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1827A - 전지 팩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지 팩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1827A
KR20120061827A KR1020127003386A KR20127003386A KR20120061827A KR 20120061827 A KR20120061827 A KR 20120061827A KR 1020127003386 A KR1020127003386 A KR 1020127003386A KR 20127003386 A KR20127003386 A KR 20127003386A KR 20120061827 A KR20120061827 A KR 20120061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crew
substrate
covering
cove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오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61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sealing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 회로 기판(프린트 기판) 등으로 구성되는 안전 부재를 탑재하고, 전지의 극과 상기 기판이 접속 부재를 거쳐서 접속되는 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지 팩의 제조에 있어서, 보호 회로 기판과 전지 사이에 배설되는 접속 부재를 상기 기판 및 전지의 쌍방에 용접에 의해 접속하여 제조하는 경우에, 조립 작업의 효율을 올리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지 팩의 안전 부재를, 배선을 갖는 프린트 기판(6)과, 해당 프린트 기판(6)에 고정되며 프린트 기판(6)의 배선과 전지(2)의 양 극(4, 5)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리드판(7,10)과, 전지(2)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리드판(7, 10)이 전지(2)의 양 극(4, 5)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보지하도록 리드판(7,10)을 가압하는 나사(12)를 구비하게 함으로써 상기 문제의 해결을 도모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지 팩 및 그 제조 방법{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과충전이나 과방전 등의 유인(誘因; 어떤 작용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검지되었을 때에, 열폭주나 내부 단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회로를 제어하는 안전 부재를 탑재한 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와, 전지의 열폭주나 내부 단락 등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안전 부재를 구비한 전지 팩이 알려져 있다. 상기 안전 부재는 기판과, 이 기판과 전지 사이에 마련되며 기판과 전지의 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은 베어셀(전지)과, 이 베어셀의 제 1, 제 2 전극 단자(극)에 연결된 제 1, 제 2 전극 리드(접속 부재)와, 이들 제 1, 제 2 전극 리드를 거쳐서 베어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보호 회로 기판(기판)을 구비한 배터리 팩을 개시한다. 상기 제 1, 제 2 전극 리드(접속 부재)는 베어셀(전지)의 제 1, 제 2 전극 단자(극)에 각각 용접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속 부재와 기판 사이의 접속도 용접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지만, 기판과 전지 사이에 배설되는 접속 부재가 기판 및 전지의 쌍방에 용접된 전지 팩을 제조하는 경우, 접속 부재의 상반되는 측에 기판 및 전지를 순차 용접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조립 작업의 효율을 올리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8-177156 호 공보(특히 단락[0036])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지 팩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지와, 상기 전지에 접속된 회로를 갖는 동시에 소정의 유인이 검지되었을 때에 상기 회로를 제어하는 안전 부재를 구비한 전지 팩으로서, 상기 안전 부재는, 상기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배선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고정되며, 상기 배선과 상기 전지의 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부재와, 소정의 나사 결합 대상물에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전지의 극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보지하는 나사를 구비하고 있는 전지 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지 팩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기판에 형성된 배선과 접속 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접속 부재와 상기 기판을 고정하는 제 1 고정 공정과, 상기 접속 부재가 전지의 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에, 상기 기판에 고정된 접속 부재를 배치하는 배치 공정과, 상기 배치 공정에서 배치된 기판 및 접속 부재를 덮도록, 피복 부재를 상기 전지에 장착하는 장착 공정과, 상기 전지에 장착된 피복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전지에 나사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피복 부재를 상기 전지에 고정하는 제 2 고정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 공정에서는, 상기 나사의 나사 결합에 따라 상기 피복 부재를 거쳐서 상기 접속 부재를 전지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전지의 극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보지되는 전지 팩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지 팩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기판에 형성된 배선과 접속 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접속 부재와 상기 기판을 고정하는 제 1 고정 공정과, 상기 접속 부재가 전지의 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에, 상기 기판에 고정된 접속 부재를 배치하는 배치 공정과, 상기 배치 공정에서 배치된 기판 및 접속 부재를 덮도록, 피복 부재를 상기 전지에 장착하는 장착 공정과, 상기 전지와 상기 피복 부재가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해당 전지와 피복 부재를 고정하는 제 2 고정 공정과, 상기 전지에 고정된 피복 부재를 관통하여 해당 피복 부재에 나사를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 결합 공정에서는, 상기 나사의 선단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접속 부재를 전지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전지의 극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보지되는 전지 팩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 팩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형태에 따른 리드판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실시형태에 따른 리드판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도 2에 상당하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도 2에 상당하는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성격의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 팩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지 팩(1)은 박판 형상의 전지(2)와, 이 전지(2)의 두께 방향(이하, 좌우 방향이라 칭함)과 직교하는 방향(이하, 상하 방향이라 칭함)을 향하는 단면(도 1의 상면)에 고정된 안전 부재(3)를 구비하고 있다.
