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645B1 - 전계발광소자 및 그를 포함하는 전계발광시트 - Google Patents

전계발광소자 및 그를 포함하는 전계발광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645B1
KR101096645B1 KR1020100004823A KR20100004823A KR101096645B1 KR 101096645 B1 KR101096645 B1 KR 101096645B1 KR 1020100004823 A KR1020100004823 A KR 1020100004823A KR 20100004823 A KR20100004823 A KR 20100004823A KR 101096645 B1 KR101096645 B1 KR 101096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cathode electrode
layer
anode electrod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183A (ko
Inventor
강완준
류치훈
Original Assignee
류치훈
강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치훈, 강완준 filed Critical 류치훈
Priority to KR1020100004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6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계발광소자 및 그를 포함하는 전계발광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음극전극층과 상기 음극전극층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투명의 양극전극층과 상기 양극전극층과 상기 음극전극층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양극전극층과 상기 음극전극층사이에 교류전압이 공급될 때 상기 양극전극층으로부터 주입되는 정공과 상기 음극전극층으로부터 주입되는 전자의 재결합 과정을 통해 발광동작이 일어나는 발광동작부를 갖는 전계발광소자와, 상기 전계발광소자를 둘러싸는 방수외피를 갖는 전계발광시트에 있어서, 상기 전계발광소자는 상기 양극전극층의 상측과 상기 음극전극층의 하측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서 상기 기판에 지지되고 다수의 보강층공을 갖도록 형성된 절연재질의 보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열발생을 억제하면서 휨에 의해 양극전극층과 음극전극층이 단선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계발광소자 및 그를 포함하는 전계발광시트{Electro-Luminescence and Electro-Luminescence Shee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계발광소자 및 그를 포함하는 전계발광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화합물 또는 무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낸다는 이른바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ce) 현상을 이용한 소자 및 그를 포함하는 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질과 응답속도가 우수하고 자체발광성으로서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는 전계발광소자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계발광소자는 휴대전화의 디스플레이, 의류, 완구 등에 부착되는 발광시트 등의 발광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7은 종래의 전계발광시트의 평면도이고, 도8은 종래의 전계발광시트의 기판과 하부보강층이 전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9는 종래의 전계발광시트의 기판과 하부보강층이 일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10은 도9에 도시된 "A"영역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전계발광시트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계발광소자(110)와, 전계발광소자(110)를 둘러싸는 방수외피(121)를 갖고 있다.
전계발광소자(110)는 기판(111)과, 기판(111)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음극전극층(112) 및 양극전극층(113)과, 양극전극층(113)과 음극전극층(112)사이에 배치된 발광동작부(116)와, 발광동작부(116)의 상측에 형성된 필터층(117)을 갖고 있다.
기판(11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 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방수성 재질로 제작된다.
음극전극층(112)은 8개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음극전극층(112)의 각 분할영역은 4개의 음극연결배선(112a)을 통해 커넥터(2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각 음극연결배선(112a)은 음극전극층(112)의 분할영역을 두 개씩 나누어 커넥터(201)에 연결하고 있다.
음극연결배선(112a)의 종단은 각 음극전극층(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극연결배선(112)의 종단을 제외한 구간과 음극전극층(112) 사이는 절연층(112b)에 의해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음극전극층(112)은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재질로 기판(111)의 상면에 증착한 후 패터닝하는 방법 또는 실크인쇄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양극전극층(113)은 음극전극층(112)과 동일한 형태의 8개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양극전극층(113)의 각 분할영역은 네 개의 양극연결배선(113a)을 통해 커넥터(2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각 양극연결배선(132a)은 양극전극층(113)의 분할영역을 두 개씩 나누어 커넥터(201)에 연결하고 있다.
양극연결배선(113a)의 종단은 각 양극전극층(1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양극연결배선(113)의 종단을 제외한 구간과 양극전극층(113) 사이는 절연층(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양극전극층(113)은 ITO(Indium Tin Oxide)을 발광동작부(116)의 상면에 증착한 후 패터닝하는 방법 또는 실크인쇄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발광동작부(116)는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무기전계발광재료(GaN, ZnS 등) 또는 유기전계발광재료(Alq3, Anthracene, perylene 유도체, PPV, PT유도체 등)을 사용하여 제작된 발광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발광동작부(116)는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등을 모두 또는 일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발광동작부(116)가 무기전계발광재료로 제작되는 경우 유전층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발광동작부(116)는 양극전극층(113)과 음극전극층(112)사이에 교류전압이 공급될 때 양극전극층(113)으로부터 주입되는 정공과 음극전극층(112)으로부터 주입되는 전자의 재결합 과정을 통해 발광동작이 일어난다.
