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8011A - 가변형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가변형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8011A
KR20120058011A KR1020100119605A KR20100119605A KR20120058011A KR 20120058011 A KR20120058011 A KR 20120058011A KR 1020100119605 A KR1020100119605 A KR 1020100119605A KR 20100119605 A KR20100119605 A KR 20100119605A KR 20120058011 A KR20120058011 A KR 20120058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flow
head
coupled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3814B1 (ko
Inventor
김원배
Original Assignee
김원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배 filed Critical 김원배
Priority to KR1020100119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8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58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5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2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lateral movement parallel to the occupant's shoulder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카락을 뒤로 묶은 상태로 좌석에 착석하는 탑승자가 머리 뒤통수 부위를 헤드레스트에 편안하게 밀착하여 기댈 수 있도록 한 가변형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레스트에 기댄 머리의 좌우측을 지지해줌으로써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석(1)의 등받이(2)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중심부에 상측이 개방되도록 관통형성되어 탑승자의 머리 후방으로 위치되는 머리카락 묶음부(h)를 삽입 수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삽입부(110); 상기 삽입부(11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주는 유동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머리카락 묶음부를 삽입부에 삽입 수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머리 뒤통수 부위를 헤드레스트에 편하게 기댈 수 있으며, 또한 헤드레스트에 기댄 탑승자의 고개가 좌우로 꺾이지 않도록 머리 양측을 지지하여 편안한 자세를 유지시켜줌으로써 피로를 풀어줄 수 있으며, 목디스크와 같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헤드레스트{A head rest with hair insert space}
본 발명은 가변형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머리카락을 뒤로 묶은 상태로 다양한 교통수단의 좌석에 착석하는 탑승자가 머리 뒤통수 부위를 헤드레스트에 편하게 밀착하여 기댈 수 있는 가변형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승용차, 비행기 및 선박 등의 다양한 교통수단에는 탑승자가 편히 앉을 수 있도록 좌석이 마련되고, 좌석의 등받이 상단부에는 헤드레스트(head rest)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헤드레스트는 좌석에 착석한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줌으로써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탑승자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머리를 받쳐주는 한편, 자동차의 추돌사고 발생시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줌으로써 탑승자의 목 부상 등을 방지해주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헤드레스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헤드레스트(10)는 좌석(1)의 등받이(2) 상단부에 가이드공(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3)에는 헤드레스트(10)의 하단부에 대응되게 형성된 가이드봉(11)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헤드레스트(10)는 가이드봉(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되면서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절된다.
그러나 머리카락을 뒤로 묶은 상태로 좌석(1)에 착석하는 탑승자의 경우 머리를 헤드레스트(10)에 편안하게 기대지 못하는 등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즉 탑승자는 목 부분에 힘을 주어 고개를 꼿꼿하게 세운 상태로 착석자세를 유지하거나, 또는 고개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각도 돌린 상태에서 뒤통수를 헤드레스트(10)에 어중간하게 기댈 수밖에 없다. 이 경우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편안하게 지지해주지 못하므로 목 부위의 근육 경직으로 인해 피로가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탑승자가 헤드레스트(10)에 머리 뒤통수를 기대고 수면을 취하는 경우 고개를 제대로 가누지 못함에 따라 머리가 일측으로 치우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평소에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좌석(1)에 착석하는 경우 목에 무리가 오게 되고, 심한 경우 목디스크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머리카락을 뒤로 묶은 상태로 좌석에 착석하는 탑승자가 머리 뒤통수 부위를 헤드레스트에 편안하게 밀착하여 기댈 수 있도록 한 가변형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레스트에 기댄 머리의 좌우측을 지지해줌으로써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형 헤드레스트는, 좌석의 등받이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중심부에 상측이 개방되도록 관통형성되어 탑승자의 머리 후방으로 위치되는 머리카락 묶음부를 삽입 수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를 개폐시켜주는 유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는 사각형, '∪'자형, 'V'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부는, 상기 삽입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 일측이 상기 삽입부의 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후방으로 젖힘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와 유동부가 접하는 부위에는 상기 삽입부의 폐쇄시 상기 유동부의 위치를 고정해줄 수 있도록 잠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유동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걸고리와, 상기 걸고리가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걸림봉과, 상기 걸고리를 걸림봉에 걸림 또는 해제시켜주는 