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6895A -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6895A
KR20120086895A KR1020110008226A KR20110008226A KR20120086895A KR 20120086895 A KR20120086895 A KR 20120086895A KR 1020110008226 A KR1020110008226 A KR 1020110008226A KR 20110008226 A KR20110008226 A KR 20110008226A KR 20120086895 A KR20120086895 A KR 20120086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vehicle
company
consumable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이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용 filed Critical 이정용
Priority to KR1020110008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6895A/ko
Publication of KR20120086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 과정 또는 집 등에서 주차되어 있는 차량에서 부품 또는 소모품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 고객이 사용하는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제공하는 A/S 업체정보를 제공하여 가격 안내를 비롯한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를 제공받고자 하는 고객과 고객의 차량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아 관리하는 고객 관리모듈(202)과; 고객의 차량에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를 제공하는 A/S 업체(300)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A/S 업체 관리모듈(204)과;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A/S가 필요한 고객으로부터 A/S를 요청받으면 등록된 고객인지를 확인하고, 고객이 필요한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에 대한 내용과 차량의 위치정보를 접수받는 A/S 접수모듈(206)과; 고객으로부터 접수된 차량 A/S에 대한 내용을 부품 또는 소모품의 종류별로 분류하는 A/S 분류모듈(208)과; A/S 분류모듈(208)에 의해 고객이 필요한 A/S가 부품 또는 소모품별로 분류되면 A/S 업체DB(232)를 검색하여 분류된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제공할 수 있는 A/S 업체(300)를 선별하는 A/S 업체 선정모듈(210)과; A/S 업체정보 안내모듈(212)에 의해 선정된 업체 A/S 업체(300)에 대한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A/S 업체정보 안내모듈(212)을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A/S SERVICE SYSTEM OF V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행 과정 또는 집 등에서 주차되어 있는 차량에서 타이어 펑크, 배터리 방전, 사이드 밀러 분실, 오일 부족 등의 부품 또는 소모품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 고객이 사용하는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제공하는 A/S 업체정보를 제공하여 가격 안내를 비롯한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운행하다 보면 엔진오일이나 트랜스미션 오일, 브레이크 오일 등이 부족하거나 또는 타이어가 펑크나거나 또는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가 많다.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 등은 적절한 시기에 교환하거나 보충을 해줘야 하고, 배터리의 충전상태나 타이어의 마모 상태 등은 점검해야 안전운행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운전자들은 이러한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점검하기 위하여 차량 정비소 등에 위탁하여 관리하기에는 부담감으로 생각되어 실질적으로 문제가 발생될 때에만 차량 정비소 등을 찾아가 보충하는 실정이다.
한편, 차량이 운전되는 동안에도 부품 또는 소모품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주위의 차량 정비소를 찾아 갈 수 밖에 없으며, 차량에서 사용되는 부품 또는 소모품이 구비되지 않은 차량 정비소인 경우에는 다른 정비소를 찾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차량 정비소마다 부품 또는 소모품의 판매 가격이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오히려 비싼 요금을 지불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주행 과정 또는 집 등에서 주차되어 있는 차량에서 타이어 펑크, 배터리 방전, 사이드 밀러 분실, 오일 부족 등의 부품 또는 소모품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 고객이 사용하는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제공하는 A/S 업체정보를 제공하여 가격 안내를 비롯한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등록된 고객으로부터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 요청을 받으면 등록된 A/S 업체을 검색하여 고객이 사용하는 부품 또는 소모품을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은,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제공하는 A/S 업체(300)와 연동하는 서비스 서버(200)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는,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를 제공받고자 하는 고객과 고객의 차량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아 관리하는 고객 관리모듈(202)과; 고객의 차량에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를 제공하는 A/S 업체(300)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A/S 