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91383A1 - 시트벨트 버클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벨트 버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91383A1
WO2022191383A1 PCT/KR2021/018598 KR2021018598W WO2022191383A1 WO 2022191383 A1 WO2022191383 A1 WO 2022191383A1 KR 2021018598 W KR2021018598 W KR 2021018598W WO 2022191383 A1 WO2022191383 A1 WO 202219138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rap
bush
seat belt
belt buck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859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주상
류원화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CN202180094550.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888019A/zh
Priority to EP21930483.9A priority patent/EP4306368A1/en
Priority to US18/549,466 priority patent/US20240174199A1/en
Publication of WO202219138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9138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022/021Means for holding the tongue or buckle in a non-use position, e.g. for easy access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1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6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 B60R2022/287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of torsion rod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buck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t belt buckle device installed to maintain the seat belt buckle in an upwardly erected state on a vehicle body.
  •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seat belt device on a vehicle seat in order to ensure driving safety of passengers, such as a driver.
  • the seat belt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is configured to restrain the body of the occupant in the event of a car collision to prevent the occupant from jumping out of the vehicle body while preventing secondary collision and mitigating the impact.
  • the most common form of such a seat belt device is a three-point seat belt device in which a shoulder belt for restraining the shoulder and a lap belt for restraining the waist are combined.
  • the seat belt device is equipped with a seat belt webbing woven in a band shape of synthetic fibers such as nylon or polyester, a retractor for storing the webbing when the webbing is not used or the length of the webbing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eating posture of the occupant, and the webbing is mounted.
  • a retractor for storing the webbing when the webbing is not used or the length of the webbing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eating posture of the occupant, and the webbing is mounted.
  • it may include a buckle for releasing, a tongue plate, and a webbing guide for fixing one end of the webbing to the vehicle body.
  • the present applicant discloses a seat belt device and a seat belt buckle device technology in a number of patent documents 1 and 2, etc., and has applied for and registered a patent.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belt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1 illustrates a seat belt buckle device installed on both rear seats of a vehicle.
  • the seat belt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pplied to both rear seats of the vehicle uses webbing to install the buckle on the seat frame, unlike the rear seat center seat, in which the buckle 1 uses a metal strap 2 to install the seat belt buckle. installed on the frame.
  • the seat belt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pplied to both rear seats of the vehicle installs the base bracket 3 on the seat frame, and includes a strap 2 connected to the buckle 1 and A rivet (4) is installed through one side wall of the base bracket (3).
  • the buckle 1 and the strap 2 are provided at an angle from above or from above to the front so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find the buckle 1 that is hung under the seat when the user attaches the tongue (not shown) to the buckle. It is installed to keep it tilted as much as possible.
  • the rivet 4 is provided with a torsion spring 5 that provides a restoring force to the strap 2 .
  • a bracket 6 for limiting the front-rear rotation angle of the strap 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trap 2 .
  • the seat belt buckle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noise is generated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strap 2 and the bracket 6 while the strap 2 rot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round the rivet 4 .
  • a separate base bracket 3 is installed on the seat frame, and the strap 2 is installed on the base bracket 3 using rivets 4 .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58804 (published on July 18, 2017)
  • 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43097 (Notice on November 12, 2019)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t belt buckle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the buckle in an upright state so that the tongue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seat belt buckl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t belt buckle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noise and damage generated when a strap connected to the buckle move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t belt buckle device capable of improving workability by directly installing a strap on a seat fram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processes.
  • the seat belt buckle device includes a buckle to which a tongue is detachably coupled, a strap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uckle and rotatably mounted to a seat fram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strap.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s fixed to the seat fram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acket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strap and a torsion spring that provides a restoring force so that the strap is disposed upward.
  • the buckle can be maintained in an upright state so that the tongue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seat belt buckle, and noise generated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strap connected to the buckle, and The effect that damage can be prevented is obtained.
  • the present invention by directly installing the strap on the body frame, the number of parts and the number of processes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reducing manufacturing cos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belt buckle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belt buckl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belt buckle device shown in FIG. 2 is installed on a vehicle body;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belt buckle device shown in FIG. 2;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2;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applied to a seat belt buck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and 8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seat belt buckl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belt buckl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belt buckle device shown in FIG. 2 is installed on a vehicle body.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belt buckle device shown in FIG. 2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2 .