전지(2)는 리튬 이온 배터리이다. 이 전지(2)는 위쪽을 향하는 단부면에 형성된 음극(4) 및 양극(5)을 갖고 있다. 이들 음극(4) 및 양극(5)은 각각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지(2)의 상단면의 좌우 양 가장자리부에는 위쪽으로 개방되는 한쌍의 암나사부(2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지(2)가 후술하는 나사(12)의 나사 결합 대상물에 해당한다.
안전 부재(3)는 전지(2)에 접속된 회로를 갖는 동시에 소정의 온도(유인)가 검지되었을 때에 상기 회로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안전 부재(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배선(도시 생략)이 프린트 된 프린트 기판(6)과, 이 프린트 기판(6)과 전지(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리드판(접속 부재)(7, 10)과, 소정의 온도가 검지되었을 때에 상기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부재(8)와, 이 제어 부재(8)와 전지(2) 사이에 마련된 절연판(9)과, 프린트 기판(6), 리드판(7, 10), 제어 부재(8) 및 절연판(9)을 덮는 피복 부재(11)와, 피복 부재(11)와 전지(2)를 고정하는 좌우 한쌍의 나사(12, 12)를 구비하고 있다.
리드판(7, 10)은 각각 1매의 금속판이 도 2의 깊이 방향으로 U자 형상으로 되접혀서 상하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 것이다. 각 리드판(7, 10)의 상측의 되접힘부는 프린트 기판(6)에 용접(고정)되어 있다. 또한, 리드판(7)의 하측의 되접힘부는 후술하는 제어 부재(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리드판(10)의 하측의 되접힘부는 상기 전지(2)의 양극(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부재(8)는, 상기 리드판(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리드부(8a)와, 이 리드부(8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기능 소자(8b)를 구비하고 있다. 기능 소자(8b)는 예컨대, 바이메탈 등으로 이루어지고, 안전 부재(3) 내부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로 되었을 때에 변형하며, 전지(2)의 음극(4)에 접촉한 상태에서 음극(4)으로부터 이격한 상태로 자세를 전환한다.
절연판(9)은 상기 제어 부재(8)의 리드부(8a) 및 기능 소자(8b)와 전지(2)의 상단면 사이에 마련되어, 이들 리드부(8a), 기능 소자(8b) 및 전지(2)의 단락을 저지한다.
피복 부재(11)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피복 부재(11)는 전지(2)의 상단면에 대응하는 크기의 천정판(11a)과, 이 천정판(11a)의 주연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벽(11b)과, 이 측벽(11b)의 내측에 마련된 좌우 한쌍의 지지부(11c, 11d)와, 상기 측벽(11b)에 마련된 카운터 보어(11e) 및 관통 삽입 구멍(11f)을 구비하고 있다. 이 피복 부재(11)는 상기 측벽(11b)의 하단면이 전지(2)의 상단면에 접촉한 상태로 해당 전지(2)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1c, 11d)는 각각 천정판(11a)과 측벽(11b)에 걸치는 동시에 천정판(11a)으로부터 아래로 돌출한다. 이들 지지부(11c, 11d)는, 각각 피복 부재(11)가 전지(2)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리드판(7, 10)이 탄성 변형한 상태가 될 때까지 프린트 기판(6)이 전지(2)측으로 가압되도록 프린트 기판(6)의 상면에 접촉하는 돌출 치수를 갖는다. 관통 삽입 구멍(11f)은 피복 부재(11)[측벽(11b)]를 상하로 관통하며, 나사(12)의 수나사부(12a)가 관통 삽입된다. 카운터 보어(11e)는 관통 삽입 구멍(11f)의 상부에서 해당 관통 삽입 구멍(11f)보다 큰 개구 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관통 삽입 구멍(11f)에 수나사부(12a)가 관통 삽입된 나사(12)의 헤드부(12b)는 카운터 보어(11e)에 수납된다.
