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894B1 -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를 이용한 턴-오버 방법 - Google Patents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를 이용한 턴-오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894B1
KR100949894B1 KR1020080018604A KR20080018604A KR100949894B1 KR 100949894 B1 KR100949894 B1 KR 100949894B1 KR 1020080018604 A KR1020080018604 A KR 1020080018604A KR 20080018604 A KR20080018604 A KR 20080018604A KR 100949894 B1 KR100949894 B1 KR 100949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block
turn
block
over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3209A (ko
Inventor
이창용
이종섭
박성민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8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8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3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4Slings with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30Chains
    • B65H2404/31Chains with auxiliary handling means
    • B65H2404/311Blades, lugs, plates, paddles, fing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01Wires or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러그 및 러그 제거용 발판작업대를 별도로 사용하지 아니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호퍼블록을 턴-오버시킬 수 있는 치구 및 이를 이용한 호퍼블록의 턴-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퍼블록의 턴-오버 작업 시 러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러그의 설치 및 제거에 소요되는 인건비나 재료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호퍼블록의 상부끝단의 경우에는 종래에 사용하던 러그 제거용 발판작업대를 별도로 설치해야 할 필요도 없으므로 추가적인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을 수 있고, 나아가 작업자로서도 고소작업으로 인하여 부상을 당할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호퍼블록, 러그, 턴-오버

Description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를 이용한 턴-오버 방법{TURN-OVER DEVICE AND METHOD FOR HOPPER BLOCK}
본 발명은 조선업 중 선체의 조립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의 호퍼블록(HOPPER BLOCK)의 턴-오버(TURN-OVER) 기술에 관한 것이다.
선체를 건조함에는 다수의 강판이나 형강 등의 소재를 가공하여 먼저 개개의 부품을 제작하고, 그 일부를 조립정반(組立定盤) 위에서 소조립, 중조립을 통하여 부품의 대형화를 행한다. 이어서 라인화된 조립정반에 이들 부품을 배열, 조합하여 블록(BLOCK)을 제작한다. 제작된 블록은 도장공사(塗裝工事)를 행하여 최종공정인 독(DOCK)장 주위에서 총조립, 즉 블록과 블록의 결합작업 후 대형블록을 탑재하여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선체가 완성된다.
한편, 블록건조 방식의 목적은 독에서의 공사량을 극력 감소시키기 위하여 지상의 조립정반 위에서 선체를 분할하여 제작하려고 하는 것으로, ① 독에서의 작업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② 공정과 공작기술의 관리 감독이 용이하며, ③ 적절한 작업원의 배치를 행하기 쉬우며, ④ 작업환경을 양호하게 하고 기계화, 자동화가 용이하므로 능률이 향상되며, ⑤ 고소작업(高所作業)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 으며, ⑥ 현장용접이 적어지므로 용접변형과 잔류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⑦ 블록도장을 실시하므로 독에서의 도장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블록은 그 크기와 구조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분류되지만 대별하여 평블록과 곡블록으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 블록이라고 하면 플레이트(plate), 거더(girder), 스티프너(stiffener) 등에 의하여 평면적으로 구성된다고 개괄적으로 생각하더라도 무방한 경우가 많다. 어셈블리(대조립) 공정은 정반(定盤) 위에 플레이트를 배열하여 그 위에 거더, 스티프너를 배열하여 부착용접을 행하여 1개의 블록을 완성하는 것으로서 보통 부재의 배열로부터 부착, 용접, 완료 후 각종 시험완료까지를 대조립 공정이라 하고 있다. 근년에는 의장품 부착이나 각종 시험의 공사도 선행화(先行化)하여 조립정반 위에서 행하여지고 있다.
블록의 중량은 설비의 증강 및 생산기술의 향상과 더불어 대형화하여 가고 있으며, 대형 탱크선에서는 200~300톤이 보통으로 되어 있다. 또 설비의 규모에 따라 400~500톤을 초과하는 것도 있고, 더욱이 독장 옆에서 총조립(P.E) 공정을 거쳐 초대형 블록(800톤)을 건조하는 방식도 보편화되어 있다.
