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884A -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 - Google Patents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884A
KR20120064884A KR1020100126142A KR20100126142A KR20120064884A KR 20120064884 A KR20120064884 A KR 20120064884A KR 1020100126142 A KR1020100126142 A KR 1020100126142A KR 20100126142 A KR20100126142 A KR 20100126142A KR 20120064884 A KR20120064884 A KR 20120064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weight
parts
bladder
thermal condu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6168B1 (ko
Inventor
김병호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1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64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1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5/00Compositions of rubber derivatives
    • C08L15/02Rubber derivative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Y02T10/86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원료고무인 할로겐화 부틸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아크릴 고무 50?90중량부, 아세틸렌 블랙 10?50중량부, 아민 0.1?5중량부, 아민 가교촉진제 0.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 상기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고무를 포함하는 타이어 블래더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는 열전도도 개선과 블래더 제조원가 감소를 통하여 그린타이어 가류 시간 단축 및 타이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블래더 제조원가 감소에 따른 타이어 제조 공정시의 소모품비 절감을 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Description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Bladder rubber composition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본 발명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원료고무인 할로겐화 부틸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아크릴 고무 50?90중량부, 아세틸렌 블랙 10?50중량부, 아민 0.1?5중량부, 아민 가교촉진제 0.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 상기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고무를 포함하는 타이어 블래더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타이어 가류공정에서 사용하는 타이어 블래더(bladder)용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세부적으로는 가류 반응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블래더의 열전도도 개선을 위하여 종래의 일반화된 원료고무인 부틸고무 이외에 아크릴계 고무로 대체 적용하여 판매단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도록 부틸고무와 혼용할 수 있는 블래더용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블래더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가류공정 내에서 금형 내부에 장착되어 내부 열원과 미가류된 그린타이어(2) 사이의 전열매체로 사용되면서 블래더(3) 내부로 공급되는 열원 및 압력을 미가류된 그린타이어(2)로 전달하여 미가류된 그린타이어(2)가 압착 및 가교 반응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류 전열 매체로 이용되는 고무 성형 제품이다.
따라서 미가류된 그린타이어(2)를 가류 금형(1)에 압착될 수 있도록 일정 수준 이상의 팽창률(신율, Elongation)과 빠른 가교 반응, 즉 생산성 향상을 위한 높은 열전도도를 갖도록 고무 조성물이 설계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타이어 가교 반응시에 가류 금형(1)의 온도는 170℃?180℃ 수준이지만 블래더(3) 내부로 공급되는 내부 열원(통상 스팀[steam]을 사용)의 온도는 200℃ 이상의 고온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류 반응의 속도, 즉 가류 생산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내부 열원을 미가류된 그린타이어(2)에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열전도도가 우수한 블래더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처럼 블래더의 열전도도를 개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타이어 산업의 과제이며 블래더의 열전도도 개선을 위해서 다양한 고무 및 부가 재료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블래더 고무를 제조하기 위해서 고온 및 열노화 안정성에 뛰어난 일반 부틸고무를 원료고무로 사용하며,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고무 조성을 위해서 첨가제의 하나로서 아세틸렌 블랙을 카본블랙과 함께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부틸고무를 기준으로 아세틸렌 블랙 및 카본블랙의 함량 조절만으로는 열전도도 개선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블래더의 열전도도 개선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의 원료 고무인 일반 부틸고무 이외에 다양한 종류의 원료고무로 대체 가능성 평가를 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중의 하나가 아크릴계 고무로의 전환이다. 그러나 아크릴계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열전도도의 개선을 가져올 수는 있으나 일반 부틸고무에 대비하여 고무 원료 단가가 약 4?5배 이상 비싸기 때문에 열전도도 상승에 의한 생산성 향상 효과 대비 블래더 소모품 비용 증가로 실효성이 거의 없다.
일반적으로 블래더 고무의 열전도도를 개선하면 타이어 가교시간이 감소되어 타이어 생산성이 향상되는데, 블래더 고무의 열전도도를 40% 개선하는 경우 타이어 가교시간이 감소에 따른 타이어 생산성을 5%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블래더 고무의 열전도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아세틸렌 블랙의 함유량을 증가시키고자 하나 아세틸렌의 함량을 무한정 증가시킬 수 없기 때문에 열전도도 개선에 한계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언급한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고무를 포함하는 타이어 블래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원료고무인 할로겐화 부틸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아크릴 고무 50?90중량부, 아세틸렌 블랙 10?50중량부, 아민 0.1?5중량부, 아민 가교촉진제 0.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 상기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고무를 포함하는 타이어 블래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는 열전도도 개선과 블래더 제조원가 감소를 통하여 그린타이어 가류 시간 단축 및 타이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블래더 제조원가 감소에 따른 타이어 제조 공정시의 소모품비 절감을 할 수 있다.
