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455A -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 - Google Patents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455A
KR20120070455A KR1020100132016A KR20100132016A KR20120070455A KR 20120070455 A KR20120070455 A KR 20120070455A KR 1020100132016 A KR1020100132016 A KR 1020100132016A KR 20100132016 A KR20100132016 A KR 20100132016A KR 20120070455 A KR20120070455 A KR 20120070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total
turn
over device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5622B1 (ko
Inventor
박상복
변구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2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622B1/ko
Publication of KR20120070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8Grav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04G1/362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specially adapted for tanks, silos or simila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bo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드라이 도크와 총조블록이 전달되는 공급통로의 연결부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에는 크레인의 상?하 작동과 힌지의 회동작동을 통해 회동작동하는 턴 오버 장치가 장착되는 턴 오버 장치 설치단계와, 상기 턴 오버 장치에 두 개 이상의 블록을 조립하여 형성된 총조블록을 이송 및 안착시키는 총조블록 공급단계와, 상기 턴 오버 장치와 총조블록을 크레인과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작동시켜 상기 총조블록을 드라이 도크에 위치시키는 총조블록 회동단계와, 상기 총조블록 회동단계를 거쳐 회전작동된 총조블록을 드라이 도크 내의 선수 또는 선미의 지정된 위치로 이송시키는 총조블록 배출단계와, 상기 총조블록이 배출된 후 상기 크레인과 힌지를 이용하여 턴 오버 장치를 처음 상태로 회전작동시키는 턴 오버 장치 회동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소형 선박의 건조시 총조블록이나 대형크레인의 능력을 초과하는 탑재 단위블록을 대형 크레인 없이 턴 오버 장치와 이송 대차 및 턴 오버 장치를 회전작동시키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운반 및 탑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작업시간과 경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Method for transporting and loading pre-erection block}
본 발명은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화와 기계화를 높이면서 대형 크레인의 사용 없이 총조블록이나 크레인 능력을 초과하는 탑재 단위블록을 운반 및 탑재할 수 있도록 한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하는 방법은 선체를 여러 개의 탑재 단위 블록(block)으로 제작한 후,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혹은 집 크레인(Jib Crane)을 사용하여 드라이 도크(Dry Dock) 내로 옮겨 조립한 다음, 드라이 도크(Dry Dock)에 물을 집어넣어서 종방향으로 진수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 선체블록은 블록을 도크 내로 옮기는 크레인의 능력을 고려하여, 통상 수십 개의 탑재 단위블록으로 쪼개어 제작되며, 이와 같이 쪼개어 제작된 탑재 단위블록은 크레인에 의해 하나하나 도크 내로 이동된 후 조립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탑재 크레인 능력에 준하여 탑재 단위블록이 결정되므로, 크레인 능력이 낮을 경우 탑재 블록수가 증가하므로 도크 내로의 탑재 단위 블록 이동시간, 탑재 단위 블록간의 조립시간에 많은 시간이 소용되고 이로 인해, 도크내 작업기간이 지연되므로, 도크 활용성 즉,드라이 도크(Dry Dock)의 회전율로 인해서 선박수주에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중소형선 수주에 따른 건조시 규모가 큰 캔트리 크레인보다 효과적인 블록의 운반 및 탑재에 따른 자동화와 기계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중소형 선박의 건조시 총조블록이나 크레인 능력을 초과하는 탑재 단위블록을 대형 크레인 없이 턴 오버 장치와 이송 대차 및 턴 오버 장치를 회전작동시키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운반 및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드라이 도크로 전달되는 총조블록을 턴 오버 장치를 이용하여 회전작동시킨 후 전달하여 선박의 건조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드라이 도크와 총조블록이 전달되는 공급통로의 연결부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에는 크레인의 상?