED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광의 색순도를 향상시켜 높은 색재현율을 달성하기 위해 컬러 필터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특히, OLED 광원을 이용하여 백색광을 만들어 내는 경우에는 컬러의 구분을 위해 반드시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때, 광원으로 사용되는 OLED의 스펙트럼과 컬러 필터의 스펙트럼을 최적화하여야만 색의 순도를 높여 색재현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녹색 투과율 스펙트럼을 조정하여 색의 순도를 높임으로써 색재현율을 높이고 고휘도를 나타내는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480nm 이하의 광을 흡수하는 염료, b) 바인더 수지 및 c)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감광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감광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은 패턴막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컬러필터의 스펙트럼을 최적화하여 색의 순도를 높일 수 있으며, 고휘도를 나타낼 수 있어 높은 색재현율을 나타낼 수 있는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480nm 이하의 광을 흡수하는 염료의 투과율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80nm 이하의 광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한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투과율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은 a) 480nm 이하의 광을 흡수하는 염료, 바람직하게는 450 내지 480nm의 광을 흡수하는 염료, b) 바인더 수지 및 c)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에 480nm 범위의 광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시킴으로써, 460 내지 610nm의 투과율 스펙트럼을 갖는 기존의 녹색 감광재와는 달리, 480 내지 610nm의 투과율 스펙트럼을 갖는 녹색 감광재를 제공할 수 있다.
컬러 필터의 적색, 녹색, 청색 중에서 색재현율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은 녹색이다. 색재현율을 크게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녹색을 보다 진한 방향, 즉 CIE1931 좌표 기준으로 Gy를 0.65 이상으로 크게 올려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는 녹색 감광재 내의 안료의 함량을 크게 높이거나, 패턴 막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고형분 내 안료의 함량이 50 중량% 이상으로 크게 증가하게 되면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막의 두께를 증가시키게 되면 다른 패턴과의 두께 단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컬러 필터의 막 두께가 증가하기 때문에 패널 설계 상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안료가 증가하고 막 두께가 증가함에 따른 휘도 감소가 따른다.
따라서, 안료 함량은 50 중량% 이내로 유지하고 막의 두께도 2 ~ 2.5㎛ 내로 유지하면서 높은 색재현율과 고휘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OLED 광원의 스펙트럼에 최적화될 수 있도록 컬러 필터의 스펙트럼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의 LCD 컬러필터용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에서는 구리(Cu) 프탈로시아닌 계열인 G7, G36과 아연(Zn) 프탈로시아닌 계열인 G58 등의 녹색 안료와 Y138, Y139, Y150 등의 황색 안료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렇게 혼합된 기존의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의 경우에는 투과율 스펙트럼이 460 내지 610nm로 매우 광범위하게 형성된다.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나 LED 백라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청색 영역에 해당하는 백라이트의 파장 영역이 400 내지 480nm 영역에서 나오고, 백색유기발광소자(WOLED) 백라이트의 경우에는 430 내지 500nm 영역에서 청색에 해당하는 광이 나온다.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의 투과율 스펙트럼에서 480nm 이하의 투과율이 높으면 청색광이 컬러 필터의 녹색 화소부에 새어 나오기 때문에 Gy 값이 낮아지게 되고, 결국 색재현율이 떨어진다.
