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070A - 유아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유아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070A
KR20120079070A KR1020127006992A KR20127006992A KR20120079070A KR 20120079070 A KR20120079070 A KR 20120079070A KR 1020127006992 A KR1020127006992 A KR 1020127006992A KR 20127006992 A KR20127006992 A KR 20127006992A KR 20120079070 A KR20120079070 A KR 20120079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insert
cushion
flexible pane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6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린 아네트 프로스트
Original Assignee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filed Critical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20079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예시된 실시예들은 유아를 데리고 다닐 수 있는 장치들을 제공한다. 특히, 실시예들은 유아를 어린 아이용 캐리어내에 두고 데리고 다닐 수 있는 유아용 인서트들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서트들은 일단 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곡선형의 연성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패널은 유아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에 전면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유아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의 하면에 쿠션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아용 인서트는 유아의 무릎이 올려진 상태에서 유아가 착용자를 바라보는 자세로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인서트들은 웅크려 펴는 자세(spread-squat-position)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캐리어{INFANT CARRIER}
본 발명은 아이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유아를 데리고 다니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큰 어린 아이용 캐리어 내에 유아를 두고 데리고 다니기 위한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착용 가능한 아이 캐리어를 이용하는 경우, 부모들은 손과 팔을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편안하게 아이들을 데리고 다닐 수 있다.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캐리어로 아이를 다양한 자세로 데리고 다닐 수 있다. 아이 캐리어의 구성에 따라, 부모는 아이를 자신의 전면, 배면, 혹은 측면에 아이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일부 아이 캐리어는 상기 어느 자세로든 아이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에르고베이비 아기 캐리어(ERGObaby baby carrier)는 전면 캐리어, 배면 팩, 또는 힙 캐리어 포지션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에르고베이비는 하와이, 푸칼라니에 소재한 에르고베이비사의 상표명이다).
일반적으로, 어린 아이들은 슬링(slings) 이나 전면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리고 다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링의 경우 아이의 체중이 부모의 어깨에 고르게 분산되지 않기 때문에 불편할 수 있다. 전면 캐리어는, 아이의 다리가 아래로 쳐지고 아이의 체중이 아이의 척추 뼈 아래 부분에서 지지되는 상태의 수직 자세로 아이를 지지한다. 이 자세는 유아에게 최적이 아닐 것 이다. 어른의 척추 뼈는 4개의 곡선을 형성하는 반면, 어린 아이의 척추 뼈는 2개의 곡선만 형성한다. 어린 아이의 척추 뼈는 대부분 C-자 형상이다(일명, 전척추 후만증 (total kyphosis). 수직 자세는 유아의 척추의 만곡을 지나치게 제한하고 엉치뼈(sacrum)에 스트레스를 줄 수 있다. 이 경우, 유아의 골반이 뒤로 기울어 다리와 힙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유아 골반의 건강한 성장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현재의 해결책은 슬링을 이용해서 유아를 부모의 전면에서 업거나, 유아를 담요나 푹신한 시트로 싸고 부모의 상반신을 가로 지르는 소정 각도로 유아를 어린 아이용 캐리어에 놓는 것이다. 그러면, 유아는 두발이 모두 아이 캐리어의 하나의 개구를 통해 나온 상태의 비듬한 자세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유아를 아이 캐리어에 바르게 놓기가 어렵고 당혹스러우며, 불편할 것이다.
본 실시예들은 유아용 인서트들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아를 데리고 다닐 수 있는 유아용 인서트가 제공된다. 상기 유아용 인서트는 내면과 외면을 갖는 연성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아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에 전면 개구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유아의 척추 및 목을 따라 상기 유아를 지지할 수 있는 크기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유아용 인서트 사용시 상기 유아의 꼬리뼈 앞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 쿠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아용 인서트는 앞으로 착용 가능한 어린 아이용 캐리어의 어린 아이 운반 영역내에 배치되도록 크기와 구조가 맞춰져, 상기 유아의 무릎들이 들어 올려지는 상태로 착용자를 바라보는 자세로 상기 유아를 수용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아용 인서트는 상기 유아의 대퇴골이 관상면으로부터 90도에서 120도의 각도를 이루는 자세로 상기 유아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용 인서트 상기 유아의 대퇴골이 상기 유아의 정중면(median plane)으로부터 45도에서 6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유아를 지지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아용 인서트는 쪼그리고 앉아 벌리는 자세(spread-squat-position)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아용 인서트은 내면, 외면, 제1 측면 에지, 제2 측면 에지, 상면 에지, 하면 에지, 제1 하면 모서리, 및 제2 하면 모서리를 가지는 장형 연성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형 연성 패널의 하면에 쿠션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에지들이 모여서 유아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에 테이퍼진 전면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1 및 제2 하면 모서리들은 바늘질될 수 있다. 상기 상면 에지부터 상기 하면 에지까지에서의 상기 장형 연성 패널의 길이는 상기 유아의 척추와 목을 따라 상기 패널이 상기 유아를 지지할 수 있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장형 연성 패널의 폭은 사용시 상기 유아를 위해 측면 패딩을 제공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장형 연성 패널은 상기 제1 측면 에지, 상기 상면 에지, 및 상기 제2 측면 에지를 따라 형성된 연속 패딩 레일; 그리고 상기 장형 연성 패널의 수직축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유아의 척추를 위한 패딩을 제공하기 위한 척추 패딩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아용 인서트는 상기 유아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의 하면의 상기 쿠션 개구내에 배치되어 쿠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아용 인서트는 앞으로 착용 가능한 어린 아이용 캐리어의 어린 아이 운반 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유아가 착용자를 바라보는 자세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아를 데리고 다니는 방법은 유아용 인서트를 어린 아이용 캐리어의 어린 아이 운반 영역내에 착용자에 대해 전면 운반 자세가 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아는 상기 어린 아이용 캐리어의 상기 착용자를 바라보며 상기 유아의 척추와 목이 상기 연성 패널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유아용 인서트가 위치 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유아의 엉치뼈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무게를 완화하기 위해 상기 유아의 골반을 앞으로 기울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아의 무릎들이 관상면으로부터 적어도 90도 들어 올려지는 자세로 유아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아용 인서트는 내면과 외면을 갖는 연성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아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에 전면 개구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유아의 척추 및 목을 따라 상기 유아를 지지할 수 있는 크기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유아용 인서트 사용시 상기 유아의 꼬리뼈 앞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 쿠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은 사용시 상기 유아의 꼬리뼈 앞쪽에서 상기 유아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설명된 유아용 인서트들에 몇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유아가 슬링처럼 비스듬하게 되는 기존의 인서트들과 비교해 보면, 실시예들은 유아가 부모와 서로 전면을 마주보게 위치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부모나 양육자에게 더 편안한 자세일 것이다. 유아는 인서트가 유아의 척추와 다리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약간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게 된다. 유아의 체중은 유아의 엉덩이, 넓적다리, 및 등에 걸쳐 분산되어 꼬리뼈에 지나친 하중에 가해지지 않으며, 골반 성장에 좀 더 유리하다고 여겨지는 쪼그리고 앉아 벌리는 자세에서 척추가 자연스럽게 만곡된 상태로 유아가 기댈 수 있다.