도 1은 타이어 가류 장치 및 가류용 블래더(bladder)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할로겐화 부틸고무 10?50중량부 및 폴리에틸렌아크릴 고무 50?90중량부로 이루어진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세틸렌 블랙 10?50중량부, 아민 0.1?5중량부, 아민 가교촉진제 0.1?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원료고무는 할로겐화 부틸고무 및 폴리에틸렌아크릴 고무가 혼합된 혼합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할로겐화 부틸고무는 클로로 부틸고무(chloro butyl rubber), 브로모 부틸고무(bromo butyl rubber)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원료고무의 한 성분으로 폴리에틸렌아크릴 고무는 하기 구조식(1)의 폴리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터폴리머(polyethylene methyl acrylate terpolymer)를 사용할 수 있다.
(CH2CH2)x-(CHCOOCH3CH2)y-(RCOOH)z...구조식(1)
상기 구조식(1)에서 R은 탄소수 1 내지 20개인 알킬기이고, x, y 및 z는 각각 1?10의 자연수이다.
상기에서 폴리에틸렌아크릴 고무는 에틸렌(ethylene)과 아크릴레이트(acrylate)의 공중합체로 말단에는 아민(amine)과 가교를 위하여 큐어 사이트(cure site)로 카르복실 그룹(carboxylic group)이 붙어 있기 때문에 일반 부틸과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며, 아민(amine)에 의해 경화(cure)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료고무를 100중량부 사용한다고 하였을 때 열전도성 개선 및 비용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할로겐화 부틸고무 10?50중량부 및 폴리에틸렌아크릴 고무 50?9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고무조성물의 열전도성 향상을 위해 아세틸렌 블랙(acetylene black)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아세틸렌 블랙은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5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아세틸렌 블랙을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미만 사용하면 아세틸렌 블랙을 사용하는 의미가 없으며, 5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열전도성 향상에 뚜렷한 효과의 상승이 없으며, 도리어 고무의 물성이 감소할 우려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아세틸렌 블랙은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5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에서 아세틸렌 블랙은 열전도도가 0.35?0.75w/m-K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은 블래더의 사용조건이 180℃ 이상, 대략적으로 180℃?220℃ 임을 가만하여 고온 특성의 개선을 위해 아민 가교 결합을 형성하도록 아민과 아민 가교촉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아민은 4,4-비스(α,α-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4,4-bis(α,α-dimethylbenzyl)diphenylamin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아민은 옥타데실아민(Octadecylamin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아민은 4,4-비스(α,α-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4,4-bis(α,α-dimethylbenzyl)diphenylamine) 및 옥타데실아민(Octadecylamine)이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된 아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아민 가교촉진제는 헥사메틸렌디아민 카바메이트(Hexamethylenediamine carbamat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아민 가교촉진제는 에틸렌디아민(Ethylenediamine, EDA)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아민 가교촉진제는 헥사메틸렌디아민(Hexamethylenediamine, HMDA)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아민 가교촉진제는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Triethylenetetramine, TETA)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아민 가교촉진제는 헥사메틸렌디아민 카바메이트(Hexamethylenediamine carbamate), 에틸렌디아민(Ethylenediamine, EDA), 헥사메틸렌디아민(Hexamethylenediamine, HMDA),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Triethylenetetramine, TETA)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아민 가교촉진제는 헥사메틸렌디아민 카바메이트(Hexamethylenediamine carbamate), 에틸렌디아민(Ethylenediamine, EDA), 헥사메틸렌디아민(Hexamethylenediamine, HMDA),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Triethylenetetramine, TETA)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이 각각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아민 가교촉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아미 및 아민 가교촉진제는 각각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아미 및 아민 가교촉진제를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미만 사용하거나 또는 5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아미 및 아민 가교촉진제를 사용하는 의미가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 아미 및 아민 가교촉진제는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은 고무의 물성 향상을 위해 첨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은 고무조성물의 