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54682A1 - 2점식 및 3점식으로 호환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차량용 안전시트 - Google Patents

2점식 및 3점식으로 호환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차량용 안전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54682A1
WO2021054682A1 PCT/KR2020/012302 KR2020012302W WO2021054682A1 WO 2021054682 A1 WO2021054682 A1 WO 2021054682A1 KR 2020012302 W KR2020012302 W KR 2020012302W WO 2021054682 A1 WO2021054682 A1 WO 202105468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elt
vehicle
fixing
safety sea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230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치
Publication of WO202105468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5468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8Particular seat belt attachment and gu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seat.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seat mounted on a vehicle seat to support the infant for the safety of infants during vehicle operation, and secures safety based on a head portion provided with wings, and the seat belt is a two-point type and/or It is fixed in a three-point type for high compatibility, and it is easy to store by applying a structure that can fold the head and seating parts through a hinge rotation, and at least one of a fixing device, an adjustment lever, a set clip, a rotation fixing device, and a hanging fixing device.
  • the type of the belt NLR, ALR, ELR, etc.
  • it relates to a car seat that is secured by fixing the belt in a state without shaking.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seat mounted on a vehicle seat to support the infant for the safety of infants during vehicle operation, and secures safety based on a head part provided with wings, and the seat belt is a two-point type and/or a three-point type. It has high compatibility by being fixed, and it is easy to store by applying a structure that can fold the head part and the seating part through a hinge rotation, and at least some of the fixing device, adjustment lever, set clip, rotation fixing device and hanging fixing device are used. Thus, irrespective of the type of belt (NLR, ALR, ELR, etc.), by fixing the belt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shaking,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afety-guaranteed car seat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 the type of belt NLR, ALR, ELR, etc.
  • the fixing device may include a horizontal rotating part which is a shaft passing throug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ckrest part; A plurality of fixing units provid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the position of which is changed in response to rotation of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and winding the first belt; And a lever for adjusting rotation of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 the fix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elt tractor for winding the first belt through a rotating operation, and the degree of fixation between the vehicle safety seat and the vehicle may be strengthened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 of the belt tractor. I can.
  • FIG. 10 shows an example of fixing the fixing device described in FIG. 8 through a seat belt in a three-point type.
  • FIG. 1 show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r seat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an object tracking system having more components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 the backrest part 20 provide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user's back, and is an area in which the user's back portion is seated.
  • the seating body part 3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ckrest part 20 and supports the user's buttocks.
  • the seating body part 30 may additionally include a seating body hinge part 31.
  • the seating body part 30 separates a seating body that supports the user's buttocks, and by using at least one seating body hinge part 31, the seating body is rotated based on the backrest part 20 to be folded. You can do it.
  • the volume of the vehicle safety seat 1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duced and easily stored.
  • the plurality of head wing portions 13 may be flatly spread outward of the head support portion 11 using the plurality of wing hinge portions 12. .
  • the head support 11 may be fol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backrest 20 using the at least one head hinge 14.
  • the plurality of head wing portions 13 are unfolded flat, the corresponding head support portion 11 is folded toward the backrest portion 20, and the seating body is folded toward the backrest portion 20, so that the vehicle safety seat ( The total volume of 1) can be reduced.
  • the user will be able to easily store the vehicle safety seat (1) in a reduced volume state.
  • the body wing portion 40 is provided at least one on the side of the backrest portion 20, and provides a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side of the user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 the first fixing part 52 and the second fixing part 53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rotation part 51, respectively, and the position is changed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horizontal rotation part 51, thereby being spaced apart. Distance can be changed.
  • first fixing part 52 and the second fixing part 53 may be wound and fixed with a belt.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at the two first fixing parts 52 and the second fixing parts 53 are applied,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larger number of fixing parts is also used. It is possible.
  • the horizontal rotation part 51 is moved by the lever 54. It can be rotated.
  •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52 and the second fixing part 53 is increased, and the belt is pulled and fixed by the increased separation distance, so that the vehicle safety seat (1)
  • the fix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vehicle can be strengthened.
  • the set clip part 60 may have one end fixed to at least a part of the backrest part 20, and the other end may be rotatable based on the fixed one end.
  • the degree of fixed between the vehicle safety seat 1 and the vehicle may be strengthened.
  • the head 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ckrest 20 and provides a function for protecting the user's head in case of a collision.
  • the backrest part 20 provide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user's back, and is an area in which the user's back portion is seated.
  • the seating body part 3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ckrest part 20 and supports the user's buttocks.
  • the head part 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ckrest part 20, and provides a function for protecting the user's head in case of a collision
  • a head support 11, a head wing 13, a wing hinge 12, and a head hinge 14 may be included.
