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979A - 인간 및 생명공학 산업에서 dna 기반 바이러스의 예방, 제거 및 치료를 위한 피크로히자 쿠로아 추출물 - Google Patents

인간 및 생명공학 산업에서 dna 기반 바이러스의 예방, 제거 및 치료를 위한 피크로히자 쿠로아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979A
KR20120081979A KR1020127006456A KR20127006456A KR20120081979A KR 20120081979 A KR20120081979 A KR 20120081979A KR 1020127006456 A KR1020127006456 A KR 1020127006456A KR 20127006456 A KR20127006456 A KR 20127006456A KR 20120081979 A KR20120081979 A KR 20120081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lant
diseases
solvent
extr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니색하 매다사니
사트야사이 바부 디비
Original Assignee
무니색하 매다사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니색하 매다사니 filed Critical 무니색하 매다사니
Publication of KR20120081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9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8Plantaginaceae (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8Scrophularia (fig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61P31/06Antibacterial agents for tubercul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61P31/22Antivirals for DNA viruses for herpes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02Antiprotozoals, e.g. for leishmaniasis, trichomoniasis, toxoplas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02Antiprotozoals, e.g. for leishmaniasis, trichomoniasis, toxoplasmosis
    • A61P33/06Antimala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i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besity (AREA)
  • AIDS & HIV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피크로히자 쿠로아 식물의 추출물 및 이러한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된다. 본 추출물은 DNA 및 RNA-기반 바이러스 둘 모두, 및 박테리아, 진균류 및 원생 동물 미생물에 대한 강력한 항바이러스 작용을 갖는다. 상기 추출물은 식물의 스크로풀라리에이씨 과에서 생기는 친지성 화합물, 특히 테르펜 및 이의 지방산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본 추출물은 다른 상기 친지성 화합물 및 상기 식물 과에서 생기는 글리코사이드의 아글리콘을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여러 추출 용매가 기술된다.

Description

인간 및 생명공학 산업에서 DNA 기반 바이러스의 예방, 제거 및 치료를 위한 피크로히자 쿠로아 추출물 {PICRORHIZA KURROA EXTRACT FOR PREVENTION, ELIMINATION AND TREATMENT OF DNA BASED VIRUSES IN HUMANS AND IN BIOTECH INDUSTRY}
본 발명은 간의 질병 및 질환 및 다른 질병 및 질환의 치료를 위한 식물 추출물, 및 보다 특히 바이러스 및 다른 병원균 및 독성 물질로부터 발생하는 다양한 간 질병 및 질환, 일반적으로 DNA 및 RNA-기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감염증 및 질환, 다양한 바이러스, 진균류, 박테리아 및 원생 동물과 관련된 감염증 및 질환/질병, 생명공학 및 발효 산업에서 직면하는 배양물에 대한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제거, 치료 및 처치(management)에서 약품, 기능성 식품 및 식품 조성물로서; 간기능 보호제로서; 간 및 다른 기관 및 시스템과 관련한 예방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및 인간 및 동물 피검체의 건강 및 관리(care)에서 및 연구 및 산업에서 다른 적용을 위한, 스크로풀라리에이씨 과(Scrophulariaceae family) 식물의 식물 제재(plant matter)의 추출물 및 이의 분획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order) 스크로풀라리에이씨(Scrophulariaceae)의 식물은 전통적인 약제 시스템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약제 성질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식물의 약제 효능은 이러한 목의 식물에 존재하는 여러 글리코사이드로부터 기인한 것이다. 보다 얻기 쉬운 스크로풀라리에이씨 식물은 속 피크로히자(Picrorrhiza)의 식물이다. 이러한 속의 세 가지 일원(member)이 특히 관심을 갖는데, 이는 이들의 안전성 및 독성의 부재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것들에는 피크로히자 쿠로아 로일(Picrorhiza kurrooa Royle), 피크로히자 스크로풀라리에이씨 펜넬(Picrorhiza scrophulariflora Pennell) 및 네오피크로히자 스크로풀라리플로라(Neopicrorhiza scrophulariiflora)가 있다.
피크로히자 쿠로아(Picrorhiza kurrooa)(인도에서 카투카(Katuka)로서 공지됨)는 인도에서 널리 발견되는 것이다. 이는 히말라야에서 약 3000 내지 5000 미터의 표고(altitude)에서 성장한다. 이의 추출물은 간 보호제 및 면역 조절제로서의 성질에 대해 알려져 있다. 식물의 뿌리는 통상적으로 인도 아유르베딕 시스템에서 천식, 기관지염, 말라리아, 만성 이질, 바이러스성 감염, 위통증(upset stomach), 전갈 쏘임에 대한 약제로서, 및 식욕을 자극하고 소화를 개선시키기 위한 쓴 맛의 강장제(bitter tonic)로서 사용되었다. 이는 간-보호제로서의 이의 치료학적 가치, 및 발열의 감소에 대해 공지되어 있지만, 종래 기술에서 간염 또는 다른 바이러스에 대해 작용하는 것인지 또는 간의 단순한 회복인지에 대해 어떠한 기술 또는 증거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식물은 또한 중국, 네팔, 부탄 및 다른 지역에서 성장하는데, 여기서 이의 뿌리 및 근경은 전통적으로 이질, 황달, 뼈의 골절, 간보호 및 면역-조절 기능을 위해 사용되었다. 이러한 식물, 특히 뿌리에는 테르페노이드 및 글리코사이드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용어 피크로히자(Picrorhiza) 및 피크로르히자(Picrorrhiza)는 철자에 있어 약간 상이한데, 이러한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교호적으로 사용되고 동일한 물질인 것으로 의도된다. 종명 피크로히자 쿠로아는 간결성을 고려하여 하기에서 짧게 PK로서 칭하여진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머리 글자 'PK'는 상술된 세 가지의 피크로히자 종(species) 중 하나 또는 다른 종 또는 하나 이상을 동시에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종의 추출물의 혼합물이 고려되는 경우에, 용어 PK는 모두를 칭할 것이다. 문맥에서 적절한 의미가 취해질 수 있다. 머리 글자 'P'는 용어 피크로히자(Picrorhiza)의 약어로서 사용된다. 또한, 용어 '요소(principles)' 및 '인자(factor)'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교호적으로 사용되고, 문맥에 의해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동일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에 대한 언급은 전체적인 식물 제재의 추출 공정, 또는 상기 공정에서의 단계들 (침출 또는 고체-액체 추출 단계) 중 하나인 개개의 추출 작업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문맥에서 적절한 의미가 취해질 수 있다. 용어 '성분' 및 '구성요소'는 본원에서 일부 포인트에서 교호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의 의미는 문맥으로부터 매우 명확해진다.
