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4473A - 원터치 조작이 가능한 호이스트 크레인 - Google Patents
원터치 조작이 가능한 호이스트 크레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84473A KR20120084473A KR1020110005861A KR20110005861A KR20120084473A KR 20120084473 A KR20120084473 A KR 20120084473A KR 1020110005861 A KR1020110005861 A KR 1020110005861A KR 20110005861 A KR20110005861 A KR 20110005861A KR 20120084473 A KR20120084473 A KR 201200844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ist
- axis
- rotary
- rail
- operation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B66C11/20—Arrangements, e.g. comprising differential gears, enabling simultaneous or selective operation of travelling and hoisting gear; Arrangements using the same rope or cable for both travelling and hoisting, e.g. in Temperley c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6—Position indicators for suspended loads or for crane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이스트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 적용되어 왔던 다수의 방향 버튼이 필요치 않고 원터치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360도의 자유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하며, 무엇보다도 목표위치까지 다이렉트로 최단시간에 도달할 수 있어 시간적인 로스(loss)를 줄일 수 있고, 버튼의 오조작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호이스트 크레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터치 조작이 가능한 호이스트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에 적용되어 왔던 다수의 방향 버튼이 필요치 않고 원터치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360도의 자유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하며, 무엇보다도 목표위치까지 다이렉트로 최단시간에 도달할 수 있어 시간적인 로스(loss)를 줄일 수 있고, 버튼의 오조작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원터치 조작이 가능한 호이스트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호이스트 크레인은 경량 혹은 고중량의 물품을 들어 올리거나 위치 이동, 즉 운송할 때 사용되는 장비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호이스트 크레인에 대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작핸들의 정면도, 도 3a는 종래기술에 따른 호이스트 크레인의 권상기가 목표위치에 도달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도식화한 그래프, 그리고 도 3b는 종래기술에 따른 호이스트 크레인의 권상기가 장애물을 피해 목표위치에 도달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호이스트 크레인에 대해 설명하면, 천정에 두개의 가로레일이 배치되고 그 사이에 수직되게 세로레일이 배치되며, 세로레일 상에 권상기(5)가 마련된다. 권상기(5)에는 이동시키고자 하는 물품(7a)이 매달린다. 참조부호 3은 표시장치이다.
물품(7a)이 달린 권상기(5)는 도 2에 도시된 조작핸들(9)의 조작에 기초하여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핸들(9)에는 권상기(5)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2개의 버튼을 비롯하여 권상기(5)를 동서남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4개의 버튼, 총 6개의 버튼들이 개별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에, 도 3a처럼 동서남북 방향의 버튼들을 개별적으로 조작하여 권상기(5)를 가로레일을 따라 일정 거리(L1) 이동시키고, 이어 세로레일을 따라 일정 거리(L2) 이동시킴으로써 권상기(5)에 달린 물품(7a)을 초기위치에서 목표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방향이 전환되는 P1의 위치에서는 동서남북의 방향을 확인한 후, 해당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 버튼을 다시 눌러야 한다.
한편, 도 3a와 달리 도 3b처럼 이동 경로 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장애물을 피해서 목표위치까지 물건(7a)을 이송시켜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도 3b에 중간 포인트로 표시한 P1, P2, P3, P4, P5의 위치에서 동서남북의 방향을 확인한 후, 해당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 버튼을 누른 후에 원하는 만큼을 이동해야 하며, 그래야만 목표위치에 비로소 도달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와 동작을 갖는 종래의 호이스트 크레인의 경우, 매번 동서남북의 방향을 인식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방향에 대응되는 버튼을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조작이 불편하며, 특히 목표위치까지의 도달 시간이 지연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만일, 도 3b처럼 이동 경로 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조작이 더 어려울 뿐만 아니라 목표위치까지의 도달 시간이 그만큼 더 지연될 수밖에 없으며, 동서남북 방향 버튼의 오조작 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적용되어 왔던 다수의 방향 버튼이 필요치 않고 원터치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360도의 자유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하며, 무엇보다도 목표위치까지 다이렉트로 최단시간에 도달할 수 있어 시간적인 로스(loss)를 줄일 수 있고, 버튼의 오조작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원터치 조작이 가능한 호이스트 크레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호 이격되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로레일; 상기 한 쌍의 가로레일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가로레일에 교차되게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가로레일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세로레일; 상기 세로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세로레일 상에 결합되며, 일측에 물품을 매다는 후크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권상기; 상기 가로레일, 상기 세로레일 및 상기 권상기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권상기가 결합된 상기 세로레일을 상기 가로레일의 길이 방향인 X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X축 구동부; 상기 권상기에 마련되어 상기 권상기를 상기 세로레일의 길이 방향인 Y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Y축 구동부; 상기 권상기에 마련되며, 상기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시켜 상기 후크를 상하 방향인 Z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Z축 구동부; 상기 권상기로부터 하방으로 향하는 케이블의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X축 구동부와 상기 Y축 구동부의 동작을 실행시키는 실행버튼을 구비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권상기의 주행 방향을 선택하는 회전식 조작핸들; 상기 회전식 조작핸들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식 조작핸들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의 회전각도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케이블을 통해 출력하는 로터리 엔코더; 및 상기 회전식 조작핸들의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상기 로터리 엔코더로부터의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권상기가 목표위치로 도달될 수 있도록 상기 X축 구동부와 상기 Y축 구동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호이스트 크레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실행버튼은 상기 X축 구동부와 상기 Y축 구동부의 동작을 함께 온/오프(on/off)시키는 단일의 실행버튼일 수 있다.