  • a 'front (F)'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ckle 20 and the strap 30 shown in FIG. 2 rotate around the mounting bolt 12 by an external force
  • the direction is called 'rear (R)'.
  • terms indicating a direction such as 'left (L)', 'right (R)', 'up (U)' and 'down (D)' refer to each direction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ront and rear. defined a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the right rear seat by applying a structure symmetrical to the seat belt buckle device installed on the left rear seat.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rear center seat, the driver's seat and the front passenger seat where the strap and the buckle are connected by webbing or cables.
  • the seat belt buckle device 10 includes a buckle 20 to which a tongue (not shown) is detachably coupl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buckle 20 .
  • a strap 30 coupled to and rotatably mounted to the seat frame 11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bracket 40 and strap 3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trap 30 and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strap 30 It includes a torsion spring 13 that provides a restoring force for positioning in an upward direction.
  • the seat belt buckle device 10 is rota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one side wall, that is, the right side wall of the seat frame 11 provided on the rear left seat. can be mounted
  • the strap 3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with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extending long.
  • a bent portion formed by double bending may be provided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strap 30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buckle 20 and the seat frame 11 .
  • the upper end of the strap 30 is coupled to the buckle 20 , and the lower end of the strap 30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right wall of the seat frame 11 .
  • This strap 30 may be mounted to the seat frame 11 by a mounting bolt 12 .
  • a through hole 31 to which the mounting bolt 12 is fastened may be formed through the strap 30 .
  •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30 may be formed with an adjustment hole 32 into which the adjustment protrusion 42 of the bracket 4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 the buckle 20 and the strap 30 may rotate around the mounting bolt 12 .
  • the adjustment hole 32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convex downward so that the strap 30 is rotatable.
  • the rotation angle of the buckle 20 and the strap 30 may be limited by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hole 32 in the front-rear direction.
  • the buckle 20 and strap 30 may be rotated forward by about 20° to 50° along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 the bracket 4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eat frame 11 and functions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strap 30 .
  • the bracket 40 is disposed between the seat frame 11 and the strap 30 , and may be mounted to the seat frame 11 by the mounting bolt 12 .
  • a coupling hole to which the mounting bolt 40 is coupled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racket 40 .
  • a coupling protrusion 41 coupled to the seat frame 11 is bent toward the seat frame 11 side, that is, to the right, and an adjustment protrusion 42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racket 40.
  • the strap 30 may be bent to the side, that is, to the left.
  • the adjustment protrusion 42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bracket 40 and a horizontal portion bent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to the left.
  • the torsion spring 13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strap 30 , and may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return the strap 30 rotated forward to the upper side.
  •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13, the lower end as seen in FIG. 4 may be caught on the adjusting protrusion 42 of the bracket 40, and the other end,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torsion spring 13, may be caught on the strap 40.
  • the adjustment protrusion 42 of the bracket 40 is formed with a hook groove 43 on which the lower end of the torsion spring 13 is caught, and the upper end of the torsion spring 13 is hooked on the approximately central portion of the strap 30 .
  • a ball may be formed.
  • the strap bush 33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31 of the strap 30, and the mounting bolt 12 is in a state in which the bush 50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may be coupled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rap bush (33).
  • a locking member 14 for fixing each component coupled to the mounting bolt 12 so as not to be separated may be coupled to the right end of the mounting bolt 12 .
  • the locking member 1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ing shape, and a plurality of teeth may be protrud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14 .
  • the strap bush 33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ing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31 of the strap 30 .
  • a flange portion 3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trap bush 33 , on the left side when viewed in FIG. 5 , and at the other end of the strap bush 33 , that is, on the right end of the strap 30 , the through hole 31 periphery of the strap 30 .
  • a hanging protrusion 35 may be formed.
  • the flange portion 34 may be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trap bush.
  • the locking jaws 35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ing shape, or may be formed in plurality by being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angle.
  • the bush 50 functions to minimize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when the strap 30 rotates while it is coupled to the torsion spring 13 and the strap bush 33 .
  • the bush 5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 flange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ush 50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bush 50 , at the left end as seen in FIG. 5 .
  • a first end 51 to which the torsion spring 13 is coupled and supported and a second end 52 to which the strap bush 33 is coupled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 50 to be stepped.
