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6667A - 플로팅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로팅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6667A
KR20120086667A KR1020120007270A KR20120007270A KR20120086667A KR 20120086667 A KR20120086667 A KR 20120086667A KR 1020120007270 A KR1020120007270 A KR 1020120007270A KR 20120007270 A KR20120007270 A KR 20120007270A KR 20120086667 A KR20120086667 A KR 20120086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post
housing
socke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오쿠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86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로팅 커넥터(1)는, 2개의 배선 기판(2, 3)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소켓(4)과, 각각의 소켓(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헤더(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헤더(5)의 헤더 하우징(52)은, 배선 기판(2, 3)의 접속 방향으로 분할되고, 배선 기판(2, 3)의 접속 방향(Y)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X)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분할 하우징(52A, 52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분할 하우징(52A, 52B)에, 한 쌍의 소켓(4)을 수용하면서 끼워맞춰지는 수용 오목부(53)를 설치했다.

Description

플로팅 커넥터{FLOATING CONNECTOR}
본 발명은, 플로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플로팅 커넥터로서, 일본국 특허 공개 2010-23155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1이라고 표기함)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속하려고 하는 2개의 배선 기판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소켓과, 한 쌍의 소켓에 걸쳐서 부착되는 헤더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서는, 한 쌍의 소켓에 설치된 컨택트의 형상을 원호형상으로 함으로써, 콘택트와 헤더에 설치된 접촉부의 도통을 확보하면서, 배선 기판의 기판 접속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2010-23155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플로팅 커넥터에서는, 헤더 하우징의 훅을 소켓 하우징의 걸침부에 거는 것으로써, 헤더의 빠짐 방향으로의 이동은 규제되도록 하고 있지만, 헤더의 기판 접속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는 전혀 규제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2개의 배선 기판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크게 이동한 경우 등에, 헤더에 설치된 포스트가 소켓에 설치된 컨택트로부터 빠져 나와버릴 우려가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접촉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플로팅 커넥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개의 배선 기판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소켓과, 당해 한 쌍의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헤더를 구비하는 플로팅 커넥터로서, 상기 헤더는 헤더 하우징을 구비함과 더불어, 당해 헤더 하우징은, 2개의 배선 기판의 접속 방향으로 분할되고, 2개의 배선 기판의 접속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분할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분할 하우징에는, 상기 소켓을 수용하면서 끼워맞춰지는 수용 오목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헤더는 포스트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포스트의 양단부에는, 상기 소켓의 컨택트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설치됨과 더불어, 중앙부에는, 상기 분할 하우징의 상대 이동에 수반하여 휨 변형하는 변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용 오목부에는, 상기 소켓에 끼워맞춰진 상태로, 2개의 배선 기판의 접속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 허용 스페이스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한 쌍의 분할 하우징의 연결부에는, 상기 직교 방향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면서 상대측의 분할 하우징의 끼워맞춤 오목부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포스트는, 상기 헤더 하우징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착됨과 더불어, 상기 포스트와 상기 배선 기판 사이에 상기 헤더 하우징이 개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포스트는, 상기 헤더 하우징의 이면측으로부터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포스트는, 상기 접촉부를 제외한 노출 부분에 절연 재료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플로팅 커넥터의 평면도, (b)는 플로팅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a)는 도 1(a)의 A-A단면도, (b)는 도 1(a)의 B-B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소켓을 배선 기판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소켓을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소켓을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b)는 소켓을 정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소켓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소켓을 배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b)는 소켓을 정면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헤더를 표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헤더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헤더를 표면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헤더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헤더의 X방향으로의 플로팅시의 거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헤더의 Y방향으로의 플로팅시의 거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통상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b)는 헤더를 화살표(a)방향으로 최대한 플로팅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플로팅 커넥터의 평면도, (b)는 플로팅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헤더를 표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헤더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헤더를 표면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헤더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l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헤더의 X방향으로의 플로팅시의 거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2개의 배선 기판의 접속 방향을 Y방향, 헤더의 착탈 방향을 Z방향, 헤더의 착탈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있어서의 2개의 배선 기판의 접속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직교 방향)을 X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소켓의 상대측 소켓과 대향하는 측을 소켓의 접속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복수의 실시형태에는, 동일한 원가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들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공통 부호를 부여함과 더불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1)는, 소켓(4)과, 헤더(5)를 구비하고 있고, 헤더(5)를 한 쌍의 소켓(4)에 걸쳐서 장착함으로써, 2개의 배선 기판(2, 3)을, XY평면(헤더(5)의 착탈 방향에 수직인 평면)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 것이다.
