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884B1 - 아기 포대기 - Google Patents

아기 포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884B1
KR101508884B1 KR20140102368A KR20140102368A KR101508884B1 KR 101508884 B1 KR101508884 B1 KR 101508884B1 KR 20140102368 A KR20140102368 A KR 20140102368A KR 20140102368 A KR20140102368 A KR 20140102368A KR 101508884 B1 KR101508884 B1 KR 101508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lt
baby
wais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2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원
Original Assignee
박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원 filed Critical 박정원
Priority to KR20140102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기를 안거나 업을 때 아기의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 아기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 아기의 등을 받치기 위한 등 받이부; 상기 등 받이부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아기의 엉덩이를 받치기 위한 엉덩이 받침부; 일 말단은 상기 등 받이부의 일 측과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 말단은 상기 엉덩이 받침부의 일 측과 연결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어깨 벨트부; 및 상기 엉덩이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엉덩이 받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기 포대기 {BABY CARRIER}
본 발명은 아기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기를 안거나 업을 때 아기의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 아기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 포대기는 아기를 편안하게 안거나 업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아기를 안거나 업었을 때 아기에게 안락감을 주며, 사용자에게는 활동이 자유롭고 이동이 용이하도록 도와준다. 주로 사용되는 아기 포대기는 아기의 등과 엉덩이를 둘러메어 결속끈을 이용해 사용자의 허리나 어깨에 묶어서 사용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6200호(2006.05.08 등록)는 의자형 포대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의 허리에 매어지는 허리밸트의 중앙부에 아기엉덩이 받침; 또는 사용자의 등 허리 공간부를 채워주는 블록과 결합되고 블록의 상단에는 어깨끈이 연장되어 허리밸트 양쪽 어느 부분에 위치되며, 블록의 하단에는 아기 엉덩이를 감싸주는 엉덩이 받침에서 연장된 아기 등받이에는 높낮이 조절을 위한 머리받침이 탈부착 되거나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8471호(2005.03.03 등록)는 실리콘용기의 노즐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중앙부에 형성된 등받침부와, 그 등받침부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엉덩이받침부와, 그 엉덩이받침부의 외면 심부에 형성된 엉덩이받침 보강판 장착부와, 심부에 보강벨트 삽입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등받침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벨트 안내부와, 심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장착된 등받이벨트를 구비한 본체와; 엉덩이받침 보강판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엉덩이받침 보강판과; 일단부가 등받이벨트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호 체결가능하도록 체결구가 장착된 한 쌍의 가슴벨트와; 일단부가 엉덩이 받침 보강판의 양단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보강벨트 안내부의 보강벨트 삽입홈을 관통하여 장착된 한 쌍의 보강벨트와; 일단부가 가슴벨트의 체결구측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보강벨트의 타단부에 결합된 한 쌍의 어깨벨트와; 중앙부가 엉덩이받침부의 단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양단부에는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구가 장착된 허리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아기 포대기는 아기를 안거나 업을 때 아기의 무게가 사용자의 어깨에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아기의 무게를 분산시키기 위해 가슴벨트와 보강벨트 등 여러 벨트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하는 데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6200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847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과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기를 받쳐주면서 아기의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는 지지부가 형성된 아기 포대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아기의 등을 받치기 위한 등 받이부; 상기 등 받이부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아기의 엉덩이를 받치기 위한 엉덩이 받침부; 일 말단은 상기 등 받이부의 일 측과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 말단은 상기 엉덩이 받침부의 일 측과 연결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어깨 벨트부; 및 상기 엉덩이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엉덩이 받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아기 포대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고, 사용자의 허리에 장착하기 위한 허리 벨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허리 벨트부는,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기 위한 벨트부재; 상기 벨트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벨트부재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 및 상기 벨트부재의 양 측에 형성되어, 상기 벨트부재의 양 측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허리 벨트부는,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기 위한 벨트부재;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삽입부재; 상기 벨트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재를 끼우기 위한 삽입홈; 및 상기 벨트부재의 양 측에 형성되어, 상기 벨트부재의 양 측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길이 조절부재는, 지지부의 특정위치에 형성되어, 길이 조절을 하기 위해 포개거나 펼치기 위한 다수 개의 주름부재; 상기 주름부재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주름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통; 및 상기 삽입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통에서 도출된 상기 주름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일 측이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 측이 상기 삽입통에 연결 설치되어 접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접힘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접힘방지부재는, 일 측이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 측이 상기 삽입통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드 되며, 지지부가 접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접힘방지바; 상기 접힘방지바의 다른 일 측에 형성된 홀; 상기 삽입통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홀에 삽입되어, 접힘방지바를 슬라이딩 안내하기 위한 돌기; 및 상기 홀에서 상기 돌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막기 위한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엉덩이 받침부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엉덩이 받침부를 받치기 위한 제1 삽입통; 상기 제1 삽입통에 삽입되는 튜브; 상기 튜브의 일 측에 형성되는 주름부재; 상기 주름부재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주름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제2 삽입통; 및 상기 제1 삽입통과 상기 제2 삽입통 사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엉덩이 받침부의 하부를 받쳐주는 지지부가 형성됨으로써, 아기의 무게를 사용자의 허리 부위로 분산시켜주어, 무게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피로를 덜어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엉덩이 받침부의 하부를 받쳐주는 지지부가 형성됨으로써, 다른 벨트를 별도로 더 구비하지 않더라도 아기의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포대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허리 벨트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지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지지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지지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종용 삽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포대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아기 포대기(10)는, 등 받이부(100), 엉덩이 받침부(200), 어깨 벨트부(300), 지지부(400)를 포함한다.
