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5518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5518A
KR20120085518A KR1020110006893A KR20110006893A KR20120085518A KR 20120085518 A KR20120085518 A KR 20120085518A KR 1020110006893 A KR1020110006893 A KR 1020110006893A KR 20110006893 A KR20110006893 A KR 20110006893A KR 20120085518 A KR20120085518 A KR 20120085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waste developer
cartridge
waste
shut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2204B1 (ko
Inventor
김성주
권세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6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204B1/ko
Priority to US13/354,382 priority patent/US8787796B2/en
Publication of KR20120085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9Structural door de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체와, 본체 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유닛과,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현상유닛의 설치를 위해 마련된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현상유닛은 폐현상제 배출구가 마련된 현상 카트리지와, 폐현상제 유입구가 마련된 현상제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폐현상제 배출구는 개구가 개방됨에 따라 제 2 셔터부재에 의해 폐쇄되고, 폐현상제 유입구는 현상제 카트리지가 현상 카트리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제 1 셔터부재에 의해 폐쇄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현상 카트리지 및 현상제 카트리지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폐현상제가 누설되는 것은 방지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현상 카트리지와 현상제 카드리지로 분리되는 현상유닛을 갖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적재 또는 급지하고 그 내부의 각종 부품을 지지하거나 구동하는 본체와, 본체에 장착되어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현상유닛은 인쇄속도, 현상방식, 시스템 레이아웃 등에 따라 1 피스(One-Piece)방식, 2피스(Two-Piece)방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술한 두 방식 중 2 피스(Two-Piece)방식은 화상을 형성하는 부분과 현상제를 공급하는 부분이 각각 현상 카트리지와 현상제 카트리지로 분리되어 별도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현상제 카트리지에 저장된 현상제는 현상 카트리지로 공급되며, 현상 카트리지 내부에서 사용되고 남은 폐현상제는 다시 현상제 카트리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를 탈착하는 과정에서 폐현상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유닛 및 이러한 현상유닛을 갖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본체에 마련된 개구를 통해 본체 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폐현상제 배출을 위한 폐현상제 배출구가 마련된 현상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저장부와 폐현상제 배출구에서 배출된 폐현상제가 유입되는 폐현상제 유입구가 마련된 폐현상제 저장부를 포함하며 현상 카트리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 카트리지와,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본체 커버와, 본체에 장착된 현상 카트리지에 현상제 카트리지를 장착함에 따라 폐현상제 유입구를 개방하는 제 1 셔터부재와, 현상제 카트리지를 장착한 후 본체 커버를 폐쇄함에 따라 폐현상제 배출구를 개방하는 제 2 셔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셔터부재는 현상제 카트리지를 현상 카트리지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폐현상제 유입구를 폐쇄한다.
또한 제 1 셔터부재가 폐토너 유입구를 폐쇄하도록 제 1 셔터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 1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제 2 셔터부재는 본체 커버가 개구를 개방함에 따라 폐현상제 배출구를 폐쇄한다.
또한 제 2 셔터부재가 폐토너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제 2 셔터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제 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 2 셔터부재가 본체 커버의 개폐에 따라 폐현상제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현상 카트리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연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본체 커버는 본체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연동부재를 이동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또한 연동부재는 전단이 본체 커버를 향하여 배치되고 후단이 현상 카트리지를 향하여 배치되며, 제 2 셔터부재는 연동부재 전단의 이동 경로 상으로 돌출되어 연동부재의 전단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는 하면에 폐현상제 배출구가 마련된 폐현상제 배출부를 포함하며, 현상제 카트리지는 상면에 폐현상제 유입구가 마련된 폐현상제 유입부를 포함하며, 제 1 셔터부재는 폐현상제 유입부 상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현상제 카트리지가 현상 카트리지에 장착됨에 따라 폐현상제 배출부가 폐현상제 유입부 상측으로 진입하여 제 1 셔터부재를 이동시킨다.