백색유기발광소자의 경우에는 청색 파장 영역 중 480 내지 500nm 영역에 해당하는 광의 세기가 480nm 이하의 파장 영역에서의 광의 세기에 비하여 매우 약하기 때문에 480nm 이상의 녹색 감광재 파장 영역에서 새어 나오는 광이 매우 적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녹색 감광재 영역에서 480nm 이하의 빛을 흡수하여 새어 나오지 않게 함으로써 색재현율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에 48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450 내지 480nm의 광을 흡수하는 염료를 더 포함하여, 컬러 필터의 스펙트럼을 조절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색재현율 및 휘도가 개선된 컬러 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염료는 전체 스펙트럼의 흡수량 중 480nm 이하의 스펙트럼의 흡수량이 70% 이상이 되는 염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450 내지 480nm 범위의 광만을 흡수하는 염료로서는 Oranica사의 5-{2-[3-(2-카르복시에틸)-2-벤즈옥사졸릴리덴]에틸리덴}-3-에틸-1-메틸-2-티오히단토인 칼륨 염, 3-카르복시메틸-5-[1-(3-메틸-2-티아졸리디닐리덴)-2-프로필리덴]로다닌 염, 3-부틸-1-에틸-5-[3-(4-술포부틸)-2-벤즈옥사졸릴리덴]에틸리덴-2-티오히단토인 칼륨 염, 3,3'-디에틸옥사카르보시아닌 요오드화물, 1,3-디메틸-5-[2-(3-메틸-2-티아졸리디닐리덴)에틸리덴]-2-티옥소이미다졸리딘-4-온, 1,3-디메틸-5-[2-(1-메틸-2-피롤리디닐리덴)에틸리덴]-2-티오히단토인, 5-(4-디메틸아미노벤질리덴)로다닌, 3-에틸-5-[2-(3-메틸-2-티아졸리디닐리덴)에틸리덴]-2-티옥소-4-옥사졸리돈, 3-알릴-5-(1-메틸-2-피리디닐리덴)로다닌, 3-(2-벤즈이미다졸릴)-7-디에틸아미노쿠마린, 4-디메틸아미노-4'-니트로소디페닐아민, 4-페닐아조디페닐아민, 1-(2-클로로-5-술포페닐)-3-메틸-4-(4-술포페닐)아자-2-피라졸린-5-온 디소듐 염, 또는 Adeka사의 GPX-105, GPX-201, YMD-157, 이외에 2',7'-비스 (2-카르복시에틸), 5 (및 -6) 카르복시플루오레세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은 녹색 안료와 황색 안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색 안료와 황색 안료는 상기 기재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존의 감광성 녹색 조성물에 포함되는 안료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480nm 이하의 광을 흡수하는 염료의 투과율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인 GPX-201, GPX-105를 사용하였을 때를 종래의 염료(YMD157)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면 480nm 이하 영역 파장의 광을 적게 투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가 480nm 이하 영역 파장의 광을 많이 흡수하는 염료임을 나타낸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80nm 이하의 광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한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투과율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료를 사용한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의 경우, 기존의 감광재에서와는 달리 480nm 이하의 투과율 스펙트럼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으며, 종래 백색유기발광소자 백라이트에서 청색광이 컬러 필터의 녹색 영역에서 새어 나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로는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 등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알칼리 가용성으로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산가가 30 내지 300 KOH mg/g,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200,0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산가가 30 KOH mg/g 미만인 경우 현상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깨끗한 패턴을 얻을 수 없고, 또한 300 KOH mg/g을 초과하는 경우는 씻김 특성이 과도하게 향상되어 패턴이 떨어져 나갈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미만인 경우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악화되며, 또한 200,000을 초과하는 경우 현상액에 대한 용해도가 낮아져 현상이 되지 않으며 용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균일한 도포가 어려워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로는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의 함량은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은 d) 광개시제 또는 e) 용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로는 2,4-트리클로로메틸-(4'-메톡시페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4'-메톡시스티릴)-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피플로닐)-6-트리아진,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 (2-히드록시)프로필 케톤, 벤조페논, 2,4,6-트리메틸아미노벤조페논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용매로는 메틸 에틸 케톤,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 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의 함량은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45 내지 9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경화촉진제, 열중합억제제, 계면활성제, 광증감제, 가소제, 접착촉진제, 충전제 및 접착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촉진제로는 예컨대 2-머캡토벤조이미다졸, 2-머캡토벤조티아졸, 2-머캡토벤조옥사졸, 2,5-디머캡토-1,3,4-티아디아졸, 