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575A - 렌즈 경통,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경통,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57575A KR20120057575A KR1020117028485A KR20117028485A KR20120057575A KR 20120057575 A KR20120057575 A KR 20120057575A KR 1020117028485 A KR1020117028485 A KR 1020117028485A KR 20117028485 A KR20117028485 A KR 20117028485A KR 20120057575 A KR20120057575 A KR 201200575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imaging
- barrel
- lens barrel
- hold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촬상 렌즈(2) 중, 결상면의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후방 렌즈(22)의 외주 단부는, 렌즈 유지부(32)에 삽입되는 배럴 삽입부(41)와, 배럴 삽입부(41)에 연속하고, 렌즈 유지부(3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또한 렌즈 유지부(32)의 단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대향면을 가지는 렌즈 비삽입부(42)를 구비하고, 이격된 부분을 통하여 적어도 렌즈 유지부(32)의 단면과 렌즈 비삽입부(42)의 대향면이 제1 접착제(5)에 의해 고정된 구성에 의해, 제1 접착제(5)가 촬상 렌즈(2)의 표면에 부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렌즈 경통,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메라부착 휴대 전화 등에서는, 넓은 범위를 찍을 수 있는 광각 렌즈를 구비하고, 또한 소형화된 촬상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촬상 장치는, 예를 들면, 통형상의 렌즈 배럴을 통하여 홀더에 수납되는 촬상 렌즈와, 촬상 렌즈에 대하여 소정 거리의 위치에 배치되고 중앙부에 수광부를 구비한 촬상 소자를 가지고 있다. 홀더에 수납되는 촬상 렌즈는, 일반적으로 복수장의 렌즈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복수장의 렌즈 중 촬상 소자(결상면)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후방 렌즈의 사이즈가 가장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방 렌즈는 그 외형 치수보다 큰 렌즈 배럴에 접착 고정된다.
여기서, 소형화를 고려한 후방 렌즈와 렌즈 배럴의, 종래의 접착 고정의 구조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예를 들면, 렌즈 배럴에 공기가 통과하는 슬릿 개구부(렌즈 배럴에 수납되는 촬상 렌즈(및 차광판)의 외주 단부의 일부가 컷되어, 생기는 공간부)를 설치하고, 이 슬릿 개구부를 통하여, 후방 렌즈를 흡인하면서, 후방 렌즈 측면을 렌즈 배럴의 렌즈 삽입측의 단면에 접착 고정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와 같은 촬상 장치에서는, 렌즈 배럴의 외형 치수가 후방 렌즈의 최대 외형 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렌즈 배럴의 외형 치수에 따라, 촬상 장치가 커져버려, 소형화와 상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후방 렌즈를 흡인하면서, 후방 렌즈 측면을 렌즈 배럴의 렌즈 삽입측의 단면에 접착 고정할 때에, 접착제가, 렌즈 배럴에 수납된 다른 렌즈 표면에 부착되거나, 렌즈간에 일부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렌즈 표면에 기인하는 고스트(입사광이 흐릿하게 비춰지는 현상)가 발생하기 쉬워지거나, 혹은, 렌즈의 광축 어긋남이 생겨서 해상도가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촬상 렌즈와 렌즈 배럴의 접착 시에 이용되는 접착제가, 촬상 렌즈의 표면(입사광이 통과하는 면)에 부착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렌즈 표면에 기인하는 고스트의 발생이나 렌즈의 광축 어긋남에 의한 해상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소형화할 수 있는 렌즈 경통,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은, 복수장의 렌즈로 구성된 촬상 렌즈와, 촬상 렌즈를 내벽에서 유지하는 통형상의 렌즈 배럴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은, 렌즈 배럴은, 촬상 렌즈의 한쪽면측의 외주 단부를 광축 방향에 있어서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가 일단부에 형성됨과 더불어, 촬상 렌즈의 다른쪽면측의 외주 단부에 대하여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대향하는 렌즈 유지부가 타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은, 촬상 렌즈 중, 결상면의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후방 렌즈의 외주 단부는, 렌즈 유지부에 삽입되는 배럴 삽입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은, 배럴 삽입부에 연속하고, 렌즈 유지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또한 렌즈 유지부의 단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대향면을 가지는 배럴 비삽입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은, 상기 이격된 부분을 통하여 적어도 렌즈 유지부의 단면과 배럴 비삽입부의 대향면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구성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상기 구성을 구비한 렌즈 경통과, 렌즈 경통을 유지하는 홀더와, 홀더에 유지된 렌즈 경통의 광축에 촬상 중심을 대응시켜서 배치된 촬상 소자를 구비한 구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구성을 가지는 촬상 장치를 구비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렌즈 배럴과 촬상 렌즈의 접착 시에 이용되는 접착제가, 촬상 렌즈의 표면(입사광이 통과하는 면)에 부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렌즈 표면에 기인하는 고스트의 발생이나 렌즈의 광축 어긋남에 의한 해상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렌즈 경통에 있어서의 렌즈 배럴의 렌즈 유지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렌즈 경통에 있어서의 제2 접착제 및 제3 접착제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4a는 동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3 접착제에 의한 접착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b는 동 제3 접착제에 의한 접착의 상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c는 동 제3 접착제에 의한 접착의 상태에 있어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a는 동 실시 형태에 관련된 렌즈 경통을 이용한 휴대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b는 동 휴대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이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렌즈 경통에 있어서의 렌즈 배럴의 렌즈 유지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렌즈 경통에 있어서의 제2 접착제 및 제3 접착제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4a는 동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3 접착제에 의한 접착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b는 동 제3 접착제에 의한 접착의 상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c는 동 제3 접착제에 의한 접착의 상태에 있어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a는 동 실시 형태에 관련된 렌즈 경통을 이용한 휴대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b는 동 휴대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이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렌즈 경통, 촬상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일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렌즈 경통(1) 및 촬상 장치(7)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렌즈 경통에 있어서의 렌즈 배럴의 렌즈 유지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렌즈 경통(1)은, 촬상 렌즈(2)와, 촬상 렌즈(2)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3)로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렌즈 경통(1)은, 외주 가장자리부에 비유효부(렌즈 유효면 이외의 형상부)를 가지는 복수장의 렌즈로 구성된 촬상 렌즈(2)와, 그 촬상 렌즈(2)를 내벽에서 유지하는 통형상의 렌즈 배럴(3)로 이루어진다.