소켓(4)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 설치되어 있고, 이들 한 쌍의 소켓(4)은, 개개의 배선 기판(2, 3)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소켓(4)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 기판(2, 3)에 실장되는 컨택트(41)를 갖고 있고, 이 컨택트(41)를 소켓 하우징(42) 내에 수납함으로써, 소켓(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헤더(5)는, 도 1(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소켓(4)에 걸쳐서 장착되어 있고, 장착시에는, 헤더(5)가 소켓(4)을 전체적으로 덮고 있다. 그리고, 이 헤더(5)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켓(4)의 컨택트(41)에 접촉하는 포스트(51)를 갖고 있고, 이 포스트(51)를 헤더 하우징(52) 내에 수납함으로써, 헤더(5)가 형성되어 있다.
소켓(4)은, 도 4(a) 및 도 5(a)에서는, 안쪽이 상대측 소켓(4)에 대향하는 측이 되고, 도 4(b) 및 도 5(b)에서는, 앞쪽이 상대측 소켓(4)에 대향하는 측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소켓(4)에는, 도 5(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택트(41)가 2개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컨택트(41)는, 단면 U자 형상으로 절곡된 기부(411)를 갖고 있다. 그리고, 기부(411)의 양측(X방향 양측)으로부터는, 접촉 단자가 되는 한 쌍의 선단부(412)가 소켓(4)의 접속측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선단부(412)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X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선단부(412)의 선단에는 서로 대향하도록 돌출하는 접촉점(413)이 설치되어 있다. 또, 기부(411)의 저부에는 배선 기판(2, 3)의 프린트 배선에 납땜 등에 의해 실장되는 단자부(414)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단자부(414)는, 기부(411)의 저부의 접속측과는 반대측(소켓(4)의 접속측과는 반대측)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소켓 하우징(42)은,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편평한 직방체의 하우징형상을 하고 있고, 소켓(4)의 접속측과는 반대측의 측면(42F1)의 양측부에는, 2개의 컨택트(41)를 삽입하는 직사각형상의 개구부(421)가 한 쌍 형성되어 있다. 또, 소켓 하우징(42)의 X방향 양측부에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42)의 상면(42F2)으로부터 소켓(4)의 접속측의 측면(42F3)에 걸쳐, Y방향을 따라 헤더(5)의 포스트(51)를 삽입하는 슬릿형상의 포스트 삽입구(422)가 한 쌍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컨택트(41)를, 선단부(412)측으로부터 개구부(421)에 삽입하여 당해 컨택트(41)를 소켓 하우징(42) 내에 수납한 상태로, 선단부(412)가 포스트 삽입구(422)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 소켓 하우징(42)의 접속측(소켓(4)의 접속측)의 측면(42F3)의 중앙부에는, 소켓 하우징(42)의 측면(42F3)측을 배선 기판(2, 3)에 고정하는 유지 금구(金具)(43)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4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구(423)에 유지 금구(43)의 기단부(431)를 압입하여 고정한 상태로, 선단부(432)를 배선 기판(2, 3)에 납땜함과 더불어, 상술한 단자부(414)를 배선 기판판(2, 3)에 납땜함으로써, 한 쌍의 소켓(4)이 배선 기판(2, 3)에 각각 고정된다(도 1(b) 및 도 3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켓 하우징(42)의 X방향의 양측면(42F4)에, 헤더 하우징(52)에 걸어맞춰지는 걸림 돌기(424)가 각각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헤더 하우징(52)은, 도 