조작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축에는 상기 몸체를 후방으로 선회시켜주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의 양측에는 탑승자의 머리 좌우측을 지지해줄 수 있도록 일단이 전방으로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돌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좌석의 등받이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중심부에 상측이 개방되도록 관통형성되어 탑승자의 머리 후방으로 위치되는 머리카락 묶음부를 삽입 수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를 개폐시켜주는 유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부는, 상기 삽입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삽입부의 내측 바닥면에 상기 삽입부가 관통형성된 수평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 상기 몸체의 하측에 설치되되, 일단이 모터에 결합되고 타단이 베어링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몸체가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이송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는 상기 몸체의 하단부 양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석의 등받이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이등분되고, 상기 상부몸체는 좌우로 이등분되되 하단부가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부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2유동부를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상기 제1, 2유동부를 상기 헤드레스트의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확장 이동시 상기 제1, 2유동부의 사이에 탑승자의 머리 후방으로 위치되는 머리카락 묶음부를 삽입 수납할 수 있는 삽입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2유동부는,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2유동부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에는 상기 제1, 2유동부의 확장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2유동부를 자동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가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상부몸체의 하측에 설치되되 일단이 모터에 결합되고 타단이 베어링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중간을 기준으로 일측은 오른나사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왼나사부가 형성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에 제각기 나사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2유동부가 양측으로 벌려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도록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부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이송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탑승자가 머리카락을 후방으로 묶은 상태로 좌석에 착석하는 경우 머리카락 묶음부를 삽입부에 삽입 수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머리 뒤통수 부위를 헤드레스트에 편하게 기댈 수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에 기댄 탑승자의 고개가 좌우로 꺾이지 않도록 머리 양측을 지지하여 편안한 자세를 유지시켜줌으로써 피로를 풀어줄 수 있으며, 목디스크와 같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헤드레스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헤드레스트의 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헤드레스트의 측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 상세도 및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헤드레스트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헤드레스트의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헤드레스트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동부의 다른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헤드레스트의 제3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헤드레스트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헤드레스트에 구동부가 구비된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헤드레스트의 제4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 및 유동부가 적용된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헤드레스트의 제1실시예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헤드레스트의 측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분 상세도 및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헤드레스트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헤드레스트(100)는 좌석(1)의 등받이(2)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머리카락을 뒤로 묶고 있는 탑승자가 뒤통수를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와 같은 헤드레스트(100)는 삽입부(110), 유동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도 2에 표시된 A 화살표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B 화살표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삽입부(110)는 헤드레스트(100)의 중심부에 상측이 개방되도록 관통형성되어 탑승자의 머리 후방으로 위치되는 머리카락 묶음부(h)(도 5 참조)를 삽입 수납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삽입부(110)는 사각형, '∪'자형, 'V'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삽입부(110)의 형상을 특정 형상의 일례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머리카락 묶음부(h)를 삽입 수납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동부(120)는 헤드레스트(100)에 형성된 삽입부(110)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주는 것으로, 이와 같은 상기 유동부(120)는 삽입부(110)와 대응되는 크기의 몸체(1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121)는 하단부 양측이 힌지축(123)을 매개로 삽입부(11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이와 같은 몸체(121)를 힌지축(123)을 회전중심으로 후방으로 일정각도 젖혀줌으로써 삽입부(110)를 마련해주게 된다.