건조대상 선박은 설계단계에서 보유하고 있는 시설 및 장비의 능력과 작업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형태의 블록으로 분할되며, 이러한 블록들은 부재의 가공 및 조립공정을 통해 완성되어 독으로 이동된다. 탑재공정은 이와 같이 조립공정을 거쳐 완성된 블록들을 독에서 하나하나 일정한 순서에 의해 쌓아가면서 선박의 형체를 만들어 나가는 과정을 말한다. 크레인 용량의 증가에 따라 분할된 블록이 대형화되어가고 탑재공사와 더불어 의장(艤裝)공사를 진행하거나 또는 그 일부 를 선각공사(船殼工事)의 일환으로서 시공하는 소위 선행의장(先行艤裝)이 점차 증가되어 가고 있다.
한편, 개별적으로 제작된 블록이 탑재공정으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제작된 블록을 이송하거나 턴-오버(TURN-OVER)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블록의 턴-오버 공정은 블록의 SHELL 외면 또는 FRAME에 두 개 이상의 러그(LUG)를 부착하고, 각각의 러그에 와이어를 연결한 후, 이 와이어를 두 개 이상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각각 위로 잡아당기거나 아래로 내리면서 블록을 반전(反轉)시키는 과정을 거치면서 수행하게 된다(도 2 참조).
근래 조선업계에서는 블록의 대형화에 의하여 블록 중량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블록의 반출, 턴-오버 및 탑재에 필요한 러그의 위치를 선정하여 부착함에 있어서는 특히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런데, 이들 러그는 최종적으로는 떼어내는 것이고 부착, 떼어내기에는 상당한 공수(工數, MAN-HOUR)와 재료(材料)가 소요되므로, 이러한 러그의 부착, 떼어내기는 그 자체가 비용 증가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용접에 의하여 블록에 부착되어 있는 러그를 떼어내기 위해서는 다시 블록에 열을 가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블록의 열변형이 일어나 전체적인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특히, 호퍼블록(HOPPER BLOCK)의 경우에는 호퍼블록을 턴-오버시킨 이후 러그를 제거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블록이 갖는 형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턴-오버된 호퍼블록에 부착된 러그는 최대 지상에서 위로 약 4미터 내지 5미터 가량 떨어진 높은 곳에 위치(도 2의 “A”에 해당. 이하 이 부분의 위치를 본 발명에서는 ‘호퍼블록의 상부끝단’이라고 함)하게 되므로, 이 러그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호퍼블록의 SHELL 외면에 러그 제거용 발판작업대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기에 추가적인 비용 손실이 발생할 뿐더러(일반적으로 “A”에 위치하는 러그는 호퍼블록의 SHELL 외면에 용접에 의하여 부착된다) 작업자로서도 고소작업으로 인하여 부상을 당할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러그 및 러그 제거용 발판작업대를 별도로 사용하지 아니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호퍼블록을 턴-오버시킬 수 있는 치구 및 이를 이용한 호퍼블록의 턴-오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의 세로 방향 단면이 역디귿자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보아 가로 방향으로 길게 뻗은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는 구조물로서, 이러한 직육면체 형태의 구조물의 몸체 가운데에는 호퍼블록의 SHELL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길게 뻗은 SHELL 삽입홈(102)과 호퍼블록의 FRAME에 끼워질 수 있도록 세로 방향으로 길게 뻗은 FRAME 삽입홈(103)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면서 형성되어 있어서, 호퍼블록의 턴-오버 시 호퍼블록의 SHELL 및 FRAME에 끼워진 상태에서 크레인의 와이어 및 와이어와 결합한 SHACKLE로부터 호퍼블록에 가해지는 집중하중을 수용하여 이를 분포하중으로 바꾸어 줌으로써 호퍼블록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몸체부(101); 상기 몸체부(101)의 좌 측 상면 및 우측 상면 각각을 관통하여 체결되며, 상기 몸체부(101)가 호퍼블록에 끼워진 상태에서 호퍼블록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몸체부(101)와 호퍼블록을 서로 결속하는 고정볼트(104); 및 상기 몸체부(101)의 상면 가운데에서 고리 형상으로 돌출하여 나와 있어서, 작업자가 상기 몸체부(101)를 쉽게 소지하거나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05)를 포함하는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100)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퍼블록의 상부끝단에 위치한 FRAME에 LIFTING HOLE을 형성하는 단계(S201); 호퍼블록의 SHELL 및 FRAME에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100)를 끼우는 단계(S202); 고정볼트(104)를 죄어서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100)와 호퍼블록을 서로 결속하는 단계(S203); 상기 S201 단계에서 형성된 LIFTING HOLE에 SHACKLE(C)을 채우는 단계(S204); 상기 S204 단계에서 채워진 SHACKLE(C)에 크레인의 와이어가 연결된 SHACKLE(D)을 채우는 단계(S205); 크레인이 와이어를 LIFTING하여 호퍼블록을 턴-오버하는 단계(S206); 고정볼트(104)를 풀어서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100)를 호퍼블록으로부터 빼내는 단계(S207); 및 SHACKLE(D) 및 SHACKLE(C)를 해체하는 단계(S208)를 포함하는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100)를 이용한 턴-오버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퍼블록의 턴-오버 작업 시 러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러그의 설치 및 제거에 소요되는 인건비나 재료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 다. 특히 호퍼블록의 상부끝단의 경우에는 종래에 사용하던 러그 제거용 발판작업대를 별도로 설치해야 할 필요도 없으므로 추가적인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을 수 있고, 나아가 작업자로서도 고소작업으로 인하여 부상을 당할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퍼블록 턴-오버 치구(100)를 도시하고 있다.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100)는 몸체부(101), 고정볼트(104) 및 손잡이(105)를 포함하 여 이루어진다.