등 받이부(100)는, 양 측에 어깨 벨트부(300)의 일 말단이 연결 형성되고, 하부에 엉덩이 받침부(200)가 연결 형성되며, 아기의 등을 편안하게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등 받이부(100)는, 상부에 연결 형성되어, 아기의 목을 받쳐주기 위한 목 받침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등 받이부(100)는, 내부에 쿠션이 형성되어, 아기의 등을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다.
엉덩이 받침부(200)는, 등 받이부(10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아기의 엉덩이를 받친다.
일 실시 예에서, 엉덩이 받침부(200)는, 내부에 쿠션이 형성되어, 아기의 엉덩이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다.
어깨 벨트부(300)는, 일 말단이 등 받이부(100)의 일 측과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 말단이 엉덩이 받침부(100)의 일 측과 연결되는 한 쌍의 벨트로서, 사용자의 어깨에 장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어깨 벨트부(300)는, 아기의 무게에 의해 사용자의 어깨가 눌릴 때 보호하기 위한 푹신한 패드(예를 들어, 솜, 스펀지 등)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400)는, 엉덩이 받침부(2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엉덩이 받침부(200)를 지지하며, 아기의 무게를 사용자의 허리 부위로 분산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400)는,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400)의 일 측에 공기 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키고, 공기 홀을 통해 공기를 지지부(400)의 내부로 주입한 후에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막아주기 위한 막음부재(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키면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400)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400)는, 마찰 등에 의해 터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에 보호패드(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아기 포대기(10)는, 엉덩이 받침부(200)의 하부에 엉덩이 받침부(2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00)가 형성됨으로써, 아기의 무게를 사용자의 허리 부위로 분산시켜주어, 무게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피로를 덜어줄 수 있다
또한, 아기 포대기(10)는, 엉덩이 받침부(200)의 하부에 엉덩이 받침부(2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00)가 형성됨으로써, 가슴 벨트 등과 같은 다른 벨트를 더 구비하지 않더라도 아기의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아기 포대기(10)는, 허리 벨트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허리 벨트부(500)는, 지지부(40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고,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한다.
일 실시 예에서, 허리 벨트부(500)는, 일 측이 지지부(400)의 일 측과 연결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허리 벨트부(500)는,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허리 벨트부(500)는, 벨트부재(510), 연결부재(520), 체결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부재(510)는, 상부에 연결부재(520)가 형성되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싼 후에 양 측에 형성된 체결부재(530)를 통해 체결한다.
연결부재(520)는, 벨트부재(5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지지부(400)와 벨트부재(510) 사이를 연결시킨다.
체결부재(530)는, 벨트부재(510)의 양 측에 형성되어, 서로 체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재(530)는, 원터치 방식(예를 들어, 버클, 찍찍이 등)으로 체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재(530)는, 사용자의 허리 둘레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클의 경우에는 일 측에 길이조절부재와 연결끈을 형성하여 연결끈을 잡아당김으로써,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허리 벨트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허리 벨트부(500)는, 벨트부재(540), 삽입부재(550), 삽입홈(560), 체결부재(570)를 포함한다.
벨트부재(540)는, 지지부(400)와 분리 형성되고, 상부에 삽입부재(550)를 구비한다.
삽입부재(550)는, 지지부(400)의 하부에 형성되며, 벨트부재(54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560)에 끼워 지지부(400)와 벨트부재(540) 사이를 결합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부재(550)는, 측면에 다수 개의 돌기(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여, 삽입홈(560)에 삽입되었을 때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부재(550)는, 삽입홈(56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560)은, 벨트부재(540)의 상부에 형성되며, 지지부(40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부재(550)를 끼워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홈(560)은, 삽입부재(550)에 돌기가 형성된 경우에 돌기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다수 개의 홈(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할 수 있다.