식물 제재는 본 발명의 추출 방법에 대한 출발 물질을 칭하는 것이며, 이러한 공정의 마지막에 나타나는 최종 생성물은 추출물로서 칭하여진다. 용어 '식물 제재'는 또한, 본 방법의 상이한 단계들에서 공정 중 식물 제재(plant-matter-in-process)를 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방법의 다양한 단계에서의 액체 스트림은 추출물 또는 용액 중 하나로서 칭하여진다. 문맥에서 적절한 의미가 취해질 수 있다.
PK 중의 활성 요소(active principle)는 종래 기술에서 글리코사이드인 쿠트코사이드를 포함하는 쿠트킨으로서 칭하여진다. 이는 이리도이드 글리코사이드 명명된 피크로사이드 I, II, III 및 다른 피크로사이드를 추가로 포함한다. 아포시닌, 드로신 및 9개의 쿠쿠르비타신 글리코사이드와 같은 여러 다른 요소들이 확인되었으며, 첫번째 명명된 요소는 강력한 항염증제이며, 나머지 두 개는 또한 약제 성질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약제 인자들은 전체 상기 목(스크로풀라리에이씨 과)에서, 그리고 특히 P.속의 모든 식물에서 균일하게 발생한다. 지금까지, PK 추출물의 상기 약제 효능은 종래 기술에서 특정 활성 요소(인자)로 기여된 것이 아니다.
특히 P. 속, 및 스크로풀라리에이씨 과(S.과(S. family)로서 약칭됨)는 일반적으로 친지성 및 비-친지성 성분들 모두를 포함한다. 상기 과의 친지성 화합물 및 구성요소는 본원에서 짧게 LC로서 약칭되며, 유사하게, 이러한 과의 비-친지성 성분 및 화합물은 NLC로서 칭하여진다. 이는 간결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전통적인 약제 실무 또는 현대의 종래 기술 중 하나에서 보고되거나 논의되거나 조사된 PK의 상기 명명된 약제 인자 모두가 주로 NLC인 것을 알아내었다. 종래 기술 (전통적인 약제 실무 포함)은 추출 용매로서 단지 물 및 알코올(메탄올 및 에탄올)의 사용으로 한정된다는 점이 주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일반적으로 말하면 상기 용매가 상기 NLC를 추출하고 모든 LC를 거의 잔류시킨다는 것에 주목한다. 결론적으로, 종래 기술은 단지 NLC 및 이들의 약제 성질에만 주목하고, 다른 성분들에 대해 확장시키지 못하였다.
P. 식물 제재에서 주요 NLC는 이의 글리코사이드이다. 현대에, 다양한 식물 글리코사이드의 광범위한 약제 성질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광범위한 질환 및 질병에 대해 확장한다. 식물 세계에서 다른 타입의 글리코사이드가 발견되고 있다. 약제 성질 및 효과가 관련되어 있는 한, 종래 기술의 초점 및 주목은 전체적으로 P. 글리코사이드에 있다. 종래 기술은 S.과의 식물에서의 다른 성분들, 즉 상기 LC의 특징 및 범위 및 이들의 약제 중요성(medicinal significance)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래 기술이 이들의 연구로부터 LC를 보다 크고 보다 적은 범위로 추출하고 이러한 것들은 조사, 연구 및 약제학적 조사를 하기 위한 다른 용매를 실질적으로 배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해 가능하다. 추측컨대, 종래 기술은 이들의 약제학적 효능의 특성 및 범위를 조사할 것이다. 아마도, 물 및 알코올 추출물이 상당한 약제학적 효능을 나타내고 평가를 위한 충분한 범위를 제공하기 때문에, 다른 추출 용매로 확장하지 않았으며, 이에 의해 S 과의 친지성 구성성분으로 확장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들의 실험적 관찰을 통하여, 본 발명자들은 상기 LC (S.과의 친지성 화합물)의 약제 활성이 매우 높은 목이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상기 NLC의 의학적 효과의 범위 및 양이 상기 글리코사이드와는 상반되게 상당히 및 놀랍게도 높고 넓다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 부정확하지 않은 것이다. 본 발명은 먼저 상기 LC를 고려하고 예를 들어 항바이러스 화합물로서 이들의 매우 특별한 의학적 중요성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우선 NLC의 존재가 LC의 의학적 효능을 손상시키고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배타적으로 또는 최소량의 NLC 함유물과 함께 LC를 함유하는 PK 추출물을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신규한 방법을 제공하고 우선적으로 추출물인 상기 LC 및 이의 추출 프로파일이 상기 NLC를 실질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인 적절한 용매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NLC가 LC의 의학적 효과를 방해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상기 LC를 함유한 추출물 중에 NLC의 존재는 LC의 의학적 효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는 S.과의 일부 NLC가 LC와 상반되는 작용을 갖는다는 것일 수 있다. 메카니즘이 어떻든지 간에, 본 발명은 LC가 상당한 의학적 효과를 가지며 LC-추출물이 이들의 전체 의학적 효능을 실현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NLC가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신규한 PK 추출물은 본 발명의 추출물 중의 의학적 요소가 종래 기술의 의학적 요소와 상이하다는 점에서 매우 기본적인 방식에서 종래 기술의 PK 추출물과 상이하다. 본 발명의 의학적 요소는 실질적으로 종래 기술에 존재하지 않으며 종래 기술의 의학적 요소는 하기에 기술된 이유로 본 발명에서 실질적으로 회피된다. 본 발명의 의학적 요소는 S.과 식물의 LC로서 종래 기술의 경우에서와 같이 S.과 글리코사이드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주요 의학적 인자는 S.과 식물에서 발견된 지방산 및 테르펜, 및 S.과 글리코사이드로부터 발생한 아글리콘이다. 본 발명에서 생성된 상기 지방산, 테르펜 및 아글리콘은 종래 기술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공지된 바와 같이, PK 식물 중의 글리코사이드는 피크로사이드 I, II 및 III 등이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은 주로 상기 피크로사이드 및 아포시닌으로 명명된 화합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피크로사이드 및 다른 글리코사이드 및 또한 아포시닌 모두가 존재하지 않는다. 본래 식물 제재에는 상기 피크로사이드가 다소 존재하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에는 이로부터 유래된 아글리콘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방법은 단지 물리적 추출 공정이 아니고 화학적 변화를 도입하는 것이라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가수분해 및 에스테르화 반응이 추출 공정 동안에 발생하여 추출물 중에 상기 아글리콘의 방출을 초래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러한 가설은, 보다 높은 의학적 효능이 실험적 관찰에 의해 이미 입증되었는 바, 개입 없이 받아들여진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추출 공정이 물리적 변화 및 화학적 변화의 조합을 포함하도록 추출 동안 화학적 반응이 일어난다는 실험적 증거를 갖는다. 본 발명은 헥산 추출물, 및 또한 제 1 용매가 에탄올이고 제 2 용매가 헥산인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전자 절차에서의 수득물은 약 35% 초과의 LC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HPLC 분석에서는, 아글리콘, 스테로이드성 테르펜 및 장쇄 지방산 구조물이 추출물 중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적 수득물은 헥산 추출물 중에 존재하는 이러한 아글리콘, 스테로이드성 테르펜 및 장쇄 지방산의 존재에 상응한다고 추론된다. 이러한 화합물은 S.