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3554A -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3554A
KR20120073554A KR20100135355A KR20100135355A KR20120073554A KR 20120073554 A KR20120073554 A KR 20120073554A KR 20100135355 A KR20100135355 A KR 20100135355A KR 20100135355 A KR20100135355 A KR 20100135355A KR 20120073554 A KR20120073554 A KR 20120073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phatic polyester
biodegradable aliphatic
polyester film
less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35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권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135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3554A/ko
Publication of KR20120073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55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Wrapper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135 ℃ 이상의 용융온도를 갖고 D-락타이드 함량이 10 % 이상인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종연신비가 1.2 배 내지 3.5배이고, 횡연신비가 2.0 내지 4.0배이며, 종연신비대 횡연신비의 비율이 1:2 이하가 되도록 냉연신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은, 친환경성이면서도 성형성,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일반 포장 및 고급 포장용 등에 적용가능하고, 성형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내열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BIODEGRADABLE ALIPHATIC POLYESTER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포장용 필름 등으로 사용되는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유계로부터 유래되는 범용 플라스틱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의 경우, 현재 다양한 용도에 활용되고 있으나, 소각시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물질을 발생시키고, 많은 이산화탄소 발생으로 대기 중 온실가스 효과를 가속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은 화학적 및 생물학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에 거의 분해되지 않으므로, 매립지의 수명을 단축시켜 지구 토양 오염의 원인으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최근 들어, 녹색성장 투자재원 마련 및 지구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탄소세와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에 대한 검토가 적극 추진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바이오매스에서 유래된 바이오 폴리머, 그 중에서도 특히 생분해성이 높은 지방족 폴리에스터인 폴리락트산(PLA)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폴리락트산 필름은 기계적 특성 및 투명성은 유지되나, 분자구조에 기인한 높은 결정성으로 인해 유연성이 부족하여 포장용으로서 그 용도가 제한적이며, 또한 내열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저온에서의 사용에 제한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행해져 왔다.
구체적으로, 일본등록특허 제4543743호는 성형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내열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얻을 수 있는 성형용 2축 연신 폴리락트산 필름을 개시하고 있으며, 필름의 제조시 길이방향으로의 연신을 단계적으로 실시함으로써 필름의 100 % 신장시의 응력 및 파단신도를 성형성과 내열성이 양립하는 범위로 최적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외에도 일본 공개특허 제1996-113264호는 우수한 투명성 및 열접착성을 가져 필름과 덮개사이에 접착층이 불필요한 블리스터 팩용 필름을 개시하고 있고, 일본 등록특허 제2692283호는 광택도가 10 내지 90 %이고 150 ℃의 분위기하에서100 % 신장시 필름의 강도(F100)가 0.5 내지 7 kg/mm2인 조건을 충족시킴으로써 우수한 성형성, 표면광택성 및 인쇄성을 나타내는 성형용 2축연신 폴리에스터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 등록특허 제3569077호는 이소프탈산을 공중합 성분으로 하고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된 반복 단위라고 하는 폴리에스터와,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주된 반복 단위로 하는 폴리에스터를 용융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우수한 커핑 가공성을 나타내는 대형 성형 전사박용 폴리에스터 필름을 개시하고 있고, 일본 공개특허 제2002-088143호는 탄소수 2 내지 4의 글리콜 성분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 이상의 글리콜 성분과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구성되며, DSC 승온 측정에 있어서 필름의 결정 융해 곡선이 실질적으로 단일의 피크를 가져 우수한 성형성, 내백화성 및 인쇄성을 나타내는 성형용 폴리에스터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제2002-120268호는 에틸렌글리콜계 폴리에스터, 부탄디올계 폴리에스터 및 기타 유기 성분을 