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866A -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866A
KR20120069866A KR1020100131187A KR20100131187A KR20120069866A KR 20120069866 A KR20120069866 A KR 20120069866A KR 1020100131187 A KR1020100131187 A KR 1020100131187A KR 20100131187 A KR20100131187 A KR 20100131187A KR 20120069866 A KR20120069866 A KR 20120069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main control
heavy equipment
engine room
accommod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호
Original Assignee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1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9866A/ko
Publication of KR20120069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를 개시한다.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는 엔진룸(1) 내에 오일필터, 메인펌프 및/또는 보조펌프, 유압밸브가 제공되고 상기 엔진룸(1)의 상측에 틸팅캐빈이 설치되는 중장비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1)의 바깥측 차체(10) 내에 메인컨트롤밸브(5)를 수용 가능하고 상기 틸팅캐빈(6)의 힌지부(6a)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엔진룸의 내부를 단순화시켜 정비를 편리하게 하고 엔진룸 내의 각종 부품들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유압 호스를 따라 흐르는 유압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유압 호스의 누유 또는 전기선의 합선의 발생 우려를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Main control valve arrangement structure for a heavy equipment}
본 발명은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게차, 로더 등과 같은 중장비에 제공되는 메인컨트롤밸브를 엔진룸 외의 차체 내에 배치하여 엔진룸 내의 유압, 전기 등과 관련한 나머지 구성요소들과 상기 메인컨트롤밸브의 정비를 편리하게 하고 유압 호스와 전기선 등의 부품의 배선공간을 적절히 확보하여 누유, 전기선의 합선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forklift truck)는 중량체의 하물을 들어올리거나 또는 내릴 수 있게 하는 산업용 차량의 일종으로서, 고중량의 하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해당 하물을 각종 운반차량에 적재 또는 그로부터 하차시키는 데 사용된다. 로더(loader)는 건설 현장에서 흙, 모래 등을 굴착하는 굴착작업, 굴착된 토사를 운반하는 운반작업, 운반된 토사를 화물차량에 싣거나 내리는 하역작업, 도로 정지작업, 제설작업, 견인작업을 등을 수행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지게차나 상기 로더 등과 같은 중장비의 엔진룸 내에는 오일필터, 메인펌프 및/또는 보조펌프, 유압밸브, 메인컨트롤밸브 등이 장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게차의 엔진룸을 보여주는 개략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 등과 같은 차량의 엔진룸(1) 내에는 오일필터(2), 메인펌프(3) 및/또는 보조펌프, 유압밸브(4) 뿐만 아니라, 메인컨트롤밸브(5)가 더 장착된다. 또한 엔진룸(1) 내에는 상기 구성요소들을 위한 유압 호스, 전기선 등이 배선되어 있다. 따라서, 지게차를 시동시킨 상태에서 조작레버를 작동시키면, 상기 메인펌프(3)로부터 공급되는 압유가 상기 메인컨트롤밸브(5)를 통해 제어되어 포크 캐리지측의 리프트실린더로 공급되어 상기 포크 캐리지를 승강시키거나, 또는 작업기측의 틸트실린더로 공급되어 작업기를 지게차의 전후로 틸팅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지게차는 엔진룸(1) 내에 오일필터(2), 메인펌프(3) 및/또는 보조펌프, 유압밸브(4), 메인컨트롤밸브(5) 등이 다함께 장착되어 있는데다 상기 구성요소들을 위한 유압 호스, 전기선 등도 그들과 함께 배선되어 있어 상기 엔진룸(1)의 내부가 매우 복잡하다. 그 때문에, 종래 기술에 따른 지게차는 엔진룸(1) 내의 부품들을 정비할 시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간혹 유압 호스들 간의 간섭 또는 유압 호스와 전기선 등 간의 간섭으로 유압 호스의 일부분이 꺾여 유압의 흐름에 지장이 발생하거나 누유, 전기선의 합선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룸의 내부를 단순화시켜 정비를 편리하게 하고 엔진룸 내의 각종 부품들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유압 호스를 따라 흐르는 유압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유압 호스의 누유 또는 전기선의 합선의 발생 우려를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컨트롤밸브를 틸팅캐빈의 힌지부와 인접하게 배치하여 엔진룸에서 캐빈의 내부 또는 그 반대로 배선되는 유압 호스 및 전기선이 움직이는 길이궤적을 최소로 유지시켜 부품의 원가절감을 실현하고 그들의 배선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엔진룸 내에 오일필터, 메인펌프 및/또는 보조펌프, 유압밸브가 제공되고 상기 엔진룸의 상측에 틸팅캐빈이 설치되는 중장비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의 바깥측 차체 내에 메인컨트롤밸브를 수용 가능하고 상기 틸팅캐빈의 힌지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를 