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3698A - 끝단 고정 구조를 가지는 플라스틱 클램프 - Google Patents

끝단 고정 구조를 가지는 플라스틱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3698A
KR20120073698A KR1020100135533A KR20100135533A KR20120073698A KR 20120073698 A KR20120073698 A KR 20120073698A KR 1020100135533 A KR1020100135533 A KR 1020100135533A KR 20100135533 A KR20100135533 A KR 20100135533A KR 20120073698 A KR20120073698 A KR 20120073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rotruding ring
support body
clam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경철
김성환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to KR1020100135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3698A/ko
Publication of KR20120073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065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ixed on or to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호스 또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배선부재를 지지프레임에 고정하는 클램프에 있어서, 지지프레임에 부착되며, 관통 형성되는 인서트홀이 구비되는 서포트 바디; 서포트 바디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인서트홀을 관통하며, 배선부재의 외측을 감아서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밴드; 및 서포트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밴드가 끼워지도록 끼움홀을 형성하는 돌출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끝단 고정 구조를 가지는 플라스틱 클램프 {A plastic clamp with end fixing structure}
본 발명은 끝단 고정 구조를 가지는 플라스틱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밴드 끝단이 끼워지는 돌출고리를 적용하여 간섭 및 정비성이 개선되도록 이루어지는 끝단 고정 구조를 가지는 플라스틱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기계는 많은 유압호스들과 전기장치 배선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유압호스 또는 전장 배선은 지지프레임 또는 카울 지지프레임 등에 고정된다.
또한, 차량용 공조시스템에는 냉매를 압송하기 위한 각종 파이프류가 설치된다. 그 일례로서, 증발기에 냉매를 도입시키거나 배출시키기 위한 파이프와, 히터코어에 엔진냉각수를 도입시키거나 배출시키기 위한 파이프 등이 있다. 이러한 파이프류는 외부의 이물질 등으로부터 손상되지 않도록 방청처리된 강철관으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한편, 이와 같은 파이프류는, 도입관과 배출관이 쌍을 이루면서 나란하게 배열되며, 인접하는 다른 부품과 접촉되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 클램프에 의해 공조케이스에 고정된다.
아울러, 와이어링은 점화, 등화 및 충전 등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는 배선용 전선뭉치를 지칭하는데, 이러한 와이어링은 차량의 운행중 발생되는 심한 진동 때문에 고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흔들리게 되며, 어느 정도의 기간이 경과되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처진 와이어링이 주변의 부품들과 마찰됨으로써, 와이어링 내에 있는 특정의 와이어가 손상되며, 종국적으로는 관련 작동부의 고장을 유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통상의 차량에 있어서는, 와이어링 고정용 클램프를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와이어링 및 케이블을 일정부위에 고정시킴으로써 와이어링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로 사용되는 클램핑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도 1에 나타난 현재 가장 많이 사용중인 스틸 클램핑 구조의 경우 고무 커버가 마모됨에 따라 화재등의 위험성이 있고, 부품의 원가가 비교적 비싸며, 작업 공수도 상대적으로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나타난 플라스틱류의 클램핑 구조를 사용하여 조립방식을 단순화시키고 원가도 절감되도록 하는 방법이 다수 적용되기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플라스틱류 클램핑 구조의 경우, 조립후에 날카로운 끝단부가 남아서 다른 호스나 배선이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장비 조립 및 정비시에 날카로운 끝단부에 의해 팔과 손이 상처를 입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인서트홀을 통과한 밴드 끝단이 돌출고리에 끼워져 걸리도록 하여 유압 호스 및 전장 배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비 및 조립시에 작업자가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호스 또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배선부재를 지지프레임에 고정하는 클램프에 있어서, 지지프레임에 부착되며, 관통 형성되는 인서트홀이 구비되는 서포트 바디; 서포트 바디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인서트홀을 관통하며, 배선부재의 외측을 감아서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밴드; 및 서포트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밴드가 끼워지도록 끼움홀을 형성하는 돌출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첫째, 밴드 끝단이 인서트홀을 관통하여 유압 호스 및 전장 배선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둘째, 밴드 끝단이 돌출고리에 끼워져, 정비 및 조립시에 작업자가 상처를 입는 것이 방지된다.
