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625B1 - 크레인 - Google Patents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625B1
KR101590625B1 KR1020150058737A KR20150058737A KR101590625B1 KR 101590625 B1 KR101590625 B1 KR 101590625B1 KR 1020150058737 A KR1020150058737 A KR 1020150058737A KR 20150058737 A KR20150058737 A KR 20150058737A KR 101590625 B1 KR101590625 B1 KR 101590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winding drum
guide rail
hydraulic cylind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관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씨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씨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씨앤피
Priority to KR1020150058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6/00Girders, or track-suppor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8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turn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2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for underhung trolleys o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또는 돔형태로 구성된 구조물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상기 격납구조물(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링형태의 가이드레일(20)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레일(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거더(30)와, 상기 거더(30)에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대상물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권양장치(40)로 구성되어, 상기 거더(30)가 상기 격납구조물(10)의 내부에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거더(30)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권양장치(40)가 상기 거더(3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원통형의 격납구조물(10)의 내부 구석까지 대상물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크레인{crane}
본 발명은 원통형 또는 돔형태로 구성된 구조물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크레인은 다양한 형태의 것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크레인 중에서,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크레인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1)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에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거더(2)와, 상기 거더(2)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대상물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권양장치(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권양장치(3)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들어올릴 상태에서, 상기 권양장치(3)를 좌우방향으로 위치조절하고, 상기 거더(2)를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함으로써, 대상물을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크레인은 일반적으로 크랩 크레인이라 불리며, 널리 사용되고 있음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최근 들어, 원자력발전소의 건설이 증가되고 있는데, 이러한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전을 하는 원자로는 강도가 높은 격납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내부에 원자로가 설치되는 격납구조물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태로 구성됨으로, 내부에 일반적인 크랩 크레인을 설치할 경우, 크랩 크레인이 닿지 않는 사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격납구조물의 내부공간은 원형을 이루는 반면, 상기 크랩 크레인은 대상물을 사각형의 공간부 내에서만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 격납구조물의 내부공간에서 대상물을 이동시키지 못하는 공간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술한 원자로의 격납구조물뿐 아니라, 사일로나, 원유저장탱크 등과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또는 돔형태로 구성된 모든 종류의 구조물의 내부에 크레인을 설치할 경우, 동일하게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0861886호, 등록특허 10-072471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성된 구조물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크레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형 또는 돔형태로 구성된 구조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크레인으로서, 상기 구조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링형태의 가이드레일(20)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레일(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거더(30)와, 상기 거더(30)에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대상물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권양장치(40)를 포함하되,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권양장치(40)는 상기 거더(30)에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크랩(41)과, 상기 크랩(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 와이어(43)가 권취되는 권취드럼(42)과, 상기 권취드럼(42)에 연결되어 권취드럼(42)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44)와,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에 근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에 와이어(43)가 권취될 때 와이어(43)가 상호 교차되지 않도록 하는 교차방지수단(45)을 포함하며,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에는 상기 와이어(43)가 삽입되는 삽입홈(42a)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권취드럼(42)이 회전될 때 와이어(43)가 상기 삽입홈(42a)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교차방지수단(45)은 상기 크랩(41)에서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바(45a)와, 상기 지지바(45a)의 선단부에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교차방지패널(45b)을 포함하며, 상기 교차방지패널(45b)의 선단부와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 사이의 간격(L)은 상기 와이어(43)의 지름(D)에 비해 좁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조물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0)을 지지하는 링형태의 지지대(11,12)와, 상기 거더(30)의 양측에서 상기 지지대(11,12)의 내측에 근접되도록 하측으로 연장된 이탈방지브라켓(3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11,12)의 내측면에는 구조물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12a)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브라켓(36)에는 상기 돌출부(12a)의 내측면에 근접되는 측방지지부(36a)와, 상기 돌출부(12a)의 하측면에 근접되는 하방지지부(36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이 제공된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거더(30)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바형태로 구성되고 양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제1 지지부(31a)가 구비된 본체(31)와, 상기 제1 지지부(31a)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양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제2 