촬상 렌즈(2)는, 복수장, 예를 들면 4장의 요철 렌즈이다. 각각의 렌즈의 직경 등의 외형 치수나 형상은 상이하다. 상세하게는, 결상면 (촬상 소자(10))의 가까이에 위치하는 렌즈일수록, 사이즈(직경 등의 외형 치수)가 커진다. 따라서, 결상면에 가장 멀리 위치하는 전방 렌즈(21)의 사이즈가 가장 작고, 결상면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후방 렌즈(22)의 사이즈가 가장 크다. 후방 렌즈(2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결상면측의 직경이 피사체측의 직경보다도 크고, 그 외주 단부(4)에, 렌즈 배럴(3)의 후술하는 렌즈 유지부(32)의 내경보다 작은(헐거운 끼워맞춤의 끼워맞춤 치수, 또는, 몇㎛만큼 작다) 배럴 삽입부(41)와, 배럴 삽입부(41)에 연속하고, 렌즈 유지부(32)의 내경보다 크고, 또한 렌즈 배럴(3)의 렌즈 유지부(32)의 단면(32a)(렌즈 배럴(3) 중, 결상면측의 단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대향면(42a)을 가지는 배럴 비삽입부(4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배럴 비삽입부(42)는, 후방 렌즈(22)를 렌즈 배럴(3)에 압입하기 위한 렌즈 가압부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후방 렌즈(22)를 렌즈 배럴(3)에 압입하기 위한 렌즈 가압부는, 배럴 비삽입부(42)만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후방 렌즈(22)의 렌즈 유효면의 경우도 있다. 즉, 후방 렌즈(22)를 렌즈 배럴(3)에 압입할 때는, 후방 렌즈(22)의 외주 단부(4)나 후방 렌즈(22)의 렌즈 유효면을 직접 가압한다. 후방 렌즈(22)의 외주 단부(4)의 외경은 렌즈 유지부(32)의 외경(최대 외경)보다 작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촬상 렌즈(2)(후방 렌즈(22)를 제외한다)의 외주 단부의 일부는, 렌즈의 가공?성형상 등의 이유로, 컷(D컷 혹은 절결)(2a) 되어 있다.
렌즈 배럴(3)은, 복수(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4장)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촬상 렌즈(2)가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즉, 촬상 렌즈(2)의 한쪽면측(피사체측, 도 1, 도 2에서는 상측)의 외주 단부를 광축 방향에 있어서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31)가 렌즈 배럴(3)의 일단부(피사체측의 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광축 방향으로 지지한다」란,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촬상 소자(10)측으로부터 후방 렌즈(22)를 가압함으로써, 전방 렌즈(21)의 비유효면(상면)이 기울지 않도록 가압되고, 렌즈 배럴(3)의 렌즈 지지부(31)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렌즈 지지부(31)에 의해 전방 렌즈(21)의 전면을 전체적으로 덮어 지지하고 있는데, 전방 렌즈(21)의 전면을 전체적으로 덮지 않고, 예를 들면, 3군데를 지지하는 부분적인 지지여도 된다. 또한, 촬상 렌즈(2)의 다른쪽면측(결상면측, 도 1, 도 2에서는 하측, 즉 후방 렌즈(22))의 외주 단부(4)(구체적으로는 렌즈 가압부(42)의 대향면(42a))에 대하여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대향하는 렌즈 유지부(32)가 렌즈 배럴(3)의 타단부(결상면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렌즈 배럴(3)의 렌즈 유지부(32)의 확대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구체적으로는, 렌즈 배럴(3)의 렌즈 유지부(32)의 선단부 외주면은, 선단측일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이다. 한편, 선단부 내주면은, 선단측일수록 직경이 커지는 곡면 형상(이하, R형상이라고 한다)으로 되어 있다. 또한,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는 렌즈 유지부(32)의 선단부에는, 그 외주면 전면에 산재적으로 혹은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슬릿, 구멍 또는 요철 등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렌즈 배럴(3)의 상부에는, 개구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33)는, 촬상 렌즈(2)의 조리개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한, 렌즈 배럴(3)의 외면에는, 수나사(34)(후술의 홀더(8)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것)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렌즈 배럴(3)의 렌즈 지지부(31)로부터 렌즈 유지부(32)에 걸쳐서, 촬상 렌즈(2)가 수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렌즈 배럴(3)의 내측에, 촬상 렌즈(2)와 차광판(스페이서)(6)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촬상 렌즈(2)(후방 렌즈(22)를 제외한다)의 외주 단부(비유효부)에 형성된 컷 부분에 의해, 도 1의 우측 반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촬상 렌즈(2)(후방 렌즈(22)를 제외한다)의 외주 단부와 렌즈 배럴(3)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일부에 간극(공간부)(3a)이 생긴다. 차광판(6)은, 각각의 렌즈의 외주 단부간에 끼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차광판(6)은, 촬상 렌즈(2)의 컷(D컷 혹은 절결)에 맞춘 컷은 실시되지 않는다. 또한, 수납되는 촬상 렌즈(2)의 복수의 렌즈 중, 렌즈 배럴(3)의 개구부(33)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전방 렌즈(21)는, 외주 단부의 상면(피사체측면)이 렌즈 배럴(3)의 렌즈 지지부(31)의 하면(피사체측면의 반대면)에 맞닿아 있다. 또한, 전방 렌즈(21)는, 외주 단부를 제외한 중앙부의 렌즈 외표면(21a)이 렌즈 배럴(3)의 하면(피사체측면의 반대면)으로부터 예를 들면 0㎛를 넘고 50㎛ 이하의 소정 거리를 유지하여 수납되어 있다. 또한, 결상면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후방 렌즈(22)는, 배럴 삽입부(41)가 렌즈 유지부(32)에 삽입되도록 하여, 렌즈 배럴(3)에 부착되어 있다. 