하 작동과 힌지의 회동작동을 통해 회동작동하는 턴 오버 장치가 장착되는 턴 오버 장치 설치단계와, 상기 턴 오버 장치에 두 개 이상의 블록을 조립하여 형성된 총조블록을 이송 및 안착시키는 총조블록 공급단계와, 상기 턴 오버 장치와 총조블록을 크레인과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작동시켜 상기 총조블록을 드라이 도크에 위치시키는 총조블록 회동단계와, 상기 총조블록 회동단계를 거쳐 회전작동된 총조블록을 드라이 도크 내의 선수 또는 선미의 지정된 위치로 이송시키는 총조블록 배출단계와, 상기 총조블록이 배출된 후 상기 크레인과 힌지를 이용하여 턴 오버 장치를 처음 상태로 회전작동시키는 턴 오버 장치 회동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소형 선박의 건조시 총조블록이나 대형크레인의 능력을 초과하는 탑재 단위블록을 대형 크레인 없이 턴 오버 장치와 이송 대차 및 턴 오버 장치를 회전작동시키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운반 및 탑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작업시간과 경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라이 도크로 전달되는 총조 블록을 턴 오버 장치를 이용하여 회전작동시킨 후 전달함으로써 선박의 건조 작업과 위치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총조 블록을 탑재 및 운반하는 구성이 간단하여 교체와 수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대형 크레인의 사용에 따른 경비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을 나타낸 순차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을 구성하는 총조블록 공급단계를 나타낸 순차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을 구성하는 총조블록 회동단계를 나타낸 순차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을 구성하는 총조블록 배출단계를 나타낸 순차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을 구성하는 총조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을 구성하는 턴 오버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을 나타낸 순차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을 구성하는 총조블록 공급단계를 나타낸 순차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을 구성하는 총조블록 회동단계를 나타낸 순차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을 구성하는 총조블록 배출단계를 나타낸 순차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을 구성하는 총조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을 구성하는 턴 오버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인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S100)은 턴 오버 장치(30)가 장착되는 턴 오버 장치 설치단계(S200)와, 상기 턴 오버 장치(30)에 총조블록(20)을 이송 및 안착시키는 총조블록 공급단계(S300)와, 상기 턴 오버 장치(30)와 총조블록(20)을 회전작동시키는 총조블록 회동단계(S400)와, 상기 총조블록 회동단계(S400)를 거쳐 회전작동된 총조블록(20)을 이송시키는 총조블록 배출단계(S500)와, 상기 총조블록(20)이 배출된 후 상기 턴 오버 장치(30)를 처음 상태로 회전작동시키는 턴 오버 장치 회동단계(S6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턴 오버 장치 설치단계(S200)는 드라이 도크(11)와 총조블록(20)이 전달되는 공급통로(12)의 연결부에 단턱부(13)를 형성한 후 상기 단턱부(13)에 회전작동이 가능한 턴 오버 장치(30)를 장착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턴 오버 장치(30)는 직각으로 형성되는 회전판(31)과, 상기 회전판(31)에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35) 및 힌지(36)와, 상기 힌지(36)와 결합되고 단턱부(13)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37)으로 구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회전판(31)은 수평면(32)과 수직면(33)이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33)의 끝단에는 크레인(40)의 와이어(41)와 결합되는 연결부(3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면(33)은 회동작동을 통한 직각 설치시 수평면(32)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수평면(32)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32)은 절반 이상이 드라이 도크(11)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35)은 회전판(31)을 구성하는 수평면(32)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이송 대차(60)를 통해 공급되는 총조블록(20)을 수용하면서 안착하게 된다.
