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775B1 -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 - Google Patents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775B1
KR101913775B1 KR1020170123935A KR20170123935A KR101913775B1 KR 101913775 B1 KR101913775 B1 KR 101913775B1 KR 1020170123935 A KR1020170123935 A KR 1020170123935A KR 20170123935 A KR20170123935 A KR 20170123935A KR 101913775 B1 KR101913775 B1 KR 101913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inlet
buckle
length
fre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도형
백재호
이정훈
윤여환
임성철
김주호
문자영
이혜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닛
Priority to KR1020170123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 물품에 양단부가 고정된 제1 스트랩이 통과되는 개구부; 길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제2 스트랩의 자유단이 인입되어 통과하는 인입구; 및 인입구를 통과한 제2 스트랩의 자유단이 인출되는 인출구;를 포함하며, 인입구의 내측 상하면은 수평 하게 마련되고 인출구의 내측 상하면은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제2 스트랩은 인입구에 수평 하게 인입되며 인출구를 통과하는 제2 스트랩의 자유단은 사선으로 경사지게 인출되므로, 버클에 인입되고 인출되는 제2 스트랩의 방향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BUCKL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STRAP}
본 발명은 스크랩 길이조절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클에 인입되고 인출되는 스트랩의 방향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여 아기띠나 배낭 등에 설치되는 각종 스트랩의 길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낭이나 아기띠 같은 물품들은 인체에 걸치거나 멜 수 있도록 끈(이하, '스트랩'이라 함)을 이용한다. 사용자는 물품을 맨 상태에서 착용감 등을 높이기 위해 스트랩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버클을 이용하여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버클은 스트랩이 인입되고 인출되는 방향이 같아 버클에 스트랩이 동일한 방향과 각도로 인입되고 인출되므로 스트랩의 단부가 겹쳐 스트랩을 파지하는 것이 수월치 않았으며, 버클이 인체의 앞에 위치하는 물품을 착용한 경우에는 스트랩을 뒤쪽으로 잡아당겨야 하므로 팔의 움직임이 불편해 스트랩의 길이 조절이 수월치 못한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856454호, 배낭용 끈 길이 조절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클에 인입되고 인출되는 스트랩의 방향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여 아기띠나 배낭 등에 설치되는 각종 스트랩의 길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은 물품에 양단부가 고정된 제1 스트랩이 통과되는 개구부; 길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제2 스트랩의 자유단이 인입되어 통과하는 인입구; 및 인입구를 통과한 제2 스트랩의 자유단이 인출되는 인출구;를 포함하며, 인입구의 내측 상하면은 수평 하게 마련되고 인출구의 내측 상하면은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제2 스트랩은 인입구에 수평 하게 인입되며 인출구를 통과하는 제2 스트랩의 자유단은 사선으로 경사지게 인출되므로, 버클에 인입되고 인출되는 제2 스트랩의 방향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은 내측 상·하면이 수평 하게 구비되어 있는 인입구를 따라 스트랩이 전체적으로 수평하게 인입되며, 인입구에 인입된 후 인출구를 따라 인출되는 스트랩의 자유단은 인입구의 내측 상·하면과 비스듬히 경사진 각도를 형성하는 인출구의 내측 상·하면을 따라 비스듬히 경사진 형태로 인출되므로, 버클에 인입되고 인출되는 스트랩의 방향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버클에 인입되고 인출되는 스트랩의 방향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면 스트랩의 길이 조절 시 스트랩의 자유단을 쉽게 잡을 수 있으며, 버클이 앞에 위치하는 물품을 착용한 경우에 스트랩의 단부가 하방 경사진 상태로 인출되므로 팔의 움직임에 불편함 없이 경사진 방향으로 스트랩을 잡아당길 수 있어 수월하게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의 평면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이 물품(아기띠)에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이 제품에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X-X', Y-Y' 좌표를 이용하여, X-X'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Y-Y'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며, 이는 특허청구범위 및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100)은, 물품(1)에 양단부가 고정된 제1 스트랩(2)이 통과되는 개구부(17)와, 제2 스트랩(4)의 자유단(5)이 인입되어 통과하는 인입구(18)와, 인입구(18)를 통과한 제2 스트랩(4)의 자유단(5)이 경사지게 인출되는 인출구(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버클(100)은 내측에 개구부(17) 및 인입구(18), 인출구(19)가 마련되는 프레임부(10)를 구비한다. 프레임부(10)는 상단프레임(11)과 하단프레임(12), 두 개의 측면프레임(13, 14)으로 구성된다. 상단프레임(11)과 하단프레임(12)은 각각 수평 하게 좌우로 연장되는 연장부(11a, 12a)와 연장부(11a, 12a)의 단부로부터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는 굴곡부(11b, 12b)로 이루어지며, 두 개의 측면프레임(13, 14)은 상단프레임(11)과 하단프레임(12)의 양단부를 각각 연결하도록 결합된다.