8,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Y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2개의 배선 기판(2, 3)의 접속 방향(Y방향)으로 분할된 제1의 분할 하우징(52A)과 제2의 분할 하우징(52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분할 하우징(52A, 52B)이 맞대어지는 연결부(52C)에는, 도 8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오목부(52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 오목부(521)는, 제1의 분할 하우징(52A)의 표면측 중앙부(X방향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오목부(521)의 X방향 폭양단에는, 내면간의 폭(X방향폭)이 W1가 되는 단차부(52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의 분할 하우징(52B)의 중앙부에는, X방향폭이 슬라이딩 오목부(521)의 폭 W1보다도 소폭인 W2(W2<W1)가 되는 돌출부(522)가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그리고, 슬라이딩 오목부(521)의 양 단차부(521a)간에 돌출부(522)를 겹쳐지도록 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춤으로써, 제1 및 제2의 분할 하우징(52A, 52B)은, X방향으로 W1-W2의 폭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 때, 연결부(52C)에는, 슬라이딩 오목부(521)의 양측 선단부 및 돌출부(522)의 선단부에, 상대측의 분할 하우징(52B, 52A)에 형성한 끼워맞춤 오목부(523, 524)에 거의 밀접하게 소정량 삽입되는 돌기부(525, 526)가 설치되어 있다(도 8부터 도 10 참조). 이 때의 삽입량, 즉 끼워맞춤 오목부(523, 524)의 깊이(Y방향 깊이) 및 돌기부(525, 526)의 돌출량(Y방향 돌출량)은, 헤더(5)를 소켓(4)으로부터 뺄 때에, 헤더(4)의 연결부(52C)가 굽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스트(51)는, 도 8,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컨택트(41)에 대응하여 X방향으로 한 쌍 배치되어 있다. 포스트(51)는, 전체적으로 Y방향으로 가늘고 긴 판형상을 하고 있고, 폭(w)방향이 Z방향이 되도록 배치된다. 포스트(51)의 Y방향 양단부에는, 컨택트(41)의 선단부(412)(접촉점(413))에 접촉하는 접촉부(511)가 설치되어 있다. 또, 포스트(51)의 Y방향의 중앙 부분에는, 제1 및 제2의 분할 하우징(52A, 52B)의 X방향의 상대 이동에 수반하여 휨 변형(도 10 참조)하는 변형부(512)가 설치되어 있다. 변형부(512)는, 폭(w)방향(Z방향)의 치수를 작게 해서 가늘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포스트(51)의 접촉부(511)와 변형부(512) 사이에는 고정부(5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부(513)는, 변형부(512)와 접촉부(511)를 연결하는 Z방향으로 좁은 폭의 연결부(514)로부터, 대략 일정한 폭(w1)(도 6, 7 참조)을 가지고 Z방향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의 분할 하우징(52A, 52B)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42)을 전체적으로 끼워맞추는 수용 오목부(53)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이 수용 오목부(53)는, 헤더 하우징(52)의 Y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도록 한 쌍 설치되어 있고, 소켓 하우징(42)의 Z방향 높이와 거의 같은 깊이(d)와, 소켓 하우징(42)의 X방향폭과 거의 같은 폭(w2)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헤더 하우징(52)을 소켓(4)에 씌웠을 때에는, 소켓 하우징(42)이 Z방향 및 X방향으로 거의 밀접하게 수용 오목부(53) 내에 끼워맞춰지게 된다. 