  • first end 51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end 52 .
  • the first end 51 of the bush 50 may be coupl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torsion spring 13 ,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torsion spring 13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end 51 .
  • the second end 52 of the bush 50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strap bush 33 , and the left end of the strap bush 33 , that is, the flange portion 34 , is connected to the left wall of the second end 52 . It may be arranged to partially overlap.
  • the left and right width w1 of the second end 52 may be slightly larg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 w2 of the strap bush 33 (w1>w2).
  • a first gap g1 will be formed between the left side wall of the second end 52 and the flange portion 34 of the strap bush 33 and between the right end of the bush 50 and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bracket 40 .
  •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end 52 may be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trap bush (33).
  • a second gap g2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end 52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trap bush 33 .
  • first gap g1 and the second gap g2 may be finely formed to have a size of about 0.1 mm, respectively.
  • a flange portion and a locking protrusion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rap bush, respectively, and a space between the strap bush and the bush and between the strap bush and the bracket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strap bush 33 and the bush 50 ar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noise may occur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strap 30 and scratches may occur due to friction. .
  • the bush 5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to have rigidity, and the strap bush 33 has a lower rigidity than the bush 50, such as plastic. It can be manufactured using a material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 the width of the second end of the bush is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trap bush,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end is formed slight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trap bush, and the bush and the strap bush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By minimizing the friction that occurs during the rotation of the strap, noise and scratches can be prevented.
  • a protective member 44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adjustment protrusion 42 of the bracket 40 to prevent noise and scratches generated dur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strap 30 .
  • the protective member 44 may be manufactured using a rubber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 the protective member 44 may be manufactured in a tube shape using a heat-shrinkable rubber material that is contracted by heat.
  • the protection member 44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portion bent to the left from the adjustment protrusion 42, as shown in FIG. 4, and is contracted when high-temperature heat is applied using a hot air blower and is firm to the adjustment protrusion 42. can be firmly fix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noise and scratches by installing a protective member on the adjustment protrusion of the bracket to reduce frictional force generated dur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strap.
  • the protection member 44 may be provided in a shape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portion to the vertical portion of the adjustment protrusion 42 .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applied to a seat belt buck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otection member 44 may be entirely installed on the bent adjustment protrusion 42 .
  • the protection member 44 may be installed in an approximately 'L' shape to correspond to the bent shape of the adjustment protrusion 42 .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noise and scratches generat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strap by installing a protective member on the bent adjustment protrus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entire area in contact between the strap and the bracket during the rotation of the strap.
  • FIG. 7 and 8 are operation stat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seat belt buckl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buckle is erected upward
  • FIG.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buckle is rotated forward by a user's manipulation or the like.
  • the operator couples the strap 3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ckle 20 .
  • the strap bush 33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31 of the strap 30 .
  • the adjustment protrusion 42 of the bracket 40 is inserted into the adjustment hole 32 of the strap 30, and both ends of the torsion spring 13 are respectively the hook groove 43 of the adjustment protrusion 42 and the strap ( 30) is hung on each of the hook holes.
  • the locking member 14 is coupled to the right end of the mounting bolt 12 to firmly fix each component.
  • the seat belt buckle device 10 assembled through this process is firmly fixed by fastening the mounting bolt 12 to the right wall of the seat frame 11 provided on the left rear seat.
  •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the base bracket for installing the seat belt buckle device to the seat frame in the prior art, and directly mount the strap to the seat frame.
  •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workability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 by directly attaching the strap to the seat fram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processes.
  • the bracket 40 is firmly fixed to the seat frame 11 as the coupling protrusion 41 bent to the right is coupled to the seat frame 11 .
  • the buckle 20 and the strap 30 may rotate forward about the mounting bolt 12 .
  • the strap 30 normally maintains a state slightly inclined upwards or upward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13 .
  • the strap 30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ward the front around the mounting bolt 12 as shown in FIG. 8 . can do.
  • the user can easily couple the tongue to the buckle 20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buckle 20 to a desired angle when wearing the seat belt.
  • the strap 30 receives the restoring force from the torsion spring 13 again and returns to an upwardly erected state.
  • the protective member installed on the adjustment protrusion of the bracket can prevent noise and scratches generat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strap.
