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8020A - 무선 전기 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기 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8020A
KR20120068020A KR1020127008905A KR20127008905A KR20120068020A KR 20120068020 A KR20120068020 A KR 20120068020A KR 1020127008905 A KR1020127008905 A KR 1020127008905A KR 20127008905 A KR20127008905 A KR 20127008905A KR 20120068020 A KR20120068020 A KR 20120068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luminescent
layer
windings
electrod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8678B1 (ko
Inventor
에버하르트 와펜슈미트
빌렘 에프. 파스베르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20068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2Interconnection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41Applying alternating current [AC] during manufacturing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상부 전극층(102)과 하부 전극층(104), 전기 발광층(106) 및 상호접속부(108)를 포함하는 전기 발광 장치(100)가 개시되는데, 상호접속부는 상부 전극층과 하부 전극층을 접속하고, 2개의 전극층(102, 104)은 권선들로서 구조화되고, 전기 발광층(106)은 2개의 전극층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호접속부(108)는 상부 전극층의 제1 단부와 하부 전극층의 제2 단부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무선 전기 발광 장치{WIRELESS ELECTROLUMINESCENT DEVICE}
본 발명은 전기 발광 장치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발광 장치는 전류 통과 시에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전기 발광 재료를 포함한다. 전기 발광 장치에 이용되는 재료는 발광 폴리머들 또는 작은 유기 분자들일 수 있다. 유기 장치는 예를 들어 이 분야에 공지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일 수 있다. 전기 발광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전극들에 의해 전기 발광 재료에 전류가 인가된다.
OLED와 같은 전기 발광 장치는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전기 발광 재료를 포함한다. 적절한 전압의 인가 시에, 전기 발광 재료를 통해 애노드로부터 캐소드로 전류가 흐른다. 전기 발광 재료 내에서의 정공들 및 전자들의 방사성 재결합(radiative recombination)에 의해 광이 생성된다.
본 발명은 무선 전원(wireless power supply)을 구비한 전기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전기 발광 장치는 제1 및 제2 전극층, 전기 발광층 및 상호접속부를 포함한다. 상호접속부는 제1 및 제2 전극층을 접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2개의 전극층은 권선들로서 구조화된다. 이것은 전극층들이 유도성 전력 수신기들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전기 발광층은 2개의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다. 상호접속부는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발광층은 100nm - 1㎛의 두께를 가지며, 2개의 전극층 사이의 거리는 10㎛ 내지 200㎛의 범위에 걸친다. 전기 발광층은 전체 전극 영역 및 권선들 사이의 영역들을 커버하는 비구조화 층(non-structured layer) 또는 대안으로서 구조화 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호접속부는 제1 전극층의 제1 단부와 제2 전극층의 제2 단부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기장에 의해 전극층들 내에 AC 전압이 유도된다. 유도된 전압은 2개의 전극층 사이에 위치하는 전기 발광층에 인가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전극층은 전기 발광층 상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전기 발광 장치는 다이오드로서 작용하여 역방향 전류를 차단하므로, 절반 파들(half waves) 중 하나 동안만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AC 주파수는 플리커링(flickering)을 방지하도록 충분히 높아야 하며, 예를 들어 100Hz보다 높아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AC 주파수는 kHz, MHz 또는 심지어 GHz 영역에 있다. 주파수는 권선들의 공진 주파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극층의 제1 단부와 제2 전극층의 제1 단부는 서로 대향 배치된다. 상호접속부는 제1 전극층의 제1 단부와 제2 전극층의 제2 단부를 접속하므로, 상호접속부는 서로 대향 배치되지 않은 전극층들의 두 단부를 접속한다. 이것은 이러한 방식으로 전기 발광층 내에 균일한 전자기장이 얻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극층의 제2 단부와 제2 전극층의 제2 단부는 서로 대향 배치된다. 이것은 전기 발광층 내에 균일한 전자기장이 유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전극은 권선 기점(winding origin) 및 주변 권선을 갖는다. 권선 기점은 전극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변 권선은 자명하게도 전극의 주변 영역에 배치된다. 