실시예들 및 그 이점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했다:
도 1은 유아용 인서트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잠금띠(closure strap)를 죄었을 때의 유아용 인서트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패널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4는 쿠션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5는 유아용 인서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인서트에 유아가 위치된 모습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인서트를 일실시예에 따른 어린 아이용 캐리어내에 놓고 성인이 상기 어린 아이용 캐리어를 앞으로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인서트를 어린 아이용 캐리어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유아가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인서트를 일실시예에 따른 어린 아이용 캐리어내에 놓고 성인이 상기 어린 아이용 캐리어를 앞으로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및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인서트를 어린 아이용 캐리어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유아가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발명의 제한하지 않는 예시적 목적으로 제시된 실시예들과 이를 보여주는 도면들 및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 그 다양한 특징들, 및 이점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불필요하게 발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서 잘 알려진 물질이나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그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과 구체적인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다양하게 대체, 변형, 추가, 및/또는 재배열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등의 용어는 개방형 종결어로 사용된 것이다. 예를 들어, 공정, 제품, 품목, 장치가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고 기재된 경우 이러한 구성요소들만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고유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시적으로 다르게 표현하지 않은 이상, “또는”은 배타적 의미가 아니라 포함하는 의미로 쓰여진 것이다. 예를 들어, "조건 A 또는 조건 B”라고 기재된 경우: A가 참(또는 존재) 및 B가 거짓(또는 비존재), A가 거짓(또는 비존재) 및 B가 참(또는 존재), 및 A와 B가 모두 참(또는 존재)인 경우 어느 것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예들 또는 예시도들에서 사용된 용어 또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제한, 한정, 또는 정의할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들 및 예시도들은 어느 실시예를 예시할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된다.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 또는 용어들이 이러한 예들 내에서 제시된 또는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제시된 다른 실행예들 및 변경예들 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예들을 아우르는 용어들임을 알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이러한 비제한적인 예들과 예시들은 설명하기 위해, “예를 들어,” “예컨대,” “일예에 따르면”등의 표현으로 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등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예시된 표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가능하면, 같거나 대응되는 부분(구성요소)는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했다.
유아를 데리고 이동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린 아이용 캐리어에 결합되어 유아를 착용자와 대면하는 자세(예를 들어, 어린 아이용 캐리어를 착용한 사람과 유아가 서로 전면으로 마주보는 전대전 자세(front-to-front position))에서 유아의 엉치뼈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과하지 않고 유아가 다리를 좀 더 자연스럽게 둘 수 있도록 지지하는 유아용 인서트가 제공된다. 도 1은 유아를 어린 아이용 캐리어 내에서 지지하기 위한 유아용 인서트(100)을 도시한다. 유아용 인서트(100)는 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유아쪽의) 내면 및 외면을 가지는 패널(102)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102)는 보통 어린 아이가 앉는 어린 아이용 캐리어 내에 결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패널(102)은 사각형이나 계란형 또는 그 외의 다른 형상으로 길죽한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102)는 라운드 또는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패널(102)는 사용시 유아의 척추를 따라 유아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패널(102)은 유아의 척추와 목을 따라 유아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패널(102)은 머리 안착 영역을 제공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유아가 자신의 머리를 댈 수 있는 영역(도면 부호 103).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시 유아의 측면에서 패딩(padding)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인서트(100)가 캐리어 내에서 사용시 지나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널(102)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102)은 대략 사각형 모양이며, 제1 측면 에지(104), 제2 측면 에지(106), 상면 에지(108), 및 하면 에지(110)를 가지는 외측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상면 에지와 상기 측면 에지들 사이에는 둥근 모서리들이 있고, 상기 측면 에지들과 상기 하면 에지 사이에는 정사각형 모서리들(105, 107) (도 3 참조)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며, 패널(102)은 다른 적당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패널(102)은 단일 패널이거나, 동일하거나 다른 재질이 결합된 다중 패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102)는 적절하다면 어떠한 재질로도 만들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패널(102)은 유아가 쾌적하게 느끼는 면과 같은 유연하고 통기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외측 셀을 가지는 푹신한 패널일 수 있다. 합성 직물이나 양털들의 다른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예시된 재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유아의 쾌적함을 위해 상기 셀은 패딩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패널(102)의 측면 에지 및 상면에지를 따라 레일(112)이 연장될 수 있다. 사용시 레일(112)은 유아의 다리 아래에 위치되는 패딩이 많은 영역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2)는 패널(102)의 에지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레일(112)이 패널(102)의 측면과 상면을 따라 연장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면 에지를 따라서도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아의 다리를 지지하기 위한 패딩이 레일을 따라 연적으로 배치되는 대신 레일의 떨어진 영역 또는 레일들에 배치 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패널(102)은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곡선형 모양일 수 있다. 일예에 따르면, 패널(102)는 감기거나 접혀서 패널(102)의 에지들(104, 106)이 패널(102)의 하면 근처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지들은 패널(102)의 하면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고, 패널(102)의 상면으로 갈수록 서러 멀어진다. 상기 측면 에지(104)는 V-자형 또는 테이퍼진 전면 개구를 형성하여 유아를 지지하기 위한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에지들(104, 106)은 일 지점에서 서로 접할 수 있으며, 유아가 큰 경우 유아의 다리가 상기 일 지점 아래로 뻗어 나 올 수 있다. 이 경우, 다리를 부모의 측면에 두고 앉을 수 있을 정도 (도 9 참조)로 큰 유아의 넓적 다리 아래로 레일(112)이 통과 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에지들(104, 106)은 패널(102)의 하면에 가까운 개구(120)을 형성하도록 완전히 모여진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패널(102)의 상기 하면 모서리들(105, 107) (도 3 참조)은 에지들(104, 106)이 중첩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하면 모서리들은 바늘질, 버튼, 후크와 아이 패스트너(eye fastener), 또는 다른 방법으로 결합 또는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들(104, 106)은 완전히 모여지지 않고 레일(112)이 유아의 넓적다리 아래에 위치될 수 있을 정도로만 모여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에지들(104, 106)은 띠(strap)나 패스트너를 이용하여 서로 접촉 또는 비접촉된 상태에서 테이퍼진 전면 개구를 형성하도록 당겨질 수 있다.