  • the bush and the strap bush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bush and the strap bush and between the bush and the bracket, friction generat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strap is minimized to prevent noise and scratches.
  • the present invention can keep the buckle in an upright state so that the tongue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seat belt buckle, and noise and damage generat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strap connected to the buckle can be prevented. have.
  •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workability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processes by directly installing the strap on the body frame.
  •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ed to the right rear seat by applying a structure symmetrical to the seat belt buckle device installed on the left rear seat. can possibly be chang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rear center seat, the driver's seat and the front passenger seat where the strap and the buckle are connected by webbing or cables.
  •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eat belt buckle device technology that maintains the buckle in an upright state so that the tongue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seat belt buckle, and prevents noise and damage generated during rotation of a strap connected to the buck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시트벨트 버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텅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클, 상기 버클의 하부에 결합되고 시트 프레임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트랩, 상기 스트랩의 일측에 배치되어 시트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스트랩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브래킷 및 상기 스트랩이 상방을 향해 배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텅을 시트벨트 버클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버클을 세워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버클에 연결된 스트랩의 회전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트벨트 버클 장치
본 발명은 시트벨트 버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벨트 버클을 차체에 상방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운전자 등 탑승자의 운행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자동차 시트에 시트벨트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자동차에 설치된 시트벨트 장치는 자동차 충돌 시 탑승자의 몸을 구속하여 2차 충돌 방지 및 충격 완화를 꾀하면서 탑승자가 차체 밖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벨트 장치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어깨 구속용 숄더 벨트와 허리 구속용 랩 벨트가 조합된 3점식 시트벨트 장치이다.
상기 시트벨트 장치는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 합섬 섬유의 띠 모양으로 직조된 시트벨트 웨빙, 시트벨트를 사용하지 않거나 탑승자의 착좌 자세에 따라 웨빙의 길이 조절 시 웨빙을 격납하기 위한 리트랙터, 웨빙을 장착 또는 해제하기 위한 버클과 텅 플레이트 및 웨빙의 일단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웨빙 가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 다수에 시트벨트 장치와 시트벨트 버클 장치 기술을 개시해서 특허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차량의 양측 후석 시트에 설치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차량의 양측 후석시트에 적용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는 버클을 웨빙을 이용해서 시트 프레임에 설치하는 후석 중앙시트와 달리, 버클(1)이 금속 재질의 스트랩(2)을 이용해서 시트 프레임에 설치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양측 후석시트에 적용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는 시트 프레임에 베이스 브래킷(3)을 설치하고, 버클(1)과 연결된 스트랩(2)과 베이스 브래킷(3)의 일측벽을 관통해서 리벳(4)을 설치한다.
여기서, 버클(1)과 스트랩(2)은 사용자가 텅(도면 미도시)을 버클에 결합하는 경우, 사용자가 시트 하부로 쳐진 버클(1)을 찾을 필요 없도록, 상방 또는 상방에서 전방으로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리벳(4)에는 스트랩(2)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5)이 설치된다. 그리고 스트랩(2)의 일측에는 스트랩(2)의 전후 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브래킷(6)이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는 스트랩(2)이 리벳(4)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스트랩(2)과 브래킷(6)의 접촉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스트랩(2)과 브래킷(6)이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마찰로 인해, 스트랩(2)과 브래킷(6)의 표면이 손상되면서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는 스트랩(2)과 브래킷(6) 사이의 유격으로 인해 스트랩(2)이 좌우 방향으로 유동함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 브래킷(3)의 크기와 강성을 증대해야 하므로, 브래킷(6)의 크기를 축소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는 별도의 베이스 브래킷(3)을 시트 프레임에 설치하고, 리벳(4)을 이용해서 스트랩(2)을 베이스 브래킷(3)에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는 베이스 브래킷(3)을 시트 프레임에 설치하는 공정과, 리벳(4)을 이용해서 스트랩(2)을 베이스 브래킷(6)에 설치하는 공정을 거쳐야만 함에 따라, 부품 수 및 공정 수가 증가로 인해 작업성이 저하되고, 제조비용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58804호(2017년 7월 18일 공고)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043097호(2019년 11월 12일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텅을 시트벨트 버클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버클을 세워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클에 연결된 스트랩의 유동시 발생하는 소음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트 프레임에 직접 스트랩을 설치해서 부품 수 및 공정 수를 감소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는 