이 때, 수용 오목부(53)의 X방향 양측에는, 소켓 하우징(42)의 걸림 돌기(424)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구멍(531)이 형성되어 있고, 수용 오목부(53) 내에 소켓 하우징(42)을 끼워맞출 때에, 걸림 돌기(424)가 걸어맞춤 구멍(531)에 걸어맞춰져 빠짐 방향으로 로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수용 오목부(53)에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켓(4)에 끼워맞춰진 상태로 Y방향으로 소정량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 허용 스페이스(S)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이동 허용 스페이스(S)는, 도 1(b)에서, 소켓(4)의 Y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스페이스(S1, S2)를 합산한 양이 된다. 따라서, 상술한 걸림 돌기(424)는, 헤더 하우징(52)(제1 및 제2의 분할 하우징(52A, 52B)이 소켓(4)에 대해 Y방향으로 S1+S2만큼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Y방향으로 여유를 가진 상태로 걸어맞춤 구멍(531)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즉, 걸림 돌기(424)와 걸어맞춤 구멍(531)을 걸어맞춘 상태로, 헤더(5)가 소켓(4)에 대해 Y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더 하우징(52)의 표면측으로부터 포스트(51)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분할 하우징(52A)에는, 수용 오목부(53)와 슬라이딩 오목부(521) 사이의 두께부(527)의 X방향 양측부에, 포스트(51)의 두께폭보다도 약간 좁은 부착홈(528)이 형성되어 있고, 제2의 분할 하우징(52B)에는, 수용 오목부(53)와 연결부(52C) 측단 사이의 두께부(529)의 X방향 양측부에 동일한 부착홈(52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의 분할 하우징(52A, 52B)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시킨 상태로, 포스트(51)의 고정부(513)를 부착홈(528)에 압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각각의 수용 오목부(53)의 저면(제1 및 제2의 분할 하우징(52A, 52B)의 천정면)에는, 포스트(51)의 접촉부(511)의 일측을 끼워맞추는 얕은 홈(관통 구멍)(528a)이 부착홈(528)으로부터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얕은 홈(528a)에 접촉부(511)를 관통시킴으로써, 당해 접촉부(511)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헤더(5)에 포스트(51)를 조립한 후에는, 고정부(513)가 제1 및 제2의 분할 하우징(52A, 52B)의 부착홈(528)에 각각 압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제1 및 제 2의 분할 하우징(52A, 52B)은, 포스트(51)에 의해 연결 상태가 유지되고, Y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스트(51)는, 노출 부분(51E), 즉, 접촉부(511), 변형부(512), 고정부(513) 및 연결부(514)의 상부 및 표면에, 절연 재료로서의 수지 코팅(515)이 실시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한 플로팅 커넥터(1)는, 이하와 같이 해서 조립된다.
먼저, 소켓(4)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한 후, 컨택트(41)의 단자부(414) 및 유지 금구(43)의 선단부(432)를 각각의 배선 기판(2, 3)에 납땜함으로써(도 3 참조), 도 1(b)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소켓(4)이 배선 기판(2, 3)에 각각 대향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도 8,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의 분할 하우징(52A, 52B)의 돌기부(525, 526)를, 상대측 분할 하우징(52B, 52A)의 끼워맞춤 오목부(523, 524)에 삽입하여 양 분할 하우징(52A, 52B)을 결합한 후, 포스트(51)를 부착홈(528)에 압입함으로써, 헤더(5)가 조립된다.
그리고, 배선 기판(2, 3)에 고정된 한 쌍의 소켓(4)에 걸쳐서 헤더(5)를 배치하고, 이 헤더(5)의 Y방향 양단부의 수용 오목부(53)를 각각의 소켓(4)에 씌우고, 걸림 돌기(424)와 걸어맞춤 구멍(531)을 걸어맞춤으로써, 헤더(5)가 소켓(4)에 장착된다.
