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840B1 -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 - Google Patents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840B1
KR100812840B1 KR1020070016278A KR20070016278A KR100812840B1 KR 100812840 B1 KR100812840 B1 KR 100812840B1 KR 1020070016278 A KR1020070016278 A KR 1020070016278A KR 20070016278 A KR20070016278 A KR 20070016278A KR 100812840 B1 KR100812840 B1 KR 100812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phr
rubber composition
tire
cn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영
민호
송한석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6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6Carbon nanorods, nanowires, nanoplatelets or nano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2Adsorbed ingredients, e.g. ingredients on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담지체에서 성장시킨 카본 나노파이버를 적용하므로써 열전도성을 향상시켜 열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블레더, 블레더, 열전도성, 카본 나노파이버(CNF)

Description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A RUBBER COMPOSITION FOR TIRE BLADDER}
본 발명은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담지체에서 성장시킨 카본 나노파이버를 적용하므로써 열전도성을 향상시켜 열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인 고무는 열전도 특성에서는 매우 낮은 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타이어 제조시 가류 공정에서 가류를 하는 매개체로 타이어의 외부와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켜서 가류를 행하고 있다. 이때 내부에 열을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로 블레더를 사용하고 있지만, 블레더는 고무 조성물이기에 열전달을 원활하게 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었다.
그러한 이유로 한국특허출원 10-1999-0017265에서는 타이어 가류용 블레더 고무 조성물의 열전도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흑연을 첨가하였다. 또한, 한국특허출원 10-2002-0073217에서는 표면적이 1000~1250㎡/g이고, DBP 흡착가가 360~460 cc/100g인 구조가 발달한 퍼니스 카본블랙을 첨가하여 타이어 가류용 블레더 고무 조성물의 열전도성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여전히 가류용 블레더 고무 조성물의 열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다 효율적인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에 담지체에서 성장시킨 카본 나노파이버를 적용하므로써 열전도성을 향상시켜 열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키고 가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은 원료고무 100phr에 대하여 카본블랙 0.1~50phr, 아세틸렌블랙 0.1~50phr, 담지체에서 성장시킨 카본 나노파이버(이하, CNF라 한다) 0.1~100phr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원료고무는 종래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의 원료고무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로서 부틸고무, 브로모 부틸고무, 클로로 부틸고무, 네오프렌 고무 각각 또는 이들의 둘 이상을 혼합시킨 혼합고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본블랙은 0.1~50phr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50phr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카본블랙의 함량이 0.1phr 미만인 경우에는 고무 조성물이 충분한 보강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50phr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무 조성물의 물성이 하락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세틸렌블랙은 0.1~50phr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50phr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세틸렌블랙의 함량이 0.1phr 미만인 경우에는 고무 조성물의 충분한 보강효과와 열전도도 개선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50phr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무 조성물의 물성이 하락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담지체에서 성장시킨 CNF는, CNF의 원료가 되는 하이드로카본 기체를 고온에서 촉매반응시켜 CNF를 제조하는 통상의 CNF 제조과정에서 촉매 반응을 조정하기 위해서 담지체로서 카본블랙 또는 실리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담지체에서 성장시킨 CNF에 있어서, 담지체와 CNF의 합계중량 중 CNF의 함량은 5~99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담지체에서 성장시킨 CNF의 함량은 0.1~100phr인 것이 바람직한데, 0.1phr 미만인 경우에는 고무 조성물의 열전도도 개선효과를 충분히 나타내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100phr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무 조성물의 물성이 하락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고무 조성물에는 통상적인 고무 조성물용 첨가제들, 예로서 공정조제, 스테아린산, 오일, 왁스, 레진, 산화아연 등의 첨가제들을 적절히 선택하여 첨가할 수 있으며, 이들 첨가제들의 선택 및 사용량은 당 분야에서는 공지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각각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가류시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고무 시편을 각각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각각의 고무 시편을 ASTM 관련 규정에 의하여 경도, 300% 모듈러스, 인장강도, 신장율, 열전도도에 대한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단위:phr)
구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부틸고무 100 100 100 100 100
카본블랙 30 30 30 30 30
아세틸렌블랙 30 30 30 30 30
1)CNF 1 0 5 10 0 0
2)CNF 2 0 0 0 5 10
3)공정조제 5 5 5 5 5
스테아린산 2 2 2 2 2
오일 5 5 5 5 5
왁스 2 2 2 2 2
4)레진 7 7 7 7 7
산화아연 5 5 5 5 5
주)
1) CNF 1 : 카본블랙 담지체에서 성장시킨 CNF
2) CNF 2 : 실리카 담지체에서 성장시킨 CNF
3) 공정조제 : STRUKTOL-40MS
4) 레진 : SP 1045 레진
[표 2]
(단위:상대지수)
구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물성 경도 100 100 103 102 105
300% 모듈러스 100 103 104 105 106
인장강도 100 102 100 102 99
신장율 100 100 101 101 100
열전도성 Heat Conductivy 100 112 126 109 128
*지수는 높을수록 유리한 수치임
상기 표 2의 결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담지체에서 성장시킨 CNF를 함유한 실시예들의 고무는 그렇지 않은 비교예의 고무에 비해서 기본 물성을 동등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열전도성능을 9~28%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은 담지체에서 성장시킨 CNF를 적절히 적용함으로써 종래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에 비해 동등 수준 이상의 물성 특성을 가지면서도 열전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원료고무 100phr에 대하여 카본블랙 0.1~50phr, 아세틸렌블랙 0.1~50phr, 담지체에서 성장시킨 카본 나노파이버 0.1~100phr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체는 카본블랙 또는 실리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
KR1020070016278A 2007-02-16 2007-02-16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 KR100812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278A KR100812840B1 (ko) 2007-02-16 2007-02-16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278A KR100812840B1 (ko) 2007-02-16 2007-02-16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840B1 true KR100812840B1 (ko) 2008-03-11