지지부(32a)가 구비된 제1 회동프레임(32)과, 상기 제2 지지부(32a)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일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제3 지지부(33a)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0)에 올려지는 제1 휠(33b)이 구비된 제2 회동프레임(33)과, 상기 제3 지지부(33a)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0)에 올려지는 제2 및 제3 휠(34a,34b)이 구비된 제3 회동프레임(34)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 3휠(33b,34a,34b)은 회전중심축이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중심을 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탈방지브라켓(36)의 측방지지부(36a)와 하방지지부(36b)에 구비된 유압실린더(50)와, 상기 유압실린더(50)에 구비되며 상기 유압실린더(50)가 신장되면 상기 돌출부(12a)의 내측면과 하측면에 밀착되는 고정패드(60)와, 상기 유압실린더(50)에 연결되어 유압실린더(5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70)과, 상기 제어유닛(70)에 연결된 지진감지장치(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지진감지장치(80)에 지진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유압실린더(50)를 신장시켜 상기 이탈방지브라켓(36)을 포함한 거더(30) 전체가 상기 지지대(11,12)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상기 격납구조물(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링형태의 가이드레일(20)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레일(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거더(30)와, 상기 거더(30)에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대상물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권양장치(40)로 구성되어, 상기 거더(30)가 상기 격납구조물(10)의 내부에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거더(30)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권양장치(40)가 상기 거더(3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원통형의 격납구조물(10)의 내부 구석까지 대상물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크레인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휠의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권양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제2 실시예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을 도시한 것으로, 원자력발전소의 격납구조물(10)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크레인은, 상기 격납구조물(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링형태의 가이드레일(20)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레일(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거더(30)와, 상기 거더(30)에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대상물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권양장치(40)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상기 격납구조물(10)의 내경에 유사한 지름을 갖는 링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격납구조물(10)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0)을 지지하는 지지대(11,12)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11,1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격납구조물(10)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난간형태의 하부지지대(11)와, 상기 가이드레일(20)에 대응되는 링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지지대(11)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부지지대(12)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상기 상부지지대(12)의 상면에 상부지지대(12)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고정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부지지대(12)의 내측면, 즉, 상기 격납구조물(10)의 중앙부를 향하는 쪽 면에는 격납구조물(10)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12a)가 형성된다.
상기 거더(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바형태로 구성되고 양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제1 지지부(31a)가 구비된 본체(31)와, 상기 제1 지지부(31a)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양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제2 지지부(32a)가 구비된 제1 회동프레임(32)과, 상기 제2 지지부(32a)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일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제3 지지부(33a)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0)에 올려지는 제1 휠(33b)이 구비된 제2 회동프레임(33)과, 상기 제3 지지부(33a)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0)에 올려지는 제2 및 제3 휠(34a,34b)이 구비된 제3 회동프레임(3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31)는 상기 격납구조물(10)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상면에는 상기 권양장치(40)가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1b)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 3휠(33b,34a,34b)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중심축이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중심을 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휠(34b)에는 구동모터(35)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5)로 상기 제3 휠(34b)을 구동시키면, 상기 제1 내지 제3 휠(33b,34a,34b)이 상기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원형의 궤적을 그리며 전후진되며,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더(30) 전체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거더(30)의 양측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휠(33b,34a,34b)이 상기 가이드레일(20)에서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브라켓(36)이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브라켓(36)은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더(30)의 양측에서 상기 지지대(11,12)의 내측면에 근접되도록 하측으로 연장된 것으로, 하단부에는 상기 돌출부(12a)의 내측면에 근접되는 측방지지부(36a)와, 상기 돌출부(12a)의 하측면에 근접되는 하방지지부(36b)가 형성된다.
상기 측방지지부(36a)는 상기 이탈방지브라켓(36)의 하측에서 상기 돌출부(12a)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방지지부(36b)는 상기 이탈방지브라켓(36)의 하단에서 상기 돌출부(12a)의 하측면을 향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거더(30)가 회전될 때 상기 제1 내지 제3 휠(33b,34a,34b)이 가이드레일(20)에서 탈선하려고 할 경우, 상기 측방지지부(36a)와 하방지지부(36b)가 상기 돌출부(12a)의 내측면이나 하측면에 걸려 상기 제1 내지 제 3휠(33b,34a,34b)이 탈선하지 못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권양장치(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더(30)에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크랩(41)과, 상기 크랩(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 와이어(43)가 권취되는 권취드럼(42)과, 상기 권취드럼(42)에 연결되어 권취드럼(42)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44)와,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에 근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에 와이어(43)가 권취될 때 와이어(43)가 상호 교차되지 않도록 하는 교차방지수단(45)으로 구성된다.