이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배럴 삽입부(41)로부터 연속하고, 또한, 렌즈 유지부(3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렌즈 가압부(42)의 일부인 대향면(42a)은, 렌즈 유지부(32)의 단면(32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렌즈 배럴(3)의 선단부와 후방 렌즈(22)의 외주 단부에 의해 오목부(공간부)(4b)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b)는, 구체적으로는, 렌즈 배럴(3)의 렌즈 유지부(32), 후방 렌즈(22)의 배럴 삽입부(41), 및 렌즈 가압부(42)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형상이고 또한 환형상의 오목부이다. 즉, 렌즈 유지부(32)와 렌즈 가압부(42)의 사이에 존재하는 이격 부분이다. 이 오목부(4b)에 소정의 접착제(이하, 제1 접착제)(5)가 충전되고, 렌즈 배럴(3)과 후방 렌즈(22)가 고정된다. 상세하게는, 렌즈 유지부(32)의 단면(32a)과 렌즈 가압부(42)의 대향면(42a)이 제1 접착제(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렌즈 경통을 저배화하기 위해서, 배럴 삽입부(41)와 대향면(42a)에서 형성되는 모서리부(E)는, 렌즈 광로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접착제(5)는, 주성분이 아크릴계 수지 또는 에폭시계 수지의 열 경화형이나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이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경통(1)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렌즈 배럴(3)의 개구부(33)를 향하여, 촬상 렌즈(2), 차광판(6)의 순서로 렌즈 배럴(3)에 수납되도록, 촬상 렌즈(2)와 차광판(6)을 각각 삽입한다. 렌즈 배럴(3)의 개구부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전방 렌즈(21)는, 그 외주 단부의 상면(피사체측면)이 렌즈 배럴(3)의 렌즈 지지부(31)의 하면(결상면 측면)에 맞닿는다. 또한, 상기 외주 단부를 제외하는 중앙부의 렌즈 외표면(21a)이 렌즈 배럴(3)의 하면(결상면 측면)으로부터 예를 들면 약 20㎛의 소정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렌즈 배럴(3)에 수납된다. 또한, 결상면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후방 렌즈(22)의 렌즈 배럴(3)로의 삽입에 있어서는, 렌즈 가압부(42)를 후방 렌즈(22)측에서 광축 방향으로 가압하고, 배럴 삽입부(41)를 렌즈 유지부(32)에 삽입한 상태에서, 렌즈 배럴(3)과 후방 렌즈(22)를 접착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렌즈 유지부(32)의 단면(32a)과 렌즈 가압부(42)의 대향면(42a)의 이격되는 거리가, 예를 들면, 30㎛이상 1㎜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이상 500㎛이하가 되도록, 차광판(6) 혹은 지그 등의 기계적 방법에 의해 후방 렌즈(22)의 렌즈 가압부(42)를 가압한다. 또한, 렌즈 유지부(32)의 단면(32a)과 렌즈 가압부(42)의 대향면(42a)의 이격되는 거리가, 30㎛미만인 경우는, 접착제가 안정되어 상기 이격부에 삽입할 수 없으므로 접착 강도가 약해진다. 또한, 이 거리가 1㎜를 넘으면 접착제의 양이 증가함과 더불어 소형화에 영향을 준다. 이 거리가, 50㎛이상 500㎛이하인 경우는, 접착 강도가 안정되고, 소형화에도 적합하게 된다.
이와같이 배럴 삽입부(41)를 렌즈 유지부(32)에 삽입한 상태에서, 렌즈 유지부(32)의 단면(32a)과 렌즈 가압부(42)의 대향면(42a)의 이격되는 부분에 제1 접착제(5)를 삽입하고, 제1 접착제(5)를 통하여, 렌즈 유지부(32)의 단면(32a)과 렌즈 가압부(42)의 대향면(42a)과, 배럴 삽입부(41) 중 렌즈 유지부(32)에 삽입되지 않는 부분의 측면을 접착 고정한다. 이 때, 제1 접착제(5)가 많은 경우에는 렌즈 유지부(32)의 선단부 외주면의 외부에까지 제1 접착제(5)가 도달하여 접착 면적이 증대하고, 제1 접착제(5)가 적은 경우에는, 이격부의 양단의 제1 접착제(5)의 형상이 필릿 형상이 된다. 그러나, 제1 접착제(5)가 많은 경우는 당연하고, 적은 경우에 있어서도, 적어도 렌즈 유지부(32)의 단면(32a)과 렌즈 가압부(42)의 대향면(42a)이 제1 접착제(5)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렌즈 배럴(3)과 후방 렌즈(22)가 이와같이 접착 고정되기 때문에, 환언하면, 후방 렌즈(22)가 렌즈 배럴(3)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렌즈 유지부(32)의 단면(32a)과 렌즈 가압부(42)의 대향면(42a)의 이격부에 제1 접착제(5)를 끼워넣으므로, 후방 렌즈(22)가 끼워 넣어진 렌즈 배럴(3)의 내측(후방 렌즈(22) 이외의 다른 렌즈가 수납되어 있는 측)에 제1 접착제(5)가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접착제(5)는 렌즈 표면(입사광이 통과하는 면)에 부착되기 어렵다.
촬상 장치(7)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의 렌즈 경통(1)(촬상 렌즈(2)와 렌즈 배럴(3))과, 렌즈 배럴(3)을 통하여 촬상 렌즈(2)를 수납하는 통형상의 홀더(8)를 구비한 하우징(9)과, 후방 렌즈(22)로부터 소정 거리의 위치에 배치됨과 더불어 그 중앙부에 수광부를 가지는 촬상 소자(10)와, 촬상 소자(10)가 탑재되는 기판(11)과, 촬상 소자(10)를 덮는 유리판(12)과, 적외선 컷 필터(13)로 주로 구성된다.
하우징(9)은, 렌즈 배럴(3)을 유지하는 홀더(8)와, 홀더(8)를 지지하는 지지부(14)를 가진다. 도시하지 않지만,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고정 초점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홀더(8)의 하면과 지지부(14)의 상면을 접착제로 고정한다. 또한, 오토 포커스인 경우에는, 일본국 특허공표 2008-099156호 등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예를 들면, 홀더(8)와 지지부(14)의 사이에 홀더(8)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액츄에이터를 설치한다.
홀더(8)는 통형상으로 구성됨과 더불어, 그 내면에 암나사(8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홀더(8)의 암나사(81)에는, 렌즈 배럴(3)의 수나사(34)가 나사 결합된다.