2-머캡토-4,6-디메틸아미노피리딘,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2-머캡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스(2-머캡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2-머캡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2-머캡토아세테이트), 및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기술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중합억제제로는 예컨대 p-아니솔, 히드로퀴논, 피로카테콜(pyrocatechol), t-부틸카테콜(t-butyl catechol), N-니트로소페닐히드록시아민암모늄염, N-니트로소페닐히드록시아민 알루미늄염 및 페노티아진(phenothiaz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기술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광증감제, 가소제, 접착촉진데, 충전제 등도 종래의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각각 독립적으로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은 롤 코터(roll coater), 커튼 코터(curtain coater), 스핀 코터(spin coater), 슬롯 다이 코터 등을 이용하여 유리 및 플라스틱 기판 등의 지지체 상에 코팅한 후, 통상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즉, 코팅-노광-현상-소성에 의해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컬러필터용 녹색 감광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필터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컬러필터용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 기술 분야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컬러필터용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 기술 분야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안료로는 C.I. 피그먼트 그린58과 C.I. 피그먼트 Y150, 그리고 480nm 이하의 광을 흡수하는 염료인 Adeka사의 GPX-201을 중량비로 1.3:0.1:0.06이 되도록 혼합하여 전체 안료함량이 80.01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분산제로 폴리에스테르계 분산수지 49.12 중량부와 알칼리 가용성 수지 바인더로서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의 공중합체에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부가된 중합체(몰비 73/19/8, Mw = 22,000) 7.29 중량부, 모노머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14.75 중량부를 혼합하고, 광중합 개시제로서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폴리노페닐)부틸-1-온 4 중량부(상품명 Irgacure 369) 5.85 중량부, 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바졸-3-일]-1-(O-아세틸옥심)에탄온 (상품명 CGI-242) 2.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첨가제로서 밀착촉진제인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78 중량부 및 레벨링제 0.24 중량부를 혼합하고, 용매로서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639.96 중량부, 3-메톡시 부틸 아세테이트 100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100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그 다음, 상기 혼합물을 5 시간 동안 교반하여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안료로는 C.I. 피그먼트 그린58과 C.I. 피그먼트 Y150, 그리고 480nm 이하의 광을 흡수하는 염료인 Adeka사의 GPX-105을 중량비로 1.3:0.1:0.04이 되도록 혼합하여 전체 안료함량이 80.01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
안료로는 C.I. 피그먼트 그린58과 C.I. 피그먼트 Y150을 중량비로 1.05:0.35가 되도록 혼합하여 전체 안료함량이 80.01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스핀 코터를 이용하여 LCD용 유리 기판 위에 250rpm으로 7초간 균일하게 코팅한 후, 전열판(hot plate) 위에서 90도 100초간 예비 열처리(pre-bake)를 실시하였으며, 40mJ/㎠의 에너지로 노광을 실시한 후 0.04% KOH 현상액을 이용하여 현상하였다. 현상 공정을 통해 패턴을 형성한 후 컨벡션 오븐(convection oven)을 이용하여 220도 30분간 소성을 실시하였으며, 소성 후 막의 두께는 2.1㎛ 이었다.
< 실험예 2>
실험예 1에서 얻어진 실시예 및 비교예의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각각의 패턴에 대하여 분광기를 통하여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380nm~780nm 범위의 가시광 영역에서의 투과율 스펙트럼을 얻었다.
< 실험예 3>
실험예 2에서 얻어진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각각의 투과율 스펙트럼과 WOLED 백라이트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삼자극 값(tristimulus value) (X, Y, Z) 값을 구하였으며, 이로부터 CIE1931 좌표인 x, y, Y를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S: WOLED 백라이트의 스펙트럼
R: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투과율 스펙트럼
Figure pat00007
,
Figure pat00008
,
Figure pat00009
: 등색 함수(color matching function)
하기 표 1에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WOLED 백라이트에서 계산된 색 좌표를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10
상기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가 포함되지 않은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460 내지 480nm에서도 투과율이 높아서 Gx=0.296, Gy=0.604, GY=44.2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색재현율은 76%이었다.
