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9096A - 안전네트 유닛 - Google Patents

안전네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9096A
KR20120059096A KR1020100120718A KR20100120718A KR20120059096A KR 20120059096 A KR20120059096 A KR 20120059096A KR 1020100120718 A KR1020100120718 A KR 1020100120718A KR 20100120718 A KR20100120718 A KR 20100120718A KR 20120059096 A KR20120059096 A KR 20120059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net
ring
unit
wire rop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2227B1 (ko
Inventor
함병섭
Original Assignee
한신안전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신안전산업(주) filed Critical 한신안전산업(주)
Priority to KR1020100120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227B1/ko
Publication of KR20120059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19Means supported by the building wall, e.g. security cons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Abstract

안전네트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네트 유닛은, 벽체에 고정되는 인서트 너트, 및 인서트 너트에 결합되고 고리부를 가지는 고리볼트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단 및 제2 고정단을 포함하고, 격자형 형상을 가지는 안전네트; 제1 고정단에 연결되어 안전네트를 긴장시키는 제1 고정기구; 및 제2 고정단 및 고리볼트의 고리부를 연결하는 제2 고정기구;를 포함하고, 제1 고정기구는, 제1 고정단에 연결되고 고리볼트의 고리부에 체결되어 안전네트를 긴장시키는 와이어 로프; 및 와이어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네트 유닛{SAFETY NET UNIT}
본 발명은 안전네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 주택 건축 현장의 난간 또는 발코니 부근에서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고,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가설용 안전네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고층 건물의 건축 현장의 난간 또는 발코니 부근은 그대로 노출이 되어 있다. 이 경우, 발코니 부근에서의 작업중인 작업자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게 되므로, 작업현장에서는 가설용 난간 안전지지대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가설용 난간 안전 지지대는 파이프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콘크리트 벽에 일시적으로 매립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난간대는 파이프의 무게가 무겁고, 난간의 길이에 따라 자재를 별도로 운반하고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른다. 또한, 파이프를 콘크리트 벽에 매립하므로, 사용 후에 해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파이프 사이로 작업자가 추락하거나 자재가 낙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콘크리트 벽에 와이어 로프를 이용하여 일정 평면 공간을 형성시키고, 와이어 로프로 이루어진 평면 공간을 보호판을 덮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와이어 로프와 보호판의 재질이 다르기 때문에, 보호판을 와이어 로프에 부착시키는 것이 매우 힘들고, 부착이 되더라도 그 부착력이 강하지 않기 때문에 유사시에 작업자의 추락위험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또한, 와이어 로프와 보호판을 반영구적으로 부착하여 충분한 내력을 갖도록 하게 하는 경우에도, 사용후 해체가 어려워 재사용이 힘들고 와이어 로프는 그 재질상 접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보관 또는 이동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격자형으로 이루어져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안전네트를 이용하고, 이 안전네트에 와이어 로프를 연결하고 와이어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여 안전네트를 긴장시킴으로써, 안전네트가 충분한 내력을 지니게 하여 작업자의 추락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 용이하게 해체될 수 있는 구성을 지니는 안전네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축현장에 사용되는 안전네트 유닛으로서,
벽체에 고정되는 인서트 너트, 및 상기 인서트 너트에 결합되고 고리부를 가지는 고리볼트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 상기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단 및 제2 고정단을 포함하고, 격자형 형상을 가지는 안전네트; 상기 제1 고정단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네트를 긴장시키는 제1 고정기구; 및 상기 제2 고정단 및 상기 고리볼트의 고리부를 연결하는 제2 고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기구는, 상기 제1 고정단에 연결되고 상기 고리볼트의 고리부에 체결되어 상기 안전네트를 긴장시키는 와이어 로프; 및 상기 와이어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네트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를 권취 및 권출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라쳇기어; 및 상기 라쳇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로프는 그 일단이 와이어 소켓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소켓은 상기 안전네트의 상기 제1 고정단에 연결된 D링 고리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기구는, 상기 고정수단에 체결되는 비너; 및 상기 안전네트의 상기 제2 고정단에 연결되고, 상기 비너에 체결되는 D링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네트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네트에는 현수막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네트 유닛에 따르면,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와이어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여 안전네트에 충분한 내력을 지니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추락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후, 안전네트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으며, 안전네트를 접어서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네트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네트 유닛에 있어서, 고정수단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네트 유닛에 있어서, 안전네트와 와이어로프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네트 유닛에 있어서, 장력조절부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4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안전네트 유닛에 있어서, 안전네트와 고정수단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네트 유닛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네트 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네트 유닛에 있어서, 고정수단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안전네트 유닛(100)은, 일례로 아파트 건설현장의 발코니 부근에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안전네트(110), 고정수단, 제1 고정기구, 제2 고정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네트(110)는, 발코니 부근의 콘크리트 벽체(1)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발코니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안전네트(110)는 상기 벽체(1)에 고정되도록, 상기 안전네트(110)의 좌측에 마련된 제1 고정단(112) 및 상기 안전네트(110)의 우측에 마련된 제2 고정단(113)을 포함한다. 상기 안전네트(110)는 강한 연성의 저항력을 지니고 접힘이 가능한 폴리에스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 형성을 지닌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안전네트(110)에는, '안전제일' 등의 문구가 적힌 현수막이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안전네트(110)를 발코니 부근의 콘크리트 벽체(1)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벽체(1)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벽체(1)는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벽체에 매설되어 고정되는 인서트 너트(6)와, 상기 인서트 너트(6)에 결합되고 고리부(142)가 형성된 고리볼트(140)를 포함한다.
