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126A -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126A
KR20120060126A KR1020107005491A KR20107005491A KR20120060126A KR 20120060126 A KR20120060126 A KR 20120060126A KR 1020107005491 A KR1020107005491 A KR 1020107005491A KR 20107005491 A KR20107005491 A KR 20107005491A KR 20120060126 A KR20120060126 A KR 20120060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emulsion composition
acid
water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5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7764B1 (ko
Inventor
유코 나가레
요스케 이케베
모모 야부
카즈히로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20060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1Aromatic amines, i.e. where the amino group is directly linked to the aromatic nucle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6Triazin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한 (a) 내지 (j)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선블록 화장료이다.
(a) 옥토크릴렌
(b)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c)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d)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e) 수용성 고분자
(f) 수팽윤성 점토 광물
(g) IOB가 0.05 이상인 유분
(h) 고급 지방산
(i) 계면 활성제
(j) 물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자외선 흡수 효과를 가지고, 유화 안정성과 사용감이 우수한 선블록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Description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OIL-IN-WATER EMULSIFIED COMPOSITION}
본 발명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의 자외선 흡수제와 극성유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선블록 화장료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선블록 화장료에 의한 중요한 자외선 흡수 파장 영역은 UV-A영역(320~400nm)과 UV-B영역(290~320nm)이다. 그리고, UV-A영역(320~400nm)의 자외선은 피부를 검게 하지만, UV-B영역(29O~320nm)의 자외선과 같이 선번을 일으켜 피부의 노화를 촉진시키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고 있었다. 그런데 최근에 들어 UV-B영역의 자외선이 비교적 피부의 표면 부분에 머무르는 것에 반해, UV-A영역의 자외선이 피부의 심부에까지 이르러 피부의 노화는 물론 피부암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오늘날까지 사용되어 온 화장료용 자외선 흡수제는 구조면에서 분류하면, (1) 벤조산 유도체, (2) 신남산 유도체, (3) 벤조페논 유도체, (4)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5) 살리실산 유도체 등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2)와 (4)의 자외선 흡수제가 다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자외선 흡수제는 실용면에서 보면 각각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1)의 벤조산 유도체에서는, 예를 들어 p-디메틸아미노벤조산-2-에틸헥실은 액상, 투명하며, 취급하기 쉬운 장점은 있지만,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하여 안전성의 의혹이 있어, 최근에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또 극대 흡수 파장이 290nm 부근에 있어, UV-B영역만의 자외선을 흡수한다.
(2)의 신남산 유도체에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선케어 화장품에 가장 자주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흡수제로서 p-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에스테르가 있다. 극대 흡수 파장은 310nm부근에 있어, 흡수역이 UV-A영역에는 미치지 못한다. 또 일광에 의해 변질되어 착색성이나 자외선 방어 효과의 지속성에 문제가 있다.
(3)의 벤조페논 유도체에서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이 UV-A, UV-B영역에 걸쳐 흡수가 있고, 비교적 피부외용제 기제에 대한 용해성도 좋지만, 극대 흡수 파장이 다소 UV-B영역에 가까운 곳에 있고, 흡광도도 그다지 크지 않다. 또 최근에는 기본골격의 구조물(벤조페논)이 환경 호르몬으로서 지적되고 있어서, 그 사용이 경원시되고 있다.
(4)의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에서는,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이 자주 피부외용제에 사용되고 있다. 극대 흡수가 360nm부근에 있고, 흡광도도 크며, UV-A영역의 자외선 흡수제로서 우수하다. 그러나, 광안정성에 문제가 있고, 피부외용제용의 유분에 대한 상용성이 나빠 소량밖에 혼합할 수 없다.
