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498U -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498U
KR20160001498U KR2020140007865U KR20140007865U KR20160001498U KR 20160001498 U KR20160001498 U KR 20160001498U KR 2020140007865 U KR2020140007865 U KR 2020140007865U KR 20140007865 U KR20140007865 U KR 20140007865U KR 20160001498 U KR20160001498 U KR 201600014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capacity container
shape
valv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지
Original Assignee
배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신영 filed Critical 배신영
Priority to KR2020140007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498U/ko
Publication of KR201600014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49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5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not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bottle screwed onto a base of a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8Supports
    • B67D3/0083Supports for the liqui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주류나 음료가 수용되어 있는 대용량 용기의 개구에 결합시킨 후 대용량 용기를 거꾸로 세워 내용물을 일정량씩 배출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대용량 용기에 결합되는 밸브와 받침대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비닐포장지에 포장하고, 그 비닐포장지를 대용량 용기의 병목에 목걸이 형태로 끼워서 유통시킬 수 있게 한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SUPPLYING APPARATUS OF DRINKING AND BEVERAGE}
본 고안은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류나 음료가 수용되어 있는 대용량 용기(병 혹은 페트(PET)병 등)의 개구에 결합시킨 후, 대용량 용기를 거꾸로 세워 내용물을 일정량씩 배출시킬 수 있게 한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페트(PET)병 또는 유리병을 통해 탄산음료를 포함한 각종의 음료 및 주류 등의 액상 제품이 유통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특히, 많은 양을 하나의 용기에 수용하여 즉, 대용량 용기(예컨대, 1.5리터 또는 그 이상의 큰 용량)에 많은 양의 주류 및 음료를 수용하여 유통시키고 있다.
또한, 대용량 용기는 밀봉을 위해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뚜껑이 체결되어, 사용시 뚜껑을 개방한 후 일정량의 내용물을 배출시키고 있다.
그러나 용기가 대용량이다 보니까 용기 내에 내용물이 가득 수용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용기를 들고 내용물을 배출시키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대용량 용기에 내용물이 가득 수용된 경우 용기가 무겁고, 또 용기가 크기 때문에 이와 같이 무겁고 큰 용기를 소비자들이 들어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데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다.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24932호, 옆으로 눕혀 마시는 기능성 패트병.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54361호, 음료 배출장치.
본 고안의 목적은, 주류나 음료가 수용되어 있는 대용량 용기의 개구에 결합시킨 후 대용량 용기를 거꾸로 세워 내용물을 일정량씩 배출시킬 수 있게 한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대용량 용기에 결합되는 밸브와 받침대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비닐포장지에 포장하고, 그 비닐포장지를 대용량 용기의 병목에 목걸이 형태로 끼워서 유통시킬 수 있게 한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대용량 용기의 개구에 결합될 수 있게 상기 개구의 숫나선부에 체결되는 암나선부가 형성된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에 연락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설치된 밸브로 이루어진 몸체; 및 상기 몸체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밸브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상기 대용량 용기를 뒤집어 세울 수 있게 한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하부에서 끼움 고정시킬 수 있는 다수개의 판체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체들을 끼움 고정시킬 수 있게 몸체의 하부 테두리에 끼움홈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끼움 고정되는 판체의 어느 일단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에 대응하는 다른 일단에는 결합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부를 인접하는 판체의 결합홈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호 인접하는 판체들을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판체의 어느 일단에는 보강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돌부에 대응하는 다른 일단에는 보강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보강돌부를 인접하는 판체의 보강홈부에 위치되게 결합되어 상호 인접하여 결합되는 판체들에 보강력을 부여하는 보강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가 설치된 몸체와 받침대가 분리된 