각각의 전극의 제1 단부는 권선 기점이고, 각각의 전극의 제2 단부는 주변 권선의 단부이다. 따라서, 제1 전극의 권선 기점은 상호접속부에 의해 제2 전극의 주변 권선의 단부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전극은 권선 기점 및 주변 권선을 갖는다. 제1 전극의 제1 단부는 권선 기점이고, 제2 전극의 제2 단부 또한 권선 기점이다. 따라서, 상호접속부는 제1 전극의 권선 기점과 제2 전극의 권선 기점을 접속한다. 이 경우, 2개의 전극 권선은 반대 방향들을 갖는다. 하나의 전극은 시계 방향 권선들로서 구조화되며, 다른 전극은 반시계 방향 권선들로서 구조화된다. 반평행 권선들은 전기 발광층 내에 전자기장을 유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및 제2 전극들은 전기 발광층 내에 일정한 전자기장을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기 발광층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기 발광층은 구조화된다. 이것은 특히 매우 양호한 도전성을 갖는 전기 발광층들 및/또는 전극들의 좁게 배열된 권선들과 연계된 두꺼운 전기 발광층들에 대해 숏컷(shortcuts)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기 발광층은 권선들로서 구조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호접속부는 권선들의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권선들의 공진 주파수는 무선 전원의 효율이 그의 최고값을 갖는 주파수이다. 공진 주파수를 적응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컴포넌트를 이용함으로써 효율의 등급이 최적화될 수 있다. 이 컴포넌트는 예로서 커패시터일 수 있다.
커패시터는 제1 및 제2 전극의 상호접속부에 직렬로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은 크기의 커패시터(예로서, SMD 0201)가 상부에서 하부 전극으로의 수직 콘택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 커패시터는 직렬 공진 커패시터로서 작용하여, 전력 수신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기 발광 장치는 기판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기판은 유리, 플라스틱 또는 포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극들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과 같은 투명한 재료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OLED의 하우징은 비도전성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AC 전자기장은 하우징 내에 와류(eddy currents)를 유도할 것이고, 전력 송신은 심하게 방해될 것이다. 전기 발광층의 적어도 일면은 투명하다. 일부 응용들의 경우, 전체 장치를 투명하게 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일면은 투명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면 상의 전극들도 투명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상호접속부를 갖는 면이다.
전기 발광 장치는 다소 높은 용량을 갖는다. 권선들의 적절한 수를 선택함으로써, 코일의 인덕턴스는 동작 주파수에서 이 용량과 공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력 송신이 최적화될 수 있다.
불균일한 전류 분포를 보상하기 위해, 개별 권선들의 폭이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전기 발광 장치들의 복수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와 관련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전기 발광 장치 및 인덕터를 포함하는 시스템과 관련된다. 인덕터는 전기 발광 장치의 영역 내에 전자기장을 확립하도록 되어 있다. 전기 발광 장치 내에 AC 전압을 유도하기 위해, 인덕터는 전자기장의 방향을 규칙적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전자기장은 전기 발광 장치 내에 AC 전압을 유도한다. 따라서, 인덕터는 전기 발광 장치에 무선 전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기 발광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자기장의 주파수는 무선 주파수 범위, 즉 3MHz - 3GHz 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기 발광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자기장의 주파수는 50kHz - 500kHz의 범위 내이다.
시스템은 예를 들어 창문 또는 임의의 다른 표면을 조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창문에서, 전기 발광 장치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극들은 투명한 재료, 예로서 ITO로 제조되어야 한다. 전기 발광 장치에 전력이 공급될 때, 전기 발광층은 광을 방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에 띄지 않는 곳인 창틀 또는 임의의 다른 장소에 배치될 수 있는 인덕터에 의해 무선 전원이 실현된다. 무선 전원의 효율은 인덕터와 전기 발광 장치 사이의 거리, 인덕터의 크기 및 인덕터에 의해 확립된 전자기장에 의존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전기 발광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전기 발광 장치는 제1 및 제2 전극층, 전기 발광층 및 상호접속부를 포함한다. 상호접속부는 제1 및 제2 전극층을 접속한다. 2개의 전극층은 권선들로서 구조화된다. 전기 발광층은 2개의 전극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호접속부는 제1 전극층의 제1 단부와 제2 전극층의 제2 단부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형성한다.