(5)의 살리실산 유도체에서는 살리실산옥틸이 사용되고 있다. UV-B영역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가지고, 오일상이며, 파라핀 오일 등의 상용성이 우수하지만 흡광도가 낮기 때문에 그다지 실용화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UV-B영역에 있어서는 (2)의 p-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이, UV-A영역에 관해서는 (4)의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최근에는 UV-A영역의 자외선 흡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자외선 흡수제 중에는 끈적임을 가지는 것이 있어, 사용감을 중요시하는 선블록 화장료에 대한 배합에 있어서는 큰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즉, 높은 자외선 흡수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을 다소 많게 하는 경우에 그 사용감은 극단적으로 나빠진다. 따라서, 원하는 자외선 흡수제를 원하는 배합량만큼 배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 일반적으로 폭넓은 흡수 영역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복수의 자외선 흡수제를 선블록 화장료에 배합하는 것이 행해진다.
그러나,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는 선블록 화장료에 있어서는, 그 사용감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우수한 사용감은 화장료에 강하게 요구되는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에, 폭넓은 흡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서라고 해도, 복수 특히 3종 또는 4종 이상의 상이한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행해지지 않는다.
한편, 화장료에 자외선 흡수제로서 배합되는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는 광폭로에 의한 자외선 조사하에서의 UV 흡수능이 저하된다. 이 현상을 억제하는 광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벤조일메탄 유도체와 다른 자외선 흡수제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를 병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 자외선 흡수제의 1,3,5-트리아진 유도체와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를 병용한 화장료에 있어서는,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이 존재하면, 자외선 조사에 의해 1,3,5-트리아진 유도체가 화학적으로 크게 열화된다. 그 때문에 1,3,5-트리아진 유도체와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의 광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를 병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특허문헌 2).
그러나, 복수의 자외선 흡수제의 병용에 의해 자외선 흡수제 자체의 광안정성을 확보하는 기술에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고형의 자외선 흡수제의 대부분은 화장료 기재인 유분과의 상용성이 낮아 녹기 어렵기 때문에, 이것을 화장료에 안정 배합하기 위해서는 상용성이 우수한 특정 유분을 다량으로 배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러한 특정 유분을 다량으로 배합하면, 화장료의 안정성(특히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의 유화 안정성)의 저하나 사용감의 저하를 초래하는 요인이 되어버린다.
이와 같이, 자외선 흡수제의 병용은 화장료의 안정성의 저하와 사용감의 저하를 초래하는 요인이 있기 때문에, 선블록 화장료에는 복수의 (특히 4종 이상의) 상이한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행해지지 않는다.
또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4종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한 경우에, 그 유화 안정성(특히 저온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에 용해 안정성)의 검토에 관한 보고는 적다.
일본특허제2975682호공보 일본특허제3714632호공보
UV-A영역 및 UV-B영역에 대한 높은 자외선 방어능을 얻기 위해서는, 자외선 흡수제의 UV-A 흡수제와 UV-B 흡수제를 밸런스 좋게 배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UV-A 흡수제는 난용성인 것이 많기 때문에, 그것을 용해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고극성 유분의 배합이 필수여서, 안정적인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기제를 얻는 것은 곤란했다.
또 4종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인 선블록 화장료를 제조하고자 하면, 유화 안정성이 저하되거나, 그 사용감이 저하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상기 서술한 관점을 감안하여, 우수한 자외선 흡수 효과를 가지고, 유화 안정성과 사용감이 우수한 선블록 화장료에 대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의 4종의 자외선 흡수제를 특정 화장료 성분과 조합시켜 배합하면, 우수한 자외선 방어 효과를 발휘하고, 유화 안정성과 사용감이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선블록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자외선 흡수 효과를 가지고, 유화 안정성과 사용감이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선블록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은 하기한 (a) 내지 (j)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a) 옥토크릴렌
(b)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c)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d)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e) 수용성 고분자
(f) 수팽윤성 점토 광물
(g) IOB가 0.05 이상인 유분
(h) 고급 지방산
(i) 계면 활성제
(j) 물
또 본 발명은 상기 (f) 수팽윤성 점토 광물의 함유량이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서 0.01~4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g) IOB가 0.05 이상인 유분의 유상 중에 차지하는 비율이 20~7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e) 수용성 고분자가 다당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g) IOB가 0.05 이상인 유분이 에스테르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a) 옥토크릴렌과, (b)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과, (c)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과, (d)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의 합계 함유량이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서 10~2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선블록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우수한 자외선 흡수 효과를 가지고, 유화 안정성과 사용감이 우수하므로, 우수한 선블록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와 비교예의 흡광도 곡선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자외선 흡수제」
본 발명에 배합하는 4종의 자외선 흡수제는 (a) 옥토크릴렌, (b)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c)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d)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이다. 모두 공지된 자외선 흡수제이다.