상기 회전식 조작핸들에는 상기 단일의 실행버튼에 이웃되게 배치되고 상기 후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부 및 하부 이동버튼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권상기의 주변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권상기의 주행방향이 표시되는 주행방향 표시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엔코더는 인크리멘탈 로터리 엔코더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적용되어 왔던 다수의 방향 버튼이 필요치 않고 원터치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360도의 자유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하며, 무엇보다도 목표위치까지 다이렉트로 최단시간에 도달할 수 있어 시간적인 로스(loss)를 줄일 수 있고, 버튼의 오조작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호이스트 크레인에 대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작핸들의 정면도,
도 3a은 종래기술에 따른 호이스트 크레인의 권상기가 목표위치에 도달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도식화한 그래프,
도 3b는 종래기술에 따른 호이스트 크레인의 권상기가 장애물을 피해 목표위치에 도달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도식화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크레인의 개략적인 구조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크레인의 제어블록도,
도 6a은 도 4의 호이스트 크레인의 권상기가 목표위치에 도달되는 과정을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간략하게 도식화한 그래프,
도 6b는 도 4의 호이스트 크레인의 권상기가 장애물을 피해 목표위치에 도달되는 과정을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간략하게 도식화한 그래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작핸들의 정면도,
도 3a은 종래기술에 따른 호이스트 크레인의 권상기가 목표위치에 도달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도식화한 그래프,
도 3b는 종래기술에 따른 호이스트 크레인의 권상기가 장애물을 피해 목표위치에 도달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도식화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크레인의 개략적인 구조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크레인의 제어블록도,
도 6a은 도 4의 호이스트 크레인의 권상기가 목표위치에 도달되는 과정을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간략하게 도식화한 그래프,
도 6b는 도 4의 호이스트 크레인의 권상기가 장애물을 피해 목표위치에 도달되는 과정을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간략하게 도식화한 그래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크레인의 개략적인 구조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크레인의 제어블록도, 도 6a는 도 4의 호이스트 크레인의 권상기가 목표위치에 도달되는 과정을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간략하게 도식화한 그래프, 그리고 도 6b는 도 4의 호이스트 크레인의 권상기가 장애물을 피해 목표위치에 도달되는 과정을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간략하게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호이스트 크레인은, 상호 이격되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로레일(100)과, 한 쌍의 가로레일(100) 사이에서 한 쌍의 가로레일(100)에 교차되게 결합되며 한 쌍의 가로레일(10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세로레일(200)과, 세로레일(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세로레일(200) 상에 결합되는 권상기(300)와, 회전식 조작핸들(500)과, 회전식 조작핸들(500)을 통해 권상기(300)의 주행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600)를 포함한다.
한 쌍의 가로레일(100)과 하나의 세로레일(200)은 모두가 H형 형강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가로레일(100)은 세로레일(200)이 이동되는 실질적인 레일(rail)이지만 세로레일(200)은 권상기(300)를 비롯하여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장소를 이룰 수 있다.
권상기(300)의 주변 세로레일(200) 상에는 컨트롤러(600)에 의해 권상기(300)의 주행방향이 표시되는 주행방향 표시부(440)가 마련된다. 회전식 조작핸들(500)의 조작 시 작업자는 주행방향 표시부(440)에 표시되는 주행방향, 예컨대 화살표 방향을 보면서 권상기(300)의 주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권상기(300)에는 그 일측에 물품을 매다는 후크(450)가 와이어(45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451)는 로프를 포함하는 용어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호이스트 크레인에는 권상기(300)가 도 4의 X축과 Y축을 따라 원하는 목표위치로 주행될 수 있도록 X축 구동부(410)와 Y축 구동부(420)가 마련된다. 뿐만 아니라 후크(450)를 상하 방향인 도 5의 Z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Z축 구동부(430)가 마련된다.