상기 고리볼트(140)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인서트 너트(6)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고리볼트(140)는, 상기 안전네트(110)의 좌측에 있는 벽체(1)에 3개가 마련되고, 상기 안전네트(110)의 우측에 있는 벽체(1)에 3개가 마련된다. 그러나, 상기 고리볼트(14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리볼트(140)의 개수는 상기 안전네트(110)의 크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네트(110)의 양단에 마련된 고정단(112, 113)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기구는, 상기 안전네트(110)의 상기 제1 고정단(112)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네트(110)를 긴장시키면서, 상기 안전네트(110)가 상기 벽체(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제1 고정기구는 와이어 로프(102) 및 장력조절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로프(102)는 상기 제1 고정단(112)에 연결되고 상기 고리볼트(140)의 고리부(142)에 체결되어 상기 안전네트(110)를 긴장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하, 상기 와이어 로프(102)와 상기 안전네트(110)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네트 유닛에 있어서, 안전네트와 와이어로프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상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 로프(102)와 상기 안전네트(110)를 연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소켓(122)과 D형 고리(126)가 사용된다.
상기 와이어 로프(102)는 상기 와이어 소켓(122)에 형성된 개구부(124)를 관통하여 단부(162)를 가닥가닥으로 풀은 후에, 가닥 가닥을 꼬아서 감아 묶음으로써, 상기 와이어 로프(102)가 상기 와이어 소켓(1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D형 고리(126)의 양단을 각각 상기 안전네트(110)의 제1 고정단(112)에 끼우고, 상기 D형 고리(126)를 상기 와이어 소켓(122)에 마련된 한 쌍의 결합부(125)에 결합시킨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 소켓(122)에는 한 쌍의 결합부(125)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125) 각각에는 결합축(128)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123)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D형 고리(126)를 상기 와이어 소켓(122)의 한 쌍의 결합부(125)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기 결합축(128)을 상기 결합부(125) 및 상기 D형고리(126)를 관통시켜 상기 D형 고리(126)와 상기 와이어 소켓(122)을 체결시킨다. 한편, 결합핀(129)을 이용하여 결합축(128)이 상기 결합부(12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상기 와이어 로프(102)와 상기 안전네트(110)는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장력조절부(13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네트 유닛에 있어서, 장력조절부의 상세도이고, 도 6은 도 4의 상면도이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장력조절부(130)는 상기 와이어 로프(102)의 길이를 조절하여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장력조절부(130)는 브라켓(131)과, 회전축(137)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라쳇기어(136)와, 상기 라쳇기어(136)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132)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31)은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전축(137)은 상기 브라켓(13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를 권취 및 권출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37)에는 개구부(1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38)를 통하여 상기 와이어 로프(102)의 단부를 관통시키고, 이후 상기 와이어 로프(102)의 단부를 가닥 가닥으로 풀은 후에, 가닥 가닥을 꼬아서 감아 묶음으로써, 상기 와이어 로프(102)가 상기 회전축(137)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137)의 일단은 육각 나사머리를 하고 있다. 따라서, 육각렌치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137)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 로프(102)를 상기 회전축(137)에 권취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외이어 로프(102)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137) 라쳇기어(136)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32)는, 상기 라쳇기어(136)와 맞물려 상기 회전축(137)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와이어 로프(102)가 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스토퍼(132)는 볼트(133)에 의해 상기 브라켓(131)에 체결되고, 상기 볼트(133)에는 탄성 스프링(134)이 마련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스프링(134)은 상기 스토퍼(1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편향시킨다. 따라서, 상기 라쳇기어(136)는 상기 스토퍼(132)에 의해 상기 와이어 로프(102)를 권취하는 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편향된다. 이러한 상기 라쳇기어(136)와 스토퍼(132)의 작용에 의해 상기 와이어 로프(102)는 자발적으로 권출되지 않는다. 상기 와이어 로프(102)를 권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13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라쳇기어(136)와 상기 스토퍼(132)가 서로 맞물리지 않도록 한 후, 상기 와이어 로프(102)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와이어 로프(102)를 권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131)의 폐쇄된 단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를 통하여 또 다른 와이어 로프(102)의 단부를 삽입하여 상기 와이어 로프(10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제2 고정기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안전네트 유닛에 있어서, 안전네트와 고정수단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고정기구는, 상기 연결네트(110)의 상기 제2 고정단(113) 및 상기 고정수단의 고리볼트(140)를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제2 고정기구는, 비너(194) 및 D형 고리(192)를 포함한다.