지지부(14)는, 그 결상면측(도 1에서는 하부측)에, 위치 결정부(14a)와 돌기부(14b)를 가진다. 위치 결정부(14a)는, 홀더(8)에 유지되어 있는 렌즈 배럴(3) 및 촬상 렌즈(2)의, 주로 촬상면측과 피사체측의 사이(도 1에서는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돌기부(14b)는, 촬상 소자(10)(또는 기판(11))를 향해서(도 1에서는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위치 결정부(14a)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위치 결정부(14a)의 외주는, 평면에서 봐서 사각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14a)는, 촬상 소자(10)의 수광부보다도 외주부의 근방에서, 촬상 소자(10)에 대한 촬상 렌즈(2)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위치 결정부(14a)는, 촬상 소자(10)의 피사체측(도 1에서는 상측)에 위치하는 유리판(12)의 표면(도 1에서는 상면)에 맞닿는다. 이 위치 결정부(14a)는, 소정의 접착제(이하, 제2 접착제라고 한다)(15)를 통하여, 유리판(12)에 고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접착제(15)로서, 주성분이 아크릴계 수지 또는 에폭시계 수지의 열 경화형이나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열 경화형 에폭시계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도 3은, 제2 접착제(15) 및 후술의 제3 접착제(16)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2 접착제(15)는, 복수 개소(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합계 4군데)에서, 지지부(14)를, 기판(11)에 탑재된 유리판(12)에 고착하고 있다. 제2 접착제(15)는, 이 지지부(14)의 하면의 4개의 모서리부 근방 위치에 도포되어 있다.
돌기부(14b)는, 촬상 소자(10)의 외주 가장자리의 외측 위치에서 기판(11)을 향해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돌기부(14b)는, 촬상 소자(10)의 외주를 덮도록, 그 하면이 사각 형상(사각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기부(14b)는, 유리판(12)의 외주 가장자리의 외측 위치에서 기판(11)을 향해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돌기부(14b)는, 유리판(12)의 외주를 덮도록, 그 하면이 사각형상(사각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돌기부(14b)는, 소정의 접착제(이하, 제3 접착제)(16)를 통하여 기판(11)의 피사체측면인 표면(도 1에서는 상면)에 고정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3 접착제(16)로서, 실리콘 수지, 알릴 에스테르,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 우레탄계 수지 등의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변성 폴리머계 탄성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도 4a는, 제3 접착제(16)에 의한 접착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돌기부(14b)는, 기판(11)의 표면에서 소정의 간격(S)을 두고 이격되어 있고, 기판(11)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돌기부(14b)의 선단과 기판(11)의 표면의 간격(S)은, 0.1㎜?0.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2㎜?0.3㎜의 범위에 설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돌기부(14b)와 기판(11)의 사이에는, 제3 접착제(16)가 개재하고 있고, 이에 따라, 돌기부(14b)는, 기판(11)에 고착(고정)되어 있다. 또한, 간격(S)이 0.5㎜를 초과한 경우에는, 제3 접착제(16)가 기판(11)의 외주면측으로 확산되므로, 기판(11)의 외형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즉, 기판(11)과 돌기부(14b)를 접착하는 경우, 기판(11) 상에 설치되는 접착제의 두께 치수는, 일반적으로 간격(S)보다 큰 것이 미리 도포되어 있다. 즉, 간격(S)에 의해 접착제 양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간격(S)이 클 경우에는 접착제 양을 늘릴 필요가 있고, 늘림으로써, 접착제의 도포 범위도 넓어진다. 이에 대하여, 간격(S)이 작은 경우에는 접착제 양이 적어져, 도포 범위의 확산도 적어진다. 또한, 간격(S)이 0.1㎜보다 작은 경우에는, 간격(S)에 제3 접착제(16)가 개재하기 어려워져, 접착 강도가 저하되어 지지부(14)의 어긋남 문제, 그 결과로서 촬상 소자(10)의 중심축에 대한 홀더(8)의 어긋남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돌기부(14b)는, 기판(11)에 도포된 제3 접착제(16)의 상측으로부터 파고들고, 제3 접착제(16)가 경화함으로써, 기판(11)에 고정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두께로 도포된 접착 전의 제3 접착제(16)의 두께는, 위치 결정부(14a)를 촬상 소자(10)가 설치된 유리판(12)에 맞닿게 했을 때, 돌기부(14b)와 기판(11)의 표면의 이격 간격(S)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다. 따라서, 위치 결정부(14a)를 촬상 소자(10)가 설치된 유리판(12)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는, 돌기부(14b)가 제3 접착제(16) 위로부터 파고들게 된다.
여기서, 돌기부(14b)가 제3 접착제(16)에 「파고든다」란,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판(11)에 도포된 소정 두께의 제3 접착제(16)의 꼭대기부보다도 돌기부(14b)의 선단이 하측(기판(11)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도 4a에서는, 돌기부(14b)의 선단의 일부가 제3 접착제(16)에 파고 들어가는데, 예를 들면, 돌기부(14b)의 선단부의 전체 혹은 그 일부가 제3 접착제(16)에 파고들어가는 상태여도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b, 도 4c는, 제3 접착제(16)에 의한 접착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b에서는, 돌기부(14b) 중, 촬상 소자(10)에 설치된 유리판(12)측의 부분이, 제3 접착제(16)에 파고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다. 도 4c에서는, 돌기부(14b)의 외주측(촬상 소자(10)에 설치된 유리판(12)측과는 반대측)의 부분이 제3 접착제(16)에 파고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다.
