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795A - 가스오븐레인지 - Google Patents

가스오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795A
KR20120066795A KR1020100128070A KR20100128070A KR20120066795A KR 20120066795 A KR20120066795 A KR 20120066795A KR 1020100128070 A KR1020100128070 A KR 1020100128070A KR 20100128070 A KR20100128070 A KR 20100128070A KR 20120066795 A KR20120066795 A KR 20120066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space
cooking
food
cook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2824B1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824B1/ko
Publication of KR20120066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24C3/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in baking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요리실의 공기 순환이 원활한 두 개의 요리실을 가지는 더블 가스오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제1요리실; 상기 제1요리실을 상하 공간으로 구획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여 그 상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1버너; 상기 제1요리실의 하측에 위치하여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제2요리실; 상기 제2요리실을 상하 공간으로 구획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여 그 상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2버너;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베이스흡기구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하는 제1유로;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요리실의 양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측면흡기구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 공기가 상방으로 유동하는 제2유로;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요리실의 내부 공간 전체로 공기가 순환됨으로써 요리실의 공기 유동이 원활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요리실의 공기 유동이 원활해짐으로써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면서 요리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스오븐레인지 {Gas oven rang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요리실의 공기 순환이 원활한 두 개의 요리실을 가지는 더블 가스오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가스오븐레인지는 가스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의 일종으로,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키면서 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열 및 복사열, 전도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조리기기이다.
상기 가스오븐레인지에는 개방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부분과 밀폐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부분이 제공되고, 필요에 따라 음식물을 데우거나 따뜻하게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부분이 더 제공되기도 한다.
또한, 밀폐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부분이 상부요리실과 하부요리실로 구분되어 각각의 요리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각각 제공됨으로써 음식물의 형태와 종류에 따라 적합한 요리실을 사용하여 요리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기도 한다.
어떠한 부분이든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하여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을 가열하는 버너가 제공되고, 상기 버너는 각 부분에 적합한 형태로 제공되어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을 가열하게 된다.
한편, 음식물의 요리를 위한 밀폐된 공간이 상부요리실과 하부요리실로 나누어지고, 각각의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는 구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요리실의 높이가 하부요리실의 높이 또는 하나의 요리실을 가지는 구성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구성됨으로써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아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한 구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부요리실의 낮은 높이로 인해 자연대류를 기초로 하는 음식물의 요리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요리실이 제공되어 각각의 요리실이 하나의 요리실로 구성되는 형태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요리실의 원활한 공기 유동이 가능한 가스오븐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제1요리실; 상기 제1요리실을 상하 공간으로 구획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여 그 상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1버너; 상기 제1요리실의 하측에 위치하여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제2요리실; 상기 제2요리실을 상하 공간으로 구획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여 그 상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2버너;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베이스흡기구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하는 제1유로;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요리실의 양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측면흡기구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 공기가 상방으로 유동하는 제2유로;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공간인 상부요리실;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공간인 하부요리실; 상기 상부요리실의 하측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제1버너; 상기 하부요리실의 하측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제2버너; 상기 상부요리실과 상기 하부요리실의 내부 공간을 상기 제1버너 또는 상기 제2버너가 위치하는 공간과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으로 구획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버너와 상기 제2버너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상기 요리실로 유동하는 제1유로를 형성하는 제1흡기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2버너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상기 요리실로 유동하는 제2유로를 형성하는 제2흡기구;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2버너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상기 요리실로 유동하는 제3유로를 형성하는 제3흡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에 의하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요리실의 내부에 제1유로와 제2유로를 포함하는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요리실의 내부 공간 전체로 공기가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요리실의 내부 공간 전체로 공기가 순환됨으로써 요리실의 공기 유동이 원활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요리실의 공기 유동이 원활해짐으로써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면서 요리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음식물의 균일한 가열과 요리에 의해 사용자의 요리 만족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요리실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의 요리 속도가 빨라지고,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의 베이스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의 베이스플레트 내부를 나타낸 도 3의 Ⅰ-Ⅰ'부 종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의 오븐부 내부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의 오븐부 내부 공기 유동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상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본체(1)에 의해 외형을 이루며, 상기 본체(1)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는 전체적으로 상단부에는 개방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쿡탑부(10)가 위치하고, 상기 쿡탑부(10)의 하측에는 밀폐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오븐부(20)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쿡탑부(10)의 후단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의 상면 후단부에는 제어부(50)가 설치되어 상기 쿡탑부(10)와 상기 오븐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쿡탑부(10)는 상기 본체(1)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개방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부분이다. 상기 쿡탑부(1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상면과 하면이 넓은 육면체의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쿡탑부(10)에는 다수의 쿡탑버너(13)가 제공된다. 상기 쿡탑버너(13)는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생성되는 화염으로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음식용기를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쿡탑부(10)는 개방된 공간에서 상기 쿡탑버너(13)에 의해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음식용기를 직접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부분이다.