상기 D형 고리(192)는 전술한 D형 고리(126)와 동일한 것으로, 양단을 각각 상기 안전네트(110)의 제2 고정단(113)에 끼우고, 상기 D형 고리(192)를 상기 비너(194)에 체결한다. 도한, 상기 비너(194)를 상기 고리볼트(1140)의 고리부(142)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연결네트(110)를 상기 고리볼트(140)에 연결시킨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안전네트 유닛(100)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안전네트(110)가 설치될 발코니 부근의 콘크리트 벽체(1)에 고정수단인 인서트 너트(6)를 매설하고, 상기 인서트 너트(6)에 고리볼트(140)를 나사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네트(110)는 3개의 제1 고정단(112)과 3개의 제2 고정단(113)을 포함하므로, 상기 콘크리트 벽체(1)에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3개씩의 고리볼트(140)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안전네트(110)의 제1 고정단(112) 각각에 D형 고리(126)를 끼우고, 상기 안전네트(110)의 제2 고정단(113) 각각에 D형 고리(192)를 끼운다.
이후, 상기 안전네트(110)의 제2 고정단(113) 각각에 D형 고리(192)를 끼우고, 상기 D형 고리(192)를 비너(194)를 이용하여 상기 고리볼트(140)에 연결한다.
다음으로, 와이어 로프(102) 및 장력조절부(130)를 준비한다. 각각의 와이어 로프(102)의 일단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소켓(122)이 결합된다. 또한, 한 쌍의 와이어 로프(102)가 하나의 장력조절부(13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장력조절부(130)와 4개의 와이어 로프(102)가 사용된다. 이 경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와이어 로프(102) 중 하나를 상기 장력조절부(130)의 회전축(137)에 권취시키고, 다른 하나의 와이어 로프(102)를 브라켓(131)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와이어 로프(102)와 장력조절부(130)의 세트는 미리 사전에 결합된 채로 준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각각의 와이어 로프(102)는 상기 고리볼트(140)의 고리부(142)를 관통하여 90도로 꺾인 상태로, 상기 와이어 소켓(122)을 상기 D형 고리(126)에 체결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3개의 상기 제1 고정단(112) 중 가운데에 있는 제1 고정단(112)에는 2개의 와이어 로프(102)가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각각의 장력조절부(130)의 회전축(137)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각각의 장력조절부(130)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102)를 긴장시켜 상기 안전네트(110)를 팽팽하게 잡아당긴다.
상기 안전네트 유닛(100)의 해체작업은 전술한 설치작업의 순서와 반대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네트 유닛(100)은 설치가 간단하고, 안전네트(110)가 접힐 수 있는 구조이므로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설치시 와이어 로프(10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안전네트(110)를 긴장시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체가 간단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네트 유닛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네트 유닛(101)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안전네트 유닛(100)은 도 1의 안전네트 유닛(100)과 비교할 때, 와이어 로프(102)와 장력조절부(130)의 연결방식에서만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안전네트 유닛(101)은, 도 1의 안전네트 유닛(100)과는 달리, 각각의 장력조절부(130)에 하나의 와이어 로프(102)가 하나씩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장력조절부(130)와 3개의 와이어 로프(102)가 필요하다. 즉, 도 1에 도시된 안전네트 유닛(100)에 비해, 장력조절부(130)는 하나가 더 필요하고, 와이어 로프(102)는 하나가 덜 필요하다. 또한, 각각의 장력조절부(130)는 모두 연결되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장력조절부(130)의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각각의 장력조절부(130)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102)를 긴장시킴으로써, 안전네트(110)를 팽팽하게 잡아당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벽체 6: 인서트 너트
100, 101: 안전네트 유닛 102: 와이어 로프
110: 안전네트 112: 제1 고정단
113: 제2 고정단 122: 와이어 소켓
125: 결합부 126: D형 고리
128: 결합축 129: 결합핀
130: 장력조절부 131: 브라켓
132: 스토퍼 136: 라쳇기어
137: 회전축 192:D형 고리
194: 비너

Claims (6)

  1. 건축현장에 사용되는 안전네트 유닛으로서,
    벽체에 고정되는 인서트 너트, 및 상기 인서트 너트에 결합되고 고리부를 가지는 고리볼트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
    상기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단 및 제2 고정단을 포함하고, 격자형 형상을 가지는 안전네트;
    상기 제1 고정단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네트를 긴장시키는 제1 고정기구; 및
    상기 제2 고정단 및 상기 고리볼트의 고리부를 연결하는 제2 고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기구는,
    상기 제1 고정단에 연결되고 상기 고리볼트의 고리부에 체결되어 상기 안전네트를 긴장시키는 와이어 로프; 및
    상기 와이어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네트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를 권취 및 권출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라쳇기어; 및
    상기 라쳇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네트 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는 그 일단이 와이어 소켓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소켓은 상기 안전네트의 상기 제1 고정단에 연결된 D링 고리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네트 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기구는,
    상기 고정수단에 체결되는 비너; 및
    상기 안전네트의 상기 제2 고정단에 연결되고, 상기 비너에 체결되는 D링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네트 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네트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네트 유닛.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네트에는 현수막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네트 유닛.