상태로 포장할 수 있는 포장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포장지에는 대용량 용기의 병목에 목걸이 형태로 끼워서 유통시킬 수 있게 걸이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지에는 핀이 함께 포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는 삼각기둥, 사각기둥, 육각기둥 혹은 원기둥 및 타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의 테두리를 삼각형상, 사각형상, 육각형상 혹은 원형상 및 타원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받침대의 외주면에는 컵을 밀착시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호 형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주류나 음료가 수용되어 있는 대용량 용기의 개구에 결합시킨 후 대용량 용기를 거꾸로 세워 놓고 내용물을 일정량씩 배출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내용물의 배출을 편리하게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대용량 용기의 개구에 결합시킬 수 있는 밸브와 받침대를 소비자가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구성함과 아울러 조립식으로 구성된 받침대와 밸브를 비닐포장지에 포장하여 그 비닐포장지를 대용량 용기의 병목에 목걸이 형태로 끼워서 유통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유통 과정의 편리성을 갖게 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대용량 용기를 거꾸로 세워 놓고 밸브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일정량씩 배출되게 하여 사용함으로서, 대용량 용기에 맥주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 일반 가정에서 맥주를 컵에 편리하게 따라 마실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의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의 사용을 위해 대용량 용기가 결합되는 상태와 컵이 위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에 구비되는 받침대를 구성하기 위한 판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표시의 판체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7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에 구비되는 밸브가 설치된 몸체와 받침대가 분리되어 포장할 수 있는 포장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표시의 포장지에 밸브가 설치된 몸체와 받침대가 포장되어 유통될 수 있게 병의 병목에 포장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는 몸체(110)와 받침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대용량 용기(102)의 개구에 결합시킬 수 있게 대용량 용기(102)의 개구에 형성된 숫나선부에 체결되는 암나선부가 형성된 체결구(112)가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112)에 연락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밸브(114)가 설치된다.
이러한 몸체(110)는 삼각형상의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삼각형상의 각 변은 내측으로 요입되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사각형상, 육각형상과 같은 다각형상 혹은 원형상 및 타원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각 변 즉, 테두리에는 내측으로 요입되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상기 몸체(110)에 받침대(120)가 결합 구성되어 상기 받침대(120)에 의해 밸브(114)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게 상기 대용량 용기(102)를 뒤집어 세울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받침대(120)는 상기 몸체(110)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의 판체(122)들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받침대(120)는 몸체(110)의 테두리를 따라 하부에서 끼움 고정시킬 수 있는 다수개의 판체(122)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판체(122)들을 상기 몸체(110)에 끼움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124)가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부(124)는 몸체의 하부 테두리에 형성된 끼움홈(124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홈(124a)에 판체(122)들을 끼워 고정시켜 받침대(12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120)는 몸체(110)에 끼움 고정되는 판체(122)들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126)가 구비된다. 이러한 결합부(126)는 상기 고정부(124)에 끼움 고정되는 판체(122)의 어느 일단에 결합홈부(126b)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126b)에 대응하는 다른 일단에 결합돌부(126a)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부(126a)를 인접하는 판체(122)의 결합홈부(126b)에 끼움 결합하여 상호 인접하는 판체(122)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대(120)는 결합부(126)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판체(122)들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128)가 구비된다. 