과 식물에 본래 존재하거나 상기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반응 생성물인 것으로서, 에탄올-헥산 용매 시스템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 중에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에탄올-헥산 용매 시스템은 추출 동안에 이러한 성분들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S.과 식물 중에 발견된 지방산을 추가로 함유한다. S.과 글리코사이드는 종래 기술의 PK 추출물을 맛이 없게 만드는 매우 쓴 맛의 화합물이다. 반대로, 본 발명의 PK 추출물은 쓴 맛의 인자가 완전히 존재하지 않는 매우 맛이 좋다. 여러 냄새 인자는 물 및 알코올 추출물에 존재하며, 그 결과 종래 기술의 PK 추출물은 인간 및 동물 소비를 위한 이들의 수용성을 감소시키는 강력한 불쾌한 냄새를 갖는다. S.과 중의 상기 피크로사이드 및 다른 글리코사이드는 매우 쓴 맛의 화합물이다. 보다 적은 양의 다른 쓴 맛의 물질은 또한 PK 식물에서 발견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실질적으로 무취이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종래 기술의 추출물에 비해 독특하고 상이한 패러다임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 중의 테르펜 및 다른 성분들의 의학적 작용의 메카니즘은 공지되거나 종래 기술의 추출물 성분에 관한 이의 의학적 작용의 우수성에 대해 설명된 바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상기 우수한 의학적 활성이 본 발명에 의해 실험적으로 입증되었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의 추출물의 단점은, S.과의 식물의 상기 테르펜 및 다른 LC 보다 상당히 낮은 의학적 효능을 나타내는 글리코사이드 성분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글리코사이드의 의학적 효과의 범위는 또한 상기 테르펜 및 다른 LC의 범위 보다 상당히 낮다. 이러한 것들이 간보호제이지만, 상기 글리코사이드는 항바이러스 활성을 지니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LC는 DNA 및 RNA 바이러스 둘 모두에 대해 강력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이들의 작용은 상기 NLC의 제한된 간-보호 및 재생 작용 보다 매우 넓어진다. 종래 기술의 추출물은 매우 쓴 맛을 나타내어 대부분의 맛이 없으며, 이들의 비수용성(unacceptability)은 이들의 강력한 불쾌한 냄새의 성분들로 추가로 확장된다.
종래 기술의 추출 방법의 단점은, 이러한 방법들이 물 및 두 개의 알코올, 즉 에탄올 및 메탄올로 제한되고 S.과의 LC를 함유하는 신규하고 보다 양호하고 더욱 유용한 추출물을 수득하는 전체 범위의 용매로 확장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세포주를 통해 상기 친지성 성분을 주로 포함하는 PK의 사용이 간염 및 DNA 및 RNA 타입의 다른 바이러스의 작용을 억제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이는 추가로 바이러스 구조물을 파괴하여, 매우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조성물이라는 확증을 제공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세포막의 구조에 포함되는 인지질은 콜린 포스페이트로 예시되는, 두 개의 고도의 친지성(지방-친화성) 알킬 사슬 및 다른 단부의 고도로 친수성(물-친화성) 이온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것이 PK 추출물 중의 친지성 부분을 바이러스성 질환의 치료에서 약리학적으로 더욱 활성적일 수 있다고 확신한다. 본 발명자들에 의한 시험관내 평가는 독립 실험실에 의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것들은 PK 친지성 화합물이 B형 간염, 인플루엔자, 레트로바이러스, 예를 들어 HIV 및 다른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DNA 및 RNA 바이러스에 대한 매우 높은 항바이러스 성질을 갖는 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PK 식물 제재의 친지성 성분이 실질적으로 주성분인 PK 추출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K의 실질적으로 모든 친지성 성분이 추출물 중에 충실히 존재하는 PK 추출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K의 비-친지성 성분들이 존재하지 않거나 최소한인 PK 추출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PK 중에 존재하는 쓴 맛의 물질, 특히 PK 글리코사이드 및 불쾌한 냄새 성분들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최소한인 PK 추출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친지성 인자들이 주성분이며 PK의 비-친지성 인자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최소한인 PK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추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PK 식물 제재 중에 본래 존재하는 친지성 인자의 전체 셋트가 추출물 중에 충실히 존재하며 상기 가수분해 및 에스테르 반응이 진행되거나 또한 촉진되게 하는 상기 추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래 식물 제재 중의 테르펜 및 지방산의 추출을 최대화하고, 추가로 글리코사이드의 아글리콘으로의 최대 전환율 및 이의 후속 추출이 용매의 적합한 선택 및 추출 파라미터들의 선택에 의해 달성되는 PK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추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추출물을 얻기 위해 PK 추출을 수행할 수 있는 용매의 셋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추출물의 주성분은 상기 친지성 화합물이고 비-친지성 구성성분들 및/또는 추출되는 PK 식물 제재 중에 본래 존재하는 쓴 맛나고 불쾌한 냄새의 이의 구성성분들의 추출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거나 최소화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러스 및 다른 병원균 및 독성 물질로부터 발생하는 다양한 간 질병 및 질환, 일반적으로 DNA 및 RNA-기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감염증 및 질환, 다양한 바이러스, 진균류, 박테리아 및 원생 동물과 관련된 감염증 및 질환/질병, 생명공학 및 발효 산업에서 직면하는 배양물에 대한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제거, 치료 및 처치(management)에서 약품, 기능성 식품 및 식품 조성물로서; 간기능 보호제로서; 간 및 다른 기관 및 시스템과 관련한 예방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및 인간 및 동물 피검체의 건강 및 관리(care)에서 및 연구 및 산업에서 다른 적용을 위한, 스크로풀라리에이씨 과(Scrophulariaceae family) 식물의 식물 제재(plant matter)의 추출물 및 이의 분획으로서, 상기 추출물이 상기 과의 식물의 친지성 구성성분들을 포함하며 주요 상기 친지성 구성성분들이 상기 과의 식물의 하나 이상의 테르펜인, 추출물 및 이의 분획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추출될 식물 제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물 제재를 요망되는 경우에 예비 작업, 예를 들어 절단, 초핑(chopping), 표백(blanching), 건조, 크러싱(crushing), 연마, 시빙(sieving) 등으로 처리하는 단계; 예비 단계로부터의 식물 제재를, 사전결정된 온도에서 및 직렬로 또는 병렬로 또는 혼성 구성으로 벼열된 하나 이상의 추출 작업에서의 시간의 사전결정된 시간 동안에 우선적으로 식물 제재에서 친지성 성분을 추출하는 사전-결정된 비-수성 용매, 용매의 시리즈, 또는 용매 혼합물과 접촉시키고 임의의 공지된 수단으로 공정 중에서 식물 제재로부터 추출물 용액을 분리시키는 단계; 용매의 증발과 같은 임의의 공지된 수단으로 추출물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분리하여 진한 추출물 용액 또는 고체 형태의 생성물 중 하나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로풀라리에이씨 과의 식물 중의 하나 이상의 식물로부터 식물 제재를 추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PK 추출물은 S.