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333A -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333A
KR20120079333A KR1020110000562A KR20110000562A KR20120079333A KR 20120079333 A KR20120079333 A KR 20120079333A KR 1020110000562 A KR1020110000562 A KR 1020110000562A KR 20110000562 A KR20110000562 A KR 20110000562A KR 20120079333 A KR20120079333 A KR 20120079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can
unit
light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0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9333A/ko
Priority to US13/200,368 priority patent/US8804207B2/en
Priority to EP11195522.5A priority patent/EP2472844B1/en
Priority to JP2012000283A priority patent/JP2012142948A/ja
Publication of KR20120079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72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with refeeding for double-sided scanning, e.g. using one scanning head for both sides of a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203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 H04N1/2032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of two pictures corresponding to two sides of a singl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04N1/00013Read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31Testing, i.e. determining the result of a t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45Methods therefor using a reference pattern designed for the purpose, e.g. a test ch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88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to the scan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41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 up and reproduction
    • H04N1/02427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 up and reproduction in different pla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41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 up and reproduction
    • H04N1/02427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 up and reproduction in different planes
    • H04N1/02436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 up and reproduction in different planes using a single head selectively and alternately arranged to scan in the different pla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means for collecting light from a line or an area of the original and for guiding it to only one or a relatively low number of picture element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4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4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 H04N1/0286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using an array of light sources or a combination of such arrays, e.g. an LED b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4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 H04N1/0287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using a tubular lamp or a combination of such l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4Moving a scanning element into cooperation with a calibration element, e.g. a grey-wedge mounted on the document support,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양면 스캔 모드를 지원하는 화상독취장치가 개시된다. 화상독취장치는, 원고를 자동 이송하는 원고 자동 이송부, 광원을 구비하며, 원고의 제1 면을 스캔하는 제1 스캔부, 광원을 구비하며, 원고의 제2 면을 스캔하는 제2 스캔부 및 원고 자동 이송부로 원고를 이송하는 동안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READ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면 스캔이 가능한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독취장치는 문서, 그림 또는 필름 등의 원본 이미지를 스캐닝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 경우 디지털 데이터는 컴퓨터의 모니터에 표시되거나 프린터에 의해 인쇄되어 출력 이미지로 생성될 수 있다. 화상독취장치는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캐너뿐만 아니라 팩스 기능을 제공하는 팩시밀리, 복사 기능을 제공하는 복사기 및 복합기 등에서도 사용가능하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스캔 구조 중 스캔 속도 증가 및 기구 복잡도 줄이기 위해 하나의 용지 Path 상에 양면을 각각 스캔할 수 있는 스캐너를 배치하고 Paper Path를 이용하여 원고를 이송하여, 1회의 원고 이송으로 원고의 앞뒷면 즉 양면을 동시에 스캔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스캔 모듈은 Scan Module Controller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작하게 되며, 이미지센서, AFE 등 이미지 독취에 필요한 소자들을 컨트롤하게 된다.
통상 이러한 양면 스캔 시스템의 동작 효율을 향상을 위해 스캔 모듈을 서로 가까이 배치하는데, 이로 인해 각각의 스캔 모듈의 조명계들의 크로스 토크(cross talk)으로 인해 원고의 배면 비침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두 개의 이미지 센서 모듈을 인접하여 배치함에 따라 동시에 두 개의 센서모듈이 동작하게 되어 상대 이미지 센서의 조명에 의해 독취 이미지 센서에 원고의 배면이 투영되어 스캔 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2개의 스캔 모듈(화상독취모듈)은 가까이 배치할수록 용지의 이동 구간을 줄여 스캔속도를 증가시키고 스캐너의 기구적인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화상독취구간에서의 용지의 떨림을 방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평탄구간의 길이 확보가 용이해진다.
