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8731A - 끼움부 부착구를 구비한 일회용 용기 - Google Patents

끼움부 부착구를 구비한 일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8731A
KR20120078731A KR1020127011378A KR20127011378A KR20120078731A KR 20120078731 A KR20120078731 A KR 20120078731A KR 1020127011378 A KR1020127011378 A KR 1020127011378A KR 20127011378 A KR20127011378 A KR 20127011378A KR 20120078731 A KR20120078731 A KR 20120078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attachment unit
disposable container
filling hole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0546B1 (ko
Inventor
워너 뉴커치
한스 피터 사우어
Original Assignee
아르다 엠피 그룹 네덜란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다 엠피 그룹 네덜란드 비.브이. filed Critical 아르다 엠피 그룹 네덜란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20078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67D1/0831Keg connection means combined with valves
    • B67D1/0832Keg connection means combined with valves with two valves disposed concen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6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4Auxiliary removable stacking elements other than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67D7/0288Container connection means
    • B67D7/0294Combined with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용 저장 용적을 제공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단 부착 유닛, 그리고 액체의 공급 및 탭핑(tapping)을 위해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는 충전 홀에 밀봉 가능하게 배치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가압 액체, 특히, 맥주용의 일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끼움부 부착구를 구비한 일회용 용기{DISPOSABLE CONTAINER WITH FITTING ATTACHMENT}
본 발명은 액체용 저장 용적을 제공하는 수용부와, 액체의 충전 및 탭핑(tapping)을 위해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는 충전 홀, 그리고 상기 충전 홀 내에 배치되는 끼움부(fitting)를 포함하는, 가압 액체, 특히, 맥주용의 일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는 가압 액체용의 일회용 용기 또는 통(barrel)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 DE 10 2006 061 120 A1 호에는 케그(keg) 형태의 일회용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케그 몸체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목부의 내부에 일회용 끼움부가 정합성 또는 비정합성 끼워 맞춤을 이용하여 직접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일회용 용기는, 그러나, 끼움부가 고정되어 있는 버블형 케그 몸체를 초과하여 돌출되는 목부로 인해 제한된 범위까지만 적층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케그 목부와 이 위에 배치되어 있는 끼움부는, 위치가 노출되어 있음으로 인해, 케그의 운반 또는 취급 동안 손상될 위험이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 출발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되어 있는 일회용 용기의 장점을 포함하는, 가압 액체, 특히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음료 및 그외 음료용의 일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회용 용기는 제조가 간단하여야 하며, 취급이 용이하여야 하고, 충전, 운반, 보관 및 최종 소비자에 의한 사용 동안 양호하게 보관 가능하여야 한다. 특히, 일회용 용기는 통상의 충전 시스템을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어야 한다. 끼움부는 특히, 접근이 용이하면서도 운반 및 보관 동안 대체로 손상 위험이 없어야 한다.
장치와 관련하여, 상기 목적은 액체용 저장 용적을 제공하는 수용부와, 액체의 충전 및 탭핑(tapping)을 위해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는 충전 홀, 그리고 상기 충전 홀 내에 배치되는 끼움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 상에 상단 부착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끼움부가 상기 상단 부착 유닛에 의해 충전 홀에 유지되는, 가압 액체, 특히 맥주용의 일회용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방법과 관련하여, 제 1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목적은 가압 액체용의, 특히,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회용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충전 홀을 포함하는 수용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수용부 상단 또는 측면 상에 끼움부를 구비한 상단 부착 유닛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끼움부가 액밀 방식으로 충전 홀을 밀봉하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끼움부를 통해 수용부에 액체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제 2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목적은 가압 액체용의, 특히,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회용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충전 홀을 포함하는 수용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 홀을 통해 용기에 액체를 충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충전 단계에 후속하여, 상기 수용부의 상단에 또는 측면 상에 끼움부를 구비한 상단 부착 유닛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끼움부가 액밀 방식으로 충전 홀을 밀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양 변형예에 있어서, 끼움부는 특히, 유리하게는 액밀 방식 및 기밀 방식으로 충전 홀을 밀봉함으로써, 수용부에 음료가 충전되는 경우, 예를 들어, CO2를 이용하여 가압 처리될 수 있으며, 사용된 CO2는 새어나갈 수 없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용기는 케스크(cask), 케그(keg), 일회용 케스크 또는 일회용 케그인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용기의 수용부의 저장 용적은 기본적으로, 예를 들어, 전형적인 2.5, 5, 10, 20, 30, 또는 50 리터 크기 중 어느 한 구성일 수 있다. 