  • the head support 11 is an area where the user's head is supported and the user's head is seated.
  • the head wing portion 13 is a wing-shaped structure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head support portion 11 to protect the user's head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 the three-point passage portion 41 of the plurality of passage portions refers to a region in which the belt enters or exits in order to fix the belt in a three-point manner.
  • the volume of the vehicle safety seat 1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reduced by using the seat hinge part 31 and the head hinge part 14 Can be easily stored.
  • the head support 11 may be fol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backrest 20 using the at least one head hinge 14.
  • the seating body may be fol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backrest portion 20 by using the at least one seating body hinge portion 31.
  • Figure 7 (b) shows an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belt, which has an automatic locking function so that after the seat belt is pulled out and locked, it is no longer withdrawn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lock is released. , It is used in all three points.
  •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 FIG. 7(c) shows an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belt.
  • ELR Energy Locking Retractor
  • the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belt of Fig. 7(c) is mainly used in a three-point type.
  • the fixing device part 50 typically includes a horizontal rotation part 51, a first fixing part 52, a second fixing part 53, and an adjustment lever 54. I can.
  • the horizontal rotation part 51 may be a shaft penetra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ckrest part 20.
  • first fixing part 52 and the second fixing part 53 may be wound and fixed with a belt.
  • the belt applied herein may include all of a Non Locking Retractor (NLR) belt, an Automatic Locking Retractor (ALR) belt, and an Emergency Locking Retractor (ELR) belt.
  • NLR Non Locking Retractor
  •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at the two first fixing parts 52 and the second fixing parts 53 are applied,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larger number of fixing parts is also used. It is possible.
  • the adjustment lever 54 is for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horizontal rotating part 51, and may be provid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ide of the backrest part.
  • FIG. 9 shows an example of each process of applying the fixing device and the adjustment lever described in FIG. 8.
  • the belt may be passed through the two-point passage 42 to be fixed to the belt lock.
  • FIG. 10 shows an example of fixing the fixing device described in FIG. 8 through a seat belt in a three-point type.
  • the first belt is passed through the two-point passage 42 to be fixed to the belt lock
  • the second belt is 3 It may be fixed to the belt lock by passing through the point passing portion 41 and the two point passing portion 42 in turn.
  • the shoulder belt can be fitted in the groove with the fixing lever.
  • FIG. 11 shows a structure for fixing the belt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shaking,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belt by using the set clip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t clip part 60 has one end fixed to at least a part of the backrest part 20, and the other end based on the fixed one end. It can be rotatable.
  • the other end of the set clip part 60 rotates toward the backrest part 20, and at least a part of the belt is fixed between the set clip part 60 and the backrest part 20, so that the vehicle safety seat 1 and the vehicle The fixation of the liver can be strengthened.
  • the belt is pulled and fixed in tension, so that the vehicle safety seat 1 and the vehicle may be reinforced.
  • both of the two-point and three-point belts are designed to be fixed with the set clip portion 60, and the belt is fixed more strongly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very little vibration in the car seat.
  • the belt tractor 71 may be fixed in the middle by rolling the belt.
  • FIG. 13 shows a structure for fixing the belt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shaking,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belt by using the hanging fixing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 the hanging fixing part 80 is provid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eating body part 30, and a three-point passage part of the trunk wing part 40 ( 41) or may include a hook portion 81 for hanging the belt passing through the two-point passage portion 42.
  • FIG. 14 shows an example of another structure for fixing the belt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shaking,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belt by using the hanging fixing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gated fixing part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backrest part 20, and the ligated fixing part 80 itself is a three-point passage part 41 of the body wing part 40 Or it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hanging the belt passing through the two-point passage (42).
  • high storage properties can be secured by apply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ead portion and the seating body portion can be folded through a hinge rotation.
  • the present invention uses at least some of a fixing device, an adjustment lever, a set clip, a rotation fixing device, and a hanging fixing device to fix the belt in a state without shaking,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belt (NLR, ALR, ELR, etc.).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r seat with guaranteed safety.
  • the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and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the like.
  •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 processors controllers
  • microcontrollers microcontrollers
  • microprocessors and the like.
  •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procedure, or function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a memory unit and driven by a processor.