이 때, 포스트(51)의 접촉부(511)가 소켓 하우징(42)의 포스트 삽입구(422)로부터 삽입되고, 컨택트(41)의 선단부(412) 사이에 끼워진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소켓(4)은 헤더(5)를 통해 도통 상태가 되고, 나아가서는 2개의 배선 기판(2, 3)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렇게 하여, 플로팅 커넥터(1)의 배선 기판(2, 3)에 대한 조립이 완료된다. 이 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스트(51)와 배선 기판(2, 3) 사이에 헤더 하우징(52)이 개재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 기판 2 또는 배선 기판 3과 포스트(51)의 변형부(512) 사이에 단차부(521a)가 개재하도록 하고 있다. 즉, Z방향으로 배선 기판(2(3)), 단차부(521c)변형부(512)의 순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헤더 하우징(52)을 Y방향으로 분할하여 제1 및 제2의 분할 하우징(52A, 52B)으로 구성하고, 각각의 분할 하우징(52A, 52B)을, 슬라이딩 오목부(521) 및 돌출부(522)를 통해 X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2개의 배선 기판(2, 3)이 X방향으로 어긋난 경우에도,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분할 하우징(52A, 52B)이 상대 이동하여 그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다.
또, 각각의 분할 하우징(52A, 52B)에, 한 쌍의 소켓(4)을 수용하여 끼워맞추는 수용 오목부(53)를 각각 설치했기 때문에, 이 수용 오목부(53)에 의해 헤더(5)와 소켓(4)이 X방향으로 상대 이동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데다가, Y방향으로도 설정량인 이동 허용 스페이스(S)를 넘어 상대 이동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2개의 배선 기판(2, 3)이 이들 접속 방향 및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량 이상으로 크게 어긋나는 것이 억제되고, 컨택트(41)와 포스트(51)의 접촉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로팅 커넥터(1)의 접촉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포스트(51)의 중앙 부분에, 분할 하우징(52A, 52B)의 상대 이동에 수반하여 휨 변형하는 변형부(512)를 설치하고 있다. 그 결과, 2개의 배선 기판(2, 3)의 X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포스트(51) 자체의 휨 변형에 의해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포스트(51)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저렴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Y방향으로 가늘고 긴 판형상의 포스트(51)의 중앙 부분을 변형시키도록 함으로써, 가동부가 길게 취해지기 때문에, 포스트(51)가 주저앉는 것이 억제되고, 분할 하우징(52A, 52B)을 원활하게 가동(상대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는 이점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용 오목부(53)에 이동 허용 스페이스(S)(=S1+S2)를 설치하고, 수용 오목부(53)에 소켓(4)을 끼워맞춘 상태로 헤더(5)의 소켓(4)에 대한 Y방향으로의 소정량(S1+S2)의 상대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2개의 배선 기판(2, 3)이 이들 접속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에도, 각각의 분할 하우징(52A, 52B)이 각각의 수용 오목부에 끼워맞춰져 있는 소켓(4)에 대해 상대 이동하여 그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포스트(51)의 접촉부(511)와 컨택트(41)의 선단부(412)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나, 접촉부(511)의 길이를 이동 허용 스페이스(S)의 거리보다도 길게 하여, 분할 하우징(52A, 52B)이 허용 범위 내에서 이동한 경우에, 접촉부(511)가 컨택트(41)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렇게 하면, 컨택트(41)와 포스트(51)의 접촉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분할 하우징(52A, 52B)의 연결부(52C)에, 2개의 배선 기판(2, 3)의 X방향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면서, 상대측의 분할 하우징(52B, 52A)에 삽입되는 돌기부(525, 526)를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헤더(5)를 소켓(4)으로부터 뺄 때에, 헤더(5)가 연결부(52C)로부터 