나사(12)는 상기 관통 삽입 구멍(11f)을 통하여 피복 부재(11)를 위로부터 아래로 관통하며, 그 선단부[수나사부(12a)]가 전지(2)의 암나사부(2a)에 나사 결합한다. 이에 의해, 나사(12)는 피복 부재(11)와 전지(2)를 고정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12)가 전지(2)에 나사 결합한 상태에서는 피복 부재(11)의 지지부(11c, 11d)에 의해 프린트 기판(6)이 전지(2)측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프린트 기판(6)과 제어 부재(8)[리드부(8a)] 사이에서 리드판(7)이 탄성 변형하는 동시에, 프린트 기판(6)과 전지(2)[양극(5)] 사이에서 리드판(10)이 탄성 변형한다. 그리고, 이 나사(12)의 나사 결합에 의해, 리드판(7)과 제어 부재(8)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가 보지되는 동시에, 리드판(10)과 전지(2)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가 보지된다.
상기 피복 부재(11)의 카운터 보어(11e)에는 규제 부재(규제 수단)(30)가 마련되어 있다. 규제 부재(30)는 전지(2)에 나사 결합한 나사(12)에 대한 피복 부재(11)의 외측으로부터의 접촉을 규제한다. 구체적으로, 규제 부재(30)는 카운터 보어(11e) 내에 충전되며, 경화한 접착재로 이루어진다. 규제 부재(30)로서 카운터 보어(11e)를 막는 뚜껑 부재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전지 팩(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우선, 프린트 기판(6)의 배선과 상기 각 리드판(7, 1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해당 프린트 기판(6)과 각 리드판(7, 10)을 용접한다(제 1 고정 공정).
다음에, 전지(2)의 상면에 절연판(9)을 탑재하는 동시에, 제어 부재(8)의 기능 소자(8b)와 전지(2)의 음극(4)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절연판(9)의 위로부터 제어 부재(8)를 탑재한다.
그리고, 리드판(7)이 제어 부재(8)의 리드부(8a)에 접촉하는 동시에, 리드판(10)이 전지(2)의 양극(5)에 접촉하도록 전지(2) 상에 리드판(7, 10)을 배치(탑재)한다(배치 공정).
이와 같이 전지(2) 상에 탑재된 프린트 기판(6) 및 각 리드판(7, 10)을 덮도록, 피복 부재(11)를 전지(2)의 상단면에 장착한다(장착 공정). 그리고, 이들 피복 부재(11)와 전지(2)를 나사(12)에 의해 나사 결합하여 고정한다(제 2 고정 공정).
이 제 2 고정 공정에서는, 나사(12)의 나사 결합에 따라 피복 부재(11)를 거쳐서 각 리드판(7, 10)을 전지(2)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각 리드판(7, 10)은 전지(2)의 양 극(4, 5)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보지된다.
그리고, 피복 부재(11)의 카운터 보어(11e) 내에 규제 부재(30)로서 접착재를 충전한다. 이에 의해, 카운터 보어(11e) 내에서 경화한 접착재가 피복 부재(11)의 외측으로부터의 나사(12)에 대한 접촉을 규제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평탄한 하면을 갖는 각 리드판(7, 10)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리드판(7, 10)을 채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하는 리드판(7, 10)은, 1매의 금속판을 U자 형상으로 되접어서 형성된 본체부(14a)와, 이 본체부(14a)의 하측의 되접힘부의 하면으로부터 전지(2)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14b)를 갖는다. 이 돌출부(14b)는 대략 이등변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도 3에 도시하는 리드판(7, 10)을 채용한 경우, 금속판을 되접은 본체부(14a)가 탄성 변형하면서, 해당 본체부(14a)로부터 돌출한 돌출부(14b)를 전지(2) 또는 제어 부재(8)에 적극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리드판(7, 10)의 전지(2) 또는 제어 부재(8)에 대한 접촉 면적은 도 2에 도시하는 리드판(7, 10)의 접촉 면적보다 작다. 그 때문에, 전지(2) 또는 제어 부재(8)에 대한 각 리드판(7, 10)의 접촉압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리드판(7, 10)은 1매의 금속판을 U자형으로 되접어서 형성된 본체부(15a)와, 이 본체부(15a)의 하측의 되접힘부로부터 아래로 돌출하는 텅부(돌출부)(15b)를 갖는다. 이 텅부(15b)는 본체부(15a)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일부를 뚫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텅부(15b)는 본체부(15a)로부터 하방으로 접혀서 판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
도 4의 리드판(7, 10)을 채용한 경우, 금속판을 되접은 본체부(15a) 및 텅부(15b)가 탄성 변형하면서, 해당 텅부(15b)를 전지(2) 또는 제어 부재(8)에 적극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5a) 및 텅부(15b)는 각각 탄성 변형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본체부(15a)가 갖는 탄성 변형 기능을 생략한다는 관점에서, U자로 절곡되지 않은 평탄한 금속판에 텅부(15b)를 마련한 것을 상기 각 리드판(7, 10) 대신 채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리드판(7, 10)과 전지(2)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나사(12)의 나사 결합에 의해 보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지 팩(1)의 조립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린트 기판(6)과 리드판(7, 10)을 