  • the memory unit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may exchange data with the processor through various know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차량용 안전시트는, 차량용 안전시트에 있어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충돌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헤드부; 상기 등받이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착석체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상기 충돌시 상기 사용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몸통 날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 날개부는, 차량에 구비된 벨트가 관통하여 2점식 및 3점식 중 적어도 하나로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통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통과부 중 제 1 통과부를 통해 인입되고 상기 복수의 통과부 중 제 2 통과부로 탈출하는 제 1 벨트의 적어도 일부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상기 제 1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와 상기 차량 간의 고정을 강화하는 고정장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2점식 및 3점식으로 호환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차량용 안전시트
본 발명은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운행시 유아의 안전을 위하여 차량 좌석에 장착되어 유아를 지지하는 안전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날개를 구비한 헤드부를 기초로 안전성을 확보하고, 안전벨트가 2점식 및/또는 3점식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호환성이 높으며, 헤드부 및 착석체부를 힌지 회동을 통해 접을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하고, 고정장치, 조절레버, 세트클립, 회전고정장치 및 걸개고정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NLR, ALR, ELR 등)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안전성이 보장된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를 비롯한 각종 차량의 탑승 시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벨트를 맨 상태에서 운행을 하게 된다.
하지만 승용차를 비롯한 각종 차량에 구비되는 안전벨트는 성인을 기준으로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몸집이 적은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안전벨트의 착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유아를 차량에 탑승시킬 경우 유아의 안전을 위해 별도의 유아용 안전시트를 차량의 좌석 상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자가용의 수요가 급증하게 됨에 따라 유아용 안전시트 또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유아용 안전시트의 형태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다리가 없는 좌석 형태의 본체 상에 쿠션재질의 포자가 전면 및 양측면에 둘러싸여 지고, 등받이 전면 상부로부터 바닥면 사이를 잇는 한 쌍의 체결벨트가 장착되어 이루어진 구조로서, 이러한 카 시트에 앉혀지는 유아는 양 어깨를 지나 가랑이 사이로 체결되는 체결벨트에 의해서 몸체의 이동을 억제시킴으로서 차량에 의한 충격에 대비하여 유아의 안전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안전시트는 크기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 이를 차량의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좌석에 장착 또는 분리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차량용 안전시트를 고정함에 있어 안전벨트가 2점식과 3점식으로 혼용하여 적용될 수 있는 구조가 없고, 큰 부피 및 무게로 인해 카시트를 분리하는 경우에 보관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코너링, 급정거와 같은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차량과 안전시트 간의 고정상태가 불완전하여 유아가 안전 시트에서 이탈되어 유아의 안전에 큰 문제점이 있다.
특히, 벨트의 종류(NLR, ALR, ELR 등)에 따라 카시트가 타이트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유아의 안전이 카시트에 의해 확실히 보장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차량운행시 유아의 안전을 위하여 차량 좌석에 장착되어 유아를 지지하는 안전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날개를 구비한 헤드부를 기초로 안전성을 확보하고, 안전벨트가 2점식 및/또는 3점식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호환성이 높으며, 헤드부 및 착석체부를 힌지 회동을 통해 접을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하고, 고정장치, 조절레버, 세트클립, 회전고정장치 및 걸개고정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NLR, ALR, ELR 등)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안전성이 보장된 카시트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차량용 안전시트는, 차량용 안전시트에 있어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충돌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헤드부; 상기 등받이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착석체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상기 충돌시 상기 사용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몸통 날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 날개부는, 차량에 구비된 벨트가 관통하여 2점식 및 3점식 중 적어도 하나로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통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통과부 중 제 1 통과부를 통해 인입되고 상기 복수의 통과부 중 제 2 통과부로 탈출하는 제 1 벨트의 적어도 일부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상기 제 1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와 상기 차량 간의 고정을 강화하는 고정장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 지지부; 상기 충돌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헤드 지지부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헤드 날개부; 상기 헤드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헤드 날개부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수의 날개 힌지부; 및 상기 등받이부를 기준으로, 상기 헤드 지지부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한, 상기 착석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착석체; 및 상기 등받이부를 기준으로, 상기 착석체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석체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가 상기 차량과 분리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헤드 날개부는 상기 복수의 날개 힌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 지지부의 바깥 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헤드 지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 힌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등받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히며, 상기 착석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석체 힌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등받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힘으로써,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의 부피가 감소하고, 상기 부피가 감소한 상태의 차량용 안전시트는 보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통과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통과하는 벨트를 추가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벨트락;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는, NLR (Non Locking Retractor) 벨트,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벨트 및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장치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일 측면과 타 측면을 관통하는 축인 수평 회전부; 상기 수평 회전부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 회전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위치가 변화되며, 상기 제 1 벨트가 감기는 복수의 고정부; 및 상기 수평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조절하기 위한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벨트가 상기 복수의 고정부 중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에 감긴 상태에서,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수평 회전부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 간의 이격거리가 증가하고, 상기 증가한 이격거리에 의해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와 상기 차량 간의 고정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일단을 기초로 타단이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세트 클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 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벨트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세트 클립부와 상기 등받이부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와 상기 차량 간의 고정을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장치부는, 회전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제 1 벨트를 감기 위한 벨트 트랙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 