(a) 옥토크릴렌(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은 예를 들어 「Parsol 340」(DSM Nutritional Products)이 시판되고 있다.
(b)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은 예를 들어 「TINOSORB S」(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가 시판되고 있다. (c)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은 예를 들어 「UvinulA plus granular」(BASF JAPAN)가 시판되고 있다.
(d)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은 예를 들어 「Parsol 1789」 (DSM Nutritional Products)가 시판되고 있다.
상기한 4종의 자외선 흡수제의 각 배합량은 제품에 따라서 적당히 결정된다. 배합하는 4종의 합계량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1~40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5~30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5질량%이다. 그 합계량이 1질량% 미만이면 충분한 자외선 흡수 효과는 발휘되지 않고, 또 40질량%를 넘으면 끈적임이 생긴다.
「수용성 고분자」
본 발명에 사용하는 (e) 수용성 고분자는 예를 들어 다당류의 잔탄 검, 카라기난, 펙틴, 만난, 커들란, 콘드로이틴 황산, 전분, 갈락탄, 데르마탄 황산, 글리코젠, 아라비아 검, 헤파란 황산,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나트륨, 트라가칸트 검, 케라탄 황산, 콘드로이틴, 뮤코이틴 황산, 히드록시에틸 구아 검, 카르복시메틸 구아 검, 구아 검, 캐롭 검, 덱스트란, 케라토 황산, 로커스트 빈 검, 숙시노글리칸, 카로닌산, 키틴, 키토산, 카르복시메틸키틴, 퀸스시드,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글리시리진, 풀루란 및 한천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로서는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비닐계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고분자로서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의 배합량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0.01~5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01~1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5질량%이다. 배합량이 0.01질량% 미만이면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이 나빠지고, 또 5질량%를 넘으면 사용감이 끈적거린다.
「수팽윤성 점토 광물」
본 발명에 사용하는 (f) 수팽윤성 점토 광물은 스멕타이트속에 속하는 층상 규산염 광물이며, 일반적으로는 몬모릴로나이트, 파이데라이트, 논트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벤토나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은 천연 또는 합성품의 어느 쪽이어도 된다. 시판품에서는 쿠니피아, 스멕톤(모두 쿠니미네코교사제), 라포나이트(라포르테사제), 합성 나트륨형 불소 금운모(서브마이카 E : 다이토카세이사제), 비검?울트라?그라뉼스(밴더빌트사제) 등이 있다. 이 중 특히 쿠니피아, 스멕톤이 바람직하다.
수팽윤성 점토 광물의 배합량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0.01~4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01~2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1질량%이다. 배합량이 0.01질량% 미만이면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이 나빠지고, 또 4질량%를 넘으면 피부상에서 발림이 나빠진다.