포함하여 우수한 성형 가공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터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제2002-120279호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단위 또는 이 둘 모두를 주된 구성 성분으로 포함하고, 필름의 융점, 헤이즈, 두께 및 면 배향 계수를 최적화함으로써 우수한 성형성을 갖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터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에 개시된 폴리에스터 필름들은 여전히 충분히 만족스러운 성형성,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성형성,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를 동시에 만족하는 새로운 생분해성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4543743호(2004.05.13, TORAY IND. INC.)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6-113264호(1994.10.17, MITSUI TOATSU CHEM. INC.)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2692283호(1989.08.07, Diafoil Company, Limited)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569077호(1996.07.04, TEIJIN LTD.)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088143호(2001.07.11, TORAY IND. INC.)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120268호(2000.10.16, TORAY IND. INC.)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120279호(2000.10.16, TORAY IND. INC.)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분해성 수지로 이루어져 친환경성이면서도 개선된 성형성,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갖는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135 ℃ 이상의 용융온도를 갖고 D-락타이드 함량이 10 % 이하인 폴리락트산계 중합체 수지를 종연신비가 1.2 내지 3.5 배이고, 횡연신비가 2.0 내지 4.0 배이며, 종연신비대 횡연신비의 비율이 1:2 이하가 되도록 냉연신하여 제조되며, 결정화도가 35 % 이상이고, 필름의 종방향과 횡방향의 100 % 신장시 강도(F100값)의 평균이 25 ℃에서 25 kgf/㎟ 이하이고, 80 ℃에서 10 kgf/㎟ 이하이며, 80 ℃ 파단신도가 20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a) 135 ℃ 이상의 용융온도 (Tm)를 갖는 폴리락트산계 공중합 수지를 용융 및 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는 단계; 및
(b) 상기 미연신 시트를, 종방향에 대한 연신비가 1.2 내지 3.5 배이고, 횡방향에 대한 연신비가 2.0 내지 4.0 배이며, 종연신비대 횡연신비의 비율이 1:2 이하가 되도록 냉연신하고 열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은, 생분해성 수지로 이루어져 친환경성이면서도 성형성,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일반 포장 및 고급 포장용 등에 적용가능하고, 성형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내열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135 ℃ 이상의 용융온도를 갖고, D-락타이드 함량이 10 % 이하인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이용하여 최적화된 연신비로 종/횡 이축 냉연신함으로써, 성형성,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방족 폴리에스터인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단독으로 또는 소량의 다른 하이드록시 카르복실산, 디하이드록복실산 또는 지방족 카르복실산 등과 함께 공중합 수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의 용융온도는 135 ℃ 이상, 바람직하게는 140 ℃ 이상 180 ℃ 미만인 것이 좋다. 만약, 용융온도가 135 ℃ 미만이면 내열성과 기계적 특성이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는 옥수수 등의 식물성 원료로부터 만들어지는 락트산을 축중합한 중합체로서, D-락타이드의 함량이 10 % 이하인 L-락트산과 D-락트산의 랜덤 공중합체이다. D-락타이드의 함량은 폴리락트산 중합체의 결정화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만약 D-락타이드의 함량이 10 %를 초과하면 결정성이 없어지므로 내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는 80,000 g/mol 내지 500,000 g/mol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이 80,000 보다 작으면 내열성 및 기계적 특성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고, 500,000 보다 크면 점도가 너무 높아 제대로 된 이축 연신 필름을 가공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소량의 하이드록시 카르복실산 단위로는 글리콜산 또는 2-하이드록시-3,3-다이메틸부틸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전체 공중합 수지에 대하여 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중합 수지에는 통상의 정전인가제, 대전방지제, 자외선 차단제, 블로킹방지제 및 기타 무기활제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통상의 방법대로 상기 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 이축 연신 및 열고정하여 제조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필름의 결정화도, 25 ℃ 및 80 ℃에서 필름이 100% 신장시 필요한 강도(F100값), 파단신도 및 