유아용 인서트(100)는 유아를 지지하는 하면에 형성된 개구(120) 내에 배치되는 쿠션(122)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122)은 그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개구(120) 내에서 위치가 유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122)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쿠션 유지띠(124), 주머니, 또는 다른 유지 부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쿠션(122)은 패널(102)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패널(102)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를 위해 쿠션(122)은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쿠션(122)는 패널(102)를 형성하는데 사용된 재질과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의 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패널(102)이 유아를 더욱 바싹 감싸도록 전면 개구를 닫거나 그 크기를 줄이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잠금띠(closing strap) (126)가 유아용 인서트(1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은 띠(126)가 죄어진 상태의 유아용 인서트(100)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서, 패널(102)은 작은 유아를 더욱 바싹 감쌀 수 있는 튜브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띠(126)의 일단이 패널(102)의 반쪽 외측에 바늘질되어 있고(예를 들어, 좌측 또는 우측 반쪽), 자유단이 다른 반쪽 외측에 버튼이나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띠(126)는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띠(126) 전면 개구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도 3은 패널(102)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측면 에지(104), 측면 에지(106), 상면 에지(108), 하면 에지(110), 및 연속 레일(112)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모서리들(105, 107)은 패널(102)의 내면을 도시하기 위해 분리되어 있다. 패널(102)의 내면은 유아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패널(102)은 유아에게 패딩을 제공하기 위해 후면 패드 영역(130)을 포함한다. 원하는 바에 따라, 패드 영역(130)은 어떠한 형상 크기로도 제공 될 수 있다. 패드 영역(130)의 패딩은 패드 영역 전체에 걸쳐 일정하거나 변동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패널(102) 유아의 척추를 위한 패딩을 제공하기 위해 척추 패드 영역(132)를 포함할 수 있다. 척추 패드 영역(132)은 패널(102)의 수직축 주위에 위치될 수 있다. 척추 패드 영역(132)은 다른 양의 패딩을 갖는 구획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획들의 숫자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된 예에서, 척추 패드 영역(132)은 적어도 3개의 구획(134, 136, 138)을 갖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패딩은 구획(134)에서 구획(138)로 갈수록 증가한다. 유아가 등의 아랫 부분을 더 쉽게 구획(138)에 기대게 하기 위해 구획(138)은 더 많이 패딩될 수 있다. 구획(138)에 추가적인 구획(140)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구획(140)은 쿠션(122) (도 4 참조)에 덮혀질 수 있으므로, 패딩을 조금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패팅 레이어를 적층하는 방법으로 패딩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구획에 패딩 레이어가 많을수록 상기 구획은 많이 패딩된다. 레일들(112)와 같은 패널(102)의 다른 영역들이 패딩될 수 있다. 패널(102)의 셀을 바느질로 누비는 방식으로 패딩을 셀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는 쿠션(122)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122)의 상기 하면(142)이 개구(120)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으나, 만일 힘이 인가되지 않는다면, 쿠션(122)의 상면(144)가 고정되지 않도록 쿠션(122)은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띠(retaining strap, 144)는 쿠션(122)을 고정시키는데 조력할 수 있다. 상기 쿠션(122)은 원하는 부드러움 및 지지력을 갖도록 덧대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아가 착용자의 몸 둘레에 그 다리들을 펴도록 위치될 때, 쿠션(122)이 유아 무릎의 오목한 곳에 도달하도록 쿠션(122)의 크기는 선택될 수 있다. 유아가 유아용 인서트보다 너무 클 때, 쿠션(122)은 어린 아이를 떠받치는데 조력할 수 있도록 어린 아이용 캐리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비록 탈착가능한 쿠션으로서 도시되었지만, 쿠션(122)는 유아용 캐리어(1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유아용 인서트(200)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인서트(200)는 도 1의 패널(102)과 유사한 패널(20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패널(202)은 척추 패딩(spinal padding)을 제공하는 탈착가능한 백 큐션(206)용 주머니(pouch, 204)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206)은 균일한 패딩 또는 쿠션(206)의 길이를 따라 가변하는 패딩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쿠션(206)은 유아의 척추를 따라 패딩을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유아용 인서트(200)가 쿠션 유지띠(124) 또는 잠금띠(closing strap, 126)을 포함하지 않는다.