텅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클, 상기 버클의 하부에 결합되고 시트 프레임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트랩, 상기 스트랩의 일측에 배치되어 시트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스트랩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브래킷 및 상기 스트랩이 상방을 향해 배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에 의하면, 텅을 시트벨트 버클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버클을 세워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버클에 연결된 스트랩의 회전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히면, 차체 프레임에 직접 스트랩을 설치해서 부품 수 및 공정 수를 감소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트벨트 버클 장치가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시트벨트 버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에 적용되는 브래킷의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트벨트 버클 장치가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시트벨트 버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버클(20) 및 스트랩(30)이 외력에 의해 마운팅 볼트(1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전방(F)'이라 하고, 토션 스프링(13)에 의해 복원되는 방향을 '후방(R)'이라 한다. 그리고 '좌측(L)', '우측(R)', '상방(U)' 및 '하방(D)'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한 전방과 후방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좌측 후석 시트에 적용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측 후석 시트에 설치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와 대칭되는 구조를 적용해서 우측 후석 시트에도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랩과 버클이 웨빙이나 케이블로 연결되는 후석 중앙시트,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텅(도면 미도시)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클(20), 버클(20)의 하부에 결합되고 시트 프레임(11)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트랩(30), 스트랩(30)의 일측에 배치되고 스트랩(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브래킷(40) 및 스트랩(30)이 상방을 향해 배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13)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석 좌측시트에 마련된 시트 프레임(11)의 일측벽, 즉 우측벽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트랩(3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길게 연장된 대략 직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30)의 대략 중앙부에는 버클(20)과 시트 프레임(11)의 배치 구조에 대응되도록, 이중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래서 스트랩(30)의 상단부는 버클(20)에 결합되고, 스트랩(30)의 하단부는 시트 프레임(11)의 우측벽에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랩(30)은 마운팅 볼트(12)에 의해 시트 프레임(11)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트랩(30)에는 마운팅 볼트(12)가 체결되는 관통공(3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공(30)의 하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브래킷(40)의 조절돌부(42)가 삽입되는 조절공(3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조절돌부(42)가 조절공(32)에 결합된 상태에서, 버클(20) 및 스트랩(30)은 마운팅 볼트(12)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공(32)은 스트랩(30)이 회전 가능하도록 하방으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버클(20) 및 스트랩(30)의 회전 각도는 조절공(32)의 전후 방향 길이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클(20) 및 스트랩(30)은 전방을 향해 반시계 방향을 따라 약 20°내지 50°만큼 회전할 수 있다.
브래킷(40)은 시트 프레임(11)에 고정 설치되고, 스트랩(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즉, 브래킷(40)은 시트 프레임(11)과 스트랩(30) 사이에 배치되고, 마운팅 볼트(12)에 의해 시트 프레임(11)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브래킷(40)의 중앙부에는 마운팅 볼트(40)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브래킷(40)의 일측에는 시트 프레임(11)에 결합되는 결합돌부(41)가 시트 프레임(11) 측, 즉 우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고, 브래킷(40)의 하단에는 조절돌부(42)가 스트랩(30) 측, 즉 좌측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즉, 조절돌부(42)는 브래킷(40)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좌측으로 절곡되는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13)은 스트랩(30)의 좌측에 배치되고, 전방으로 회전 동작한 스트랩(30)을 상방으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13)의 일단, 도 4에서 보았을 때 하단은 브래킷(40)의 조절돌기(42)에 걸리고, 토션 스프링(13)의 타단, 즉 상단은 스트랩(40)에 걸릴 수 있다.
이를 위해, 브래킷(40)의 조절돌기(42)에는 토션 스프링(13)의 하단이 걸리는 걸이홈(43)이 형성되고, 스트랩(30)의 대략 중앙부에는 토션 스프링(13)의 상단이 걸리는 걸이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30)의 관통공(31)에는 스트랩 부시(33)가 결합되고, 마운팅 볼트(12)는 외주면에 부시(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스트랩 부시(33)의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마운팅 볼트(12)의 우측단에는 마운팅 볼트(12)에 결합된 각 부품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록킹부재(14)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록킹 부재(14)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록킹 부재(14)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이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 부시(33)는 스트랩(30)의 관통공(31)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랩 부시(33)의 일측, 도 5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는 플랜지부(34)가 형성되고, 스트랩 부시(33)의 타측단, 즉 우측단에는 스트랩(30)의 관통공(31) 주변부에 걸리는 걸림턱(35)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34)는 스트랩 부시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35)은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부시(50)는 토션 스프링(13)과 스트랩 부시(33)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트랩(30)의 회전 동작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한다.
