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8261A - 판재 터닝장치 - Google Patents

판재 터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8261A
KR20120058261A KR1020100119961A KR20100119961A KR20120058261A KR 20120058261 A KR20120058261 A KR 20120058261A KR 1020100119961 A KR1020100119961 A KR 1020100119961A KR 20100119961 A KR20100119961 A KR 20100119961A KR 20120058261 A KR20120058261 A KR 20120058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urning
transfer
slab
ro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8677B1 (ko
Inventor
김경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19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677B1/ko
Publication of KR20120058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20Revolving, turning-over, or like manipulation of work, e.g. revolving in trio stands
    • B21B39/28Revolving, turning-over, or like manipulation of work, e.g. revolving in trio stands by means of guide members shaped to revolve the work during its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20Revolving, turning-over, or like manipulation of work, e.g. revolving in trio stands
    • B21B39/26Revolving, turning-over, or like manipulation of work, e.g. revolving in trio stands by members, e.g. grooved, engaging opposite sides of the work and moved relatively to each other to revolve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판재 예를 들어, 슬라브 터닝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판재 터닝장치는 그 구성 일예로서, 판재를 이송토록 제공된 이송롤을 포함하는 판재 이송테이블; 및, 상기 판재 이송롤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되, 상기 이송롤과 협력하여 판재를 터닝 가능토록 제공된 이송롤 연동형 판재 터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폭내기 압연을 위한 압연소재인 판재(슬라브)의 터닝 작업을 신속하게 라인 상에서 구현함은 물론, 특히 장치 구조가 간단하여 라인 구축시 비용 절감이나 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압연 전에 이송 테이블의 원하는 위치에서의 판재 터닝작업이 용이하여, 결과적으로 압연 조업성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판재 터닝장치{Slab Turn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판재 터닝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폭내기 압연을 위한 압연소재인 판재(슬라브)의 터닝 작업을 신속하게 라인 상에서 구현함은 물론, 특히 장치 구조가 간단하여 라인 구축시 비용 절감이나 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압연 전에 이송 테이블의 원하는 위치에서의 판재 터닝작업이 용이하여, 결과적으로 압연 조업성도 향상시키는 판재 터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열간 후판 압연공정은 도 1에서와 같이, 압연소재인 슬라브(slab)(100)의 폭을 목표 폭으로 맞추기 위한 폭내기 압연(broadside rolling) 공정과 폭내기 압연후 슬라브를 90°회전하여 최종 제품의 두께까지 압연하는 길이내기 압연(longitudinal rolling) 공정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폭내기 압연을 실시한 슬라브(100)는 90° 회전하게 되므로, 슬라브(100)의 길이는 폭방향(도 1의 'Y' 방향)이 되며, 슬라브(100)의 폭은 길이방향(도 1의 'X' 방향), 즉 압연 방향(슬라브 중앙에 표시한 화살표 방향)이 된다.
한편, 도 2에서는 이와 같은 슬라브 폭내기 압연을 실시하는 후판재 압연라인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로(110)에 추출된 슬라브(100)는 스케일 제거장치(120)에서 표면 스케일이 제거되고, 슬라브 이송롤 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 가동되는 이송 테이블(130)을 거쳐 압연기(140)에 도달한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 슬라브(100)는, 압연기(140) 입측의 이송 테이블(130)상 설치되는 슬라브 터닝장치(200) 또는, 견인(크레인) 와이어(210)를 이용하고 판재 아래에 놓이는 날판(212)을 이용하여, 슬라브(100)의 터닝 작업을 하고, 이후 폭내기 압연을 실시하였다.
후판재의 경우, 일반 열간 압연재 대비 폭이 1500 ~ 4500mm 정도로 크기 때문에, 조압연기 입측에서 슬라브(100)를 터닝하여 폭과 길이 방향이 변경되어 폭이 길이가 되고 길이가 폭이 되어 압연이 수행된다.
그리고, 압연 특성상 압연재는 길이방향으로 늘어나게 되므로, 목표 폭에 해당하는 분량만큼 터닝후 조압연 공정에서 슬라브의 길이가 늘어나면 조압연을 완료하고 다시 터닝함으로써 목표폭을 가지는 후판재(후강판)을 1차 압연 생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판재의 폭내기 압연을 위한 슬라브(100)의 터닝을 위하여 사용되는 슬라브 터닝장치(200)의 경우, 도 2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장치 구조가 복잡하고, 터닝 작동 단계도 여러번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비 라인에 비용이 많이 들고, 장치 설치를 위한 공간도 많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종래의 슬라브 터닝장치(200)는, 가열로(110)에서 추출된 슬라브(100)가 터닝장치(200)에 도달하면, 터닝장치의 2개의 통 크레인이 내려와서 슬라브(100)를 잡고, 들어올려서 터닝시킨 후 다시 슬라브(100)를 이송롤 위에 내려놓고 슬라브(100)로부터 통 크레인이 분리되면 슬라브는 압연기로 이송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장치 구조도 매우 복잡하고, 다단계의 슬라브 터닝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조업 단계도 복잡한 것이다.