이하, 아래의 도면들을 단지 예로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2개의 전극 및 상호접속부를 갖는 전기 발광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전기 발광 장치의 상부 전극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전기 발광 장치의 전기 발광층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c는 전기 발광 장치의 하부 전극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평행 권선들을 갖는 전기 발광 장치의 등가 회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평행 권선들을 갖는 전기 발광 장치의 전극들의 전압의 도표를 도시한다.
도 5는 반평행 권선 전극층들을 갖는 전기 발광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전기 발광 장치의 상부 전극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전기 발광 장치의 전기 발광층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c는 전기 발광 장치의 하부 전극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반평행 권선들을 갖는 전기 발광 장치의 등가 회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전기 발광 장치(100)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전기 발광 장치(100)는 상부 전극(102), 하부 전극(104), 전기 발광층(106), 상호접속부(108) 및 절연층(110)을 포함한다.
전기 발광층(106), 상부 전극(102) 및 하부 전극(104)은 시계 방향 권선들로서 구조화된다. 대안으로서, 반시계 방향 권선들도 사용될 수 있다. 전기 발광층(106)은 상부 전극(102)과 하부 전극(104) 사이에 위치한다. 상호접속부(108)는 상부 전극(102)과 하부 전극(104)을 접속한다. 상부 전극(102)의 권선들의 기점은 상호접속부(108)에 의해 하부 전극(104)의 주변 권선의 단부에 접속된다. 절연층(110)은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전극(102)의 다른 부분들을 상호접속부(108)로부터 절연한다.
동작 시에, 상부 전극(102) 및 하부 전극(104)의 권선들 내에 AC 전압이 유도된다. 하부 전극(104)의 주변 권선의 단부는 상부 전극(102)의 권선들의 기점과 접속되므로, 이 두 개의 포인트 사이에는 단락이 확립된다. 따라서, 이러한 포인트들에서의 인가 전압들은 0 볼트이다. 전자기장의 방향에 따라, 권선들 내의 전압은 권선들의 기점으로부터 주변 권선의 단부까지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예를 들어, 권선들의 기점으로부터 주변 권선의 단부까지 전압이 감소하는 경우, 상부 전극(102) 내의 유도 전압은 권선들의 기점에서의 0 볼트로부터 주변 권선의 단부에서의 최대 음수 값까지 감소한다. 최대 값은 전자기장의 전력에 의존한다. 하부 전극(104) 내의 전압은 주변 권선의 단부에서의 0 볼트로부터 권선들의 기점에서의 최대 값까지 증가한다. 따라서, 상부 전극(102)과 하부 전극(104) 사이에는 전자기장에 의해 유도되는 최대 전압인 일정한 전압이 존재한다.
2개의 전극 사이에는 균일한 전압이 인가되므로, 전기 발광층은 광을 균일하게 방출한다. 전기 발광층의 권선 구조에 의해 단락이 방지된다. 숏컷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 발광층(106)은 하나의 전극에서 다른 전극으로의 방향에서는 양호한 도전체 그리고 그 수직 방향에서는 불량한 도전체이어야 한다. 이것은 도 1의 구조화된 전기 발광층(106)에 의해 달성된다. 대안으로서, 전기 발광층의 두께가 전극들의 이웃하는 권선들 간의 거리보다 훨씬 작은 경우, 단락의 위험 없이, 비구조화 연속 전기 발광층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전기 발광층의 통상적인 두께는 100nm이다. 이웃하는 권선들 간의 거리는 적어도 1mm가 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균일한 도전율을 갖는 전기 발광층들의 경우, 하나의 전극에서 대향 전극까지의 전기 경로는 하나의 전극의 한 권선에서 그의 이웃 권선까지의 전기 경로보다 약 10000배 짧으며, 이는 양 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르고, 하나의 전극의 이웃하는 권선들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도 2a는 상부 전극(102), 절연층(110) 및 상호접속부(108)의 개략 상면도를 나타낸다. 동작 시에, 전자기장에 의해 전압이 유도된다. 예를 들어, 전압은 권선들의 기점에서의 0 볼트로부터 주변 권선의 단부에서의 -0.5 볼트까지 감소한다.