활동 중, 유아용 인서트(100 또는 200)는 어린 아이용 캐리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어린 아이용 캐리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네스(harness) 및 어린 아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패널들을 포함한다. 상기 하네스는 성인이 어린 아이용 캐리어를 작용할 수 있도록 어깨띠, 허리띠, 가슴띠 또는 다른 하네싱을 제공한다. 캐리어 패널(들)은 어린 아이 운반 영역의 유연하거나 단단한 영역들을 형성한다.
연성 직물 패널을 구비한 캐리어의 일례를 이용하면, 상기 패널의 하부는 그 중심이 하네스(일반적으로 허리띠 근처)에 부착되고, 상기 패널의 상부 중심들(또는 다른 부분들)은 성인의 어깨 또는 가슴에 인접한 하네스에 부착된다. 상기 캐리어 패널 및 부모의 몸은 정확한 위치에서 유아를 고정하도록 협력한다. 일반적으로, 어린 아이용 캐리어들은 어린 아이의 다리들이 다리 홀들 밖으로 매달리도록 설계된다. 다른 어린 아이용 캐리어들은 어린 아이와 부모 사이에 공간을 개방하는 반면, 어떤 어린 아이용 캐리어들은 어린 아이와 부모 사이에 물질을 포함한다. 시장에서 다수의 어린 아이용 캐리어들은 후드(hood), 지지 다리 및 다른 옵션들과 같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여기에 서술된 인서트들이 종래에 알려지거나 개발된 다양한 어린 아이용 캐리어들과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은 유아용 인서트(100)에 유아가 위치된 모습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유아는 쿠션(122)에 인접하게 위치된 하면을 갖는 유아용 인서트(100)의 중심에 눕힐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패널(102)이 유아 주위로 구부러져서 유아의 일측에 패딩을 제공하고 유아를 단단히 감싸도록 잠금띠가 사용될 수 있다. 유아의 다리들은 그 무릎이 편안하게 구부려진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오픈될 수 있다. 패널(102)은 유아의 척추 및 목을 따라 지지할 수 있으며, 유아의 머리는 패널(102)의 일부에 위치할 수 있다. 유아용 인서트(100)가 어린 아이용 캐리어에 배치된 경우, 유아용 인서트(100)는 유아의 등, 목 및 측면에 패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유아용 인서트(100)를 어린 아이용 캐리어내에 배치하고 성인이 상기 어린 아이용 캐리어를 앞으로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유아는 착용자와 마주한 상태가 된다. 어린 아이용 캐리어(500)는 허리띠 및 어깨띠와 같은 하니싱(harnessing, 502) 및 패널(504)를 포함한다. 부모의 몸과 협력하는 패널(504)은 어린 아이가 일반적으로 위치하는 운반 영역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어린 아이용 캐리어들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그 전문이 포함된, 2008년 1월 29일 Frost에게 수여된 미연방 특허 번호 제7,322,498호에 개시된다. 예를 들어, 비록 제한되지는 않지만, 입수가능한 어린 아이용 캐리어들은 에르고베비 베이비 캐리어들(ERGOBaby baby carriers) 및 다른 어린 아이용 캐리어들을 포함한다.
유아용 인서트(100)는 어린 아이를 수용하기 위한 어린 아이용 캐리어(500)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서트(100)의 수직축은 캐리어(500)의 수직축과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유아용 인서트(100)의 일부가 어린 아이용 캐리어의 어린 아이 운반 영역을 넘어 연장될 수 있도록 어린 아이용 인서트(100)는 충분히 길 수 있다.
도 8은 유아용 인서트를 어린 아이용 캐리어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유아가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연성 패널(504) 및 하네싱(502)의 일부를 보여준다. 패널(504)은 어린 아이가 위치하는(영역 510으로 표시됨) 주머니를 형성한다. 유아용 인서트는 이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유아는 패널(102) 상에 등을 기댄다. 추가적으로, 상기 유아가 꼬리뼈(tailbone)에 그 대부분의 중량이 미치게 착석하지 않도록 유아는 쿠션(12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대신, 쿠션(122)이 유아의 허벅지 및/또는 꼬리뼈의 하단 전방을 접촉하고 지지하도록 유아가 위치될 수 있다. 쿠션(122)은 유아의 허벅지를 따라 중량이 배분되도록 가압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유아의 척추는 자연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부모는 아기의 엉덩이 아래에 손을 뻗고 그 골반 전방을 기울임으로써 이러한 위치를 잡는데 도울 수 있으며, 따라서 자연스럽게 척추가 굽은 상태로 유아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아의 관상면(coronal plane)(신체의 앞부분과 뒤부분을 나누는 평면)으로부터 적어도 90도가 될 수 있도록 유아용 인서트는 유아를 위치시킨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각도는 대략 110 내지 120도일 수 있다. 유아의 운동 반경에 기초하여, 더 크거나 작은 각도들이 얻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유아의 무릎이 서로 이격되어 뻗도록 유아가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아는 각 무릎이 중간 평면(신체의 왼쪽 및 오른쪽 부분을 나누는 평면)으로부터 적어도 20도를 갖도록 위치될 수 있다. 임의의 실시예들에서, 유아는 상기 중간 평면으로부터 그 무릎들이 대략 45도 내지 60도 또는 그 이상의 각도가 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유아가 앉아있는 자세보다는 오히려 지지하는 자세를 강조하는, 임의의 편안한 자세로 위치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신생아 또는 어린 유아에 대해서는, 로터스 자세(lotus position)와 유사한 자세로 유아가 앉도록 발이 함께 놓일 수 있다. 그러나, 유아가 좀 더 성장함에 따라, 다리들은 자연스럽게 오픈될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때, 부모는 착용자의 둘레의 펼쳐진 위치에 다리를 배치시킬 수 있다. 도 9는 유아용 인서트(100)를 어린 아이용 캐리어(500)내에 놓고 성인이 상기 어린 아이용 캐리어를 앞으로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유아용 인서트(100)를 어린 아이용 캐리어(500)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유아가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연성 패널(504) 및 하네싱(502)의 일부를 보여준다. 패널(504)는 어린 아이가 일반적으로 위치하는(영역 510으로 표시됨) 주머니 또는 슬링(sling)을 형성한다. 유아용 인서트(100)는 이 영역에 위치되고, 이 영역 밖으로 연장하도록 충분히 길 수 있다. 유아는 도 8과 더불어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위치될 수 있지만, 부모의 옆으로 유아의 다리들이 펼쳐질 수 있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관상면에 대한 유아의 대퇴부 각도 θ는 유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무릎들은 원하는 거리로 이격되게 뻗을 수 있다. 만일 유아의 다리들이 유아용 인서트의 전방 개구 밖으로 뻗는다면, 레일(112) (도 1에 도시됨)은 유아의 다리들을 위한 추가적인 패딩을 제공할 수 있다.