「IOB가 0.05 이상인 유분」
본 발명에 사용하는 유분은 IOB가 0.05 이상의 극성유이며, IOB가 0.05~0.8인 에스테르유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는 이소노난산이소노닐,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올레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락트산세틸, 락트산미리스틸, 아세트산라놀린,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N-알킬글리콜, 디카프릭산네오펜틸글리콜,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나프탈린디카르복실산디에틸헥실, 벤조산(탄소수 12~15)알킬,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트리(카프릴산?카프릭산)글리세린, (디카프릴산/카프릭산)부틸렌글리콜,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올레산올레일,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아세토글리세라이드, 팔미트산2-헵틸운데실, 아디프산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스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2-헥실데실, 팔미트산2-헥실데실, 아디프산2-헥실데실,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아밀, 구연산트리에틸,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디피발산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특히 이소노난산이소노닐, 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IOB값은 Inorganic/Organic Balance(무기성/유기성비)의 대략으로, 무기성 값의 유기성 값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며, 유기 화합물의 극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것이다. IOB값은 구체적으로는 「IOB값 = 무기성 값/유기성 값」으로서 나타난다. 여기서, 「무기성 값」, 「유기성 값」의 각각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분자 중의 탄소 원자 1개에 대해서 「유기성 값」이 20, 동 수산기 1개에 대해서 「무기성 값」이 100이라고 한 것과 같이, 각종 원자 또는 관능기에 따른 「무기성 값」, 「유기성 값」이 설정되어 있고, 유기 화합물 중의 모든 원자 및 관능기의 「무기성 값」, 「유기성 값」을 적산함으로써 해당 유기 화합물의 IOB값을 산출할 수 있다(예를 들어 후지타 저, 「화학의 영역」 제11권, 제10호, 제719페이지 내지 제725페이지, 1957년 참조).
IOB가 0.05 이상인 유분의 배합량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1~70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3~50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30질량%이다.
또 IOB가 0.05 이상인 유분의 유상 중 차지하는 비율이 20~7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상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a) 내지 (d)의 자외선 흡수제나,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성 성분이다.
「고급 지방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의 점에서 또한 (h) 고급 지방산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헤닌산, 올레산, 운데실렌산, 톨산, 이소스테아르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특히 스테아르산, 베헤닌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급 지방산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중에서 고급 지방산 비누를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급 지방산의 배합량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0.1~10질량%, 바람직하게는 0.1~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2질량%이다.
「계면 활성제」
본 발명에서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i) 계면 활성제를 배합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계면 활성제는 적당히 결정되는데, 친유성 비이온계면 활성제 및/또는 친수성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계면 활성제를 예시한다.
친수성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POE 알킬에테르, POE 알킬페닐에테르, POE?POP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 에스테르, POE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POE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POE 피마자유 또는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POE 밀랍?라놀린 유도체, 알칸올아미드, POE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POE 알킬아민, POE 지방산 아미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POE」는 폴리옥시에틸렌, 「POP」는 폴리옥시프로필렌을 의미하고, 이하 이와 같이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친수성 비이온 계면 활성제 중, HLB8 이상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형 비이온 계면 활성제가 특히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POE(10~50몰) 피토스테롤에테르, POE(10~50몰) 디히드로콜레스테롤에테르, POE(10~50몰) 2-옥틸도데실에테르, POE(10~50몰) 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10~50몰) 올레일에테르, POE(10~50몰) 세틸에테르, POE(5~30몰) POP(5~30몰) 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10~50몰) POP(2~30몰) 세틸에테르, POE(20~60몰)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POE(10~60몰)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10~80몰)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10~30몰)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POE(20~100)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친유성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서, 예를 들어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디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모노에루케이트디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디글리세린디올레이트, 디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린디이소스테아레이트, 데카글리세린펜타올레이트, 데카글리세린펜타이소스테아레이트, 데카글리세린데카올레이트, 데카글리세린데카이소스테아레이트, 자당모노올레이트, POE(2몰) 모노올레이트, POE(6몰) 디이소스테아레이트, POE(3~10몰) 피마자유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의 배합량은 적당히 결정되는데,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서 통상 0.1~10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O.1~5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O.5~3질량%이다.