포함하는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는 상벽부와 내측 측벽부 중의 적어도 하나가 외부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는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의 상벽부와 내측 측벽부의 모서리를 따라 돌출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는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의 상벽부와 외측 측벽부를 덮는 커버 기능과 발판의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틸팅캐빈에서 차량의 방향 또는 작업기 조종을 위한 유압 호스들이 인출되는 상기 틸팅캐빈의 아래쪽 방향의 차체에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엔진룸의 바깥측 차체 내에 메인컨트롤밸브를 수용할 수 있는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를 제공하여, 엔진룸의 내부를 단순화시켜 정비를 편리하게 하고 엔진룸 내의 각종 부품들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유압 호스를 따라 흐르는 유압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유압 호스의 누유 또는 전기선의 합선의 발생 우려를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컨트롤밸브를 틸팅캐빈의 힌지부와 인접하게 배치하여, 엔진룸에서 캐빈의 내부 또는 그 반대로 배선되는 유압 호스 및 전기선이 움직이는 길이궤적을 최소로 유지시켜 부품의 원가절감을 실현하고 그들의 배선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게차의 엔진룸을 보여주는 개략 부분확대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를 내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를 외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의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룸(1) 내에 오일필터(2), 메인펌프(3) 및/또는 보조펌프(3a), 유압밸브(4)가 제공되고 상기 엔진룸(1)의 상측에 틸팅캐빈(6)이 설치되는 중장비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1)의 바깥측 차체(10) 내에 메인컨트롤밸브(5)를 수용 가능하고 상기 틸팅캐빈(6)의 힌지부(6a)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는 엔진룸(1)의 바깥측 차체(10) 내에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엔진룸(1)의 내부를 단순화시켜 정비를 편리하게 하고 엔진룸 내의 각종 부품들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유압 호스를 따라 흐르는 유압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는 위와 같이 상기 엔진룸(1)의 내부를 단순화시켜 유압 호스의 누유 또는 전기선의 합선의 발생 우려를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본구성에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로 더 한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는 상벽부와 내측 측벽부 중의 적어도 하나가 외부로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일 또는 복수의 개방구조는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에 장착되는 메인컨트롤밸브(5)의 설치, 정비, 또는 분리를 편리하게 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는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의 상벽부와 내측 측벽부의 모서리를 따라 돌출벽(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벽 구조는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에 메인컨트롤밸브(5)를 장착할 때 의도하지 않게 상기 메인컨트롤밸브가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로부터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예방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는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의 상벽부와 외측 측벽부를 덮는 커버 기능과 발판의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커버(12)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12)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널링부(knurling portion)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중장비의 틸팅캐빈(6)을 틸팅시켜 엔진룸(1)을 개방시키거나 상부커버(12)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에 메인컨트롤밸브(5)를 장착하거나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에 기 장착된 메인컨트롤밸브(5)를 정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틸팅캐빈(6)을 틸팅시켜 엔진룸을 개방시키는 방식의 경우, 상기 틸팅캐빈을 상기 틸팅캐빈(6)의 힌지부(6a)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틸팅시킨 상태에서, 상기 엔진룸(1)을 통해 상기 틸팅캐빈의 힌지부(6a)와 인접한 차체(10) 내의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에 메인컨트롤밸브(5)를 장착하거나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에 기 