수용부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금속으로, 특히, 주석 플레이트 또는 알루미늄 플레이트 또는 유사한 재료로 구성된다. 그러나, 수용부가 또한, 플라스틱 재료 또는 유사한 재료로 구성되거나, 특정 재료의 조합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수용부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홈 또는 다른 유사한 구조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여 상단 부착 유닛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수용부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뚜껑은 잠금 결합 이음매를 사용하여 수용부의 벽 또는 수용부의 측벽에 연결됨으로써, 상단 부착 유닛이 잠금 결합 이음매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의 기부 및 뚜껑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수용부의 측벽은 반경 방향으로 대칭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종래 기술의 일회용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장치가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기부와 뚜껑을 제조하며 이들 기부와 뚜껑을 측벽에 연결하기 위한 기기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끼움부는 상단 부착 유닛을 사용하여 충전 홀에 유지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경우에서와 같이 끼움부 자체가 예를 들어, 목부 또는 유사한 원통형 또는 환형 영역 형태의 충전 홀 위에 또는 그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충전 홀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에 따라, 끼움부의 고정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수용부에 끼움부를 연결 또는 고정할 필요가 없다. 유리하게는, 충전 홀은, 예를 들어, 간단히 펀칭 가공을 사용하여 용기 벽의 일부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용부가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끼움부 또는 탭핑 장치가 수용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용부가 충전 홀의 영역에서 특히 안정적일 필요는 없다. 그 이유는, 끼움부가 밀봉 방식으로 충전 홀에 배치되어 있긴 하지만, 충전 홀의 가장자리 또는 수용부의 다른 구조에 의해 유지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끼움부는 더 정확히 말하자면 상단 부착 유닛에 의해 유지 및 고정되며, 상단 부착 유닛은 수용부 상의, 특히, 전술한 목적에 부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은 또한, 끼움부 및 상단 부착 유닛이 사전 조립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상단 부착 유닛과 끼움부로 이루어진 유닛이 다용도로 서로 다른 충전 시스템에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끼움부를 구비한 상단 부착 유닛이 조립되어 있지 않은 수용부가 직립 위치에서 충전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끼움부를 구비한 상단 부착 유닛이 사전 조립되어 있는 용기가 케그 충전 시스템을 사용하여 위아래가 전도된 상태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단 부착 유닛과 끼움부로 이루어진 유닛이 상이한 형상의 수용부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상이한 형상의 충전 홀의 기하학적 구조와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충전 홀 및 충전 홀의 기하학적 구조의 경우, 끼움부의 고정과 상관없이, 충전 홀의 가장자리와 끼움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 수단 또는 밀봉 요소에 의해 끼움부와 충전 홀이 조화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끼움부는 일회용 끼움부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다. 복수 회 사용 가능한 끼움부의 사용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단 부착 유닛으로 이루어진 사전 조립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끼움부가 상단 부착 유닛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끼움부가 나사산, 하나 이상의 잠금 결합 요소 또는 유사한 구조를 통해 상단 부착 유닛에 연결될 수도 있다. 끼움부가 그외 다른 방식으로 상단 부착 유닛과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단 부착 유닛과 끼움부의 사전 조립이 필요하지 않은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끼움부는 소망하는 형태로, 특히, 원형의 평면형 끼움부, 삼각형의 평면형 끼움부, 또는 바구니형 끼움부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끼움부가 하우징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는 원주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잠금 결합 구조가 제공되고, 이러한 구조는 끼움부를 상단 부착 유닛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일회용 용기가 충전되기 전에 또는 충전된 후에, 상단 부착 유닛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끼움부, 또는 끼움부와 상단 부착 유닛으로 구성되는 사전 조립 유닛이 수용부 상에, 특히, 수용부의 상단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단 부착 유닛은, 특히,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잠금 결합 요소, 나사산 또는 다른 유사한 연결 유닛을 사용하여 수용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잠금 결합 요소에 의해 상단 부착 유닛의 특히 간단한 조립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단 부착 유닛은 간단한 방식으로 수용부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수용부와 자동적으로 잠금 결합될 수 있다.