도 2b는 전기 발광층(106)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전기 발광층은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권선들로서 구조화된다. 동작 시에, 전기 발광층에 전압이 인가된다. 전기 발광층(106)에 전압이 인가될 때, 전기 발광층(106)은 광을 방출한다. 전압은 2개의 전극(102 및 104)에 의해 전기 발광층(106)에 인가된다. 전자기장에 의해 2개의 전극(102 및 104) 내에 AC 전압이 유도된다. 절반 파들 중 하나 동안에만 전류가 흐를 수 있는데, 이는 전기 발광 장치가 다이오드로서 작용하여 역방향 전류를 차단하기 때문이다.
도 2c는 하부 전극(104)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하부 전극(104)은 상부 전극(102) 및 전기 발광층(106)의 권선들에 평행한 반시계 방향 권선들로서 구조화된다. 전극들의 권선들 내의 유도 전압은 상부 전극(102)과 하부 전극(104) 사이의 전압으로서 인가된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 상부 및 하부 전극은 투명한 도전체 재료, 예로서 인듐 주석 산화물(ITO)로 형성된다. 전극들 사이의 층은 OLED이다. 이것도 권선으로서 구조화되는데, 이는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OLED가 권선들 사이에 단락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면들은 또한 상부 전극의 중심으로부터 하부 전극의 바깥쪽으로의 상호접속을 도시한다. 이것도 투명한 도전체, 예로서 ITO로 제조된다.
도 3은 전기 발광 장치(100)의 회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2개의 전극은 인덕턴스 L을 갖는 코일들로서 표시된다. 2개의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기 발광층은 복수의 커패시터 CEL로서 표시된다. 4개의 포인트 A, B, C 및 D는 2개의 전극의 4개의 단부를 나타낸다. A 및 B는 권선들의 기점에 위치한다. C 및 D는 주변 권선들의 단부에 위치한다. C는 B에 접속되며, 이는 이 두 포인트가 동일 전위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도 전압은 B 및 D와 C 및 A 사이에 인가된다. 분포된 커패시터들 CEL은 OLED를 나타내며, 이는 또한 상당한 용량 기여를 갖는다.
도 4는 전기 발광 장치의 2개의 전극의 전압들의 도표를 나타낸다. x축은 전극들 상의 위치를 전극의 전체 길이의 분수로서 나타낸다. 이것은 0이 권선들의 기점이고, 1이 주변 권선의 단부임을 의미한다. y축은 전극 전위를 나타낸다. 파선은 상부 전극(102)의 전압이고, 실선은 하부 전극(104)의 전압을 나타낸다. 이들 선들은 이상적인 전압 기울기들이지만, 이들은 원리를 예시한다.
권선들의 내측 및 외측 에지를 접속함으로써, 각각의 포인트에서의 전극들 사이의 전압은 권선의 길이에 걸쳐 유도된 전압과 동일하다. 이 경우, 인덕터는 각각의 전극 내에 0.5 볼트의 전압을 유도한다. 이것은 전기 발광 장치의 모든 포인트에서 양 전극들 사이에 0.5 볼트의 전압 차이를 유발한다.
권선들의 내측 및 외측 에지를 접속함으로써, 각각의 포인트에서의 전극들 사이의 전압은 권선의 길이에 걸쳐 유도된 전압과 동일하다.
유도 전압은 AC 전압이다. 절반 파들 중 하나 동안에만 전류가 흐를 수 있는데, 이는 OLED가 다이오드로서 작용하여 역방향 전류를 차단하기 때문이다. ITO의 직렬 저항은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션트(shunt) 저항기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 5는 반평행 권선 구조들을 갖는 전기 발광 장치(112)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상부 전극(114)의 권선들은 시계 방향으로 향하는 반면, 하부 전극(116)의 권선들은 반시계 방향으로 향한다. 상호접속부(115)는 상부 전극(114)의 권선들의 기점과 하부 전극(116)의 권선들의 기점을 접속한다. 구조화된 전기 발광층(118)이 2개의 전극 사이에 위치한다. 상부 전극(114)은 시계 방향 권선들로서 구조화되는 반면, 하부 전극(116)은 반시계 방향 권선들로서 구조화된다. 전기 발광층(118)은 단락을 방지하도록 구조화된다. 따라서, 권선들은 규칙적으로 중단된다.
