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481U -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481U
KR20200000481U KR2020180003907U KR20180003907U KR20200000481U KR 20200000481 U KR20200000481 U KR 20200000481U KR 2020180003907 U KR2020180003907 U KR 2020180003907U KR 20180003907 U KR20180003907 U KR 20180003907U KR 20200000481 U KR20200000481 U KR 202000004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baby
seam
folded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567Y1 (ko
Inventor
이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치에스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치에스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치에스앤비
Priority to KR2020180003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567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4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4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5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05Fastening of press-button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Hooks or loops provided with means to reinforce the attachment, e.g. by adhes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기용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아기를 지지하는 등받침(120)과 좌석부(125), 등받침(120)을 어깨에 고정하기 위한 어깨끈(110), 상기 좌석부(125)를 허리에 고정하기 위한 허리끈(150)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125)와 상기 허리끈(15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00); 일단이 상기 좌석부(125)와 상기 연결부(200) 사이의 제 1 봉제선(280)에 함께 연결되는 제 1 방석부(220); 및 일단이 상기 제 1 방석부(220)의 타단에 제 2 봉제선(282)으로 연결되는 제 2 방석부(240);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방석부(220)가 상기 제 1 봉제선(280)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고, 상기 제 2 방석부(240)가 상기 제 2 봉제선(282)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Baby Blanket with a Foldable Cushion}
본 고안은 아기용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아기용 포대기(일명 : 포대, 아기띠)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포대기(10)는 보호자의 어깨에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어깨끈(17), 보호자의 허리에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허리끈(19) 및 어깨끈(17)과 허리끈(19) 사이를 연결하는 등받침(15)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포대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12)가 앞보기의 위치인 경우 아기(12)의 앉은 키가 작아서 얼굴이 등받침(15)에 가리고 이로 인해 아기(12)의 시선이 방해받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아기(12)가 보호자 보기의 위치에 있을 때 보호자와의 공간이 협소하여 숨쉬는 공간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7123호(2009년 7월 15일 공개)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제 1 과제는 아기가 앞보기의 위치에 있을 때 앉은 키를 높여 줄 수 있는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제 2 과제는 아기가 보호자 보기의 위치에 있을 때 아기의 엉덩이와 다리를 더 넓게 받쳐줄 수 있는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기를 지지하는 등받침(120)과 좌석부(125), 상기 등받침(120)을 어깨에 고정하기 위한 어깨끈(110), 상기 좌석부(125)를 허리에 고정하기 위한 허리끈(150)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에 있어서, 좌석부(125)와 상기 허리끈(15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00); 일단이 상기 좌석부(125)와 상기 연결부(200) 사이의 제 1 봉제선(280)에 함께 연결되는 제 1 방석부(220); 및 일단이 상기 제 1 방석부(220)의 타단에 제 2 봉제선(282)으로 연결되는 제 2 방석부(240);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방석부(220)가 상기 제 1 봉제선(280)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고, 상기 제 2 방석부(240)가 상기 제 2 봉제선(282)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가 제공된다.
한편, 제 1, 2 방석부(220, 240)가 접힌 위치에 있을 때, 접힌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제 1 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제 1 고정수단은, 제 1 방석부(220)상에 형성된 제 1 테이프(300); 및 제 2 방석부(220)상에서 상기 제 1 테이프(3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테이프(320);이다.
한편, 제 1, 2 방석부(220, 240)의 일측면에 제 3 봉제선(284)으로 연결되는 제 1 보조부(260); 및 상기 제 1, 2 방석부(220, 240)의 타측면에 제 4 봉제선(286)으로 연결되는 제 2 보조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2 보조부(260, 270)는 상기 제 1, 2 방석부(220, 240)가 접혀질 때 상기 제 1, 2 방석부(220, 240) 사이로 들어가면서 함께 접혀질 수 있다.
또한, 제 1 방석부(220)는 상기 제 1 봉제선(280)을 기준으로 상기 좌석부(125)에 면접하도록 접힐 수 있고, 그리고 제 2 방석부(240)는 상기 제 2 봉제선(282)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방석부(220)에 면접하도록 접힐 수 있다.
한편, 제 1, 2 방석부(220, 240)가 상호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봉제선(280)을 기준으로 상기 등받침(120)에 면접하도록 접혔을 때, 상기 제 1, 2 방석부(220, 240)와 상기 등받침(120) 사이의 접힌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제 2 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제 2 고정수단은, 상기 제 2 방석부(240)에 형성된 제 1 버튼(340); 및 등받침(120) 상에서 상기 제 1 버튼(34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버튼(360);이다.