몸체부(101)는 몸체의 세로 방향 단면이 역디귿자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보아 가로 방향으로 길게 뻗은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는 구조물이다.
몸체부(101)의 가운데 부분에는 호퍼블록의 SHELL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길게 뻗은 SHELL 삽입홈(102)과 호퍼블록의 FRAME에 끼워질 수 있도록 세로 방향으로 길게 뻗은 FRAME 삽입홈(103)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면서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SHELL 삽입홈(102)과 FRAME 삽입홈(103)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면서 형성된 이유는 작업자가 호퍼블록의 턴-오버 작업시 호퍼블록 턴-오버 치구(100)를 호퍼블록의 SHELL에 견고하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호퍼블록은 SHELL(선체외판)에 다수의 FRAME(보강재)들이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므로, 호퍼블록 턴-오버 치구(100)를 호퍼블록의 SHELL에 견고하게 끼워 넣기 위해서는 호퍼블록의 SHELL 및 FRAME 간의 수직 결합구조를 그대로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필요한 것이다. 도 5를 통하여 호퍼블록 턴-오버 치구(100)가 호퍼블록에 견고하게 끼워진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이때, SHELL 삽입홈(102) 및 FRAME 삽입홈(103)의 폭은 최소한 호퍼블록의 SHELL 및 FRAME의 두께보다는 커야 한다. 만약, SHELL 삽입홈(102) 및 FRAME 삽입홈(103)의 폭이 호퍼블록의 SHELL 및 FRAME의 두께 중 어느 하나보다 작다면 호퍼블록 턴-오버 치구(100)는 호퍼블록에 제대로 끼워질 수가 없게 된다.
반대로, SHELL 삽입홈(102) 및 FRAME 삽입홈(103)의 폭이 호퍼블록의 SHELL 및 FRAME의 두께보다 크다면, 호퍼블록 턴-오버 치구(100)는 호퍼블록에 쉽게 끼워질 수는 있으나 다시 호퍼블록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여 빠져나올 우려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몸체부(101)에 고정볼트(104)를 도입하고 있다. 고정볼트(104)는 몸체부(101)의 좌측 상면 및 우측 상면 각각을 관통하여 체결되며, 몸체부(101)가 호퍼블록에 끼워진 상태에서 호퍼블록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몸체부(101)와 호퍼블록을 서로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부(101)는 호퍼블록의 턴-오버 시 호퍼블록의 SHELL 및 FRAME(특히, 호퍼블록의 상부끝단. 도 3의 “B” 부분에 해당)에 끼워진 상태에서 크레인의 와이어 및 와이어와 결합한 SHACKLE(D)로부터 호퍼블록에 가해지는 집중하중을 수용하여 이를 분포하중으로 바꾸어 줌으로써 호퍼블록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도 4 참조). 이 경우, 고정볼트(104)는 몸체부(101)가 크레인의 와이어 및 와이어와 결합한 SHACKLE(D)로부터 가해지는 집중하중에 의하여 흔들리거나 호퍼블록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써 턴-오버 이후에도 호퍼블록의 품질은 떨어지지 아니하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손잡이(105)는 몸체부(101)의 상면 가운데에서 고리 형상으로 돌출하여 나와 있어서, 작업자가 몸체부(101)를 포함한 호퍼블록 턴-오버 치구(100)를 쉽게 소지하거나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도 1 참조).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호퍼블록 턴-오버 치구(100)는 종래의 경우처럼 러그를 사용하여 호퍼블록을 턴-오버시키는 방식이 아닌, LIFTING HOLE을 사용하여 호 퍼블록을 턴-오버시키는 방식에서 그 기술적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궁극적인 목적은 러그를 사용하여 호퍼블록을 턴-오버시키는 경우에 발생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예 러그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호퍼블록을 턴-오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처럼 러그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호퍼블록을 턴-오버시키기 위해서는 크레인으로 호퍼블록을 LIFTING하기 위한 LIFTING HOLE을 도입할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에는 LIFTING HOLE에 채워진 SHACKLE 및 크레인의 와이어가 호퍼블록의 LIFTING 과정에서 호퍼블록에 가하게 되는 집중하중에 의하여 호퍼블록이 손상되는 경우를 염려하지 않을 수 없는바(도 4 참조),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본 발명은 호퍼블록 턴-오버 치구(100)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호퍼블록 턴-오버 치구(100)를 이용하여 호퍼블록을 턴-오버하는 방법(과정)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201 : 호퍼블록의 상부끝단에 위치한 FRAME(도 3의 “B”)에 LIFTING HOLE을 형성한다(도 4 또는 도 5 참조). 이러한 LIFTING HOLE은 블록 조립단계 이전에 미리 FRAME에 형성시켜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S202 : 호퍼블록의 SHELL 및 FRAME에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100)를 끼운다(도 4 또는 도 5 참조).