물성 향상을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 5?30중량부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는 목분(wood powder)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목분은 10?200메쉬(mesh)로 분쇄된 목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는 유리섬유(class fiber)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유리섬유는 직경이 1?10㎛, 길이가 10?10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는 탄소섬유(carbon fiber)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탄소섬유는 직경이 1?10㎛, 길이가 10?10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는 탄소섬유(carbon fiber)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는 목분, 유리섬유, 탄소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2종 이상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다양한 성분, 함량 등의 조건에 의해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을 적용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의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원료고무, 아세틸렌블랙, 아민, 아민 가교제 이외에 종래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에 사용되는 활성제, 노화방지제, 공정오일, 가류제, 가류촉진제와 같은 각종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적의 선택하여 소정의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종래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성분으로서 본원발명의 필수 구성성분이 아니므로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고무를 함유하는 블래더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다음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브로모 부틸고무 20중량부 및 폴리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터폴리머(polyethylene methyl acrylate terpolymer) 고무 80중량부로 이루어진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테아린산(Stearic acid) 1.5중량부, 왁스(sunprax-652) 2중량부, 아민(4,4-비스(α,α-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4,4-bis(α,α-dimethylbenzyl)diphenylamine]) 2중량부, 카본블랙(N330[HAF]) 30중량부, 아세틸렌블랙 30중량부, 파라핀오일 5중량부를 밴버리 믹서에서 혼합하여 고무배합물을 얻었다.
상기의 고무배합물에 산화아연(ZnO) 5중량부, 아민 가교촉진제(헥사메틸렌디아민 카바메이트[Hexamethylenediamine carbamate]) 1.0중량부를 첨가하고 밴버리 믹서에서 고무배합물을 160℃에서 15분 동안 가류하여 고무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폴리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터폴리머(polyethylene methyl acrylate terpolymer)는 하기 구조식(1)로 나타낸 것을 사용하였다.
(CH2CH2)x-(CHCOOCH3CH2)y-(RCOOH)z...구조식(1)
상기 구조식(1)에서 R은 탄소수 2개인 알킬기[에틸기]이고, x, y 및 z는 각각 2의 자연수이다.
상기에서 아세틸렌블랙은 열전도도가 0.65w/m-K인 것을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에 고무성분의 조성을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브로모 부틸고무 30중량부 및 폴리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터폴리머(polyethylene methyl acrylate terpolymer) 고무 70중량부로 이루어진 원료고무 10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브로모 부틸고무 50중량부 및 폴리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터폴리머(polyethylene methyl acrylate terpolymer) 고무 50중량부로 이루어진 원료고무 10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원료고무인 브로모 부틸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테아린산(Stearic acid) 1.5중량부, 왁스(sunprax-652) 2중량부, 카본블랙(N330[HAF]) 60중량부, 파라핀오일 5중량부를 밴버리 믹서에서 혼합하여 고무배합물을 얻었다.
상기의 고무배합물에 산화아연(ZnO) 5중량부, 가류제로서 유황 2.0중량부 및 가류촉진제로서 N-터셔리-부틸-2-벤조티아질설펜아미드(N-t-butyl-2-benzothiazole sulfenamide, NS) 1.5중량부를 첨가하고 밴버리 믹서에서 고무배합물을 160℃에서 15분 동안 가류하여 고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원료고무로 폴리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터폴리머(polyethylene methyl acrylate terpolymer) 10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고무 및 비교예 1, 비교예 2에서 제조한 고무조성(단위:중량부)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브로모 부틸고무 100 - 20 30 50
PMAT* - 100 80 70 50
스테아린산 1.5 1.5 1.5 1.5 1.5
왁스 2.0 2.0 2.0 2.0 2.0
아민* - 2.0 2.0 2.0 2.0
카본블랙(N330) 60 30 30 30 30
아세틸렌블랙 - 30 30 30 30
파라핀오일 5.0 5.0 5.0 5.0 5.0
산화아연 5.0 5.0 5.0 5.0 5.0
아민 가교촉진제* - 1.0 1.0 1.0 1.0
유황 2.0 - - - -
가류촉진제(NS) 1.5 - - - -
*PMAT : 하기 구조식(1)의 폴리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터폴리머(polyethylene methyl acrylate terpolymer) 고무
(CH2CH2)x-(CHCOOCH3CH2)y-(RCOOH)z...구조식(1)[상기 구조식(1)에서 R은 탄소수 2개인 알킬기[에틸기]이고, x, y 및 z는 각각 2의 자연수이다.]