제3 접착제(16)의 점도는, 제2 접착제(15)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제3 접착제(16)의 두께는, 제2 접착제(15)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돌기부(14b)의 선단과 기판(11)의 표면의 사이의 간격(S)을 0.2㎜로 하고, 제3 접착제(16)의 두께는 적어도 0.2㎜을 초과한 0.3㎜으로 하고, 제2 접착제(15)의 두께는 이 0.2㎜보다도 작은 0.01㎜로 하고 있다. 또한, 제3 접착제(16)의 두께는, 촬상 소자(10)의 촬상 영역에 제3 접착제(16)가 비산하여 부착시키지 않도록, 유리판(12)의 상면보다 낮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접착제(16)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촬상 소자(10)의 외주면을 덮도록(둘러싼다), 기판(11) 상에 도포되어 있다. 즉, 촬상 소자(10) 및 유리판(12)은 평면에서 봐서 사각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3 접착제(16)는, 촬상 소자(10)에 설치된 사각 형상의 유리판(12)의 각 변을 연속상이고 또한 사각형상으로 둘러싸도록 기판(11)에 도포되어 있다. 제3 접착제(16)는, 촬상 소자(10)에 설치된 유리판(12)을 완전히 둘러싸는 것이 아니라, 그 일부에 간극이 남도록 기판(11)에 도포되어 있다. 이 간극의 부분이, 제3 접착제(16)의 내측(촬상 소자(10)에 설치된 유리판(12)측의 영역을 말한다)과 외측(촬상 소자(10)가 설치된 유리판(12)측과는 반대측의 영역을 말한다)을 연통하는 연통부(18)(도 3에서는, 접착제(16)의 사각형상의 상변부의 라인이 이어지지 않은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는 부분)로 되어 있다. 홀더(8)측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14a)에 제2 접착제(15)를 도포하고, 제3 접착제(16)에는, 연통부(1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3 접착제(16)의 내측의 촬상 소자(10)의 근방 영역의 열 및 팽창 공기를 이 연통부(1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3 접착제(16)는, 그 일부가, 홀더(8)측에 설치된 돌기부(14b)와, 유리판(12)에 의해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점도가 높은 제3 접착제(16)가 돌기부(14b)와 유리판(12)의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홀더(8)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촬상 소자(10)는, 유리판(12)의 피사체측과는 반대측(도 1에서는 하면측)에, 도시하지 않은 예를 들면 범프 또는 납땜 볼 등을 이용하여 유리판(12)의 프린트 배선에 접속 고착되어 있다. 유리판(12)은, 그 하면이, 예를 들면, 구형상의 납땜 볼 등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부(17)를 통하여 기판(11)에 고정되어 있다.
적외선 컷 필터(13)는, 후방 렌즈(22)와 유리판(12)의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적외선 컷 필터(13)는, 지지부(14)에 고정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적외선 컷 필터(13)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14)의 하부에 형성된 오목부 저면부의 내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7)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로서의 휴대 전화기(19)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a는 본 실시의 형태의 휴대 전화기(19)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b는 동 휴대 전화기(19)의 이면도(배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휴대 전화기(19)는, 예를 들면, 카메라부착 휴대 전화기로서, 본체 케이스(2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20)에는, 디스플레이(20a)와 조작부(20b)와 촬상 장치(7)가 탑재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20)는, 폴더식의 2개의 장방형상의 판상체로 이루어지고, 2개의 판상체(20c, 20d)의 각각의 1개의 단변끼리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첩상의 연결부(20e)에 의해, 연결 개소가 일방향으로 구부림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한쪽의 판상체(20c)의 한쪽면(도 5a에서는 바로 앞면)과 다른쪽 판상체(20d)의 한쪽면(도 5a에서는 바로 앞면)이 대향하도록 접혀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체 케이스(20)를 구성하는 한쪽 판상체(20c)의 내측면(도 5a에서는 바로 앞면)에는 디스플레이(20a)가 배치되고, 또한 다른쪽 판상체(20d)의 내측면(도 5a에서는 바로 앞면)에는 조작부(20b)가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20a)가 배치된 면과 조작부(20b)가 배치된 면이 근접하여 대향하도록, 본체 케이스(20)는 접혀진다. 디스플레이(20a)는, 예를 들면, 장방형상의 액정 화면이며, 휴대 전화기 조작에 관련된 화면 표시가 이루어진다. 조작부(20b)는, 휴대 전화기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것이고, 원형 및 타원 형상의 버튼으로 이루어진다. 촬상 장치(7)는,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서 기술한 것이며, 이것이, 본체 케이스(20)에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체 케이스(20)의 조작부(20b)가 배치된 면과 반대의 면(도 5b에서는 바로 앞면)에, 렌즈 배럴(3)의 개구부(33)측(전방 렌즈(21))이 배치되어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렌즈 경통(1), 촬상 장치(7), 및 휴대 전화기(19)에 의하면, 렌즈 경통(1)은, 결상면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후방 렌즈(22)가, 그 외주 단부(4)에, 렌즈 유지부(32)의 내경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배럴 삽입부(41)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해, 후방 렌즈(22)의 배럴 삽입부(41)를, 렌즈 배럴(3)과 동 축 상태에서, 렌즈 유지부(32)에 삽입(끼워맞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렌즈 배럴(3)은, 후방 렌즈(22)의 최대의 외형 치수에 맞추지 않아도, 배럴 삽입부(41)의 사이즈에 맞추면 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렌즈 배럴(3)의 외형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렌즈 배럴(3)은, 후방 렌즈(22)의 최대 외형 치수보다도 배럴 삽입부(41)의 외형 치수가 작아지는 만큼, 그 외형 치수를 작게(소경화)할 수 있다. 즉, 렌즈 배럴(3)의 외형 치수의 축소에 따라, 렌즈 경통(1)을 내부에 수납하는 촬상 장치(7), 혹은, 그 촬상 장치(7)를 수납하는 휴대 전화기(19)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경통(1)은, 배럴 삽입부(41)에 연속하고, 렌즈 유지부(32)의 내경보다 크고, 또한 렌즈 유지부(32)의 단면(32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대향면(42a)을 가지는 렌즈 가압부(42)를 가진다. 이 때문에, 렌즈 배럴(3)과 후방 렌즈(22)를 접착 고정할 때에, 후방 렌즈(22)의 배럴 삽입부(41)를 렌즈 유지부(32)에 삽입하면, 렌즈 유지부(32)의 단면(32a)과 렌즈 유지부(32)의 단면(32a)으로부터 이격된 대향 위치에 있는 렌즈 가압부(42)의 대향면(42a)의 사이에 이격 부분이 생긴다. 