또한 현상제 카트리지는 그 외부 형태를 형성하며 일측에 폐현상제 유입부가 마련된 현상제 하우징과, 현상제 하우징의 일측에 폐현상제 유입부를 덮도록 설치되며 폐현상제 배출부가 폐현상제 유입부 상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진입부가 마련된 제 1 측면 커버를 포함하며, 현상 카트리지는 그 외부 형태를 형성하는 현상 하우징과, 폐현상제 배출부가 일체로 연장되며 현상 하우징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 2 측면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제 2 셔터부재는 폐현상제 배출부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 1 셔터부재는 제 1 측면 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본체에 마련된 개구를 통해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유닛을 포함하며, 현상유닛은 본체에 마련된 개구를 통해 본체 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폐현상제 배출을 위한 폐현상제 배출구가 마련된 현상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저장부와 폐현상제 배출구에서 배출된 폐현상제가 유입되는 폐현상제 유입구가 마련된 폐현상제 저장부를 포함하며 현상 카트리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제 카트리지와, 폐현상제 카트리지가 현상 카트리지에 탈착됨에 따라 폐현상제 유입구를 개폐하는 제 1 셔터부재와, 제 1 셔터부재가 폐현상제 유입구를 폐쇄하도록 제 1 셔터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 1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본체에 마련된 개구를 통해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유닛과, 개구를 개폐하는 본체 커버를 포함하며, 현상유닛은 본체에 마련된 개구를 통해 본체 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폐현상제 배출을 위한 폐현상제 배출구가 마련된 현상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저장부와 현상제 배출구에서 배출된 폐현상제가 유입되는 폐현상제 유입구가 마련된 폐현상제 저장부를 포함하며 현상 카트리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제 카트리지와, 본체 커버와 연동하여 폐현상제 배출구를 개폐하는 제 2 셔터부재와, 제 2 셔터부재가 폐현상제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제 2 셔터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폐현상제 배출구는 커버와 연동하여 개폐되고, 폐현상제 유입구는 현상제 카트리지를 현상 카트리지와 탈착함에 따라 개폐되므로, 현상 카트리지 및 현상제 카트리지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폐현상제 배출구 또는 폐현상제 유입구를 통한 폐현상제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현상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현상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현상 카트리지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현상제 카트리지가 현상 카트리지로부터 장착됨에 따른 제 1 셔터부재의 동작을 개시한 개략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본체 커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 2 셔터부재의 동작을 개시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인쇄매체(P)가 저장되는 급지유닛(20)과,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유닛(30)과, 대전된 현상유닛(30)의 감광체(313)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40)과, 인쇄매체(P)에 현상된 현상제를 인쇄매체(P)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5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그 상부에 화상 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P)가 적재되는 적재부(10a)가 마련되며, 적재부(10a)의 일측에는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P)가 배출되는 배지구(10b)가 마련된다. 본체(10)의 일측에는 현상유닛(30)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하거나 본체(10)에 인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구(10c)가 마련되며, 본체(10)의 개구(10c) 인접부에는 회전하며 개구(10c)를 개폐하는 본체 커버(11)가 설치된다.
급지유닛(20)은 본체(10)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급지 카세트(21)와, 급지 카세트(21) 내에 배치되어 인쇄매체(P)가 적재되는 녹업 플레이트(22)와, 녹업 플레이트(22)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3)를 포함한다.
현상유닛(3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에 의한 가시화상을 수용하는 상담지체로 이루어져 노광유닛(40)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313)와, 감광체(313)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감광체(313)의 정전잠상이 현상제에 의한 가시화상으로 현상되도록 하는 현상롤러(314A)와, 감광체(313)의 표면이 대전되도록 하는 대전롤러(314B)를 포함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노광유닛(40)은 화상 정보가 포함된 광을 현상유닛(30)에 마련된 감광체(313)에 조사하여 각 감광체(313)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정착유닛(50)은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롤러(51)와, 외주면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인쇄매체(P)를 가열롤러(51)의 외주면에 가압하는 가압롤러(52)를 포함한다.