*아민 : 4,4-비스(α,α-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4,4-bis(α,α-dimethylbenzyl)diphenylamine]
* 아민 가교촉진제 : 헥사메틸렌디아민 카바메이트[Hexamethylenediamine carbamate]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고무 및 비교예 1, 비교예 2에서 제조한 고무에 대한 비용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고무 및 비교예 1, 비교예 2에서 제조한 고무의 비용분석
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재료비 원가(원) 3,396 10,713 9,315 8,616 7,217
인건비 및 판매이익(원) 3,604 3,604 3,604 3,604 3,604
제품 판매 단가(원) 7,000 14,317 12,918 12,219 10,821
비용 상승율(%) - 100 90 85 76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고무 및 비교예 1, 비교예 2에서 제조한 고무에 대한 인장물성(at 23℃), 인장물성(at 190℃), 열전도도를 ASTM 관련 규정에 의해 실시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고무 및 비교예 1, 비교예 2에서 제조한 고무의 비용분석
항목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인장물성
(at 23℃)
경도(shore A) 44.0 60.7 62.5 61.2 59.5
인장강도(MPa) 7.0 15.1 13.2 11.4 9.3
신율(%) 627.0 712.0 632.0 602.0 575.0
300% 모듈러스(MPa) 3.6 9.5 9.4 8.5 7.2
T.R(kN/m) 5.7 7.2 8.3 8.4 7.9
인장물성
(at 190℃)
인장강도(MPa) 2.1 4.0 3.8 3.8 2.4
신율(%) 252. 385.0 374.0 395.0
100% 모듈러스(MPa) 0.8 1.8 2.0 1.8 1.5
열전도도(w/m-K) 0.3 0.602 0.564 0.505 0.475
상기 표 2, 표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고무는 비교예 1, 비교예 2에서 제조한 고무와 대비시 인장물성이 우수하였다.
특히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고무에 비해 열전도도가 우수하였고, 비교예 2에서 제조한 고무에 비해 고무 제조 비용 측면에서 우수하여, 열전도 및 비용적 측면에서 고려시 본 발명의 고무조성물로 제조한 고무는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고무에 비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브로모 부틸고무 30중량부 및 폴리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터폴리머(polyethylene methyl acrylate terpolymer) 고무 70중량부로 이루어진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테아린산(Stearic acid) 1.5중량부, 왁스(sunprax-652) 2중량부, 아민(4,4-비스(α,α-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4,4-bis(α,α-dimethylbenzyl)diphenylamine]) 2중량부, 카본블랙(N330[HAF]) 30중량부, 아세틸렌블랙 30중량부, 파라핀오일 5중량부, 100메쉬(mesh)의 목분 10중량부를 밴버리 믹서에서 혼합하여 고무배합물을 얻었다.
상기의 고무배합물에 산화아연(ZnO) 5중량부, 아민 가교촉진제(헥사메틸렌디아민 카바메이트[Hexamethylenediamine carbamate]) 1.0중량부를 첨가하고 밴버리 믹서에서 고무배합물을 160℃에서 15분 동안 가류하여 고무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폴리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터폴리머(polyethylene methyl acrylate terpolymer)는 하기 구조식(1)로 나타낸 것을 사용하였다.
(CH2CH2)x-(CHCOOCH3CH2)y-(RCOOH)z...구조식(1)
상기 구조식(1)에서 R은 탄소수 2개인 알킬기[에틸기]이고, x, y 및 z는 각각 2의 자연수이다.