체결부재(570)는, 벨트부재(540)의 양 측에 형성되어, 서로 체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아기 포대기(10)는, 지지부(400)와 허리 벨트부(500)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지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400)는, 길이 조절부재(410)를 포함한다,
길이 조절부재(410)는, 지지부(400)의 길이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길이 조절부재(410)는, 주름부재(411), 삽입통(412), 고정링(413)을 포함할 수 있다.
주름부재(411)는, 지지부(400)의 특정 위치에 다수 개로 형성되어 삽입통(412)에 삽입되며,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포개거나 펼쳐 사용한다. 예를 들어, 지지부(400)의 길이를 늘이고 싶으면 지지부(400)를 상부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름부재(411)를 펼친 후에 고정링(412)을 통해 주름부재(411)를 쪼아주어 더 이상 주름부재(610)가 펼쳐지거나 포개지지 않도록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삽입통(412)은, 주름부재(411)의 일 측에 형성되어, 주름부재(411)를 삽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통(412)은, 도면에서는 가운데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지지부(400)에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링(413)은, 삽입통(412)의 상부에 형성되어, 삽입통(412)에서 도출된 주름부재(411)를 쪼아주어 고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링(413)은, 벌어진 틈을 당겨 좁아지게 만든 후, 일 측에 형성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주름부재(41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지지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400)는, 접힘방지부재(4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힘방지부재(414)는, 일 측이 지지부(40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 측이 삽입통(412)에 연결 설치되어 지지부(400)가 접히지 않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접힘방지부재(414)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접힘방지부재(414)는, 접힘방지바(415), 홀(416), 돌기(417), 핀(418)을 포함할 수 있다.
접힘방지바(415)는, 일 측이 지지부(40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 측이 삽입통(412)에 연결 설치되어, 지지부(400)가 주름부재(411)를 통해 길이가 늘어남과 줄어듬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서, 지지부(400)가 접히지 않도록 한다.
홀(416)은, 접힘방지바(415)의 다른 일 측에 형성되어, 삽입통(412)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417)를 삽입한다.
돌기(417)는, 삽입통(412)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홀(416)에 삽입되어, 접힘방지바(415)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안내한다.
핀(418)은, 홀(416)에서 돌기(417)가 움직이지 않도록 막아줌으로써, 접힘방지바(415)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핀(418)은, 홀(416)의 외측에 형성되며, 한 쪽은 고정설치 되고, 다른 한 쪽은 열고 닫으면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지지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400)는, 제1 삽입통(420), 튜브(430), 주름부재(440), 제2 삽입통(450), 고정부재(460)를 포함한다.
제1 삽입통(420)은, 엉덩이 받침부(20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엉덩이 받침부(200)를 받쳐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삽입통(420)은, 제2 삽입통(450)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 삽입통(450)을 삽입할 수 있다.
튜브(430)는, 제1 삽입통(420)에 삽입되며, 일 측에 주름부재(440)를 구비한다.
주름부재(440)는, 튜브(430)의 일 측에 다수 개로 형성되어,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포개거나 펼쳐 사용한다.
제2 삽입통(450)은, 주름부재(44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주름부재(440)를 삽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삽입통(450)은, 도면에서는 가운데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튜브(430)에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460)는, 제1 삽입통(420)과 제2 삽입통(450) 사이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460)는, 나사 등으로 형성되어, 제1 삽입통(420)과 제2 삽입통(450) 사이를 쪼아주어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아기 포대기
100 : 등 받이부
200 : 엉덩이 받침부
300 : 어깨 벨트부
400 : 지지부
410 : 길이 조절부재
411, 440 : 주름부재
412 : 삽입통
413 : 고정링
414 : 접힘방지부재
415 : 접힘방지바
416 : 홀
417 : 돌기
418 : 핀
420 : 제1 삽입통
430 : 튜브
450 : 제2 삽입통
460 : 고정부재
500 : 허리 벨트부
510, 540 : 벨트부재
520 : 연결부재
530, 570 : 체결부재
550 : 삽입부재
560 : 삽입홈

Claims (10)

  1. 아기의 등을 받치기 위한 등 받이부(100);
    상기 등 받이부(10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아기의 엉덩이를 받치기 위한 엉덩이 받침부(200);
    일 말단이 상기 등 받이부(100)의 일 측과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 말단이 상기 엉덩이 받침부(200)의 일 측과 연결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어깨 벨트부(300);
    상기 엉덩이 받침부(2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엉덩이 받침부(2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00); 및
    상기 지지부(40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고, 사용자의 허리에 장착하기 위한 허리 벨트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허리 벨트부(500)는,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기 위한 벨트부재(510);
    상기 벨트부재(5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400)와 상기 벨트부재(51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520); 및
    상기 벨트부재(510)의 양 측에 형성되어, 상기 벨트부재(510)의 양 측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530)를 포함하는 아기 포대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벨트부(500)는,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기 위한 벨트부재(540);