셋째, 밴드 끝단에 쇄기턱이 구비되어, 밴드가 돌출고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넷째, 밴드 끝단 양측면에는 웨지가 구비되어, 밴드가 돌출고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추가적으로 방지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틸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라스틱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클램프가 적용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 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틸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라스틱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클램프가 적용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는, 호스 또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배선부재(100)를 지지프레임에 고정하는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착되며, 관통 형성되는 인서트홀이 구비되는 서포트 바디(200); 상기 서포트 바디(200)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홀을 관통하며, 상기 배선부재(100)의 외측을 감아서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밴드(300); 및 상기 서포트 바디(200)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밴드(300)가 끼워지도록 끼움홀을 형성하는 돌출고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클램프는 서포트 바디(200)와 밴드(300)와 돌출고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포트 바디(200)는 지지프레임에 부착되며, 지지프레임과의 사이에 일반 시트(600)나 사각관 시트(610)가 개재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서포트 바디(200)는 호스 또는 케이블 등의 배선부재(100) 일단과 접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일측에서 위로 연장되는 고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편에는 고정볼트(500)가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고정편 일측에는 일반 시트(600)나 사각관 시트(610)가 위치한다.
서포트 바디(2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상측면에는 돌출고리(400)가 형성되며, 돌출고리(400)에 밴드(300) 끝단이 끼워지도록 끼움홀이 구비된다.
베이스에는 인서트홀이 관통형성되며, 인서트홀을 통해 밴드(300)가 관통되도록 이루어진다.
밴드(300)는 베이스 하측에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다양한 배선부재(100)의 외측을 감아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길게 이루어진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스틸 클램핑 구조의 경우 고무 커버의 마모에 의한 화재의 위험성이 있으며, 부품의 원가가 비교적 비싸며, 작업 공수도 많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도 2에 나타난 플라스틱 클램핑 구조의 경우, 조립방식이 단순화되며, 원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으나 조립 후에 날카로운 끝단부가 남아서 다른 배선부재(100)를 손상시키거나, 장비 조립 및 정비시에 팔과 손에 상처를 입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밴드(300) 끝단이 돌출고리(400)에 끼워져 밴드(300)의 날카로운 끝단이 베이스 상측에 밀착되므로, 밴드(300) 끝단부가 다른 배선부재(100)를 손상시키거나, 장비 조립 및 정비시에 작업자가 팔과 손에 상처를 입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밴드(300) 끝단에는 쇄기턱(310)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쇄기턱(310) 일측면이 상기 돌출고리(400)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쇄기턱(310)이 구비된다.
밴드(300) 끝단의 일측면에는 쇄기턱(310)이 돌출되어 구비되며, 쇄기턱(310)이 돌출고리(400)에 끼워질때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쇄기턱(310)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직각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쇄기턱(310)은 밴드(300)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비스듬한 빗면과 옆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돌출고리(400)를 통과한 후 옆면이 돌출고리(400)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쇄기턱(310)에 의해서 돌출고리(400)에 끼워진 밴드(300)가 다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밴드(300) 끝단 양측면에는 웨지(320)가 형성되어, 상기 웨지(320)가 상기 돌출고리(400)의 측면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웨지(320)가 구비된다.
밴드(300) 끝단의 양측면에는 웨지(320)가 돌출되어 구비되며, 웨지(320)가 돌출고리(400)에 끼워질때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웨지(320)는 위에서 보았을 때 직각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웨지(320)는 밴드(300)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빗면과 밑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돌출고리(400)를 통과한 후 옆면이 돌출고리(400)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웨지(320)에 의해서 돌출고리(400)에 끼워진 밴드(300)가 빠지는 것이 추가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밴드(3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밴드(300)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벼우므로 스틸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며, 조립 및 탈거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배선부재(100)에 손상을 입히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밴드(300)와 서포트 바디(200)를 사용하여 조립방식을 단순화시키고 원가도 절감시키며, 아울러 조립 후에 날카로운 밴드(300) 끝단부가 돌출고리(400)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장비 조립 및 정비시에 팔과 손에 상처를 입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밴드(300)는 배선부재(100)를 감으며 인서트홀을 통과하여 벤딩되며, 인서트홀을 통과한 나머지 밴드(300)의 끝단은 다시 돌출고리(400)에 끼워져 벤딩되므로, 두 개의 벤딩 부위를 가지게 된다.
100 : 배선부재
200 : 서포트 바디
300 : 밴드, 310 : 쇄기턱, 320 : 웨지
400 : 돌출고리
500 : 고정볼트
600 : 일반 시트, 610 : 사각관 시트