업체 관리모듈(204)과;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A/S가 필요한 고객으로부터 A/S를 요청받으면 등록된 고객인지를 확인하고, 고객이 필요한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에 대한 내용과 차량의 위치정보를 접수받는 A/S 접수모듈(206)과; 고객으로부터 접수된 차량 A/S에 대한 내용을 부품 또는 소모품의 종류별로 분류하는 A/S 분류모듈(208)과; A/S 분류모듈(208)에 의해 고객이 필요한 A/S가 부품 또는 소모품별로 분류되면 A/S 업체DB(232)를 검색하여 분류된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제공할 수 있는 A/S 업체(300)를 선별하는 A/S 업체 선정모듈(210)과; A/S 업체정보 안내모듈(212)에 의해 선정된 업체 A/S 업체(300)에 대한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A/S 업체정보 안내모듈(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은,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제공하는 A/S 업체(300)와 연동하는 서비스 서버(200)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는,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를 제공받고자 하는 고객과 고객의 차량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아 관리하는 고객 관리모듈(202)과; 고객의 차량에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를 제공하는 A/S 업체(300)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A/S 업체 관리모듈(204)과;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A/S가 필요한 고객으로부터 A/S를 요청받으면 등록된 고객인지를 확인하고, 고객이 필요한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에 대한 내용과 차량의 위치정보를 접수받는 A/S 접수모듈(206)과; 고객으로부터 접수된 차량 A/S에 대한 내용을 부품 또는 소모품의 종류별로 분류하는 A/S 분류모듈(208)과; A/S 분류모듈(208)에 의해 고객이 필요한 A/S가 부품 또는 소모품별로 분류되면 A/S 업체DB(232)를 검색하여 분류된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제공할 수 있는 A/S 업체(300)를 선별하는 A/S 업체 선정모듈(210)과; A/S 업체 선정모듈(210)에 의하여 차량에 적합한 A/S를 제공할 수 있는 A/S 업체(300)가 선정되면 A/S 업체(300)에 고객의 차량에 대한 정보와 고객이 요청한 차량 A/S의 정보와 고객의 연락처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A/S 정보 제공모듈(214)과; A/S 업체(300)에서 고객의 차량에 대하여 A/S를 수행한 경우 A/S 업체(300)로부터 고객에게 제공된 A/S 내용을 제공받아 관리하는 A/S 확인모듈(216)과; A/S 업체(300)로부터 A/S를 받은 고객으로부터 A/S 업체(300)가 제공한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제공받아 A/S 업체(300)를 평가하는 A/S 업체 평가모듈(2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고객 관리모듈(202)은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정보로서 차량의 기본사항인 경우에는 차종으로 등록받고, 고객의 취향에 따라 기본사항에서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된 정보를 등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A/S 업체 관리모듈(204)은 A/S 업체(300)에 대한 정보로서 A/S 업체의 위치정보, 연락처, A/S 가능한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정보를 함께 등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A/S 접수모듈(206)은 A/S되는 부품 또는 소모품이 고객에 의해 변경된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A/S 접수모듈(206)은 차량의 A/S 내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휴대폰 등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 또는 촬영된 동영상을 함께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은 주행 과정 또는 집 등에서 주차되어 있는 차량에서 타이어 펑크, 배터리 방전, 사이드 밀러 분실, 오일 부족 등의 부품 또는 소모품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 고객이 사용하는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제공하는 A/S 업체정보를 제공하여 가격 안내를 비롯한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등록된 고객으로부터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 요청을 받으면 등록된 A/S 업체을 검색하여 고객이 사용하는 부품 또는 소모품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A/S 서비스 과정의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A/S 서비스 과정의 플로차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은 고객(100)이 서비스 서버(200)에 휴대폰, 인터넷 등으로 접속하여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를 요청하면 서비스 서버(200)는 차량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면서 고객(100)이 필요한 A/S를 제공할 수 있는 A/S 업체(300)를 검색하고, 고객에게 A/S 업체(30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A/S 업체(300)에 고객정보를 제공하여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는 보험회사에서 지접 운영하거나 또는 보험회사와는 별도도 독자적으로 운영되는 회사의 서버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200)는, 고객 관리모듈(202), A/S 업체 관리모듈(204), A/S 접수모듈(206), A/S 분류모듈(208), A/S 업체 선정모듈(210), A/S 업체정보 안내모듈(212)을 구비한다.