동작 시에, 상부 전극(114) 내에 그리고 하부 전극(116) 내에 AC 전압이 유도된다. 상호접속부(115)로 인해, 2개의 전극의 기점들이 단락되며, 이는 전기 발광 장치(118)에 권선들의 기점들이 위치하는 중앙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반평행 권선들을 갖는 이러한 전기 발광 장치의 이점은 제조가 더 쉽다는 것이다. 상호접속부(115)를 위한 추가적인 층이 필요하지 않다. 전기 발광 장치(118)의 구조에 의해 단락이 방지된다.
전기 발광 장치는 상호접속부(115)로 인해 중앙에 어두운 스폿을 가질 것이며, 전기 발광 장치의 밝기는 2개의 전극 간의 전압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균일하지 않다.
대안으로서, 상호접속부는 상부 전극의 주변 권선의 단부와 하부 전극의 주변 권선의 단부를 접속한다. 그러면, 어두운 스폿은 주변 권선들의 단부에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대안으로서, 상호접속부는 권선들 상에 위치하는 포인트에서 상부 및 하부 전극층을 접속한다. 이것은 상호접속부가 상부 및/또는 하부 전극층의 단부들 중 하나에 반드시 위치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호접속의 포인트는 상부 및 하부 전극의 권선들 상의 임의의 곳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어두운 스폿은 이 포인트에 있을 것이다.
도 6a는 시계 방향 권선들을 갖는 상부 전극(114)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동작 시에, 예를 들어, 전압은 권선들의 기점으로부터 주변 권선의 단부까지 감소한다.
도 6b는 복수의 갭을 갖는 권선들로 구조화된 전기 발광층(118)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갭들은 전기 발광층(118)의 우측에 규칙적으로 위치한다. 갭들 간의 거리들은 권선들의 기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증가한다. 전기 발광층(118)의 복수의 상이한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갭들은 2개의 전극 사이의 단락을 방지한다. 전기 발광층은 하나의 전극에서 다른 전극으로의 방향에서는 양호한 도전체 그리고 그 수직 방향에서는 불량한 도전체인 것이 필요하다.
도 6c는 반시계 방향 구조화 권선들을 갖는 하부 전극(116)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권선들을 상부 전극(114)의 권선들과 반평행하게 구조화함으로써, 2개의 전극 사이에는 권선들의 기점에서의 접속 포인트를 제외한 권선들의 모든 포인트 상에 전압이 인가된다. 이것은 전기 발광층(118)이 상호접속부(115)가 위치하는 중앙을 제외한 모든 포인트에서 광을 방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개의 전극 사이의 전압은 일정하지 않다. 예를 들어, 전자기장이 권선들 내에 음의 전압을 유도하는 경우, 권선들 내의 전압은 권선들의 기점에서의 0 볼트로부터 주변 권선의 단부에서의 최대 값까지 감소한다. 이것은 상부 전극(114) 및 하부 전극(116)의 구조들이 전기 발광 장치(118)에 가능한 한 균일하게 전압을 인가하도록 빈틈없이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은 도 5에 따른 전기 발광 장치의 등가 회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포인트들 A, B, C, D는 전극들의 권선들 상의 포인트들을 나타낸다. 포인트 A 및 B는 주변 권선들의 단부들이고, C 및 D는 전극들의 권선들의 기점에서의 포인트들이다. C 및 D는 상호접속부에 의해 접속된다. 전극층들은 인덕턴스 L을 갖는 코일로서 표시되고, 전기 발광 장치는 복수의 커패시터 CEL로서 표시된다.
