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390A -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390A
KR20120060390A KR1020100121857A KR20100121857A KR20120060390A KR 20120060390 A KR20120060390 A KR 20120060390A KR 1020100121857 A KR1020100121857 A KR 1020100121857A KR 20100121857 A KR20100121857 A KR 20100121857A KR 20120060390 A KR20120060390 A KR 20120060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
strength steel
ahss
yellowing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0491B1 (ko
Inventor
강명성
박진호
이현상
박종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21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491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23G3/023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by spra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C23G1/08Iron or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23G3/021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by dipping
    • C23G3/02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by dipping the objects following a helicoidal path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23G3/027Associated apparatus, e.g. for pretreating or after-treating
    • C23G3/028Associated apparatus, e.g. for pretreating or after-treating for thermal or mechanical pre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강도강이 이송되는 연속소둔로의 출측과 산세 탱크 사이에 위치된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강도강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초강도강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되어, 순수가 공급되는 분사 헤더들; 및 상기 분사 헤더들 상에서 상기 초강도강의 상면 또는 하면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초강도강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순수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는 연속소둔라인을 거친 초강도강에 수막을 형성하여 산세 공정에 의한 황변의 발생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YELLOWING OF AHSS}
본 발명은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속소둔라인 이후의 후처리 산세공정에 의한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소둔라인(CAL; continuous annealing line)에는 강판이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가열된 후에 냉각되어, 강판의 내부 조직이 고르게 되고 응력이 제거된다. 이로 인해, 강판은 가공가능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
최근에는 합금원소인 Mn, Si 등을 함유한 초강도강(AHSS; advanced high strength steel)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초강도강도 일반적인 강과 마찬가지로 변태강화를 위하여 연속소둔라인의 급랭구간에서 미스트 쿨링(mist cooling) 방식으로 냉각된다. 이로 인해, 초강도강 강판 상에는 산화 피막이 생성되어, 초강도강의 표면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산화 피막을 제거하기 위하여, 초강도강 강판은 연속소둔라인을 통과한 후에, 후처리 산세 공정이 이루어진다. 후처리 산세 공정은 초강도강 강판이 염산으로 채워진 산세 탱크에 투입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후처리 산세 공정을 통해 원래 달성하고자 하는 초강도강 강판의 산화 피막이 제거된다.
하지만, 초강도강은 Mn, Si 등과 같은 합금원소를 첨가하였기 때문에, 산에 대하여 일반적인 강보다 27배나 빠른 부식속도를 갖고, 더 큰 금속의 이온화 경향을 갖는다. 이로 인해, 초강도강이 산세 탱크에서 후처리 산세될 때, 산세 공정으로 인한 산 용액의 비산이 이루어져 초강도강을 이송시키는 롤의 표면을 부식시키고, 비산된 용액은 투입된 초강도강과 화학반응을 일으킨다. 또한, 산세과정에서 연기가 발생하여 초강도강의 표면에 접촉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현상으로 인하여, 산세 공정에서 초강도강은 점 모양의 황변이 발생하므로, 초강도강의 표면 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후처리 산세 공정에 의한 초강도강의 황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변의 생성에 따른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초강도강이 이송되는 연속소둔로의 출측과 산세 탱크 사이에 위치된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강도강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초강도강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되어, 순수가 공급되는 분사 헤더들; 및 상기 분사 헤더들 상에서 상기 초강도강의 상면 또는 하면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초강도강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순수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분사 노즐들에는 각각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는 상기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순수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분사 노즐들은 상기 산세 탱크를 향해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갖는다.
(1) 본 발명에 따른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는 연속소둔라인을 통과하여 산세 탱크로 이송되는 초강도강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된 분사 헤더들, 및 분사 헤더들 각각에 위치되어 순수를 분사시키는 분사 노즐들을 포함하여 초강도강의 상면 및 하면에 수막을 형성하고, 이런 초강도강이 산세 탱크에 투입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수막은 산세 탱크 내부에서 초강도강의 산세로 인해 발생되는 산의 비산, 연기의 접촉 및 손상된 롤로부터 초강도강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는 초강도강에 수막을 형성하여 황변 발생 요인으로부터 초강도강을 보호하여, 초강도강에 황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효과를 가진다.
(2) 본 발명에 따른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는 초강도강에 황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황변으로 인해 초강도강의 품질 저하를 방지한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가 공정 상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100)가 공정 상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100)는 분사 헤더(101)들 및 분사 노즐(102)들을 포함하고, 연속소둔라인의 출측(200)과 산세 탱크(300) 사이에 위치되어 연속소둔라인의 출측(200)으로부터 산세 탱크(300)로 이송되는 초강도강(10)의 표면에 순수를 분사하고, 강판(10)의 표면에 수막을 형성한다. 이때, 초강도강(10)은 스트립(strip) 형태로 이루어진다.
분사 헤더(101)들은 초강도강(10)의 폭방향을 따라 초강도강(1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되고, 내부에 순수가 공급된다. 초강도강(10)은 분사 헤더(101)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산세 탱크(300)로 이송된다.
분사 노즐(102)들은 각각의 분사 헤더(101) 상에서 초강도강(10)의 상면 또는 하면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분사 헤더(101)의 순수를 외부로 분사시킨다. 이로 인해, 분사된 순수는 초강도강(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도달하게 된다. 초강도강(10)의 상측에 위치된 분사 헤드(101)에 형성된 분사 노즐(102)들은 초강도강(10)의 상면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초강도강(10)의 상면에 순수를 분사시킨다. 또한, 초강도강(10)의 하측에 위치된 분사 헤드(101)에 형성된 분사 노즐(102)들은 초강도강(10)의 하면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초강도강(10)의 하면에 순수를 분사시킨다.
또한, 분사 노즐(102)들은 분사 헤더(101)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순수가 초강도강(10)의 폭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사되도록 한다. 분사 노즐(102)들 각각에는 밸브(121)가 설치된다. 밸브(121)는 분사 노즐(102)로부터 분사되는 순수의 양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분사 헤더(101)로 공급되는 순수의 양을 제어하는 분사 제어 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사 제어 장치도 분사 노즐(102)로부터 분사되는 순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속소둔라인(200)의 출측으로부터 이송되는 초강도강(10)은 상면 및 하면 모두에 수막이 형성된 상태로 산세 탱크(300)에 투입된다. 또한, 분사 노즐(102)들은 초강도강(10)의 상면 또는 하면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초강도강(10)의 이송방향을 따라 산세 탱크(300)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초강도강(10)에 형성된 수막은 이송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100)는 상면 및 하면 모두에 수막이 형성된 초강도강(10)을 산세 탱크(300)로 투입하도록 한다. 이때, 초강도강(10)에 형성된 수막은 산세 탱크(300) 내부에서 비산하는 산용액, 산 작용으로 인한 연기 및 손상된 롤 표면으로부터 초강도강(10)을 보호한다. 따라서,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100)는 황변을 유발하는 요인들로부터 초강도강(10)을 보호하여, 초강도강(10)에 황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초강도강(10)의 황편으로 인한 초강도강(10)의 품질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 101: 분사 헤더
102: 분사 노즐