필터층(117)은 음극전극층(112)과 동일한 형태의 8개 필터영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필터층(117)은 방수외피(121)의 상면에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할 수 있는 염료를 코팅하는 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방수외피(121)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 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방수성 재질로 제작되고, 둘레연부를 통해 기판(111)에 접착제결합방법, 고주파 가열 결합 방법 등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전계발광시트의 사용방법을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계발광시트(101)에는 커넥터(201)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전계발광시트(101)를 의복에 부착하고, 배터리(202), 피시비(도시되지 않음) 및 온오프버튼(203)을 의복에 설치한다. 피시비(도시되지 않음)에는 인버터(204), 스위칭회로부(205) 및 제어부(206)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칭회로부(205)는 제어부(206)에 연결되어 있고, 커넥터(201)를 통해 음극연결배선(112a)과 음극연결배선(11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206)는 음극연결배선(112a)중 어느 일방과 대응하는 양극연결배선(음극연결배선이 연결된 음극전극층의 분할영역에 대응하는 양극전극층의 분할영역에 연결된 양극연결배선)이 선택적으로 인버터(204)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회로부(205)를 제어한다. 제어부(206)의 제어동작은 온오프버튼(203)의 온조작시 음극연결배선(112a)과 대응하는 양극연결배선에 순차적으로 교류전압이 공급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온오프버튼(203)을 온상태로 조작하면 음극전극층(112)과 양극전극층(113)에 교류전압이 공급되고, 순차적으로 한 조의 필터영역을 통해 빛이 방출된다.
그런데 종래의 전계발광소자(110) 또는 전계발광시트(101)에 따르면 휨에 의해 양극전극층(113)과 음극전극층(112)이 단선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발생을 억제하면서 양극전극층과 음극전극층의 단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전계발광소자 및 그를 포함하는 전계발광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판과, 상기 기판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음극전극층과, 상기 음극전극층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투명의 양극전극층과, 상기 양극전극층과 상기 음극전극층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양극전극층과 상기 음극전극층사이에 교류전압이 공급될 때 상기 양극전극층으로부터 주입되는 정공과 상기 음극전극층으로부터 주입되는 전자의 재결합 과정을 통해 발광동작이 일어나는 발광동작부를 갖는 전계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양극전극층의 상측과 상기 음극전극층의 하측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서 상기 기판에 지지되고 다수의 보강층공을 갖도록 형성된 절연재질의 보강층을 포함하는 전계발광소자 또는 전계발광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와류손(Eddy Current Loss)의 발생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강층공은 정육각형 형태를 가지고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계발광시트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작이 용이해지도록, 상기 기판은 방수성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보강층은 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방수외피는 상기 전계발광소자의 상측영역을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층공이 형성된 보강층을 추가함으로써, 열발생을 억제하면서 휨에 의해 양극전극층과 음극전극층이 단선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시트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시트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시트의 기판과 하부보강층이 전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시트의 기판과 하부보강층이 일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5는 도4에 도시된 "A"영역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시트의 전원공급부를 도시한 저면도,
도7은 종래의 전계발광시트의 평면도,
도8은 종래의 전계발광시트의 기판과 하부보강층이 전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9는 종래의 전계발광시트의 기판과 하부보강층이 일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10은 도9에 도시된 "A"영역의 단면도,
도11은 종래의 전계발광시트의 전원공급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시트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시트의 평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시트의 기판과 하부보강층이 전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시트의 기판과 하부보강층이 일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5는 도4에 도시된 "A"영역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시트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계발광소자(10)와, 전계발광소자(10)를 둘러싸는 방수외피(21)를 갖고 있다.
전계발광소자(10)는 기판(11)과, 기판(11)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음극전극층(12) 및 양극전극층(13)과, 양극전극층(13)의 상측과 음극전극층(12)의 하측에 각각 배치된 상부보강층(14) 및 하부보강층(15)과, 양극전극층(13)과 음극전극층(12)사이에 배치된 발광동작부(16)와, 상부보강층(14)의 상측에 형성된 필터층(17)을 갖고 있다.
기판(1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 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방수성 재질로 제작된다.
음극전극층(12)은 8개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음극전극층(12)의 각 분할영역은 4개의 음극연결배선(12a)을 통해 커넥터(2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각 음극연결배선(12a)은 음극전극층(12)의 분할영역을 두 개씩 나누어 커넥터(201)에 연결하고 있다.