장착된 메인컨트롤밸브(5)를 정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컨트롤밸브(5)에서 상기 틸팅캐빈(6) 내의 차량 방향제어 및/또는 작업기 작동을 위한 제어장치로 연결되는 각종 유압호스들이 최단 거리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 호스를 따라 흐르는 유압의 흐름이 원활하게 되며, 상기 유압 호스의 누유 등의 문제를 크게 줄일 수 있고 또한 정비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12)를 분리시키는 방식의 경우, 중장비의 외측에서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에 설치된 상기 상부커버(12)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의 외측 개방부분을 통해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에 메인컨트롤밸브(5)를 장착하거나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에 기 장착된 메인컨트롤밸브(5)를 정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 엔진룸 5: 메인컨트롤밸브
6: 틸팅캐빈 6a: 힌지부
10: 차체 11: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
11a: 돌출부 12: 상부커버

Claims (5)

  1. 엔진룸(1) 내에 오일필터, 메인펌프 및/또는 보조펌프, 유압밸브가 제공되고 상기 엔진룸(1)의 상측에 틸팅캐빈이 설치되는 중장비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1)의 바깥측 차체(10) 내에 메인컨트롤밸브(5)를 수용 가능하고 상기 틸팅캐빈(6)의 힌지부(6a)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를 포함하는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는 상벽부와 내측 측벽부 중의 적어도 하나가 외부로 개방된 것인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는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의 상벽부와 내측 측벽부의 모서리를 따라 돌출벽(11a)이 형성된 것인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는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의 상벽부와 외측 측벽부를 덮는 커버 기능과 발판의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커버(12)를 더 포함하는 것인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캐빈(6)에서 차량의 방향 또는 작업기 조종을 위한 유압 호스들이 인출되는 상기 틸팅캐빈(6)의 아래쪽 방향의 차체(10)에 상기 메인컨트롤밸브 수납부(11)가 배치되는 것인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
KR1020100131187A 2010-12-21 2010-12-21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 KR20120069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187A KR20120069866A (ko) 2010-12-21 2010-12-21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187A KR20120069866A (ko) 2010-12-21 2010-12-21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866A true KR20120069866A (ko) 2012-06-29

Family

ID=4668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187A KR20120069866A (ko) 2010-12-21 2010-12-21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98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222B1 (ko) 2018-07-27 2019-10-21 이규근 냉각모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222B1 (ko) 2018-07-27 2019-10-21 이규근 냉각모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6341B2 (en) Electric work vehicle and battery holding structure thereof
US7810597B2 (en) Battery placement and support on the body frame of a construction machine
KR101090637B1 (ko) 작업기의 조종석부 구조
JP5004834B2 (ja) 作業機械
US20170284061A1 (en) Counterweight system for an industrial machine
KR101036859B1 (ko) 운전실의 바닥구조
US9234328B2 (en) Upper slewing body for construction machine
JP5028438B2 (ja) 建設機械
JP4543032B2 (ja) 流体継手手段を備えた工具保持具
JP4648963B2 (ja) 作業機の操縦部構造
KR20120069866A (ko) 중장비의 메인컨트롤밸브 배치구조
JP7122224B2 (ja) 高所作業車
JP4746642B2 (ja) 作業機の操縦部構造
EP2868810B1 (en) Construction machine
JP6912756B2 (ja) アウトリガ外箱およびアウトリガ装置
JP4693832B2 (ja) 車両用の荷受台昇降装置
JP6996376B2 (ja) アウトリガ装置
JP2009235797A (ja) 作業機の操縦部構造
JP7282610B2 (ja) 杭打機
JP6847759B2 (ja) 作業機
JP3321406B2 (ja) 建設機械
JP2004217163A (ja) 建設機械
US9297143B2 (en) Construction machine with manually-operated unit
JP4693833B2 (ja) 荷受台昇降装置用のパワーユニット及び荷受台昇降装置
JP5496619B2 (ja) 塵芥収集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