X축 구동부(410)는 가로레일(100), 세로레일(200) 및 권상기(30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으며, 권상기(300)가 결합된 세로레일(200) 전체를 가로레일(100)의 길이 방향인 도 4의 X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조적으로 볼 때, X축 구동부(410)는 가로레일(100) 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X축 구동부(410)와 달리 Y축 구동부(420)는 권상기(300)에 마련되어 권상기(300)를 세로레일(200)의 길이 방향인 도 5의 Y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Z축 구동부(430)는 권상기(300)에 마련되며, 와이어(451)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시켜 후크(450)를 Z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Z축 구동부(430)는 물품을 매달아 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될 수 있다.
컨트롤러(600)는 권상기(300)에 설치되어 회전식 조작핸들(50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마이컴을 구동하여 X축 구동부(410), Y축 구동부(420) 및 Z축 구동부(4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참고로, X축 구동부(410), Y축 구동부(420) 및 Z축 구동부(430)에 대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이들은 회전모터 또는 리니어모터 등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권상기(300)에는 후크(450)에 매달린 물품을 목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권상기(300)를 주행시키는 회전식 조작핸들(500)이 케이블(C)에 의해 결합된다.
회전식 조작핸들(500)에는 종래와 달리, 3개의 버튼(510,520,530)이 구비된다. 하나는 후크(450)에 매달린 물품을 상부로 들어올리기 위한 상부 이동버튼(510)이고, 또 하나는 후크(450)에 매달린 물품을 내리기 위한 하부 이동버튼(530)이며, 나머지 하나는 X축 구동부(410)와 Y축 구동부(420)의 동작을 함께 온/오프(on/off)시키는 단일의 실행버튼(520)이다. 따라서 회전식 조작핸들(500)에 구비된 버튼을 푸쉬하면 케이블(C)을 통해 각각의 신호가 컨트롤러(600)로 전달됨으로써 버튼 조작에 따른 권상기(300)의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실행버튼(520)이 중간에 배치될 수 있는데, 실행버튼(520)을 누르게 되면 X축 구동부(410)와 Y축 구동부(420)의 동작이 한번에 온(on)되어 권상기(300)가 주행될 수 있고, 누름을 해제하면 X축 구동부(410)와 Y축 구동부(420)의 동작이 모두 오프(off)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목표위치는 X축과 Y축이 이루는 평면 상의 360도 어느 위치가 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의 확대 그림처럼 회전식 조작핸들(500)을 정역 방향의 어느 각도로 회전시키는지에 따라 권상기(300)의 주행방향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도 4의 확대 그림에서 회전식 조작핸들(500)을 회전시키는 방향의 각도에 따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의 주행 속도와 주행 방향이 결정되어지고 이에 따라 권상기(300)가 설정된 속도와 방향으로 주행함으로써 목표지점에 도달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가 가능해지기 위해, 회전식 조작핸들(500)의 상단에는 회전식 조작핸들(500)에 결합되어 회전식 조작핸들(50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미도시)을 구비한 로터리 엔코더(700)가 마련된다.
로터리 엔코더(700)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흑색 패턴이 그려져 있는 회전 슬리트와 고정 슬리트를 설치한 후, 회전축을 회전시키면 빛이 투과 또는 차단됨에 따라 투과된 빛은 수광소자에 의해 전류로 변환되며, 이 전기신호가 파형 정형회로와 출력회로를 거쳐 구형파 펄스로 출력됨으로써 회전축의 회전각도가 읽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로터리 엔코더(700)는 그 일측은 케이블(C)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회전식 조작핸들(500)과 결합되는 회전축(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터리 엔코더(700)의 회전축(미도시)이 회전식 조작핸들(500)에 의해 회전되고 그 회전축의 회전각도는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케이블(C)을 통해 컨트롤러(600)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컨트롤러(200)에 의하여 기설정된 주행 속도와 주행 방향으로 권상기(300)가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다시 설명하자면, 컨트롤러(600)가 회전식 조작핸들(500)의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권상기(300)가 목표위치로 도달될 수 있도록 X축 구동부(410)와 Y축 구동부(42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컨트롤러(600)는 목표위치에 대한 방향 정보를 회전식 조작핸들(500)과 연결된 로터리 엔코더(700)로부터 인식한 후, 권상기(300)의 X축 또는 Y축 주행 방향 및 주행 속도를 결정하여 X축 구동부(410)와 Y축 구동부(420)의 동작을 컨트롤하게 된다.