부시(5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부시(50)의 일측, 도 5에서 보았을 때 좌측단에는 부시(50)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부시(50)의 외주면에는 토션 스프링(13)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1 단(51)과 스트랩 부시(33)가 결합되는 제2 단(52)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단(51)은 제2 단(52)의 외경보다 큰 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부시(50)의 제1 단(51)은 토션 스프링(13)의 중앙부를 관통해서 결합되고, 토션 스프링(13)의 중앙부는 제1 단(5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부시(50)의 제2 단(52)은 스트랩 부시(33)의 통공에 결합되고, 스트랩 부시(33)의 좌측단, 즉 플랜지부(34)는 제2 단(52)의 좌측벽과 부분적으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단(52)의 좌우 폭(w1)은 스트랩 부시(33)의 좌우 폭(w2)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w1>w2).
그래서 제2 단(52)의 좌측벽과 스트랩 부시(33)의 플랜지부(34) 사이와, 부시(50)의 우측단과 브래킷(40)의 좌측면 사이에는 제1 갭(g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52)의 외경은 스트랩 부시(33)에 형성된 통공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제2 단(52)의 외주면과 스트랩 부시(33)에 형성된 통공의 내주면 사이에는 제2 갭(g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갭(g1)과 제2 갭(g2)은 각각 0.1㎜ 내외의 크기로 미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트랩 부시의 양측에 각각 플랜지부와 걸림턱을 형성하고, 스트랩 부시와 부시 사이 및 스트랩 부시와 브래킷 사이를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스트랩의 회전 동작시 스트랩 부시와 부시 및 브래킷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로 인한 손상이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트랩 부시(33)와 부시(50)를 서로 동일한 재질, 예컨대 금속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하는 경우, 스트랩(30)의 회전 동작시 소음이 발생하고, 마찰로 인해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 예에 부시(50)는 강성을 갖도록 강재와 같은 금속 재질의 재료로 제조되고, 스트랩 부시(33)는 부시(50)에 비해 낮은 강성을 갖도록,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시의 제2 단 폭을 스트랩 부시의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고, 제2 단의 외경을 스트랩 부시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고, 부시와 스트랩 부시의 재질을 다르게 제조함으로써, 스트랩의 회전 동작시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하여 소음과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4 및 도 5에서, 브래킷(40)의 조절돌기(42)에는 스트랩(30)의 회전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 및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부재(4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보호부재(44)는 고무 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부재(44)는 열에 의해 수축되는 열수축 고무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튜브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래서 보호부재(4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돌부(42)에서 좌측으로 절곡된 수평부에 설치되고, 열풍기를 이용해서 고온의 열이 가해지면 수축되어 조절돌부(4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브래킷의 조절돌기에 보호부재를 설치해서 스트랩의 회전 동작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켜 소음과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재(44)를 조절돌기(42)의 수평부에만 설치하는 경우,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보호부재(44)가 조절돌기(42)의 외측으로 이동하거나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보호부재(44)는 조절돌기(42)의 수평부에서 수직부까지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에 적용되는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재(44)는 절곡 형성된 조절돌부(42)에 전체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부재(44)는 조절돌부(42)의 절곡된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L'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트랩의 회전 동작시 스트랩과 브래킷이 접촉하는 전 영역에 대응되도록, 절곡 형성된 조절돌부에 보호부재를 설치해서 스트랩의 회전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 및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7 및 도 8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의 결합관계 및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7에는 버클이 상방으로 세워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버클이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작업자는 버클(20)의 하부에 스트랩(30)을 결합한다. 이때, 스트랩(30)의 관통공(31)에는 스트랩 부시(33)가 결합된 상태이다.
그리고 스트랩(30)의 일측, 즉 우측에 브래킷(40)을 배치하고, 스트랩(30)의 좌측에 토션 스프링(13)을 배치한 상태에서, 각 부품을 관통해서 부시(50)와 마운팅 볼트(12)를 결합한다.