상기 수평면(32)의 하부에 장착되는 힌지(36)와 단턱부(13)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37)은 기존의 공지된 힌지와 고정브라켓을 택일하여 형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힌지(36)는 수평면(32)의 하부에 고정장착되면서 고정브라켓(3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턴 오버 장치(30)에 총조블록(20)을 이송 및 안착시키는 총조블록 공급단계(S300)는 두 개 이상의 블록을 조립하여 형성된 총조블록(20)을 턴 오버 장치(30)에 이송 및 안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총조블록(20)을 대신하여 크레인 능력을 초과하는 탑재 단위블록이 이송 및 안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탑재 단위블록은 선행 탑재 단위블록 조립면(Pre-Erection base)을 외판(Side shell) 혹은 격벽(Bulkhead)으로 변환작업한 후 상기 턴 오버 장치에 이송 및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총조블록 공급단계(S300)는 상기 드라이 도크(11)에 위치하는 턴 오버 장치(30)의 하부에 지주식 서포트(50)를 설치하는 지주서포트 설치과정(S310)과, 상기 총조블록(20)을 이송 대차(60)에 안착한 후 상기 턴 오버 장치(30)에 이송시키는 총조블록 이송과정(S320)과, 상기 총조블록(20)을 턴 오버 장치(30)에 안착한 후 이송 대차(60)를 제거하는 총조블록 안착과정(S330)과, 상기 드라이 도크(11)에 위치한 지주식 서포트(50)를 제거하는 지주서포트 제거과정(S34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송 대차(60)의 상부에는 승, 하강 작동하는 승강부(미도시)가 장착되며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총조블록 공급단계(S300)는 턴 오버 장치(30)의 하부에 지주서포트를 설치한 후, 상기 턴 오버 장치(30)의 수평면(32)에 이송 대차(60)를 이용하여 총조블록(20)을 안착한 다음, 상기 이송 대차(60)와 이송 대차(60)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총조블록(20)은 수평으로 안착되는 외면블록(21)들과, 상기 외면블록(21) 사이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구획블록(22)과, 상기 외면블록(21)의 일측 끝단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하부블록(23)으로 구성되되, 상기 총조블록(20)의 구성은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즉, 상기 총조블록(20)은 수평으로 안착되는 외면블록(21)과 외면블록(21) 사이에 구획블록(22)을 수직으로 장착한 후 상기 외면블록(21)의 일측 끝단에 하부블록(23)을 수직으로 장착한 것이다.
상기 턴 오버 장치(30)와 총조블록(20)을 회전작동시키는 총조블록 회동단계(S400)는 턴 오버 장치(30)와 총조블록(20) 또는 턴 오버 장치(30)와 크레인 능력을 초과하는 탑재 단위블록을 크레인(40)과 힌지(36)를 이용하여 회전작동시켜 상기 총조블록(20)이나 탑재 단위블록을 드라이 도크(11)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총조블록 회동단계(S400)는 총조블록(20)이나 탑재 단위블록이 안착된 턴 오버 장치(30)를 지지하는 크레인(40)의 와이어(41)를 하강시키는 와이어 하강과정(S410)과, 상기 와이어(41) 하강시 고정브라켓(37)과 결합된 힌지(36)를 중심으로 상기 총조블록(20) 또는 탑재 단위블록과 함께 턴 오버 장치(30)가 회동하는 턴 오버 장치 회동과정(S420)과, 상기 크레인(40)의 와이어(41)를 계속 하강하여 상기 총조블록(20) 또는 탑재 단위블록과 턴 오버 장치(30)를 직각으로 회전시키는 직각 회전과정(S43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총조블록 회동단계(S400)는 총조블록(20)이나 탑재 단위블록이 안착된 턴 오버 장치(30)를 크레인 와이어(41)의 하강시 힌지(36)와 고정브라켓(37)을 중심으로 회동작동시켜 상기 총조블록(20)이나 탑재 단위블록이 안착된 턴 오버 장치(30)를 하부 방향으로 90°회동 작동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 턴 오버 장치(30)를 지지하는 크레인(40)의 와이어(41)는 턴 오버 장치(30)가 하부 방향으로 90°회동 작동할 때까지 하강한 후 멈추게 된다.