컨트롤러(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구동부(410), Y축 구동부(420) 및 Z축 구동부(430)와, 주행방향 표시부(44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컨트롤러(600)에 대해 간략하게 부연 설명하면, 컨트롤러(600)는 중앙처리장치(610, CPU), 메모리(620, MEMORY), 서포트 회로(630, SUPPORT CIRCUIT)를 포함한다. CPU(610)는 본 실시예의 호이스트 크레인를 제어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620, MEMORY)는 CPU(610)와 동작으로 연결된다. 메모리(620)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램덤 엑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630, SUPPORT CIRCUIT)는 CPU(610)와 작용적으로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630)는 캐쉬,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이스트 크레인의 전반적인 프로세스 즉 권상기(300)의 X축 또는 Y축 주행방향을 및 주행속도를 결정하는 등의 프로세스 등이 메모리(620)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620)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CPU(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호이스트 크레인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회전식 조작핸들(500)을 파지하여 실행버튼(520)을 누른 상태에서, 회전식 조작핸들(500)을 목표물이 있거나 목표물을 이동시킬 목표위치를 향하여 회전시키면 권상기(300)의 주행 방향이 주행방향 표시부(440)에 표시되면서 권상기(300)의 이동이 시작된다.
즉 회전식 조작핸들(500)을 돌리면 그 상부에 배치된 로터리 엔코더(700)의 회전축(미도시)이 회전되고 그 회전각도에 의해 발생된 신호가 케이블(C)을 따라 권상기(300)에 내장된 컨트롤러로 전달됨으로써 컨트롤러(600)가 X축 구동부(410)와 Y축 구동부(420)를 설정된 방향과 속도로 주행하도록 컨트롤하여 권상기(300)가 원하는 목표위치에 도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6a처럼 대각 방향의 목표위치에 가기 위해서 회전식 조작핸들(500)이 대각 방향의 목표위치를 향하도록 회전시키면 X축 구동부(410)와 Y축 구동부(420)에 의해 권상기(300)가 X축 또는 Y축을 따라 동시에 동일한 속도로 주행함으로써 목표위치에 도달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a의 경우, 점선이 본 실시예의 호이스트 크레인에 의한 주행경로이고 실선이 위에서 기술한 종래기술의 호이스트 크레인에 의한 주행경로인데, 본 실시예의 호이스트 크레인에 의한 주행경로가 최단거리임을 알 수 있다.
만약, 회전식 조작핸들(500)이 향하는 방향이 정사각형의 대각 방향이 아니라면 컨트롤러(600)가 X축 구동부(410)와 Y축 구동부(420)의 동작을 컨트롤하여 권상기(300)가 X축 또는 Y축을 이동하는 속도에 차이를 두게 된다. 예컨대, X축의 주행속도가 빠르고 Y축의 주행속도가 느리다면 완만한 대각 방향의 목표위치로 도달될 수 있다.
이때, 만약 도 6b처럼 장애물이 있는 경우라면 종래와 달리, 장애물을 피하는 방향으로 회전식 조작핸들(500)을 돌리기만 하면 간편하게 장애물을 피해 목표위치에 갈 수 있다.
