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591B1 -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591B1
KR101279591B1 KR1020100124135A KR20100124135A KR101279591B1 KR 101279591 B1 KR101279591 B1 KR 101279591B1 KR 1020100124135 A KR1020100124135 A KR 1020100124135A KR 20100124135 A KR20100124135 A KR 20100124135A KR 101279591 B1 KR101279591 B1 KR 101279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ipe pile
coupled
reinforcing member
suppor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3099A (ko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박상현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현,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filed Critical 박상현
Priority to KR1020100124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591B1/ko
Publication of KR20120063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Abstract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설교량의 상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에 있어서, 길이방향이 지지층과 평행하게 가설교량의 상부 구조물 하부에 구비되는 주형보; 주형부의 하부에 수직으로 조립 설치되는 강관파일; 강관파일의 상단 머리부 외면에 설치되는 외부 보강부재; 및 강관파일 끝단에 결합된 이음부재를 이음부재 연결수단과 결합하여 강관파일을 연결하는 제2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 그리고, 강관 파일의 상단 머리부 외면에 외부 보강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주형보 하단에 제1연결부재를 결합시키고, 강관파일의 상부 끝단과 외부 보강부재 상부 끝단에 제 2 연결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제1체결수단으로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를 체결하여 주형보와 강관파일을 조립하는 단계; 및 제2체결수단에 의해 강관파일을 서로 체결하여 강관파일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시공방법{Assembly Structure included SteelPipe Pile having Reinforce Member of Outsi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tructure}
본 발명은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시공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설교량의 상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포함하여 지지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휨응력에 대한 내구성을 보강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가설교량이나 지지 구조물은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벤트 부재로서, H-파일 즉, H350×350이나 H300×300 등을 사용하여 왔다. 도 1a는 종래 H-파일을 구비한 지지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b는 종래 H-파일을 구비한 지지 구조물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지지 구조물(1)은 가설교량의 상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주형보(20)와 주형보(20) 하단에 구비되는 종빔(3) 및 2개의 H-파일(2)이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종빔(3)은 주형보(20)와 평행하게 H-파일(2) 사이에 설치되고, 종빔(3) 양쪽 각각에 H-파일(2)이 설치된다. 종빔(3)은 연결볼트(4)에 의해 주형보(20) 하단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H-파일(2) 상단과 주형보(20) 하단 사이에 연결판(5)을 용접하여 H-파일(2)과 주형보(20)를 결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레멘 구조로 시공된 지지 구조물(1)은 가설교량 상부의 하중이 H-파일(2)의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 벤트 부재로서 사용된 H-파일(2)은 선단 단면적이 작아 지지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보다 많은 H-파일(2)을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벤트 부재의 강재량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H-파일(2)은 용접에 의해 주형보(20)에 결합되기 때문에, 시공 후 분리할 수 없고, 일부 H-파일(2)에 파손, 훼손이 있는 경우, 지지 구조물 전체를 철거해야하고, 지지구조물의 사용 후 재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종래 지지력을 확보하기 힘든 H-파일(2)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H-파일(2) 대신 벤트 부재로서 강관 파일을 적용하여 지지력을 보완한 지지 구조물이 존재하나, 이러한 지지 구조물은 H-파일을 사용한 경우보다 더 큰 지지력을 확보할 수는 있으나, 상단 머리부에 인가되는 휨 모멘트(bending moment)에 대해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하면서도, 휨 응력에 대한 내구성을 보강하고, 조립형으로 구비되어 부품을 재사용할 수 있는 지지 구조물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지구조물의 벤트 부재로서 H-파일이 아닌 강관파일을 사용하므로 지지력이 크게 확보된 조립형 지지 구조물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강관파일의 상단 머리부에 인가되는 휨응력을 보강하기 위해 4개의 ㄱ 자형 보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휨응력에 대한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조립형 지지 구조물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보다 큰 하중에 견딜 수 있어, 대규모 가설교량을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전체적으로 