이 이격 부분에 제1 접착제(5)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렌즈 배럴(3)의 내측에 수납한 촬상 렌즈(2)(후방 렌즈(22) 이외의 렌즈) 혹은 결상면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후방 렌즈(22)의 외측 표면에, 제1 접착제(5)가 부착되기 어렵다. 따라서, 렌즈 배럴(3)과 후방 렌즈(22)의 접착 시에 이용되는 제1 접착제(5)가 촬상 렌즈(2)의 표면(입사광이 통과한다)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고, 그 결과, 렌즈 표면에 기인하는 고스트의 발생이나 렌즈의 광축 어긋남에 의한 해상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촬상 렌즈(2)의 복수의 렌즈 중, 렌즈 배럴(3)의 개구부(33)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전방 렌즈(21)는, 그 외주 단부의 피사체측면(도 1에서는 상면)이 렌즈 배럴(3)의 렌즈 지지부(31)의 결상면 측면(도 1에서는 하면)에 맞닿는다. 또한, 전방 렌즈(21)는, 외주 단부를 제외하는 중앙부의 렌즈 외표면(21a)이 렌즈 배럴(3)의 결상면 측면(도 1에서는 하면)으로부터 0㎛을 초과하고 50㎛이하의 소정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렌즈 배럴(3)에 수납된다. 이 때문에, 렌즈의 유효 직경 외를 통하는 개구부로부터의 불필요한 광이 촬상 소자(10)에 입사하는 것을 방지하여, 고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렌즈 경통(1)을 이용하는 촬상 장치(7) 및 휴대 전화기(19)에 있어서도, 당연히, 제1 접착제(5)에 기인하는 고스트의 발생이나 해상도 저하의 억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1 접착제(5)는, 자외선 경화형인 것을 이용하면, 렌즈를 지그 등으로 소정의 위치에 고정한 채, 몇초에 경화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의 단축이나 렌즈의 조립 정밀도의 향상에 효과가 있다. 또한,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로서, 경도가 낮은 것, 즉, 부드러운 그물눈인 것을 사용하면, 렌즈에 대한 변형 등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충격 등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부드러우면, 접착제가 파단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최적 경도의 접착제를 적절히 선택할 필요가 있다. 적절한 경도의 구체적인 접착제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의 접착제로 경도가 쇼어 A의 80?쇼어 D의 70인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렌즈 가압부(42)를 후방 렌즈(22)측보다 렌즈 배럴(3)측에서 광축 방향으로 가압 후에 접착 고정하기 때문에, 촬상 렌즈(2)의 광축 방향의 위치 정밀도가 효과적으로 안정된다. 또한, 후방 렌즈(22)의 렌즈 가압부(42)를 렌즈 배럴(3)측에 가압할 때에, 지그 등의 기계적 수단을 이용하므로, 후방 렌즈(22)의 표면을 손상시키기 어렵다.
또한, 렌즈 경통(1)에 있어서, 렌즈 유지부(32)의 단면(32a)과 렌즈 가압부(42)의 대향면(42a)의 이격된 거리를 30㎛이상 1㎜이하, 바람직하게는, 50㎛이상 500㎛이하로 설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제1 접착제(5)이 많은 경우에는 렌즈 유지부(32)의 외면 선단부의 외부에까지 제1 접착제(5)가 도달하여 접착 면적이 증대한다. 한편, 제1 접착제(5)가 적을 경우에는, 이격부의 양단의 제1 접착제(5)의 형상이 필릿 형상이 된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나, 더욱 효과적으로, 렌즈 배럴(3)과 촬상 렌즈(2)의 접착 강도의 안정화, 또한 저배화가 가능하다. 또한, 접착 면적을 크게 하고, 접착 강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 제1 접착제(5)가 부착되는 렌즈 유지부(32)의 단면(32a) 또는 렌즈 가압부(42)의 대향면(42a) 등의 표면을 거칠게 해도 된다.
또한, 촬상 렌즈(2)는, 각각의 렌즈의 직경이 결상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소형으로 광각화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배럴(3)의 렌즈 유지부(32)의 선단부 외주면은 광축 방향으로 테이퍼 형상이다. 이 때문에, 렌즈 배럴(3)의 외경 방향의 제1 접착제(5)의 솟아오름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렌즈 유지부(32)의 단면(32a)과 렌즈 가압부(42)의 대향면(42a)의 이격된 부분에 제1 접착제(5)가 삽입되기 쉬워진다. 또한, 테이퍼 형상으로 함으로써, 스트레이트 형상인 경우에 비해, 접착 면적을 증대시켜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렌즈 배럴(3)의 렌즈 유지부(32)의 선단부 내주면은 R형상이다. 이 때문에, 렌즈 유지부(32)의 단면(32a)과 렌즈 가압부(42)의 대향면(42a)의 이격된 부분에 개재하는 제1 접착제(5)가, 렌즈 배럴(3)의 렌즈 유지부(32)와 배럴 삽입부(41)의 사이에 삽입된다. 그 결과, 접착 면적을 증대시켜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렌즈 배럴(3)의 렌즈 유지부(32)의 선단부에 복수개의 슬릿, 구멍 또는 요철 등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렌즈 배럴(3)의 슬릿 또는 구멍 등에 제1 접착제(5)가 충전되므로 후방 렌즈(22)와의 접착 면적이 증대하여, 접착 강도가 높아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7)는, 렌즈 경통(1)을 수납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 경통(1)에 관한 상기의 모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7)는, 상기 외, 예를 들면, 렌즈 유지부(32)의 단면(32a)과 렌즈 가압부(42)의 대향면(42a)의 이격된 부분에 제1 접착제(5)가 삽입되기 때문에, 렌즈 배럴(3)의 외경 방향의 제1 접착제(5)의 솟아오름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착제(5)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기구 부품과 맞닿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에도,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7)는, 예를 들면, 렌즈 경통(1)의 렌즈 배럴(3)의 외형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촬상 장치(7)의 하우징(9)의 사이즈를 작게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휴대 전화기(19)는, 상기 촬상 장치(7)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렌즈 경통(1) 및 촬상 장치(7)의 상기의 모든 효과가 얻어지는 외, 예를 들면, 전체적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렌즈 경통, 촬상 장치,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의 형태의 렌즈 경통(1)에 있어서는, 촬상 렌즈(2)는 4장의 렌즈로 이루어지는데, 4장이 아니어도, 예를 들면, 2장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렌즈의 일부는 컷(D컷 혹은 절결)되어 있는데, 컷을 형성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렌즈 배럴(3)은, 촬상 장치(7)에 수납하기 위해서, 촬상 장치(7)측의 암나사(81)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34)를 가지는데, 수나사(34)를 가지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렌즈 배럴(3)의 렌즈 유지부(32)의 선단부에 있어서, 테이퍼 형상, 혹은 복수개의 슬릿, 구멍 또는 요철 등을 가지지 않는 것이나, 선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R형상을 가지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렌즈 경통(1)에 있어서는, 렌즈 배럴(3)과 후방 렌즈(22)의 접착 시에는, 후방 렌즈(22)를 렌즈 배럴(3)에 가압 후에, 즉, 후방 렌즈(22)의 배럴 삽입부(41)를 렌즈 배럴(3)의 렌즈 유지부(32)에 끼워 넣은 상태로 한 다음에, 접착 고정했다. 