고객 관리모듈(202)은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를 제공받고자 하는 고객과 고객의 차량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아 고객DB(230)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때, 차량의 A/S를 원하는 고객은 자동차보험, 운전자보험 등과 연계하여 등록받을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정보는 배터리, 타이어, 밀러 등을 포함하며, 차량의 기본사항인 경우에는 차종으로 등록받고, 고객의 취향에 따라 기본사항에서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된 정보를 등록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업체 관리모듈(204)은 고객의 차량에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를 제공하는 A/S 업체(300)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A/S 업체DB(232)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때, A/S 업체 정보는 업체의 위치정보, 연락처, A/S 가능한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정보를 함께 등록받는다. 특히, 부품 또는 소모품은 각각의 종류별로 분류하여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접수모듈(206)은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A/S가 필요한 고객으로부터 A/S를 요청받으면 등록된 고객인지를 확인하고, 고객이 필요한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에 대한 내용과 차량의 위치정보를 접수받는다. 이때, A/S되는 부품 또는 소모품이 고객에 의해 변경된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받는다. 또한, 차량의 A/S 내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휴대폰 등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 또는 촬영된 동영상을 함께 전송받을 수 있다.
A/S 분류모듈(208)은 고객으로부터 접수된 차량 A/S에 대한 내용을 부품 또는 소모품의 종류별로 분류하여 A/S요청DB(234)에 저장한다. A/S 분류과정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A/S 내용이 부품 또는 소모품별로 최종적으로 분류될 수 있다.
A/S 업체 선정모듈(210)은 A/S 분류모듈(208)에 의해 고객이 필요한 A/S가 부품 또는 소모품별로 분류되면 A/S 업체DB(232)를 검색하여 분류된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제공할 수 있는 A/S 업체(300)를 선별한다. 이때, 선택되는 A/S 업체(300)는 접수된 차량의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업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업체정보 안내모듈(212)은 A/S 업체정보 안내모듈(212)에 의해 선정된 업체 A/S 업체(300)에 대한 정보를 고객의 핸드폰으로 SMS로 제공한다. 이때 고객에게 제공되는 A/S 업체 정보로는 A/S 업체의 위치, 전화번호, A/S되는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A/S 서비스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도로의 주행 과정 또는 집 등에서 주차되어 있는 차량에서 타이어 펑크, 밧테리 방전, 사이드 밀러 분실, 각종 오일 부족 등의 부품 또는 소모품에 문제가 발생되어 A/S가 필요한 고객은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한다(단계 S31). 이때, 고객은 휴대폰의 무선인터넷을 통해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또는 ARS를 통해 접속할 수 있으며, 또한 컴퓨터 등의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등록된 고객으로 확인되면 A/S가 필요한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정보와 차량의 위치정보를 접수받는다(단계 S32). 이때, 고객 등록시에 함께 제공된 차량 정보에서 변경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A/S가 필요한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정보만 접수받고, 고객에 의해 추후에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된 정보를 접수받는다. 한편, 고객은 차량의 A/S 항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촬영된 사진 또는 촬영된 동영상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200)는 고객으로부터 접수된 차량 A/S에 대한 내용을 부품 또는 소모품의 종류별로 분류하여 A/S요청DB(234)에 저장하고(단계 S33), 분류된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제공할 수 있는 A/S 업체(300)를 선별한다(단계 S34). 이때, 선택되는 A/S 업체(300)는 접수된 차량의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업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에 적합한 A/S를 제공할 수 있는 업체가 선정되면 고객에게 A/S 업체의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35). 이때 A/S 업체 정보는 고객의 등록된 핸드폰을 통해 SMS로 제공되거나 또는 이메일 등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고객이 A/S 접수하는 경우 확인할 수 있다. 고객에게 제공되는 A/S 업체 정보로는 A/S 업체의 위치, 전화번호, A/S되는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에 따라 고객은 A/S 업체(300)에 연락하여 교체가 필요한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안내와 함께 가격내역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고객이 원하면 신속하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200)는, 고객 관리모듈(202), A/S 업체 관리모듈(204), A/S 접수모듈(206), A/S 분류모듈(208), A/S 업체 선정모듈(210) 이외에 A/S 정보 제공모듈(214), A/S 확인모듈(216), A/S 업체 평가모듈(218)을 더 구비한다.