미리 고정하고 나사(12)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리드판(7)과 제어 부재(8)의 접속 상태 및 리드판(10)과 전지(2)의 접속 상태를 보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리드판(7, 10)의 상하 양측[전지(2)측 및 프린트 기판(6)측]에 용접을 실시한다는 번잡한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서 조립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피복 부재(11)와 전지(2)를 고정하는 나사(12)의 나사 결합에 따라 리드판(7, 10)이 전지(2)측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리드판(7, 10)을 전지(2)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나사(12)를 피복 부재(11)와 전지(2)를 고정하기 위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부품 점수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피복 부재(11)의 외측으로부터 나사(12)의 헤드부(12b)에의 접촉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30)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복 부재(11)의 외측으로부터 나사(12)를 느슨하게 하는 조작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리드판(7, 10)과 전지(2)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드판(7, 10)이 탄성 변형 가능하다. 이에 의해, 나사(12)의 나사 결합에 의해 리드판(7, 10)이 탄성 변형한 상태에서 전지(2)측으로 가압된다. 그 때문에, 전지 팩(1)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와 같이 리드판(7, 10)과 상대측의 부재[제어 부재(8), 전지(2)의 양극(5)] 사이의 거리가 변동했을 경우라도, 이 변동에 추종하여 리드판(7, 10)이 탄성 변형한다. 이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보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드판(7, 10)이 본체부(14a)와 이 본체부(14a)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14b)를 갖는다(도 3 참조). 이에 의해, 리드판(7, 10)을 전지(2)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리드판(7, 10)[본체부(14a)]의 의도하지 않는 부분이 상대측의 부재[제어 부재(8), 전지(2)]에 접촉하는 것을 피하고, 돌출부(14b)를 적극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드판(7, 10)의 일부인 돌출부(14b)를 상대측의 부재에 접촉시키고 있는 것에 의해 리드판(7, 10)의 전체를 접촉시키는 경우보다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리드판(7, 10)과 상대측의 부재의 접촉압을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부재(8)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전지(2)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에 제어 부재(8)에 의해 전지(2)와 프린트 기판(6)을 전기적으로 절단함으로써, 전지(2)의 열폭주 등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부재(8)를 거쳐서 리드판(7)과 전지(2)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도 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 팩은 상기 각 리드판(7, 10)을 대신하여 접속 단자(16, 17)를 갖는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접속 단자(16, 17)는 프린트 기판(6)의 하면에 실장된 본체부(18a)와, 이 본체부(18a)의 하면으로부터 전지(2)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18b)를 갖는다. 각 돌출부(18b)는 도면 외부의 리드부를 거쳐서 프린트 기판(6) 상의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나사(12)를 전지(2)의 암나사부(2a)에 나사 결합하는 것에 따라 피복 부재(11)를 거쳐서 접속 단자(16, 17)가 전지(2)측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접속 단자(16, 17)의 각 돌출부(18b)는 나사(12)에 의해 전지(2) 또는 제어 부재(8)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보지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도, 접속 단자(16, 17)가 전지(2)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8b)를 갖는다. 그 때문에, 접속 단자(16, 17)의 의도하지 않은 부위[예컨대, 본체부(18a)]가 상대측의 부재[제어 부재(8), 전지(2)]에 접촉하는 것을 피하고, 돌출부(18b)를 적극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접속 단자(16, 17)의 일부인 돌출부(18b)를 상대방의 부재[제어 부재(8), 전지(2)]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접속 단자(16, 17)의 전체를 접촉시키는 경우보다 전지(2)에 대한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접속 단자(16, 17)와 상대측의 부재의 접촉압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리드판(7, 10)(도 2 참조)을 대신하여 접속 단자(16, 17)를 채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하와 같은 이점이 있다.