더욱이, 종래 슬라브 터닝장치(200)는, 예컨대 실린더 작동되는 통 크레인 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브의 크기와 중량에 따라 슬라브를 잡는 압력을 조정해 주어야 하고, 통 크레인은 슬라브(100)의 측면을 잡기 때문에, 슬라브 표면 결함이 발생되기 쉽고, 특히 터닝시 슬라브가 미끄러져 낙하되는 대형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는, 도 2에서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슬라브 아래에 날판(212)을 놓고, 이를 견인 와이어(210)를 연결하여 수행하는 슬라브 터닝 형태는 사실상,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실제 슬라브 터닝 작업이 상당히 지연되고, 고온 상태의 슬라브 터닝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무엇보다도, 이와 같은 종래의 복잡한 슬라브 터닝장치나 수작업의 날판과 견인 와이어를 이용한 터닝작업 모두, 압연 공정을 지연시키는 것은 물론, 압연 공정에 투입되는 슬라브 자체의 온도 저하로, 압연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기존 슬라브 터닝장치나, 날판과 견인 와이어를 이용한 터닝방식의 문제들을 해소하여, 신속한 터닝 작업으로 판재(슬라브)의 온도 저하나 압연 지연을 예방하고, 전체적인 장치 구조를 간소화시킨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폭내기 압연을 위한 압연소재인 판재(슬라브)의 터닝 작업을 신속하게 라인 상에서 구현함은 물론, 특히 장치 구조가 간단하여 라인 구축시 비용 절감이나 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압연 전에 이송 테이블의 원하는 위치에서의 터닝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이에 따라 압연 조업성도 향상시키는 판재 터닝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판재를 이송토록 제공된 이송롤을 포함하는 판재 이송테이블; 및,
상기 판재 이송롤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되, 상기 이송롤과 협력하여 판재를 터닝 가능토록 제공된 이송롤 연동형 판재 터닝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판재 터닝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재 터닝수단의 일측으로 터닝된 판재를 위치 제어토록 이송롤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판재 스톱핑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재 터닝수단과 판재 스톱핑수단이 각각 탑재되고 이송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이송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은, 이송 이송롤 사이에 설치된 레일; 및,
상기 레일상에 구동원을 매개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되, 상기 판재 터닝수단과 판재 스톱핑수단이 각각 탑재되는 제1,2 이동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재 터닝수단은, 이송롤 사이에 제공된 이송수단의 제1 이동대상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 하나 이상의 판재 터닝롤을 포함하고, 상기 판재 스톱핑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의 제2 이동대상에 제공된 스톱핑롤을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재 터닝롤은, 상기 제1 이동대에 구동원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터닝되는 판재의 측면이나 모서리가 접촉되면서 회전 구동되는 이송롤과 협력하여 판재를 터닝토록 제공된 제1,2 판재 터닝롤을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 테이블에는, 판재 이송을 가이드하는 사이드 가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가이드는 제1,2 이동대를 이동토록 하는 구동원과 연계되는 장치 제어부와 연계되어 상기 제1,2 이동대의 이동이 판재 폭 또는 길이에 따라 제어토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에 의하면, 폭내기 압연을 위한 압연소재인 판재(슬라브)의 터닝 작업을 신속하게 라인 상에서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이송테이블의 이송롤과 협력하여 판재 터닝을 구현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장치구조가 간단하여 라인 구축시 비용 절감이나 공간 활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압연 전에 이송 테이블의 원하는 위치에서의 터닝작업이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압연 조업성도 향상시키는 여러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후판재 폭내기 압연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 후판재 폭내기 압연 작업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재 터닝장치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본 발명 판재 터닝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3의 본 발명에 판재 터닝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 터닝장치의 판재 터닝단계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 터닝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는, 그 구성 일예로서 판재(10)를 이송토록 제공된 이송롤(22)을 포함하는 