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2354A - 시계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시계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2354A
KR20040062354A KR1020030000172A KR20030000172A KR20040062354A KR 20040062354 A KR20040062354 A KR 20040062354A KR 1020030000172 A KR1020030000172 A KR 1020030000172A KR 20030000172 A KR20030000172 A KR 20030000172A KR 20040062354 A KR20040062354 A KR 20040062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hands
clock hands
rotor
w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용성
Original Assignee
원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용성 filed Critical 원용성
Priority to KR1020030000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2354A/ko
Publication of KR20040062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235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04B19/10Ornamental shape of the graduations or the surface of the dial; Attachment of the graduations to the dial
    • G04B19/103Ornamental shape of the graduations or the surface of the dial; Attachment of the graduations to the dial attached or inlaid numbe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04B19/12Selection of materials for dials or graduations mark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계의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반적인 시계의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지만 특히 유아, 청소년 대상의 벽시계 및 탁상시계 (벽탁상시계)를 제작하기 위해 고안된 기능들이다.
첫째는 시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문자,모양)에 자력(Magnetic Force)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취향에 따라서 탈 부착 및 구성을 자유롭게 하려는 고안, 둘째는 탈 부착이 가능한 시각을 표시하는 자력(자석의 힘)표시장치를 정확히 위치 시키기 위한 자의 역할을 하는 방사형 선과 원형 선으로 구성된 자(ruler)의 고안, 셋째는 시계바늘을 움직이기 위한 장치(무브Move)에서부터 나오는 실린더형의 회전 핀에 안전을 위해 보호장치(플라스틱,고무)를 끼우는 고안, 넷째는 종래의 방식에는 시계의 회전 핀과 바늘을 동일 방향으로 조립하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시계의 바늘을 움직이는 장치(무브Move)의 회전 핀과 시계바늘을 쉽게 부착 및 이탈시키기 위해 회전 핀과 시계바늘을 수직 방향에서 연결하기위해 암수구분이 있는 시계바늘과 회전 핀 연결부 또는 암수구분이 있는 시계바늘과 회전 핀 자체를 사용하는 고안이다. (3가지의 형태로 도 4,5,6 에 표시하였으며 도 7 에 종래의 방법과의 비교도를 둔다.)

Description

시계보조장치{The additional functions of the clock.}
종래의 표시장치는 시계 위에 고정되어 있다. 하지만 도 1에 있는 자력 표시장치는 자석의 힘을 이용함으로 이동 가능하다.
기존의 각도기는 여러 가지 세밀한 각도를 표시하지만 도 2에서의 방사형자는 시간에 관계된 각만 표시하므로 시계 위에 표시장치를 위치시키기 편리하다.
기존의 시계의 바늘과 접촉되는 회전축의 역할을 하는 회전자는 끝을 마감하는 방법이 바늘과 일체형이거나 안전에 주안점을 두지 않는다. 시계의 용도를 유희나 학습용으로 제작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도 3에서 나오는 안전장치는 유리 없이 노출된 상태의 시계에서 아동들의 상해방지에 중점을 둔다.
도 7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의 시계의 조립 방식에서는 시계의 바늘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에서 조립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본인이 고안한 자석식 표시장치를 가진 시계에서 바늘이 고정되어 있다는 것은 표시장치를 위치시키는데 장애를 줄 뿐 아니라 여러 가지의 바늘을 제공할 시에 교체의 번거로움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한번에 수직방향에서 연결할 수 있는 원 터치 연결부를 고안했다. (도 4,5,6)
본 고안은 한가지 디자인에 쉽게 싫증을 내는 아동이나 청소년 층에 중심을 둔 고안으로서 아동대상의 제품에는 숫자나 여러 가지의 자석식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의해서 시간과 숫자 개념의 학습과 창의력 개발을 증진 시키는 데 역점을 두고 청소년 대상에 대해서는 새로운 구성과 디자인으로 한 종류의 제품으로 다양한 개성을 가진 시계를 소유하게 하는 것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도 2는 표시장치의 위치를 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각도자이다. 시간에 관계되는 12시를 표시해서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장치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돕는데 사용된다. 도 3은 나이가 어린 아동이 사용할 때에 뾰족한 회전 핀으로부터 상해를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안전장치 이다. 도 4,5,6의 연결부는 사용자가 손 쉽게시침이나 분침을 한 번에 탈 부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도1] 은 시계 위에 자석식 표시장치를 위치시키는 것에 관한 그림
a : 시계
b : 자석식 표시장치
[도2] 는 자석식 표시장치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방사형 자
[도3] 은 시계에서 보호장치의 위치를 표시 한 것
a : 보호장치 b : 시계바늘 c : 회전 핀 d : 시계몸체
e : 시계바늘을 움직이기 위한 기계장치(무브Move)
[도4] 는 시계바늘과 회전 핀을 쉽게 연결 및 분리 시키기 위한 연결부 고안으로서 연결부를 관통하지 않는 홈을 내어 바늘을 삽입시키는 방식
[도5] 는 시계바늘과 회전 핀을 쉽게 연결 및 분리 시키기 위한 연결부 고안으로서 연결부를 관통하는 홈을 내어 바늘을 삽입시키는 방식
[도6] 은 시계바늘과 회전 핀을 쉽게 연결 및 분리 시키기 위한 연결부 고안으로서 시계바늘에 'ㄷ' 자 형으로 홈을 내어 연결부에 연결하는 방식
[도4,5,6] 공통문자 설명 (a,b,c,d,e,f)
(가)는 좌측면도로서 시계와 회전 핀과 연결부와 바늘의 위치
a: 연결부 b: 회전핀 c: 시계몸체 d: 시계바늘을 움직이기 위한기계장치(무브Move) e: 시계바늘 f: 연결부에 만든 홈
(나)는 정측면도
(다)는 단면도
a: 연결부 e: 시계바늘 f: 연결부에 만든 홈
[도 7]
(가)는 종래의 방법으로서 시계의 회전축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에서 조립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나)는 새로운 방법으로서 시계의 회전축과 수직의 방향에서 조립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가)(나)에서 문자 a,b,c 에 관한 설명
a : 시계바늘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계장치(무브Move)
b : 회전축
c : 시계바늘
도 1의 b는 자석식 표시장치는 직간접적으로 철의 성분으로 제작된 시계의 판에 붙을 수 있도록 자성을 가진 물체 위에 문자 모양이나 임의의 모양을 접합한 예이다.
도 2의 방사형 자는 사용자 자력 표시장치의 위치를 조절 할 때에 도움을 주도록 고안되어진 자이다.
도 3의 안전장치는 사용자가 안전핀에 상해를 당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만든 보호 장치이다.
도 4,5,6의 연결부는 사용자가 쉽게 시계의 회전 핀과 시계바늘을 조립과 분리를 반복 하게 하기 위해서 암수의 개념으로 고안된 연결 장치이다.
도 1의 자력(Magnetic force) 표시장치에 대한 것은 아동이나, 젊은 층들이 쉽게 한가지 디자인에 싫증을 내는 것에 기인하여 고안되었다. 그래서 자력을 가진 표시장치를 고안을 하게 되었다. 자기가 스스로 디자인하고 표시장치(문자나 모양)를 움직일 수 있는 시계를 만듦으로 해서 언제든지 새로운 모양으로 꾸미고 똑 같은 모델의 시계라도 자기만의 개성 있는 시계를 가지고 싶은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되었다. 더욱이 아동에 대한 면이라면 더욱 좋은 고안이라고 생각한다. 어린아이에게 시간의 개념과 숫자를 학습하게 하고 또 자기 스스로가 학습한 대상이 실제로 시간이라는 개념과 부합되어질 때 유희와 학습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기능이기에 그러하다.