그리고, 제 1, 2 방석부(220, 240)의 일측면에 제 3 봉제선(284)으로 연결되는 제 1 보조부(260); 및 제 1, 2 방석부(220, 240)의 타측면에 제 4 봉제선(286)으로 연결되는 제 2 보조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기(12)로 인해 상기 등받침(120)과 상기 좌석부(125) 사이가 굽혀짐에 따라 상기 제 1 방석부(220)와 상기 제 2 방석부(240) 사이가 함께 굽혀질 때, 제 1, 2 보조부(260, 270)는 상기 포대기(100)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아기(12)의 다리를 지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기가 앞보기의 위치에 있을 때 앉은 키를 높여 줄 수 있다. 따라서, 아기의 시선이 포대기에 의해 방해받는 일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아기의 엉덩이와 다리를 더 넓게 받쳐줄 수 있어서 보다 안정감 있게 오래동안 아기를 포대기에 태울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접이식 방석을 접어서 아기의 앉은 키를 높여주는 기능과 접이식 방석을 펼쳐서 엉덩이와 다리를 받쳐주도록 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서 편리성과 효율성이 제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방석을 접이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아기 없이 포대기만을 보관하거나 이동할 때 가볍고 부피가 크지 않은 장점이 있다.
다만,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아기용 포대기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의 사용상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를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허리끈(150)을 뒤집었을 때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a의 상태에서 제 1, 2 방석부(220, 240) 및 제 1, 2 보조부(260, 270)가 접혀지려는 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접히는 단계를 거쳐 제 1, 2 테이프(300, 320)에 의해 제 1, 2 방석부(220, 240)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와 같이 접혀진 제 1, 2 방석부(220, 240)가 제 1 봉제선(280)을 중심으로 좌석부(125)에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과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 아기(12)를 태웠을 때를 나타내는 포대기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8과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 아기(12)를 태웠을 때를 나타내는 포대기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난 포대기의 배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제 1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포대기(100)는 보호자(예 : 엄마)의 전방(즉, 가슴방향)에 착용하는 것을 주로 설명하나 보호자의 후방(즉, 등부위)에 착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앞보기"란 아기가 보호자와 같이 전방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태워지는 상태나 위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보호자 보기"란 아기가 보호자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태워지는 상태나 위치를 의미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를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허리끈(150)을 뒤집었을 때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기(100)는 대략 등받침(120), 좌석부(125), 연결부(200), 어깨끈(110), 허리끈(150) 및 방석부(번호 미부여)로 구성된다.
등받침(120)은 보호자 보기 위치에서 아기(12)의 등을 받쳐주는 구성으로, 측면에는 한쌍의 어깨끈(110)이 길이 조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하단에는 좌석부(125)가 연결된다.
좌석부(125)는 아기(12)의 체중이 실리는 곳으로, 상부는 등받침(120)에 연결되고 하부는 제 1 봉제선(280)을 통해 연결부(200)와 제 1 방석부(220)에 동시 연결된다.
연결부(200)는 좌우측으로 한쌍의 허리끈(150)이 각각 연결되고, 일측은 제 1 봉제선(280)을 통해 좌석부(125) 및 제 1 방석부(220)에 동시 연결된다.
제 1 방석부(220)의 일단은 좌석부(125)와 연결부(200) 사이의 제 1 봉제선(280)에 함께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봉제선(282)을 통해 제 2 방석부(24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방석부(220)의 양측면은 제 3 봉제선(284)을 통해 제 1, 2 보조부(260, 270)의 일부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 1 방석부(220)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며, 쿠션을 위해 합성수지, 직물, 스펀지 등으로 제작된다.
제 2 방석부(240)의 일단은 제 2 봉제선(282)을 통해 제 1 방석부(220)와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이다. 그리고, 제 2 방석부(240)의 양측면은 제 4 봉제선(286)을 통해 제 1, 2 보조부(260, 270)의 일부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 2 방석부(240)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며, 쿠션을 위해 합성수지, 직물, 스펀지 등으로 제작된다.