본체(10)에는 급지유닛(20)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어 녹업 플레이트(22)에 적재된 인쇄매체(P)를 한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12)와, 픽업롤러(12)에 의해 픽업된 인쇄매체(P)를 그 상측의 현상유닛(30)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13)와, 감광체(313)와 대향 배치되어 감광체(313) 상의 현상제가 인쇄매체(P)에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롤러(14)와, 정착유닛(50) 상측에 배치되며 배지구(10b) 인접부에 배치되어 정착유닛(50)을 통과한 인쇄매체(P)가 배지구(10b)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배지롤러(15)와, 양면 인쇄를 위해 반송되는 인쇄매체(P)의 반송경로를 형성하는 양면인쇄 가이드(16)와, 인쇄매체(P)의 반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인쇄매체(P)를 이송하는 반송롤러(17)들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P)가 본체(10)의 전방측에서 투입되어 본체(10) 내부에서 인쇄과정을 거쳐 다시 본체(10)의 전방측을 향하여 배출되는 구조(FIFO : Front In Front Out)를 갖는다. 즉 사용자는 급지 카세트(21)를 본체(10)의 전방측으로 잡아당겨 인쇄매체(P)를 본체(10)의 전방측에서 공급하고, 인쇄가 완료된 인쇄매체(P)는 본체(10)의 전방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인쇄매체(P)는 본체(10) 내부에서 대략 'S'자 경로를 따라 이송된다. 본체(10)의 전면부(F)에서 인쇄매체(P)가 투입 또는 배출되며, 전면부(F)에서 출력된 용지를 인쇄방향과 동일하게 받아서 볼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쇄매체(P)의 본체(10)의 좌우 방향의 폭을 줄일 수 있어 공간 활용에 유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현상유닛(30)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급지유닛(20)으로부터 이송되는 인쇄매체(P)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카트리지(310)와, 현상 카트리지(310)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현상제 저장부(320a)와 폐현상제 저장부(320b)가 구획되게 마련되어 현상 카트리지(310)에 현상제 저장부(320a)의 현상제를 공급하고 현상 카트리지(310)에서 발생한 폐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카트리지(320)를 포함한다.
현상 카트리지(310)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술한 감광체(313), 현상롤러(314A) 및 대전롤러(314B)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 하우징(311)과, 현상제 카트리지(320)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교반하는 교반스크류(314)들과, 감광체(313)의 표면에 잔류한 폐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부재(315)와, 클리닝부재(315)에 의해 제거된 폐현상제를 현상 하우징(311)의 일측으로 이송하는 제 1 폐현상제 이송스크류(316)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현상 카트리지 및 현상제 카트리지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현상 카트리지(310)는 현상 하우징(311)의 일측에 설치되어 현상 카트리지(310)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 2 측면 커버(312)를 포함한다. 제 2 측면 커버(312)에는 폐현상제를 현상제 카트리지(320)로 안내하는 폐현상제 배출부(312a)가 일체로 연장되며, 제 2 측면 커버(312)에는 제 1 폐현상제 이송스크류(316)에 의해 이송된 폐현상제를 전달받아 현상제 카트리지(320)로 이송하는 폐현상제 이송벨트(318)가 배치된다. 폐현상제 배출부(312a)의 하면에는 폐현상제 이송벨트(318)에 의해 이송된 폐현상제가 현상제 카트리지(32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폐현상제 배출구(312b)가 마련된다.
또한 제 2 측면 커버(312)에는 폐현상제를 폐현상제 배출구(312b)로 안내하는 폐현상제 안내부(312d)가 마련되어, 폐현상제 안내부(312d) 내에 폐현상제 이송벨트(318)가 배치된다. 또한 제 2 측면 커버(312)에는 폐현상제 안내부(312d)로부터 폐현상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내부 덮개(319)가 마련된다. 안내부 덮개(319)에는 제 1 폐현상제 이송스크류(316)를 통해 폐현상제가 전달되는 폐현상제 전달공(319a)이 마련된다.
따라서 현상제 카트리지(320)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는 현상 하우징(311)의 내부로 유입되어 교반스크류(314)들에 의해 현상 하우징(311)의 일측으로 교반 및 이송되고, 교반 및 이송된 현상제는 현상롤러(314A)에 의해 감광체(313)로 공급되어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313)에서 인쇄매체(P)로 전사되지 않은 현상제는 감광체(313)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클리닝부재(315)에 의해 감광체(313)로부터 분리되어 클리닝부재(315)의 하부에 위치한 제 1 폐현상제 이송스크류(316)로 이송되며, 제 1 폐현상제 이송스크류(316)는 클리닝부재(315)에 의해 분리된 폐현상제를 폐현상제 전달공(319a)을 통해 폐현상제 이송벨트(318)가 배치된 제 2 측면 커버(312)로 이송한다. 제 2 측면 커버(312)로 이송된 폐현상제는 폐현상제 이송벨트(318)에 의해 폐현상제 배출부(312a)의 폐현상제 배출구(312b)로 전달되어 폐현상제 배출구(312b)를 통해 현상제 카트리지(320)로 배출된다.