상단 부착 유닛은, 특히 유리하게는, 고정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구조체 상에 전술한 연결 유닛, 특히, 잠금 결합 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 구조체는, 유리하게는, 기본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기본 형상은 기본적으로 수용부 또는 수용부의 가장자리의 기본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이다. 특히, 환형 가장자리를 구비한 전형적인 케스크 형상의 수용부의 경우, 고정 구조체는, 특히, 실질적으로 환형 또는 원통형일 수 있다. 상단 부착 유닛 또는 그 고정 구조체는, 유리하게는, 수용부의 외부면에 부착됨으로써, 완성 수용부가 상단 부착 유닛과 함께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통 형상은 운반, 취급 및 적층이 특히 잘 이루어질 수 있는 형상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회용 용기의 운반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가 상단 부착 유닛 상에, 특히, 고정 구조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단 부착 유닛 및/또는 고정 구조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의 수용부의 반대 방향을 향한 측면은 적어도 소정 영역이 평평한 표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며, 상기 표면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용기의 적층 또는 보관을 위한 기부 또는 지지면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단 부착 유닛은 끼움부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부 지지부는, 특히, 웹(web) 또는 지주 요소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환형의 고정 구조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웹 또는 지주 요소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상단 부착 유닛은, 유리하게는, 비교적 소량의 재료를 필요로 하며, 경량이고, 사출 성형 요소의 형태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끼움부 지지부는, 유리하게는, 웹 또는 지주 요소를 통해 고정 구조체에 대하여 중심이 맞춰질 수 있어, 상단 부착 유닛이 수용부의 가장자리에서 수용부에 조립되는 경우, 끼움부 지지부 및 따라서 그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끼움부가 수용부에 대하여 중심이 맞춰지게 되어, 보통 수용부의 뚜껑 중심에 위치한 충전 홀과 일치하도록 자동적으로 중심이 맞춰질 수도 있다. 이러한 끼움부 지지부는, 특히 유리하게는, 기본적으로 중공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며, 중공형의 원통형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견부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견부 영역을 통해 끼움부가 끼움부 지지부에 대해 따라서 수용부에 대해 예정된 축 방향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끼움부는 상기 중공형의 원통형 벽을 통해 끼움부 지지부 및 수용부에 대해 중심이 맞춰질 수 있다. 상단 부착 유닛 및/또는 끼움부 지지부는 또한, 잠금 결합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배치되는 끼움부의 경우, 상기 잠금 결합 요소는 상기 상단 부착 유닛 및/또는 끼움부 지지부의 잠금 결합 구조와 협동하여 끼움부를 끼움부 지지부에 고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요소가 충전 홀에 배치되며, 상기 밀봉 요소에 의해 액밀 방식으로 또한 바람직하게는 기밀 방식으로 끼움부가 충전 홀의 가장자리에 밀봉 결합된다. 밀봉 요소의 추가 기능으로서, 밀봉 요소는 상이한 충전 홀의 기하학적 구조를 끼움부에 적합한 형태로 만들기 위한 어댑터(adapter) 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다. 밀봉 요소는, 특히, 밀봉 요소를 충전 홀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홈 또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끼움부를 구비한 상단 부착 유닛이 수용부 상에 배치되기 전에 밀봉 요소가 수용부의 충전 홀에 사전 조립될 수 있음에 따라, 수용부가 충전되기 이전 또는 이후에 상단 부착 유닛과 끼움부로 이어진 유닛이 수용부 상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끼움부가 자동적으로 충전 홀을 밀봉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밀봉 요소가 상단 부착 유닛 또는 끼움부 상에 사전 조립될 수도 있어, 끼움부를 구비한 상단 부착 유닛이 적소에 배치되면, 밀봉 요소가 아직 밀봉되어 있지 않은 충전 홀에 자동적으로 삽입되어 충전 홀에 밀봉 방식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밀봉 요소는 2-요소 기술(two component technology)을 사용하여 상단 부착 유닛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가 간단하며, 취급이 용이하고, 충전, 운반, 보관 및 최종 소비자에 의한 사용 동안 양호한 보관이 가능한 가압 액체, 특히 맥주용의 일회용 용기가 제공된다.