S203 : 고정볼트(104)를 죄어서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100)와 호퍼블록을 서로 결속한다(도 4 또는 도 5 참조).
S204 : 제 S201 단계에서 형성된 LIFTING HOLE에 SHACKLE(C)을 채운다(도 5 참조).
S205 : 제 S204 단계에서 채워진 SHACKLE(C)에 크레인의 와이어가 연결된 SHACKLE(D)을 채운다(도 4 참조).
S206 : 크레인이 와이어를 LIFTING하여 호퍼블록을 턴-오버시킨다(도 3 및 도 4 참조).
S207 : 고정볼트(104)를 풀어서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100)를 호퍼블록으로부터 빼낸다.
S208 : SHACKLE(D) 및 SHACKLE(C)를 해체한다.
이러한 과정에 따르면, 호퍼블록의 턴-오버 작업 시 러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러그의 설치 및 제거에 소요되는 인건비나 재료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호퍼블록의 상부끝단의 경우에는 종래에 사용하던 러그 제거용 발판작업대를 별도로 설치해야 할 필요도 없으므로 추가적인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을 수 있고, 나아가 작업자로서도 고소작업으로 인하여 부상을 당할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퍼블록 턴-오버 치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종래에 러그(LUG)를 사용하여 호퍼블록을 턴-오버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퍼블록 턴-오버 치구를 사용하여 호퍼블록을 턴-오버시키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퍼블록 턴-오버 치구가 호퍼블록에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의 “B” 부분의 상세도에 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퍼블록 턴-오버 치구가 호퍼블록에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
101 : 몸체부
102 : SHELL 삽입홈
103 : FRAME 삽입홈
104 : 고정볼트
105 : 손잡이

Claims (2)

  1. 삭제
  2. 몸체의 세로 방향 단면이 역디귿자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보아 가로 방향으로 길게 뻗은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는 구조물로서, 이러한 직육면체 형태의 구조물의 몸체 가운데에는 호퍼블록의 SHELL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길게 뻗은 SHELL 삽입홈(102)과 호퍼블록의 FRAME에 끼워질 수 있도록 세로 방향으로 길게 뻗은 FRAME 삽입홈(103)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면서 형성되어 있어서, 호퍼블록의 턴-오버 시 호퍼블록의 SHELL 및 FRAME에 끼워진 상태에서 크레인의 와이어 및 와이어와 결합한 SHACKLE로부터 호퍼블록에 가해지는 집중하중을 수용하여 이를 분포하중으로 바꾸어 줌으로써 호퍼블록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몸체부(101);
    상기 몸체부(101)의 좌측 상면 및 우측 상면 각각을 관통하여 체결되며, 상기 몸체부(101)가 호퍼블록에 끼워진 상태에서 호퍼블록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몸체부(101)와 호퍼블록을 서로 결속하는 고정볼트(104); 및
    상기 몸체부(101)의 상면 가운데에서 고리 형상으로 돌출하여 나와 있어서, 작업자가 상기 몸체부(101)를 쉽게 소지하거나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05)
    를 포함하는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100)를 이용한 턴-오버 방법으로서,
    호퍼블록의 상부끝단에 위치한 FRAME에 LIFTING HOLE을 형성하는 단계(S201);
    호퍼블록의 SHELL 및 FRAME에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100)를 끼우는 단계(S202);
    고정볼트(104)를 죄어서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100)와 호퍼블록을 서로 결속하는 단계(S203);
    상기 S201 단계에서 형성된 LIFTING HOLE에 SHACKLE(C)을 채우는 단계(S204);
    상기 S204 단계에서 채워진 SHACKLE(C)에 크레인의 와이어가 연결된 SHACKLE(D)을 채우는 단계(S205);
    크레인이 와이어를 LIFTING하여 호퍼블록을 턴-오버시키는 단계(S206);
    고정볼트(104)를 풀어서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100)를 호퍼블록으로부터 빼내는 단계(S207); 및
    SHACKLE(D) 및 SHACKLE(C)를 해체하는 단계(S208)
    를 포함하는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100)를 이용한 턴-오버 방법.