상기 총조블록 회동단계(S400)를 거쳐 회전작동된 총조블록(20)이나 탑재 단위블록을 이송시키는 총조블록 배출단계(S500)는 상기 총조블록 회동단계(S400)를 거쳐 회전작동된 총조블록(20)이나 탑재 단위블록을 드라이 도크(11) 내의 선수 또는 선미의 지정된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총조블록 배출단계(S500)는 상기 총조블록(20)이나 탑재 단위블록이 안착된 턴 오버 장치(30)에 이송 대차(60)를 삽입하는 이송 대차 공급과정(S510)과, 상기 이송 대차(60)의 상부에 총조블록(20)이나 탑재 단위블록을 안착하는 총조블록 안착과정(S520)과, 상기 총조블록(20)이 안착된 이송 대차(60)를 드라이 도크(11) 내의 선미나 선수로 이동시키는 총조블록 이송과정(S5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송 대차(60)의 상부에는 승, 하강 작동하는 승강부(미도시)가 장착되며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총조블록 배출단계(S500)는 총조블록(20)이나 탑재 단위블록이 안착된 턴 오버 장치(30)에 이송 대차(60)를 삽입한 후, 상기 이송 대차(60)의 승강부에 총조블록(20)을 안착한 다음, 선미나 선수의 지정된 위치로 이송 대차(60)를 이용하여 총조블록(20)이나 탑재 단위블록을 이동한 것이다.
상기 총조블록(20)이나 탑재 단위블록이 배출된 후 상기 턴 오버 장치(30)를 처음 상태로 회전작동시키는 턴 오버 장치 회동단계(S600)는 총조블록(20)이나 탑재 단위블록이 배출된 후 상기 크레인(40)과 힌지(36)를 이용하여 턴 오버 장치(30)를 처음 상태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턴 오버 장치 회동단계(S600)는 총조블록(20)이나 탑재 단위블록이 배출된 후 상기 턴 오버 장치(30)와 연결된 크레인 와이어(41)를 상부로 작동시켜 상기 턴 오버 장치(30)가 힌지(36)와 고정브라켓(37)을 중심으로 회동작동하여 처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드라이 도크(11)와 총조블록(20)이 전달되는 공급통로(12)의 연결부에 단턱부(13)가 형성한 후 상기 단턱부(13)에 수평면(32)과 수직면(33)이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33)의 끝단에는 크레인(40)의 와이어(41)와 결합되는 연결부(34)가 형성되는 회전판(31)과, 상기 수평면(32)의 상부에 장착되고 총조블록(20)이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35)과, 상기 수평면(32)의 하부에 장착되는 힌지(36)와, 상기 단턱부(13)에 장착되면서 힌지(36)가 회전작동하게 장착되는 고정브라켓(37)들로 구성되는 턴 오버 장치(3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외면블록(21)들과, 상기 외면블록(21) 사이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구획블록(22)과, 상기 외면블록(21)의 일측 끝단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하부블록(23)이 결합구성되는 총조블록(20)을 건조하고자 하는 선박에 맞춰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턴 오버 장치(30)의 연결부(34)에 크레인(40)의 와이어(41)를 연결하면 작업준비는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총조블록(20)을 선박이 건조되는 드라이 도크(11)로 이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드라이 도크(11)에 위치하는 턴 오버 장치(30)의 수평면(32) 하부에 지주식 서포트(5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턴 오버 장치(30)는 지주식 서포트(50)와 별도로 크레인(40)의 와이어(41)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총조블록(20)이 안착된 이송 대차(60)를 턴 오버 장치(30)에 이송시킨 후, 상기 턴 오버 장치(30)의 베이스 프레임(35)에 총조블록(20)을 안착한 다음, 상기 턴 오버 장치(30)에 위치하는 이송 대차(60)를 또 다른 총조블록(20)이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드라이 도크(11)에 위치한 지주식 서포트(50)를 제거한 후 상기 턴 오버 장치(30)를 지지하는 크레인(40)의 와이어(41)를 하강시켜 총조블록(20)이 안착된 턴 오버 장치(30)를 하부 방향으로 회동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40)의 와이어(41)를 계속 하강시켜 총조블록(20)이 안착된 턴 오버 장치(30)의 수직면(33)이 드라이 도크(11)의 수평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크레인 와이어(41)의 작동은 멈추게 되고 턴 오버 장치(30)는 직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총조블록(20)이 안착된 턴 오버 장치(30)에 이송 대차(60)를 삽입한 후, 상기 이송 대차(60)의 승강부를 상부로 상승시켜 총조블록(20)을 안착한 다음, 총조블록(20)이 안착된 이송 대차(60)를 드라이 도크(11) 내의 선미나 선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총조블록(20)이 배출된 후 상기 턴 오버 장치(30)와 연결된 크레인 와이어(41)를 상부로 작동시켜 상기 턴 오버 장치(30)가 힌지(36)와 고정브라켓(37)을 중심으로 회동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총조블록 공급단계(S300)와, 총조블록 회동단계(S400)와, 총조블록 배출단계(S500)와, 턴 오버 장치 회동단계(S600)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선박을 건조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0 :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
S200 : 턴 오버 장치 설치단계,
S300 : 총조블록 공급단계,
S400 : 총조블록 회동단계,
S500 : 총조블록 배출단계,
S600 : 턴 오버 장치 회동단계.

