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672B1 - 한계상태설계법에 적합한 구조성능을 갖는 체결형 거더 - Google Patents
한계상태설계법에 적합한 구조성능을 갖는 체결형 거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1672B1 KR102271672B1 KR1020190063509A KR20190063509A KR102271672B1 KR 102271672 B1 KR102271672 B1 KR 102271672B1 KR 1020190063509 A KR1020190063509 A KR 1020190063509A KR 20190063509 A KR20190063509 A KR 20190063509A KR 102271672 B1 KR102271672 B1 KR 1022716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late
- concrete
- housing
- plate
- composi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11372 high-strength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746 Structural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66 destr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08 synthesis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이를 위해 합성거더 교량을 구성하는 주거더가 최소한 하나의 강판으로 완전히 둘러싸인 부분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압축 및 전단에 의한 국부좌굴에 취약한 부재단면인 압축플랜지와 복부판을 소정두께를 가지는 고강도 콘크리트와 합성시키는 것을 통해 휨강성과 비틀림강성을 크게 증대시켰다.
이러한 결과로써 종래의 강-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적용가능 경간장을 늘일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합성거더 단면의 압축플랜지와 복부판에 각각 배치되는 수평 및 수직보강재를 설치하지 않게 됨으로써 거더제작비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제 2도는 시공방법의 차이에 따른 강-콘크리트 합성거더의 극한내력과 처짐곡선의 변화양상
제 3도는 비틀림강성비교를 위한 예시에 사용된 단면형상
제 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박스형상의 주거더
제 5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거더를 구성하는 강판사이의 접합방법에 대한 상세도
제 6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I형상의 주거더
제 7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따른 박스형상의 주거더
제 8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예에 따른 박스형상의 주거더
제 9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합성거더교량의 단면도
제 10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실시예에 따른 단일박스형상의 합성거더교량의 단면도
2 : 하부플랜지강판
3 : 외측복부강판
4 : 내측복부강판
5 : 충전콘크리트
6,8 : 머리부착 스터드
7 : 고장력볼트
9 : 플랜지강판보강을 위한 수평보강판
10 : 연결판
11 : 용접이음
12 : 고장력볼트 설치용 구멍
13 : 고장력볼트 조임을 위한 너트
14 : 콘크리트 충전용 구멍
15 : 매입강관
16 : 콘크리트가 충전된 직사각형의 복부재
17 : 콘크리트 충전이 완료된 I형 주거더
18 : 콘크리트 바닥판
19 : 가로보
20 : 수직보강재
21 : 바닥판강판
22 : 콘크리트가 충전된 경사진 직사각형의 주거더
23 : 수평스터럿
24 : 경사스터럿
Claims (12)
- 콘크리트 바닥판과의 합성작용을 통해 외적하중에 저항하는 박스단면 형상의 합성거더 교량의 주거더에 있어서
상기 박스단면의 상부플랜지강판은 하부플랜지강판의 1/5 ~ 1/3 되는 너비를 가지며, 박스단면 양 측면에 위치한 복부강판은 각각 외측복부강판과 내측복부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복부강판의 상부끝단은 박스단면의 중심까지 연장되어 반대편에 위치한 내측복부강판과 서로 결합 되도록 하며, 외측복부강판을 상부플랜지강판과 하부플랜지강판과 각각 결합시키며, 내측복부강판을 하부플랜지강판에 결합시키고 서로 마주보는 내측복부강판 사이를 수평보강재로 결합시켜 내부가 폐합된 박스단면을 형성시키고,
상기 내부가 폐합된 박스단면과 상부플랜지강판, 외측복부강판 그리고 하부플랜지강판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일체형의 박스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성교량용 주거더. - 제1항에 있어서,
상,하부플랜지강판과 내,외측복부강판에는 고강도 콘크리트와의 일체 거동을 위해 머리부착 스터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합성교량용 주거더. - 삭제
- 삭제
- 콘크리트 바닥판과의 합성작용을 통해 외적하중에 저항하는 박스형상의 합성거더 교량의 주거더에 있어서
소정너비와 두께를 갖는 상부플랜지강판과 하부플랜지강판을 가지며, 내부가 콘크리트로 충전된 긴 직사각형의 강판으로 둘러싸인 두 개의 복부재로 구성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플랜지강판, 하부플랜지강판 그리고 복부재의 조립이 완료되면 거더자중 및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으로 인해 생기는 휨모멘트에 의해 압축력을 받는 상부플랜지강판 또는 하부플랜지강판을 고강도의 충전콘크리트와 합성시켜 박스형상의 합성단면을 형성시키고,
상부플랜지강판이 두 개의 복부재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부플랜지강판에 압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양쪽의 복부재를 연결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수평보강재(9)를 하부플랜지강판의 상면에 용착하고 상부플랜지강판의 윗면에는 상기 고강도의 충전콘크리트를 타설하며,