도 6b의 경우에도 점선이 본 실시예의 호이스트 크레인에 의한 주행경로이고 실선이 위에서 기술한 종래기술의 호이스트 크레인에 의한 주행경로인데, 본 실시예의 호이스트 크레인에 의한 주행경로가 종래보다 훨씬 최단거리이면서 빠르고 간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목표위치로의 이동이 완료되었으면, 회전식 조작핸들(500)의 실행버튼(520)의 누름을 해제하게 된다. 그러면 권상기(300)의 주행 이동은 정지하게 되고 다음으로 상부 이동버튼(510) 또는 하부 이동버튼(530)을 누름으로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에 적용되어 왔던 다수의 방향 버튼이 필요치 않고 원터치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360도의 자유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하며, 무엇보다도 목표위치까지 다이렉트로 최단시간에 도달할 수 있어 시간적인 로스(loss)를 줄일 수 있고, 버튼의 오조작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가로레일 200 : 세로레일
300 : 권상기 410 : X축 구동부
420 : Y축 구동부 430 : Z축 구동부
440 : 주행방향 표시부 450 : 후크
451 : 와이어 500 : 회전식 조작핸들
510 : 상부 이동버튼 520 : 실행버튼
530 : 하부 이동버튼 600 : 컨트롤러
700 : 로터리 엔코더
300 : 권상기 410 : X축 구동부
420 : Y축 구동부 430 : Z축 구동부
440 : 주행방향 표시부 450 : 후크
451 : 와이어 500 : 회전식 조작핸들
510 : 상부 이동버튼 520 : 실행버튼
530 : 하부 이동버튼 600 : 컨트롤러
700 : 로터리 엔코더
Claims (4)
- 상호 이격되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로레일;
상기 한 쌍의 가로레일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가로레일에 교차되게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가로레일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세로레일;
상기 세로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세로레일 상에 결합되며, 일측에 물품을 매다는 후크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권상기;
상기 가로레일, 상기 세로레일 및 상기 권상기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권상기가 결합된 상기 세로레일을 상기 가로레일의 길이 방향인 X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X축 구동부;
상기 권상기에 마련되어 상기 권상기를 상기 세로레일의 길이 방향인 Y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Y축 구동부;
상기 권상기에 마련되며, 상기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시켜 상기 후크를 상하 방향인 Z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Z축 구동부;
상기 권상기로부터 하방으로 향하는 케이블의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X축 구동부와 상기 Y축 구동부의 동작을 실행시키는 실행버튼을 구비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권상기의 주행 방향을 선택하는 회전식 조작핸들;
상기 회전식 조작핸들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식 조작핸들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의 회전각도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케이블을 통해 출력하는 로터리 엔코더; 및
상기 회전식 조작핸들의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상기 로터리 엔코더로부터의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권상기가 목표위치로 도달될 수 있도록 상기 X축 구동부와 상기 Y축 구동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호이스트 크레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버튼은 상기 X축 구동부와 상기 Y축 구동부의 동작을 함께 온/오프(on/off)시키는 단일의 실행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크레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조작핸들에는 상기 단일의 실행버튼에 이웃되게 배치되고 상기 후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부 및 하부 이동버튼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크레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의 주변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권상기의 주행방향이 표시되는 주행방향 표시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크레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5861A KR20120084473A (ko) | 2011-01-20 | 2011-01-20 | 원터치 조작이 가능한 호이스트 크레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5861A KR20120084473A (ko) | 2011-01-20 | 2011-01-20 | 원터치 조작이 가능한 호이스트 크레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4473A true KR20120084473A (ko) | 2012-07-30 |
Family
ID=46715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5861A KR20120084473A (ko) | 2011-01-20 | 2011-01-20 | 원터치 조작이 가능한 호이스트 크레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8447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81764A1 (ja) * | 2022-03-22 | 2023-09-28 | 株式会社五合 | 遠隔操作システム |
-
2011
- 2011-01-20 KR KR1020110005861A patent/KR2012008447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81764A1 (ja) * | 2022-03-22 | 2023-09-28 | 株式会社五合 | 遠隔操作システム |
WO2023181096A1 (ja) * | 2022-03-22 | 2023-09-28 | 株式会社五合 | 遠隔操作システ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636937A2 (en) | A large-sized display screen coordinating device in six degrees of freedom | |
US11339035B2 (en) | Controlling of lifting device | |
US9174827B2 (en) | Power assist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power assist device, and program of power assist device | |
CN104444876A (zh) | 高精度柔性提升机械手 | |
KR20120084473A (ko) | 원터치 조작이 가능한 호이스트 크레인 | |
KR102087602B1 (ko) | 케이블 로봇의 제어방법 | |
JP2022043664A (ja) | 制御システム、移動装置、及びコントローラ | |
CN103507397A (zh) | 一种印刷机用网框升降装置 | |
CN105329746A (zh) | 一种多功能电梯 | |
WO2020003567A1 (ja) | クレーン装置 | |
CN203669790U (zh) | 一种钻杆操作机器人 | |
KR101590625B1 (ko) | 크레인 | |
US11919750B2 (en) | Crane controller | |
JP5976394B2 (ja) | 昇降式足場装置 | |
KR20110129099A (ko) | 크레인의 충돌방지장치 및 방법 | |
KR102679537B1 (ko) | 갠트리 크레인 장치 | |
CN205527389U (zh) | 起重机双葫芦小车联动限位防护系统 | |
US9045318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overhead gantry crane | |
JP2008156013A (ja) | 旋回装置を有するクレーン | |
CN106836901B (zh) | 一种车库出入库系统及方法 | |
JP5982126B2 (ja) | 作業機械 | |
JPH08507834A (ja) | 搬送車を平行に指向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 |
KR100881807B1 (ko) | 더블 크레인 | |
JP6366468B2 (ja) | リフト装置 | |
CN207434854U (zh) | 一种建筑市政用钢索悬吊式起重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