하지만 2개의 스캔 모듈이 가까워짐에 따라 도 1b와 같이 서로의 조명에 의한 용지의 배면 비침 현상은 증가하게 된다. 한쪽 스캔 모듈의 조명에서 발산된 빛은 다른 쪽 스캔 모듈의 결상부를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까지 도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명계 cross talk으로 인해 원고의 배면 비침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복사 용지의 상태에 따라 더욱 심화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캔 모듈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면 스캔 모드를 지원하는 화상독취장치는, 원고를 자동 이송하는 원고 자동 이송부; 제1 광원을 구비하며, 상기 원고의 제1 면을 스캔하는 제1 스캔부; 제2 광원을 구비하며, 상기 원고의 제2 면을 스캔하는 제2 스캔부; 및 상기 원고 자동 이송부로 상기 원고를 이송하는 동안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이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캔부 및 제2 스캔부 각각은, 상기 원고를 독취하여 획득한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라인 타임(Line-Time)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캔부 및 상기 제2 스캔부의 스캔 서브 디렉션(Scan Sub-Direction)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상이한 횟수만큼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점등 듀티(duty)가 상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중복되어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중복되어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교번 점등 주기를 상기 제1 및 제2 스캔부의 모터 주기 신호, 부주사 방향 이미지 데이터의 라인별 주기 신호, 및 스캔 서브 디렉션 레졸루션(scan sub-direction resolution) 및 스캔 스피드(scan speed)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거리 주기 신호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고 자동 이송부의 용지 진입 영역에 마련된 제1 센서부; 및 상기 원고 자동 이송부의 용지 배출 영역에 마련된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이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번 점등 시에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광량을 상이하게 조정하며, 조정된 광량에 따라 스캔된 이미지를 보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고를 자동 이송하는 원고 자동 이송부, 제1 광원을 구비하며, 상기 원고의 제1 면을 스캔하는 제1 스캔부, 및 제2 광원을 구비하며, 상기 원고의 제2 면을 스캔하는 제2 스캔부를 구비하며, 양면 스캔 모드를 지원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 방법은, 양면 스캔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원고 이송부로 상기 원고를 이송하는 동안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캔부 및 제2 스캔부 각각은, 상기 원고를 독취하여 획득한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라인 타임(Line-Time)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캔부 및 상기 제2 스캔부의 스캔 서브 디렉션(Scan Sub-Direction)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상이한 횟수만큼 점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점등 듀티(duty)가 상이하도록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점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중복하여 점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중복하여 점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교번 점등 주기를 상기 제1 및 제2 스캔부의 모터 주기 신호, 부주사 방향 이미지 데이터의 라인별 주기 신호, 및 스캔 서브 디렉션 레졸루션(scan sub-direction resolution) 및 스캔 스피드(scan speed)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거리 주기 신호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독취장치는, 상기 원고 자동 이송부의 용지 진입 영역에 마련된 제1 센서부; 및 상기 원고 자동 이송부의 용지 배출 영역에 마련된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번 점등 시에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광량을 상이하게 조정하며, 조정된 광량에 따라 스캔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면 스캔시 2개의 스캔 모듈의 조명이 상대측의 스캔 모듈에 영향을 주게 되어 조명에 의한 영향(Cross talk)로 배면 비침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 제어에 의해 화상이 영향을 받을 경우 이를 보정하여 유려한 화상을 독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2b에 도시된 화상독취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번 점등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면 스캔시 광조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 변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광원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캔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조명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에에 따른 스캔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100)는 제1 스캔부(110), 제2 스캔부(120), 원고 자동 이송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본 화상독취장치(100)는 광을 주사하여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이는 장치로서,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탑재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화상독취장치(100)는 원고의 제1 면을 스캔하는 제1 스캔부(110)와 원고의 제2 면을 스캔하는 제2 스캔부(120)를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고 원고의 양면을 스캔할 수 있다. 이는 원고의 이송 방향을 반전시키는 방법에 비해 원고를 불필요하게 순환시키는 일 없이 원고의 양면을 거의 동시에 스캐닝하므로 고속 양면 스캔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제1 스캔부(110)는 원고의 제1 면을 스캔하는 기능을 하며, 원고에 광을 주사하는 제1 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스캔부(120)는 원고의 제2 면을 스캔하는 기능을 하며, 원고에 광을 주사하는 제2 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캔부(110) 및 제2 스캔부(120)는 스캐닝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캐닝 모듈은 구비된 광원을 통해 원고에 광을 주사하고, 원고에 인쇄된 가시화상을 광 신호 형태로 독취하며, 독취된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처리 모듈(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원은 CFL, Xe-Lamp 류의 램프,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원고 자동 이송부(130)는 원고를 자동 이송하는 기능을 하며, ADF(Automatic Document Feeder)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양면 스캔시에 원고 자동 이송부(130)로 원고를 이송하는 동안 제1 스캔부(110) 및 제2 스캔부(120)에 구비된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적어도 한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내에서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상이한 횟수만큼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점등 듀티(duty)가 상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중복되어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중복되어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스캔부(110) 및 제2 스캔부(120) 각각은 원고 자동 이송부(130)를 통해 이송되는 원고를 독취하여 획득한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이미지 센서(미도시) 및 제2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IS(Contact Image Sensor)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제1 이미지 센서 및 제2 이미지 센서의 라인 타임(Line-Time) 1 주기 동안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복수 번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교번 점등 주기를 이미지 센서의 라인 타임 신호에 동기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교번 점등 주기를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교번 점등 신호를 이미지 센서의 라인 타임 신호에 동기화되지 않을 경우 PWM 펄스의 주파수를 높혀 