판재 이송테이블(20) 및, 상기 판재 이송롤(22)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되, 상기 이송롤과 협력하여 판재를 터닝 가능토록 제공된 이송롤 연동형 판재 터닝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의 도 6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는, 이송롤(22)의 회전 구동과 연동하여 상기 이송롤 연동형 판재 터닝수단(30)이 판재(10) 즉, 가열로에서 추출되고 압연기에 투입되는 슬라브의 터닝을 신속하게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본 발명 장치는 기존의 이송롤 구동과 연동하기 때문에, 실제로 설비 구축시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는,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래의 복잡한 터닝장치(200), 또는 날판(212)과 견인 와이어(210)를 이용한 수작업에 비하여, 실질적인 설비의 라인 구축은 용이하게 하면서도, 장치 구조는 간단하며, 판재 터닝작업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는 판재의 신속한 터닝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판재(슬라브)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판재의 압연 품질도 우수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앞에서 설명한 이송롤 연동형 판재 터닝수단(30)의 일측으로 이송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되, 특히 판재(10)와 접촉하여 위치 제어를 가능토록 하는 상기 이송롤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판재 스톱핑수단(50)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 장치는 일차적으로 판재 터닝롤(32)들을 통하여 판재(10)를 터닝시키면, 이송롤(22)의 구동으로 터닝된 판재의 다른 측면(12)을 스톱핑 수단(50)이 지지하여, 도 1과 같이 판재의 90°터닝을 가능하게 한다.(도 6 참조)
또한,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는, 앞에서 설명한 상기 판재 터닝수단(30)과 판재 스톱핑 수단(50)이 각각 탑재되고 이송롤(2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이송수단(7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70)은, 상기 이송롤(22) 사이에 원하는 위치에서 이송롤을 따라 적어도 이송롤 보다는 길게 신장되면서 배치된 하나 이상의 레일(72)과, 상기 레일(72)상에 구동원(80)(82)을 매개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되, 상기 판재 터닝수단(30)과 판재 스톱핑수단(50)이 각각 탑재되는 제1,2 이동대(74) (76)를 포함한다.
이때, 도 4의 확대 도시부분과 같이, 상기 레일(72)에는 가이드(LM가이드)(72a)가 상부면에 길게 일체로 제공되고, 상기 이동대(74)(76)에는 상기 가이드(72a)에 체결되는 가이드홈부(74b)(76b의 도면부호는 없지만 동일한 구조일수 있다)를 갖출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72)은 설비 전체 프레임(F)상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구동원(80)(82)들도 설비 프레임(F)에 연계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제1,2 이동대(74)(76)들에는 상기 가이드홈부가 저면에 형성되는 조립부(74a)(76b의 도면부호는 없지만 동일한 구조일수 있다)를 갖출 수 있다.
더하여,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 이동대(74)(76)에 연계되는 구동원(80)(82)들은 본 실시예에서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구동원들은 반드시 실린더만이 아니라, 스트로크를 제공하는 액츄에이터 또는, 상기 이동대에 체결되어 회전 구동시 이동대를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하는 스크류바아의 사용도 문제가 없다.
따라서, 상기 구동원(80)(82)들 예컨대, 공압 실린더들의 작동에 따라 제1,2 이동대(74)(76)들은 이송롤 사이에서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구현된다. 다만, 한쌍의 레일(72)상에 제1,2 이동대들이 탑재되어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제1,2 이동대의 이동은 도 3과 같이 장치제어부(C)와 연계된 구동원(80)(82)들의 제어를 통하여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1 이동대(74)와 제2 이동대(76)에 각각 탑재되는 상기 판재 터닝수단(30)과 판재 스톱핑수단(50)은, 장치 제어부(C)를 통한 구동원의 제어를 통하여 판재(10)의 폭이나 길이(실제로는 터닝되기 판재의 폭과 길이 모두의 데이터 처리가 필요하다)에 대응하여 위치 제어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판재 터닝수단(30)은, 이송 테이블(20)에서 원하는 위치의 이송롤(22) 사이에 제공된 상기 이송수단(70)의 제1 이동대(74)상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 하나 이상의 판재 터닝롤(32)을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 터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판재의 모서리 부분이 인입되는 서로 간격을 갖는 제1,2 판재 터닝롤(32a)(32b)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판재 터닝수단(30)의 판재 터닝롤들은 제 1 이동대의 위치 제어를 통하여 판재의 폭에 따라 위치 제어되면서, 판재(10)의 전면(12) 접촉위치에 정밀하게 대기할 수 있다.