「물」
본 발명에 있어서, (j) 물의 배합량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50~90질량%이다. 물에는 (e) 수용성 고분자나 (f) 수팽윤성 점토 광물 등의 수성 성분이 용해되어 수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 이외에 화장료에 통상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어 분말 성분, 액체 유지, 고체 유지, 납(蠟), 탄화수소유,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실리콘유, 음이온 계면 활성제, 양이온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보습제, 증점제, 피막제, 금속 이온 봉쇄제,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당, 아미노산, 유기 아민, 고분자 에멀전, pH 조정제, 피부 영양제, 비타민,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 조제,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당히 배합하고, 상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선블록 화장료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W/O 에멀전의 선블록 크림, 선블록 에멀전, 선블록 로션 등의 제품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질량%로 나타낸다.
하기 「표 1」 및 「표 2」의 A(수상)와 B(유상)를 각각 70℃로 가열하여, 완전 용해한다. B에 A를 가하여 유화기로 유화하고 냉각시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크림상의 선블록 화장료)을 제조할 수 있었다.
「유화 안정성」
얻어진 조성물을 50ml 스크류관에 밀봉하고, 50℃에서 4주간 보존한 후의 외관에 의해 유화 안정성을 평가했다.
<평가>
1층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 ○
분리되는 경우 : ×
그 결과, 표 1에서는 (e) 수용성 고분자(잔탄 검)만을 배합한 비교예 1 및 2에서는 분리되는 것에 반해, 소량의 (f) 수팽윤성 점토 광물(스멕타이트)을 첨가한 실시예 1에서는 사용감을 손상시키지 않고 안정성이 양호한 것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2에서는, (e) 수용성 고분자(잔탄 검)만을 배합한 비교예 3은 분리되었다. 또한, 1종의 (e) 수용성 고분자로서 잔탄 검을 배합하고, 추가로 다른 1종의 (e) 수용성 고분자로서 숙시노글루칸, 혹은 카르보머를 배합한 비교예 4 내지 5에서는 분리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용감도 손상되었다. 이에 반해, (f) 수팽윤성 점토 광물(벤토나이트)을 첨가한 실시예 2 내지 5에서는 안정성이 양호한 것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실시예 2 내지 3이 사용감도 양호했다.
「사용감」
<평가>
여성 전문 패널 10명에 의해, 시료를 실제로 피부에 도포하게 하여, 발림의 좋음(가벼움)에 대해서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 : 8명 이상이 발림이 가볍다고 평가했다.
△ : 3 내지 7명이 발림이 가볍다고 평가했다.
× : 2명 이하가 발림이 가볍다고 평가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자외선 흡수 효과」
실시예 1 및 2 및 비교예 6의 샘플 50μL를 나일론제의 막(5×5cm)에 균일하게 2mg/cm2의 비율로 도포하고, 15분 방치후, 분광 광도계(U-41OO : 히타치세이사쿠쇼)에 의해 흡광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도 1에 도시한다. 도 1로부터 실시예 1 및 2의 UV 흡수능은 비교예 6보다 훨씬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의 SPF(Sun Protection Factor)는 34, PA(Protection Grade of UVA)는 +++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실시예 1 및 2의 선블록 화장료는 SPF 30 이상 PA+++ 이상이 되어, 높은 SPF와 PA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6의 처방을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6은 자외선 흡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기준 처방이며, SPF 30, PA+++의 우수한 자외선 흡수 기능을 가지는 처방이다.
Figure pct00003
「자외선 흡수제의 용해도」
(b)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c)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d)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각각의 각 15질량%의 O℃에 있어서의 각종 유분에 대한 용해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 IOB값이 0인 유분에서는 침전이 관찰되었지만, 0.05 이상의 값의 유분에서는 침전이 관찰되지 않았다. 즉, (b) 내지 (d)의 자외선 흡수제는 IOB값이 0.05 이상인 유분에 대한 용해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자외선 흡수제가 석출되지 않는 안정적인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이 얻어진다.