광편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PWM 펄스 주파수와 듀티(duty)를 변경하여 광편차가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제1 스캔부(110) 및 제2 스캔부(120)의 스캔 서브 디렉션(scan sub-direction)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적어도 한번 교번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교번 점등 주기를 스캔 서브 디렉션 주기 신호에 동기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 및 제2 스캔부(110, 120)에 구비된 모터 주기 신호, 부주사 방향 이미지 데이터의 라인별 주기 신호 및, 스캔 서브 디렉션 레졸루션(scan sub-direction resolution) 및 스캔 스피드(scan speed)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거리 주기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1 광원 및 제2광원이 교번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에 따르면, 화상독취장치(200)는 제1 스캐너부(210), 제2 스캐너부(220), 원고 자동 이송부(230), 제어부(240), 제1 센서부(250) 및 제2 센서부(260)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2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부(250)는 제1 스캔부(210)의 용지 진입 영역에 마련되어 용지의 이송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부(260)는 제2 스캔부(220)의 용지 배출 영역에 마련되어 용지의 이송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제1 센서부(250)에서 용지가 감지되는 경우 제1 광원이 교번 점등을 시작하고,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 제2 광원이 교번 점등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제1 센서부(250) 및 제2 센서부(250)에서 용지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교번 점등을 중지하고,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제1 센서부(250) 및 제2 센서부(26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센서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300)는 도 2a 또는 도 2b에 도시된 화상독취장치(100, 200), 입력부(310), 렌더링부(미도시), 화상처리부(320), 출력부(3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 통신 인터페이스부(350), 저장부(36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300)는 외부장치와 연결가능하고, 문서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팩시밀리와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팩시밀리 기능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화상독취장치(100, 200)의 구성은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바와 동잃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입력부(310)는 화상 처리를 위한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310)는 인쇄 이미지 또는 스캔 이미지를 입력받고, 생성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입력부(310)는 호스트 장치(미도시)에 구비된 응용 프로그램 또는 드라이버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 또는 에뮬레이션(emulation) 등을 통해 생성된 RGB 렌더링(rendering) 이미지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복사의 경우에는 RGB 센서로 스캔된 스캔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RGB 공간의 비트맵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화상 처리부(320)는 제어부(370)의 제어에 따라 입력 데이터에 대한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화상처리부(320)는 RGB로 생성된 채널별 8 bit 이미지를 컬러 변환을 통해 CMYK 색상을 갖는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에 대해 화질 개선을 수행하고, 하프토닝을 통해 1bit 이미지(이진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인쇄부(330)는 제어부(370)의 제어에 따라 화상 처리부(320)에 의해 화상처리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인쇄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인쇄부(330)는 화상독취장치(100, 200)에서 입력되는 신호나 PC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인쇄 매체인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 유닛, 용지에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 유닛,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현상된 화상을 용지에 고착시키는 정착 유닛 및 인쇄가 끝난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용지 트레이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는 픽업롤러에 의해 현상 유닛 쪽으로 이송된다. 대전롤러에 의해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의 표면에는 노광유닛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이 정전잠상은 현상롤러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 후 전사롤러에 의해 용지로 전사된다. 용지에 전사된 토너 화상은 정착유닛의 가열롤러와 가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용지에 융착되고, 정착유닛을 통과한 용지는 배지롤러들에 의해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명령이 입력되는 조작키(미도시) 및 화상형성장치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창(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0)는 터치패드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 화상형성장치(300)에서 진행 중인 잡의 진행 사항 및 그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를 통해 화상형성장치(300) 내의 각종 인쇄 잡을 확인할 수 있으며, 관리 제어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50)는 네트워크를 통한 외부장치(미도시)와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부(350)는 DLNA 네트워크, 로컬 방식,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 등을 지원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통신 인터페이스부(350)는 호스트 장치(미도시)에 구비된 응용 프로그램 또는 드라이버 등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 또는 에뮬레이션(emulation) 등을 통해 생성된 RGB 렌더링(rendering) 이미지를 수신하여 입력부(31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상술한 입력부(310)와 통신 인터페이스부(350)가 하드웨어적으로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통신 인터페이스부(350) 자체가 입력부(310)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360)는 화상형성장치(3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호스트(Host)에 연결된 저장매체,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기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화상형성장치(3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70)는 상술한 입력부(310), 화상 처리부(320), 출력부(3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 통신 인터페이스부(350) 및 저장부(3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이 화상형성장치(300)에 구비된 구성요소들을 통해 제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상술한 모든 기능들은 화상형성장치(300)와 연결된 호스트 장치(미도시)에 구비된 프린터 드라이버(미도시) 또는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도 2b에 도시된 화상독취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양면 스캔시 스캔모듈(210, 220)(상술한 제1 및 제2 스캔부)의 조명계가 서로 간섭현상을 일으키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조명계의 간섭현상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기 위하여 스캔 모듈 1, 2(210, 220)의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 자동 이송부(230)의 용지 이송 경로 상에 두 개의 감지 센서 S1, S2(250, 260)를 부착하여 용지의 급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용지의 급지 상태 신호를 제어부(240)로 전송되고, 제어부(240)는 이 급지 상태 신호를 이용하여 조명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40)는 스캔 모듈 컨트롤러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명계의 점등 상태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제어될 수 있다.