제 1 보조부(260)는 제 1, 2 방석부(220, 240)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하며, 측면의 일부는 제 3 봉제선(284)을 통해 제 1 방석부(220)와 연결되고, 측면의 나머지는 제 4 봉제선(286)을 통해 제 2 방석부(240)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 1 보조부(260)는 제 1, 2 방석부(220, 240)가 접혀질 때 제 1, 2 방석부(220, 240) 사이로 접히면서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접힘과 삽입을 안내하기 위해 제 1 보조부(260)에는 제 2 봉제선(282)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 2 보조부(270)는 제 1 보조부(260)와 대칭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제 1 고정수단은 제 1, 2 방석부(220, 240)가 접힌 위치에 있을 때, 접힌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이러한 제 1 고정수단은 벨크로 테이프, 스냅 버튼(똑딱이 단추), 단추 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고정수단은 벨크로 테이프(제 1, 2 테이프)를 도시하고 설명한다. 제 1 테이프(300)는 제 1 방석부(220)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제 2 테이프(320)는 제 2 방석부(240)중 제 1, 2 방석부(220, 240)가 접혀진 위치일 때 제 1 테이프(30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 2 고정수단은 제 1, 2 방석부(220, 240)가 상호 펼쳐진 상태에서 제 1 봉제선(280)을 기준으로 등받침(120)에 면접하도록 접혔을 때, 제 1, 2 방석부(220, 240)와 등받침(120) 사이의 접힌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제 2 고정수단은, 벨크로 테이프, 스냅 버튼(똑딱이 단추), 단추 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고정수단은 스냅 버튼(제 1, 2 버튼)을 도시하고 설명한다. 제 1 버튼(340)는 제 2 방석부(240)의 자유단 가장자리 영역에 한쌍이 구비된다. 제 2 버튼(360)은 등받침(120) 상에서 제 1 버튼(340)과 대응되는 위치에 한쌍이 형성된다.
제 1 실시예의 사용방법
도 4는 도 3a의 상태에서 제 1, 2 방석부(220, 240) 및 제 1, 2 보조부(260, 270)가 접혀지려는 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접히는 단계를 거쳐 제 1, 2 테이프(300, 320)에 의해 제 1, 2 방석부(220, 240)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와 같이 접혀진 제 1, 2 방석부(220, 240)가 제 1 봉제선(280)을 중심으로 좌석부(125)에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과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 아기(12)를 태웠을 때를 나타내는 포대기의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 2 봉제선(282)을 중심으로 제 2 방석부(240)를 제 1 방석부(220)로 접는다. 이 때, 제 1, 2 보조부(260, 270)가 제 1, 2 방석부(220, 240) 사이로 접혀 들어오기 시작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테이프(300, 320)를 붙여서 제 1, 2 방석부(220, 240)가 완전히 겹쳐지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봉제선(280)을 중심으로 겹쳐진 제 1, 2 방석부(220, 240)을 좌석부(125) 측으로 접는다.
그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허리끈(150)을 보호자의 허리에 체결하고 한쌍의 어깨끈(110)을 어깨에 착용한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부(125), 및 제 1, 2 방석부(220, 240)가 함께 적층되어 접이식 방석을 구성하게 된다. 적층된 좌석부(125), 및 제 1, 2 방석부(220, 240) 위에 얹혀지는 아기(12)는 제 1, 2 방석부(220, 240) 두께 만큼의 추가 앉은 키 높이를 갖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보기인 경우 제 1, 2 방석부(220, 240) 두께 만큼의 추가 앉은 키 높이로 인해 아기(12)의 얼굴이 등받침(120) 밖으로 노출되어 아기의 시야를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보호자 보기인 경우 보호자의 가슴이나 그 위로 아기의 얼굴이 위치하게 되어 충분한 숨쉬기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의 사용방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이용하여 사용방법을 달리함으로써 아기의 엉덩이와 다리를 더 넓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과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 아기(12)를 태웠을 때를 나타내는 포대기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나타난 포대기의 배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 1, 2 방석부(220, 240) 및 제 1, 2 보조부(260, 270)를 편 다음에, 제 1 봉제선(280)을 중심으로 접는다. 그 다음, 한쌍의 제 1 버튼(340)을 한쌍의 제 2 버튼(360)에 체결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침(120)과 좌석부(125) 사이를 구부리면 제 1, 2 보조부(260, 270)가 제 2 봉제선(282)을 기준으로 함께 구부러지면서 좌석부(125)의 좌우 측면 밖으로 노출된다. 이렇게 노출된 제 1, 2 보조부(260, 270)는 아기(12)의 엉덩이와 다리 영역을 좀 더 넓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아기의 다리가 보행중 흔들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아기의 안정감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고안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고안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실용신안 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포대기,
12 : 아기,
13 : 머리,
15 : 등받침,
17 : 어깨끈,
19 : 허리끈,
100 : 포대기,
110 : 어깨끈,
120 : 등받침,
125 : 좌석부,
150 : 허리끈,
200 : 연결부,
220 : 제 1 방석부,
240 : 제 2 방석부,
260 : 제 1 보조부,
270 : 제 2 보조부,
280 : 제 1 봉제선,
282 : 제 2 봉제선,
284 : 제 3 봉제선,
286 : 제 4 봉제선,
300 : 제 1 테이프,
320 : 제 2 테이프,
340 : 제 1 버튼,
360 : 제 2 버튼.