다음,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의 상기 판재 스톱핑수단(50)은, 상기 이송수단(70)의 제2 이동대(76)상에 제공된 스톱핑롤(5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스톱핑롤(52)도 터닝롤들과 마찬가지로 제2 이동대(76)상에 탐재되기 때문에, 판재의 터닝시 판재(10)의 전면(12)이 접촉하여 위치가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판재 터닝롤(32)(제1,2 판재 터닝롤(32a)(32b))들은 제1 이동대 (74)에 베어링블록(B)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수직하게 탑재되고, 하부의 롤 축(33)에는, 이동대의 하측에 고정 브라켓트(94)로서 수직 위치된 구동원(90) 즉, 구동모터(감속이 가능한 기어드모터)가 커플링(92)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터닝롤 들의 표면에는 판재 터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돌기(35)들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이동대(74)상에 제공되는 제1,2 터닝롤(32a)(32b)들은 이송되는 판재(10)의 일부분(바람직하게는 모서리부분)을 지지한 상태에서, 구동원(90)인 구동모터의 작동으로 회전되고, 이때 판재(10)는 접촉한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되고, 이송롤(22)이 연계된 구동모터(22a)에 의하여 회전되면, 판재(10)는 제1,2 터닝롤에 일지점이 지지된 상태에서 점진적으로 터닝하게 되고, 터닝이 완료되는 순간, 미리 이동하여 대기 중인 스톱핑수단(50)의 스톱핑롤(52)로 판재의 반대측면이 지지된다.
이때, 도 3 및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롤(22)들의 회전 구동을 결정하는 연계된 구동원(22a)은 장치 제어부(C)와 연계된다.
예를 들어, 판재 터닝시 판재 터닝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판재 터닝롤과 스톱핑 롤들이 제1,2 이동대의 이동으로 판재 이동경로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시간동안 이송롤들의 구동은 잠시 중단되는 것이 필요하고, 이와 같은 이송롤, 제1,2 이동대 및 터닝롤들의 구동은 장치 제어부(C)와 구동원 들이 연계되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가 연계되는 이송 테이블(10)에는, 터닝되는 판재 이송을 가이드하는 사이드 가이드(24)가 배치되는데, 이와 같은 사이드 가이드(24)는 판재의 터닝 전,후 판재의 중심선 정렬을 가능하게 하면서, 이송롤을 통한 이송을 가이드한다.
이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사이드 가이드(24)에는 실제 판재면과 접촉하는 가이드롤(24a)들이 구비되고, 판재(10)의 폭 또는 길이를 측정 가능하게 하는 센서(S)들이 구비되고, 이들 센서는 장치 제어부(C)와 연계된다.
물론, 사이드 가이드측의 센서 뿐만 아니라, 다른 측정수단을 통하여 판재의 폭 또는 길이를 측정하는 것은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 장치에서는 터닝되는 판재의 폭과 길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앞에서 설명한 터닝롤(32)과 스톱핑롤(52)의 판재 대응 위치로의 위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 도 6a 내지 도 6d에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를 통한 판재의 터닝단계를 단계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다만, 도 6에서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제1,2 이동대(74)(76)의 구동원(80)(82)들은 생략하였다.
먼저,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폭내기 압연을 위하여 터닝되어야 하는 판재(10)가 본 발명 장치의 터닝롤과 스톱핑 롤에 인접하여 이동되면, 사이드 가이드(24)가 작동하여 위치를 고정시키고, 이송롤(22)들의 가동은 잠시 중단된다.
이때, 사이드 가이드(24)는 판재의 센터링도 일정하게 한다.
다음, 구동원(80)인 구동 실린더를 통하여 제1 이동대(74)가 이동하여 탑재된 제1,2 터닝롤(32a)(32b)이 사이로 판재의 모서리부분이 위치되도록 위치 제어되면, 도 6b와 같이, 사이드 가이드(24)들은 후진 이동하고, 이송롤(22)은 가동되고 제1,2 터닝롤(32a)(32b)들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판재(10)는 터닝롤들을 기준으로 서서히 반시계 방향으로 터닝이 시작된다.
다음, 도 6c와 같이, 이송롤(22)의 회전 구동으로 판재(10)의 터닝이 수행되어 완료 직전, 스톱핑롤(52)이 탑재된 제2 이동대(76)가 구동원(82) 즉 구동실린더의 작동으로 이동하여 스톱핑롤(52)은 판재의 반대측 면(12)을 지지하게 된다.