제1 감지센서(S1) 제2 감지센서(S2) 조명계 점등 상태
OFF OFF 스캔모듈 1, 2 점멸
ON OFF 스캔모듈 1, 2 교번점등
ON ON 스캔모듈 1, 2 교번점등
OFF ON 스캔모듈 1, 2 교번점등
OFF OFF 스캔모듈 1, 2 점멸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를 스캔하는 경우 원고의 급지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S1(250)에 의해 원고가 스캔부에 급지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 신호는 제어부(240)에 송신되고, 제어부(240)를 통해 스캔 모듈 2(220)의 조명계와 스캔 모듈 1(210)의 조명계가 서로 교번적으로 점등하기 시작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조명계의 점등 상태는 하기의 표 2과 같이 제어될 수 있다.
제1 감지센서(S1) 제2 감지센서(S2) 조명계 점등 상태
OFF OFF 스캔모듈 1, 2 점멸
ON OFF 스캔모듈 1, 2 교번점등
ON ON 스캔모듈 1, 2 교번점등
OFF ON 스캔모듈 1 점멸
스캔모듈 2 교번점등
OFF OFF 스캔모듈 1, 2 점멸
상기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계를 교번 점등할 때 제1 감지 센서(S1) OFF, 제2 감지 센서(S2) ON 인 경우, 스캔 모듈 1(210)의 광원을 먼저 점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조명계의 점등 상태는 하기의 표 3와 같이 제어될 수 있다.
제1 감지센서(S1) 제2 감지센서(S2) 조명계 점등 상태
OFF OFF 스캔모듈 1, 2 점멸
ON OFF 스캔모듈 1 점등 소정 시간 후 스캔모듈 2 점등
ON ON 스캔모듈 1, 2 교번점등
OFF ON 스캔모듈 1 점멸
스캔모듈 2 교번점등
OFF OFF 스캔모듈 1, 2 점멸
상기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계를 교번 점등할 때 제1 감지 센서(S1) ON, 제2 감지 센서(S2) OFF 인 경우, 스캔 모듈 1(210)의 광원을 먼저 점등한 후 소정 시간 이후 스캔 모듈 2(220)의 광원을 점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D1의 거리에 해당되는 시간이 흐른 뒤 스캔 모듈 2(220)의 광원을 점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계의 점등 상태를 하기의 표 4와 같이 제어될 수 있다.
제1 감지센서(S1) 제2 감지센서(S2) 조명계 점등 상태
OFF OFF 스캔모듈 1, 2 점멸
ON OFF 스캔모듈 1 점등 소정 시간 후 스캔모듈 2 점등
ON ON 스캔모듈 1, 2 교번점등
OFF ON 스캔모듈 1, 2 교번점등
OFF OFF 스캔모듈 1, 2 점멸
상기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 2, 3에 도시된 점등 상태를 조합하여 조명계의 점등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교번 점등이 시작되는 시기 및 끝나는 시기는 용지 감지 센서의 수량 및 위치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번 점등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스캔 모듈 1(210) 및 스캔 모듈 2(220)가 기설정된 신호에 의해 동기화되고, 이 기설정된 신호의 1 주기 동안 스캔 모듈 1(210) 및 스캔 모듈 2(220)는 적어도 한번 이상 교번 점등할 수 있다.