이 경우 삽입부(110)와 유동부(120)가 접하는 부위에는 삽입부(110)의 폐쇄시 유동부(120) 위치를 고정해주는 잠금수단(1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수단(130)은 유동부(12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걸고리(131)와, 걸고리(131)가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부(110)의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걸림봉(133)과, 걸고리(131)를 걸림봉(133)에 걸림 또는 해제시킬 수 있도록 걸고리(131)의 일단에 결합되는 조작버튼(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걸고리(131)는 몸체(121)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고정부재(122)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직선부(131a)와, 직선부(131a)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절곡형성되되 그 끝단부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걸림봉(133)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돌기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작버튼(135)과 고정부재(122) 사이의 직선부(131a)에는 탄성스프링(137)이 개재된다. 탄성스프링(137)은 걸고리(131)를 걸림봉(133) 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유동부(12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해주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잠금수단(130)을 걸고리(131)와 걸림봉(133)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인 잠금/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구조로 변경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유동부(120)의 힌지축(123)에는 토션스프링(1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125)은 비틀림 압축된 후 가해졌던 압축력이 해제되는 순간 발생하는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토션스프링(125)은 유동부(120)의 몸체(121)를 힌지축(123)을 회전중심으로 후방으로 선회시켜주게 된다. 이에 따라 조작버튼(135)의 조작에 의해 도 4의 (b)와 같이 잠금수단(13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유동부(120)에 별다른 외력을 가하지 않아도 토션스프링(12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몸체(121)가 힌지축(123)을 회전중심으로 후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가변형 헤드레스트(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카락을 후방으로 묶은 상태의 탑승자가 좌석(1)에 착석하는 경우 헤드레스트(100)의 유동부(120)를 후방으로 젖혀주어 삽입부(110)를 마련해주게 되고, 이와 같이 마련된 삽입부(110)에 탑승자의 머리카락 묶음부(h)를 삽입 수납해줌으로써 머리를 헤드레스트(100)에 편안하게 기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헤드레스트(100)는 운전석, 조수석은 물론 뒷좌석에 이르기까지 적용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헤드레스트의 제2실시예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헤드레스트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200)는, 헤드레스트(200)의 몸체 중심부에 상측이 개방되도록 관통형성되어 탑승자의 머리 후방으로 위치되는 머리카락 묶음부(h)를 삽입 수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삽입부(210)와, 삽입부(210)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줄 수 있도록 삽입부(210)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해보면, 상기 유동부(220)는 삽입부(210)와 대응되는 크기로 몸체(221)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몸체(22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부(210)의 내측 바닥면에는 삽입부(210)가 관통형성된 수평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221)의 하단부에는 가이드홈(22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223)가 대응되게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홈(222)과 가이드돌기(223)는 몸체(221)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221)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221)의 하측에는 일단이 모터(224)에 결합되고 타단이 베어링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리드스크류(225)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221)의 하부 일측에는 리드스크류(225)에 나사결합되는 이송너트(226)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모터(224)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리드스크류(225)에 의해 몸체(221)가 일정거리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동부(220)를 자동으로 전후진 시킬 수 있도록 모터(224)와 리드스크류(225)의 구성을 적용한 일례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유동부(220)를 자동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구조로 변경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220)를 가이드레일(227)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압축스프링(228)을 이용하여 유동부(220)를 일측으로 탄성 지지해주되 힌지축(229a)을 회전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된 조작버튼(229)의 조작 여부에 따라 유동부(220)의 선택적인 잠금/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유동부(220)를 전후진 작동시켜주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헤드레스트의 제3실시예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헤드레스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헤드레스트에 구동부가 구비된 상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300)는 크게 상부몸체(310)와 하부몸체(320)로 이등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310)는 좌우로 이등분되되 하단부가 하부몸체(320)의 상단부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1, 2유동부(311)(312)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2유동부(311)(312)를 헤드레스트(300)의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일정거리 확장 