그러나, 이 방법 이외에도, 후방 렌즈(22)를 렌즈 배럴(3)에 가압 후에, 후방 렌즈(22)의 흡인과 함께, 후방 렌즈(22)와 렌즈 배럴(3)을 접착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렌즈의 일부 컷된 부분(D컷 혹은 절결)에 맞춘 컷(D컷 혹은 절결)을, 차광판(스페이서)(6)에 실시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후방 렌즈(22)를 흡인하면서, 후방 렌즈(22)와 렌즈 배럴(3)을 접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제(5)는, 본 실시의 형태 이외에도,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에 열이나 가시광, 습기, 혐기(嫌氣) 등으로도 경화되는 기능을 부가한 것이어도 된다. 이에 따라, 자외선에서는 미경화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당해 부분을 보완적으로 경화하여, 완전 경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은, 복수장의 렌즈로 구성된 촬상 렌즈와, 촬상 렌즈를 내벽에서 유지하는 통형상의 렌즈 배럴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은, 렌즈 배럴은, 촬상 렌즈의 한쪽면측의 외주 단부를 광축 방향에 있어서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가 일단부에 형성됨과 더불어, 촬상 렌즈의 다른쪽면측의 외주 단부에 대하여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대향하는 렌즈 유지부가 타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은, 촬상 렌즈 중, 결상면의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후방 렌즈의 외주 단부는, 렌즈 유지부에 삽입되는 배럴 삽입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은, 배럴 삽입부에 연속하고, 렌즈 유지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또한 렌즈 유지부의 단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대향면을 가지는 렌즈 가압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은, 상기 이격된 부분을 통하여 적어도 렌즈 유지부의 단면과 렌즈 가압부의 대향면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구성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결상면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후방 렌즈의 외주 단부는, 렌즈 유지부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배럴 삽입부를 가지므로, 배럴 삽입부를 렌즈 유지부에 삽입할 수 있다. 환언하면, 후방 렌즈의 일부를 배럴 유지부에 가압하여 끼워 넣을 수 있다. 따라서, 렌즈 배럴의 외형 치수는, 후방 렌즈의 최대 외형 치수를 고려하지 않아도, 배럴 삽입부를 끼워맞출 수 있는 정도로 된다. 이 때문에, 그 외형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결상면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후방 렌즈와 렌즈 배럴의 접착 고정 시에 이용되는 접착제는, 렌즈 유지부의 단면과 그 단면으로부터 이격된 대향 위치에 있는 렌즈 가압부의 대향면과의 이격 부분에 삽입된다. 이 때문에, 렌즈 배럴에 수납된 다른 렌즈(결상면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후방 렌즈 이외의 렌즈)의 표면 혹은 결상면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후방 렌즈의 외측 표면에 부착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은, 렌즈 유지부의 단면과 렌즈 가압부의 대향면의 이격 거리가, 30㎛이상 1㎜이하인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렌즈 유지부의 단면과 렌즈 가압부의 대향면의 이격 거리를 짧은 거리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렌즈 배럴과 촬상 렌즈(후방 렌즈)의 접착 강도가 안정되고, 또한 저배화(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은, 촬상 렌즈를 구성하는 복수장의 렌즈가, 각각의 렌즈의 외경이 결상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커지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소형으로 광각화 대응의 렌즈 경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은, 렌즈 유지부의 선단부 외주면이, 선단측일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인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렌즈 유지부의 선단부 외주면이 테이퍼 형상이기 때문에, 렌즈 배럴의 외경 방향에서의 접착제의 솟아오름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렌즈 유지부의 단면과 렌즈 가압부의 대향면의 이격된 부분에 접착제를 삽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은, 렌즈 유지부의 선단부 내주면이, 선단측일수록 직경이 커지는 R형상인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렌즈 유지부의 단면과 렌즈 가압부의 대향면의 이격된 부분에 개재하는 접착제가 렌즈 유지부와 배럴 삽입부의 사이에 삽입되고, 그 결과, 렌즈 배럴과 후방 렌즈의 접착 면적이 증대하여,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은, 렌즈 유지부의 선단부에 복수개의 슬릿 또는 구멍을 구비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렌즈 유지부의 슬릿 또는 구멍에 접착제가 충전되므로 후방 렌즈와의 접착 면적이 증대하여, 접착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상기한 렌즈 경통과, 렌즈 경통을 유지하는 홀더와, 홀더에 유지된 렌즈 경통의 광축에 촬상 중심을 대응시켜서 배치된 촬상 소자를 구비한 촬상 장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렌즈 유지부의 단면과 렌즈 가압부의 대향면의 이격된 부분에 접착제가 삽입된다. 이 때문에, 렌즈 배럴의 외경 방향에서의 접착제의 솟아오름을 억제함으로써, 접착제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기구 부품과 맞닿는 일이 없다. 또한 그 외에도, 예를 들면, 렌즈 경통 렌즈 배럴의 외형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촬영 장치의 하우징의 사이즈를 작게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한 촬상 장치를 구비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기재의 렌즈 경통을 채용한 촬상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로서 채용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렌즈 배럴과 후방 렌즈의 접착에 이용되는 접착제에 기인하는 고스트의 발생이나 해상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렌즈 경통 혹은 촬상 장치는, 렌즈 표면에 기인하는 고스트의 발생이나 렌즈의 광축 어긋남에 의한 해상도의 저하를 억제하고, 또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휴대 전화 장치 등의 휴대 단말 장치에 유용하다.