이 때 동기 신호는 스캔 모듈 1, 2(210, 220)의 수광부 즉, 이미지 센서(212, 222)의 라인 타임(Line-time)(Shutter time) 및 스캔 서브 디렉션(Scan Sub-Direction) 주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스캔 서브 디렉션(Scan Sub-Direction) 주기 신호는 제1 및 제2 스캔 모듈(210, 220)의 모터 주기 신호, 부주사 방향 이미지 데이터의 라인별 주기 신호, 스캔 서브 디렉션 레졸루션(scan sub-direction resolution) 및 스캔 스피드(scan speed)에 따른 거리주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스캔 모듈 1(210)의 조명 ON 시간과 스캔 모듈 2(220)의 조명 ON 시간 사이에는 일정한 시간 간격이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스캔 모듈이 필요로 하는 빛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 적절한 시간만큼 조명을 점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캔 모듈 1(210)은 1번의 교번 주기를 35%의 시간 동안, 스캔 모듈 2(220)은 1번의 교번 주기를 45%의 시간 동안 빛을 갖는 것이 최적의 조건일 경우, 1번의 주기 동안 20%의 시간 동안만 스캔 모듈 1(210)과 스캔 모듈 2(220)의 조명이 점멸되게 할 수 있다. 이 시간은 스캔 모듈 1(210)과 스캔 모듈 2(220)의 시간차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수광부의 광량이 포화되는 Maximum Spec의 90%로 맞추는 것이 화질 유려화를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교번 주기 내에서 스캔 모듈 1, 2(210, 220)는 복수 번 점등 가능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신호가 스캔 서브 디렉션(Scan Sub-Direction) 신호인 경우, 예를 들어, 스캔시 600dpi와 300dpi를 사용하는 경우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다.
600dpi와 300dpi 동작시 스캔 서브 디렉션(Scan Sub-Direction)의 거리가 상이하다. 즉, 스캔 디렉션 레졸루션(Scan Direction resolution) 및 스캔 스피드(Scan speed)에 따라 그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교번 점등 시간을 이 거리에 맞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캔 디렉션 레졸루션(Scan Direction resolution) 및 스캔 스피드(Scan speed)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거리를 테이블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0dpi 및 600dpi의 경우는 배수 관계로 설정함으로서 간단히 컨트롤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캔 모듈 1과 스캔 모듈 1를 교차 점등함으로써, 스캔 모듈 2의 빛이 스캔 모듈 1 또는 그 반대로 들어가지 않게 되므로 배면 비침 등의 화상 열화가 발생하지 않고, 광원 컨트롤을 통해 유려한 화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면 스캔시 광조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의 양면을 스캔할 시 광원 1(111)의 광량이 센서 1(112)에 조사되어 이미지 데이터를 독취하고 광원 2(121)의 광량이 센서 2(122)에 조사되어 이미지 데이터를 독취하게 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 변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스캔 모듈 1(110)과 스캔 모듈 2(120)가 독취한 이미지 데이터인 광량은 아날로그 데이터(Analog Data)인 전압(Voltage)으로 표현되고, 이는 다시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통해 디지털 코드(Digital Code)로 변경되게 된다.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코드로 변경하는데 있어 ADC는 Input Condition인 아날로그 이미지 데이터의 Voltage range에 Limit를 주게 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아날로그 이미지 데이터의 Range 내에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Conversion)이 가능하다. 이외의 영역은 ADC가 표현할 수 없는 값이기 때문에 스캔 모듈은 최대한으로 이 아날로그 이미지 데이터의 Limit 내에서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가 0V ~ 2V 내에서 표현을 해야 28 (256) 레벨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하여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표현됨으로, 0V ~ 0.3V 내에서 표현되면 이미지가 잘 표현되지 않는다.
통상 스캔 모듈에 따라 센서의 민감도(Sensitivity)나 광원(Light Source) Luminance 등이 달라 아날로그 이미지 데이터의 출력량이 다르다. 하지만, CCD와 같은 수광부는 가변을 하기 힘들어, 아래 표와 같이 최대(Max) 광량이 Range의 Limit을 넘는 경우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여 Luminance 양이 Limit을 넘지 않도록 조절한다.
즉 빛을 주기적으로 On / Off 함으로써 각 스캔 모듈의 최종 출력인 아날로그 이미지 데이터의 출력 최대량을 조절할 수 있다. 아날로그 이미지 데이터가 Full range spec[max]를 넘으면 이미지가 표현되지 않고, Full range spec보다 많이 작으면 이미지가 표현되지 않으므로 Max의 90% 수준으로 아날로그 이미지 데이터의 최대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기의 표와 같다.
Figure pat00001
또한, CCD의 Line-Time 1주기 내에서 복수번 교번 점등을 해야 광량에 대한 Tolerance가 적어져서 화상의 tolerance를 줄일 수 있다.