Family

ID=39398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278A KR100812840B1 (ko) 2007-02-16 2007-02-16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8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993B1 (ko) 2008-03-18 2009-04-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탄소나노섬유/카본블랙 복합재를 포함하는 타이어인너라이너 고무조성물
CN102731918A (zh) * 2012-07-20 2012-10-17 浙江华和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子午轮胎胶囊及其制备方法
CN109401184A (zh) * 2018-11-02 2019-03-01 永橡胶有限公司 一种预分散树脂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125A (ko) * 1996-11-12 1998-08-05 홍건희 고내열성 및 고열전도성을 갖는 타이어의 가류 블래더용 고무 조성물
KR20000056346A (ko) * 1999-02-19 2000-09-15 신형인 열전도도를 증가시킨 블래더 고무화합물
KR20040012062A (ko) * 2002-07-31 2004-02-1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 조성물
JP2004231861A (ja) 2003-01-31 2004-08-19 Nissin Kogyo Co Ltd トレッドゴムおよび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125A (ko) * 1996-11-12 1998-08-05 홍건희 고내열성 및 고열전도성을 갖는 타이어의 가류 블래더용 고무 조성물
KR20000056346A (ko) * 1999-02-19 2000-09-15 신형인 열전도도를 증가시킨 블래더 고무화합물
KR20040012062A (ko) * 2002-07-31 2004-02-1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블래더용 고무 조성물
JP2004231861A (ja) 2003-01-31 2004-08-19 Nissin Kogyo Co Ltd トレッドゴムおよび空気入りタイ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993B1 (ko) 2008-03-18 2009-04-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탄소나노섬유/카본블랙 복합재를 포함하는 타이어인너라이너 고무조성물
CN102731918A (zh) * 2012-07-20 2012-10-17 浙江华和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子午轮胎胶囊及其制备方法
CN102731918B (zh) * 2012-07-20 2013-11-20 浙江华和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子午轮胎胶囊及其制备方法
CN109401184A (zh) * 2018-11-02 2019-03-01 永橡胶有限公司 一种预分散树脂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0204A1 (en) Rubber composite composition for highly thermally conductive bladder comprising carbon nanotubes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CN105175911B (zh) 一种耐候耐老化板式橡胶支座用橡胶材料
CN107459719A (zh) 一种共混改性三元乙丙橡胶
KR100812840B1 (ko)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
KR100871990B1 (ko) 카르복실레이티드 액상 이소프렌 고무를 포함하는 타이어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720781B1 (ko)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KR20130034126A (ko) 내마모성이 향상된 친환경 타이어 고무 조성물
KR20180016077A (ko) 보강성이 향상된 타이어 트레드 고무 조성물
KR20100035193A (ko) 저발열 타이어 언더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KR100635603B1 (ko)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 고무조성물
KR101703455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KR100837081B1 (ko) 열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가류 브래더용 고무 조성물과그 혼합 방법
KR101174389B1 (ko) 이형 효과를 개선시킨 가류 블래더용 고무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14755B1 (ko) 열전도성이 우수한 브래더용 고무화합물
KR20160046359A (ko)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 고무 조성물
KR20160004487A (ko) 그래핀옥사이드/개질 고무 복합체를 적용한 인너라이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JP4979055B2 (ja) ゴム材料、それを用いたゴム組成物及び架橋ゴム
KR102242185B1 (ko) 열전도성 및 내피로성이 향상된 바이어스 타이어 가류용 브래더 고무조성물
KR20160069214A (ko) 저연비 성능이 향상된 타이어 고무 조성물
KR101511666B1 (ko) 가류 블래더용 고무의 제조방법
KR100578097B1 (ko) 내열성이 우수한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조성물
KR100833782B1 (ko) 열전도성이 향상된 고무조성물
KR102417538B1 (ko) 고강성 엔진 마운트용 고무 조성물
KR101936540B1 (ko) 저발열 언더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KR102226802B1 (ko) 페달 시뮬레이터용 댐퍼의 고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