추가적인 특징 및 세부 사항이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주어진 본 발명의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일회용 용기의 개략적인 상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을 따라 취한 일회용 용기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세부 확대도, 그리고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상단 부착 유닛 일부의 사시도.
도면에 도시된 일회용 용기(1)는 수용부 기부(2)(도 2에서는 보이지 않음), 뚜껑(3), 그리고 수용부 측벽(4)으로 이루어진 수용부(7)를 포함한다. 수용부 기부(2)는 상방 굽힘 가공을 사용하여 수용부 측벽(4)에 연결됨으로써, 이음매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뚜껑(3)도 유사한 방식으로 상방 굽힘 가공을 사용하여 수용부 측벽(4)에 연결됨으로써, 이음매(8)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뚜껑(3)의 내부 영역은 일회용 용기(1)의 내측 반대 방향으로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이음매(8)에 인접하여 환형의 원주 방향 홈(9)이 형성되며, 상기 홈은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뚜껑(3)에는 중심 충전 홀(10)이 형성되어,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회용 용기(1)가 충전되기 이전 또는 이후에, 밀봉 요소(5)와 끼움부(6)가 중심 충전 홀 내로 삽입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일회용 용기(1)가 완전히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수용부(7)의 상단 및 측면에 걸쳐 상단 부착 유닛(11)이 배치된다. 이러한 상단 부착 유닛(11)은 실질적으로 환형의 고정 구조체(12)를 포함하며, 이 고정 구조체의 내면부 원주 방향 가장자리(13)가 잠금 결합 요소(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 수용부의 이음매(8)에 연결된다. 수용부(7)의 기본 형상에 적합한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 구조체(12)의 외면부(14)는 원주 방향 가장자리(13)를 초과하여 하방으로 연장되어 수용부 측벽(4)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높이에서 측벽에 부착된다.
고정 구조체(12)에는 수용부(7)의 반대 방향을 향한 측면 상으로 두 개의 손잡이(15)가 제공되며, 이들 손잡이의 상단은 기본적으로 고정 구조체(12)의 환형의 원주 방향 상부 가장자리(16)와 정렬된다. 따라서, 수용부(7)의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단 부착 유닛(11)의 상단이 대체로 환형이면서 실질적으로 평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용기(탭 헤드(tap head)(17)가 조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용이하게 적층되어 운반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지주(支柱) 요소(19, 20, 21, 22)가 고정 구조체(12)의 원통형의 원주 방향 내벽(18)에 배열된다. 이들 지주 요소는 환형 내벽(18)으로부터 중앙 충전 홀(10)의 방향으로 돌출되며, 충전 홀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단부가 끼움부 지지부(23)에 연결되고, 상기 끼움부 지지부는 지주 요소(19, 20, 21, 22)를 통해 충전 홀(10)에 대해 중심이 맞춰진다. 지주 요소(19, 20, 21, 22)는 텅-앤드-그루부 시스템(tongue and groove system)(24)을 통해 내벽(18)에 연결된다. 또한, 지주 요소(19, 20, 21, 22)에 의해 지탱되어 있는 끼움부 지지부(23)는 충전 홀(10)과 관련하여 중심이 맞춰진 끼움부(6)를 배치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 지지부(23)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벽(32)을 포함하며, 이 원통형 벽의 수용부(7)와 마주하는 측면 상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견부 요소(31)가 배치되어 있는 반면, 원통형 벽의 수용부(7)의 반대쪽을 향하고 있는 측면 상에는 잠금 결합 요소(27)가 배치될 수 있다. 벽(32)이 수용부(7)와 충전 홀(10)에 대해 끼움부(6)의 중심을 맞추는 반면, 끼움부(6)의 축 방향 위치는 견부 요소(31)에 의해 결정되며, 끼움부(6)는 잠금 결합 요소(27)에 의해 유지된다.