생분해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폴리락트산계 공중합 수지를 용융 및 압출하여 제조한 미연신 시트를 최적화된 연신비로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의 제조방법은 (a) 135 ℃ 이상의 용융온도를 갖고 D-락타이드 함량이 10 % 이하인 폴리락트산계 공중합 수지를 용융 및 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는 단계; 및 (b) 상기 미연신 시트를, 종방향에 대한 연신비가 1.2 내지 3.5 배이고, 횡방향에 대한 연신비가 2.0 내지 4.0 배이며, 종연신비대 횡연신비의 비율이 1:2 이하가 되도록 냉연신한 후, 열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에서, 폴리락트산계 공중합 수지에 대한 용융 및 압출시 압출기의 압출 온도를, 폴리락트산계 공중합 수지의 용융온도(Tm)+30 내지 Tm+60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출온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열에 의한 분자량 감소 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올리고머가 발생하고 압출 시 다량의 증기가 발생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어 상기 용융 및 압출 공정 후 캐스팅시 냉각롤의 온도를 3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롤의 온도가 30 ℃를 초과하는 경우 폴리락트산계 공중합 수지의 결정화 속도가 느려 냉각롤에 점착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냉연신 공정은 종방향에 대한 연신비가 1.2 내지 3.5 배이고, 횡방향에 대한 연신비가 2.0 내지 4.0 배이며, 종연신비대 횡연신비의 비율이 1:2 이하가 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신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연신에 의한 결정화가 진행되어 성형성이 불량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냉연신 공정은 2단계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실시되며, 초기에는 Tm-100 내지 Tm-70 ℃ 범위의 온도에서, 후기에는 이보다 5 ℃ 이상 낮은 온도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신 공정은 미연신 시트를 Tm-100 내지 Tm-70 ℃ 범위의 온도에서 연신하는 제1연신공정, 및 제1연신된 시트를 Tm-95 내지 Tm-65 ℃ 범위의 온도에서 연신하는 제2연신공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온도 범위에서의 2단계 냉연신 공정에 의해 두께 수준이 양호한 필름을 권취할 수 있다.
또한, 종연신 공정시 예열 온도를 Tm-120 내지 Tm-90 ℃로 하고, 종연신 실시 온도를 Tm-100 내지 Tm-7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연신 온도, 즉 텐터 내의 횡연신이 일어나는 구간의 온도는 최소한 2단계, 즉 초기 및 후기로 나누어 지며, 초기에는 종연신시 온도 범위와 동일하게 Tm-100 내지 Tm-70 ℃로 하고, 후기에는 초기보다는 최소한 5 ℃ 이상 낮은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횡연신 구간 후기에서의 체류 시간은 최소한 전체 횡연신 시간의 15% 이상으로 하여 Tm-95 내지 Tm-65 ℃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
이어서 상기 열고정 공정은 Tm-50 내지 Tm-20 ℃의 온도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고정시 온도가 Tm-50 ℃ 미만이면 결정화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고 결정화도가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Tm-20 ℃를 초과하면 필름 표면의 용융이 시작되어 필름 성형이 불가능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은, 결정화도가 35 % 이상이고, 필름의 종방향과 횡방향의 100 % 신장시 강도(F100값)의 평균이 25 ℃에서 25 kgf/㎟ 이하이고, 80 ℃에서 10 kgf/㎟ 이하이며, 80 ℃에서의 파단신도가 200 % 이상이다.
필름의 결정화도가 35 % 미만이면 필름의 내열성이 나빠지고 기계적 물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필름의 결정화도는 필름의 유연성과 기계적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필름의 결정화도가 증가되면 필름의 유연성이 낮아지고, 그 결과로 기계적 특성이 저하된다. 또한, 필름의 결정화도가 높아질수록 분자쇄 간의 결합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필름의 분해되는 기간을 연장시키므로 필름의 생분해율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필름의 유연성과 기계적 특성의 발란스 및 필름의 생분해율을 고려할 때 필름의 결정화도가 35 내지 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5 ℃ 및 80 ℃에서의 F100값의 평균이 상기 값을 벗어날 경우 성형성이 불량해질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80 ℃에서의 파단신도가 200 % 미만이면 성형성이 불량해질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필름은 생분해도가 90 % 이상이며, 필름의 생분해도가 90 % 미만이면 ASTM의 생분해도 규격을 충족하지 못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종방향과 횡방향 신도가 120 % 이상이며, 100 ℃에서 5분 동안의 열풍 열수축율이 5 % 이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필름은 생분해성 수지로 이루어져 친환경성이면서도 성형성,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일반 포장 및 고급 포장용 등에 적용가능하고, 성형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내열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필름은, 일반 포장용 필름, 고급 포장용 필름, 일반 