음극연결배선(12a)의 종단은 각 음극전극층(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극연결배선(12)의 종단을 제외한 구간과 음극전극층(12) 사이는 절연층(12b)에 의해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음극전극층(12)은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재질로 하부보강층(15)의 상면에 증착한 후 패터닝하는 방법 또는 실크인쇄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양극전극층(13)은 음극전극층(12)과 동일한 형태의 8개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양극전극층(13)의 각 분할영역은 네 개의 양극연결배선(13a)을 통해 커넥터(2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각 양극연결배선(32a)은 양극전극층(13)의 분할영역을 두 개씩 나누어 커넥터(201)에 연결하고 있다.
양극연결배선(13a)의 종단은 각 양극전극층(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양극연결배선(13)의 종단을 제외한 구간과 양극전극층(13) 사이는 절연층(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양극전극층(13)은 ITO(Indium Tin Oxide)을 상부보강층(14)의 상면에 증착한 후 패터닝하는 방법 또는 실크인쇄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부보강층(14)은 다수의 상부보강층공(도시되지 않음)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보강층공(도시되지 않음)은 정육각형 형태를 가지고,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보강층(14)은 실리콘, 에폭시(epoxy), 우레탄(Urethane) 등의 절연재질로 실크인쇄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하부보강층(15)은 다수의 하부보강층공(15a)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보강층공(15a)은 정육각형 형태를 가지고,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부보강층(15)은 상부보강층(14)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발광동작부(16)는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무기전계발광재료(GaN, ZnS 등) 또는 유기전계발광재료(Alq3, Anthracene, perylene 유도체, PPV, PT유도체 등)을 사용하여 제작된 발광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발광동작부(16)는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등을 모두 또는 일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발광동작부(16)가 무기전계발광재료로 제작되는 경우 유전층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발광동작부(16)는 양극전극층(13)과 음극전극층(12)사이에 교류전압이 공급될 때 양극전극층(13)으로부터 주입되는 정공과 음극전극층(12)으로부터 주입되는 전자의 재결합 과정을 통해 발광동작이 일어난다.
필터층(17)은 음극전극층(12)과 동일한 형태의 8개 필터영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필터층(17)은 방수외피(21)의 상면에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할 수 있는 염료를 코팅하는 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방수외피(21)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 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방수성 재질로 제작되고, 둘레연부를 통해 기판(11)에 접착제결합방법, 고주파 가열 결합 방법 등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시트의 사용방법을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계발광시트(1)에는 커넥터(201)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전계발광시트(1)를 의복에 부착한다. 상부보강층(14)과 하부보강층(15)은 의복에 부착된 전계발광시트(1)가 유(U)자, 브이(V)자 형태로 휘어질 때 전계발광시트(1)의 유연성(Flexibility)을 유지하면서 양극전극층(13), 음극전극층(12), 음극연결배선(12a) 및 양극연결배선(13a)이 단선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다음에 배터리(202), 피시비(도시되지 않음) 및 온오프버튼(203)을 의복에 설치한다. 피시비(도시되지 않음)에는 인버터(204), 스위칭회로부(205) 및 제어부(206)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칭회로부(205)는 제어부(206)에 연결되어 있고, 커넥터(201)를 통해 음극연결배선(12a)과 음극연결배선(1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206)는 음극연결배선(12a)중 어느 일방과 대응하는 양극연결배선(음극연결배선이 연결된 음극전극층의 분할영역에 대응하는 양극전극층의 분할영역에 연결된 양극연결배선)이 선택적으로 인버터(204)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회로부(205)를 제어한다. 제어부(206)의 제어동작은 온오프버튼(203)의 온조작시 음극연결배선(12a)과 대응하는 양극연결배선에 순차적으로 교류전압이 공급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온오프버튼(203)을 온상태로 조작하면 음극전극층(12)과 양극전극층(13)에 교류전압이 공급되고, 순차적으로 한 조의 필터영역을 통해 빛이 방출된다. 음극전극층(12)과 양극전극층(13)에 교류전압이 인가될 때 상부보강층공(도시되지 않음)과 하부보강층공(15a)에서는 와류손(Eddy Current Loss)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상부보강층(14)과 하부보강층(15)에서의 열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보강층(14)과 하부보강층(15)에서의 열발생이 감소되면 열에 의해 양극전극층(13), 음극전극층(12), 음극연결배선(12a) 및 양극연결배선(13a)이 단선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양극전극층(13)의 상측과 음극전극층(12)의 하측에 보강층(14, 15)을 형성하고 있으나, 양극전극층(13)의 상측과 음극전극층(12)의 하측 중 어느 일방에 보강층을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보강층공과 하부보강층공이 형성된 보강층(14, 15)을 추가함으로써, 열발생((와류손에 의한 열발생)을 억제하면서 휨에 의해 양극전극층(13)과 음극전극층(12)이 단선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정육각형 형태를 가지고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열되도록 하부보강층공과 상부보강층공을 형성함으로써, 휨에 의해 양극전극층(13)과 음극전극층(12)이 단선될 가능성을 줄이면서, 와류손(Eddy Current Loss)의 발생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기판(11)을 방수성 재질로 제작하고, 하부보강층(15)을 기판(11)의 상면에 형성함으로써, 전계발광시트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작이 용이해진다.