트랙터의 회전에 비례하여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와 상기 차량 간의 고정된 정도가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석체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제 1 벨트를 걸기 위한 걸개부; 및 회전하는 동작을 통해, 상기 걸개부에 걸린 제 1 벨트를 감기 위한 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비례하여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와 상기 차량 간의 고정된 정도가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운행시 유아의 안전을 위하여 차량 좌석에 장착되어 유아를 지지하는 안전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날개를 구비한 헤드부를 기초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벨트가 2점식 및/또는 3점식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높은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부 및 착석체부를 힌지 회동을 통해 접을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높은 보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장치, 조절레버, 세트클립, 회전고정장치 및 걸개고정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NLR, ALR, ELR 등)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안전성이 보장된 카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카시트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서 설명한 카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의 헤드부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몸통 날개부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헤드부 및 착석체부를 힌지 회동을 통해 접을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높은 보관성을 확보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벨트의 종류(NLR, ALR, ELR 등)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고정장치 및 조절레버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에서 설명한 고정장치 및 조절레버를 적용하는 각각의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8에서 설명한 고정장치를 3점식으로 안전벨트를 통해 고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세트클립을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회전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걸개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걸개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하는 다른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차량용 안전시트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카시트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량용 안전시트(카시트)는 헤드부(10), 등받이부(20), 착석체부(30), 몸통 날개부(40), 고정 장치부(50), 세트 클립부(60), 회전 고정부(70), 걸개고정부(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객체 추적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먼저, 헤드부(10)는, 등받이부(20)의 일단에 연결되고, 충돌시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10)는, 헤드 지지부(11), 헤드 날개부(13), 날개 힌지부(12) 및 헤드 힌지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 지지부(11)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되는 영역이다.
다음으로, 헤드 날개부(13)는, 차량의 충돌시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헤드 지지부(11)의 양 측면에 돌출하여 구비되는 날개 형상의 구조물이다.
이때, 헤드 지지부(11)를 기준으로, 복수의 헤드 날개부(13)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복수의 날개 힌지부(12)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등받이부(20)를 기준으로, 헤드 지지부(11)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 힌지부(14)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등받이부(20)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등 부분이 안착되는 영역이다.
또한, 착석체부(30)는, 등받이부(20)의 타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착석체부(30)는 착석체 힌지부(31)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석체부(30)는,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착석체를 별도로 두고, 적어도 하나의 착석체 힌지부(31)를 이용하여, 등받이부(20)를 기준으로 착석체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착석체 힌지부(31)와 헤드 힌지부(1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량용 안전시트(1)의 부피를 줄여 손쉽게 보관할 수 있다.
즉, 차량용 안전시트(1)가 차량과 분리되는 경우, 복수의 헤드 날개부(13)는 복수의 날개 힌지부(12)를 이용하여, 헤드 지지부(11)의 바깥 방향으로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
또한, 헤드 지지부(1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 힌지부(14)를 이용하여, 등받이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또한, 착석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석체 힌지부(31)를 이용하여, 등받이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헤드 날개부(13)가 평평하게 펼쳐지고, 해당 헤드 지지부(11)가 등받이부(20)를 향하도록 접히며, 착석체가 등받이부(20)를 향하도록 접힘으로써,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1)의 전체 부피가 감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부피가 감소한 상태의 차량용 안전시트(1)를 손쉽게 보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몸통 날개부(40)는, 상기 등받이부(2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차량의 충돌시 사용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몸통 날개부(40)는 추가적인 기능으로, 차량에 구비된 벨트가 관통하여 2점식 및 3점식 중 적어도 하나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몸통 날개부(40)는 차량에 구비된 벨트가 관통하여 2점식 및 3점식 중 적어도 하나로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통과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통과부 중 3점식 통과부(41)는 벨트를 3점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벨트가 인입 또는 탈출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복수의 통과부 중 2점식 통과부(42)는 벨트를 2점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벨트가 인입 또는 탈출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3점식 통과부(41) 및 2점식 통과부(42)의 복수의 통과부 중 적어도 일부인 통과부를 통해 인입되고, 탈출하는 벨트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을 강화하는 고정장치부(50)가 추가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부(50)는 대표적으로, 수평 회전부(51), 제 1 고정부(52), 제 2 고정부(53), 조절레버(5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수평 회전부(51)는 등받이부(2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을 관통하는 축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는 수평 회전부(51)의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고 수평 회전부(51)의 회전에 대응하여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이격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나아가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는 벨트를 감고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적용되는 벨트는, NLR (Non Locking Retractor) 벨트,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벨트 및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벨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가 적용되는 것을 대표적인 일례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 많은 개수의 고정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조절레버(54)는 수평 회전부(51)를 회전시키는 것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등받이부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장치부(50)와 관련하여, 벨트가 상기 복수의 고정부 중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에 감긴 상태에서, 레버(54)에 의해 수평 회전부(51)가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 회전부(5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 간의 이격거리가 증가하고, 증가한 이격거리에 의해 벨트가 팽팽하게 당겨져 고정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세트 클립부(60)는,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20)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일단을 기초로 타단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세트 클립부(60)의 타단이 등받이부(20) 측으로 회전하여, 벨트의 적어도 일부가 세트 클립부(60)와 등받이부(20)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회전 고정부(70)는, 회전하는 동작을 통해, 몸통 날개부(40)의 3점식 통과부(41) 또는 2점식 통과부(42)를 관통한 벨트를 감기 위한 벨트 트랙터(71)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벨트 트랙터(71)의 회전에 비례하여,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된 정도가 강화될 수 있다.