Figure pct00004
(○ : 0℃에 있어서 침전이 관찰되지 않았다. × : O℃에 있어서 침전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6」 선스크린 에멀전
디프로필렌글리콜 5
잔탄 검 0.1
벤토나이트 1
스테아르산 0.5
팔미트산 0.5
이소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1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1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1
폴리비닐피롤리돈/에이코센코폴리머 1
디네오펜탄산트리프로필렌글리콜 5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2
세바스산이소프로필 2
옥토크릴렌 5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2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2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5
에틸헥실트리아존 0.5
헥사메타인산나트륨 0.1
EDTA-3Na O.1
트리에탄올아민 적당량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잔여
향료 적당량
「실시예 7」 선스크린 에멀전
글리세린 5
잔탄 검 0.3
스멕톤(쿠니미네코교사제) 0.5
스테아르산 0.5
이소스테아르산 0.5
스테아릴알코올 2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1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1
트리메틸실록시규산 1
시클로메티콘 3
카프릴릴메티콘 3
에틸헥산산세틸 10
2-에틸헥산산2-에틸헥실 3
옥토크릴렌 5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2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2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 1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 2
EDTA-3Na O.1
수산화칼륨 적당량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잔여
향료 적당량
「실시예 8」 선스크린 에멀전
알코올 5
디프로필렌글리콜 5
잔탄 검 0.1
벤토나이트 1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 1
베헤닌산 1
베헤닐알코올 2
트리메틸실록시규산 1
시클로메티콘 3
디메티콘 2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5
팔미트산옥틸 5
숙신산디에틸헥실 1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1
옥토크릴렌 5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2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2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나트륨 1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2
EDTA-3Na O.1
트리에탄올아민 적당량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잔여
향료 적당량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자외선 흡수 효과를 가지고, 유화 안정성과 사용감이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선블록 화장료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Claims (7)

  1. 하기한 (a) 내지 (j)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a) 옥토크릴렌
    (b)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c)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d)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e) 수용성 고분자
    (f) 수팽윤성 점토 광물
    (g) IOB가 0.05 이상인 유분
    (h) 고급 지방산
    (i) 계면 활성제
    (j) 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 수팽윤성 점토 광물의 함유량이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서 0.01~4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g) IOB가 0.05 이상인 유분의 유상 중에 차지하는 비율이 20~7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 수용성 고분자가 다당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g) IOB가 0.05 이상인 유분이 에스테르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옥토크릴렌과, (b)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과, (c)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과, (d)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의 합계 함유량이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서 5~3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선블록 화장료.
KR1020107005491A 2009-09-29 2009-09-29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KR101667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04953 WO2011039790A1 (ja) 2009-09-29 2009-09-29 水中油型乳化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126A true KR20120060126A (ko) 2012-06-11
KR101667764B1 KR101667764B1 (ko) 2016-10-28

Family

ID=4382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491A KR101667764B1 (ko) 2009-09-29 2009-09-29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66860B2 (ko)
EP (1) EP2484339B1 (ko)
JP (1) JP5697198B2 (ko)
KR (1) KR101667764B1 (ko)
CN (1) CN102112098B (ko)
ES (1) ES2617127T3 (ko)