유아의 무릎들이 배꼽과 동일한 레벨로 상승되고, 다리들이 자연적으로 뻗는다면(일반적으로 각각의 무릎이 중간 평면으로부터 약 45도 내지 60도의 각도를 갖는다면), 유아는 "쪼그리고 앉아 벌리는 자세(spread-squat-position)"가 된다. 상기 쪼그리고 앉아 벌리는 자세는 관골구의 모든 영역들이 동일하게 팽팽해지도록, 엉덩이 관절 또는 관골구(acetabulum)에 대퇴부가 정확히 위치한다. 이는 뼈 중요부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 8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유아가 어린 아이용 캐리어에서 쪼그리고 앉아 벌리는 자세로 위치될 수 있게 한다.
여기에 설명된 유아용 인서트들의 실시예들은 몇 가지 장점들을 제공한다. 유아가 슬링과 같은 위치에 기대는 전술한 인서트들과 비교할 때,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유아가 그 부모와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이는 부모의 자세를 더 편하게 하며, 그리고 친밀감을 향상시킨다. 유아의 척추, 목 및 다리들을 지지하는 인서트와 상대적 직립 위치로 유아기 위치한다. 유아의 하중이 유아의 엉덩이, 허벅지 및 목 전반에 걸쳐 분포하여, 엉치뼈(sacrum)은 너무 많은 하중을 부담하지 않으며, 골반 및 척추 성장을 위해서 더 좋을 것으로 생각되는 쪼그리고 앉아 벌리는 자세로 척추가 더욱 자연스럽게 굽혀진 상태로 유아는 놓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이 기존의 캐리어에 배치되는 탈착가능한 유아용 인서트의 견지에서 설명되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유아용 인서트는 어린 아이용 캐리어의 비-탈착식 구성요소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유아용 인서트는 버턴, 후크 및 아이 패스트너(eye fastener), 걸쇠 또는 다른 기구와 함께 어린 아이용 캐리어에 부착될 수 있다. 인서트들은 원하는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아용 인서트는 평균 6개월짜리 어린 아이까지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앞선 명세서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여기에 개시된 인서트들의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 및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그리고 캐리어의 실시예들을 제조하고 이용하는 방법을 통상의 기술자에게 가르치기 위한 목적일 수 있다. 등가 요소들 및 물질들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된 것들과 치환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어떤 특징들은 다른 특징들의 사용에 독립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본 설명의 이점을 가진 후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수 있다.

Claims (23)

  1. 유아를 데리고 다니기 위한 유아용 인서트에 있어서,
    내면과 외면을 갖고,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아를 수용(holding)하기 위한 영역에 전면 개구를 정의하며, 상기 유아의 척추 및 목을 따라 상기 유아를 지지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연성 패널; 및
    상기 유아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의 하면에 가깝게 배치되고, 사용시 상기 유아의 꼬리뼈(tailbone) 앞쪽에서 상기 유아를 지지하는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유아용 인서트는 앞으로 착용 가능한 어린 아이용 캐리어의 어린 아이 운반 영역내에 배치되도록 크기와 구조가 맞춰져, 상기 유아의 무릎들이 관상면(coronal plane)에 대하여 적어도 90도 들어 올려지는 상태로 착용자를 바라보는 자세로 상기 유아를 수용할 수 있는 유아용 인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의 대퇴골이 상기 관상면으로부터 90도에서 12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유아를 지지하는 유아용 인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의 대퇴골이 상기 유아의 정중면(median plane)으로부터 45도에서 6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유아를 지지하는 유아용 인서트.
  4. 제1항에 있어서, 쪼그리고 앉아 벌리는 자세(spread-squat-position)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유아용 인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가 연성 패널의 하면에 쿠션 개구를 형성하도록 제1 측면 하부 모서리 와 제2 측면 하부 모서리가 바느질되었으며, 상기 쿠션은 상기 쿠션 개구내에 위치되는 유아용 인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쿠션 아래를 지나는 쿠션 유지띠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인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인서트는 잠금띠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띠는 상기 연성 패널의 수직 접근 방향 한쪽 측의 외면과 결합하는 제1 끝단 및 상기 연성 패널의 수직 접근 방향 제2 측의 외면과 결합하는 제2 끝단을 가지며, 상기 잠금띠는 상기 연성 패널의 제1 및 제2 측면 에지들을 근접시켜 상기 전면 개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아용 인서트.
  8. 제1항에 있어서, 척추 패딩 영역을 포함하는 유아용 인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 패딩 영역은 아래로 갈수록 더 많이 패딩되는 유아용 인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패널은 머리 안착 영역을 포함하는 유아용 인서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패널은 상기 패널의 상기 에지에 배치된 패딩 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일은 상기 유아의 넓적다리들을 지지하며 머리와 목 주위에서 상기 쿠션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유아용 인서트.