지지구조물에 사용되는 강재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조립형 지지 구조물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시공 후 해체가 용이할 뿐 아니라, 시공 후 다시 재사용이 가능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설교량의 상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에 있어서, 길이방향이 지지층과 평행하게 가설교량의 상부 구조물 하부에 구비되는 주형보; 주형부의 하부에 수직으로 조립 설치되는 강관파일; 및 강관파일의 상단 머리부 외면에 설치되는 외부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강관파일은 복수로 구비되고, 강관파일은 강관파일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끝단에 결합된 복수의 이음부재와 이음부재를 연결하는 이음부재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외부 보강부재는, 4개의 ㄱ자형 보강부재로 구성되어 각각이 상단 머리부 외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주형보 하단에 결합설치되는 제1연결부재; 강관파일 상부 끝단과 외부 보강부재 상부 끝단에 결합설치되는 제2연결부재; 및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를 체결하는 제 1체결수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각각의 이음부재와 이음부재 연결수단를 결합하여 강관파일을 체결하는 제2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1체결수단 및 제2체결수단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강관 파일의 상단 머리부 외면에 외부 보강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주형보 하단에 제1연결부재를 결합시키고, 강관파일의 상부 끝단과 외부 보강부재 상부 끝단에 제 2 연결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제1체결수단으로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를 체결하여 주형보와 강관파일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강관파일 조립 단계는, 제2체결수단에 의해 강관파일에 결합된 이음부재와 이음부재 연결부재를 서로 체결하여 강관파일을 조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외부 보강부재 결합단계는, 4개의 ㄱ 자형 보강부재를 상단 머리부에 둘러싸고, ㄱ 자형 보강부재와 상단 머리부 외면에 접하는 부분을 용접하여 강관파일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를 주형보 하단에 용접하여 결합시키고, 제2연결부재를 강관파일의 상부 끝단과 외부 보강부재 상부 끝단에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지지구조물의 벤트 부재로서 H-파일이 아닌 강관파일을 사용하므로 지지력이 크게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강관파일의 상단 머리부에 인가되는 휨응력을 보강하기 위해 4개의 ㄱ 자형 보강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휨응력에 대한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보다 큰 하중에 견딜 수 있어, 대규모 가설교량을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전체적으로 지지구조물에 사용되는 강재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는 조립식으로 구비되어, 시공 후 해체가 용이할 뿐 아니라, 시공 후 다시 재사용이 가능하고, 구조물의 교체, 보수, 보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a은 종래 H-파일을 구비한 지지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1b는 종래 H-파일을 구비한 지지 구조물의 결합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 파일의 평면도,
도 4는 도 2b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의 부분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부 부분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 시공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1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10)의 결합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지지 구조물(10)은 주형보(20), 이음부(31)를 갖는 강관파일(30), 4개의 ㄱ자형 보강부재(40), 제1연결부재(51), 제2연결부재(52), 제1체결수단(61) 및 제2체결수단(62)을 포함한다.
주형보(2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H 빔 형상의 보로 길이방향이 지지층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가설교량을 지지한다. 그리고, 주형보(20) 하단에는 제1연결부재(51)가 결합된다. 제1연결부재(51)는 용접에 의해 주형보(20) 하단 일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강관파일(30)은 이음부재(31)와 이음부재 연결수단(32) 및 제2체결수단(62)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여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강관파일(30)과 또 다른 강관파일(30)의 체결력과 강관파일(30) 하단의 굽힘응력(bending stress)을 보강하기 위해 이음부재(31)와 이음부 연결수단(32)을 결합시키게 되며, 이음부재(31) 및 이음부재 연결수단(32) 각각에는 후에 설명할 제2체결수단(62)이 끼워질 수 있는 복수의 천공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재(31)와 이음부재 연결수단(32)으로 연결된 강관파일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주형보(20) 하부에 설치되는 강관파일(30)의 상단 머리부 외면에는 외부 보강부재(70)가 결합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보강부재는 4개의 ㄱ 자형 보강부재(40)로 구성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 자형 보강부재(40)는 강관파일(30)의 상단 머리부 외면에 설치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 자형 보강부재(40) 각각이 상단 머리부 외면에 결합되면 상단 머리부를 완전히 감싸게 된다.