하부플랜지강판에 압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양쪽의 복부재를 연결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수평보강재(9)를 상부플랜지강판의 아랫면에 용착하고 하부플랜지강판의 윗면에는 상기 고강도의 충전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교량용 주거더. - 삭제
- 콘크리트 바닥판과의 합성작용을 통해 외적하중에 저항하는 박스단면 형상의 합성거더 교량의 주거더 제작방법에 있어서
(a) 상,하부플랜지강판과 내,외측복부강판을 교량 공사 현장으로 운반하는 단계;
(b) 외측복부강판의 상,하단을 상,하부플랜지강판에 각각 결합하고, 내측복부강판의 하단을 하부플랜지강판에 결합하며, 내측복부강판의 상부끝단을 반대편 내측복부강판의 상부끝단과 결합하고, 양측 내측복부강판을 수평보강재로 연결하여 내부가 폐합된 박스단면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내부가 폐합된 박스단면과 상부플랜지강판, 외측복부강판 그리고 하부플랜지강판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일체형의 박스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교량용 주거더 제작방법. - 삭제
- 콘크리트 바닥판과의 합성작용을 통해 외적하중에 저항하는 박스단면 형상의 합성거더 교량의 주거더 제작 방법에 있어서,
(a) 상,하부플랜지강판과, 내부가 고강도 콘크리트로 충전된 두 개의 복부재를 교량 공사 현장으로 운반하는 단계; 및,
(b) 상부플랜지강판과 복부재를 결합하고 하부플랜지강판과 복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 이후에, 거더자중 및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으로 인해 생기는 휨모멘트에 의해 압축력을 받는 상부플랜지강판 또는 하부플랜지강판을 고강도의 충전콘크리트와 합성시켜 박스단면 형상의 합성단면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부플랜지강판이 두 개의 복부재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부플랜지강판에 압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양쪽의 복부재를 연결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수평보강재(9)를 하부플랜지강판의 상면에 용착하고 상부플랜지강판의 윗면에는 상기 고강도의 충전콘크리트를 타설하며,
하부플랜지강판에 압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양쪽의 복부재를 연결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수평보강재(9)를 상부플랜지강판의 아랫면에 용착하고 하부플랜지강판의 윗면에는 상기 고강도의 충전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교량용 주거더 제작방법. -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결합은 고장력볼트로 이루어지거나 필릿 용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교량용 주거더 제작방법. - 콘크리트 바닥판과의 합성작용을 통해 차량 등의 외적하중에 저항하는 개방형의 합성거더 교량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대상교량의 경간길이로 제작된 주거더를 크레인을 이용해 거치시키고,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시의 주거더의 횡방향좌굴 방지를 위하여 주거더 높이의 1/3 이상 1/2 이하의 높이를 가진 가로보를 경간방향으로 20m이내의 간격으로 설치하여 2개의 주거더를 서로 연결하고,
다음으로 주거더 사이에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시의 거푸집 기능을 겸하는 소정두께의 바닥판강판을 주거더 상면에 용착시키며, 상기 바닥판강판의 양 단부는 바닥판 콘크리트의 두께를 조절할 목적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도록 냉간상태에서 절곡하고,
상기 주거더는,
소정 너비와 두께를 갖는 상부플랜지강판과 하부플랜지강판을 가지며, 복부재는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곡선 반경 150mm 이상의 냉간상태에서 절곡된 부분을 갖는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된 두 개의 외측복부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플랜지강판, 하부플랜지강판 그리고 외측복부강판사이의 조립이 완료되면 고강도의 충전콘크리트로 I형 단면의 복부공간을 채움으로써 거더의 휨강성과 비틀림강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합성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 콘크리트 바닥판과의 합성작용을 통해 외적하중에 저항하는 단일박스형상의 합성거더 교량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강판으로 형성된 내부공간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긴 직사각형 형상의 2개의 경사진 주거더, 주거더의 하부플랜지를 서로 연결시키는 하부플랜지강판 그리고 주거더의 상부플랜지를 서로 연결시키는 수평스터럿 및 경사스터럿, 그리고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시에 폐합된 박스단면이 되도록 해주는 바닥판강판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먼저 상기의 주거더를 크레인을 이용해 교각 또는 가설벤트 위에 거치시키고, 다음으로 수평스터럿과 경사스터럿 그리고 하부플랜지강판을 고장력볼트 또는 용접을 통해 순차적으로 체결하여 교량전체 길이에 걸쳐 박스형태의 단면을 형성시키며, 이때 바닥판 시공시의 하중과 활하중으로 인해 압축력이 작용하는 지점부근의 하부플랜지강판에 대해서는 미리 고강도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합성강판 구조가 되도록 하고;
그런 다음으로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을 위해 주거더 사이에 거푸집 기능을 겸하는 소정두께의 바닥판강판을 주거더 상면에 용착시켜 폐합단면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박스형 합성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3509A KR102271672B1 (ko) | 2019-05-30 | 2019-05-30 | 한계상태설계법에 적합한 구조성능을 갖는 체결형 거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3509A KR102271672B1 (ko) | 2019-05-30 | 2019-05-30 | 한계상태설계법에 적합한 구조성능을 갖는 체결형 거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7334A KR20200137334A (ko) | 2020-12-09 |