  12. 장형 연성 패널을 포함하는 유아용 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장형 연성 패널은 내면, 외면, 제1 측면 에지, 제2 측면 에지, 상면 에지, 하면 에지, 제1 하면 모서리, 및 제2 하면 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장형 연성 패널의 하면에 쿠션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에지들이 모여서 유아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에 테이퍼진 전면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1 및 제2 하면 모서리들은 바늘질되고, 상기 상면 에지부터 상기 하면 에지까지에서의 상기 장형 연성 패널의 길이는 상기 유아의 척추와 목을 따라 상기 패널이 상기 유아를 지지할 수 있게 설정되며 상기 장형 연성 패널의 폭은 사용시 상기 유아를 위해 측면 패딩을 제공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되며,
    상기 장형 연성 패널은:
    상기 제1 측면 에지, 상기 상면 에지, 및 상기 제2 측면 에지를 따라 형성된 연속 패딩 레일;
    상기 장형 연성 패널의 수직축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유아의 척추를 위한 패딩을 제공하기 위한 척추 패딩 영역; 및
    상기 영역의 하면의 상기 쿠션 개구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아의 골반을 지지하기 위한 쿠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아용 인서트는 앞으로 착용 가능한 어린 아이용 캐리어의 어린 아이 운반 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유아가 착용자를 바라보는 자세가 되도록 구성된 유아용 인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상기 유아를 상기 유아의 꼬리뼈 앞에서 지지하여 엉치뼈가 하중을 받는 자세가 되지 않도록 하는 유아용 인서트.
  14. 제12항에 있어서, 쪼그리고 앉아 벌리는 자세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유아용 인서트.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형 연성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쿠션 아래를 지나는 쿠션 유지띠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인서트.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형 연성 패널의 외면의 일측 및 다른 측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 개구를 가로지르는 잠금띠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인서트.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띠는 조절가능한 유아용 인서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띠의 적어도 일단이 상기 장형 연성 패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유아용 인서트.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 패딩 영역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더욱 패딩되는 한 세트의 패딩 영역들을 포함하며, 상기 한 세트의 패딩 영역들의 맨 아래 영역은 상기 유아의 아랫등 부분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유아용 인서트.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의 다리들이 착용자를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유아의 다리들이 상기 전면 개구 밖으로 나온 경우, 상기 레일이 상기 유아의 다리들을 위한 패드로 역할하도록 상기 레일이 위치된 유아용 인서트.
  21. 유아를 데리고 다니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유아를 유아용 인서트에 내에 두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아용 인서트는:
    내면과 외면을 갖고,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아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에 전면 개구를 정의하며, 상기 유아의 척추 및 목을 따라 상기 유아를 지지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연성 패널; 및
    상기 유아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영역의 하면에 가깝게 배치되고, 사용시 유아의 꼬리뼈 앞쪽에서 유아를 지지하기 위한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어린 아이용 캐리어의 어린 아이 운반 영역내에 착용자에 대해 전면 운반 자세가 되도록 상기 유아용 인서트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 때, 상기 유아가 상기 어린 아이용 캐리어의 상기 착용자를 바라보며 상기 유아의 척추와 목이 상기 연성 패널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유아용 인서트가 위치 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유아의 척추가 자연스러운 곡선형이 되도록 상기 유아의 골반을 앞쪽으로 기울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 때, 상기 유아의 무릎들이 관상면으로부터 적어도 90도 들어 올려지는 자세로 유아가 위치되는 유아를 데리고 다니기 위한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는 쪼그리고 앉아 벌리는 자세가 되는 유아를 데리고 다니기 위한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인서트를 상기 어린 아이용 캐리어에 넣기 전에 상기 전면 개구의 크기를 줄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아를 데리고 다니기 위한 방법.
KR1020127006992A 2009-08-19 2010-08-18 유아용 캐리어 KR201200790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44,093 2009-08-19
US12/544,093 US9220352B2 (en) 2009-08-19 2009-08-19 Infant carr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070A true KR20120079070A (ko) 2012-07-11

Family

ID=4360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6992A KR20120079070A (ko) 2009-08-19 2010-08-18 유아용 캐리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220352B2 (ko)
EP (1) EP2467036B1 (ko)
KR (1) KR20120079070A (ko)
CN (1) CN102573534B (ko)
ES (1) ES2540812T3 (ko)
TW (1) TW201112986A (ko)
WO (1) WO20110224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884B1 (ko) * 2014-08-08 2015-04-07 박정원 아기 포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0352B2 (en) 2009-08-19 2015-12-29 The Ergo Baby Carrier, Inc. Infant carrier
US9545159B2 (en) * 2010-05-27 2017-01-17 Suling Wang Apparatus for a baby carrier
US9386863B1 (en) * 2010-06-18 2016-07-12 Boba Inc. Child carrier and methods of use
US8636181B2 (en) * 2011-02-25 2014-01-28 Britax Child Safety, Inc. Child carrier
DE202013100597U1 (de) 2013-02-08 2013-04-22 Curt Würstl Vermögensverwaltungs-Gmbh & Co. Kg Kleinstkinderset zum Einsetzen in einen Babyträger
GB201401871D0 (en) * 2014-02-04 2014-03-19 Icandy Worl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hild carrying units
US9307845B2 (en) * 2014-03-19 2016-04-12 Scott KRASS Multifunction baby carrier exercise device
US9326619B2 (en) * 2014-03-19 2016-05-03 Scott H. KRASS Multifunction baby carrier, portable swing and exercise device
EP3190930A4 (en) * 2014-09-08 2018-05-02 Phil and Teds Design Limited A baby carrier
CN107708495B (zh) 2015-03-31 2021-05-28 爱歌宝宝背带有限公司 腰包背带装置和系统
WO2017053766A1 (en) * 2015-09-25 2017-03-30 Bucher Sherri Infant thermoregulation and monitoring support system
JP6871247B2 (ja) 2015-10-30 2021-05-12 ザ エルゴ ベビー キャリ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調節可能チャイルドキャリア
US10271663B2 (en) 2015-11-30 2019-04-30 Blue Box Opco Llc Infant carrier with cinchable sleeve seat adjustment
WO2017117493A1 (en) * 2015-12-31 2017-07-06 Cummings Kimberly Infant carrier