굽어지는 것을 돌기부(525, 526)에 의해 억제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빼는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포스트(51)를 헤더 하우징(52)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착함과 더불어, 배선 기판 2 또는 배선 기판 3과 포스트(51)의 변형부(512) 사이에 단차부(521a)가 개재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배선 기판 2 또는 배선 기판 3과 포스트(51)의 변형부(512) 사이에 단차부(수지제의 헤더 하우징:절연 부재)(521a)를 개재시킴으로써, 배선 기판(2, 3)의 접속측 단면(2a, 3a)과 포스트(51)의 절연 거리(접속측 단면(2a, 3a))에서 포스트(51)의 노출 부분까지의 최단 거리)를, 배선 기판(2, 3)의 표면(2b, 3b) 및 단차부(521a)의 접속측 단면(521b)을 따른 연면 거리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포스트(51)와 배선 기판(2, 3) 사이의 절연 거리를 소정의 거리 이상으로 유지하여 내전압을 확보하면서, 플로팅 커넥터(1)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포스트(51)의 노출 부분에 수지 코팅(515)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감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1A)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고, 소켓(4)과 헤더(5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헤더(5A)를 한 쌍의 소켓(4)에 걸쳐서 장착함으로써, 2개의 배선 기판(2, 3)을, XY평면(헤더(5A)의 착탈 방향에 수직인 평면)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플로팅 커넥터(1A)가 상기 제1 실시형태의 플로팅 커넥터(1)와 주로 상이한 점은, 헤더 하우징(52)의 이면측으로부터 포스트(51)를 수납 하도록 한 데에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더(5A)는, 도 12(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소켓(4)에 걸쳐서 장착되어 있고, 장착시에는, 헤더(5A)가 소켓(4)을 전체적으로 덮고 있다. 그리고, 이 헤더(5A)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켓(4)의 컨택트(41)에 접촉하는 포스트(51)를 갖고 있고, 이 포스트(51)를 헤더 하우징(52) 내에 수납함으로써, 헤더(5A)가 형성되어 있다.
헤더 하우징(52)은, 도 15,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Y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2개의 배선 기판(2, 3)의 접속 방향(Y방향)으로 분할된 제1의 분할 하우징(52A)과 제2의 분할 하우징(52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분할 하우징(52A, 52B)이 맞대어지는 연결부(52C)에는, 도 16 및 도 17(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오목부(52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 오목부(521)는, 제1의 분할 하우징(52A)의 이면측 중앙부(X방향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오목부(521)의 X방향폭 양단에는, 내면간의 폭(X방향폭)이 W1가 되는 단차부(52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의 분할 하우징(52B)의 중앙부에는, X방향폭이 슬라이딩 오목부(521)의 폭(w1)보다도 소폭인 W2(W2<W1)가 되는 돌출부(522)가 형성되어 있다(도 17 참조).
그리고, 슬라이딩 오목부(521)의 양 단차부(521a)간에 돌출부(522)를 겹쳐지도록 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춤으로써, 제1 및 제2의 분할 하우징(52A, 52B)은, X방향으로 W1-W2의 폭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 때, 연결부(52C)에는, 슬라이딩 오목부(521)의 양측 선단부 및 돌출부(522)의 선단부에, 상대측의 분할 하우징(52B, 52A)에 형성한 끼워맞춤 오목부(523, 524)에 거의 밀접하게 소정량 삽입되는 돌기부(525, 526)가 설치되어 있다(도 17(a), (b) 참조). 이 때의 삽입량, 즉 끼워맞춤 오목부(523, 524)의 깊이(Y방향 깊이) 및 돌기부(525, 526)의 돌출량(Y방향 돌출량)은, 헤더(5A)를 소켓(4)으로부터 뺄 때에, 헤더(4)의 연결부(52C)가 굽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스트(51)는, 도 15,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컨택트(41)에 대응하여 X방향으로 한 쌍 배치되어 있다. 포스트(51)는, 전체적으로 Y방향으로 가늘고 긴 판형상을 하고 있고, 폭(w)방향이 Z방향이 되도록 배치된다. 