프레임부(10)는 내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분리편(15)과 걸림편(16)이 프레임부(10)의 내측에 수직으로 연결됨으로써 프레임부(10)의 내부에 상술한 개구부(17) 및 인입구(18), 인출구(19)가 형성된다.
개구부(17)에는 물품(1)의 일측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제1 스트랩(2)이 통과되는 공간이며, 개구부(17)를 통과한 제1 스트랩(2)은 측면프레임(13)에 걸쳐짐으로써 제1 스트랩(2)에 버클(100)의 일단부가 고정된다. 한편, 제1 스트랩(2) 및 제2 스트랩(4)이 고정되는 물품(1)은 아기띠나 배낭과 같이 스트랩(2, 4)의 길이를 조절하여 인체에 걸치거나 멜 수 있는 것이라면 모든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는 물품(1)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띠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인입구(18)는 제2 스트랩(4)의 자유단이 인입되어 통과하는 부분으로, 인입구(18)는 분리편(15)과 걸림편(16) 사이에 형성된다. 프레임부(10)의 내측 상·하면에 해당하는 인입구(18)의 내측 상·하면(18a, 18b)은 수평 하게 이루어진다. 이에 인입구(18)로 인입되는 제2 스트랩(4)은 인입구(18)의 내측 상·하면(18a, 18b)을 따라 수평 하게 배치된다. 인입구(18)를 통과한 제2 스트랩(4)의 자유단(5)은 걸림편(16)을 감싼 상태로 인출구(19)로 배출된다.
인출구(19)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인입구(18)를 통과한 제2 스트랩(4)의 자유단(5)이 걸림편(16)을 감싼 상태로 통과하여 인출되는 부분으로, 인출구(19)로 인출된 제2 스트랩(4)은 걸림편(16)에 걸쳐져 버클(100)에 고정된다. 상·하단프레임(11, 12)의 굴곡부(11a, 12a)에 해당하는 프레임부(10)의 내측 상·하면 즉, 인출구(19)의 내측 상·하면(19a, 19b)은 사선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인출구(19)의 내측 상·하면(19a, 19b)은 상술한 인입구(18)의 내측 상·하면(18a, 18b)과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인출구(19)를 통해 인출되는 제2 스트랩(4)은 경사진 인출구(19)의 내측 상·하면(19a, 19b)을 따라 비스듬히 경사진 모양으로 인출된다.