조립하는 것만으로도,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이 간략해져서 자동화에 적절한 전지 팩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스폿 용접을 생략함으로써, 설비, 공정수의 삭감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에너지 삭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도 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 팩에서는 전지(2)와 피복 부재(11)가 테이프(2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점이 상기 각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또한, 테이프(24)에 의해 고정된 피복 부재(11)에 대하여 별도 나사(23)를 나사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접속 부재와 전지(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보지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복 부재(11)가 나사(23)의 나사 결합 대상물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 팩은 다음의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양극(5)이 전지(2)의 상단면의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는 점과, 상기 리드판(7)을 바꾸어 고정부(19) 및 리드판(20)을 갖는 점과, 상기 리드판(10)을 바꾸어 고정부(21) 및 리드판(22)을 갖는 점과, 제어 부재(8)의 리드부(8a) 및 절연판(9)이 전지(2)의 좌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있는 점과, 상기 관통 삽입 구멍(11f)을 대신하여 암나사부(11g)가 피복 부재(11)에 형성되어 있는 점과, 나사(12)를 바꾸어 나사(23)를 갖는 점과, 피복 부재(11)와 전지(2)가 테이프(고정 부재)(24)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점이다.
고정부(19) 및 리드판(20)은 본 실시형태의 접속 부재를 구성한다. 즉, 고정부(19)는 프린트 기판(6)에 프린트된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해당 프린트 기판(6)에 고정되어 있다. 리드판(20)은 고정부(19)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해당 고정부(19)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리드판(20)은 피복 부재(11)의 좌측의 측벽(11b)과 제어 부재(8)의 리드부(8a) 사이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고정부(21) 및 리드판(22)은 본 실시형태의 접속 부재를 구성한다. 즉, 고정부(21)는 프린트 기판(6)의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해당 프린트 기판(6)에 고정되어 있다. 리드판(22)은 고정부(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해당 고정부(2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리드판(22)은 피복 부재(11)의 우측의 측벽(11b)과 양극(5) 사이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부(19)와 리드판(20)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고정부(21)와 리드판(22)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테이프(24)는 전지(2)와 피복 부재(11)의 상하, 좌우, 전후 방향의 상대적인 이동을 규제한다. 구체적으로, 테이프(24)는 전지(2) 및 피복 부재(11)에 걸친 상태로 해당 전지(2) 및 피복 부재(11)의 측면에 감겨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운터 보어(11e)에 위로부터 삽입된 나사(23)를 피복 부재(11)의 암나사부(11g)에 나사 결합하면, 해당 피복 부재(11)로부터 아래로 나사(23)의 수나사부(23a)가 돌출한다. 이 수나사부(23a)에 의해 리드판(20, 22)은 제어 부재(8) 및 전지(2)에 대하여 가압된다.
이하, 도 7의 전지 팩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고정부(19, 21)와 리드판(20, 22)을 각각 고정한다. 고정부(19, 21)와 리드판(20, 22)을 일체로 구성했을 경우에는 이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다음에, 프린트 기판(6)의 배선과 고정부(19, 2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해당 프린트 기판(6)과 각 고정부(19, 21)를 용접한다(제 1 고정 공정).
다음에, 전지(2)의 상면에 절연판(9)을 탑재하는 동시에, 제어 부재(8)의 기능 소자(8b)와 전지(2)의 음극(4)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절연판(9)의 위로부터 제어 부재(8)를 탑재한다.
다음에, 리드판(20)이 제어 부재(8)의 리드부(8a)에 접촉하는 동시에, 리드판(22)이 전지(2)의 양극(5)에 접촉하도록 전지(2) 상에 리드판(20, 22)을 배치(탑재)한다(배치 공정).
다음에, 전지(2) 상에 탑재된 프린트 기판(6), 각 고정부(19, 21) 및 각 리드판(20, 22)을 덮도록 피복 부재(11)를 전지(2)의 상단면에 장착한다(장착 공정). 이어서, 이들 피복 부재(11) 및 전지(2)의 측면에 테이프(24)를 감음으로써 해당 피복 부재(11)와 전지(2)를 고정한다(제 2 고정 공정).