포스트(51)의 Y방향 양단부에는, 컨택트(41)의 선단부(412)(접촉점(413))에 접촉되는 접촉부(511)가 설치되어 있다. 또, 포스트(51)의 Y방향의 중앙 부분에는, 제1 및 제2의 분할 하우징(52A, 52B)의 X방향의 상대 이동에 수반하여 휨 변형(도 17(b) 참조)하는 변형부(512)가 설치되어 있다. 변형부(512)는, 폭(w)방향(Z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여 가늘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 포스트(51)의 접촉부(511)와 변형부(512) 사이에는 고정부(5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부(513)는, 변형부(512)와 접촉부(511)를 연결하는 Z방향으로 좁은 폭의 연결부(514)로부터, 대략 일정한 폭(w1)(도 15, 16 참조)을 가지고 Z방향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또, 제1 및 제2의 분할 하우징(52A, 52B)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42)을 전체적으로 끼워맞추는 수용 오목부(53)가 각각 설치되고 있다. 이 수용 오목부(53)는, 헤더 하우징(52)의 Y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도록 한 쌍 설치되어 있고, 소켓 하우징(42)의 Z방향 높이와 거의 같은 깊이(d)와, 소켓 하우징(42)의 X방향폭과 거의 같은 폭(w2)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헤더 하우징(52)을 소켓(4)에 씌웠을 때에는, 소켓 하우징(42)이 Z방향 및 X방향으로 거의 밀접하게 수용 오목부(53) 내에 끼워맞춰지게 된다. 이 때, 수용 오목부(53)의 X방향 양측에는, 소켓 하우징(42)의 걸림 돌기(424)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구멍(531)이 형성되어 있고, 수용 오목부(53) 내에 소켓 하우징(42)을 끼워맞췄을 때에, 걸림 돌기(424)가 걸어맞춤 구멍(531)에 걸어맞춰져 빠짐 방향으로 로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수용 오목부(53)에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켓(4)에 끼워맞춰진 상태로 Y방향으로 소정량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 허용 스페이스(S)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이동 허용 스페이스(S)는, 소켓(4)의 Y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스페이스(S1, S2)를 합산한 양이 된다. 따라서, 상술한 걸림 돌기(424)는, 제1 및 제2의 분할 하우징(52A, 52B)이 Y방향으로 S1+S2만큼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Y방향으로 여유를 가진 상태로 걸어맞춤 구멍(531)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즉, 걸림 돌기(424)와 걸어맞춤 구멍(531)을 걸어맞춘 상태로, 헤더(5A)가 소켓(4)에 대해 Y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더 하우징(52)의 이면측으로부터 포스트(51)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도 16 참조). 구체적으로는, 제1의 분할 하우징(52A)에는, 수용 오목부(53)와 슬라이딩 오목부(521) 사이의 두께부(527)의 X방향 양측부에, 포스트(51)의 두께폭보다도 약간 좁은 부착홈(528)이 형성되어 있고, 제2의 분할 하우징(52B)에는, 수용 오목부(53)와 연결부(52C)측단 사이의 두께부(529)의 X방향 양측부에 동일한 부착홈(52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의 분할 하우징(52A, 52B)을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시킨 상태로, 포스트(51)의 고정부(513)를 부착홈(528)에 압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각각의 수용 오목부(53)의 저면에는, 포스트(51)의 접촉부(511)의 일측을 끼워맞추는 얕은 홈(528a)이 부착홈(528)으로부터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얕은 홈(528a)에 의해 접촉부(511)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헤더(5A)에 포스트(51)를 조립한 후에는, 고정부(513)가 제1 및 제2의 분할 하우징(52A, 52B)의 부착홈(528)에 각각 압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제1 및 제2의 분할 하우징(52A, 52B)은, 포스트(51)에 의해 연결 상태가 유지되고, Y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스트(51)는, 접촉부(511)를 제외한 노출 부분(51E), 즉, 변형부(512), 고정부(513) 및 연결부(514)에, 절연 재료로서의 수지 코팅(515)이 실시되어 있다.