동작 시에, 전자기장이 인덕턴스 L을 갖는 코일들 내에 AC 전압을 유도하여, 2개의 코일 간에는 전압이 인가된다. 이어서, 커패시터들로서 표시된 전기 발광 장치는 광을 방출한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 예시되고 위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예시 및 설명은 제한이 아니라 예시적인 또는 전형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들의 검토로부터,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 의해 청구 발명을 실시할 때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다른 변형들이 이해되고 실시될 수 있다. 청구항들에서, "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으며, "하나"라는 용어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소정의 수단들이 서로 다른 종속항들에 인용된다는 단순한 사실은 그러한 수단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없음을 나타내지 않는다. 청구항들 내의 임의의 참조 부호들은 청구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100: 전기 발광 장치
102: 상부 전극층
104: 하부 전극층
106: 전기 발광층
108: 상호접속부
110: 절연층
112: 전기 발광 장치
114: 상부 전극층
115: 상호접속부
116: 하부 전극층
118: 전기 발광층

Claims (15)

  1. 전기 발광 장치(100)로서,
    제1 전극층(102)과 제2 전극층(104), 전기 발광층(106) 및 상호접속부(108)를 포함하고,
    상기 상호접속부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을 접속하고,
    상기 2개의 전극층들은 권선들로서 구조화되고,
    상기 전기 발광층은 상기 2개의 전극층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호접속부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는 전기 발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접속부는 상기 제1 전극층의 제1 단부와 상기 제2 전극층의 제2 단부를 접속하는 전기 발광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전기 발광층에 전자기장을 유도하도록 되어 있는 전기 발광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의 제1 단부와 상기 제2 전극층의 제1 단부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전기 발광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의 제2 단부와 상기 제2 전극층의 제2 단부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전기 발광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극은 권선 기점(winding origin) 및 주변 권선(peripheral winding)을 갖고, 각각의 전극의 제1 단부는 상기 권선 기점이며, 각각의 전극의 제2 단부는 상기 주변 권선의 단부인 전기 발광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극은 권선 기점 및 주변 권선을 갖고, 상기 제1 전극의 제1 단부는 상기 권선 기점이며, 상기 제2 전극의 제2 단부는 상기 권선 기점인 전기 발광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발광층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인 전기 발광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발광층은 구조화되는 전기 발광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발광층은 권선들로서 구조화되는 전기 발광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접속부는 상기 권선들의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전기 발광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발광 장치는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기판은 유리, 플라스틱 또는 포일인 전기 발광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복수의 전기 발광 장치들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기 발광 장치 및 인덕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인덕터는 상기 전기 발광 장치의 영역에 전자기장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기장은 상기 전기 발광 장치에서 전류를 유도하는 시스템.
  15. 전기 발광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기 발광 장치는,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 전기 발광층 및 상호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호접속부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을 접속하고,
    상기 2개의 전극층들은 권선들로서 구조화되고,
    상기 전기 발광층은 상기 2개의 전극층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호접속부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는 방법.
KR1020127008905A 2009-09-07 2010-08-30 무선 전기 발광 장치 KR101688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69582 2009-09-07
EP09169582.5 2009-09-07
PCT/IB2010/053877 WO2011027280A1 (en) 2009-09-07 2010-08-30 Wireless electroluminescen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020A true KR20120068020A (ko) 2012-06-26
KR101688678B1 KR101688678B1 (ko) 2016-12-21

Family

ID=4333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905A KR101688678B1 (ko) 2009-09-07 2010-08-30 무선 전기 발광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86188B2 (ko)
EP (1) EP2476136A1 (ko)
JP (1) JP5624142B2 (ko)
KR (1) KR101688678B1 (ko)
CN (1) CN102484122B (ko)
TW (1) TWI527499B (ko)
WO (1) WO201102728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400A (ko) * 2019-04-04 2020-10-14 주성엔지니어링(주) 무선 수신 코일 일체형 oled 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21034088A1 (ko) * 2019-08-20 2021-02-25 스템코 주식회사 코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4142B2 (ja) * 2009-09-07 2014-11-1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ワイヤレス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装置