US11058229B2 (en) 2016-12-29 2021-07-13 Blue Box Toy Factory Limited Expandable seat infant carrier
US11389011B2 (en) 2017-02-10 2022-07-19 The Boppy Company, Llc Newborn carrier
US10264894B2 (en) 2017-02-10 2019-04-23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system
US10555620B2 (en) 2017-02-10 2020-02-11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with ties
US10264895B2 (en) 2017-02-22 2019-04-23 Kolcraft Enterprises, Inc. Adjustable child carriers
WO2018236412A1 (en) 2017-06-23 2018-12-27 Cummings Kimberly MULTIFUNCTION BABY HOLDER
US10441091B2 (en) 2017-09-11 2019-10-15 Blue Box Toy Factory Limited Ergonomic outfacing carrier
US10621733B2 (en) 2017-12-31 2020-04-14 Google Llc Enhanced visualization of breathing or heartbeat of an infant or other monitored subject
US10709335B2 (en) 2017-12-31 2020-07-14 Google Llc Infant monitoring system with observation-based system control and feedback loops
KR20210095661A (ko) 2018-11-26 2021-08-02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움직임의 자유가 강화된 조정 가능한 아동용 캐리어
USD882244S1 (en) 2018-12-28 2020-04-28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with ties
USD910309S1 (en) 2019-07-24 2021-02-16 The Boppy Company, Llc Component for baby carrier
JP2022001255A (ja) 2020-06-19 2022-01-06 ザ エルゴ ベビー キャリ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の担持向きを有する調節可能チャイルドキャリア
US11490741B1 (en) 2020-07-31 2022-11-08 Amphiba Baby LLC Waterproof baby carrier and methods of use
WO2022187532A2 (en) 2021-03-04 2022-09-09 Trail Magik LLC Lightweight detachable child carrier
KR102619594B1 (ko) * 2023-06-28 2023-12-29 주식회사 꿈비 폴딩 휴대용 아기띠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3889A (en) * 1960-01-25 1961-03-07 Roy S Phillips Baby holder
US3327914A (en) * 1966-05-25 1967-06-27 Constance M Abram Infant carrier
US4009808A (en) * 1975-07-07 1977-03-01 Sharp Andrea H Baby pack
US4234229A (en) * 1979-04-06 1980-11-18 Arnold Jonathan H Safety harness for infants
US4579264A (en) * 1981-02-05 1986-04-01 Napolitano Nadine A Baby carrying device
US4469259A (en) * 1983-03-11 1984-09-04 Krich Claudia A Baby carrier
US4651366A (en) * 1984-11-19 1987-03-24 Lande Ellen B Combination infant bed and toddler seat for shopping carts
US4724988A (en) * 1986-07-01 1988-02-16 Debby Tucker Infant carrier
US4986458A (en) * 1988-08-16 1991-01-22 Linday Linda A Infant carrier
US4901898A (en) 1988-09-14 1990-02-20 Colombo Richard J Waist-mounted infant carrier
US5071047A (en) * 1990-06-04 1991-12-10 Claire Cordisco Baby carrier
US5178309A (en) * 1990-09-13 1993-01-12 Fisher-Price, Inc. Infant carrier and harness combination
US5129406A (en) * 1991-04-26 1992-07-14 Magnusen Debbe A Method for using an infant garment with crossed over arm positioning sleeves
US5224637A (en) * 1991-08-30 1993-07-06 Colombo Margaret A Waist-mounted infant carrier
US5224229A (en) * 1992-09-11 1993-07-06 Smith Dale A Infant protective device for use in vehicles
GB9317832D0 (en) 1993-08-27 1993-10-13 Mercia Safety Centre Ltd Baby protector
US5371909A (en) * 1994-01-31 1994-12-13 Children's Medical Ventures, Inc. Bendable patient support
US5425381A (en) * 1994-12-05 1995-06-20 Peterson; Vacharee S. Pediatric restraint and cushion
US5492256A (en) 1995-02-01 1996-02-20 Ive; Ronald A. Infant hip carrier with storage capability
JP3623561B2 (ja) 1995-10-06 2005-02-23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クッション構造
GB2314026B (en) 1996-06-07 1999-12-29 Nottinghamshire Ambulance Serv Infant carrier
CA2181397A1 (en) * 1996-07-17 1998-01-18 Laurie L. Tandrup Infant support and restraint system
US5813580A (en) * 1996-10-25 1998-09-29 Lisco, Inc. Soft-sided infant carrier convertible to hip carrier
US5988742A (en) * 1997-04-14 1999-11-23 Stevens; Thomas M. Protective cover for an infant in a baby swing or carrier
US6055686A (en) * 1998-04-28 2000-05-02 Knight; Kathryn Baby bunting for use in an infant carrier
JP2001070107A (ja) * 1999-09-01 2001-03-21 Lucky Kogyo Kk パッド付ベビーキャリア
USD441967S1 (en) * 1999-09-17 2001-05-15 Concord Kinderautositze-und Kindermöbel-sowie Geräteherstellungsgesellschaft mbH Insert for child's seat
US6409060B2 (en) * 1999-12-22 2002-06-25 Michael T. Donine Child carrier with enhanced back and shoulder support and retractable infant seat
US6772925B2 (en) * 2000-01-14 2004-08-10 O'hare Daniel P. Universal hunting pack and turkey hunting vest
US6467840B1 (en) * 2000-02-29 2002-10-22 Esther A. L. Verbovszky Child's car seat insert
CA2357614A1 (en) * 2000-09-21 2002-03-21 Cindy Nelson Infant sling carrier
US6394543B1 (en) * 2000-10-20 2002-05-28 Crown Craft Infant Products Covering for child's seating device
FR2822042B1 (fr) 2001-03-13 2003-05-16 Lafuma Sa Porte-bebe modulaire
US7168600B2 (en) 2001-07-20 2007-01-30 Choon Hwa Hwang Baby carrier
US7004362B2 (en) * 2001-12-07 2006-02-28 Boone Brian T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a car seat
KR20040062354A (ko) 2003-01-02 2004-07-07 원용성 시계보조장치
JP4299013B2 (ja) * 2003-01-27 2009-07-22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乳母車の座席ハンモック
JP2004236736A (ja) * 2003-02-04 2004-08-26 Aprica Kassai Inc 子守帯
EP1662943A2 (en) 2003-08-25 2006-06-07 REHBEIN, Jurg Baby carrier with enclosure system
US7322498B2 (en) * 2003-09-10 2008-01-29 The Ergo Baby Carrier, Inc. Baby carrier
WO2005037026A1 (ja) 2003-10-20 2005-04-28 Combi Corporation 子守帯
JP2005131146A (ja) 2003-10-31 2005-05-26 Lucky Kogyo Kk ベビーキャリア
JP4170894B2 (ja) 2003-12-25 2008-10-22 ラッキー工業株式会社 サポート部材およびベビーキャリア
JP2005193025A (ja) 2003-12-26 2005-07-21 Mamas & Papas Co Ltd ベビーキャリア
SG116652A1 (en) 2004-04-30 2005-11-28 Combi Co Infant carrier.