그리고, 피복 부재(11)의 암나사부(11g)에 대하여 위로부터 나사(23)를 나사 결합한다(나사 결합 공정). 이 나사 결합 공정에서는 나사(23)[수나사부(23a)]의 선단부의 이동에 따라 리드판(20, 22)을 전지(2)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리드판(20)은 제어 부재(8)의 리드부(8a)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보지되는 동시에, 리드판(22)은 전지(2)의 양극(5)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보지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프(24)에 의해 전지(2)에 고정된 피복 부재(11)의 암나사부(11g)에 나사(23)를 나사 결합한다. 이에 의해, 전지(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보지하도록 리드판(20, 22)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음극(4)에 대하여 제어 부재(8)를 거쳐서 접속 부재를 접속하는 동시에 양극(5)에 대하여 접속 부재를 직접 접속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각 실시형태와는 반대로, 음극(4)에 대하여 접속 부재를 접속하는 동시에 양극(5)에 대하여 제어 부재를 거쳐서 접속 부재를 접속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피복 부재(11)가 마련되어 있지만, 피복 부재(11)는 필수 구성은 아니다. 예컨대, 접속 부재와 전지(2)를 나사의 나사 결합에 의해 직접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구체적 실시형태에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 발명이 주로 포함되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지와, 상기 전지에 접속된 회로를 갖는 동시에 소정의 유인이 검지되었을 때에 상기 회로를 제어하는 안전 부재를 구비한 전지 팩으로서, 상기 안전 부재는, 상기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배선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고정되며, 상기 배선과 상기 전지의 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부재와, 소정의 나사 결합 대상물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전지의 극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보지하는 나사를 구비하고 있는 전지 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지 팩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기판에 형성된 배선과 접속 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접속 부재와 상기 기판을 고정하는 제 1 고정 공정과, 상기 접속 부재가 전지의 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에, 상기 기판에 고정된 접속 부재를 배치하는 배치 공정과, 상기 배치 공정에서 배치된 기판 및 접속 부재를 덮도록 피복 부재를 상기 전지에 장착하는 장착 공정과, 상기 전지에 장착된 피복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전지에 나사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피복 부재를 상기 전지에 고정하는 제 2 고정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 공정에서는, 상기 나사의 나사 결합에 따라 상기 피복 부재를 거쳐서 상기 접속 부재를 전지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전지의 극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보지되는 전지 팩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지 팩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기판에 형성된 배선과 접속 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접속 부재와 상기 기판을 고정하는 제 1 고정 공정과, 상기 접속 부재가 전지의 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에, 상기 기판에 고정된 접속 부재를 배치하는 배치 공정과, 상기 배치 공정에서 배치된 기판 및 접속 부재를 덮도록 피복 부재를 상기 전지에 장착하는 장착 공정과, 상기 전지와 상기 피복 부재가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해당 전지와 피복 부재를 고정하는 제 2 고정 공정과, 상기 전지에 고정된 피복 부재를 관통하여 해당 피복 부재에 나사를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 결합 공정에서는, 상기 나사의 선단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접속 부재를 전지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전지의 극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보지되는 전지 팩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들 발명에 의하면, 접속 부재와 전지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나사의 나사 결합에 의해 보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지 팩의 조립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판과 접속 부재를 미리 고정하고, 이 기판에 고정된 접속 부재를 전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되는 위치에 배치하여, 나사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접속 부재와 전지의 접속 상태를 보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접속 부재의 양측(전지측 및 기판측)에 용접을 실시한다는 번잡한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서 조립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전지 팩에 있어서, 상기 안전 부재는 상기 기판 및 상기 접속 부재를 피복하는 피복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나사는 상기 전지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피복 부재를 상기 전지에 고정하며, 상기 나사의 나사 결합에 따라 상기 피복 부재를 거쳐서 상기 기판이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접속 부재가 전지측으로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접속 부재를 전지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나사를 피복 부재와 전지를 고정하기 위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부품 점수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전지 팩에 있어서, 상기 나사는 수나사부와 헤드부를 갖고, 상기 피복 부재는, 상기 수나사부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 삽입 구멍과, 상기 헤드부를 수납하는 카운터 보어를 가지며, 상기 카운터 보어에는 상기 피복 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헤드부에의 접촉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규제 수단에 의해 나사의 헤드부에 접촉하는 것이 규제된다. 그 때문에, 피복 부재의 외측으로부터 나사를 느슨하게 하는 조작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부재와 전지의 극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지할 수 있다.
상기 전지 팩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나사의 나사 결합에 따라 상기 전지와 상기 기판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전지측으로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나사의 나사 결합에 의해 접속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한 상태로 해당 접속 부재가 전지측으로 가압된다. 그 때문에, 전지 팩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와 같이 접속 부재와 상대측의 부재 사이의 거리가 변동했을 경우라도, 이 변동에 추종하여 접속 부재가 탄성 변형한다. 이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확실히 보지할 수 있다.