상기 크랩(41)은 상기 거더(31)의 가이드레일(31b)에 올려지며 구동모터(41b)에 의해 구동되는 휠(41a)이 구비되어, 도 8에 되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더(30)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권취드럼(42)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크랩(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와이어(43)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도르래(43a)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에는 상기 와이어(43)가 삽입되는 삽입홈(42a)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권취드럼(42)이 회전되어 와이어(43)를 권취할 때 와이어(43)가 상기 삽입홈(42a)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44)는 감속기를 통해 각각의 권취드럼(42)에 연결되어, 권취드럼(42)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교차방지수단(45)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크랩(41)에서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바(45a)와, 상기 지지바(45a)의 선단부에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교차방지패널(45b)로 구성된다.
상기 교차방지패널(45b)은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강도가 높은 금속판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교차방지패널(45b)의 선단부와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 사이의 간격(L)은 상기 와이어(43)의 지름(D)에 비해 좁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드럼(42)을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43)를 감을 때, 상기 교차방지패널(45b)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유도되어, 상기 와이어(43)가 상기 삽입홈(42a)에 삽입되어 중간부가 서로 교차거나, 상기 와이어(43)가 상기 삽입홈(42a)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지 않고 상기 삽입홈(42a)을 건너 뛰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크레인은 상기 격납구조물(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링형태의 가이드레일(20)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레일(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거더(30)와, 상기 거더(30)에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대상물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권양장치(40)로 구성되어, 상기 거더(30)가 상기 격납구조물(10)의 내부에서 회전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더(30)가 상기 격납구조물(10)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권양장치(40)가 상기 거더(3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원통형의 격납구조물(10)의 내부 구석까지 대상물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조물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0)을 지지하는 링형태의 지지대(11,12)가 구비되고, 상기 거더(30)의 양측에는 상기 지지대(11,12)의 내측에 근접되도록 하측으로 연장된 이탈방지브라켓(36)이 구비됨으로, 상기 거더(30)가 회전될 때 거더(30)가 가이드레일(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권양장치(40)는 상기 거더(30)에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크랩(41)과, 상기 크랩(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 와이어(43)가 권취되는 권취드럼(42)과, 상기 권취드럼(42)에 연결되어 권취드럼(42)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44)와,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에 근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에 와이어(43)가 권취될 때 와이어(43)가 상호 교차되지 않도록 하는 교차방지수단(45)으로 구성되고,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에는 상기 와이어(43)가 삽입되는 삽입홈(42a)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권취드럼(42)이 회전될 때 와이어(43)가 상기 삽입홈(42a)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교차방지수단(45)은 상기 크랩(41)에서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바(45a)와, 상기 지지바(45a)의 선단부에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교차방지패널(45b)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교차방지패널(45b)의 선단부와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 사이의 간격(L)은 상기 와이어(43)의 지름(D)에 비해 좁게 구성됨으로, 상기 와이어(43)가 다른 와이어(43)와 교차되거나, 삽입홈(42ㅁ)을 건너 뛰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43)가 상기 삽입홈(42a)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권취드럼(42)이 회전되어 와이어(43)를 풀거나 감을 때, 와이어(43)가 일정한 속도로 풀거나 감겨지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원양장치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승강시킬 때,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거더(3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상측에 올려지는 크랩(41)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크랩(41)은 하측으로 연장된 제1 지지부(31a)가 구비된 본체(31)와, 상기 제1 지지부(31a)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양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제2 지지부(32a)가 구비된 제1 회동프레임(32)과, 상기 제2 지지부(32a)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일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제3 지지부(33a)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0)에 올려지는 제1 휠(33b)이 구비된 제2 회동프레임(33)과, 상기 제3 지지부(33a)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0)에 