상기 쿡탑버너(13)는 다수 개가 제공되며, 각각의 상기 쿡탑버너(13)는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종류 또는 양에 따라 적합한 상기 쿡탑버너(13)를 선택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쿡탑버너(13)가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면서 다수 개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음식물의 요리에 필요한 가스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쿡탑부(10)의 전단부에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상기 쿡탑버너(13)를 선택하여 동작시킬 수 있는 다수의 노브(15)가 설치된다. 상기 노브(15)는 제공되는 상기 쿡탑버너(13)의 수량과 대응되는 수량으로 제공되고, 상기 쿡탑버너(13)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동 여부 및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쿡탑부(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밸브(도시되지 않음)의 개폐 또는 개방 정도를 조절한다.
상기 쿡탑부(10)의 상면에는 상기 쿡탑버너(13)와 상기 쿡탑버너(13)에 의해 가열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음식용기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트리비트(14)가 제공된다. 상기 트리비트(14)는 하단부가 상기 쿡탑부(10)의 상면에 지지되고, 상단부가 음식물 또는 음식용기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음식물 또는 음식용기가 상기 쿡탑버너(13)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화염의 생성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트리비트(14)의 하측에는 상기 트리비트(14)를 지지하는 상판(11)이 위치하고, 상기 상판(11)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내열성이 강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의 쿡탑케이스(12)에 지지되면서 상기 쿡탑부(10)의 전체적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쿡탑부(10)의 하측, 상기 본체(1)의 중앙부에는 상기 오븐부(20)가 설치된다. 상기 오븐부(20)는 밀폐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부분으로, 상기 쿡탑부(10)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상대적으로 적은 부피의 음식물을 요리하는 공간인 제1요리실(31)을 가지는 제1오븐부(30)와, 상대적으로 큰 부피의 음식물을 요리하는 공간인 제2요리실(41)을 가지는 제2오븐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오븐부(30)의 전면에는 상기 제1요리실(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도어(32)가 설치되고, 상기 제1도어(32)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캐비티(33)가 위치한다.
상기 제1캐비티(33)의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1오븐부(30)의 요리 공간이 된다. 상기 제1캐비티(33)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패널에 의해 대략 직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전면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상기 캐비티(33)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패널에 의해 대략 직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전면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상기 요리실(31)에 위치할 수 있도록 출입 가능한 형태를 가진다.
상기 캐비티(33)의 전방에는 상기 캐비티(33)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도어(32)가 설치되고, 상기 제1도어(32)에 의해 상기 캐비티(33)의 선택적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도어(32)는 상기 캐비티(33)의 선택적 개폐를 위해 상기 본체(1)의 전면에 힌지로 결합되어, 후면 하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도어(32)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1도어(32)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파지하는 도어핸들(321)이 제공된다.
상기 제1도어(32)는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에 의해 상기 요리실을 개폐하는 구성도 가능하며, 측단부를 중심으로 측단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는 방식에 의해 상기 요리실을 개폐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제1도어(32)의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1도어(32)를 회동시키지 않고 상기 캐비티(33)의 내부 공간에서 음식물이 요리되는 상태 또는 요리의 진행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이 더 제공된다.
상기 제1오븐부(30)의 하측에는 상기 제1오븐부(30)보다 더 큰 대용량의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제2오븐부(40)가 설치된다. 상기 제2오븐부(40)에는 상기 제1오븐부(30)와 대응되는 구성인 제2요리실(41)과, 제2도어(42) 등의 구성을 가진다.