밀봉 요소(5)가 끼움부(6)와 충전 홀(10)의 원주 방향 가장자리의 사이에 배치되며, 충전 홀(10)을 액밀 방식으로 밀봉하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기밀 방식으로 밀봉한다. 밀봉 요소(5)에는 원주 방향 홈(25)이 제공되어, 통상의 장치 구성의 경우 상기 원주 방향 홈에 충전 홀(10)의 원주 방향 가장자리가 맞물려 밀봉 요소가 유지된다. 밀봉 요소(5)에는 중앙 개구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개구의 직경이 충전 홀(10)을 통과하여 돌출되는 끼움부(6)의 목부(26)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됨으로써, 목부(26)에 대한 밀봉 요소(5)의 밀봉 부착이 보장된다.
끼움부(6)는 외부 원주 방향 단차부(28)를 포함하며, 끼움부(6)의 통상의 장치 구성의 경우, 상기 단차부가 잠금 결합 요소(27)를 사용하여 끼움부 지지부(23)에 잠금 결합됨으로써, 끼움부가 끼움부 지지부(23)에 고정적으로 견고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끼움부 지지부(23)와 충전 홀(10)의 통상의 장치 구성의 경우, 끼움부(6)의 상단(29)은 부착 유닛(11)의 원주 방향 고정 구조체의 상부 가장자리(16)를 초과하여 돌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립 끼워 맞춤의 경우에도 우수한 적층성 및 운반성이 보장된다. 끼움부(6)는 또한, 기본적으로 원주 방향 고정 구조체(12)로 인해 손상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면에는 일 예로서 끼움부(6) 상에 탭 헤드(17)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탭 헤드는 공지의 방식으로 끼움부(6) 상에 배치된다. 또한, 충전 또는 공급관(30)이 끼움부(6)로부터 수용부(7)의 내부로 돌출된다.
1 : 일회용 용기 2 : 수용부 기부
3 : 뚜껑 4 : 수용부 측벽
5 : 밀봉 요소 6 : 끼움부
7 : 수용부 8 : 이음매
9 : 홈 10 : 충전 홀
11 : 상단 부착 유닛 12 : 고정 구조체
13 : 원주 방향 가장자리 14 : 고정 구조체의 외부면
15 : 손잡이 16 : 상부 가장자리
17 : 탭 헤드 18 : 내벽
19 : 지주 요소 20 : 지주 요소
21 : 지주 요소 22 : 지주 요소
23 : 끼움부 지지부 24 : 텅 앤드 그루부 시스템
25 : 원주 방향 홈 26 : 끼움부의 목부
27 : 잠금 결합 요소 28 : 단차부
29 : 끼움부의 상단 30 : 충전 또는 공급관
31 : 견부 요소 32 : 벽

Claims (14)

  1. 액체용 저장 용적을 제공하는 수용부(7)와, 액체의 충전 및 탭핑(tapping)을 위해 상기 수용부(7)에 형성되는 충전 홀(10), 그리고 상기 충전 홀(10)에 배치되는 끼움부(6)를 포함하는, 가압 액체, 특히, 맥주용의 일회용 용기(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7) 상에 상단 부착 유닛(11)이 배치되며, 상기 끼움부(6)가 상단 부착 유닛(11)을 사용하여 상기 충전 홀(10)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6)는 일회용 끼움부이며,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부착 유닛(11)은, 잠금 결합 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수용부(7) 상에, 특히, 수용부 측벽(4)과 뚜껑(3)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음매(8) 상에 배치되거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부착 유닛(11)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환형의 고정 구조체(12)를 포함하며, 이 고정 구조체를 통해 상단 부착 유닛(11)이 상기 수용부(7)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부착 유닛(11)은 지주 요소(19, 20, 21, 22)를 통해 상단 부착 유닛(11) 및 고정 구조체(12)에 연결되는 끼움부 지지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용기(1)를 운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15)가 상단 부착 유닛(11) 상에, 특히, 고정 구조체(12)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홀(10) 내에 밀봉 요소(5)가 배치되며, 상기 밀봉 요소는, 특히, 홈(25) 또는 포획 돌출부를 사용하여 충전 홀(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6)는 나사산 또는 잠금 결합 요소(27, 28)를 통해 상단 부착 유닛(1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6)는 원형의 평면형 끼움부, 삼각형의 평면형 끼움부, 또는 바구니형 끼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10. 가압 액체용의, 특히,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회용 용기(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충전 홀(10)을 포함하는 수용부(7)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수용부(7) 상에 끼움부(6)를 구비한 상단 부착 유닛(11)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끼움부(6)가 액밀 방식으로 또한 바람직하게는 기밀 방식으로 충전 홀(10)을 밀봉하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끼움부(6)를 통해 수용부(7)에 액체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제조 방법.