상기 전지 팩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기판에 고정된 본체부와 이 본체부로부터 상기 전지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접속 부재가 전지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접속 부재를 전지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접속 부재의 의도하지 않은 부위(예컨대, 본체부)가 상대측의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피하고, 돌출부를 적극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접속 부재의 일부인 돌출부를 상대측의 부재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접속 부재의 전체를 접촉시키는 경우보다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접속 부재와 상대측의 부재의 접촉압을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전지 팩에 있어서, 상기 안전 부재는, 상기 전지의 극에 접속되어 상기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전지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에 상기 전지에의 접속 상태와 상기 전지로부터의 절단 상태를 전환하는 것에 의해 상기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나사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어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전지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에 제어 부재에 의해 전지에의 접속 상태와 전지로부터의 절단 상태를 전환하는 것에 의해, 전지의 열폭주 등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부재를 거쳐서 접속 부재와 전지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전지 팩에 있어서, 상기 안전 부재는, 상기 기판 및 상기 접속 부재를 피복하는 피복 부재와, 이 피복 부재를 상기 전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피복 부재에는 해당 피복 부재를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나사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마련되며, 상기 암나사부에 대한 나사 결합에 따라 상기 피복 부재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나사의 선단부에 의해 상기 접속 부재가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고정 부재에 의해 전지와 피복 부재를 고정한 후, 이 피복 부재의 암나사부에 나사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전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보지하도록 접속 부재를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 팩의 조립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1 : 전지 팩 2 : 전지
3 : 안전 부재 4 : 음극
5 : 양극 6 : 프린트 기판
7, 10 : 리드판 8 : 제어 부재
11 : 피복 부재 11a : 천정판
11b : 측벽 11e : 카운터 보어
11g : 암나사부 12 : 나사
12a : 수나사부 12b : 헤드부
14a : 본체부 14b : 돌출부
15a : 본체부 15b : 텅부
16 : 접속 단자 18a : 본체부
18b : 돌출부 19, 21 : 고정부
20, 22 : 리드판 24 : 테이프(고정 부재)
30 : 규제 부재(규제 수단)

Claims (9)

  1. 전지와, 상기 전지에 접속된 회로를 갖는 동시에 소정의 유인이 검지되었을 때에 상기 회로를 제어하는 안전 부재를 구비한 전지 팩에 있어서,
    상기 안전 부재는,
    상기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배선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고정되며, 상기 배선과 상기 전지의 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부재와,
    소정의 나사 결합 대상물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전지의 극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보지하는 나사를 구비하고 있는
    전지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부재는 상기 기판 및 상기 접속 부재를 피복하는 피복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나사는 상기 전지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피복 부재를 상기 전지에 고정하며,
    상기 나사의 나사 결합에 따라 상기 피복 부재를 거쳐서 상기 기판이 가압됨으로써, 상기 접속 부재가 전지측으로 가압되는
    전지 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는 수나사부와 헤드부를 갖고,
    상기 피복 부재는, 상기 수나사부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 삽입 구멍과, 상기 헤드부를 수납하는 카운터 보어를 가지며,
    상기 카운터 보어에는 상기 피복 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헤드부에의 접촉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전지 팩.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나사의 나사 결합에 따라 상기 전지와 상기 기판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전지측으로 가압되는
    전지 팩.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기판에 고정된 본체부와, 이 본체부로부터 상기 전지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있는
    전지 팩.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부재는, 상기 전지의 극에 접속되어 상기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전지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에 상기 전지에의 접속 상태와 상기 전지로부터의 절단 상태를 전환하는 것에 의해 상기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나사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어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지 팩.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부재는, 상기 기판 및 상기 접속 부재를 피복하는 피복 부재와, 이 피복 부재를 상기 전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피복 부재에는, 상기 피복 부재를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나사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마련되며,
    상기 암나사부에 대한 나사 결합에 따라 상기 피복 부재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나사의 선단부에 의해, 상기 접속 부재가 가압되는
    전지 팩.
  8. 전지 팩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판에 형성된 배선과 접속 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접속 부재와 상기 기판을 고정하는 제 1 고정 공정과,
    상기 접속 부재가 전지의 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에, 상기 기판에 고정된 접속 부재를 배치하는 배치 공정과,
    상기 배치 공정에서 배치된 기판 및 접속 부재를 덮도록, 피복 부재를 상기 전지에 장착하는 장착 공정과,
    상기 전지에 장착된 피복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전지에 나사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피복 부재를 상기 전지에 고정하는 제 2 고정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고정 공정에서는, 상기 나사의 나사 결합에 따라 상기 피복 부재를 거쳐서 상기 접속 부재를 전지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전지의 극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보지되는
    전지 팩의 제조 방법.