다만, 상기 제2요리실(41)은 상기 제1요리실(31)보다 더 큰 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대용량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균일한 음식물의 가열을 위해 상기 제2요리실(41) 내부 공간의 공기를 강제 대류시키는 컨벡션부가 더 제공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쿡탑부(10)의 후측, 상기 본체(1)의 상단 후단부에는 상기 본체(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전방에서 볼 때, 가로 방향으로 긴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본체(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이러한 상기 제어부(50)에는 사용자가 직접 상기 본체(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51)와 상기 조작부(51)에 의해 조작되는 상기 본체(1)의 동작 상태와 요리 진행 상태 등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여 주는 표시부(52)가 더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오븐부(30)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1오븐부(30)에는 상기 제1요리실(31)에 놓이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기 위한 제1버너(34)가 설치된다. 상기 제1버너(34)는 상기 제1요리실(31)에 놓이는 음식물을 상측에서 가열하기 위한 상부버너(341)와 하측에서 가열하기 위한 하부버너(34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요리실(31)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하부버너(342)가 놓이는 공간과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을 구획하는 베이스플레이트(60)가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요리실(31)을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하게 된다.
상기 제1요리실(31)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에 의해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되면, 상기 상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되며, 상기 하부 공간은 상기 하부버너(342)가 위치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기를 발생시키는 공간이 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는 중앙부가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그 중앙부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하부버너(342)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양쪽 측방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하측 공간 중앙부에 상기 하부버너(342)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위치하게 되고, 상기 하부버너(342)는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화염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하부버너(342)에서 생성되는 화염은 양 측방으로 발산되고, 양 측방으로 발산되는 화염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가 가열된다.
또한, 상기 하부버너(342)에서 발산되는 화염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 하부 공간의 공기가 가열되면서 뜨거운 공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하부 공간에 형성되는 뜨거운 공기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를 통과하여 상부 공간으로 유동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를 통과하는 뜨거운 공기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상부 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요리되고, 동시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 자체가 가열되면서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에는 상기 하부버너(342)에서 생성되는 화염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상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베이스흡기구(61)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흡기구(61)는 상기 하부버너(342)에서 가열된 공기가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으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게 되고, 상기 베이스흡기구(61)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하부 공간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상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제1유로(7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는 중앙부가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그 중앙부의 양 측방에 상기 베이스흡기구(61)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흡기구(61)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고 좌우 방향으로 좁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흡기구(61)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중앙부 양 측방에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형성되어 4개의 홀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흡기구(61)가 4개가 아닌 2개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흡기구(61)는 중앙부와 인접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직선 형태의 직선부(611)가 형성되고, 상기 직선부(611)의 전단부에서 측방 및 후방으로 일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부(612)가 형성되며, 상기 직선부(611)의 후단부에서 측방 및 전방으로 일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부(612)가 형성된다.
상기 곡선부(612)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가 서로 연결되면서 상기 베이스흡기구(61)가 홀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곡선부(612)는 상기 베이스흡기구(61)의 열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곡선부(612)가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일정 정도의 경사를 가지는 대각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도 가능하며, 도면에서 볼 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중앙부 우측에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흡기구(61)는 대략 "D"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 좌측에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흡기구(61)는 그 좌우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흡기구(61)의 상기 곡선부(612)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버너(652)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하측 공간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부(613)가 형성된다.