도 4는 도 2b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 자형 보강부재(40) 각각은 강관파일(30) 외면에 선접촉하게 된다. 즉, ㄱ 자형 보강부재(40) 끝단 각각이 강관파일(30) 외면에 접촉하게 되고, 이러한 접촉부위를 용접부위(a)로 하여 ㄱ 자형 보강부재(40)를 강관파일(30)의 상단 머리부 외면에 용접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강관파일(30)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강관파일(30)의 상단 머리부에 ㄱ자형 보강부재(40)를 결합시킴으로써 상단 머리부에 인가되는 굽힘 응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조립형 지지구조물(10)을 제공하게 된다. 강관파일(30)의 상단 머리부에 외부 보강부재를 결합시키는 구조로 상단 머리부에 발생되는 굽힘모멘트에 의한 굽힘응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재(52)는 강관파일(30) 상부 끝단과 ㄱ 자형 보강부재(40) 상부 끝단 각각에 용접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제1연결부재(51)과 제2연결부재(52)는 제1체결수단(61)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천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1연결부재(51)와 제2연결부재(52)는 제1체결수단(61)에 의해 체결된다. 따라서, 제1체결수단(61)으로 주형보(20)와 강관파일(30)이 조립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30)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10)의 부분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1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51)는 용접에 의해 주형보(20) 하단에 결합된다. 또한, 강관파일(30)의 상단 머리부 외면에는 ㄱ 자형 보강부재(40)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52)는 강관파일(30) 상부 끝단과 ㄱ 자형 보강부재(40) 상부 끝단 각각에 용접되어 결합된다. 또한, 제1연결부재(51)와 제2연결부재(52)에 형성된 천공에 제1체결수단(61)을 삽입하여 제1연결부재(51)와 제2연결부재(52)를 결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체결수단(61)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나, 체결이 가능한 구성이라면 그 형태와 종류를 불문하고,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체결수단(61)에 의해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30)과 주형보(20)를 조립하게 되므로, 언제든지 보강, 보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제1체결수단(61)을 해제하여 주형보(20)와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30)을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강관파일(3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강관파일(30) 끝단끼리 이음부재(31)와 이음부재 연결수단(32)을 이용하여 서로 체결하여 강관파일(30) 들을 조립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파일(30)과 또 다른 강관파일(30)을 이음부재(31) 및 이음부재 연결수단(32)을 이용하여 연결한 연결부 부분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강관파일(30)은 끝단 일측에 복수의 이음부재(31)가 결합되고, 이음부재(31)에는 제2체결수단(62)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천공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음부재 연결수단(32)에도 복수의 천공이 형성되어 연결수단(32)을 제2체결수단(62)에 의해 이음부재(31)에 결합시켜 강관파일(30)과 강관파일(30)을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파일(30)에 결합된 이음부재(31)와 또 다른 강관파일(30)에 결합된 이음부재(31)에 형성된 천공과 이음부재 연결수단(32)에 형성된 천공에 제2체결수단(62)을 삽입설치하여 강관파일(30)들을 연결,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체결수단(62)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나, 체결이 가능한 구성이라면 그 형태와 종류를 불문하고,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2체결수단(62)에 의해 강관파일(30)들을 조립하게 되므로, 언제든지 시공 후, 다시 재사용할 수 있고, 강관파일(30)의 보강, 보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제2체결수단(62)을 해제하여 강관파일(30)을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외부 보강부재는 4개의 ㄱ 자형 보강부재(40)를 제시하였으나, 2개의 ㄷ 자형 보강부재 또는 1개의 ㄷ 자형 보강부재와 2개의 ㄱ 자형 보강부재 등으로 구비되어 박스 형상으로 강관 파일(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기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치환, 변경할 수 있는 범위라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10)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10) 시공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복수의 강관파일(30)을 준비하고, 복수의 강관파일(30) 중 최상단에 위치하게 될 강관파일(30)의 상단 머리부 외면에 외부 보강부재를 결합시키게 된다(S10). 