Claims (7)

  1. 드라이 도크(11)와 총조블록(20)이 전달되는 공급통로(12)의 연결부에 단턱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13)에는 크레인(40)의 상?하 작동과 힌지(36)의 회동작동을 통해 회동작동하는 턴 오버 장치(30)가 장착되는 턴 오버 장치 설치단계(S200)와,
    상기 턴 오버 장치(30)에 두 개 이상의 블록을 조립하여 형성된 총조블록(20)을 이송 및 안착시키는 총조블록 공급단계(S300)와,
    상기 턴 오버 장치(30)와 총조블록(20)을 크레인(40)과 힌지(36)를 이용하여 회전작동시켜 상기 총조블록(20)을 드라이 도크(11)에 위치시키는 총조블록 회동단계(S400)와,
    상기 총조블록 회동단계(S400)를 거쳐 회전작동된 총조블록(20)을 드라이 도크(11) 내의 선수 또는 선미의 지정된 위치로 이송시키는 총조블록 배출단계(S500)와,
    상기 총조블록(20)이 배출된 후 상기 크레인(40)과 힌지(36)를 이용하여 턴 오버 장치(30)를 처음 상태로 회전작동시키는 턴 오버 장치 회동단계(S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총조블록 공급단계(S300)에서 공급되는 총조블록(20)을 대신하여 크레인 능력을 초과하는 탑재 단위블록을 이송 및 안착하되,
    상기 탑재 단위블록은 선행 탑재 단위블록 조립면을 외판 혹은 격벽으로 변환작업한 후 상기 턴 오버 장치(30)에 이송 및 안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총조 블록 공급단계(S300)는,
    상기 드라이 도크(11)에 위치하는 턴 오버 장치(30)의 하부에 지주식 서포트(50)를 설치하는 지주서포트 설치과정(S310)과,
    상기 총조블록(20)을 이송 대차(60)에 안착한 후 상기 턴 오버 장치(30)에 이송시키는 총조블록 이송과정(S320)과,
    상기 총조블록(20)을 턴 오버 장치(30)에 안착한 후 이송 대차(60)를 제거하는 총조블록 안착과정(S330)과,
    상기 드라이 도크(11)에 위치한 지주식 서포트(50)를 제거하는 지주서포트 제거과정(S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총조블록 회동단계(S400)는,
    상기 총조블록(20)이 안착된 턴 오버 장치(30)를 지지하는 크레인(40)의 와이어(41)를 하강시키는 와이어 하강과정(S410)과,
    상기 와이어(41) 하강시 고정브라켓(37)과 결합된 힌지(36)를 중심으로 상기 총조블록(20)과 함께 턴 오버 장치(30)가 회동하는 턴 오버 장치 회동과정(S420)과,
    상기 크레인(40)의 와이어(41)를 계속 하강하여 상기 총조블록(20)과 턴 오버 장치(30)를 직각으로 회전시키는 직각 회전과정(S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총조블록 배출단계(S500)는,
    상기 총조블록(20)이 안착된 턴 오버 장치(30)에 이송 대차(60)를 삽입하는 이송 대차 공급과정(S510)과,
    상기 이송 대차(60)의 상부에 총조블록(20)을 안착하는 총조블록 안착과정(S520)과,
    상기 총조블록(20)이 안착된 이송 대차(60)를 드라이 도크(11) 내의 선미나 선수로 이동시키는 총조블록 이송과정(S5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총조블록(20)은 수평으로 안착되는 외면블록(21)들과, 상기 외면블록(21) 사이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구획블록(22)과, 상기 외면블록(21)의 일측 끝단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하부블록(23)이 결합구성된 후, 상기 턴 오버 장치(30)에 결합된 총조블록(20)의 외면블록(21)이 수평 안착된 다음, 상기 턴 오버 장치(30)가 드라이 도크(11)로 회전작동한 다음 상기 하부블록(23)이 하부 수평면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턴 오버 장치(30)는,
    수평면(32)과 수직면(33)이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33)의 끝단에는 크레인(40)의 와이어(41)와 결합되는 연결부(34)가 형성되는 회전판(31)과,
    상기 수평면(32)의 상부에 장착되고 총조블록(20)이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35)과,
    상기 수평면(32)의 하부에 장착되는 힌지(36)와,