상기 제1안내부(613)는 상기 베이스흡기구(61)의 상기 곡선부(612) 하면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베이스흡기구(61)를 통화하는 공기가 측방으로 향하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중앙부 우측에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흡기구(61)의 상기 제1안내부(613)는 전방에서 볼 때 대략 "/"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앙부 좌측에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흡기구(61)의 상기 제1안내부(613)는 전방에서 볼 때 대략 "\"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하측 공간에서 가열된 뜨거운 공기는 상기 제1안내부(613)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베이스흡기구(61)를 통과하여 상기 제1요리실(31)의 측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흡기구(61)를 통과하여 상기 제1요리실(31)의 측방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가 제1유로(70)가 된다. 상기 제1유로(70)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제1요리실(31)의 측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캐비티(33)의 좌우 내측면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제1요리실(31)의 상면까지 유동하여 상기 제1요리실(31)의 공간을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전반부에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흡기구(61)를 전방흡기구로 명명할 수 있으며, 후반부에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흡기구(61)를 후방흡기구로 명명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양 측단부에는 측면흡기구(62)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흡기구(6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양쪽 측단부가 중앙부를 향하여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하방으로 펀칭되어 절곡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흡기구(6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가 상기 요리실(31)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양 측단부와 상기 캐비티(33)의 내측면 사이에서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 하측 공간의 공기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상측 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좌측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측면흡기구(6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좌측면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면흡기구(62)는 소정의 경사 각을 가지는 경사부(621)와 상기 경사부(621)의 사이를 잇는 평면부(6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사부(621)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한 지점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중앙부를 향하여 일정 정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622)가 전후 방향으로 상기 경사부(621)의 사이를 이으면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좌측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측면흡기구(62)는 상방에서 볼 때 대략 "〕" 형태로 형성되며, 우측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측면흡기구(62)는 상방에서 볼 때 대략 "〔"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621)는 상기 하부버너(342)에서 가열되는 열기에 의한 열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이러한 경사부와 상기 평면부(622)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안내부(623)가 제공된다.
상기 제2안내부(623)는 하방으로 수직 연장됨으로써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하측 공간에서 형성되는 뜨거운 공기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상측 공간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하측 공간에서 가열된 공기는 상기 제2안내부(623)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측면흡기구(62)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상측 공간으로 유동하는 제2유로(80)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제2유로(80)를 따라 유동하는 가열된 공기는 상기 캐비티(33)의 내측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요리실(31)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캐비티(33)의 상면을 형성하는 패널의 하면을 따라 중앙부로 유동하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상부 공간을 전체적으로 대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측면흡기구(62)는 상기 캐비티(33)의 내측면에 의해 그 일부를 이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에 의해 다른 부분이 형성되어 가열된 공기가 상방으로 유동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를 참조하여 상기 제1유로(70)와 상기 제2유로(80)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의 오븐부 내부 공기 유동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사용자가 상기 제1오븐부(30)를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하부버너(342)로 가스가 공급되고, 공급되는 가스가 연소되면서 상기 하부버너(342)는 화염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하부버너(342)에서 생성되는 화염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하측 공간에 위치하는 공기가 가열되고, 가열되는 공기는 상기 안내부(613,623)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베이스흡기구(61)와 상기 측면흡기구(62)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상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흡기구(6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가 상기 제1유로(70)가 되고, 상기 측면흡기구(6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가 상기 제2유로(80)가 된다. 상기 제1,2유로(70,8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상부 공간으로 유동하여 상기 캐비티(33)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제1요리실(31)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캐비티(33)의 상면패널 하면까지 유동한 다음 상기 상면패널의 중앙부로 유동하면서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상부 공간을 전체적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상부 공간을 전체적으로 유동하는 가열된 공기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상부 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흡기구(61)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 길이는 상기 측면흡기구(62)의 전체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전반부에 형성되는 상기 직선부(611)의 전단부로부터 후반부에 형성되는 상기 직선부(611)의 후단부까지 길이는 상기 측면흡기구(62)에 형성되는 상기 경사부(621)의 전단부에서 후단부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측면흡기구(62)의 전후 방향 길이가 상기 베이스흡기구(61)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은 상기 측면흡기구(6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상기 베이스흡기구(6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보다 더 빠르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베이스흡기구(6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보다 상기 측면흡기구(6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을 더 빠르게 하면 상기 제2유로(8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더 빠른 속도로 유동하여 상기 제1요리실(31)의 내부 공간을 전체적으로 대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의 전반부에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흡기구(61)를 전방흡기구 또는 제1흡기구, 후반부에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흡기구(61)를 후방흡기구 또는 제2흡기구로 명명할 수 있으며, 상기 측면흡기구(62)를 제3흡기구로 명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에 의하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의 공기가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유동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의 가열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요리시간의 단축 및 음식물의 균일한 요리가 가능한 효과를 비롯한 다양한 효과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를 생산 및 조립하는 산업에서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1. 