즉, 4개의 ㄱ 자형 보강부재(40)를 상단 머리부 외면에 박스 형태로 둘러싸고, ㄱ 자형 보강부재(40) 각각이 상단 머리부 외면에 접하는 부분을 용접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강관파일(30)의 상단 머리부에서 가장 큰 굽힘응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상단 머리부에 4개의 ㄱ 자형 보강부재(40)를 결합시킴으로써 보다 견고한 지지 구조물(10)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주형보(20) 하단에 제1연결부재(51)를 결합시키고, 강관파일(30)의 상부 끝단과 외부 보강부재 상부 끝단에 제2연결부재(52)를 결합시키게 된다(S20). 즉, 제1연결부재(51)를 주형보(20) 하단에 용접하여 결합시키고, 제2연결부재(52)를 강관파일(30)의 상부 끝단과 외부 보강부재 상부 끝단에 용접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제1체결수단(61)으로 제1연결부재(51)와 제2연결부재(52)를 체결하게 된다. 따라서, 제1체결수단(61)에 의해 주형보(20)와 강관파일(30)을 조립하게 된다(S30). 제1체결수단(61)은 구체적 실시예에서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볼트를 제1연결부재(51)와 제2연결부재(52)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한 후, 너트로 조여 제1연결부재(51)와 제2연결부재(52)를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강관파일(30) 각각의 끝단 외면에 이음부재(31)를 결합시키고, 이음부재 연결수단(32)과 제2체결수단(62)에 의해 강관파일(30)과 또 다른 강관파일(30)을 서로 체결하여 2개의 강관파일(30)을 조립시키게 된다(S40). 제2체결수단(62) 역시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볼트를 이음부재(31)와 이음부재 연결수단(32) 각각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한 후, 너트로 조여 2개의 강관파일(30)을 결합시키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지지구조물(10)은 제1체결수단(61)과 제2체결수단(62)을 해제시킬 수 있어 각 구성들을 분리할 수 있고, 시공 후, 다시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체결수단(61)에 의해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30)과 주형보(20)를 조립하게 되므로, 언제든지 보강, 보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제1체결수단(61)을 해제하여 주형보(20)와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30)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2체결수단(62)에 의해 강관파일(30)들을 조립하게 되므로, 언제든지 시공 후, 다시 재사용할 수 있고, 강관파일(30)의 보강, 보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제2체결수단(62)을 해제하여 강관파일(30)을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1:종래 지지 구조물
2:H-파일
3:종빔
4:연결볼트
5:연결판
10:지지 구조물
20:주형보
30:강관파일
31:이음부재
32:이음부재 연결수단
40:ㄱ자형 보강부재
51:제1연결부재
52:제2연결부재
61:제1체결수단
62:제2체결수단

Claims (10)

  1. 가설교량의 상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에 있어서,
    길이방향이 지지층과 평행하게 상기 가설교량의 상부구조물 하중을 지지하는 주형보;
    상기 주형보의 하부에 수직으로 조립 설치되는 강관파일; 및
    상기 강관파일의 상단 머리부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단머리부의 굽힘 응력을 보강하는 외부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보강부재는, 4개의 ㄱ자형 보강부재로 구성되어 각각이 상기 상단 머리부 외면에 결합되며,
    상기 강관파일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강관파일은 상기 강관파일 끝단 외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이음부재 및 상기 강관파일 각각에 결합된 상기 이음부재를 연결하는 이음부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주형보 하단에 결합설치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강관파일 상부 끝단과 상기 외부 보강부재 상부 끝단에 결합설치되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체결하는 제1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을 각각의 상기 이음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강관파일을 체결하는 제2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강관파일과 상기 주형보는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수단 및 상기 제2체결수단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
  7. 제 1 항의 지지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강관 파일의 상단 머리부 외면에 외부 보강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주형보 하단에 제1연결부재를 결합시키고, 상기 강관파일의 상부 끝단과 상기 외부 보강부재 상부 끝단에 제 2 연결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제1체결수단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체결하여 상기 주형보와 상기 강관파일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강관파일과 상기 주형보는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의 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파일 조립 단계는,