또한, 걸개고정부(80)는, 착석체부(30)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고, 몸통 날개부(40)의 3점식 통과부(41) 또는 2점식 통과부(42)를 관통한 벨트를 걸기 위한 걸개부(8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걸개고정부(80)는 회전하는 동작을 통해, 상기 걸개부(81)에 걸린 벨트를 추가적으로 감기 위한 회전부(82)를 더 포함한다.
이때, 회전부(82)의 회전에 비례하여,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된 정도가 강화될 수 있다.
또한, 결개고정부(80)는, 등받이부(20) 상에 구비되고, 결개고정부(80) 자체가 몸통 날개부(40)의 3점식 통과부(41) 또는 2점식 통과부(42)를 관통한 벨트를 걸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는 도 1에서 설명한 카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면, 헤드부(10)는, 등받이부(20)의 일단에 연결되고, 충돌시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헤드 날개부(13)는, 차량의 충돌시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헤드 지지부(11)의 양 측면에 돌출하여 구비되는 날개 형상의 구조물이다.
또한, 등받이부(20)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등 부분이 안착되는 영역이다.
또한, 착석체부(30)는, 등받이부(20)의 타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몸통 날개부(40)는, 상기 등받이부(2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차량의 충돌시 사용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몸통 날개부(40)는 추가적인 기능으로, 차량에 구비된 벨트가 관통하여 2점식 및 3점식 중 적어도 하나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3점식 통과부(41) 및 2점식 통과부(42)의 복수의 통과부 중 적어도 일부인 통과부를 통해 인입되고, 탈출하는 벨트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을 강화하는 고정장치부(50)가 추가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헤드부, 몸통 날개부, 벨트 고정 구조와 관련된 복수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헤드부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의 헤드부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10)는, 등받이부(20)의 일단에 연결되고, 충돌시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헤드 지지부(11), 헤드 날개부(13), 날개 힌지부(12) 및 헤드 힌지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 지지부(11)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되는 영역이다.
다음으로, 헤드 날개부(13)는, 차량의 충돌시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헤드 지지부(11)의 양 측면에 돌출하여 구비되는 날개 형상의 구조물이다.
도 3의 (a) 내지 (c)에서는 2개의 헤드 날개부(13a, 13b)가 도시된다.
이때, 헤드 지지부(11)를 기준으로, 복수의 헤드 날개부(13a, 13b)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복수의 날개 힌지부(12a, 12b)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등받이부(20)를 기준으로, 헤드 지지부(11)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 힌지부(14)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복수의 헤드 날개부(13a, 13b)는 복수의 날개 힌지부(12a, 12b)를 이용하여, 헤드 지지부(11) 방향으로 구부려져 접힐 수 있다.
또한,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복수의 헤드 날개부(13a, 13b)는 복수의 날개 힌지부(12a, 12b)를 이용하여, 헤드 지지부(11)의 바깥 방향으로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
몸통 날개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몸통 날개부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몸통 날개부(40)는 상기 등받이부(2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차량의 충돌시 사용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로서, 차량에 구비된 벨트가 관통하여 2점식 및 3점식 중 적어도 하나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몸통 날개부(40)는 차량에 구비된 벨트가 관통하여 2점식 및 3점식 중 적어도 하나로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통과부를 포함한다.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복수의 통과부 중 3점식 통과부(41)는 벨트를 3점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벨트가 인입 또는 탈출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복수의 통과부 중 2점식 통과부(42)는 벨트를 2점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벨트가 인입 또는 탈출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3점식 통과부(41) 및 2점식 통과부(42) 중 적어도 일부에는, 벨트를 더 강하게 잡으면서 고정하기 위한 빌트인 방식의 벨트락(43)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3점식 통과부(41) 및 2점식 통과부(42)의 복수의 통과부 중 적어도 일부인 통과부를 통해 인입되고, 탈출하는 벨트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을 강화하는 고정장치부(50)가 추가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데, 이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접이식 구조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헤드부 및 착석체부를 힌지 회동을 통해 접을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높은 보관성을 확보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착석체부(30)는, 등받이부(20)의 타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게 되고, 착석체부(30)는 착석체 힌지부(31)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석체부(30)는,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착석체를 별도로 두고, 적어도 하나의 착석체 힌지부(31)를 이용하여, 등받이부(20)를 기준으로 착석체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착석체 힌지부(31)와 헤드 힌지부(1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량용 안전시트(1)의 부피를 줄여 손쉽게 보관할 수 있다.