RU (1) RU2500382C2 (ko)
WO (1) WO20110397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8351B2 (ja) * 2010-04-13 2012-10-24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組成物
FR2977490B1 (fr) * 2011-07-07 2014-03-21 Oreal Composition photoprotectrice
JP5878011B2 (ja) * 2011-12-21 2016-03-08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組成物
ES2550839T3 (es) * 2012-12-10 2015-11-12 A. & A. Fratelli Parodi S.R.L. Composición sintética de fluido de temple
US9744109B2 (en) 2012-12-20 2017-08-29 Conopco. Inc. Eutectic mixtures in personal care compositions
JP5690373B2 (ja) 2013-04-26 2015-03-25 株式会社 資生堂 水性組成物
JP2015030723A (ja) * 2013-08-07 2015-02-1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乳化剤形の日焼け止め化粧料
FR3015896B1 (fr) * 2013-12-31 2017-10-13 Novance Solubilisation de filtres uv
JP6345950B2 (ja) * 2014-03-05 2018-06-20 株式会社希松 水中油型化粧料
WO2016068299A1 (ja) * 2014-10-31 2016-05-06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WO2016084221A1 (ja) * 2014-11-28 2016-06-02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化粧料
EP3231416A4 (en) * 2014-12-09 2018-07-04 Shiseido Company Ltd. Aerosol cosmetic
JP6944717B2 (ja) * 2015-07-22 2021-10-06 ランダ ラブス(2012)リミテッド 紫外線防御組成物
JP6867293B2 (ja) * 2015-09-30 2021-04-28 株式会社 資生堂 日焼け止め化粧料
JP6143914B2 (ja) * 2015-09-30 2017-06-07 株式会社 資生堂 日焼け止め化粧料
JP6763598B2 (ja) * 2016-05-13 2020-09-30 株式会社希松 紫外線防止効果を有する皮膚化粧料
CN107847422B (zh) 2016-07-07 2020-11-27 浩思特美容与个人护理创新公司 包括对-烷氧基苯基取代的丙烯酸(app)共聚物衍生物的光稳定的组合物
JP7057066B2 (ja) * 2017-03-02 2022-04-19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5682B2 (ja) 1990-02-14 1999-11-10 ロレアル A―紫外線濾光剤とアルキルβ,β―ジフェニルアクリレートまたはα―シアノ―β,β―ジフェニルアクリレートとを含有する光安定性濾光組成物
JP3714632B2 (ja) 1996-07-01 2005-11-09 ロレアル 4―tert―ブチル―4’―メトキシジベンゾイルメタン、1,3,5―トリアジン誘導体および(α―シアノ)―β,β’―ジフェニルアクリル酸アルキルを含有する組成物とその用途
WO2006048159A1 (en) * 2004-11-02 2006-05-11 Dsm Ip Assets B.V. Additive for uv-sunscreen preparations
US20090196894A1 (en) * 2006-05-31 2009-08-06 Thomas Ehlis Self Tanning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40887A1 (fr) * 1998-02-10 1999-08-19 Shiseido Company, Ltd. Composition emulsionnees de type aqueux
JP4017254B2 (ja) * 1998-05-15 2007-12-05 株式会社資生堂 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
JP3739971B2 (ja) * 1998-09-21 2006-01-25 株式会社資生堂 外用組成物
DE10007486A1 (de) * 2000-02-18 2001-08-23 Bas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Lichtschutzmittelzubereitungen
US6517816B1 (en) * 2001-12-26 2003-02-11 Avon Products, Inc. Sunscreen 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JP2003192532A (ja) * 2001-12-27 2003-07-09 Tokiwa Corp O/w型乳化組成物
RU2359657C2 (ru) * 2002-12-24 2009-06-27 Оксоника Лимитед Солнцезащитные фильтры
US7368105B2 (en) 2004-07-02 2008-05-06 L'oreal Photostabilization of dibenzoylmethane UV-screening agents with arylalkyl benzoate/bis-resorcinyl triazine compounds and photoprotective compositions comprised thereof
WO2007017179A1 (en) * 2005-08-05 2007-02-15 Dsm Ip Assets B.V. Use of ionic uv-a sunscreens
ES2524777T3 (es) * 2006-02-20 2014-12-12 Shiseido Company, Limited Composición cosmética de protección solar tipo emulsión agua-aceite
JP2008162930A (ja) * 2006-12-27 2008-07-17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WO2008119428A1 (en) * 2007-04-03 2008-10-09 Merck Patent Gmbh Photostable compositions
JP2010523519A (ja) * 2007-04-05 2010-07-15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選択されたコポリマーを含んでいる日焼け止め剤及び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JP5114089B2 (ja) * 2007-04-24 2013-01-09 株式会社マンダム 乳液状皮膚化粧料
DE102007024342A1 (de) * 2007-05-22 2008-11-27 Beiersdorf Ag Kosmetische Zubereitung mit spezieller UV-Filterkombination
FR2918563B1 (fr) 2007-07-12 2009-12-04 Oreal Composition photoprotectrice fluide aqueuse a base d'un polymere polyamide a terminaison amide tertiaire.