    상기 지지부(4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삽입부재(550);
    상기 벨트부재(54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재(55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560); 및
    상기 벨트부재(540)의 양 측에 형성되어, 상기 벨트부재(540)의 양 측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5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포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00)는,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포대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00)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부재(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포대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재(410)는,
    지지부(400)의 특정위치에 형성되어,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포개거나 펼치기 위한 다수 개의 주름부재(411);
    상기 주름부재(411)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주름부재(411)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통(412); 및
    상기 삽입통(412)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통(412)에서 도출된 상기 주름부재(41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링(4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포대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00)는,
    일 측이 상기 주름부재(411)의 윗 부분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 측이 상기 삽입통(412)에 연결 설치되어 접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접힘방지부재(4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포대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방지부재(414)는,
    일 측이 상기 지지부(40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 측이 상기 삽입통(412)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드 되며, 지지부(400)가 접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접힘방지바(415);
    상기 접힘방지바(415)의 다른 일 측에 형성된 홀(416);
    상기 삽입통(412)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홀(416)에 삽입되어, 접힘방지바(415)를 슬라이딩 안내하기 위한 돌기(417); 및
    상기 홀(416)에서 상기 돌기(417)가 움직이지 않도록 막기 위한 핀(4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포대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엉덩이 받침부(20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엉덩이 받침부(200)를 받치기 위한 제1 삽입통(420);
    상기 제1 삽입통(420)에 삽입되는 튜브(430);
    상기 튜브(430)의 일 측에 형성되는 주름부재(440);
    상기 주름부재(44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주름부재(440)를 삽입하기 위한 제2 삽입통(450); 및
    상기 제1 삽입통(420)과 상기 제2 삽입통(450) 사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포대기.
KR20140102368A 2014-08-08 2014-08-08 아기 포대기 KR101508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2368A KR101508884B1 (ko) 2014-08-08 2014-08-08 아기 포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2368A KR101508884B1 (ko) 2014-08-08 2014-08-08 아기 포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884B1 true KR101508884B1 (ko) 2015-04-07

Family

ID=53032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2368A KR101508884B1 (ko) 2014-08-08 2014-08-08 아기 포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8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0668A (ja) 1995-11-03 2000-01-25 ジェリー・ベイビー・プロダクツ・カンパニー 幼児用のフレームキャリア
WO2010123447A1 (en) * 2009-04-24 2010-10-28 BabyBjörn AB A baby carrier
JP2012110418A (ja) 2010-11-22 2012-06-14 Lucky Kogyo Kk ベビーキャリア
KR20120079070A (ko) * 2009-08-19 2012-07-11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유아용 캐리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0668A (ja) 1995-11-03 2000-01-25 ジェリー・ベイビー・プロダクツ・カンパニー 幼児用のフレームキャリア
WO2010123447A1 (en) * 2009-04-24 2010-10-28 BabyBjörn AB A baby carrier
KR20120079070A (ko) * 2009-08-19 2012-07-11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유아용 캐리어
JP2012110418A (ja) 2010-11-22 2012-06-14 Lucky Kogyo Kk ベビーキャリア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652B1 (ko) 패드부착 베이비 캐리어
JP5620470B2 (ja) ベビー・キャリア
US7717503B1 (en) Collapsible chair apparatus
JP7150985B2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210095661A (ko) 움직임의 자유가 강화된 조정 가능한 아동용 캐리어
JP5480313B2 (ja) 子守帯
KR20120070544A (ko) 베이비 캐리어
US20150223614A1 (en) Carrying device for a baby or small child
JP2014176493A (ja) 子守帯
CN214905412U (zh) 用于在用户的肩部上承载儿童的儿童承载装置
US11889931B2 (en) Carrying device for babies or small children
KR101508884B1 (ko) 아기 포대기
CN204617686U (zh) 一种婴儿腰凳
CN111712162A (zh) 婴儿背带
DE102012111052B4 (de) Babytrage
KR101913775B1 (ko)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
KR100531611B1 (ko) 유아용 포대기
JP6105503B2 (ja) 子守帯
KR200473921Y1 (ko) 유아용 아기띠
KR200484108Y1 (ko) 아기띠
KR20200000481U (ko)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
US20160360898A1 (en) Sling type child carrier
CN114504221A (zh) 婴儿背带
KR200346812Y1 (ko) 유아용 포대기
TWI843049B (zh) 嬰兒背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