과의 식물의 테르펜 구성성분들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추출물은 하나의 상기 테르펜 또는 S.과의 테르펜들의 임의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테르펜은 추출물 중의 단일 주성분이며, 테르펜 및 지방산은 추출물 중의 상기 친지성 성분의 주요 부분이다. 추출물은 S.과 식물의 지방산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PK 추출물은 또한 S.과 식물에 존재하는 글리코사이드의 아글리콘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글리코사이드는 추출 조건 하에서 반응 (가수분해와 같은) 또는 분해를 일으키고, 이후에 용매에 의해 추출물에서 추출되는 이들의 개개의 아글리콘을 수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테르펜, 지방산 및 아글리콘의, 즉 전체적으로 LC의 합쳐진 양은 80 중량% 이상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추출물에는 상기 쓴맛의 글리코사이드가 존재하지 않으며, 추출물 중의 다른 NLC의 양은 전체적으로 추출물의 0.01 중량% 내지 20 중량%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글리코사이드, 커트키사이드(kutkiside), 피크로사이드(picroside) 및 아포시닌(apocynin) 및 드로신(drosin)의 총량은 추출물의 20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추출물의 10 중량% 미만은 수용성이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본 발명의 상기 PK 추출물은 식물의 상기 S.과에서의 임의의 종의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 공정이 임의의 상기 종으로 용이하고 간단히 확장 가능하다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동일하게 용이하고 간단하게, 상기 공정은 상기 종들의 임의의 혼합물에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추출물은 상술된 세 가지 종들의 혼합물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피크로히자 쿠로아 로일(Picrorhiza kurrooa Royle), 피크로히자 스크로풀라리에이씨 펜넬(Picrorhiza scrophulariflora Pennell) 및 네오피크로히자 스크로풀라리플로라(Neopicrorhiza scrophulariiflora). 이러한 세 가지 종은 독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추출을 위해 사용되는 식물 제재는 식물의 임의의 부분, 예를 들어 뿌리, 근경, 줄기, 잎, 꽃, 껍질, 종자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상기 부분들의 임의의 혼합물 또는 조합물이 추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추출된 식물 제재는 뿌리 또는 근경 중 하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 이들 두 개의 혼합물이다. 상기 부분들의 임의의 다른 혼합물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추출 공정은 고체-액체 추출 공정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식물 제재는 S.과의 식물의 임의의 식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이는 상기의 상이한 식물들로부터의 식물 제재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식물 제재는 종 피크로히자 쿠로아 로일 또는 피크로히자 스크로풀라리에이씨 펜넬 또는 네오피크로히자 스크로풀라리플로라, 또는 세 가지 종의 임의의 혼합물 또는 조합물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상기 예비 단계는 선택적인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이러한 단계는 요망되는 경우에 채택될 수 있다. 추출은 습윤된 또는 건조된 식물 제재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제재는 햇빛 건조 또는 공정 건조 중 하나에 의해 사전-건조된다. 바람직하게, 식물 제재는 추출 단계에서 보다 양호한 고체-액체 접촉을 확보하도록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절단되고 잘게 썰어진다. 바람직하게, 식물 제재는 약 1 내지 5 mm 크기 또는 그 미만의 크기 범위로 으깨지고 분쇄된다. 바람직하게, 표백(blanching) 작업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채택되는 용매는 비수성이다. 이는 바람직하게 비극성이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는 극성 및 다른 용매들이 있다. 바람직하게, 이는 비-알코올성이지만 4개 이상의 C-원자의 사슬 길이의 일가 알코올은 비록 극성일지라도 사용될 수 있다. 용매는, 바람직하게 이의 구조에 4개 이상의 C-원자의 탄화수소 사슬 또는 환형 또는 고리 부분 중 하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 없이, 용매는 하기 리스트 중 하나일 수 있다:
디클로로메탄, 헥산, n-헥산, c-헥산, 톨루엔, t-BuOMe, Et2O, 메틸 이소 부틸 케톤, 비닐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t-부탄올, DMA, i-프로판올, 포름산, 포름아미드, 메틸 에틸 케톤,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트산,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벤젠, 1-부탄올, 2-부탄올, 2-부타논, 1-부틸 알코올, 사염화탄소, 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시클로헥삼, 1,2-디클로로에탄,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글림(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1,2-디메톡시-에탄(글림, DME), 디메틸에테르,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디옥산, 에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헵탄, 헥사메틸포스포라미드(HMPA), 헥사메틸포스포러스 트리아미드(HMPT), 메탄올, 메틸 t-부틸 에테르(MTBE), 메틸렌 클로라이드, N-메틸-2-피롤리디논(NMP), 니트로메탄, 펜탄, 석유 에테르(리그로인), 1-프로판올, 2-프로판올, 피리딘, 테트라히드로푸란(THF), 트리에틸 아민, o-, m- 및 p-자일렌, 화이트 스피릿(white spirit), 식물성 오일, 석유 나프타, 터펜틴(turpentine), 산소화 용매(예를 들어, 알코올, 글리콜 에테르,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케톤, 에스테르, 글리콜 에테르, 글리콜 에스테르); 방향족 화합물 및 다른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용매로서 사용되는 유기 화합물, 알코올, 에스테르, 에테르, 케톤, 아민, 및 니트레이트화되고 할로겐화된 탄화 수소, 무기 용매, 예를 들어, 암모니아, 황산, 설퍼릴 클로라이드 플루오라이드, 계면활성제, 세정제, pH 완충제, 물 및 중수.