Claims (4)

  1. 호스 또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배선부재를 지지프레임에 고정하는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착되며, 관통 형성되는 인서트홀이 구비되는 서포트 바디;
    상기 서포트 바디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홀을 관통하며, 상기 배선부재의 외측을 감아서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밴드; 및
    상기 서포트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밴드가 끼워지도록 끼움홀을 형성하는 돌출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끝단에는 쇄기턱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쇄기턱 일측면이 상기 돌출고리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끝단 양측면에는 웨지가 형성되어, 상기 웨지가 상기 돌출고리의 측면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KR1020100135533A 2010-12-27 2010-12-27 끝단 고정 구조를 가지는 플라스틱 클램프 KR20120073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533A KR20120073698A (ko) 2010-12-27 2010-12-27 끝단 고정 구조를 가지는 플라스틱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533A KR20120073698A (ko) 2010-12-27 2010-12-27 끝단 고정 구조를 가지는 플라스틱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698A true KR20120073698A (ko) 2012-07-05

Family

ID=46708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533A KR20120073698A (ko) 2010-12-27 2010-12-27 끝단 고정 구조를 가지는 플라스틱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36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033A (ko) * 2015-03-03 2016-09-13 이상철 일회용주사기 밀착 고정장치
CN110809687A (zh) * 2017-08-17 2020-02-18 喜利得股份公司 在用于封闭销的通孔中具有封闭翻盖的夹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033A (ko) * 2015-03-03 2016-09-13 이상철 일회용주사기 밀착 고정장치
CN110809687A (zh) * 2017-08-17 2020-02-18 喜利得股份公司 在用于封闭销的通孔中具有封闭翻盖的夹子
CN110809687B (zh) * 2017-08-17 2021-06-18 喜利得股份公司 在用于封闭销的通孔中具有封闭翻盖的夹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11785A (ja) プロテクタ
KR20120073698A (ko) 끝단 고정 구조를 가지는 플라스틱 클램프
JP2006174708A (ja) 鳥害防止器具
KR20080043490A (ko)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 고정클립
KR101399036B1 (ko) 완금 밴드
KR20220113750A (ko) 긴 물체의 안내 장치
KR101141756B1 (ko) 지하관로 케이블 포설용 클램핑 장치
JP4979541B2 (ja) ケーブル固定具の固定方法
ATE456760T1 (de) Klemmvorrichtung für leitungen
KR20140037503A (ko)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JP5114150B2 (ja) 張力伝達具
CN206148866U (zh) 线束固线夹
JP2010137649A (ja) 配線カバー、配線固定具、並びに鉄道車両の配線構造及び配線方法
KR102496631B1 (ko)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
KR200443657Y1 (ko)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KR20140004012U (ko) 케이블 정리용 지그
KR200388600Y1 (ko) 와이어링 하네스의 분기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0476798Y1 (ko) 밴드스트립
KR200187599Y1 (ko) 전선 포설용 전선 안내관
JP5964342B2 (ja) 電線防護管
KR101965587B1 (ko) 지주용 밴드
JP4346406B2 (ja) インナーパイプの保持部、インナーパイプの保持具及び新設ケーブルの引き込み方法
JP2008170470A (ja) コネクタ付光ファイバコード牽引治具及び方法
JP2013029139A (ja) 管路更生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挿通治具
JPH09149519A (ja) ケーブル布設用リード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