Claims (4)

  1. 시계에서 모양이나 문자로 시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문자,모양)에 자성(자석의 힘)을 이용하여 탈 부착 및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
  2. 시계의 자력 표시장치를 정확한 12시각의 각도에 위치시키기 위한 12시각표시 각도자(ruler)를 만드는 것
  3. 아동의 안전을 위해서 시계의 바늘과 기계부분(무브Move)을 연결하는 핀(pin)의 돌출부위에 보호장치(플라스틱,고무)를 하는 것
  4. 기존의 시계 회전 핀과 시계바늘을 조립하는 방식으로는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립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사용자들이 쉽게 탈 부착하기 위해서 회전축에 대해서 수직적인 방향으로 시계바늘을 탈 부착하기 위해서 암/수 구분이 있는 (시계바늘을 움직이기 위한 기계장치의 회전 핀과 시계바늘을 연결하는)회전축에 부착되는 연결부품과 시계바늘을 이용함 또는 회전 핀 자체와 시계바늘에 암/수 구분이 있게 만들어 회전축에 수직 방향으로 탈 부착이 가능하게 한다. 결론적으로 회전자에 홈을 내어 피회전자를 끼우거나 피회전자에 홈을 내어 회전자에 끼우는 것을 말함
KR1020030000172A 2003-01-02 2003-01-02 시계보조장치 KR20040062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172A KR20040062354A (ko) 2003-01-02 2003-01-02 시계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172A KR20040062354A (ko) 2003-01-02 2003-01-02 시계보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313U Division KR200330481Y1 (ko) 2003-01-06 2003-01-06 시계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354A true KR20040062354A (ko) 2004-07-07

Family

ID=3735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172A KR20040062354A (ko) 2003-01-02 2003-01-02 시계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23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0152B2 (en) 2015-03-31 2017-07-11 The Ergo Baby Carrier, Inc. Hip seat device and system
US9839302B2 (en) 2009-08-19 2017-12-12 The Ergo Baby Carrier, Inc. Infant carri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9302B2 (en) 2009-08-19 2017-12-12 The Ergo Baby Carrier, Inc. Infant carrier
US9700152B2 (en) 2015-03-31 2017-07-11 The Ergo Baby Carrier, Inc. Hip seat device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6722B2 (en) Dose display for an injection syringe
KR20040062354A (ko) 시계보조장치
DE69105542T2 (de) Elektromagnetischer Mikromotor zur Ausrüstung eines kleinen Uhrwerkes.
US2443468A (en) Self-taught educational clock
KR200330481Y1 (ko) 시계보조장치
US5105397A (en) Child clock apparatus
US10048652B1 (en) Analog timepiece with steps illustrating arrangement
US4915632A (en) Communication aid with sequential lighting
JP2022122886A (ja) スポーツウォッチ
WO2008038934A1 (en) Equipment for language education
US20010051328A1 (en) Clock teaching aid
KR101509394B1 (ko) 시침시계와 분침시계로 분리되는 학습용 시계
ES2036440A1 (es) Aguja de cuadrante de posicion angular ajustada.
CN210277186U (zh) 一种具有旋转定位功能的性格检测罗盘
KR20030064704A (ko) 자석 시계바늘
KR200349893Y1 (ko) 한글산수머쉰
JPH09101739A (ja) 学習用時計
US20020085454A1 (en) Time period setting structure of timer
JP3058281U (ja) 学習用時計
Tallman Bioptic telescopic spectacle: A hazar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KR200458872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타이머의 구조
JPS5855478Y2 (ja) 対照表示器
KR200282292Y1 (ko) 시,분 표시부를 갖는 시계 문자판
KR200385801Y1 (ko) 유아용 다목적(한글·시계) 학습기
EP1059575A3 (en) Alarm clock and alarm clock simulating ind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