즉, 차량용 안전시트(1)가 차량과 분리되는 경우, 복수의 헤드 날개부(13)는 복수의 날개 힌지부(12)를 이용하여, 헤드 지지부(11)의 바깥 방향으로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
또한, 헤드 지지부(1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 힌지부(14)를 이용하여, 등받이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또한, 착석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석체 힌지부(31)를 이용하여, 등받이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헤드 날개부(13)가 평평하게 펼쳐지고, 해당 헤드 지지부(11)가 등받이부(20)를 향하도록 접히며, 착석체가 등받이부(20)를 향하도록 접힘으로써,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1)의 전체 부피가 감소하고, 사용자는 부피가 감소한 상태의 차량용 안전시트(1)를 손쉽게 보관할 수 있다.
벨트 고정 구조 - 제 1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벨트의 종류(NLR, ALR, ELR 등)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a)는 NLR (Non Locking Retractor) 벨트를 나타난 것으로, LOCKING 기능이 없는 것으로 잠김 기능이 없기 때문에 웨빙을 전량 인출하여 별도의 길이 조절구 사용으로 탑승객 신체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며, 2점식에서만 주로 사용된다.
또한, 도 7의 (b)는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벨트를 나타낸 것으로, 자동잠김 기능이 있어 SEAT BELT를 인출하여 잠긴 후에는 더 이상 인출되지 않고 잠김 해제시 원위치로 되돌아가는 방식이며, 2점식, 3점식에서 모두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도 7의 (c)는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벨트를 나타낸 것으로, 웨빙 인지 방식에서는 웨빙이 인출되는 속도에 따라 LOCKING되고, 차량 인지 방식에서는 차량의 기울기 또는 가속도에 따라 LOCKING되며, 이중 인지 방식에서는 웨빙과 차량 인지를 모두 이용하여 LOCKING될 수 있다.
도 7의 (c)의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벨트는 주로 3점식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구조에 적용되는 벨트는, 상기 NLR (Non Locking Retractor) 벨트,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벨트 및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벨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고정장치 및 조절레버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3점식 통과부(41) 및 2점식 통과부(42)의 복수의 통과부 중 적어도 일부인 통과부를 통해 인입되고, 탈출하는 벨트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을 강화하는 고정장치부(50)가 추가적으로 이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부(50)는 대표적으로, 수평 회전부(51), 제 1 고정부(52), 제 2 고정부(53), 조절레버(5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수평 회전부(51)는 등받이부(2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을 관통하는 축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는 수평 회전부(51)의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고 수평 회전부(51)의 회전에 대응하여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이격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나아가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는 벨트를 감고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여기서 적용되는 벨트는, NLR (Non Locking Retractor) 벨트,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벨트 및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벨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가 적용되는 것을 대표적인 일례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 많은 개수의 고정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조절레버(54)는 수평 회전부(51)를 회전시키는 것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등받이부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도 8에서 설명한 고정장치 및 조절레버를 적용하는 각각의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a) 및 (b)를 참조하면, 2점식 벨트를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2점식 통과부(42)에 벨트가 통과되어 벨트 락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c) 및 (d)를 참조하면, 고정장치부(50)와 관련하여, 벨트가 상기 복수의 고정부 중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에 감길 수 있다.
또한, 도 9의 (e)를 참조하면, 벨트가 상기 복수의 고정부 중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에 감긴 상태에서, 레버(54)에 의해 수평 회전부(51)가 회전할 수 있다.
레버(54)는 복수로 구비 가능하고, 각 등받이부(20)의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의 (f)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 회전부(5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 간의 이격거리가 증가하고, 증가한 이격거리에 의해 벨트가 팽팽하게 당겨져 고정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이 강화될 수 있다.