상기에서 아세틸렌블랙은 열전도도가 0.65w/m-K인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
목분 10중량부 대신 직경이 3±0.5㎛, 길이가 200±5㎛인 유리섬유(class fiber) 1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목분 10중량부 대신 직경이 2±0.5㎛, 길이가 100±5㎛인 탄소섬유(carbon fiber) 2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목분 10중량부 대신 유리섬유와 탄소섬유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무를 제조하였다. 이때 유리섬유는 직경이 3±0.5㎛, 길이가 200±5㎛인 유리섬유 10중량부를 사용하였고, 탄소섬유는 직경이 2±0.5㎛, 길이가 100±5㎛인 탄소섬유 10중량부를 사용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는 열전도도 개선과 블래더 제조원가 감소를 통하여 그린타이어 가류 시간 단축 및 타이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블래더 제조원가 감소에 따른 타이어 제조 공정시의 소모품비 절감을 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 : 가류 금형
2 : 미가류된 그린 타이어
3 : 블래더

Claims (3)

  1.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할로겐화 부틸고무 10?50중량부 및 폴리에틸렌아크릴 고무 50?90중량부로 이루어진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세틸렌 블랙 10?50중량부, 아민 0.1?5중량부, 아민 가교촉진제 0.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할로겐화 부틸고무는 클로로 부틸고무, 브로모 부틸고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고;
    폴리에틸렌아크릴 고무는 하기 구조식(1)의 폴리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터폴리머(polyethylene methyl acrylate terpolymer)이며;
    아세틸렌블랙은 열전도도가 0.35?0.75w/m-K인 것이며;
    아민은 4,4-비스(α,α-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4,4-bis(α,α-dimethylbenzyl)diphenylamine) 및 옥타데실아민(Octadecylamin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아민 가교촉진제는 헥사메틸렌디아민 카바메이트(Hexamethylenediamine carbamate), 에틸렌디아민(Ethylenediamine, EDA), 헥사메틸렌디아민(Hexamethylenediamine, HMDA) 및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Triethylenetetramine, TETA)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
    (CH2CH2)x-(CHCOOCH3CH2)y-(RCOOH)z...구조식(1)
    상기 구조식(1)에서 R은 탄소수 1 내지 20개인 알킬기이고, x, y 및 z는 각각 1?10의 자연수이다.
  3.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의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고무를 포함하는 타이어용 블래더.
KR1020100126142A 2010-12-10 2010-12-10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 KR101186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142A KR101186168B1 (ko) 2010-12-10 2010-12-10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142A KR101186168B1 (ko) 2010-12-10 2010-12-10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884A true KR20120064884A (ko) 2012-06-20
KR101186168B1 KR101186168B1 (ko) 2012-10-02

Family

ID=46684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142A KR101186168B1 (ko) 2010-12-10 2010-12-10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16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5691B2 (ja) 1998-12-25 2003-05-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ム組成物
JP2007161869A (ja) 2005-12-14 2007-06-28 Nok Corp シール材加硫成形用エチレン−アルキルアクリレート共重合ゴム組成物
JP2010090351A (ja) 2008-10-11 2010-04-22 Nok Corp アクリル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加硫成形されたシール部品
JP2010254908A (ja) * 2009-04-28 2010-11-11 Kaneka Corp 空気入り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6168B1 (ko)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230B1 (ko) 가황성 중합체 조성물
KR101636079B1 (ko) 가황성 중합체 조성물
JP5620510B2 (ja) クロロプレンゴム組成物及びその加硫物並びに成形体
CN1972996A (zh) 丙烯酸类橡胶组合物以及丙烯酸类橡胶交联物
CN105400088B (zh) 一种三元乙丙橡胶与氯丁橡胶共硫化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054200B (zh) 车用耐高温、耐磨损高分子减震橡胶及其制备方法、汽车排气管吊耳制备方法
CN1302068C (zh) 丙烯酸橡胶组合物以及交联物
KR101326558B1 (ko) 비석면 시트 및 가스켓의 조성물
EP2033989B1 (en) Safer curing systems for acrylic rubbers compounds
CN1649909A (zh) 制造硫化乙烯丙烯酸类和聚丙烯酸酯弹性体的方法
KR101745213B1 (ko) 엔진 마운트용 방진고무 조성물
CN103154040B (zh) 用于弹性体的促进剂组合物
KR101186168B1 (ko)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조성물
EP3252100B1 (en) Rubber composition for vibration damping rubbers
KR100888134B1 (ko) 공정성이 향상된 비드 필러 고무조성물
KR100812840B1 (ko)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
KR101174389B1 (ko) 이형 효과를 개선시킨 가류 블래더용 고무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14232B1 (ko) 엔진 오일펌프용 오링의 고무 조성물
KR20120019272A (ko) 자동차 공기흡입구 호스용 epdm 고무 조성물
JP2004043664A (ja) ゴム組成物、未加硫ゴム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53758B1 (ko) 오링용 고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77210A (ko) 타이어 가류 블래더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류 블래더
KR102417538B1 (ko) 고강성 엔진 마운트용 고무 조성물
JP2008303234A (ja) 未加硫ゴム組成物および加硫ゴム
KR20040012062A (ko)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