그 다음, 사이드 가이드(24)가 전진하여, 판재가 압연중심선(C)에 맞도록 정렬되고, 도 6d와 같이 제1,2 이동대(74)(76)의 복귀로 터닝롤(32)과 스톱핑롤(34)들이 판재 이송경로에서 외곽으로 벗어나면, 이송롤(22)들이 다시 가동되어 터닝이 완료된 판재(10)의 압연기 투입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는, 무엇보다도 기존 터닝설비 보다는 구조가 간단하면서, 설치된 이송롤과 연동하기 때문에, 사실상 라인 구축을 용이하게 하고, 판재의 신속한 터닝을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터닝 지연에 따른 판재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판재 터닝장치 10.... 판재
20.... 이송 테이블 22.... 이송롤
30.... 이송롤 연동형 판재 터닝수단 32.... 판재 터닝롤
50.... 판재 스톱핑수단 52.... 판재 스톱핑롤
70.... 이송수단 72.... 레일
74,76.... 이동대 80,82,90....구동원

Claims (7)

  1. 판재를 이송토록 제공된 이송롤을 포함하는 판재 이송테이블; 및,
    상기 판재 이송롤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되, 상기 이송롤과 협력하여 판재를 터닝 가능토록 제공된 이송롤 연동형 판재 터닝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판재 터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 터닝수단의 일측으로 터닝된 판재를 위치 제어토록 이송롤 사이에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판재 스톱핑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 터닝수단과 판재 스톱핑수단이 각각 탑재되고 이송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이송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이송 이송롤 사이에 설치된 레일; 및,
    상기 레일상에 구동원을 매개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되, 상기 판재 터닝수단과 판재 스톱핑수단이 각각 탑재되는 제1,2 이동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 터닝수단은, 이송롤 사이에 제공된 이송수단의 제1 이동대상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 하나 이상의 판재 터닝롤을 포함하고,
    상기 판재 스톱핑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의 제2 이동대상에 제공된 스톱핑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 터닝롤은, 상기 제1 이동대에 구동원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터닝되는 판재의 측면이나 모서리가 접촉 지지되면서, 회전 구동되는 이송롤과 협력하여 판재를 터닝토록 제공된 제1,2 판재 터닝롤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테이블에는, 판재 이송을 가이드하는 사이드 가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가이드는 제1,2 이동대를 이동토록 하는 구동원과 연계되는 장치 제어부와 연계되어 상기 제1,2 이동대는 판재의 폭 또는 길이에 따라 제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KR1020100119961A 2010-11-29 2010-11-29 판재 터닝장치 KR101228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961A KR101228677B1 (ko) 2010-11-29 2010-11-29 판재 터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961A KR101228677B1 (ko) 2010-11-29 2010-11-29 판재 터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261A true KR20120058261A (ko) 2012-06-07
KR101228677B1 KR101228677B1 (ko) 2013-01-31

Family

ID=46609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961A KR101228677B1 (ko) 2010-11-29 2010-11-29 판재 터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67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1522A (ja) * 1998-08-24 2000-02-29 Kawasaki Steel Corp 厚板転回装置
JP2002178023A (ja) * 2000-12-08 2002-06-25 Nippon Steel Corp 鋼片の旋回方法
JP2003191004A (ja) 2001-12-26 2003-07-08 Jfe Steel Kk 厚板転回装置および厚板転回方法
KR20090070978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 회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8677B1 (ko) 201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83830B (zh) 平坦金属对齐设备
JP5688600B2 (ja) 巻線導体供給装置
CN203900115U (zh) 侧导辊带钢对中装置
KR100946103B1 (ko) 슬래브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압연방법
KR101228677B1 (ko) 판재 터닝장치
EP2314391A2 (en) Aligning device for high aspect ratio slabs or plates
KR20140002921A (ko) 소재 형상 교정장치
KR100805066B1 (ko) 적치소재 위치 교정이 가능한 파일링 테이블 장치
KR20060005212A (ko)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JP4585465B2 (ja) 鋼材の圧延設備
CN108698097B (zh) 在轧机机架结构简单的情况下的在线式换辊
KR101205155B1 (ko) 압연용 입구 가이드 장치
KR101277580B1 (ko) 압연제품용 권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77498B1 (ko) 후판의 형상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87607B1 (ko) I 빔용 캠버 도입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 i 빔의 캠버도입방법 및캠버가 설계치 이상으로 도입된 i 빔의 캠버보정방법
KR101309981B1 (ko) 판재 터닝장치
KR101207739B1 (ko) 압연롤 간격 조정장치
KR20090067806A (ko)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KR20040015514A (ko) 강판의 중앙 정렬 장치
EP3810366A1 (en) A machine for grinding slabs
CN111532733B (zh) 防止角钢腿部划伤的方法
KR20140041180A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7696679B (zh) 卷筒料分切机自动上料放料机构
KR20160079948A (ko) 가열로의 소재 장입 가이드 장치
KR101294867B1 (ko) 슬래브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압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