FR2918560B1 (fr) * 2007-07-12 2009-10-09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 derive de dibenzoylmethane et un compose phenanthrenol ; procede de photostabilisation du derive de dibenzoylmethane.
JP5178100B2 (ja) * 2007-09-06 2013-04-10 株式会社 資生堂 皮膚外用剤
JP2009062327A (ja) * 2007-09-07 2009-03-26 Seiwa Kasei Co Ltd 2−シアノ−3,3−ジフェニルプロパ−2−エン酸2−エチルヘキシルエステル内包微小カプセルおよびその微小カプセルを含有する化粧料
JP5449664B2 (ja) * 2007-10-25 2014-03-19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化粧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5682B2 (ja) 1990-02-14 1999-11-10 ロレアル A―紫外線濾光剤とアルキルβ,β―ジフェニルアクリレートまたはα―シアノ―β,β―ジフェニルアクリレートとを含有する光安定性濾光組成物
JP3714632B2 (ja) 1996-07-01 2005-11-09 ロレアル 4―tert―ブチル―4’―メトキシジベンゾイルメタン、1,3,5―トリアジン誘導体および(α―シアノ)―β,β’―ジフェニルアクリル酸アルキルを含有する組成物とその用途
WO2006048159A1 (en) * 2004-11-02 2006-05-11 Dsm Ip Assets B.V. Additive for uv-sunscreen preparations
US20090196894A1 (en) * 2006-05-31 2009-08-06 Thomas Ehlis Self Tanning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84339B1 (en) 2016-11-23
CN102112098B (zh) 2016-10-19
JP5697198B2 (ja) 2015-04-08
RU2500382C2 (ru) 2013-12-10
EP2484339A1 (en) 2012-08-08
US20120183480A1 (en) 2012-07-19
RU2010110155A (ru) 2011-09-27
JPWO2011039790A1 (ja) 2013-02-21
EP2484339A4 (en) 2015-02-11
CN102112098A (zh) 2011-06-29
ES2617127T3 (es) 2017-06-15
US9066860B2 (en) 2015-06-30
WO2011039790A1 (ja) 2011-04-07
KR101667764B1 (ko) 201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0126A (ko)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CA2800092C (en) High spf/uvapf sunscreens comprising low amounts of organic sunscreens, a non-ionic surfactant and a polymer
JP5058351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EP2412365A1 (en) Sunscreen cosmetic
CN103249395B (zh) 高spf防晒组合物
EP2771072B1 (en) An aqueous photo-protective personal care composition
EP0683662A1 (de) Wasserfest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lichtschutzzubereitungen
EP2194958A2 (en) Sunless tanning composition with photostabilized sunscreen
JP5723359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JP5469319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JP6563181B2 (ja) 日焼け止め皮膚外用剤
TWI496587B (zh) Water-based emulsified composition
EP2431021A1 (en) Sunscreen composition
JP6227543B2 (ja) Uv吸収剤組成物におけるオレオゲルの使用
CN109069381A (zh) 10-羟基硬脂酸组合物
JP2023171967A (ja) 紫外線吸収剤含有化粧料
US20230381072A1 (en) Broad-spectrum, mineral, photoprotective compositions
KR20220062619A (ko) 루테인의 블루라이트 차단능 증강제 및 화장품 조성물
KR102276764B1 (ko) Uv 흡수제 조성물에서의 올레오겔의 용도
JP2021519277A (ja) 日焼け止め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