JP4391347B2 (ja) 2004-07-12 2009-12-24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子守帯
JP4874613B2 (ja) 2004-11-01 2012-02-15 ラッキー工業株式会社 ベビースリング
US20060130220A1 (en) * 2004-12-19 2006-06-22 Brooks Pond, Inc. (Ma Corp.) Baby carrier cover system
US7311357B2 (en) * 2005-08-25 2007-12-25 Gold Bug, Inc. Infant surround support
US20080047987A1 (en) 2006-08-26 2008-02-28 Christine Price Child carrier
US8028871B2 (en) 2006-12-16 2011-10-04 Jeanette Edith Gray Baby carrier
US7886946B2 (en) 2006-12-16 2011-02-15 Jeanette Edith Gray Baby carrier
US20080209639A1 (en) * 2007-01-24 2008-09-04 John Lord Formable sleep positioner along with method for adjusting same
DE202007006204U1 (de) * 2007-04-27 2008-09-04 Schachtner, Petra Tragevorrichtung
US8272546B2 (en) 2008-08-27 2012-09-25 Catbird Baby, Inc. Baby carrier support belt
US20100072236A1 (en) 2008-09-19 2010-03-25 Michael A Parness Multifunctional child carrier
KR20100010658U (ko) 2009-04-21 2010-10-29 (주) 아이랑 힙 시트 및 이를 적용한 유아용 포대기
US9220352B2 (en) 2009-08-19 2015-12-29 The Ergo Baby Carrier, Inc. Infant carrier
US8726437B2 (en) * 2009-11-02 2014-05-20 Clifford Allen Hardesty Apparatus for care of infant
US8650663B2 (en) * 2011-05-13 2014-02-18 The Boppy Company, Llc Bunting bag with cover
WO2012165840A2 (ko) 2011-05-30 2012-12-06 Shin Go Eun 유아용 힙시트
KR200462354Y1 (ko) 2012-06-01 2012-09-06 신고은 유아용 힙시트
US8745794B1 (en) * 2013-01-19 2014-06-10 Edison Nation, Llc Swaddling article
CN107708495B (zh) 2015-03-31 2021-05-28 爱歌宝宝背带有限公司 腰包背带装置和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884B1 (ko) * 2014-08-08 2015-04-07 박정원 아기 포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42429A1 (en) 2011-02-24
ES2540812T3 (es) 2015-07-13
TW201112986A (en) 2011-04-16
EP2467036B1 (en) 2015-04-01
CN102573534A (zh) 2012-07-11
US9839302B2 (en) 2017-12-12
CN102573534B (zh) 2015-11-25
EP2467036A4 (en) 2013-05-22
WO2011022478A1 (en) 2011-02-24
US9220352B2 (en) 2015-12-29
US20160066704A1 (en) 2016-03-10
EP2467036A1 (en)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9070A (ko) 유아용 캐리어
US9314112B2 (en) Baby carrier with removable seat
KR102166510B1 (ko) 조절 가능한 아기 캐리어
US8424732B1 (en) Child carrier having adaptive leg supports
US9848713B2 (en) Convertible infant carrier
US8701949B1 (en) Child carrier having adaptive leg supports
AU2010239770B2 (en) A baby carrier
US20180206653A1 (en) Child carrier with base width adjustment rail
JP2019532772A (ja) 複数の搬送配向を有する調節可能チャイルドキャリア
CN113812806A (zh) 具有多个承载取向的可调节儿童载具
JP6611439B2 (ja) 乳幼児用キャリー器具
US11202520B2 (en) Baby carrier
US20120074182A1 (en) Mother's helper baby sling
US20220039561A1 (en) Child carrier
US20060208018A1 (en) Adjustable infant carrier
CN111200958A (zh) 婴儿或小孩携带装置
RU10791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носки ребенка
AU2019245481B2 (en) Orthopedic baby seat
KR20110022794A (ko) 유아 캐리어
US20230329452A1 (en) Nursing sling pillow
CN210521157U (zh) 坐姿纠正弹力腰带
Alshareif Ergonomics of Baby Carrier
JP2024000091A (ja) ベビーキャリア
EP3890562A1 (en) Baby carrier
JP2005021529A (ja) 乳幼児キャリ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