이러한 보강부(128)는 상기 고정부(124)에 끼움 고정되어 상기 결합부(126)에 의해 인접한 결합된 판체(122)의 어느 일단에는 보강돌부(128a)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돌부(128a)에 대응하는 다른 일단에는 보강홈부(128b)가 형성되어 상기 보강돌부(128a)를 인접하는 판체(122)의 보강홈부(128b)에 위치되게 결합하여 상호 인접하게 결합된 판체(122)들에 보강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부(128)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판체(122)들을 몸체(110)에 결합시킬 때 상기 판체(122)들은 내측으로 요입되는 형상의 호 형상을 이루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판체(122)를 호 형상으로 휘어진 상태로 몸체(110)의 끼움홈(124a)에 끼워 고정시키게 되면 판체(122)의 양측단부는 벌어지려는 성질을 갖게 되며, 이에 보강돌부(128a)가 보강홈부(128b)에 위치되면 벌어지려는 성질에 의해 몸체(110)에 결합된 판체들의 결합부위에서의 보강력을 갖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120)는 삼각기둥, 사각기둥, 육각기둥 혹은 원기둥 및 타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몸체(110)의 테두리를 삼각형상, 사각형상, 육각형상 혹은 원형상 및 타원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게 구성한다. 즉, 삼각형상, 사각형상, 육각형상 혹은 원형상 및 타원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110)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의 판체(122)들을 결합시켜 기둥을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120)의 외주면에는 컵(12)을 밀착시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호 형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호 형상으로 요입되게 형성하면 컵(12)을 받침대(12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위치시킬 수 있어 밸브(114)가 상대적으로 짧게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밸브(114)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시킬 경우 밸브(114)의 하부에 컵(12)을 위치시키게 되는데, 상기 컵(12)에 내용물을 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밸브(114)가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와 같이 외주면을 호 형상으로 요입되게 형성하여 컵(12)을 몸체(110)의 안쪽까지 위치되게 하면 밸브(114)를 상기 몸체(110)로부터 많이 돌출되게 구성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는 포장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포장지(130)에 의해 상기 밸브(114)가 설치된 몸체(110)와 받침대(120)가 분리된 상태로 포장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포장지(130)에는 대용량 용기(102)의 병목에 목걸이 형태로 끼워서 유통시킬 수 있도록 걸이공(1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장지(130)에는 핀(104)을 함께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핀(104)의 용도는 상기 밸브(114)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내용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대용량 용기(102)의 일 부위(하부)에 미세공을 형성할 때 사용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밸브(114)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시키려면 대용량 용기(102)의 일부에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미세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핀(104)은 미세공을 형성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에 대한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대용량 용기(102)의 개구를 막고 있는 병마개를 회전시켜 개방한 후, 그 개구에 체결구(112)를 결합시켜, 밸브(114)가 설치된 몸체(110)를 대용량 용기(102)의 개구에 설치한다.
이후, 받침대(120)를 구성하는 판체(122)를 상기 몸체(110)의 테두리 하부에 형성된 끼움홈(124a)에 끼워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판체(122)는 요입되게 형성된 몸체(110)의 외면을 따라 판체(122)들을 휘어서 결합시키고, 또 상기 판체(122)에 형성된 보강돌부(128a)와 보강홈부(128b)가 상호 인접하는 판체(122)들 끼리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되어 보강된다.
이와 같이 판체(122)들을 몸체(110)에 결합한 다음에는 상기 판체(122)의 일단과 다른 일단에 형성된 결합돌부(126a)와 결합홈부(126b)를 상호 인접하는 판체(122)들 끼리 결합시켜 받침대(120)의 조립을 완성한다.
이후, 받침대(120)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거꾸로 뒤집어 세운 다음 이후 핀(104)(압정 혹은 압핀 등)을 이용하여 대용량 용기의 하단부에 미세공(미도시)을 형성한다. 즉, 대용량 용기(102)에 미세공을 형성한 후 핀(104)을 제고하고 밸브(114)에 인접하도록 컵(12)을 위치시키고 밸브(114)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대용량 용기(102)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은 핀(104)으로 형성한 미세공에 의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기 밸브(114)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주류나 음료가 수용되어 있는 대용량 용기(102)의 개구에 밸브(114)가 설치된 몸체(110)를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몸체(110)에 받침대(120)를 결합한 후, 상기 대용량 용기(102)를 거꾸로 세워 놓고 밸브(114)를 통해 내용물을 일정량씩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대용량 용기(102)에 결합되는 밸브(114)가 설치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에 결합시키는 받침대(120)를 분리시킨 상태로 포장지(130)에 포장하고, 그 포장지(130)를 대용량 용기(102)의 병목에 목걸이 형태로 끼워서 유통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편리하게 유통시킬 수 있다.