본 발명의 범위에서, 추출은 상기 용매들 중 임의의 두 개 이상의 용매 혼합물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범위에서, 추출은 상기 용매들로부터 선택된 두 개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 방법은 식물 제재(plant matter)를 적합한 용매(들)와 접촉시키는 고체-액체 추출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본 발명의 방법 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의 다른 공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용매 추출, 흡수제 겔 추출, 액화 가스(예를 들어, CO2) 추출, 효소 공정, 막 여과, 액체-액체 추출, 액체-고체 추출, 수지 추출, 역상 추출, 크로마토그래피 등과 같은 추출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증발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용매를 제거한 후의 본 발명의 추출물 생성물은 건조되거나 연마, 스크리닝, 부형제 상의 흡착, 등과 같은 다른 작업으로 처리될 수 있다. 추출물은 나노입자, 나노 겔의 형태일 수 있거나 가공되어 백신 또는 어주번트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S.과의 식물의 하기 구성성분들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글리코사이드 에스테르, 글리코사이드 에테르, 지방족 화합물, 방향족 화합물, 글리코시드 카복실레이트, 스테로이드성 글리코사이드, 장쇄 지방산, 아글리콘, 아실화된 아글리콘, 지방 알코올, 지방산, 스테로이드성 에스테르, 스테로이드성 지방산, 스테로이드성 알코올, 스테롤, 테르페노이드, 스테로이드성 트리테르펜, 산화된 트리테르펜, 트리테르펜의 에스테르, 트리테르펜의 산, 트리테르펜의 알코올, 쿠쿠르비타신, 5 내지 40개의 C-원자를 갖는 테르페노이드 부분, 장쇄 히드록실 지방산 부분, 수지 산, 스테로이드성 골격 상에 결합된 트리테르페노이드.
본 발명의 범위에서, 추출물은 경구, 정맥내, 근육내, 피하로, 복막내, 직장내, 비강내, 경피로, 피부로, 설하 등으로 투여하기 위한 임의의 공지된 형태일 수 있다. 이는 또한 임의의 공지된 약용 염의 형태일 수 있고, 색, 향, 맛, 질감 등을 위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또한 추가적인 효능 또는 조합 치료 효과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제공하는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추가적인 치료학적 인자들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치료 작용을 갖는 기능성 식품(nutraceutical) 또는 식품 조성물을 형성시키기 위한 영양 인자일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에는 당,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금속, 오일, 지방산, 알코올, 용매 및 다른 식물 추출물이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고체 형태의 조성물 또는 적합한 염기 중의 상기 친지성 성분들의 용액일 수 있거나 임의의 공지된 부형제 상에 흡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이의 성질, 형태, 외형, 색, 질감을 개질시키고 이의 효과 및 수용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임의적으로 추가로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임의의 이러한 개질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러한 개질 공정의 예에는, 추출물의 표준화, 상이한 분획들을 수득하기 위한 분획화, 균질화, 보강화(fortification)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분획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추출물은 HPLC-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 등과 같은 임의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분획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임의의 상기 분획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본 발명의 추출물을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는 비극성 탄화수소 용매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용매는 n-헥산이다.
본 발명의 보다 명확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몇몇 이의 구체예들이 하기에 기술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예 1:
1. 상기 PK 식물의 뿌리 및 근경을 획득하고 햇볕에 건조시켰다. 외부 입자의 Manual picking을 수행하였다.
2. 식물 제재를 스프링클러(sprinkler)를 이용하여 물 세척하여 모래 및 먼지를 제거하였다.
3. 이후에, 상기 식물 제재를 진공 하에서 공기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였다.
4. 이후에, 상기 식물 제재를 손으로 분쇄하고, 분쇄된 제재를 공기 건조시켜 소량의 수분을 제거하였다.
5. 이러한 제재의 배치를 계량하고 반응기(추출 용기)에 채웠다.
6. 헥산을 첨가하고 고체-액체 혼합물을 가열하였다. (또다른 임의의 다른 비-극성 용매).
7. 가열된 혼합물을 계속 교반하였다.
8. 상기 반응을 포함하는 추출 공정을 약 24 시간 동안 진행시켰다.
9. 식물 제재 및 용액을 분리하였다.
10. 상기 용액을 진공 하에서 다른 용기로 옮겼다.
11. 상기 용액을 3회 여과하여 현탁된 제재 및 용해되지 않은 제재를 제거하고, 이후에 상기 용액을 반응 용기(증발기)로 옮기고, 여기서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켰다. 증발 동안에 온도를 70C 미만으로 유지시켰다.
12. 용매를 추출에서 재사용하기 위해 회수하고 옮겼다.
13. 증발로부터 얻어진 고체 잔부를 진공 하, 제어된 분위기에서 공기 건조시켰다. 건조된 물질은 본 발명의 추출물 생성물이며, 시험을 위해 이를 옮겼다.
구체예 2:
1. 구체예 1에서와 같은 단계 1 및 단계 2.
2. PK 식물 제재를 기계적 수단을 이용하여 작은 조각으로 분쇄하였다.
3. 배치를 측정하고, 반응기(추출 용기)에 로딩하였다.
4. 용매, 펜탄 및 에틸 아세테이트의 혼합물을 상기 반응기에 채웠다.
(대안적인 방법: 펜탄,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n-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테트라히드로푸란의 임의의 혼합물)
5. 반응기 함유물을 가열시키고 계속 교반하였다. 약 36 시간 동안 추출을 수행하였다.
6. 식물 제재 및 용액의 분리를 수행하였다.
7. 상기 용액을 진공 하에서 다른 용기로 옮겼다.
8. 상기 용액을 3회 여과하고, 맑은 액체를 진공 하, 약 80C에서 증발시켰다.
9. 용매를 회수하였다.
10. 증발로부터의 고체 잔부를 모으고 진공 하, 질소(대안적으로, 이산화탄소) 분위기에서 공기 건조시켰다.
11. 건조된 생성물은 본 발명의 생성물 추출물이다. 시험을 위해 이를 옮겼다.
구체예 3:
1. 구체예 1의 단계 1 및 단계 2와 동일.
2. PK 식물 제재를 페이스트로 분쇄(mash)하고, 충분한 양의 물과 혼합하였다.
3. 유기산(대안적으로, 무기산)을 첨가하여 글리코사이드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개시키기 위해 pH를 낮추었다.
4. 약 24 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5. 이러한 단계에서, n-헥산 용매 (대안적으로, 석유 에테르)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약 4 시간 동안 추출을 계속하였다.
6. 상기 용액을 디켄팅하고 여과하였다.
7. 약 75C에서 가열시킴으로써 진공 하에서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발시켰다.
8. 반고체 잔부를 모으고 진공 하, 약 80C에서 동결시키고 추가로 가공하여 이를 분말 형태로 수득하였다.
9. 분말은 본 발명의 추출물 생성물이고, 시험을 위해 이를 옮겼다.
구체예 4:
1. 구체예 1의 단계 1 및 단계 2와 동일.
2. PK 식물 제재를 페이스트로 분쇄하고 스팀 증류시켰다.
3. 스팀을 응축시키고, 스팀 증류 후의 잔류 용액을 취합하였다(collect).
4. 효소 에스테라제를 첨가하였다. pH 및 온도를 조정하고, 용액을 약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5. 온도를 진공 하에서 약 100C로 상승시켜 효소를 변성시켰다.
6. 이후에 용액을 냉각시켰다.
7. 석유 에테르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약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8. 상기 용액을 여과하여 효소 잔해(enzyme debris) 및 용해되지 않은 입자들을 제거하였다.
9. 상기 용액을 석유 에테르 층 및 수층으로 분리하였다.