이때, 브래킷(40)의 조절돌부(42)는 스트랩(30)의 조절공(32)에 삽입되고, 토션 스프링(13)의 양단은 각각 조절돌부(42)의 걸이홈(43)과 스트랩(30)의 걸이공에 각각 걸린다.
이어서, 마운팅 볼트(12)의 우측단에 록킹 부재(14)를 결합해서 각 부품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립된 시트벨트 버클 장치(10)는 좌측 후석시트에 마련된 시트 프레임(11)의 우측벽에 마운팅 볼트(12)를 체결해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에서 시트벨트 버클 장치를 시트 프레임에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 브래킷을 제거하고, 스트랩을 시트 프레임에 직접 장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시트 프레임에 직접 스트랩을 장착해서 부품 수 및 공정 수를 감소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때, 브래킷(40)은 우측으로 절곡된 결합돌부(41)가 시트 프레임(11)에 결합됨에 따라 시트 프레임(1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반면, 버클(20)과 스트랩(30)은 마운팅 볼트(12)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 동작할 수 있다.
즉, 스트랩(30)은 평상시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 또는 상방에서 전방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스트랩(30)은 버클(20)에 사용자의 조작력이 가해지거나 외부의 힘이 전달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볼트(12)를 중심으로 전방을 향해 반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시트벨트 착용시 버클(20)의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해서 텅을 버클(20)에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의 조작력이나 외부의 힘이 제거되면, 스트랩(30)은 다시 토션 스프링(13)에서 복원력을 전달받아 상방으로 세워진 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스트랩이 회전 동작하는 과정에서, 브래킷의 조절돌부에 설치된 보호부재는 스트랩의 회전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과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시와 스트랩 부시가 서로 다른 재질의 재료로 제조되고, 부시와 스트랩 부시 사이 및 부시와 브래킷 사이에 갭이 형성됨에 따라, 스트랩의 회전 동작시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하여 소음과 스크래치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텅을 시트벨트 버클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버클을 세워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버클에 연결된 스트랩의 회전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에 직접 스트랩을 설치해서 부품 수 및 공정 수를 감소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좌측 후석 시트에 적용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좌측 후석 시트에 설치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와 대칭되는 구조를 적용해서 우측 후석 시트에도 적용 가능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랩과 버클이 웨빙이나 케이블로 연결되는 후석 중앙시트,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에도 적용가능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텅을 시트벨트 버클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버클을 세워진 상태로 유지하고, 버클에 연결된 스트랩의 회전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 및 손상을 방지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 기술에 적용된다.

Claims (8)

  1. 텅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클,
    상기 버클의 하부에 결합되고 시트 프레임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트랩,
    상기 스트랩의 일측에 배치되어 시트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스트랩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브래킷 및
    상기 스트랩이 상방을 향해 배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에는 시트 프레임에 체결되는 마운팅 볼트가 체결되는 관통공과,
    상기 브래킷에 형성된 조절돌부가 삽입되는 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의 회전 각도는 상기 조절공의 전후 방향 길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돌부는 상기 브래킷의 하단에서 상기 스트랩을 향해 절곡 형성되고,
    상기 조절돌부에는 상기 스트랩의 회전 동작시 상기 스트랩과 브래킷이 서로 접촉하는 전 영역을 커버해서 소음과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하도록, 절곡 형성된 상상기 조절돌부를 커버하는 보호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열수축 고무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튜브 형상으로 제조되고, 상기 조절돌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열에 의해 수축해서 상기 조절돌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는 스트랩 부시가 결합되고,
    상기 마운딩 볼트는 외주면에 상기 토션 스프링과 부시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의 관통공에 결합되며,
    상기 부시와 스트랩 부시는 상기 스트랩의 회전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 및 손상을 방지하도록, 서로 다른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의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스트랩 부시는 상기 부시에 비해 낮은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외주면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1 단과
    상기 스트랩 부시가 결합되는 제2 단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제2 단은 상기 부시와 스트랩 부시 사이가 이격되도록, 상기 스트랩 부시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의 외경은 상기 스트랩 부시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장치.