현상제 카트리지(320)는 그 외부 형태를 형성하며 내부에 상술한 현상제 저장부(320a)와 폐현상제 저장부(320b)가 마련된 현상제 하우징(321)과, 현상제 저장부(320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현상제가 현상 카트리지(3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현상제 이송스크류(323)와, 폐현상제 저장부(320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현상 카트리지(310)에서 전달된 폐현상제를 폐현상제 저장부(320b) 내로 이송하는 제 2 폐현상제 이송스크류(324)를 포함한다.
또한 현상제 하우징(321)에는 폐현상제 배출구(312b)를 통해 배출된 폐현상제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폐현상제 배출구(312b)의 하측에 폐현상제 배출구(312b)와 대향되게 폐현상제 유입구(321b)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폐현상제 유입구(321b)는 현상제 하우징(321)의 일 측면으로부터 일체로 돌출된 폐현상제 유입부(321a)의 상면에 마련되며, 상술한 폐현상제 배출부(312a)는 현상제 카트리지(320)가 현상 카트리지(310)에 장착됨에 따라 폐현상제 유입부(321a)의 상측으로 진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현상제 카트리지(320)는 현상제 하우징(321)의 측면에 설치되어 현상제 카트리지(320)의 측면을 형성하며 폐현상제 유입부(321a)를 덮는 제 1 측면 커버(322)를 포함하며, 제 1 측면 커버(322)에는 폐현상제 배출부(312a)가 폐현상제 유입부(321a) 상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진입부(322a)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현상제 저장부(320a)에 저장된 현상제는 현상제 이송스크류(323)에 의해 현상제 저장부(320a)에서 현상 카트리지(310)로 전달되며, 현상 카트리지(310)의 폐현상제 배출구(312b)를 통해 배출된 폐현상제는 폐현상제 배출구(312b)의 하측에 배치되는 폐현상제 유입구(321b)를 통해 폐현상제 저장부(320b)로 유입된다. 제 2 폐현상제 이송스크류(324)는 폐현상제 저장부(320b)로 유입된 폐현상제가 폐현상제 저장부(320b)의 내부에서 분산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현상 카트리지(310)를 교체하기 위해 본체(10)로부터 현상 카트리지(310)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폐현상제 배출구(312b)를 통해 폐현상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 카트리지(310)에는 제 2 셔터부재(317)가 배치된다.
제 2 셔터부재(317)는 폐현상제 배출부(312a)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 커버(11)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이동하며 폐현상제 배출구(312b)를 개폐한다. 즉, 현상 카트리지(310)를 인출하기 위해 본체 커버(11)를 회전시켜 개구(10c)를 개방할 경우에 제 2 셔터부재(317)가 폐현상제 배출구(312b)를 폐쇄하고, 본체 커버(11)로 개구(10c)를 폐쇄할 경우에 제 2 셔터부재(317)가 폐현상제 배출구(312b)를 개방한다.
제 2 셔터부재(317)가 폐현상제 배출부(312a)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폐현상제 배출부(312a)에는 제 2 셔터부재(317)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가이드슬롯(312c)이 마련되며, 제 2 셔터부재(317)에는 제 2 가이드슬롯(312c)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부(317a)가 마련된다.
제 2 셔터부재(317)가 본체 커버(11)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현상 카트리지(310)의 현상 하우징(311) 일측에는 그 전단이 개구(10c)를 향하여 배치되고 그 후단이 제 2 셔터부재(317)를 향하여 배치된 연동부재(325)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연동부재(325)는 연동부재(325)가 현상 하우징(31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연동 브래킷(326)을 통해 현상 하우징(31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본체 커버(11)에는 그 내면으로부터 연동부재(325)의 전단을 향하여 연장된 가압부(11a)가 마련된다.
연동부재(325)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현상 하우징(311)의 측면에는 두 개의 제 1 연동 가이드부(321c)가 돌출되어 있으며, 연동부재(325)에는 연동부재(325)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두 제 1 연동 가이드부(321c)가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제 1 연동 가이드슬릿(325a)이 마련된다. 또한 연동 브래킷(326)에는 연동부재(325)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 2 연동 가이드슬릿(326a)이 마련되며, 연동부재(325)에는 제 2 연동 가이드슬릿(326a)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연동 가이드부(325b)가 마련된다.