10. 상기 석유 에테르를 가열하여 진공 하에서 용매를 증발시켰다.
11. 고체 잔부를 취합하였으며, 이는 본 발명의 추출물 생성물이다.
12. 상기 추출물 생성물을 공기 건조시키고, 시험을 위해 이동시켰다.
13. 수층으로부터 물을 증발시켰다. 증발은 진공 하에서 이루어졌다. 잔부는 PK 식물 제재 중의 수용성 성분들을 함유한다.
구체예 5:
1. 구체예 1의 단계 1, 단계 2 및 단계 3과 동일.
2. PK 식물 제재를 기계적 수단을 이용하여 작은 조각으로 분쇄하였다.
3. 배치를 측정하고 추출기 반응기로 로딩하였다.
4. 측정된 양의 용매 에탄올(대안적으로, 메탄올)을 상기 반응기에 채웠다.
5. 반응기 함유물을 교반하면서 요망되는 수준으로 가열하고, 이러한 조건에서 약 24 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6. 용액을 진공 하에서 다른 반응기 용기로 옮겼다.
7. 상기 용액을 3회 여과하였다.
8. 물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약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9. 용매 n-헥산(대안적으로, 펜탄)을 첨가하고, 함유물을 약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0. 상기 용액을 약 4 시간 동안 침전시켰다.
11. 진공 하에서의 증발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의 추출물 생성물을 고체 또는 반-고체 형태로 회수하였다.
12. 물 및 알코올을 함유한 밸런스 액체(Balance liquid)를 증발시켜 용매를 회수하였다.
13. 생성물을 진공 하, 질소 분위기(대안적으로, CO2 분위기)에서 공기 건조시키고, 시험 및 미생물학적 시험을 위해 이동시켰다.
구체예 6:
1. 구체예 1에서와 동일한 단계 1 내지 단계 3.
2. 구체예 5에서의 항목 2와 동일.
3. PK 식물 제재의 배치를 측정하고 추출기 반응기에 로딩하였다.
4. 상기 반응기를 요망되는 양의 n-헥산(이러한 구체예에 대한 대안적인 용매: 펜탄, 1,4-디옥산, 디에틸 에테르 및 석유 에테르)로 채웠다.
5. 반응기 함유물을 요망되는 수준으로 가열시키고, 약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6. 용액을 진공 하에서 다른 용기로 옮기고, 3회 여과하였다.
7. 상기 용액을 가열시켜 진공 하에서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추출물 생성물을 고체 또는 반-고체 형태로 수득하였다.
8. 진공 하, 질소 분위기(대안적으로, CO2 분위기)에서 공기 건조시킴으로써, 잔류하는 용매를 제거하였다.
9. 생성물을 물리적 성질 및 미생물학적 평가를 위한 시험을 위해 이동시켰다.
상기 본원에 기술된 것 이외의 다른 구체예 및 변형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실현 가능하며, 이러한 구체예 및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에 포함된다.

Claims (28)

  1. 바이러스 및 다른 병원균 및 독성 물질로부터 발생하는 다양한 간 질병 및 질환, 일반적으로 DNA 및 RNA-기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감염증 및 질환, 다양한 바이러스, 진균류, 박테리아 및 원생 동물과 관련된 감염증 및 질환/질병, 생명공학 및 발효 산업에서 직면하는 배양물에 대한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제거, 치료 및 처치(management)에서 약품, 기능성 식품 및 식품 조성물로서; 간기능 보호제로서; 간 및 다른 기관 및 시스템과 관련한 예방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및 인간 및 동물 피검체의 건강 및 관리(care)에서 및 연구 및 산업에서 다른 적용을 위한, 스크로풀라리에이씨 과(Scrophulariaceae family) 식물의 식물 제재(plant matter)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으로서, 상기 추출물이 상기 과의 식물의 친지성 구성성분들을 포함하며 주요 상기 친지성 구성성분들이 상기 과의 식물의 하나 이상의 테르펜 및 지방산인,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
  2. 제 1항에 있어서, 추출물 중의 상기 친지성 성분이 약 80 중량% 초과하는 추출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친지성 성분이 상기 과의 식물의 지방산 및 테르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추출물 중의 상기 지방산 및 테르펜의 함량이 상기 친지성 성분의 약 50 중량% 초과하는 추출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친지성 성분이 약 0.01 중량% 내지 20 중량%인 추출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성분의 양이 상기 친지성 성분의 양의 약 0.01 중량% 내지 10 중량%인 추출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쓴 맛이 나고 불쾌한 냄새가 나는 성분의 양이 약 0.5 중량% 이하인 추출물.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 종 피크로히자 쿠로아 로일(Picrorhiza kurrooa Royle), 피크로히자 스크로풀라리에이씨 펜넬(Picrorhiza scrophulariflora Pennell) 및 네오피크로히자 스크로풀라리플로라(Neopicrorhiza scrophulariiflora)로부터 유래된 추출물, 및 바람직하게 상기 종 중 두 개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 잎, 줄기, 근경, 뿌리, 꽃, 껍질, 종자 또는 다른 부분으로부터 선택된 식물의 부분들 중 하나, 및 바람직하게 뿌리 또는 근경, 및 더욱 바람직하게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유래된 추출물.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과의 식물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성분들, 예를 들어 글리코사이드 에스테르, 글리코사이드 에테르, 지방족 화합물, 방향족 화합물, 글리코시드 카복실레이트, 스테로이드성 글리코사이드, 장쇄 지방산, 아글리콘, 아실화된 글리코드, 지방 알코올, 지방산, 스테로이드성 에스테르, 스테로이드성 지방산, 스테로이드성 알코올, 스테롤, 테르페노이드, 스테로이드성 트리테르펜, 산화된 트리테르펜, 트리테르펜의 에스테르, 트리테르펜의 산, 트리테르펜의 알코올, 쿠쿠르비타신, 5 내지 40개의 C-원자를 갖는 테르페노이드 부분, 테르펜 및 이들의 지방산, 에스테르, 스테롤, 스테로이드, 알코올, 염, 탄수화물, 산, 사포닌, 알칼로이드, 페놀, 탄닌, 리그닌, 플라보노이드, 호르몬, 안료, 카테킨, 단백질, 펩티드, 이온, 산화된 형태, 탄화 수소, 장쇄 히드록실 지방산 부분, 수지 산, 스테로이드성 골격상에 결합된 트리테르페노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추출물.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구, 정맥내, 근육내, 피하내, 복막내, 직장내, 비강내, 경피, 피부, 설하 등으로 투여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공지된 형태이거나 나노입자 또는 나노 겔의 형태이거나 부형제 상에 흡착된 추출물.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임의의 공지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인 추출물.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첨가제, 예를 들어 임의의 공지된 치료제 성분, 영양 인자, 색, 풍미, 질감 및 향 성분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추출물.