PCT/KR2021/018598 2021-03-12 2021-12-09 시트벨트 버클 장치 WO2022191383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94550.2A CN116888019A (zh) 2021-03-12 2021-12-09 座椅安全带带扣装置
EP21930483.9A EP4306368A1 (en) 2021-03-12 2021-12-09 Seat belt buckle device
US18/549,466 US20240174199A1 (en) 2021-03-12 2021-12-09 Seat belt buck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968 2021-03-12
KR1020210032968A KR102502962B1 (ko) 2021-03-12 2021-03-12 시트벨트 버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1383A1 true WO2022191383A1 (ko) 2022-09-15

Family

ID=83228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8598 WO2022191383A1 (ko) 2021-03-12 2021-12-09 시트벨트 버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74199A1 (ko)
EP (1) EP4306368A1 (ko)
KR (1) KR102502962B1 (ko)
CN (1) CN116888019A (ko)
WO (1) WO20221913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96237A1 (en) * 2021-06-10 2022-12-15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Buckle devi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0146A (ja) * 2008-10-22 2010-05-06 Kanto Auto Works Ltd インナーベルトを備えた自動車
JP2011031847A (ja) * 2009-08-05 2011-02-17 Toyota Boshoku Corp シートベルト用バックル装置
KR20130034809A (ko) * 2011-09-29 2013-04-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CN203020261U (zh) * 2012-12-27 2013-06-26 保定延锋江森汽车座椅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安全带插锁自动复位机构
KR101755993B1 (ko) * 2016-03-16 2017-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벨트 버클의 서브마린 방지 장치
KR101758804B1 (ko) 2015-12-24 2017-07-1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 시트벨트 장치
KR102043097B1 (ko) 2018-05-10 2019-11-1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버클 강화 커버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093B1 (ko) * 2011-08-30 2013-10-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 시트 벨트용 버클 조립체의 클립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0146A (ja) * 2008-10-22 2010-05-06 Kanto Auto Works Ltd インナーベルトを備えた自動車
JP2011031847A (ja) * 2009-08-05 2011-02-17 Toyota Boshoku Corp シートベルト用バックル装置
KR20130034809A (ko) * 2011-09-29 2013-04-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CN203020261U (zh) * 2012-12-27 2013-06-26 保定延锋江森汽车座椅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安全带插锁自动复位机构
KR101758804B1 (ko) 2015-12-24 2017-07-1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 시트벨트 장치
KR101755993B1 (ko) * 2016-03-16 2017-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벨트 버클의 서브마린 방지 장치
KR102043097B1 (ko) 2018-05-10 2019-11-1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버클 강화 커버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96237A1 (en) * 2021-06-10 2022-12-15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Buckle device
US11987205B2 (en) * 2021-06-10 2024-05-21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Buck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06368A1 (en) 2024-01-17
CN116888019A (zh) 2023-10-13
US20240174199A1 (en) 2024-05-30
KR102502962B1 (ko) 2023-02-24
KR20220128205A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77649A1 (en) Apparatus for moving headrest
WO2022191383A1 (ko) 시트벨트 버클 장치
WO2017179839A1 (ko)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WO2011046304A2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WO2022039464A1 (ko) 차량용 시트백 폴딩 장치
US7681911B2 (en) Serviceable assembly for seatbelt integrated deployable cushion
WO2014084552A1 (en) Safety apparatus for vehicle
WO2020235903A1 (ko) 탑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9147032A1 (ko)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WO2015102319A1 (ko) 진동 저감형 헤드레스트 가이드
WO2015170841A1 (en) Airbag for vehicle
WO2019189999A1 (en) Apparatus for adjusting headrest wing
WO2011149201A2 (en) Retractor for seat belt
WO2021040420A1 (ko) 차량 센서를 갖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WO2017131282A1 (ko) 휴대용 카시트
WO2022181942A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WO2020017833A1 (en) Portable car seat
WO2019098479A1 (en) Headrest controlling apparatus
WO2022039426A1 (ko)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
WO2018038468A1 (ko) 승하차가 용이한 회전식 차량 시트
WO2022030887A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회전방지장치
WO2023101382A1 (ko) 시트프레임
WO2023113313A1 (ko) 시트백
WO2024019332A1 (ko)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WO2019022445A1 (en) HEADREST INCLIN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304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0094550.2

Country of ref document: C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549466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9304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9304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