즉 도 8a와 같이 1Khz로 On/Off하는 광원과 도 8b와 같이 0.5Khz로 On Off하는 경우, 센서의 각 Line-Time 주기 내에서 광의 Frequency에 따라 On/Off되는 횟수가 틀리다.
도 8a의 경우 각 Line-Time 내에서 광량의 편차가 12.5% (100x(8-7)/8)) 이고, 도 8b의 경우 각 Line-Time 내에서 광량의 편차는 6.6% (100x15-14)/15) 이다. 따라서 광량이 빠르게 On/Off 할수록 광량의 편차가 줄어든다.
이 광량은 그대로 화질에 영향을 주게 되어, Video image에 도 8a의 경우 12.5%의 노이즈가, 도 8b의 경우 6.6%의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600dpi scan시 광원을 두 번 깜빡이면 1200dpi가 스캔되는 효과를 일부분 낼 수 있기 때문에 광원을 복수 번 깜빡임으로써, 고 Resolution의 효과도 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를 유려하게 하기 위해서는 수광부 내 이미지센서의 line-Time 신호 1 주기 내에서 복수 번 교번 점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광원의 특성상 CCFL, Xe-Lamp 류의 램프는 50khz~100Khz로, LED의 경우는 LED Driver 및 LED Switching Response 효율 등을 고려했을 시 200Khz 이하로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절차가 가능할 수 있다.
광원의 응답 시간(Response Time)을 고려하여 200Khz와 같이 특정 주파수로 맞추고, 좀더 정확한 주파수를 찾기 위해 쉐이딩 보정(shading correction)과 같은 이미지 보정(image correction)을 위한 전 처리(Pre-processing)를 이용하여 적절한 광량이 나오는지 센서 출력 레벨(sensor output level)을 확인하여 주파수 및 주기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보정을 위한 교번 점등에 대한 절차를 도 9와 같이 만들어 이용할 수 있다.
우선, 교번 점등을 설정하고(S910), Scan Controller에서 광원신호를 점등/점멸을 위해 광원 컨트롤 신호를 200Khz의 동작신호 설정을 한다(S920).
200Khz로 LED가 On/Off를 반복하도록 동작시켜 shading patch(S930)를 통해 Vout Level을 체크한다(S940).
Shading data level 데이터에 이상이 없을 경우(S940:Y), 이 값을 scan 동작시 사용한다(S950)
Shading data level 데이터에 이상이 있을 경우(S940:N), 광원 On/Off(PWM) 신호의 Frequency 및 duty를 조정한다(S960).
이후 다시 shading data level 데이터를 체크하여 이상이 없는 값을 찾아 이 값을 세팅한다. 이 경우 Frequency는 낮추고, Duty의 On-duty 시간은 키우도록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교번 점등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번 점등시 각각의 스캔 모듈이 서로 다른 횟수만큼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고의 제1 면을 스캔하는 스캔 모듈 1의 조명이 ON 된 후 소정시간 이후에 스캔 모듈 1의 조명이 점멸되고, 이후 소정 시간 이후에 스캔 모듈 2의 조명이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교번 점등이 기설정된 신호에 의해 동기화되도록 하고 이 기설저된 신호의 1 주기 내에서 스캔 모듈 1의 조명의 점등 횟수와 스캔 모듈 2의 점등 횟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신호라 함은 상술한 수광부의 line-Time(Shutter Time)신호 및 Scan Sub-Direction 주기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등 시간의 Duty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고의 제1 면을 스캔하는 스캔 모듈 1의 조명이 ON된 후, 소정의 시간 이후에 스캔 모듈 1의 조명이 점멸되고, 이 후 소정 시간 이후 스캔 모듈 2의 조명이 점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교번 점등이 기설정된 신호에 의해 동기화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설정된 신호의 1 주기 내에서 스캔 모듈 1의 조명과 스캔 모듈 2의 조명이 교번 점등을 하게 되는게 각각의 조명에 대해 조명이 점등되는 시간 즉, Duty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신호라 함은 상술한 수광부의 line-Time(Shutter Time)신호 및 Scan Sub-Direction 주기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번 점등을 중복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고의 제1 면을 스캔하는 스캔 모듈 1의 조명이 ON된 후, 소정의 시간 이후에 스캔 모듈 1의 조명이 점멸되고, 이 후 소정의 시간 이후에 스캔 모듈 2의 조명이 점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교번 점등은 특정 신호에 의해 동기화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신호의 1 주기 내에서 스캔 모듈 1의 조명과 스캔 모듈 2의 조명이 교번 점등하게 되는데 조명 간섭에 따른 이미지 영향이 미미할 경우 각각의 조명이 교번되는 시점을 겹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IP(Image Processing)과 관련이 있으나, 간섭을 1%정도 수준으로 하고 단순한 TEXT만 있는 원고의 경우 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교번 점등이 아닌 한 측의 스캔 모듈 조명 빛을 약하게 조사하여 배면 비침이 이미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조명 빛을 약하게 조사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빛에 대한 영향이 적어서 한쪽 조명 빛을 약하게 조사하는 경우, 배면 비침이 발생하지 않는 대신 빛이 약하게 되어 화질이 좋지 않게 됨으로 위와 같이 광원을 조절함과 동시에 그 조절된 량만큼을 이미지 데이터의 Gain factor을 자동으로 바뀌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FE의 PGA factor를 조절하거나, 또는 이미지 데이터에 줄어든 만큼 증가시켜주면 된다.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쉐이딩 데이터에 그 양만큼 ratio를 조정하여 들어오는 이미지 데이터를 조정함으로써 화질을 좀 더 유려하게 만들게 된다. 즉 배면 비침이 발생하지 않을 만큼 줄어든 빛의 세기만큼 이미지 데이터를 보상한다. 