제 2 셔터부재(317)에는 이동하는 연동부재(325)의 후단에 걸려 제 2 셔터부재(317)가 연동부재(325)와 함께 이동하도록 하는 걸림부(317b)가 마련된다. 걸림부(317b)는 안내부 덮개(319)에 제 2 셔터부재(317)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마련된 걸림부 가이드슬릿(319c)을 통해 안내부 덮개(319)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동부재(325) 후단의 이동 경로 상에 돌출된다.
제 2 셔터부재(317)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제 2 탄성부재(317d)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제 2 셔터부재(317)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 2 셔터부재(317)가 제 2 탄성부재(317d)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폐현상제 배출구(312b)를 폐쇄한다. 제 2 탄성부재(317d)는 일단이 제 2 셔터부재(317)에 마련된 제 1 지지부(317c)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 2 측면 커버(312)와 안내부 덮개(319)에 마련된 제 2 지지부(319b, 312e)에 지지된다.
또한 사용자가 현상제 카트리지(320)를 교체하기 위해 현상제 카트리지(320)를 현상 카트리지(310)와 분리하여 본체(10)로부터 인출하는 과정에서 폐현상제 유입구(321b)를 통해 폐현상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제 카트리지(320)에는 제 1 셔터부재(324)가 배치된다.
제 1 셔터부재(324)는 폐현상제 유입구(321b) 상측에 배치되며 제 1 측면 커버(32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하며 폐현상제 유입구(321b)를 개폐한다. 제 1 셔터부재(324)가 제 1 측면 커버(32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 1 측면 커버(322)에는 제 1 셔터부재(324)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1 가이드슬롯(322b)이 마련되며, 제 1 셔터부재(324)에는 제 1 가이드슬롯(322b)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부(323a)가 마련된다.
또한 외력이 전달되기 이전까지 제 1 셔터부재(324)에 의해 폐현상제 유입구(321b)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 1 셔터부재(323)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제 1 탄성부재(324)를 통해 제 1 측면 커버(322)에 탄성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현상제 카트리지(320)가 현상 카트리지(310)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 1 탄성부재(32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 1 셔터부재(324)가 폐현상제 유입구(321b)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현상제 카트리지(320)를 현상 카트리지(310)에 결합하면, 현상 카트리지(310)의 폐현상제 배출부(312a)가 제 1 측면 커버(322)의 진입부(322a)를 통해 폐현상제 유입부(321a)상측으로 진입한다. 폐현상제 유입구(321b)의 상측으로 진입한 폐현상제 배출부(312a)의 선단은 폐현상제 유입부(321a) 상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 1 셔터부재(324)를 밀어 폐현상제 유입구(321b)를 개방하게 한다. 이때, 폐현상제 배출구(312b)의 하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폐현상제 배출구(312b)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폐현상제 배출구(312b)와 폐현상제 유입구(321b)는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게 되어 폐현상제 배출구(312b)를 통해 배출된 폐현상제가 폐현상제 유입구(321b)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현상유닛의 장착 및 분리과정을 차례로 설명한다.
먼저 개구(10c)를 통해 현상 카트리지(310)를 본체(10)에 설치한다. 이때, 현상 카트리지(310)에 마련된 폐현상제 배출구(312b)는 제 2 셔터부재(317)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현상 카트리지(310)의 설치가 완료된 후, 개구(10c)를 통해 현상제 카트리지(320)를 본체(10) 내에 설치하여 현상제 카트리지(320)가 현상 카트리지(310)에 설치되도록 한다.
현상제 카트리지(320)가 현상 카트리지(310)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현상제 카트리지(320)의 폐현상제 배출부(312a)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310)에 마련된 진입부(322a)를 통해 폐현상제 유입부(321a) 상측으로 진입한다. 폐현상제 유입부(321a) 상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던 제 1 셔터부재(324)는 폐현상제 배출부(312a)에 밀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하므로, 제 1 셔터부재(324)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폐현상제 유입구(321b)는 개방된다.