이동시켜주게 되면, 상기 제1, 2유동부(311)(312)의 사이가 벌어져 마련된 공간, 즉 헤드레스트(300)의 중심부에서 상측이 개방된 형태의 삽입부(330)를 마련해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2유동부(311)(312)는 하부몸체(312)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321)과, 상기 가이드홈(32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2유동부(311)(312)의 하단부에 제각기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11a)(312a)의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홈(312a)의 양측에는 제1, 2유동부(311)(312)가 양측으로 확장되는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걸림턱(3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2유동부(311)(312)가 양측으로 확장 이동되어 마련되는 일정너비(t)의 삽입부(330)는 탑승자의 머리 후방으로 위치되는 머리카락 묶음부(h)를 삽입 수납해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삽입부(330)에 의해 탑승자는 머리를 헤드레스트(300)에 편하게 기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유동부(311)(312)는 구동부(350)에 의해 자동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구동부(350)는 제1, 2유동부(311)(312)의 하측에 설치되되, 일단이 모터(352)에 결합되고 타단이 베어링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중간을 기준으로 일측은 오른나사부(351a)가 형성되고 타측은 왼나사부(351b)가 형성되는 리드스크류(351)와, 상기 리드스크류(351)의 오른나사부(351a)와 왼나사부(351b)에 제각기 나사결합되어 리드스크류(351)의 회전에 의해 제1, 2유동부(311)(312)가 양측으로 동시에 벌려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도록 제1, 2유동부(311)(312)의 하단부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이송너트(353a)(35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구동부(350)가 구비된 헤드레스트(300)는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52)의 동력을 전달받아 리드스크류(3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리드스크류(351)의 오른나사부(351a)와 왼나사부(351b)에 제각기 나사결합된 제1, 2유동부(311)(312)가 양측으로 일정간격(t) 벌어지게 되면서 머리카락 묶음부(h)를 삽입 수납해줄 수 있는 삽입부(330)가 마련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리드스크류(351)가 모터(352)의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리드스크류(351)의 오른나사부(351a)와 왼나사부(351b)에 제각기 나사결합된 제1, 2유동부(311)(312)가 오므려지게 되면서 그 사이에 형성되었던 삽입부(330)가 폐쇄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헤드레스트의 제4실시예이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400)는 몸체 중심부에 상측이 개방되도록 관통형성되어 탑승자의 머리 후방으로 위치되는 머리카락 묶음부(h)를 삽입 수납해줄 수 있도록 삽입부(410)가 마련되고, 헤드레스트(400)의 양측에는 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탑승자의 머리 좌우측을 지지해주는 한 쌍의 돌출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420)는 헤드레스트(400)의 몸체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힌지축(421)에 일단이 선회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헤드레스트(400)는 좌석(1)에 착석한 탑승자가 한 쌍의 돌출부(420)를 헤드레스트(400)의 전방으로 일정각도 회동시켜 돌출부(420)의 타단이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조작해줌으로써 헤드레스트(400)에 기댄 탑승자의 머리 좌우측을 지지해줄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편안한 자세를 유지시켜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돌출부(420)가 힌지축(421)을 회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일정각도 선회되는 방식으로 구성된 일례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돌출부(420)를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도 12의 (b)와 같이 상기 돌출부(420)의 일단이 헤드레스트(400)의 양측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힌지축(423)에 상하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변경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도 12의 (c)에서와 같이, 상기 돌출부(420)가 헤드레스트(400)의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425)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으로 일정간격 돌출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변경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420)를 제2실시예에서 적용한 모터(224)와 리드스크류(225)의 조합을 적용하여 자동으로 전후진 시키는 구조로 변경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410)에는 상기 제1, 2실시예에서 설명한 유동부(120)(220)가 선택적으로 적용설치되어 삽입부(41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헤드레스트(400)의 외주면에는 삽입부(410)와 돌출부(420)를 포함한 몸체 전체를 탄력을 가진 외피(미도시)를 이용하여 감싸주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헤드레스트(400)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돌출부(420)는 몸체와 접하는 부위에 틈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틈에는 탑승자의 머리카락이 자주 끼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외피를 헤드레스트(400)의 외주면에 감싸주어 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해줌으로써 탑승자의 머리카락이 끼이는 경우를 방지해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헤드레스트가 구비되지 않은 좌석에 적용시킬 수 있다. 즉 등받이(2)의 상단부에 머리카락 묶음부(h)를 삽입 수납할 수 있는 삽입부(510)를 형성하고, 이러한 삽입부(510)에는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유동부(520)를 결합하여 상기 삽입부(51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구조로 변경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헤드레스트를 다양한 교통수단에 구비된 좌석에 한정하지 않으며, 가정에서 사용되는 의자, 소파 등의 등받이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100, 200, 300, 400 : 헤드레스트 110, 210, 330, 410, 510 : 삽입부