  13. 바이러스 및 다른 병원균 및 독성 물질로부터 발생하는 다양한 간 질병 및 질환, 일반적으로 DNA 및 RNA-기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감염증 및 질환, 다양한 바이러스, 진균류, 박테리아 및 원생 동물과 관련된 감염증 및 질환/질병, 생명공학 및 발효 산업에서 직면하는 배양물에 대한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제거, 치료 및 처치(management)에서 약품, 기능성 식품 및 식품 조성물로서; 간기능 보호제로서; 간 및 다른 기관 및 시스템과 관련한 예방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및 실질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인간 및 동물 피검체의 건강 및 관리에서 및 연구 및 산업에서 다른 적용을 위한, 스크로풀라리에이씨 과(Scrophulariaceae family) 식물의 식물 제재(plant matter)의 추출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출물의 분획 또는 분획의 혼합물로서, 상기 분획이 분획화, 예를 들어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또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 또는 다른 수단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분획, 또는 분획의 혼합물.
  15. 인간 및 동물 피검체에서 바이러스, 균류, 박테리아 및 원생 동물에 의해 야기된 감염증 및 질환의 예방, 제거, 치료 및 관리에서의,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출물의 용도.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증 및 질환이 인간 및 동물 피검체의 간의 감염증 및 질환인 추출물의 용도.
  17.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증 및 질환이 RNA 기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되는 추출물의 용도.
  18.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증 및 질환이 DNA 기반 바이러스로부터 일어나는 것인 추출물의 용도.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증 및 질환이 포진, 간염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구강인두 칸디다증, 접합균증, 스포로트릭스증, 결핵균, 폐렴연쇄구균, 장관출혈성 대장균(EHEC) 및 다른 감염증 및 질환 중 하나인 추출물의 용도.
  20. 제 15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부가적인 또는 보충적인 치료학적 작용을 위한 첨가제를 포함하고/거나, 영양, 색, 질감, 풍미, 향 및 기타 특성을 위한 인자를 포함하는 추출물의 용도.
  21. 추출될 식물 제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물 제재를 요망되는 경우에 예비 작업, 예를 들어 절단, 초핑(chopping), 표백(blanching), 건조, 크러싱(crushing), 연마, 시빙(sieving) 등으로 처리하는 단계; 예비 단계로부터의 식물 제재를, 사전결정된 온도에서 및 직렬로 또는 병렬로 또는 혼성 구성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추출 작업에서의 시간의 사전결정된 시간 동안에 우선적으로 식물 제재에서 친지성 성분을 추출하는 사전-결정된 비-수성 용매, 용매의 시리즈, 또는 용매 혼합물과 접촉시키고 임의의 공지된 수단으로 공정 중에서 식물 제재로부터 추출물 용액을 분리시키는 단계; 용매의 증발과 같은 임의의 공지된 수단으로 추출물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분리하여 진한 추출물 용액 또는 고체 형태의 생성물 중 하나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디켄팅(decantation), 여과 및 기타 작업과 같은 공지된 가공 작업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스크로풀라리에이씨 과의 식물 중의 하나 이상의 식물로부터 식물 제재를 추출하는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일련의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이 디클로로메탄, 헥산, n-헥산, c-헥산, 톨루엔, t-BuOMe, Et2O, 메틸 이소 부틸 케톤, 비닐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t-부탄올, DMA, i-프로판올, 포름산, 포름아미드, 메틸 에틸 케톤,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트산,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벤젠, 1-부탄올, 2-부탄올, 2-부타논, 1-부틸 알코올, 사염화탄소, 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시클로헥삼, 1,2-디클로로에탄,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글림(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1,2-디메톡시-에탄(글림, DME), 디메틸에테르,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디옥산, 에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헵탄, 헥사메틸포스포라미드(HMPA), 헥사메틸포스포러스 트리아미드(HMPT), 메탄올, 메틸 t-부틸 에테르(MTBE), 메틸렌 클로라이드, N-메틸-2-피롤리디논(NMP), 니트로메탄, 펜탄, 석유 에테르(리그로인), 1-프로판올, 2-프로판올, 피리딘, 테트라히드로푸란(THF), 트리에틸 아민, o-, m- 및 p-자일렌, 화이트 스피릿, 식물성 오일, 석유 나프타, 터펜틴, 산소화 용매(예를 들어, 알코올, 글리콜 에테르,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케톤, 에스테르, 글리콜 에테르, 글리콜 에스테르); 용매로서 사용되는 유기 화합물, 예를 들어, 방향족 화합물 및 다른 탄화 수소, 알코올, 에스테르, 에테르, 케톤, 아민, 및 니트레이트화된 및 할로겐화된 탄화 수소, 무기 용매, 예를 들어 암모니아, 황산, 설퍼릴 클로라이드 플루오라이드, 계면활성제, 세정제, pH 완충제, 물 및 중수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추출 방법.
  23.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용매가 n-헥산인 추출 방법.
  24. 제 2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되는 식물 제재가 식물 종 피크로히자 쿠로아 로일(Picrorhiza kurrooa Royle), 피크로히자 스크로풀라리에이씨 펜넬(Picrorhiza scrophulariflora Pennell) 및 네오피크로히자 스크로풀라리플로라(Neopicrorhiza scrophulariiflora), 또는 바람직하게 상기 종 중 두 개 이상의 혼합물인 추출 방법.
  25. 제 21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되는 식물 제재가 줄기, 이프, 꽃, 종자, 껍질, 근경, 뿌리 또는 식물의 다른 부분, 바람직하게 뿌리 또는 근경, 및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뿌리와 근경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추출 방법.
  26. 실질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스크로풀라리에이씨 식물 과 중 하나 이상의 식물로부터 식물 제재를 추출하는 방법.
  27. 제 21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출물 또는 이의 임의의 분획.
  28.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정제, 캐플릿, 캡슐, 패치, 소프트젤(softgel), 토피칼 젤(topical gel), 시럽, 강장제(tonic), 분말, 발포정, 드링크 믹스, 츄어블(cheable), 주입액(injection), 나노 입자 등과 같은 공지된 형태 중 임의의 하나로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된, 추출물.