본체 10. 쿡탑부
11. 상판 12. 쿡탑케이스
13. 쿡탑버너 14. 트리비트
15. 노브 20. 오븐부
30. 제1오븐부 31. 제1요리실
32. 제1도어 33. 캐비티
34. 제1버너 341. 상부버너
342. 하부버너 40. 제2오븐부
41. 제2요리실 42. 제2도어
50. 제어부 60. 베이스플레이트
61. 베이스흡기구 611. 직선부
612. 곡선부 613. 제1안내부
62. 측면흡기구 621. 경사부
622. 평면부 623. 제2안내부

Claims (8)

  1.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제1요리실;
    상기 제1요리실을 상하 공간으로 구획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여 그 상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1버너;
    상기 제1요리실의 하측에 위치하여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제2요리실;
    상기 제2요리실을 상하 공간으로 구획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여 그 상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2버너;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베이스흡기구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하는 제1유로;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요리실의 양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측면흡기구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 공기가 상방으로 유동하는 제2유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스오븐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흡기구와 상기 측면흡기구에는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가 형성되는 가스오븐레인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흡기구와 상기 측면흡기구에는 열 변형 방지를 위한 경사부가 형성되는 가스오븐레인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흡기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반부에 형성되는 전방흡기구와 후반부에 형성되는 후방흡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스오븐레인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흡기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우 방향 길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가스오븐레인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흡기구에 형성되는 상기 안내부는 상기 베이스흡기구를 통과한 공기가 측방으로 향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측면흡기구에 형성되는 상기 안내부는 상기 측면흡기구를 통과한 공기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가스오븐레인지.
  7.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공간인 상부요리실;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공간인 하부요리실;
    상기 상부요리실의 하측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제1버너;
    상기 하부요리실의 하측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제2버너;
    상기 상부요리실과 상기 하부요리실의 내부 공간을 상기 제1버너 또는 상기 제2버너가 위치하는 공간과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으로 구획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버너와 상기 제2버너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상기 요리실로 유동하는 제1유로를 형성하는 제1흡기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2버너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상기 요리실로 유동하는 제2유로를 형성하는 제2흡기구;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2버너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상기 요리실로 유동하는 제3유로를 형성하는 제3흡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스오븐레인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기구와 상기 제3흡기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흡기구의 전단부와 상기 제3흡기구의 후단부 사이 길이는 상기 제1흡기구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가스오븐레인지.
KR1020100128070A 2010-12-15 2010-12-15 가스오븐레인지 KR101742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070A KR101742824B1 (ko) 2010-12-15 2010-12-15 가스오븐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070A KR101742824B1 (ko) 2010-12-15 2010-12-15 가스오븐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795A true KR20120066795A (ko) 2012-06-25
KR101742824B1 KR101742824B1 (ko) 2017-06-01

Family

ID=46686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070A KR101742824B1 (ko) 2010-12-15 2010-12-15 가스오븐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8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266A (ko) * 2018-12-19 2020-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266A (ko) * 2018-12-19 2020-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824B1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70910A (ko) 전기오븐
CN110167403A (zh) 用于面包烤箱的热量分布构件和通气口
US8820311B2 (en) Oven range
KR101073238B1 (ko) 버너 및 조리기기
KR101428872B1 (ko) 가스 오븐 레인지
JP6694583B2 (ja) オーブントースター
KR20120066795A (ko) 가스오븐레인지
KR101469284B1 (ko) 오븐레인지
KR100686772B1 (ko) 전기오븐레인지
KR20100122025A (ko) 조리기기
US8770180B2 (en) Oven range
US20110186036A1 (en) Cooking Appliance
KR101073216B1 (ko) 버너 및 조리기기
KR101751059B1 (ko) 빌트인 타입 가스오븐레인지
US20110186034A1 (en) Cooking Appliance
KR101040427B1 (ko) 리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오븐레인지
JP2012125542A (ja) 直火加熱用調理器具
KR101724701B1 (ko) 가스 버너
WO2020244529A1 (zh) 具有组合的辐射炙烤与对流炙烤的烤箱设备
KR101460370B1 (ko) 오븐레인지
KR101082727B1 (ko) 가스오븐레인지
KR101067949B1 (ko) 리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오븐레인지
KR20060082249A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200380334Y1 (ko) 전기오븐의 안티팁브라켓 장착구조
KR101040458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오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