A/S 정보 제공모듈(214)은 A/S 업체 선정모듈(210)에 의하여 차량에 적합한 A/S를 제공할 수 있는 A/S 업체(300)가 선정되면 A/S 업체(300)에 고객의 차량에 대한 정보와 고객이 요청한 차량 A/S의 정보와 고객의 연락처 및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A/S 업체(300)는 차량의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업체를 선택하여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A/S 업체(300)에 제공되는 고객정보는 고객이 회원으로 등록하는 경우에 미리 등록된 A/S 업체(300)로부터 A/S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동의한 고객에 한정한다.
A/S 확인모듈(216)은 A/S 업체(300)에서 고객의 차량에 대하여 A/S를 수행한 경우 A/S 업체(300)로부터 고객에게 제공된 A/S 내용을 제공받아 고객의 A/S DB(236)에 등록하고 관리한다. A/S 확인모듈(216)에 의해 등록된 A/S정보를 통해 고객은 A/S 종류, 비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A/S 업체 평가모듈(218)은 A/S 업체(300)로부터 A/S를 받은 고객으로부터 A/S 업체(300)가 제공한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제공받아 A/S 업체(300)를 평가한다. 고객에 대한 만족도는 교체된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가격, 성능 및 A/S 업체의 출동시간 등에 대한 항목을 포함한다. 만족도가 낮은 A/S 업체는 퇴출될 수 있기 때문에 고객에게 저렴한 가격과 높은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A/S 서비스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도로의 주행 과정 또는 집 등에서 주차되어 있는 차량에서 타이어 펑크, 배터리 방전, 사이드 밀러 분실 등의 부품 또는 소모품에 문제가 발생되어 A/S가 필요한 고객은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한다(단계 S51).
서비스 서버(200)는 등록된 고객으로 확인되면 A/S가 필요한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정보와 차량의 위치정보를 접수받는다(단계 S52). 이때, 고객 등록시에 함께 제공된 차량 정보에서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된 정보를 접수받는다.
한편, 서비스 서버(200)는 고객으로부터 접수된 차량 A/S에 대한 내용을 부품 또는 소모품의 종류별로 분류하여 A/S요청DB(234)에 저장하고(단계 S53), 분류된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에서 가장 근접한 A/S 업체(300)를 선별한다(단계 S54).
차량에 적합한 A/S를 제공할 수 있는 업체가 선정되면 서비스 서버(200)는 A/S 업체(300)에 고객이 요청한 차량 A/S의 정보와 고객의 연락처 및 위치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55). 이러한 A/S 업체(300)에 제공되는 고객정보는 서비스 서버(200)에 등록된 A/S 업체(300)로부터 A/S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동의한 고객에 한정한다.
선정된 A/S 업체(300)는 A/S를 신청한 고객의 연락처에 SMS 또는 전화로 교체가 필요한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안내와 함께 가격내역을 제공한다(단계 S56).