Claims (10)

  1. 아기를 지지하는 등받침(120)과 좌석부(125), 상기 등받침(120)을 어깨에 고정하기 위한 어깨끈(110), 상기 좌석부(125)를 허리에 고정하기 위한 허리끈(150)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125)와 상기 허리끈(15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00);
    일단이 상기 좌석부(125)와 상기 연결부(200) 사이의 제 1 봉제선(280)에 함께 연결되는 제 1 방석부(220); 및
    일단이 상기 제 1 방석부(220)의 타단에 제 2 봉제선(282)으로 연결되는 제 2 방석부(240);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방석부(220)가 상기 제 1 봉제선(280)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고,
    상기 제 2 방석부(240)가 상기 제 2 봉제선(282)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방석부(220, 240)가 접힌 위치에 있을 때, 접힌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제 1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수단은,
    상기 제 1 방석부(220)상에 형성된 제 1 테이프(300); 및
    상기 제 2 방석부(220)상에서 상기 제 1 테이프(3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테이프(3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방석부(220, 240)의 일측면에 제 3 봉제선(284)으로 연결되는 제 1 보조부(260); 및
    상기 제 1, 2 방석부(220, 240)의 타측면에 제 4 봉제선(286)으로 연결되는 제 2 보조부(2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보조부(260, 270)는 상기 제 1, 2 방석부(220, 240)가 접혀질 때 상기 제 1, 2 방석부(220, 240) 사이로 들어가면서 함께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석부(220)는 상기 제 1 봉제선(280)을 기준으로 상기 좌석부(125)에 면접하도록 접힐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 2 방석부(240)는 상기 제 2 봉제선(282)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방석부(220)에 면접하도록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방석부(220, 240)가 상호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봉제선(280)을 기준으로 상기 등받침(120)에 면접하도록 접혔을 때, 상기 제 1, 2 방석부(220, 240)와 상기 등받침(120) 사이의 접힌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제 2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수단은,
    상기 제 2 방석부(240)에 형성된 제 1 버튼(340); 및
    상기 등받침(120) 상에서 상기 제 1 버튼(34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버튼(3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방석부(220, 240)의 일측면에 제 3 봉제선(284)으로 연결되는 제 1 보조부(260); 및
    상기 제 1, 2 방석부(220, 240)의 타측면에 제 4 봉제선(286)으로 연결되는 제 2 보조부(2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아기(12)로 인해 상기 등받침(120)과 상기 좌석부(125) 사이가 굽혀짐에 따라 상기 제 1 방석부(220)와 상기 제 2 방석부(240) 사이가 함께 굽혀질 때,
    상기 제 1, 2 보조부(260, 270)는 상기 포대기(100)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아기(12)의 다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

KR2020180003907U 2018-08-22 2018-08-22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 KR200491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907U KR200491567Y1 (ko) 2018-08-22 2018-08-22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907U KR200491567Y1 (ko) 2018-08-22 2018-08-22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81U true KR20200000481U (ko) 2020-03-03
KR200491567Y1 KR200491567Y1 (ko) 2020-04-28

Family

ID=6976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907U KR200491567Y1 (ko) 2018-08-22 2018-08-22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5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4800A (zh) * 2021-01-28 2022-07-2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可调整座部高度的婴儿背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123U (ko) 2008-01-10 2009-07-15 신용남 양손이 편리한 유아용포대기
KR20180089702A (ko) * 2017-02-01 2018-08-09 (주)디에스통상 높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한 유아용 캐리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123U (ko) 2008-01-10 2009-07-15 신용남 양손이 편리한 유아용포대기
KR20180089702A (ko) * 2017-02-01 2018-08-09 (주)디에스통상 높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한 유아용 캐리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4800A (zh) * 2021-01-28 2022-07-2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可调整座部高度的婴儿背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567Y1 (ko)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560B1 (ko) 영유아 겸용 캐리어
JP5827008B2 (ja) 運搬具
JP6271137B2 (ja) 子守帯
KR101829876B1 (ko) 유아용 캐리어
JP5480313B2 (ja) 子守帯
KR200447518Y1 (ko) 유아용 아기띠
KR20120070544A (ko) 베이비 캐리어
JP2001137082A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KR101989880B1 (ko) 유아용 캐리어
KR200453681Y1 (ko) 휠체어용 안전 벨트
JP6933954B2 (ja) 子守帯
KR20120032800A (ko) 아기띠
KR20180012677A (ko) 영아용 속싸개
US20100288802A1 (en) Baby carrier
KR20200000481U (ko)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
JP4716608B2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KR101276403B1 (ko) 영유아 겸용 캐리어
JP2019051308A (ja) ベビーキャリア
KR101558175B1 (ko) 포대기
JP6105503B2 (ja) 子守帯
KR200473921Y1 (ko) 유아용 아기띠
KR102028090B1 (ko)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 사용 방법
KR20160046224A (ko) 유아용 캐리어
KR200486269Y1 (ko) 유아용 아기띠의 폭 조절구조
KR101791471B1 (ko) 힙시트 허리밴드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