EP2603730A2 (en) 2010-08-13 2013-06-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ductively powered gas-tight electroluminescent device
IN2014CN03096A (ko) * 2011-10-26 2015-07-03 Koninkl Philips Nv
TW201411903A (zh) * 2012-09-07 2014-03-16 Ind Tech Res Inst 無線電力傳輸之可裁切有機發光二極體光源裝置
DE102015214666A1 (de) * 2015-07-31 2017-02-02 TRUMPF Hüttinger GmbH + Co. KG Induktor und Induktoranordnung
DE102015114010A1 (de) 2015-08-24 2017-03-0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s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s
DE102016105454A1 (de) * 2016-03-23 2017-09-28 Osram Oled Gmbh Organisches lichtemittierendes Bauelemen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organischen lichtemittierenden Bauelement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organischen lichtemittierenden Bauelements
TWI615057B (zh) * 2016-07-06 2018-02-11 綠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及其發光方法
TWI694550B (zh) * 2018-08-31 2020-05-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晶粒檢測方法及系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8598B1 (en) * 2001-12-21 2003-02-11 Epitech Corporation Ltd III-nitride LED having a spiral electrode
JP2007220624A (ja) * 2006-02-20 2007-08-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パネル、照明パネル用電源供給装置、及び照明装置
JP2007324598A (ja) * 2006-05-30 2007-12-13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有機発光素子、有機発光素子を有する装置および照明装置、ならびに有機発光素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6230B2 (ja) * 1995-11-14 2006-03-1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TW432896B (en) * 1997-10-15 2001-05-01 Siemens Ag Preparation of organic electroluminescencizing elements
JP2003043941A (ja) * 2001-07-27 2003-02-14 Sony Corp 表示装置
JP2005209429A (ja) * 2004-01-21 2005-08-04 Seiko Precision Inc Elシート及びその使用方法
JP5265540B2 (ja) 2006-07-21 2013-08-1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照明システム
US20090159677A1 (en) * 2007-12-20 2009-06-25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actless power and data transfer system and method
JP5624142B2 (ja) * 2009-09-07 2014-11-1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ワイヤレス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8598B1 (en) * 2001-12-21 2003-02-11 Epitech Corporation Ltd III-nitride LED having a spiral electrode
JP2007220624A (ja) * 2006-02-20 2007-08-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パネル、照明パネル用電源供給装置、及び照明装置
JP2007324598A (ja) * 2006-05-30 2007-12-13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有機発光素子、有機発光素子を有する装置および照明装置、ならびに有機発光素子の製造方法
US20080042558A1 (en) * 2006-05-30 2008-02-21 Dirk Buchhauser Organic light-emitting compon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400A (ko) * 2019-04-04 2020-10-14 주성엔지니어링(주) 무선 수신 코일 일체형 oled 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21034088A1 (ko) * 2019-08-20 2021-02-25 스템코 주식회사 코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27499B (zh) 2016-03-21
JP5624142B2 (ja) 2014-11-12
US8786188B2 (en) 2014-07-22
KR101688678B1 (ko) 2016-12-21
WO2011027280A1 (en) 2011-03-10
CN102484122A (zh) 2012-05-30
TW201119496A (en) 2011-06-01
CN102484122B (zh) 2015-05-13
EP2476136A1 (en) 2012-07-18
JP2013504156A (ja) 2013-02-04
US20120153826A1 (en)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678B1 (ko) 무선 전기 발광 장치
US9210762B2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US11108015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illumination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illumination device with spacers protruding from a second electrode
EP2693841A1 (en) Organic el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organic el illumination device
CN103733532A (zh) 利用电容性电力输送进行电力配送的大表面的导电层
KR20120014000A (ko) 저항성 상호 접속층을 갖는 세그먼트 전계 발광 소자
KR20110139248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세그먼트
US9386656B2 (en) Luminescent system and organic EL device
US10186903B2 (en) Electrical breakdown protection for a capacitive wireless powering system
JP6760608B2 (ja) 給電発光システム
CN113066939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9287135B (zh) 有机发光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096645B1 (ko) 전계발광소자 및 그를 포함하는 전계발광시트
WO2014187896A1 (en) Light-emitting device with alternating arrangement of anode pads and cathode pads
JP2007157418A (ja) 有機el装置および有機el装置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US20100187989A1 (en) In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