통상 빛의 양과 이미지 데이터는 정비례함으로 빛의 양이 50% 줄어들면, 이미지 데이터를 2배로 키워주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상술한 스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경우 화질 유려 판단 블럭은 생략될 수 있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대로 빛의 양과 이미지 데이터의 정비례 관계가 있고, 빛의 줄어든 양을 사전에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화질 유려 판단은 스캔 모듈을 사용하여 특정 패턴을 읽어 그 값을 원래의 값과 비교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즉, 특정패턴의 일부분만을 읽음으로써, 도 11에 도시된 구성 중 화질 유려 판단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배면 비침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캔 모듈 1, 2의 광원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여 광원의 점등/점멸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교번 점등시 스캔 모듈의 점등상태를 알기 위해 각각의 스캔 모듈 광원 인근에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서미스터류 및 온도 측정기기를 장착하여 온도를 보고 점등 상태를 확인하여 교번 점등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면 스캔시 2개의 스캔 모듈의 조명이 상대측의 스캔 모듈에 영향을 주게 되어 조명에 의한 영향(Cross talk)로 배면 비침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 제어에 의해 화상이 영향을 받을 경우 이를 보정하여 유려한 화상을 독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10, 210: 제1 스캔부 120, 220: 제2 스캔부
130, 230: 원고 자동 이송부 140, 240: 제어부
250: 제1 센서부 260: 제2 센서부

Claims (20)

  1. 양면 스캔 모드를 지원하는 화상독취장치에 있어서,
    원고를 자동 이송하는 원고 자동 이송부;
    제1 광원을 구비하며, 상기 원고의 제1 면을 스캔하는 제1 스캔부;
    제2 광원을 구비하며, 상기 원고의 제2 면을 스캔하는 제2 스캔부; 및
    상기 원고 자동 이송부로 상기 원고를 이송하는 동안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이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캔부 및 제2 스캔부 각각은,
    상기 원고를 독취하여 획득한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라인 타임(Line-Time)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캔부 및 상기 제2 스캔부의 스캔 서브 디렉션(Scan Sub-Direction)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상이한 횟수만큼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점등 듀티(duty)가 상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중복되어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중복되어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교번 점등 주기를 상기 제1 및 제2 스캔부의 모터 주기 신호, 부주사 방향 이미지 데이터의 라인별 주기 신호, 및 스캔 서브 디렉션 레졸루션(scan sub-direction resolution) 및 스캔 스피드(scan speed)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거리 주기 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자동 이송부의 용지 진입 영역에 마련된 제1 센서부; 및
    상기 원고 자동 이송부의 용지 배출 영역에 마련된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이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번 점등 시에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광량을 상이하게 조정하며, 조정된 광량에 따라 스캔된 이미지를 보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1. 원고를 자동 이송하는 원고 자동 이송부, 제1 광원을 구비하며, 상기 원고의 제1 면을 스캔하는 제1 스캔부, 및 제2 광원을 구비하며, 상기 원고의 제2 면을 스캔하는 제2 스캔부를 구비하며, 양면 스캔 모드를 지원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양면 스캔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원고 이송부로 상기 원고를 이송하는 동안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캔부 및 제2 스캔부 각각은,
    상기 원고를 독취하여 획득한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라인 타임(Line-Time)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캔부 및 상기 제2 스캔부의 스캔 서브 디렉션(Scan Sub-Direction)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상이한 횟수만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점등 듀티(duty)가 상이하도록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중복하여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의 한 주기 동안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중복하여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교번 점등 주기를 상기 제1 및 제2 스캔부의 모터 주기 신호, 부주사 방향 이미지 데이터의 라인별 주기 신호, 및 스캔 서브 디렉션 레졸루션(scan sub-direction resolution) 및 스캔 스피드(scan speed)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거리 주기 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독취장치는,
    상기 원고 자동 이송부의 용지 진입 영역에 마련된 제1 센서부; 및
    상기 원고 자동 이송부의 용지 배출 영역에 마련된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복수 번 교번적으로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교번 점등 시에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광량을 상이하게 조정하며, 조정된 광량에 따라 스캔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10000562A 2011-01-04 2011-01-04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79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562A KR20120079333A (ko) 2011-01-04 2011-01-04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3/200,368 US8804207B2 (en) 2011-01-04 2011-09-23 Image read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1195522.5A EP2472844B1 (en) 2011-01-04 2011-12-23 Image read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2000283A JP2012142948A (ja) 2011-01-04 2012-01-04 画像読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562A KR20120079333A (ko) 2011-01-04 2011-01-04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037A Division KR101846935B1 (ko) 2017-06-12 2017-06-12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333A true KR20120079333A (ko) 2012-07-12