올려지는 제2 및 제3 휠(34a,34b)이 구비된 제3 회동프레임(34)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 3휠(33b,34a,34b)은 회전중심축이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중심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거더(30)의 양단이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상면이 완벽한 평면을 이루지 못하더라도, 상기 제1 내지 제3 회동프레임(32,33,34)에 적절히 회동되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휠(33b,34a,34b)이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상면에 항상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휠(33b,34a,34b)이 가이드레일(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이탈방지브라켓(36)의 측방지지부(36a)와 하방지지부(36b)에는 유압실린더(50)가 구비되고, 상기 유압실린더(50)에는 상기 유압실린더(50)가 신장되면 상기 돌출부(12a)의 내측면과 하측면에 밀착되는 고정패드(6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50)에는 유압실린더(5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70)이 연결되며, 상기 제어유닛(70)에는 지진감지장치(8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패드(60)는 일반적인 차량용 브레이크패드와 같이, 마찰력이 크고 강도가 높은 재질의 블록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지진감지장치(80)의 신호를 감시하여 지진이 발생되거나, 상기 격납구조물(10)에 비정상적인 진동이 발생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유압실린더(50)를 신장시켜 상기 고정패드(60)가 상기 돌출부(12a)의 내측면과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지진감지장치(80)는 원자력발전소에 구비된 지진계 또는, 상기 격납구조물(10)에 구비되어 격납구조물(10)에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측정장치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크레인은 지진이 발생되거나, 상기 격납구조물(10)에 비정상적인 진동이 발생된 것이 감지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50)를 신장시켜 고정패드(60)가 상기 돌출부(12a)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거더(30)가 상기 지지대(11,12)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지진이나 진동에 의해 상기 거더(30)의 양측에 구비된 제1 내지 제3 휠(33b,34a,34b)이 가이드레일(20)로부터 이탈되거나, 심할 경우, 상기 거더(30)가 상기 지지대(11,12)로부터 이탈되어 하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일반적인 경우에는 상기 이탈방지브라켓(36)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3 휠(33b,34a,34b)이 가이드레일(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되지만, 지진 등과 같이 큰 진동이 발생될 경우, 거더(30) 전체가 상하로 진동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20)과 충돌하여 손상되거나, 심할 경우, 거더(30)가 상기 지지대(11,12)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하측으로 추락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지진 등과 같이 큰 진동이 발생될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50)에 의해 고정패드(60)가 상기 돌출부(12a)에 밀착되어 상기 거더(30) 전체가 상측이나 측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함으로, 거더(30) 전체가 진동하여 가이드레일(20)에 충돌하거나 상기 지지대(11,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크레인은 원통형으로 구성된 원자력발전소의 격납구조물(10)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원자로의 격납구조물(10) 뿐 아니라, 사일로나, 원유저장탱크 등과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또는 돔형태로 구성된 모든 종류의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10. 격납구조물 20. 가이드레일
30. 거더 40. 권양장치

Claims (5)

  1. 원통형 또는 돔형태로 구성된 구조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크레인으로서,
    상기 구조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링형태의 가이드레일(20);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레일(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거더(30); 및
    상기 거더(30)에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대상물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권양장치(40);
    를 포함하되,
    상기 권양장치(40)는,
    상기 거더(30)에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크랩(41);
    상기 크랩(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 와이어(43)가 권취되는 권취드럼(42)과, 상기 권취드럼(42)에 연결되어 권취드럼(42)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44); 및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에 근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에 와이어(43)가 권취될 때 와이어(43)가 상호 교차되지 않도록 하는 교차방지수단(45);
    을 포함하며,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에는 상기 와이어(43)가 삽입되는 삽입홈(42a)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권취드럼(42)이 회전될 때 와이어(43)가 상기 삽입홈(42a)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교차방지수단(45)은,
    상기 크랩(41)에서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바(45a); 및
    상기 지지바(45a)의 선단부에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교차방지패널(45b);
    을 포함하며,
    상기 교차방지패널(45b)의 선단부와 상기 권취드럼(42)의 둘레면 사이의 간격(L)은 상기 와이어(43)의 지름(D)에 비해 좁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0)을 지지하는 링형태의 지지대(11,12)와,