Claims (3)

  1. 초강도강이 이송되는 연속소둔로의 출측과 산세 탱크 사이에 위치된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강도강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초강도강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되어, 순수가 공급되는 분사 헤더들; 및
    상기 분사 헤더들 상에서 상기 초강도강의 상면 또는 하면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초강도강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순수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들에는 각각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는 상기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순수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들은 상기 산세 탱크를 향해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
KR1020100121857A 2010-12-02 2010-12-02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 KR101220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857A KR101220491B1 (ko) 2010-12-02 2010-12-02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857A KR101220491B1 (ko) 2010-12-02 2010-12-02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390A true KR20120060390A (ko) 2012-06-12
KR101220491B1 KR101220491B1 (ko) 2013-01-10

Family

ID=4661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857A KR101220491B1 (ko) 2010-12-02 2010-12-02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49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6388B2 (ja) * 1993-05-28 1998-08-13 川崎製鉄株式会社 ステンレス研磨製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1149881A (ja) 1999-11-30 2001-06-05 Nisshin Steel Co Ltd メカニカルデスケーリング用リンガーロールへのスケール片付着防止方法及び装置
KR200222696Y1 (ko) * 2000-12-06 2001-05-15 현대하이스코주식회사냉연공장 산세공정에서 수율향상 및 품질향상을 위한 세척수분사장치
JP4335737B2 (ja) 2004-04-27 2009-09-30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Si含有鋼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491B1 (ko)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31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thermal treatment of a steel strip
JP4238260B2 (ja) 鋼板の冷却方法
CN108474052B (zh) 骤冷淬火装置及骤冷淬火方法
JP5906005B2 (ja) 熱処理方法
WO2011071153A1 (ja) ミスト冷却装置、熱処理装置及びミスト冷却方法
JP5672664B2 (ja) 鋼板のデスケーリング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874437B2 (ja) 厚鋼板の製造装置
EP3156512A1 (en) Cooling method and cooling device for strip steel
JP4678112B2 (ja) 鋼板の冷却方法および装置
TWI569898B (zh) Manufacture method and manufacturing equipment of thick steel plate
JP4765344B2 (ja) 熱間圧延材のデスケーリング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220491B1 (ko) 초강도강의 황변 방지 장치
KR101611768B1 (ko) 열연강판의 산세 장치 및 방법
JP5794105B2 (ja) 鋼板の製造設備及び製造方法
JP2019210549A (ja) 鋼板の冷却方法、鋼板の冷却装置および鋼板の製造方法
JPH09174137A (ja) デスケール装置およびデスケール方法
JP5151049B2 (ja) 冷延鋼板の冷却方法
KR102020438B1 (ko) 산세 장치 및 방법
JP2006199992A (ja) 鋼片の水冷方法
JP3867073B2 (ja) 熱間圧延鋼板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WO2022163044A1 (ja) 金属板の焼入れ装置及び焼入れ方法、並びに鋼板の製造方法
JP4561104B2 (ja) 冷延鋼板の冷却方法
JP2003071513A (ja) 熱延鋼板の冷却方法
EP3187275B1 (en) Thick steel plate manufacturing method
KR101795967B1 (ko) 균일처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강판 표면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