현상제 카트리지(320)의 설치가 완료된 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커버(11)를 통해 개구(10c)를 폐쇄하면, 본체 커버(11)에 마련된 가압부(11a)가 연동부재(325)의 전단을 가압하여 연동부재(325)를 현상 카트리지(310)를 향항여 이동시킨다. 연동부재(325)의 이동에 따라 연동부재(325)의 전단은 제 2 셔터부재(317)에 마련된 걸림부(317b)에 걸리므로, 연동부재(325)와 함께 제 2 셔터부재(317)가 이동하고, 그에 따라 제 2 셔터부재(317)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폐현상제 배출구(312b)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된다.
반대로 현상제 카트리지(320)와 현상 카트리지(31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먼저 본체 커버(11)를 회전시켜 개구(10c)를 개방한다. 개구(10c)를 개방함에 따라 본체 커버(11)의 가압부(11a)에 의해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던 연동부재(325) 및 제 2 셔터부재(317)가 제 2 탄성부재(317d)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하며, 제 2 셔터부재(317)의 이동에 따라 제 1 폐현상제 배출구(312b)는 폐쇄된다.
계속해서 현상제 카트리지(320)를 현상 카트리지(310)로부터 분리하여 개구(10c)를 통해 인출하면, 제 1 셔터부재(324)를 밀고 있던 폐현상제 배출부(312a)가 폐현상제 유입부(321a) 상측에서 이탈하므로 제 1 셔터부재(324)는 제 1 탄성부재(32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하여 폐현상제 유입구(321b)를 폐쇄한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310) 및 현상제 카트리지(320)를 본체(10)로부터 인출하더라도 폐현상제 배출구(312b)와 폐현상제 유입구(321b)는 제 2 셔터부재(317)와 제 1 셔터부재(324)에 의해 각각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폐현상제는 누설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커버
11a: 가압부 30: 현상유닛
310: 현상 카트리지 312a: 폐현상제 배출부
312b: 폐현상제 배출구 317: 제 2 셔터부재
320: 현상제 카트리지 321a: 폐현상제 유입부
321b: 폐현상제 유입구 324: 제 1 셔터부재
325: 연동부재

Claims (15)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된 개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폐현상제 배출을 위한 폐현상제 배출구가 마련된 현상 카트리지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저장부와 상기 폐현상제 배출구에서 배출된 폐현상제가 유입되는 폐현상제 유입구가 마련된 폐현상제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 카트리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 카트리지와,
    상기 본체의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본체 커버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기 현상 카트리지에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를 장착함에 따라 상기 폐현상제 유입구를 개방하는 제 1 셔터부재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를 장착한 후 상기 본체 커버를 폐쇄함에 따라 상기 폐현상제 배출구를 개방하는 제 2 셔터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셔터부재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를 상기 현상 카트리지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상기 폐현상제 유입구를 폐쇄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셔터부재가 상기 폐토너 유입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 1 셔터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 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셔터부재는 상기 본체 커버가 상기 개구를 개방함에 따라 상기 폐현상제 배출구를 폐쇄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셔터부재가 상기 폐토너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 2 셔터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제 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셔터부재가 상기 본체 커버의 개폐에 따라 상기 폐현상제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현상 카트리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연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 커버는 상기 본체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연동부재를 이동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전단이 상기 본체 커버를 향하여 배치되고 후단이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 2 셔터부재는 상기 연동부재 전단의 이동 경로 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동부재의 전단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하면에 상기 폐현상제 배출구가 마련된 폐현상제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는 상면에 상기 폐현상제 유입구가 마련된 폐현상제 유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셔터부재는 상기 폐현상제 유입부 상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상기 현상 카트리지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폐현상제 배출부가 상기 폐현상제 유입부 상측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 1 셔터부재를 이동시키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는 그 외부 형태를 형성하며 일측에 상기 폐현상제 유입부가 마련된 현상제 하우징과, 상기 현상제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폐현상제 유입부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폐현상제 배출부가 상기 폐현상제 유입부 상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진입부가 마련된 제 1 측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그 외부 형태를 형성하는 현상 하우징과, 상기 폐현상제 배출부가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현상 하우징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 2 측면 커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셔터부재는 상기 폐현상제 배출부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셔터부재는 상기 제 1 측면 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화상형성장치.