라벨, 열수축 라벨, 농업용 멀칭(mulching) 필름, 오버랩핑(overwrapping) 필름, 종이 라미네이션, 부직포 라미네이션, 일회용 가운, 벽지 라미네이션, 바닥재 라미네이션 등의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재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D-락타이드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인 L-락트산과 D-락트산의 랜덤 공중합체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220,000이며, 용융온도가 170 ℃인 폴리락트산 중합체 (4032D, Natureworks LLC, 미국)를 펠렛 형태로 가공한 후, 용융 압출 온도가 225 ℃인 압출기를 통하여 용융 및 압출하고, 20 ℃의 캐스팅 롤에 밀착시켜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미연신 시트를 60 ℃로 예열한 후, 70 ℃의 연신롤을 통과시켜 3 배로 종연신하고, 이어서 초기 15 % 구간의 평균 온도가 88 ℃이고 후기 15 % 구간의 평균 온도가 81 ℃인 2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텐터의 횡연신 구간 내에서 4 배 횡연신하여 시트를 얻었다. 제조된 시트를 135 ℃에서 열고정하여, 두께 20 ㎛의 지방족 폴리에스터인 폴리락트산 이축 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신비를 달리하는 것을 제외하는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두께 20 ㎛의 지방족 폴리에스터인 폴리락트산 이축 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폴리락트산계 중합체 중의
D-락타이드 함량 (%)
연신비
종연신 횡연신
실시예 1 < 2% 3.0 4.0
실시예 2 < 2% 2.5 3.7
비교예 1 < 2% 3.5 4.5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필름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1) 25 ℃ 및 80 ℃에서의 평균 F100 (kgf/㎜2)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필름을 길이 100 ㎜ 및 폭 15 ㎜으로 재단하여 시료를 준비하고, 준비된 시료에 대하여 ASTM D882의 표준 측정법에 따라 UTM (Instron사, 모델명 4206-001)을 사용하여 25 ℃ 및 80 ℃에서 200 ㎜/min의 속도로 인장시키고,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100 % 신장되었을 때의 강도(F100값)를 각각 측정한 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25 ℃ 및 80 ℃에서의 평균 F100값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2) 파단신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필름을 길이 약 100mm 폭 15mm로 재단한 후 척간 간격이 50mm가 되도록 장착하고, ASTM D 882에 따라, 만능시험기(UTM 4206-001, INSTRON사)를 이용하여 인장속도 200mm/분의 속도로 인장시켰으며, 설비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계산된 파단 신도 값을 얻었다.
(3) 결정화도 (%)
시차주사열분석기 (퍼킨엘머 사, DSC-7)를 사용하여, 1분당 20 ℃의 승온 속도로 측정한 결정 융해 에너지 (Hc, J/g)와 승온시 생성된 결정 생성 에너지 (Ha, J/g)로부터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결정화도를 계산하였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4) 성형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필름에 대해 컵 형상의 금형을 이용하여 80 ℃에서 진공압공 성형을 진행한 후, 성형상태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하기와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아주 좋음
○ 양호
△ 양호한 편이나 모서리가 둥글어진 상태
25 ℃에서의 F100 (kgf/㎜2) 80 ℃에서의 F100 (kgf/㎜2) 80 ℃에서의 파단신도 (%) 결정화도
(%)
성형성
MD TD MD TD MD TD
실시예 1 13 18 2.5 3.3 220 240 43
실시예 2 9 15 1.5 2.5 250 280 40
비교예 1 15 20 3.5 4.0 200 210 48
상기 표 2에서 MD는 종방향을 TD는 횡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 및 2의 필름은 우수한 성형성,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었으나, 횡연신비가 본 발명에서의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비교예 1의 필름은 실시예 1 및 2에 비해 열화된 성형성을 나타내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기타의 실시예를 이하에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1)

135 ℃ 이상의 용융온도를 갖고 D-락타이드 함량이 10 % 이하인 폴리락트산계 중합체 수지를 종연신비가 1.2 내지 3.5배이고, 횡연신비가 2.0 내지 4.0배이며, 종연신비대 횡연신비의 비율이 1:2 이하가 되도록 냉연신하여 제조되며, 결정화도가 35 % 이상이고, 필름의 종방향과 횡방향의 100 % 신장시 강도(F100값)의 평균이 25 ℃에서 25 kgf/㎟ 이하이고, 80 ℃에서 10 kgf/㎟ 이하이며, 80 ℃에서의 파단신도가 20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
제1항에 있어서,
생분해도가 9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
제1항에 있어서,
종방향과 횡방향 신도가 12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
제1항에 있어서,
100 ℃에서 5분 동안의 열풍 열수축율이 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
(a) 135 ℃ 이상의 용융온도 (Tm)를 갖는 폴리락트산계 공중합 수지를 용융 및 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는 단계; 및