KR1020127006456A 2009-08-12 2010-08-11 인간 및 생명공학 산업에서 dna 기반 바이러스의 예방, 제거 및 치료를 위한 피크로히자 쿠로아 추출물 KR201200819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1917/CHE/2009 2009-08-12
IN1917CH2009 2009-08-12
IN2150/CHE/2009 2009-09-04
IN2150CH2009 2009-09-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979A true KR20120081979A (ko) 2012-07-20

Family

ID=5426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6456A KR20120081979A (ko) 2009-08-12 2010-08-11 인간 및 생명공학 산업에서 dna 기반 바이러스의 예방, 제거 및 치료를 위한 피크로히자 쿠로아 추출물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9433656B2 (ko)
EP (1) EP2482832A4 (ko)
JP (2) JP2013501776A (ko)
KR (1) KR20120081979A (ko)
CN (3) CN105902672A (ko)
AP (1) AP3784A (ko)
AU (1) AU2010288101B2 (ko)
BR (1) BR112012002836A2 (ko)
CA (1) CA2769751A1 (ko)
CL (1) CL2012000362A1 (ko)
CO (1) CO6511230A2 (ko)
DO (1) DOP2012000036A (ko)
EA (1) EA030607B1 (ko)
IL (1) IL217944B (ko)
MX (1) MX344305B (ko)
MY (1) MY175245A (ko)
NZ (1) NZ598244A (ko)
SG (2) SG178235A1 (ko)
WO (1) WO2011024196A2 (ko)
ZA (1) ZA2012013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131A1 (en) 2011-09-23 2013-03-28 M KUMAR, Anil A process for preparation of synergistic herbal preparation of extracts picrorhiza kurroa and glycyrrhiza glabra having medicinal value
CN103571824B (zh) 2012-08-09 2016-04-13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用于分离核酸的组合物及方法
CN102920831B (zh) * 2012-11-20 2014-07-23 济南康众医药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胡黄连总皂苷的制备方法
CA2909098A1 (en) * 2013-04-08 2014-11-13 Munisekhar Medasani Bioactive apolar extract containing plant genetic material for treatment of mammalian diseases
CN109762353A (zh) * 2019-01-08 2019-05-17 北京盛广拓再生科技股份有限公司 冬季冷补料及生产工艺
WO2021152555A1 (en) * 2020-02-02 2021-08-05 Munisekhar Medasani Novel immunotherapy for tumours and cancers, and associated inflammation
EP4176867A1 (fr) * 2021-11-03 2023-05-10 Term Helvet SA Extrait de plante et son utilisation dans des compositions à usage topique
WO2023200416A1 (en) * 2022-04-13 2023-10-19 Istanbul Teknik Universitesi Use of verbascum extract to increase the oil retention capacity of material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5955A (en) * 1991-10-28 1992-09-08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and composition of a fraction containing picroside I and kutkoside
US6696094B2 (en) * 2000-10-18 2004-02-24 Tzu-Sheng Wu Herb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HIV/AIDS patients
US20040175439A1 (en) * 2001-03-02 2004-09-09 Benoit Cyr Plant extract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extracellular protease inhibitors
US6855346B2 (en) * 2001-10-05 2005-02-15 Tzu-Sheng Wu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prophylactic effects on lamivudine-related disease relapse and drug resistanc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060246161A1 (en) * 2003-02-21 2006-11-02 Hongtao Xing Method of making medicament for treating anemia
CN1488637A (zh) * 2003-09-05 2004-04-14 北京深文医药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胡黄连总苷提取物的制备方法
CN100398121C (zh) * 2004-12-15 2008-07-02 周亚伟 胡黄连提取物在制备治疗糖尿病药物中的应用
CN1699392B (zh) * 2005-06-13 2011-06-29 中国医药研究开发中心有限公司 胡黄连总苷的制备方法
US20070036873A1 (en) 2005-07-27 2007-02-15 Shibnath Ghosal Method of treatment or management of stress
CN100493539C (zh) * 2006-08-24 2009-06-03 南方医科大学 西藏胡黄连在制备治疗肾脏疾病药物中的应用
US20080207578A1 (en) * 2006-12-15 2008-08-28 Chu Kee Hung Method of inducing apoptosis in cancer treatment by using cucurbitacins
AR060847A1 (es) 2007-05-03 2008-07-16 Spannagel Lucia Antonia Formulacion a base de calendula, aloe y centell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82832A2 (en) 2012-08-08
IL217944B (en) 2018-06-28
JP2013501776A (ja) 2013-01-17
NZ598244A (en) 2015-03-27
CN105902672A (zh) 2016-08-31
CO6511230A2 (es) 2012-08-31
CA2769751A1 (en) 2011-03-03
WO2011024196A3 (en) 2011-06-16
AU2010288101A1 (en) 2012-03-08
MY175245A (en) 2020-06-17
CL2012000362A1 (es) 2014-05-16
SG178235A1 (en) 2012-03-29
SG10201404811SA (en) 2014-09-26
MX344305B (es) 2016-12-13
CN105878538A (zh) 2016-08-24
JP2016028104A (ja) 2016-02-25
CN102481328A (zh) 2012-05-30
AP3784A (en) 2016-08-31
IL217944A0 (en) 2012-03-29
EA201270273A1 (ru) 2012-09-28
ZA201201373B (en) 2013-01-30
EA030607B1 (ru) 2018-08-31
WO2011024196A2 (en) 2011-03-03
DOP2012000036A (es) 2012-07-15
MX2012001747A (es) 2012-06-12
US20120219648A1 (en) 2012-08-30
AU2010288101B2 (en) 2016-01-14
BR112012002836A2 (pt) 2015-09-01
AP2012006179A0 (en) 2012-04-30
US9433656B2 (en) 2016-09-06
EP2482832A4 (en)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1979A (ko) 인간 및 생명공학 산업에서 dna 기반 바이러스의 예방, 제거 및 치료를 위한 피크로히자 쿠로아 추출물
JP2003509506A (ja) アボガドのフラン脂質化合物およびポリヒドロキシル化された脂肪族アルコールを抽出する方法、該化合物に基く組成物および治療、美容並びに食品における該化合物の使用
HU188311B (en) Process for producing biologically active polisaccharide concentrat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s active agents
KR101676043B1 (ko) 유칼리 추출물의 조제 방법
US9603885B2 (en) Picrorhiza extract for prevention, elimination and treatment of infection diseases
JP2023531396A (ja) アンモニア生成を低減するための動物飼料組成物
EP3466936B1 (en) Extraction processes for cynaropicrin present in the leaves of cynara cardunculus l.
JP5935127B2 (ja) ジヒドロカルコン精製方法
JP6876679B2 (ja) ネポジン高含有ギシギシ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ネポジン高含有ギシギシ抽出物
WO2006111251A2 (en) Hydro-alcoholic extract of butea frondosa flowers, a process for its prepa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it and its use for the treatment of ulcer
JP2014516338A (ja) トリプテリジウム・ウィルフォルディ・フックf植物の抽出物を処理する方法
OA19817A (en) Picrorhiza kurroa extract for prevention, elimination and treatment of RNA viruses and infection or diseases caused by the same in humans, animals and in biotech industry.
JP5461872B2 (ja) アラビノシルビテキシンを含有する経口摂取用組成物の製造方法とその用途
KR20210053636A (ko)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및 견과류를 제조하는 방법
JP2001072599A (ja) 新規肝障害抑制剤
JP2001010968A (ja) 新規肝障害抑制剤
JP2007210898A (ja) 抗うつ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