이상의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포스트(51)를 헤더 하우징(52)의 이면측으로부터 부착하도록 했기 때문에, 포스트(51)가 헤더의 표면에 노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감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포스트(51)의 접촉부(511)를 제외한 노출 부분에 수지 코팅(515)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포스트(51)와 배선 기판(2, 3) 사이의 절연 거리를 유지하여 내전압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소켓이나 헤더의 형상이 직사각형상인 것을 예시했는데, 그 이외의 형상이더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분할 하우징의 연결부에 돌기부를 3개소 설치한 것을 예시했는데, 분할 하우징이 접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되고, 예를 들면, 돌기부가 빗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컨택트나 포스트, 그 외 세부 스펙(형상, 크기, 레이아웃 등)도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Claims (7)

  1. 2개의 배선 기판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소켓과, 당해 한 쌍의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헤더를 구비하는 플로팅 커넥터로서,
    상기 헤더는 헤더 하우징을 구비함과 더불어, 당해 헤더 하우징은, 2개의 배선 기판의 접속 방향으로 분할되고, 2개의 배선 기판의 접속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분할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분할 하우징에는, 상기 소켓을 수용하면서 끼워 맞춰지는 수용 오목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포스트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포스트의 양단부에는, 상기 소켓의 컨택트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설치됨과 더불어, 중앙부에는, 상기 분할 하우징의 상대 이동에 수반하여 휨 변형하는 변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플로팅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오목부에는, 상기 소켓에 끼워맞춰진 상태로, 2개의 배선 기판의 접속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 허용 스페이스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분할 하우징의 연결부에는, 상기 직교 방향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면서 상대측의 분할 하우징의 끼워맞춤 오목부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상기 헤더 하우징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착됨과 더불어, 상기 포스트와 상기 배선 기판 사이에 상기 헤더 하우징이 개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상기 헤더 하우징의 이면측으로부터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상기 접촉부를 제외한 노출 부분에 절연 재료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플로팅 커넥터.
KR1020120007270A 2011-01-26 2012-01-25 플로팅 커넥터 KR201200866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14621A JP2012156021A (ja) 2011-01-26 2011-01-26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JP-P-2011-014621 2011-0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667A true KR20120086667A (ko) 2012-08-03

Family

ID=4656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270A KR20120086667A (ko) 2011-01-26 2012-01-25 플로팅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2156021A (ko)
KR (1) KR20120086667A (ko)
CN (1) CN102623819A (ko)
TW (1) TW2012329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987U (ko) * 2020-02-24 2021-09-02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플로팅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3486B2 (ja) * 2012-03-28 2015-12-16 日本モレックス合同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8701A (en) * 1988-09-23 1990-07-03 Hayes Microcomputer Products, Inc. Connecting bracket for modular circuit boards
JP2591579Y2 (ja) * 1992-03-19 1999-03-03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コネクタ装置
JP4637936B2 (ja) * 2008-07-30 2011-02-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連結用電気コネクタそしてこれと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JP2010232155A (ja) * 2009-03-06 2010-10-14 Fujitsu Component Ltd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987U (ko) * 2020-02-24 2021-09-02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플로팅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56021A (ja) 2012-08-16
TW201232927A (en) 2012-08-01
CN102623819A (zh) 201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2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30295784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d component,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KR20150110313A (ko) 커넥터 조립체
KR20150110333A (ko) 커넥터
EP2874238A1 (en) Connector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KR20150055584A (ko) 전기 커넥터
KR101514372B1 (ko) 커넥터
TWI782354B (zh) 板端連接器和連接器組件
WO2016199831A1 (ja) トランシーバモジュール用プラグコネクタ、トランシーバモジュール用リセプタクルアセンブリ、および、トランシーバ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
JP2008192474A (ja) 外導体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JP5587807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5336679B1 (ja) コネクタ
JP2022066930A (ja) 平型導体付電気コネクタ
KR20120086667A (ko) 플로팅 커넥터
JP3192828U (ja) 電気コネクタ
WO2013128849A1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および当該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KR102417816B1 (ko) 커넥터 조립체
KR20090090247A (ko) 접속용 소켓
JP5521845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2015005395A (ja) コネクタ
CN114600321B (zh) 连接器
JP5833486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
JP6491008B2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2022066929A (ja) 平型導体付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24068763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