(b) 상기 미연신 시트를, 종방향에 대한 연신비가 1.2 내지 3.5 배이고, 횡방향에 대한 연신비가 2.0 내지 4.0 배이며, 종연신비대 횡연신비의 비율이 1:2 이하가 되도록 냉연신하고 열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의 제조방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계 공중합 수지에 대한 용융 및 압출 공정이 폴리락트산계 공중합 수지의 용융온도(Tm)+30 내지 Tm+60 ℃의 온도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의 제조방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연신 전에 용융 및 압출된 시트를 30 ℃ 이하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의 제조방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연신 공정은 2단계로 하여 초기에는 Tm-100 ℃ 내지 Tm-70 ℃ 범위의 온도에서, 후기에는 이보다 5 ℃ 이상 낮은 온도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의 제조방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연신 공정은 미연신 시트를 Tm-100 ℃ 내지 Tm-70 ℃ 범위의 온도에서 연신하는 제1연신공정 및 제1연신된 시트를 Tm-95 ℃ 내지 Tm-65 ℃ 범위의 온도에서 연신하는 제2연신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의 제조방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열고정 온도는 Tm-50 내지 Tm-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 항에 따른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재.
KR20100135355A 2010-12-27 2010-12-27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73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5355A KR20120073554A (ko) 2010-12-27 2010-12-27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5355A KR20120073554A (ko) 2010-12-27 2010-12-27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554A true KR20120073554A (ko) 2012-07-05

Family

ID=4670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35355A KR20120073554A (ko) 2010-12-27 2010-12-27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35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101A1 (ko) * 2021-09-15 2023-03-2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생분해성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포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101A1 (ko) * 2021-09-15 2023-03-2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생분해성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포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2012B2 (ja) 逐次二軸延伸ポリグリコール酸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多層フィルム
US7175917B2 (en) Biaxially oriented polylactic acid-based resin films
US20100330382A1 (en) Biaxially oriented polylactic acid film with improved moisture barrier
KR101506762B1 (ko)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및 필름
JP6032780B2 (ja) 二軸延伸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4243926B2 (ja) 生分解性熱収縮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シュリンク包装体
JP5145695B2 (ja) ポリ乳酸系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219207B2 (ja) 生分解性複合体
JP6588720B2 (ja) 易引裂性二軸延伸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
US20160355649A1 (en) Packaging and Labelling Films
JP4836194B2 (ja) ガスバリア性の改善された透明な生分解性樹脂延伸フィルム及び樹脂製品
US20100151219A1 (en) Simultaneously oriented pla film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KR20120073554A (ko)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007610A (ja) 生分解性多層熱収縮性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3773440B2 (ja) 生分解性樹脂製品
JP4543743B2 (ja) 成形用二軸延伸ポリ乳酸フィルムおよび容器
KR102670616B1 (ko) 다층 배리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료
JP4636173B2 (ja) ポリ乳酸二軸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318440B2 (ja) 生分解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19487A (ja) 積層フィルム
WO2006016569A1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202248312A (zh) 雙軸定向膜、層合物及包含該膜之環保包裝材料
JP5116196B2 (ja) ポリ乳酸系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なる包装袋
JP3703795B2 (ja) 溶断シール性に優れたポリ乳酸系二軸延伸フィルム
KR20230127586A (ko) 다층 배리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