    제2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강관파일 끝단 외면에 결합된 이음부재와 이음부재 연결수단을 서로 체결하여 상기 강관파일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의 시공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보강부재 결합단계는,
    4개의 ㄱ 자형 보강부재를 상기 상단 머리부에 둘러싸고, 상기 ㄱ 자형 보강부재와 상기 상단 머리부 외면에 접하는 부분을 용접하여 상기 강관파일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의 시공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를 상기 주형보 하단에 용접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제2연결부재를 상기 강관파일의 상부 끝단과 상기 외부 보강부재 상부 끝단에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00124135A 2010-12-07 2010-12-07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279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135A KR101279591B1 (ko) 2010-12-07 2010-12-07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135A KR101279591B1 (ko) 2010-12-07 2010-12-07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099A KR20120063099A (ko) 2012-06-15
KR101279591B1 true KR101279591B1 (ko) 2013-07-05

Family

ID=4668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135A KR101279591B1 (ko) 2010-12-07 2010-12-07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5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711B1 (ko) * 2013-02-27 2015-03-18 (주)지아이건설 파일과 조립주형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946B1 (ko) * 2004-05-18 2006-01-26 정원용 원형관 파일을 이용한 가설교량 교각
KR20070026951A (ko) * 2005-08-29 2007-03-09 명보산공 주식회사 원형강관지주식 가설교량
JP2007132046A (ja) 2005-11-09 2007-05-31 Jfe Engineering Kk 複合ラーメン橋
KR20080057020A (ko) * 2006-12-19 2008-06-24 주식회사 포스코 강관 버팀보 연결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946B1 (ko) * 2004-05-18 2006-01-26 정원용 원형관 파일을 이용한 가설교량 교각
KR20070026951A (ko) * 2005-08-29 2007-03-09 명보산공 주식회사 원형강관지주식 가설교량
JP2007132046A (ja) 2005-11-09 2007-05-31 Jfe Engineering Kk 複合ラーメン橋
KR20080057020A (ko) * 2006-12-19 2008-06-24 주식회사 포스코 강관 버팀보 연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099A (ko) 201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532B1 (ko) 기둥용 폐단면 강재조립체
CN104847052A (zh) 一种震损可更换组合柱结构
WO2009011516A2 (en) Form with reinforcing bars, non-support form system and non-suppor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06090026A (ja) 既設鋼部材アーチ橋の補修・補強構造
KR101573734B1 (ko) 복경간강재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KR20100023089A (ko) 에이치빔 연결구조체
KR101279591B1 (ko) 외부 보강부재가 결합된 강관파일을 구비한 조립형 지지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시공방법
US20090300861A1 (en) Dislocation preventing bolt, and longitudinal rib composite floor panel having the dislocation preventing bolt
KR101795607B1 (ko) 부모멘트부 스틸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962012B1 (ko) 소음저감형 조립식 콘크리트 거푸집
KR101016453B1 (ko) 대각가새의 접합구조
KR101274990B1 (ko) 중간가로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거더교
KR102223273B1 (ko) 강판 콘크리트 합성벽체
JP6432786B2 (ja) 梁材荷重負担構造および梁材修復方法
JP5174688B2 (ja) 既設単純桁橋梁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KR101067895B1 (ko) 복공판
JP2011174289A (ja) 橋梁の主桁連結構造
JP5516933B2 (ja) 柱梁接合部の補強構造
KR102271672B1 (ko) 한계상태설계법에 적합한 구조성능을 갖는 체결형 거더
JP2005248487A (ja) 中空鋼管鉄塔の添接丸材による補強構造
KR100485060B1 (ko) 라멘식 복합교량에서 강상부구조와 철근콘크리트하부구조의 연결부
JP2018135669A (ja) 鉄骨梁の横補剛構造及び建物の梁スラブ結合方法
JP5138823B1 (ja) 鋼材の継手構造
KR101429984B1 (ko) 가새 접합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