Family

ID=4552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562A KR20120079333A (ko) 2011-01-04 2011-01-04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04207B2 (ko)
EP (1) EP2472844B1 (ko)
JP (1) JP2012142948A (ko)
KR (1) KR201200793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8674A2 (en) * 2006-09-08 2008-03-13 Exbiblio B.V. Optical scanners, such as hand-held optical scanners
JP5380563B2 (ja) * 2012-02-24 2014-01-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080541B2 (ja) * 2012-12-26 2017-02-15 日本放送協会 立体画像取得装置および立体画像取得方法
JP5777649B2 (ja) * 2013-01-28 2015-09-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5921511B2 (ja) * 2013-09-30 2016-05-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読取装置、放射線画像読取プログラム、及び放射線画像読取方法
JP6179436B2 (ja) * 2014-03-28 2017-08-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6439290B2 (ja) * 2014-06-25 2018-12-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464586B2 (ja) * 2014-07-14 2019-02-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KR20170040997A (ko) * 2015-10-06 2017-04-14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 획득 장치, 화상 획득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JP6745602B2 (ja) * 2016-02-15 2020-08-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992324B2 (ja) * 2017-08-25 2022-01-1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11689678B2 (en) * 2021-07-06 2023-06-27 Anhui Gaozhe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Double-sided synchronous scanning device and double-sided synchronous scann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0862A (ja) * 1988-09-28 1990-03-30 Eastman Kodatsuku Japan Kk 情報読み取り装置
JPH09321947A (ja) 1996-05-29 1997-12-12 Ricoh Co Ltd 画像読取り装置
JP2001339576A (ja) 2000-05-26 2001-12-07 Canon Inc 両面読取り型画像読取り装置及び該装置の制御方法
JP2002111977A (ja) 2000-10-03 2002-04-12 Nisca Corp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み取り方法
JP3579644B2 (ja) 2000-10-25 2004-10-20 シャープ株式会社 両面原稿読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R2963527B1 (fr) 2010-07-30 2013-05-24 Sagemcom Documents Sas Scanner recto verso d'un document, et procede de commande assoc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72844B1 (en) 2019-03-06
JP2012142948A (ja) 2012-07-26
EP2472844A3 (en) 2012-10-24
EP2472844A2 (en) 2012-07-04
US20120170083A1 (en) 2012-07-05
US8804207B2 (en) 201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9333A (ko)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103183B2 (en) Heater control with varying control cycle and lighting pattern
US7375864B2 (en) Document reading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implementing same
JP5233625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310741B2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290669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WI524727B (zh) 影像讀取裝置,影像形成裝置及電腦可讀取之媒體
US8947753B2 (en) Imaging device for a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method
JP2011244057A (ja) 画像読取装置と画像形成装置
JP5244881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320333A (ja) 複写装置
KR101846935B1 (ko)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842625B2 (ja) 原稿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と原稿読取方法
JP2014192579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4003557A (ja) 画像読取装置
US20080111055A1 (en) Light source control apparatus, image read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medium storing light source part control progra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light source part
JP5942400B2 (ja) ヒータ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ヒータ制御方法
JP5568460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63163B2 (ja) 画像読取装置
JP2015119417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027536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283438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178340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106309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303057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