반면, GPX-201을 첨가한 경우(실시예 1)에는 Gx=0.298, Gy=0.617, GY=38.7로 색재현율은 78%를 나타내었으며, GPX-105를 첨가한 경우(실시예 2)에는 Gx=0.299, Gy=0.638, GY=39.4로 색재현율은 82%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80nm 이하의 광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한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480nm 이하에서의 투과율이 크게 감소하여 색의 순도를 높였으며 결과적으로 색이 훨씬 더 진하게 변하였다는 것을 실험 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다.

Claims (16)

  1. a) 480nm 이하의 광을 흡수하는 염료, b) 바인더 수지 및 c)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480nm 이하의 광을 흡수하는 염료는 450 내지 480nm의 광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480nm 이하의 광을 흡수하는 염료는 전체 스펙트럼의 흡수량 중 450 내지 480nm 범위의 스펙트럼을 70% 이상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녹색 안료 및 황색 안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d) 광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e)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바인더 수지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바인더 수지는 산가가 30 내지 300 KOH mg/g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2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의 함량은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d) 광개시제의 함량은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e) 용매의 함량은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45 내지 9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은 경화촉진제, 열중합억제제, 계면활성제, 광증감제, 가소제, 접착촉진제, 충전제 및 접착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14.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의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감광재.
  15. 청구항 14의 감광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16. 청구항 15의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KR1020110008798A 2011-01-28 2011-01-28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재,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KR20120087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798A KR20120087541A (ko) 2011-01-28 2011-01-28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재,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798A KR20120087541A (ko) 2011-01-28 2011-01-28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재,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0987A Division KR20140118950A (ko) 2014-08-25 2014-08-25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재,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541A true KR20120087541A (ko) 2012-08-07

Family

ID=46873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798A KR20120087541A (ko) 2011-01-28 2011-01-28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재,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75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16219A1 (en) * 2014-05-01 2015-11-05 CoreLed Systems, LLC High-pass filter for led lighting
KR20160001694A (ko) 2014-06-27 2016-0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US20180088262A1 (en) * 2016-09-29 2018-03-29 Hannstar Display Corporation Color filter and display pane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16219A1 (en) * 2014-05-01 2015-11-05 CoreLed Systems, LLC High-pass filter for led lighting
KR20160001694A (ko) 2014-06-27 2016-0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US20180088262A1 (en) * 2016-09-29 2018-03-29 Hannstar Display Corporation Color filter and display panel
US10379274B2 (en) * 2016-09-29 2019-08-13 Hannstar Display Corporation Color filter and display pa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04413B (zh) 著色組成物、著色硬化膜及顯示元件
KR101982502B1 (ko) 감방사선성 착색 조성물, 컬러 필터 및 표시 소자
JP5962099B2 (ja) 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素子
TWI541598B (zh) 感光性樹脂組成物和使用其的彩色濾光片
JP5479141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2010054808A (ja) 着色層形成用感放射線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カラー液晶表示素子
TW201443164A (zh) 著色組成物、著色硬化膜及顯示元件
KR101767685B1 (ko) 착색 조성물, 컬러 필터 및 표시 소자
KR101825545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TW201406801A (zh) 硬化性組成物、硬化膜及顯示元件
JP2016130848A (ja) 自発光感光性樹脂組成物、これから製造された色変換層を含む表示装置
TW201434997A (zh) 著色組成物、著色硬化膜、顯示元件及固態攝影元件
WO2017010606A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1578930B1 (ko) 적색 컬러 필터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컬러 액정 표시 소자
JP5353519B2 (ja) 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カラー液晶表示素子
KR20160087315A (ko) 자발광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색변환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20087541A (ko)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재,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KR20150083384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1711592B1 (ko)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TWI521241B (zh) 彩色濾光片及彩色液晶顯示元件
JP2015143835A (ja) 着色組成物、着色硬化膜及び表示素子
JP2009162802A (ja) 赤色カラーフィルタ用感放射線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カラー液晶表示素子
JP6152143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白色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表示装置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表示装置
KR20150076652A (ko) 감광성 녹색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재,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KR101767081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