120, 220, 520 : 유동부 121, 221 : 몸체
123 : 힌지축 222 : 가이드홈
223 : 가이드돌기 224 : 모터
225 : 리드스크류 420 : 돌출부
421 : 힌지축

Claims (12)

  1. 좌석(1)의 등받이(2)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중심부에 상측이 개방되도록 관통형성되어 탑승자의 머리 후방으로 위치되는 머리카락 묶음부(h)를 삽입 수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삽입부(110);
    상기 삽입부(1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110)를 개폐시켜주는 유동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헤드레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10)는 사각형, '∪'자형, 'V'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헤드레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120)는,
    상기 삽입부(110)와 대응되는 크기로 몸체(12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21)의 하부 일측이 상기 삽입부(110)의 힌지축(12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후방으로 젖힘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헤드레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10)와 유동부(120)가 접하는 부위에는 상기 삽입부(110)의 폐쇄시 상기 유동부(120)의 위치를 고정해줄 수 있도록 잠금수단(130)이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가변형 헤드레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130)은,
    상기 유동부(12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걸고리(131)와,
    상기 걸고리(131)가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110)의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걸림봉(133)과,
    상기 걸고리(131)를 걸림봉(133)에 걸림 또는 해제시켜주는 조작버튼(13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헤드레스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123)에는 상기 몸체(121)를 후방으로 선회시켜주는 토션스프링(125)이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가변형 헤드레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양측에는 탑승자의 머리 좌우측을 지지해줄 수 있도록 일단이 전방으로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돌출부(4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가변형 헤드레스트.
  8. 좌석(1)의 등받이(2)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중심부에 상측이 개방되도록 관통형성되어 탑승자의 머리 후방으로 위치되는 머리카락 묶음부(h)를 삽입 수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삽입부(210); 및
    상기 삽입부(2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210)를 개폐시켜주는 유동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부(220)는,
    상기 삽입부(21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몸체(221);와
    상기 삽입부(210)의 내측 바닥면에 상기 삽입부(210)가 관통형성된 수평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222);과
    상기 가이드홈(22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221)의 하단부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223);
    상기 몸체(221)의 하측에 설치되되, 일단이 모터(224)에 결합되고 타단이 베어링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드스크류(225);
    상기 리드스크류(225)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몸체(221)가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221)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이송너트(22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헤드레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222)과 가이드돌기(223)는 상기 몸체(221)의 하단부 양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헤드레스트.
  10. 좌석(1)의 등받이(2)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는 상부몸체(310)와 하부몸체(320)로 이등분되고,
    상기 상부몸체(310)는 좌우로 이등분되되 하단부가 상기 하부몸체(320)의 상단부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2유동부(311)(312)를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상기 제1, 2유동부(311)(312)를 상기 헤드레스트의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확장 이동시 상기 제1, 2유동부(311)(312)의 사이에 머리카락 묶음부(h)를 삽입 수납할 수 있는 삽입부(33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헤드레스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유동부(311)(312)는,
    상기 하부몸체(32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321);과
    상기 가이드홈(32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2유동부(311)(312)의 하단부에 제각기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11a)(312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헤드레스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유동부(311)(312)를 자동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350)가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350)는,
    상기 상부몸체(310)의 하측에 설치되되 일단이 모터(352)에 결합되고 타단이 베어링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중간을 기준으로 일측은 오른나사부(351a)가 형성되고 타측은 왼나사부(351b)가 형성되는 리드스크류(351);와
    상기 리드스크류(351)의 오른나사부(351a)와 왼나사부(351b)에 제각기 나사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35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2유동부(311)(312)가 양측으로 벌려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도록 상기 상부몸체(310)의 하단부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이송너트(353a)(35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헤드레스트.