1, 101 : 전계발광시트 10, 110 : 전계발광소자
11, 111 : 기판 12, 112 : 음극전극층
13, 113 : 양극전극층 14, 15 : 보강층
16, 116 : 발광동작부 17, 117 : 필터층
21, 121 : 방수외피 201 : 커넥터
202 : 배터리 204 : 인버터
205 : 스위칭회로부 206 : 제어부

Claims (5)

  1. 기판과, 상기 기판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음극전극층과, 상기 음극전극층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투명의 양극전극층과, 상기 양극전극층과 상기 음극전극층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양극전극층과 상기 음극전극층사이에 교류전압이 공급될 때 상기 양극전극층으로부터 주입되는 정공과 상기 음극전극층으로부터 주입되는 전자의 재결합 과정을 통해 발광동작이 일어나는 발광동작부를 갖는 전계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양극전극층의 상측과 상기 음극전극층의 하측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서 상기 기판에 지지되고 다수의 보강층공을 갖도록 형성된 절연재질의 보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공은 정육각형 형태를 가지고,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3. 기판과, 상기 기판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음극전극층과 상기 음극전극층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투명의 양극전극층과 상기 양극전극층과 상기 음극전극층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양극전극층과 상기 음극전극층사이에 교류전압이 공급될 때 상기 양극전극층으로부터 주입되는 정공과 상기 음극전극층으로부터 주입되는 전자의 재결합 과정을 통해 발광동작이 일어나는 발광동작부를 갖는 전계발광소자와, 상기 전계발광소자를 둘러싸는 방수외피를 갖는 전계발광시트에 있어서,
    상기 전계발광소자는 상기 양극전극층의 상측과 상기 음극전극층의 하측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서 상기 기판에 지지되고 다수의 보강층공을 갖도록 형성된 절연재질의 보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방수성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보강층은 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방수외피는 상기 전계발광소자의 상측영역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시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공은 정육각형 형태를 가지고,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시트.
KR1020100004823A 2010-01-19 2010-01-19 전계발광소자 및 그를 포함하는 전계발광시트 KR101096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823A KR101096645B1 (ko) 2010-01-19 2010-01-19 전계발광소자 및 그를 포함하는 전계발광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823A KR101096645B1 (ko) 2010-01-19 2010-01-19 전계발광소자 및 그를 포함하는 전계발광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183A KR20110085183A (ko) 2011-07-27
KR101096645B1 true KR101096645B1 (ko) 2011-12-21

Family

ID=4492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823A KR101096645B1 (ko) 2010-01-19 2010-01-19 전계발광소자 및 그를 포함하는 전계발광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6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4878A (ja) 1997-11-10 1999-05-28 Hokkaido Gokin Chuzosho:Kk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4878A (ja) 1997-11-10 1999-05-28 Hokkaido Gokin Chuzosho:Kk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183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409B1 (ko) 유기 발광 조명 장치
EP2693841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illumination device
US9780321B2 (en) Organic EL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same, and organic EL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US20080088227A1 (en) Light emitting panel and light source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966556B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having a compensation resistance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electrode
US20110248309A1 (en) Organic-light-emitting-diode flat-panel light-sourc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70092142A (ko)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190280240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displays and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es
KR102581656B1 (ko)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1096923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ith conducting cover
KR101096645B1 (ko) 전계발광소자 및 그를 포함하는 전계발광시트
KR101403407B1 (ko) Oled 면광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401495B2 (en) Luminescent element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1867593B1 (ko) 발광 소자
KR10071775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2110786A (zh) 一种有机电致发光照明器件的布线方法
KR101903373B1 (ko) 발광장치
WO2011046262A1 (ko) 발광 소자,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및 조명 유닛
KR101911285B1 (ko) 발광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53822B1 (ko) 발광 소자
CN111384295B (zh) 有机发光装置
JP2009064562A (ja) 発光装置の製造方法及び発光装置
KR102399030B1 (ko)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861257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KR100796667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