한편, A/S 업체(300)에서 고객의 차량에 대하여 A/S를 수행한 경우 A/S 업체(300)로부터 A/S 제공정보를 제공받아 등록하고(단계 S57) 고객에 대해서도 A/S에 대한 만족도를 제공받아 A/S 업체(300)를 평가한다(단계 S58). 고객은 등록된 A/S정보를 확인하여 A/S 종류, 비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서비스 서버(200)는 고객으로부터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 요청을 받으면 등록된 A/S 업체에 연계하여 원-스톱으로 A/S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고객 200 : 서비스 서버
202 : 고객 관리모듈 204 : A/S 업체 관리모듈
206 : A/S 접수모듈 208 : A/S 분류모듈
210 : A/S 업체 선정모듈 212 : A/S 업체정보 안내모듈
214 : A/S 정보 제공모듈 216 : A/S 확인모듈
218 : A/S 업체 평가모듈 300 : A/S 업체
230 : 고객DB 232 : A/S 업체DB
234 : A/S요청DB 236 : A/S DB

Claims (8)

  1.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제공하는 A/S 업체와 연동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는,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를 제공받고자 하는 고객과 고객의 차량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아 관리하는 고객 관리모듈과;
    고객의 차량에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를 제공하는 A/S 업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A/S 업체 관리모듈과;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A/S가 필요한 고객으로부터 A/S를 요청받으면 등록된 고객인지를 확인하고, 고객이 필요한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에 대한 내용과 차량의 위치정보를 접수받는 A/S 접수모듈과;
    고객으로부터 접수된 차량 A/S에 대한 내용을 부품 또는 소모품의 종류별로 분류하는 A/S 분류모듈과;
    A/S 분류모듈에 의해 고객이 필요한 A/S가 부품 또는 소모품별로 분류되면 A/S 업체DB(32)를 검색하여 분류된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제공할 수 있는 A/S 업체를 선별하는 A/S 업체 선정모듈과;
    A/S 업체정보 안내모듈에 의해 선정된 업체 A/S 업체에 대한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A/S 업체정보 안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
  2.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제공하는 A/S 업체와 연동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는,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를 제공받고자 하는 고객과 고객의 차량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아 관리하는 고객 관리모듈과;
    고객의 차량에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를 제공하는 A/S 업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A/S 업체 관리모듈과;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A/S가 필요한 고객으로부터 A/S를 요청받으면 등록된 고객인지를 확인하고, 고객이 필요한 부품 또는 소모품의 A/S에 대한 내용과 차량의 위치정보를 접수받는 A/S 접수모듈과;
    고객으로부터 접수된 차량 A/S에 대한 내용을 부품 또는 소모품의 종류별로 분류하는 A/S 분류모듈과;
    A/S 분류모듈에 의해 고객이 필요한 A/S가 부품 또는 소모품별로 분류되면 분류된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제공할 수 있는 A/S 업체를 선별하는 A/S 업체 선정모듈과;
    A/S 업체 선정모듈에 의하여 차량에 적합한 A/S를 제공할 수 있는 A/S 업체가 선정되면 A/S 업체에 고객의 차량에 대한 정보와 고객이 요청한 차량 A/S의 정보와 고객의 연락처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A/S 정보 제공모듈과;
    A/S 업체에서 고객의 차량에 대하여 A/S를 수행한 경우 A/S 업체로부터 고객에게 제공된 A/S 내용을 제공받아 관리하는 A/S 확인모듈과;
    A/S 업체로부터 A/S를 받은 고객으로부터 A/S 업체가 제공한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제공받아 A/S 업체를 평가하는 A/S 업체 평가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고객 관리모듈은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정보로서 차량의 기본사항인 경우에는 차종으로 등록받고, 고객의 취향에 따라 기본사항에서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된 정보를 등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A/S 업체 관리모듈은 A/S 업체에 대한 정보로서 A/S 업체의 위치정보, 연락처, A/S 가능한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정보를 함께 등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A/S 접수모듈은 A/S되는 부품 또는 소모품이 고객에 의해 변경된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A/S 접수모듈은 차량의 A/S 내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휴대폰 등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 또는 촬영된 동영상을 함께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
  7.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제공하는 A/S 업체와 연동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에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에 문제가 발생되어 A/S가 필요한 고객이 접속되는 단계;
    등록된 고객으로 확인되면 서비스 서버는 A/S가 필요한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정보와 차량의 위치정보를 접수받는 단계와;
    서비스 서버는 고객으로부터 접수된 차량 A/S에 대한 내용을 부품 또는 소모품의 종류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분류된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제공할 수 있는 A/S 업체를 선별하는 단계와;
    서비스 서버는 차량에 적합한 A/S를 제공할 수 있는 업체가 선정되면 고객에게 A/S 업체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A/S 서비스 방법.