102 - 대용량 용기 110 - 몸체
112 - 체결구 114 - 밸브
120 - 받침대 122 - 판체
124 - 고정부 126 - 결합부
128 - 보강부 130 - 포장지

Claims (4)

  1. 대용량 용기(102)의 개구에 결합될 수 있게 상기 개구의 숫나선부에 체결되는 암나선부가 형성된 체결구(112)와 상기 체결구(112)에 연락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설치된 밸브(114)로 이루어진 몸체(110); 및
    상기 몸체(110)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밸브(114)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상기 대용량 용기(102)를 뒤집어 세울 수 있게 한 받침대(12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120)는:
    상기 몸체(110)의 테두리를 따라 하부에서 끼움 고정시킬 수 있는 다수개의 판체(122)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체(122)들을 몸체(110)에 끼움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몸체(110)의 하부 테두리에 끼움홈(124a)이 형성된 고정부(124);
    상기 고정부(124)에 끼움 고정되는 판체(122)의 어느 일단에는 결합홈부(126b)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126b)에 대응하는 다른 일단에는 결합돌부(126a)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부(126a)를 인접하는 판체(122)의 결합홈부(126b)에 끼움 결합하여 상호 인접하는 판체(122)들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부(126); 및
    상기 결합부(126)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판체(122)의 어느 일단에는 보강돌부(128a)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돌부(128a)에 대응하는 다른 일단에는 보강홈부(128b)가 형성되어 상기 보강돌부(128a)를 인접하는 판체(122)의 보강홈부(128b)에 위치되게 결합하여 상호 인접하여 결합되는 판체(122)들에 보강력을 부여하는 보강부(12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114)가 설치된 몸체(110)와 받침대(120)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포장할 수 있는 포장지(1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포장지(130)에는 대용량 용기(102)의 병목에 목걸이 형태로 끼워서 유통시킬 수 있게 걸이공(1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130)에는 핀(104)이 함께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20)는 삼각기둥, 사각기둥, 육각기둥 혹은 원기둥 및 타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110)의 테두리를 삼각형상, 사각형상, 육각형상 혹은 원형상 및 타원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받침대(120)의 외주면에는 컵(12)을 밀착시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호 형상으로 요입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
KR2020140007865U 2014-10-29 2014-10-29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 KR2016000149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65U KR20160001498U (ko) 2014-10-29 2014-10-29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65U KR20160001498U (ko) 2014-10-29 2014-10-29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98U true KR20160001498U (ko) 2016-05-11

Family

ID=56023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865U KR20160001498U (ko) 2014-10-29 2014-10-29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49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5038B2 (en) Container with large open end and opposed closed smaller end, and concave end cap with detachable closure and inner threaded openings for both ends of container
KR102016771B1 (ko) 음료수 글라스 및 음료수 글라스 조립체
US9723938B2 (en) Nesting and reconfigurable wine glass
US20060016819A1 (en) Bottle assembly with removable container assembly
US6571977B2 (en) Dual container
JP2013533174A (ja) 液体容器
US20040178161A1 (en) Interconnecting container assembly
MXPA05002660A (es) Botella de bebidas con compartimiento inferior desmontable y metodos para usar la misma.
WO2008020301B1 (en) A drinking vessel
US20160362225A1 (en) Connectible container
KR101424096B1 (ko) 음료 및 주류 용기
US4267588A (en) Hourglass construction
HU225299B1 (en) Beverage container
US20070029325A1 (en) Covered containers and related dispensing systems
DK2470466T3 (en) Disposable container with fittingpåsats.
KR200466355Y1 (ko) 사출성형된 일체형 스파우트 및 뚜껑이 구비된 음료팩
WO2018033702A1 (en) Collar and cap
KR20160001498U (ko) 대용량 용기에 수용된 주류 및 음료의 배출장치
KR200267294Y1 (ko)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
KR20130060836A (ko) 음료수 용기에 꽂아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빨대기구
US10899528B2 (en) Fluid dispensing bottle cap and bottle system
KR101424381B1 (ko)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KR101592184B1 (ko) 컵 또는 글라스 형태로 전환되는 캔 타입 용기
KR20170031354A (ko) 결로 방지용 음료용기
WO2018035580A1 (en) A container structure for detachable coupling of containers and system includ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