KR1020100119605A 2010-11-29 2010-11-29 가변형 헤드레스트 KR101213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605A KR101213814B1 (ko) 2010-11-29 2010-11-29 가변형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605A KR101213814B1 (ko) 2010-11-29 2010-11-29 가변형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011A true KR20120058011A (ko) 2012-06-07
KR101213814B1 KR101213814B1 (ko) 2012-12-18

Family

ID=46609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605A KR101213814B1 (ko) 2010-11-29 2010-11-29 가변형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81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7959A1 (ko) * 2014-09-23 2016-03-31 한석언 의자용 머리받침대
CN108248471A (zh) * 2016-12-28 2018-07-06 佛吉亚汽车座椅有限责任公司 用于车辆座椅的头枕
KR102111887B1 (ko) * 2019-09-16 2020-05-15 주식회사 다이치 2점식 및 3점식으로 호환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차량용 안전시트
EP3702283A1 (en) * 2019-03-01 2020-09-02 The Boeing Company Head stabilizing headrest
KR102209622B1 (ko) * 2019-09-16 2021-02-01 주식회사 다이치 2점식 및 3점식 호환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차량용 안전시트
KR102209619B1 (ko) * 2019-09-16 2021-02-01 주식회사 다이치 2점식 및 3점식으로 호환 사용이 가능한 차량용 안전시트
KR20210055187A (ko) * 2019-11-07 2021-05-17 조정환 치과용 유닛 체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212Y2 (ko) 1978-03-14 1982-02-05
JPH10137066A (ja) 1996-11-06 1998-05-26 Shingo Morimitsu 座席シート仮眠補助具
JPH11319009A (ja) 1998-05-21 1999-11-24 Toshiaki Ito 電動マッサージ機の補助装置
KR200450197Y1 (ko) * 2010-04-01 2010-09-09 김원배 머리카락 삽입홈이 구비된 목 베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7959A1 (ko) * 2014-09-23 2016-03-31 한석언 의자용 머리받침대
CN108248471A (zh) * 2016-12-28 2018-07-06 佛吉亚汽车座椅有限责任公司 用于车辆座椅的头枕
US10829019B2 (en) 2016-12-28 2020-11-10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Headrest for a vehicle seat
EP3702283A1 (en) * 2019-03-01 2020-09-02 The Boeing Company Head stabilizing headrest
US10953988B2 (en) 2019-03-01 2021-03-23 The Boeing Company Head stabilizing headrest
KR102111887B1 (ko) * 2019-09-16 2020-05-15 주식회사 다이치 2점식 및 3점식으로 호환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차량용 안전시트
KR102209622B1 (ko) * 2019-09-16 2021-02-01 주식회사 다이치 2점식 및 3점식 호환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차량용 안전시트
KR102209619B1 (ko) * 2019-09-16 2021-02-01 주식회사 다이치 2점식 및 3점식으로 호환 사용이 가능한 차량용 안전시트
WO2021054682A1 (ko) * 2019-09-16 2021-03-25 주식회사 다이치 2점식 및 3점식으로 호환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차량용 안전시트
KR20210055187A (ko) * 2019-11-07 2021-05-17 조정환 치과용 유닛 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3814B1 (ko) 201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814B1 (ko) 가변형 헤드레스트
US10065546B2 (en)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manual independent thigh supports
US10793040B2 (en) Adjustable headrest assembly with neck support feature
US9527419B2 (en)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manual cushion tilt
US7070240B2 (en) Head restraint arrangement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fitted with said head restraint arrangement, particularly spare seat
JP4063863B1 (ja) ヘッドレスト
JP2005335697A (ja) 乗物シートおよびそのようなシートを備えた乗物
WO2010070939A1 (ja) 椅子
KR20170061925A (ko) 시트의 헤드레스트 경추 받침대
KR20090112430A (ko)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 접힘구조
US7152927B1 (en) Ratcheted headrest for a recliner chair
KR101835546B1 (ko) 차량용 리어시트 암레스트
KR101475947B1 (ko) 차량 시트의 머리받침대용 베개
KR101679688B1 (ko)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KR101177247B1 (ko) 머리받침구
KR101047664B1 (ko) 머리 받침구
KR20100062022A (ko) 자동차용 시트
WO2011067968A1 (ja) 椅子
JP7216272B2 (ja) シート収納構造
KR101193411B1 (ko) 머리 받침구
JP2013530083A (ja) 自動車用シート
JP6776875B2 (ja) 乗物用シート
JPH0523959U (ja) 乗物用座席におけるレグレストの支持構造
JPH0527087Y2 (ko)
JP6542135B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