결론적으로 내측 상·하면(18a, 18b)이 수평 하게 구비되어 있는 인입구(18)를 따라 제2 스트랩(4)이 전체적으로 수평하게 인입되며, 인입구(18)에 인입된 후 인출구(19)를 따라 인출되는 제2 스트랩(4)의 자유단(5)은 인입구(18)의 내측 상·하면(18a, 18b)과 비스듬히 경사진 각도를 형성하는 인출구(19)의 내측 상·하면(19a, 19b)을 따라 비스듬히 경사진 형태로 인출되므로, 버클(100)에 인입되고 인출되는 제2 스트랩(4)의 방향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처럼, 버클(100)에 인입되고 인출되는 제2 스트랩(4)의 방향dl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면, 제2 스트랩(4)의 길이 조절 시 제2 스트랩(4)의 자유단(5)을 쉽게 잡을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버클(100)이 앞에 위치하는 아기띠와 같은 물품(1)을 착용한 경우에 제2 스트랩(4)의 자유단(5)이 하방 경사진 상태로 인출되므로 팔의 움직임에 불편함 없이 경사진 방향으로 제2 스트랩(4)을 잡아당길 수 있어 수월하게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버클 10:프레임부
16:걸림편 18:인입구
19:인출구

Claims (1)

  1. 물품에 양단부가 고정된 제1 스트랩이 통과되는 개구부;
    길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제2 스트랩의 자유단이 인입되어 통과하는 인입구; 및
    상기 인입구를 통과한 상기 제2 스트랩의 자유단이 인출되는 인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인입구의 내측 상하면은 수평하게 마련되고, 상기 인입구 내측 상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인출구의 내측 상하면은 상기 인입구 내측 상하면으로부터 굴곡되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인입구에 수평 하게 인입되고 상기 인출구를 통과하는 상기 제2 스트랩의 자유단은 사선으로 경사지게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
KR1020170123935A 2017-09-26 2017-09-26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 KR101913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935A KR101913775B1 (ko) 2017-09-26 2017-09-26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935A KR101913775B1 (ko) 2017-09-26 2017-09-26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775B1 true KR101913775B1 (ko) 2018-11-02

Family

ID=6432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935A KR101913775B1 (ko) 2017-09-26 2017-09-26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7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177B1 (ko) 2020-10-21 2022-01-11 최종기 캠핑용 스트랩
WO2022145517A1 (ko) * 2020-12-29 2022-07-07 주식회사 모닛 스트랩의 길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버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7611A (ja) 1999-02-03 2000-08-08 Illinois Tool Works Inc <Itw> パック用ウェストベルト及びそのためのバックル
KR200210475Y1 (ko) 2000-01-15 2001-01-15 성상엽 벨트길이조절용 클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7611A (ja) 1999-02-03 2000-08-08 Illinois Tool Works Inc <Itw> パック用ウェストベルト及びそのためのバックル
KR200210475Y1 (ko) 2000-01-15 2001-01-15 성상엽 벨트길이조절용 클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177B1 (ko) 2020-10-21 2022-01-11 최종기 캠핑용 스트랩
WO2022145517A1 (ko) * 2020-12-29 2022-07-07 주식회사 모닛 스트랩의 길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3133C (en) Sack pack sternum clip
KR101272144B1 (ko) 힙싯 아기띠
AU2014321175B2 (en) Hip seat carrier set
US6520391B2 (en) Baby shoulder cradle
JP3856625B2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US11357337B2 (en) Baby carrier with adjustable head support and buckle therefore
US20170332806A1 (en) Baby carrier
PH12014501248A1 (en) Supporter
KR101913775B1 (ko) 스트랩 길이조절용 버클
CA3037441C (en) Backpacks with cooperatively adjusted hip belts and compression straps
KR20200025903A (ko) 자세교정벨트
CN206275490U (zh) 一种多功能婴儿背带
CN203597693U (zh) 一种抱婴腰凳
CN204337692U (zh) 一种体育训练用护腰腰带
NL2014948B1 (en) Sling type child carrier.
WO2016020707A1 (en) Shoulder strap
JP2013013714A5 (ko)
CN209106340U (zh) 一种运动文胸
CN206745065U (zh) 母婴背带
KR102593365B1 (ko) 길이가변형 어깨끈
KR102502892B1 (ko) 처짐 방지구를 구비하는 배낭
CN209734253U (zh) 一种坐姿矫正带
CN206403523U (zh) 一种带收叠输液架的婴儿背带
CN208524045U (zh) 一种舒适性好的前置式笔记本电脑背包
AU2016100641A4 (en) Baby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