    상기 단턱부(13)에 장착되면서 힌지(36)가 회전작동하게 장착되는 고정브라켓(37)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
KR1020100132016A 2010-12-21 2010-12-21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 KR101465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016A KR101465622B1 (ko) 2010-12-21 2010-12-21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016A KR101465622B1 (ko) 2010-12-21 2010-12-21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455A true KR20120070455A (ko) 2012-06-29
KR101465622B1 KR101465622B1 (ko) 2014-11-27

Family

ID=4668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016A KR101465622B1 (ko) 2010-12-21 2010-12-21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3226A (zh) * 2013-03-15 2018-10-16 韩国联合制药株式会社 提供药理及临床效应的莫沙必利每日单次施用缓释制剂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367B1 (ko) * 2005-12-29 2007-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골리앗 크레인을 이용한 블록 탑재구조체
KR100949894B1 (ko) * 2008-02-28 2010-03-2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를 이용한 턴-오버 방법
KR100996746B1 (ko) * 2008-03-04 2010-11-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육상건조 선박의 힌지타입 진수방법 및 그 장치
KR100997381B1 (ko) * 2008-12-02 2010-11-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블록 턴오버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3226A (zh) * 2013-03-15 2018-10-16 韩国联合制药株式会社 提供药理及临床效应的莫沙必利每日单次施用缓释制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622B1 (ko) 2014-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74755A1 (zh) 一种过驳作业桥式装卸船机
CN104379490B (zh) 包括起重机和位于起重机的主体中且用于保持和堆叠舱口盖的底座的在港口操作中装载和卸载的系统
GB2095787A (en) Pipe laying vessel
JP2018508399A (ja) 船に積載された風力タービンブレードの荷扱い
CN203602680U (zh) 井式退火炉盘条退火用料架
KR20120070455A (ko)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
CN105121314A (zh) 货物运输工具装载组件
JP5173892B2 (ja) 船舶
WO2014207863A1 (ja) 船舶、船舶の積み荷役方法、及び船舶の揚げ荷役方法
KR101258925B1 (ko) 덕트킬을 이용한 화물하역장치를 갖는 선박
EP2586735B1 (en) Ship to shore crane with dual trolleys
EP1995169A2 (fr) Installation pour mettre à l'eau un bateau ou pour le sortir de l'eau
JP6026168B2 (ja) 船舶
CN108327857A (zh) 一种多功能的海洋工程装备
KR20130074134A (ko) 선박 건조를 위한 블록 운반 방법
CN104555495B (zh) 船载式螺旋卸船装船机械过驳系统
CN210027814U (zh) 一种带铰接底座的滑道与码头连接结构
JP4997644B2 (ja) 全方位積込・荷降ろし可能システム
CN112623122B (zh) 一种运输船货物转运装置
WO2021135903A1 (zh) 大型海上结构物一体化拆装系统及拆装方法
CN104229096B (zh) 过驳装卸运输船的防倾覆机构及具有该机构的运输船
JP5824724B2 (ja) ばら積み貨物船及びばら積み貨物船の荷役方法
CN110282094B (zh) 一种船艇起吊装置
JPH026057Y2 (ko)
CN103459724B (zh) 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