  11. 가압 액체용의, 특히,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회용 용기(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충전 홀(10)을 포함하는 수용부(7)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 홀(10)을 통해 수용부(7)에 액체를 충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충전 단계에 후속하여, 상기 수용부(7) 상에 끼움부(6)를 구비한 상단 부착 유닛(11)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끼움부(6)가 액밀 방식으로 또한 바람직하게는 기밀 방식으로 충전 홀(10)을 밀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제조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부착 유닛(11)이 수용부(7) 상에 배치되기 전에 밀봉 요소(5)가 충전 홀(10)에 배치되며, 상기 밀봉 요소는, 끼움부(6)를 구비한 상단 부착 유닛(11)의 통상의 장치 구성에 따라, 액밀 방식으로 또한 바람직하게는 기밀 방식으로 끼움부(6)가 충전 홀(10)을 밀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제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7)에 액체가 충전되기 전에 밀봉 요소(5)가 충전 홀(10)에 배치되며, 상기 밀봉 요소는, 끼움부(6)를 구비한 상단 부착 유닛(11)의 통상의 장치 구성에 따라, 액밀 방식으로 또한 바람직하게는 기밀 방식으로 끼움부(6)가 충전 홀(10)을 밀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제조 방법.
  14.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6)를 구비한 상단 부착 유닛(11)이 수용부(7) 상에 배치되기 전에 밀봉 요소(5)가 끼움부(6)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밀봉 요소는, 끼움부(6)를 구비한 상단 부착 유닛(11)의 통상의 장치 구성에 따라, 액밀 방식으로 또한 바람직하게는 기밀 방식으로 끼움부(6)가 상기 충전 홀(10)을 밀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제조 방법.
KR1020127011378A 2010-07-15 2010-07-15 끼움부 부착구를 구비한 일회용 용기 KR101420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0/060261 WO2012007041A1 (de) 2010-07-15 2010-07-15 Einwegbehälter mit fittingaufsa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731A true KR20120078731A (ko) 2012-07-10
KR101420546B1 KR101420546B1 (ko) 2014-07-16

Family

ID=43558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378A KR101420546B1 (ko) 2010-07-15 2010-07-15 끼움부 부착구를 구비한 일회용 용기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833615B2 (ko)
EP (1) EP2470466B1 (ko)
JP (1) JP5356608B2 (ko)
KR (1) KR101420546B1 (ko)
CN (1) CN102686506B (ko)
AU (1) AU2010357447B2 (ko)
BR (1) BR112012006953B1 (ko)
CA (1) CA2776554A1 (ko)
DK (1) DK2470466T3 (ko)
ES (1) ES2541609T3 (ko)
IN (1) IN2012DN03018A (ko)
MA (1) MA33583B1 (ko)
MX (1) MX2012003992A (ko)
PL (1) PL2470466T3 (ko)
RU (1) RU2536717C2 (ko)
WO (1) WO2012007041A1 (ko)
ZA (1) ZA2012030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03025A1 (de) * 2009-05-12 2010-11-18 Ball Packaging Europe Gmbh Verfahren zum Befüllen von Lebenmittelbehältern
RU2672018C2 (ru) * 2013-09-13 2018-11-08 Микро Матик А/С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160083240A1 (en) * 2014-09-19 2016-03-24 John M. Macor Beer keg platform
AU2019260698A1 (en) * 2018-04-27 2020-11-19 Emanuela COVI Closing unit for a beverage container
WO2019207614A1 (en) * 2018-04-27 2019-10-31 Covi Emanuela Valve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7963A (en) * 1978-09-22 1980-02-12 The Continental Group, Inc. Adapter ring for dispensing overcap
JPS5980260U (ja) * 1982-11-24 1984-05-30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缶容器用注ぎ口
JPH0755286B2 (ja) 1988-04-21 1995-06-14 トーメー産業株式会社 簡易液体浄化装置