KR102271672B1 true KR102271672B1 (ko) | 2021-07-01 |
Family
ID=7378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3509A Active KR102271672B1 (ko) | 2019-05-30 | 2019-05-30 | 한계상태설계법에 적합한 구조성능을 갖는 체결형 거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167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710568B (zh) * | 2020-12-17 | 2024-05-28 | 哈尔滨汽轮机厂有限责任公司 | 一种汽轮机定中心梁强度检测方法 |
CN115323942A (zh) * | 2022-07-06 | 2022-11-11 |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 | 一种翼缘板结构性能保持方法 |
CN119416332A (zh) * | 2025-01-07 | 2025-02-11 | 浙江远算科技有限公司 | 一种双支臂主横梁弧形金属闸门的设计仿真方法和系统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8572B1 (ko) * | 2009-05-29 | 2010-01-26 | 산이건설 주식회사 | 강성차등형 강상자 거더 |
KR101182682B1 (ko) * | 2012-05-07 | 2012-09-18 |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 이중 복부판형 콘크리트 충진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와, 그 제작 및 가설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5299B1 (ko) * | 2011-03-25 | 2013-05-16 | 채일수 | 이중 웨브로 구성된 건축용 용접빔 |
-
2019
- 2019-05-30 KR KR1020190063509A patent/KR10227167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8572B1 (ko) * | 2009-05-29 | 2010-01-26 | 산이건설 주식회사 | 강성차등형 강상자 거더 |
KR101182682B1 (ko) * | 2012-05-07 | 2012-09-18 |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 이중 복부판형 콘크리트 충진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와, 그 제작 및 가설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7334A (ko) | 2020-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47306B1 (ko) | 콘크리트 전단연결부를 갖는 합성형 교량 구조 및 그시공방법 | |
KR100882341B1 (ko) | 단면강성이 보강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빔의 제작방법 및 단면강성이 보강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빔을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 |
KR100555244B1 (ko) | 강성이 증대된 구조 보강용 i빔 및 이의 제작방법 | |
US20030182883A1 (en) | Prestressed composite truss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US20130104320A1 (en) | Composite girder for bridge construction | |
KR101064731B1 (ko) | 포물선 형상의 웨브와 거푸집형 플랜지를 가지는 강재 빔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강합성 거더 및 그 제작방법 | |
KR102271672B1 (ko) | 한계상태설계법에 적합한 구조성능을 갖는 체결형 거더 | |
KR101834006B1 (ko) |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 |
KR102001041B1 (ko) | Cft사각기둥의 철골보 접합구조 | |
KR101678999B1 (ko) |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의 시공 방법 | |
KR102108335B1 (ko) | 내진성능 접합부를 가지는 복합철골보구조 | |
KR101375382B1 (ko) | 프리캐스트 무거푸집 합성보 및 이의 제조공법 | |
KR101731244B1 (ko) | 연결 보강판 부착형 절곡 철근트러스 데크플레이트 및 그 제작방법 | |
KR101286112B1 (ko) | 수직강관을 복부재로 이용한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 |
KR101049963B1 (ko) | 강판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슬래브 접합구조 시공 방법 | |
KR101874755B1 (ko) |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및 그 제작방법 | |
KR100939970B1 (ko) | 건축물의 복합보 공법 및 그 구조 | |
JP2010265623A (ja) | 鋼床版の補強構造 | |
KR101954614B1 (ko) | 교량 상부 구조의 가로보 연결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 |
KR102212695B1 (ko) | 장스팬 강콘크리트 합성보 | |
JP2008025236A (ja) | 端部と中央部とで強度の異なる緊張材を用いたプレキャスト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梁 | |
KR102201182B1 (ko) | 강콘크리트 합성 전이보용 강판조립보 | |
KR100621928B1 (ko) | 프리캐스트 패널을 갖는 이중합성 철도 판형교 시공방법 | |
KR101676841B1 (ko) | 춤이 큰 데크 슬래브 설치를 위한 비대칭 변단면 철골보 | |
JP4293696B2 (ja) | 合成床版橋の構築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