  9. 전지 팩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판에 형성된 배선과 접속 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접속 부재와 상기 기판을 고정하는 제 1 고정 공정과,
    상기 접속 부재가 전지의 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에, 상기 기판에 고정된 접속 부재를 배치하는 배치 공정과,
    상기 배치 공정에서 배치된 기판 및 접속 부재를 덮도록, 피복 부재를 상기 전지에 장착하는 장착 공정과,
    상기 전지와 상기 피복 부재가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전지와 피복 부재를 고정하는 제 2 고정 공정과,
    상기 전지에 고정된 피복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피복 부재에 나사를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 결합 공정에서는, 상기 나사의 선단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접속 부재를 전지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전지의 극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보지되는
    전지 팩의 제조 방법.
KR1020127003386A 2010-02-02 2011-01-18 전지 팩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618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21117 2010-02-02
JPJP-P-2010-021117 2010-02-02
PCT/JP2011/000220 WO2011096160A1 (ja) 2010-02-02 2011-01-18 電池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827A true KR20120061827A (ko) 2012-06-13

Family

ID=4435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386A KR20120061827A (ko) 2010-02-02 2011-01-18 전지 팩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129017A1 (ko)
JP (1) JP4870246B2 (ko)
KR (1) KR20120061827A (ko)
CN (1) CN102473882A (ko)
WO (1) WO20110961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3539A (zh) * 2012-11-19 2014-05-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断电方法及使用该断电方法的电子装置
US20140178717A1 (en) * 2012-12-26 2014-06-26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101986384B1 (ko) * 2013-01-07 2019-06-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모듈용 센싱어셈블리 및 상기 센싱어셈블리를 구비한 이차전지모듈
KR20150114987A (ko) * 2013-02-05 2015-10-13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펄스형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KR102249895B1 (ko) * 2014-03-31 2021-05-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상부 절연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US10177401B2 (en) 2014-11-20 2019-01-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establishing phys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a battery and a circuit
US11038231B2 (en) * 2016-01-25 2021-06-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pack array retention
US10027001B2 (en) * 2016-09-07 2018-07-17 Thunder Power New Energy Vehicle Development Company Limited Battery system
US10403943B2 (en) 2016-09-07 2019-09-03 Thunder Power New Energy Vehicle Development Company Limited Battery system
US10615395B2 (en) * 2017-05-10 2020-04-07 Apple Inc. Battery cap with cut-out sections
JP6647738B2 (ja) * 2017-06-12 2020-02-1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
CN109713544B (zh) * 2017-10-25 2021-02-2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装配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6343A1 (ja) * 2004-10-27 2006-05-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電池パック
JP4837278B2 (ja) * 2004-12-02 2011-12-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4568091B2 (ja) * 2004-11-16 2010-10-27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KR100858788B1 (ko) * 2006-10-23 2008-09-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제조공정성과 구조적 안정성의 이차전지 팩
KR100947972B1 (ko) * 2007-12-14 2010-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2009252373A (ja) * 2008-04-01 2009-10-29 Panasonic Corp 電池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70246B2 (ja) 2012-02-08
CN102473882A (zh) 2012-05-23
JPWO2011096160A1 (ja) 2013-06-10
WO2011096160A1 (ja) 2011-08-11
US20120129017A1 (en)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1827A (ko) 전지 팩 및 그 제조 방법
KR101975976B1 (ko) 배터리 커넥터 시스템의 버스 바
EP1760804B1 (en) No-welding contact type secondary battery
JP5945710B2 (ja) キャパシタモジュール
EP1568108B1 (en) Battery connector
JP2012526353A5 (ko)
EP2741347B1 (en) Top cap assembly
TWM468795U (zh) 排線連接器
JP5886600B2 (ja) ブレーカー及びブレーカーの製造方法
JP2013069491A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JP2013246977A (ja) ブレーカー及びそれを備えた安全回路並びに2次電池回路
CN110537294A (zh) 具有连接器的连接器装置及组装方法
WO2013001672A1 (ja) コンタクトおよびコネクタ
JP2012142631A (ja) 配線基板
JP5258990B1 (ja) コンタクト、コネクタ、および接続装置
KR101158810B1 (ko)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JP2012004106A (ja) バッテリーパックのコネクタ及びこれの結合方法
JP6398078B2 (ja) 蓄電ユニット
WO2007013262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JP2020187834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実装体
JP5046568B2 (ja) 電池パック
CN115332732A (zh) 汇流条模块
JP6865717B2 (ja) バスバと電線との接続構造、及び、バスバモジュール
WO2004055944A1 (ja) コネクタ
JP5329195B2 (ja) パック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