FR2797259B1 (fr) 1999-08-06 2001-10-12 Kronenbourg Brasseries Installation compacte de distribution de biere pression
JP4552969B2 (ja) * 2000-08-24 2010-09-29 日本軽金属株式会社 飲料容器の嫌気開栓器
DE10138365A1 (de) * 2001-08-04 2003-02-20 Niro Plan Ag Zug Einweg-Keg
PL1626925T3 (pl) 2003-05-06 2007-09-28 Carlsberg Breweries As Sposób i urządzenie do dozowania napojów
EA012426B1 (ru) * 2005-08-12 2009-10-30 Карлсберг Брюириз А/С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правления дозирующей линии через устройство розлива напитков
EP2206677B1 (en) * 2005-08-12 2011-12-28 Carlsberg Breweries A/S Device for connecting a flexible container to a beverage dispenser
DE102006061120B4 (de) 2006-12-22 2011-12-22 Khs Gmbh Keg
EP2117942B1 (en) * 2007-02-12 2013-07-31 Anheuser-Busch InBev S.A. Container, chime and assembly of both
GB2446392A (en) * 2007-02-12 2008-08-13 Inbev Sa A Plastic Upper Chime and Keg Assembly for Beverage Kegs
JP5333721B2 (ja) * 2008-06-16 2013-11-06 東洋製罐株式会社 飲料用容器
US8967407B2 (en) * 2009-07-27 2015-03-03 Rehrig Pacific Company Plastic beer keg
US9434505B2 (en) * 2010-01-26 2016-09-06 Rehrig Pacific Company Plastic beer keg
GB2481436A (en) * 2010-06-24 2011-12-28 Silvia Romana Marabini Chime attachment means and tamper evident c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86506B (zh) 2015-03-18
ES2541609T3 (es) 2015-07-22
DK2470466T3 (en) 2015-06-29
MX2012003992A (es) 2012-07-23
PL2470466T3 (pl) 2015-09-30
ZA201203006B (en) 2014-10-29
US8833615B2 (en) 2014-09-16
AU2010357447B2 (en) 2013-09-26
WO2012007041A1 (de) 2012-01-19
JP5356608B2 (ja) 2013-12-04
BR112012006953A2 (pt) 2016-06-14
AU2010357447A1 (en) 2012-05-03
BR112012006953B1 (pt) 2019-09-17
KR101420546B1 (ko) 2014-07-16
MA33583B1 (fr) 2012-09-01
EP2470466A1 (de) 2012-07-04
CN102686506A (zh) 2012-09-19
RU2536717C2 (ru) 2014-12-27
CA2776554A1 (en) 2012-01-19
EP2470466B1 (de) 2015-04-15
IN2012DN03018A (ko) 2015-07-31
US20120205403A1 (en) 2012-08-16
RU2012109934A (ru) 2013-09-20
JP2013510052A (ja)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286B2 (en) Beer keg and method of assembly
KR20120078731A (ko) 끼움부 부착구를 구비한 일회용 용기
WO2012090743A1 (ja) 内容物提供装置
KR20080009726A (ko) 액체 저장 및 분배 장치
TWI628127B (zh) 液體運輸及儲存之容器
JP2008100715A (ja) 液体薬品用ペール缶
JP2005104537A (ja) チューブ体容器とこのチューブ体容器を用いた複合容器
RU2736516C2 (ru) Одноразовая бочка для напитков из нержавеющей стали
JP5385328B2 (ja) 液体薬品用ペール缶
JP4664870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用カートリッジ容器
EP3494057B1 (en) Containers with adhesively attached chimes
US20120228311A1 (en) Disposable cask with disposable tap
RU2371366C1 (ru) Тара для двух несмешиваемых компонентов
US9162816B1 (en) Double tank assembly with shipping notches and lifting eyes
JP3159055U (ja) コンテナ用内袋の排出口構造
JP5301598B2 (ja) 液体薬品の分配方法
RU76894U1 (ru) Тара для двух компонентов
RU2326035C1 (ru) Тара для двух несмешиваемых компонентов (варианты)
JP2013079103A (ja) 液体コンテナ
CA2787547A1 (en) Double wall storage container for liquids
JP2018536603A (ja) 堆肥化可能な使い捨て飲料容器及び関連する容器密封機構
KR20160001498U (ko)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
JP2014237455A (ja) 液体容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