KR1020080018604A 2008-02-28 2008-02-28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를 이용한 턴-오버 방법 KR100949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604A KR100949894B1 (ko) 2008-02-28 2008-02-28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를 이용한 턴-오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604A KR100949894B1 (ko) 2008-02-28 2008-02-28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를 이용한 턴-오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209A KR20090093209A (ko) 2009-09-02
KR100949894B1 true KR100949894B1 (ko) 2010-03-25

Family

ID=4130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604A KR100949894B1 (ko) 2008-02-28 2008-02-28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를 이용한 턴-오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8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136Y1 (ko) 2013-11-07 2015-09-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블록 조립용 턴오버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933B1 (ko) * 2009-06-12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러더 혼 블록 이동용 러그
KR101465622B1 (ko) * 2010-12-21 2014-11-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총조블록 운반 및 탑재공법
CN112479006A (zh) * 2020-12-03 2021-03-12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分段翻身企口保护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6867A (ja) * 1982-12-29 1984-07-21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パネルの吊上げ金具
JPH058985A (ja) * 1991-06-28 1993-01-19 Manpei Sangyo Kk 形鋼吊上げ用クラン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6867A (ja) * 1982-12-29 1984-07-21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パネルの吊上げ金具
JPH058985A (ja) * 1991-06-28 1993-01-19 Manpei Sangyo Kk 形鋼吊上げ用クラン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136Y1 (ko) 2013-11-07 2015-09-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블록 조립용 턴오버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209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894B1 (ko) 호퍼블록의 턴-오버 치구를 이용한 턴-오버 방법
US20130326967A1 (en) Large concrete block for crane lifting,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CN110758674B (zh) 一种船舶锚绞机总段阶段的安装方法
KR101091279B1 (ko) 클램프 타입의 프로텍션 바
CN204715227U (zh) 箱梁加固结构
CN103072906B (zh) 内爬式塔吊与建筑结构的连接装置及利用其的施工方法
JP2018119393A (ja) アンカーの再緊張方法、アンカー頭部構造、及び孔内アンカーヘッド
JP2015229850A (ja) 作業用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CN106567548A (zh) 方形原煤斗分段安装工法
CN202643084U (zh) 拆除、安装钢梁的小型吊具
CN210117943U (zh) 一种主动卸载预应力钢管柱
CN201908429U (zh) 装配整体式建筑悬挑卸料平台
KR20100091443A (ko) 중장비용 제관형 카운터웨이트의 체결구조
KR20130036578A (ko) 트러스 구조가 적용된 선박의 외부 계류 터렛 시스템용 캔틸레버
CN202788024U (zh) 一种高刚度混凝土梁结构
JP2010132415A (ja) クレーン補修方法および補修クレーン
KR101057637B1 (ko) 가설 브레이싱
JP6534938B2 (ja) ライニングプレート据付兼雨養生治具及びこの治具を用いたライニングプレート据付方法
KR102411465B1 (ko) 선박의 체인컴프레서 시공방법
JP4700980B2 (ja) ギャングウエイタワーのリプレース方法
KR102175920B1 (ko) 교량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7558733B (zh) 伸缩后浇带下模架体系与周边支模架同步拆除的施工方法
CN106013620A (zh) 主筋与箍筋的连接结构
KR101279591B1 (ko)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465790Y1 (ko) 자성을 이용한 루스 피스 고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