  12.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된 개구를 통해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본체에 마련된 개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폐현상제 배출을 위한 폐현상제 배출구가 마련된 현상 카트리지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저장부와 상기 폐현상제 배출구에서 배출된 폐현상제가 유입되는 폐현상제 유입구가 마련된 폐현상제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 카트리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제 카트리지와, 상기 폐현상제 카트리지가 현상 카트리지에 탈착됨에 따라 상기 폐현상제 유입구를 개폐하는 제 1 셔터부재와, 상기 제 1 셔터부재가 상기 폐현상제 유입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 1 셔터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 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상기 폐현상제 배출구가 마련된 폐현상제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폐현상제 배출부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상기 현상 카트리지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제 1 셔터부재를 밀어 상기 폐현상제 유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 1 셔터부재를 이동시키는 화상형성장치.
  14.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된 개구를 통해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유닛과,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본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본체에 마련된 개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폐현상제 배출을 위한 폐현상제 배출구가 마련된 현상 카트리지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저장부와 상기 현상제 배출구에서 배출된 폐현상제가 유입되는 폐현상제 유입구가 마련된 폐현상제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 카트리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제 카트리지와, 상기 본체 커버와 연동하여 상기 폐현상제 배출구를 개폐하는 제 2 셔터부재와, 상기 제 2 셔터부재가 상기 폐현상제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 2 셔터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를 폐쇄함에 따라 상기 폐현상제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 2 셔터부재를 이동시키는 연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그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를 폐쇄함에 따라 상기 연동부재를 상기 제 2 셔터부재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10006893A 2011-01-24 2011-01-24 화상형성장치 KR101532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893A KR101532204B1 (ko) 2011-01-24 2011-01-24 화상형성장치
US13/354,382 US8787796B2 (en) 2011-01-24 2012-01-20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893A KR101532204B1 (ko) 2011-01-24 2011-01-24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518A true KR20120085518A (ko) 2012-08-01
KR101532204B1 KR101532204B1 (ko) 2015-06-29

Family

ID=46544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893A KR101532204B1 (ko) 2011-01-24 2011-01-24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87796B2 (ko)
KR (1) KR1015322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5347A (ko) * 2013-05-16 2014-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TWI752507B (zh) 2013-05-30 2022-01-11 日商理光股份有限公司 碳粉容器、處理匣及影像形成裝置
KR101689868B1 (ko) * 2014-06-10 2017-01-09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6800660B2 (ja) * 2015-10-14 2020-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693238B2 (ja) 2016-03-31 2020-05-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55207B2 (ja) * 2016-07-29 2019-08-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に装着されるトナー容器
JP7180493B2 (ja) * 2019-03-27 2022-11-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ドラム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1714A (en) * 1992-05-18 1996-07-30 Fujitsu Limited Develop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3499506B2 (ja) * 2000-05-22 2004-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KR100582998B1 (ko) * 2004-05-04 200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KR100610328B1 (ko) * 2004-09-09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07279532A (ja) * 2006-04-11 2007-10-25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DE602007010228D1 (de) * 2006-09-22 2010-12-16 Brother Ind Ltd Bilderzeugungsvorrichtung und Entwicklungsmittelkartusche
JP4413912B2 (ja) * 2006-11-29 2010-02-10 株式会社沖データ 粉体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912900B1 (ko) * 2008-02-22 2009-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87796B2 (en) 2014-07-22
KR101532204B1 (ko) 2015-06-29
US20120189345A1 (en)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7338B2 (ja) 画像形成装置
US114872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facilitating toner replenishment to toner supply unit
KR20120085518A (ko) 화상형성장치
JP5195803B2 (ja) 画像形成装置
US879280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mechanism for restricting removal of developing device
JP550509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4219599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209433A (ja) 画像形成装置
CN108027576B (zh) 自动安装设备以及具有该自动安装设备的图像形成设备
KR101331459B1 (ko) 화상 형성 장치
JP4293214B2 (ja) 画像形成装置
JP5278468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剤ユニット
WO2014017358A1 (ja) 画像形成装置
JP404026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9159088A (ja) 画像形成装置、トナー容器
JP6614856B2 (ja) 画像形成装置
JP669537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5512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着脱方法
JP6287590B2 (ja) トナー容器、トナー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
JP5934680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20079938A (ko) 현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687051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3054055A (ja) 画像形成装置
JP201402599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39636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