벨트 고정 구조 - 제 2 실시예
도 10은 도 8에서 설명한 고정장치를 3점식으로 안전벨트를 통해 고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3점식 벨트를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제 1 벨트가 2점식 통과부(42)에 벨트가 통과되어 벨트 락에 고정되고, 제 2 벨트가 3점식 통과부(41) 및 2점식 통과부(42)를 차례로 통과하여 벨트 락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어깨벨트를 늘려 반대편 버클을 채워주며, 어깨벨트는 위쪽고정, 복부벨트는 아래 홈을 통과하도록 끼워준다
또한, 어깨벨트를 고정레버가 있는 홈에 끼울 수 있다,
이때, 2점식 통과부(42) 및 3점식 통과부(41)에 구비된 빌트인 방식의 벨트락이 추가적으로 잡아줌으로써, 더 강한 고정 효과를 가져갈 수 있다.
벨트 고정 구조 - 제 3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세트클립을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트 클립부(60)는,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20)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일단을 기초로 타단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세트 클립부(60)의 타단이 등받이부(20) 측으로 회전하여, 벨트의 적어도 일부가 세트 클립부(60)와 등받이부(20)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이 강화될 수 있다.
즉, 세트 클립부(60)와 등받이부(20) 사이의 고정력에 의해, 벨트가 팽팽하게 당겨져 고정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이 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실시예에서는, 2점식, 3점식 벨트 모두 본 세트클립부(60)로 고정이 가능하로고 설계되고, 벨트고정이 좀 더 강하게 되어 카시트 흔들림이 매우 적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세트클립부(60)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폴딩되어 보관하는 구조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벨트 고정 구조 - 제 4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회전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고정부(70)는, 회전하는 동작을 통해, 몸통 날개부(40)의 3점식 통과부(41) 또는 2점식 통과부(42)를 관통한 벨트를 감기 위한 벨트 트랙터(71)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벨트 트랙터(71)는 벨트를 돌돌 말아 중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벨트 트랙터(71)의 회전에 비례하여,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된 정도가 강화될 수 있다.
즉, 벨트 트랙터(71)의 회전에 의해, 벨트가 팽팽하게 당겨져 고정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이 강화될 수 있다.
벨트 고정 구조 - 제 5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걸개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걸개고정부(80)는, 착석체부(30)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고, 몸통 날개부(40)의 3점식 통과부(41) 또는 2점식 통과부(42)를 관통한 벨트를 걸기 위한 걸개부(8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걸개고정부(80)는 회전하는 동작을 통해, 상기 걸개부(81)에 걸린 벨트를 추가적으로 감기 위한 회전부(82)를 더 포함한다.
이때, 회전부(82)의 회전에 비례하여,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된 정도가 강화될 수 있다.
즉, 회전부(82)의 회전에 비례하여, 벨트가 팽팽하게 당겨져 고정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이 강화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걸개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하는 다른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결개고정부(80)는, 등받이부(20) 상에 구비되고, 결개고정부(80) 자체가 몸통 날개부(40)의 3점식 통과부(41) 또는 2점식 통과부(42)를 관통한 벨트를 걸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
본 발명은 차량운행시 유아의 안전을 위하여 차량 좌석에 장착되어 유아를 지지하는 안전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날개를 구비한 헤드부를 기초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벨트가 2점식 및/또는 3점식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높은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부 및 착석체부를 힌지 회동을 통해 접을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높은 보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장치, 조절레버, 세트클립, 회전고정장치 및 걸개고정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NLR, ALR, ELR 등)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안전성이 보장된 카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9)

  1. 차량용 안전시트에 있어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충돌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헤드부;
    상기 등받이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착석체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상기 충돌시 상기 사용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몸통 날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 날개부는, 차량에 구비된 벨트가 관통하여 2점식 및 3점식 중 적어도 하나로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통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통과부 중 제 1 통과부를 통해 인입되고 상기 복수의 통과부 중 제 2 통과부로 탈출하는 제 1 벨트의 적어도 일부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상기 제 1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와 상기 차량 간의 고정을 강화하는 고정장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 지지부;
    상기 충돌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헤드 지지부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헤드 날개부;
    상기 헤드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헤드 날개부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수의 날개 힌지부; 및
    상기 등받이부를 기준으로, 상기 헤드 지지부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 힌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석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착석체; 및
    상기 등받이부를 기준으로, 상기 착석체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석체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가 상기 차량과 분리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헤드 날개부는 상기 복수의 날개 힌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 지지부의 바깥 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헤드 지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 힌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등받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히며, 상기 착석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석체 힌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등받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힘으로써,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의 부피가 감소하고,
    상기 부피가 감소한 상태의 차량용 안전시트는 보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과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통과하는 벨트를 추가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벨트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NLR (Non Locking Retractor) 벨트,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벨트 및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시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일 측면과 타 측면을 관통하는 축인 수평 회전부;
    상기 수평 회전부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 회전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위치가 변화되며, 상기 제 1 벨트가 감기는 복수의 고정부; 및
    상기 수평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조절하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시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벨트가 상기 복수의 고정부 중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에 감긴 상태에서,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수평 회전부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 간의 이격거리가 증가하고, 상기 증가한 이격거리에 의해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와 상기 차량 간의 고정이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시트.