  8.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제공하는 A/S 업체와 연동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에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에 문제가 발생되어 A/S가 필요한 고객이 접속되는 단계;
    등록된 고객으로 확인되면 서비스 서버는 A/S가 필요한 차량의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정보와 차량의 위치정보를 접수받는 단계와;
    서비스 서버는 고객으로부터 접수된 차량 A/S에 대한 내용을 부품 또는 소모품의 종류별로 분류하여 에 저장하고, 분류된 부품 또는 소모품을 제공할 수 있는 A/S 업체를 선별하는 단계와;
    서비스 서버는 차량에 적합한 A/S를 제공할 수 있는 업체가 선정되면 서비스 서버는 A/S 업체에 고객이 요청한 차량 A/S의 정보와 고객의 연락처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선정된 A/S 업체는 A/S를 신청한 고객의 연락처에 SMS 또는 전화로 교체가 필요한 부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안내와 함께 가격내역을 제공하는 단계와;
    A/S 업체에서 고객의 차량에 대하여 A/S를 수행한 경우 A/S 업체로부터 A/S 제공정보를 제공받아 등록하고 고객에 대해서도 A/S에 대한 만족도를 제공받아 A/S 업체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A/S 서비스 방법.
KR1020110008226A 2011-01-27 2011-01-27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1200868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226A KR20120086895A (ko) 2011-01-27 2011-01-27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226A KR20120086895A (ko) 2011-01-27 2011-01-27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895A true KR20120086895A (ko) 2012-08-06

Family

ID=46872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226A KR20120086895A (ko) 2011-01-27 2011-01-27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68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746A1 (ko) * 2015-07-30 2017-02-02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무인 스마트카에 구비된 3d 프린터 재료 안내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KR20210049509A (ko) * 2019-10-25 2021-05-06 박현덕 As용 범퍼 도장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746A1 (ko) * 2015-07-30 2017-02-02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무인 스마트카에 구비된 3d 프린터 재료 안내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KR20210049509A (ko) * 2019-10-25 2021-05-06 박현덕 As용 범퍼 도장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0792B1 (en) Total cost of vehicle ownership
KR101554154B1 (ko)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
JP5889761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79423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reating and delivering item of manufacture specific information to remote devices
US71138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vehicle history information
US7502672B1 (en) Wireless vehicle diagnostics with service and part determination capabilities
CA293685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essing and managing asset condition
KR101664034B1 (ko) 중고차 예상 가격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83725B1 (ko)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관련 서비스를 제안하기 위한 방법
WO2006137137A1 (ja) 顧客管理装置
EP3776493A1 (en) Method and system to improve driver information and vehicle maintenance
KR20180048187A (ko) 자동차보험사지정정비업체네트워크시스템
JP2015141600A (ja) リース残価設定額算出システム及びリース残価設定額算出方法、車両ビジネス活性化システム
KR20180065984A (ko) 차량 수리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5103187A (ja) 車両の評価システム及び車両の評価方法
KR20130012166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차 보험 견적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086895A (ko) 차량 a/s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AU2018100739A4 (e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combining cloud service platform, GNSS/GPS Map, and App over mobile phone or computer to solve the issues while Automobile/boat/motorbike/bike users need to find mechanic engineer (licensed) to service their automotive/boat/motorbike/bike in close area. The service providers can easily find where the customers are located and they can communicate via the App, computer and cloud system to exchange information data, and get all their services done.
KR20160013426A (ko) 차량용 데이터 저장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122967A (ko) 제조사의 외장부품정보 및 내장부품정보에 기반한 중고차 평가 방법 및 장치
US11845408B2 (en) Do-it-yourself automotive repair kit
KR101684445B1 (ko) 차량 유지를 위한 인터넷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3095399A (ja) 自動車履歴情報管理システム
US11769119B1 (en) Autonomous car repair
De Next-Gen business models for the automotive industry for connected cars and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