    상기 거더(30)의 양측에서 상기 지지대(11,12)의 내측에 근접되도록 하측으로 연장된 이탈방지브라켓(3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11,12)의 내측면에는 구조물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12a)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브라켓(36)에는 상기 돌출부(12a)의 내측면에 근접되는 측방지지부(36a)와, 상기 돌출부(12a)의 하측면에 근접되는 하방지지부(36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30)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바형태로 구성되고 양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제1 지지부(31a)가 구비된 본체(31)와,
    상기 제1 지지부(31a)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양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제2 지지부(32a)가 구비된 제1 회동프레임(32)과,
    상기 제2 지지부(32a)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일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제3 지지부(33a)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0)에 올려지는 제1 휠(33b)이 구비된 제2 회동프레임(33)과,
    상기 제3 지지부(33a)에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0)에 올려지는 제2 및 제3 휠(34a,34b)이 구비된 제3 회동프레임(34)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 3휠(33b,34a,34b)은 회전중심축이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중심을 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브라켓(36)의 측방지지부(36a)와 하방지지부(36b)에 구비된 유압실린더(50)와,
    상기 유압실린더(50)에 구비되며 상기 유압실린더(50)가 신장되면 상기 돌출부(12a)의 내측면과 하측면에 밀착되는 고정패드(60)와,
    상기 유압실린더(50)에 연결되어 유압실린더(5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70)과, 상기 제어유닛(70)에 연결된 지진감지장치(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지진감지장치(80)에 지진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유압실린더(50)를 신장시켜 상기 이탈방지브라켓(36)을 포함한 거더(30) 전체가 상기 지지대(11,12)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KR1020150058737A 2015-04-27 2015-04-27 크레인 KR101590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737A KR101590625B1 (ko) 2015-04-27 2015-04-27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737A KR101590625B1 (ko) 2015-04-27 2015-04-27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625B1 true KR101590625B1 (ko) 2016-02-01

Family

ID=5535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737A KR101590625B1 (ko) 2015-04-27 2015-04-27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6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4929A3 (es) * 2016-08-02 2018-03-08 Talleres Amenabar, S.A. Puente grúa giratorio
CN110847938A (zh) * 2019-12-10 2020-02-28 中国铁建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仰拱块拼装设备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8576A (ja) * 2000-03-31 2001-10-10 Toda Constr Co Ltd 天井クレーン装置及び立坑基地
KR100724715B1 (ko) 2006-07-21 2007-06-04 한국고벨주식회사 로우 스페이스 크레인용 호이스트
KR100861886B1 (ko) 2008-05-02 2008-10-09 문형태 호이스트 크레인을 갖는 진동스크린
KR101108026B1 (ko) * 2010-02-10 2012-01-25 이규태 갠트리 크레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8576A (ja) * 2000-03-31 2001-10-10 Toda Constr Co Ltd 天井クレーン装置及び立坑基地
KR100724715B1 (ko) 2006-07-21 2007-06-04 한국고벨주식회사 로우 스페이스 크레인용 호이스트
KR100861886B1 (ko) 2008-05-02 2008-10-09 문형태 호이스트 크레인을 갖는 진동스크린
KR101108026B1 (ko) * 2010-02-10 2012-01-25 이규태 갠트리 크레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4929A3 (es) * 2016-08-02 2018-03-08 Talleres Amenabar, S.A. Puente grúa giratorio
CN110847938A (zh) * 2019-12-10 2020-02-28 中国铁建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仰拱块拼装设备及方法
CN110847938B (zh) * 2019-12-10 2024-05-10 中国铁建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仰拱块拼装设备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3076B1 (en) Cask transport assembly
CN101166686B (zh) 电梯装置
JPH0230851A (ja) 構造物壁面の工事装置
CN109843779A (zh) 具备吊篮装置的作业用车辆
KR101590625B1 (ko) 크레인
JP532903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656957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2014227251A (ja) リフター
JP2007113345A (ja) 駐車装置と昇降装置
JP2014196161A (ja) 免震吊上装置
KR101930750B1 (ko) 크레인 점검 장치 및 방법
JP6796523B2 (ja) 荷敷き材設置設備
JP2020026320A (ja) エレベーターの主ロープ交換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主ロープ交換方法
JP2011043400A (ja) 台車又は燃料取替機の免震構造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13227837A (ja) 昇降式足場装置
KR20110110496A (ko) 방호수단이 구성된 타워크레인
KR101903646B1 (ko)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CN106301194B (zh) 光伏阵列清扫设备的提升装置
JP2015124062A (ja) エレベータ装置
JPS5939034B2 (ja) 採鉱立坑用単支柱巻上げやぐら
JP627660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5170655A (ja) エレベータロープの振れ止め装置
CN111392586B (zh) 一种用于船坞起重设备的防撞支撑结构
KR200243959Y1 (ko) 텐션카보호장치
JP7281936B2 (ja) 鉄塔の組立工事用デリック装置のせり上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