  7.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일단을 기초로 타단이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세트 클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 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벨트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세트 클립부와 상기 등받이부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와 상기 차량 간의 고정을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시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부는,
    회전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제 1 벨트를 감기 위한 벨트 트랙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 트랙터의 회전에 비례하여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와 상기 차량 간의 고정된 정도가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시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체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제 1 벨트를 걸기 위한 걸개부; 및
    회전하는 동작을 통해, 상기 걸개부에 걸린 제 1 벨트를 감기 위한 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비례하여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와 상기 차량 간의 고정된 정도가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시트.
PCT/KR2020/012302 2019-09-16 2020-09-11 2점식 및 3점식으로 호환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차량용 안전시트 WO202105468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430 2019-09-16
KR1020190113430A KR102111887B1 (ko) 2019-09-16 2019-09-16 2점식 및 3점식으로 호환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차량용 안전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54682A1 true WO2021054682A1 (ko) 2021-03-25

Family

ID=7067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2302 WO2021054682A1 (ko) 2019-09-16 2020-09-11 2점식 및 3점식으로 호환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차량용 안전시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1887B1 (ko)
WO (1) WO20210546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887B1 (ko) * 2019-09-16 2020-05-15 주식회사 다이치 2점식 및 3점식으로 호환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차량용 안전시트
KR102459354B1 (ko) * 2021-06-18 2022-10-28 주식회사 세경카이프 유아용 안전시트의 구조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6596A (ja) * 2003-07-02 2007-03-22 コンコルド キンダーアウトジッツェ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ムパニー コマンジートゲゼルシャフト チャイルドシート
KR20120058011A (ko) * 2010-11-29 2012-06-07 김원배 가변형 헤드레스트
US20170282758A1 (en) * 2016-04-05 2017-10-05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hild's booster seat with detachable belt positioner car seat
KR101866149B1 (ko) * 2017-12-28 2018-06-08 주식회사 다이치 폭과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KR102111887B1 (ko) * 2019-09-16 2020-05-15 주식회사 다이치 2점식 및 3점식으로 호환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차량용 안전시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75269A (en) 2006-09-22 2011-02-25 Tummy Shield Holdings Pty Ltd Seatbelt retention device and system that hooks between a passengers legs
KR101645164B1 (ko) 2015-06-02 2016-08-03 한예령 임산부용 카시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6596A (ja) * 2003-07-02 2007-03-22 コンコルド キンダーアウトジッツェ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ムパニー コマンジートゲゼルシャフト チャイルドシート
KR20120058011A (ko) * 2010-11-29 2012-06-07 김원배 가변형 헤드레스트
US20170282758A1 (en) * 2016-04-05 2017-10-05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hild's booster seat with detachable belt positioner car seat
KR101866149B1 (ko) * 2017-12-28 2018-06-08 주식회사 다이치 폭과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KR102111887B1 (ko) * 2019-09-16 2020-05-15 주식회사 다이치 2점식 및 3점식으로 호환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차량용 안전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887B1 (ko)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54682A1 (ko) 2점식 및 3점식으로 호환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차량용 안전시트
WO2020080747A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WO2017179839A1 (ko)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5628548A (en) Vehicular passenger restraint systems
WO2018044068A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WO2017164666A1 (ko) 무인 비행체
WO2019235730A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WO2018021887A1 (ko)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GB2157543A (en) A roll bar and associated seat belt for a motor vehicle
WO2016006822A1 (en) Headrest moving device
WO2018080011A1 (ko) 탈부착 프레임을 통한 다기능 유아용 웨건
WO2019124683A1 (ko) 작업용 의자
SE9101166D0 (sv) Nackskydd foer faellbart ryggstoed i fordon
WO2018236097A1 (en) DEVICE FOR MOVING HEADREST
WO2019189999A1 (en) Apparatus for adjusting headrest wing
WO2021221336A1 (ko)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골프백
WO2015170841A1 (en) Airbag for vehicle
WO2015182883A1 (ko) 4점식 좌석벨트 모듈
WO2020226313A1 (ko) 유아용 캐리어
WO2017026773A1 (ko) 브래지어 어깨끈의 길이 고정 장치 및 방법
WO2022191383A1 (ko) 시트벨트 버클 장치
WO2019208947A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WO2021177568A1 (ko) 의류 폴딩 장치
WO2022181942A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WO2023101382A1 (ko) 시트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655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655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