KR1020100120718A 2010-11-30 2010-11-30 안전네트 유닛 KR101232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718A KR101232227B1 (ko) 2010-11-30 2010-11-30 안전네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718A KR101232227B1 (ko) 2010-11-30 2010-11-30 안전네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096A true KR20120059096A (ko) 2012-06-08
KR101232227B1 KR101232227B1 (ko) 2013-02-12

Family

ID=4661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718A KR101232227B1 (ko) 2010-11-30 2010-11-30 안전네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2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151B1 (ko) * 2016-07-01 2016-10-07 에스원건설 주식회사 울타리 및 그 설치 방법
KR20190001755U (ko) * 2017-12-29 2019-07-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현수막 거치장치
KR102153895B1 (ko) * 2019-05-14 2020-09-09 김성술 건축시공용 아파트 외부 노출 개구부 안전망 시공장치
CN112875453A (zh) * 2021-01-25 2021-06-01 河南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建筑工人用安全防护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030B1 (ko) * 2015-12-10 2017-01-23 한신안전산업(주) 수직형 추락 방지망
KR101830386B1 (ko) * 2016-02-17 2018-02-20 김동욱 소파블록 추락안전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30455B1 (ko) 2017-01-05 2018-12-18 정다훈 크기 조절이 가능한 안전망
KR102286669B1 (ko) 2020-02-05 2021-08-05 김성술 안전성과 작업효율성을 증대시킨 안전망 시공 체결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4190A (ja) 2002-08-23 2004-03-18 Kyowa Rope:Kk 鉄筋取り付け金具
KR20100030720A (ko) * 2008-09-11 2010-03-19 유건영 다기능 그물망 구조 안전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151B1 (ko) * 2016-07-01 2016-10-07 에스원건설 주식회사 울타리 및 그 설치 방법
KR20190001755U (ko) * 2017-12-29 2019-07-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현수막 거치장치
KR102153895B1 (ko) * 2019-05-14 2020-09-09 김성술 건축시공용 아파트 외부 노출 개구부 안전망 시공장치
CN112875453A (zh) * 2021-01-25 2021-06-01 河南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建筑工人用安全防护设备
CN112875453B (zh) * 2021-01-25 2022-06-03 河南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建筑工人用安全防护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227B1 (ko) 201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227B1 (ko) 안전네트 유닛
JP5159874B2 (ja) 自動引き込みデバイスおよび直列継手
MX2009001439A (es) Ensamble de barandilla retractil horizontal.
CA3088436A1 (en) Safety net and safety net components for multi-storey building construction
CA2908797A1 (en) Tarpaulin roll
KR20110004717A (ko) 발코니용 안전 울
KR102264367B1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안전망 고정장치
KR101947515B1 (ko) 추락방망 고정장치
KR20170000701U (ko)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JP4592609B2 (ja) 通信ケーブル固定具
JP2016169492A (ja) フェイルセーフ天井構造
KR20100030720A (ko) 다기능 그물망 구조 안전망
KR102153895B1 (ko) 건축시공용 아파트 외부 노출 개구부 안전망 시공장치
KR101376853B1 (ko) 안전네트
JP6501440B1 (ja) 落下防止ネット構造の施工方法、落下防止ネット構造、及び落下防止ネット構造に備えられる固定金具
JP2013087613A (ja) 工事用シート屋根(ロープ巻きタイプ)
JP5385576B2 (ja) 支柱間架設部材の支持装置
KR101143676B1 (ko)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US77266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nsioning and locking a safety strand
US10465402B2 (en) Assembly of a platform assembly and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y
ITRM20100079A1 (it) Dispositivo di ancoraggio per sistemi anticaduta particolarmente adatto per coperture metalliche
KR200401349Y1 (ko) 케이블 정렬 구조체
CN217602190U (zh) 一种可调节式临边防护装置
JP7127787B1 (ja) 雨よけ装置
CN216341098U (zh) 一种建筑施工防坠安全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