1 : 렌즈 경통 2 : 촬상 렌즈
2a : 컷 3 : 렌즈 배럴
3a : 간극 4 : 외주 단부
4b : 오목부 5 : 제1 접착제
6 : 차광판 7 : 촬상 장치
8 : 홀더 9 : 하우징
10 : 촬상 소자 11 : 기판
12 : 유리판 13 : 적외선 컷 필터
14 : 지지부 14a : 위치 결정부
14b : 돌기부 15 : 제2 접착제
16 : 제3 접착제 17 : 접속부
18 : 연통부 19 : 휴대 전화기
20 : 본체 케이스 20a : 디스플레이
20b : 조작부 20c, 20d : 판상체
20e : 연결부 21 : 전방 렌즈
21a : 렌즈 외표면 22 : 후방 렌즈
31 : 렌즈 지지부 32 : 렌즈 유지부
32a : 단면 33 : 개구부
34 : 수나사 41 : 배럴 삽입부
42 : 렌즈 가압부 42a : 대향면
81 : 암나사
2a : 컷 3 : 렌즈 배럴
3a : 간극 4 : 외주 단부
4b : 오목부 5 : 제1 접착제
6 : 차광판 7 : 촬상 장치
8 : 홀더 9 : 하우징
10 : 촬상 소자 11 : 기판
12 : 유리판 13 : 적외선 컷 필터
14 : 지지부 14a : 위치 결정부
14b : 돌기부 15 : 제2 접착제
16 : 제3 접착제 17 : 접속부
18 : 연통부 19 : 휴대 전화기
20 : 본체 케이스 20a : 디스플레이
20b : 조작부 20c, 20d : 판상체
20e : 연결부 21 : 전방 렌즈
21a : 렌즈 외표면 22 : 후방 렌즈
31 : 렌즈 지지부 32 : 렌즈 유지부
32a : 단면 33 : 개구부
34 : 수나사 41 : 배럴 삽입부
42 : 렌즈 가압부 42a : 대향면
81 : 암나사
Claims (8)
- 복수장의 렌즈로 구성된 촬상 렌즈와, 상기 촬상 렌즈를 내벽에서 유지하는 통형상의 렌즈 배럴을 구비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촬상 렌즈의 한쪽면측의 외주 단부를 광축 방향에 있어서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가 일단부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촬상 렌즈의 다른쪽면측의 외주 단부에 대하여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대향하는 렌즈 유지부가 타단부에 형성된 렌즈 경통에 있어서, 상기 촬상 렌즈 중, 결상면의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후방 렌즈의 외주 단부는, 상기 렌즈 유지부의 선단측의 내주면에 대하여, 헐거운 끼워맞춤의 끼워맞춤 치수로 삽입되는 배럴 삽입부와, 상기 배럴 삽입부에 연속하고, 상기 렌즈 유지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또한 상기 렌즈 유지부의 단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대향면을 가지는 렌즈 비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격된 부분을 통하여 적어도 상기 렌즈 유지부의 단면과 상기 렌즈 비삽입부의 대향면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렌즈 경통.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지부의 단면과 상기 렌즈 비삽입부의 대향면의 이격 거리는 30㎛이상 1㎜이하인, 렌즈 경통.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상 렌즈를 구성하는 복수장의 렌즈는, 각각의 렌즈의 외경이 결상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커지는, 렌즈 경통.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지부의 선단부 외주면은, 선단측일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인, 렌즈 경통.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지부의 선단부 내주면은, 선단측일수록 직경이 커지는 곡면 형상인, 렌즈 경통.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지부의 선단부에 복수개의 슬릿 또는 구멍을 구비하는, 렌즈 경통. - 청구항 1에 기재된 렌즈 경통과, 상기 렌즈 경통을 유지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유지된 상기 렌즈 경통의 광축에 촬상 중심을 대응시켜 배치된 촬상 소자를 구비한 촬상 장치.
- 청구항 7에 기재된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199714 | 2009-08-31 | ||
JP2009199714A JP5671684B2 (ja) | 2009-08-31 | 2009-08-31 | レンズ鏡筒、撮像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
PCT/JP2010/004928 WO2011024387A1 (ja) | 2009-08-31 | 2010-08-05 | レンズ鏡筒、撮像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7575A true KR20120057575A (ko) | 2012-06-05 |
Family
ID=4362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28485A KR20120057575A (ko) | 2009-08-31 | 2010-08-05 | 렌즈 경통,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587883B2 (ko) |
JP (1) | JP5671684B2 (ko) |
KR (1) | KR20120057575A (ko) |
CN (1) | CN102449523B (ko) |
WO (1) | WO201102438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09334B2 (en) | 2019-05-02 | 2023-07-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54628B2 (ja) * | 2011-04-26 | 2016-02-09 | キヤノン株式会社 | 光学系、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
KR101231517B1 (ko) * | 2011-09-19 | 2013-02-0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JP6139713B2 (ja) | 2013-06-13 | 2017-05-31 | コアフォトニクス リミテッド | デュアルアパーチャズームデジタルカメラ |
CN108519655A (zh) | 2013-07-04 | 2018-09-11 | 核心光电有限公司 | 小型长焦透镜套件 |
US9857568B2 (en) | 2013-07-04 | 2018-01-02 | Corephotonics Ltd. | Miniature telephoto lens assembly |
US9869839B2 (en) * | 2013-09-18 | 2018-01-16 | Kabushiki Kaisha Tsuso | Optical element holding structure, camera filter frame, camera filter unit, and imaging lens |
JP6191541B2 (ja) * | 2014-05-20 | 2017-09-06 | 株式会社デンソー | 撮像装置のレンズモジュール |
US9392188B2 (en) | 2014-08-10 | 2016-07-12 | Corephotonics Ltd. | Zoom dual-aperture camera with folded lens |
FR3029013A1 (fr) | 2014-11-21 | 2016-05-27 | Stmicroelectronics (Grenoble 2) Sas | Dispositif electronique comprenant des puces empilees |
US9773740B2 (en) * | 2014-11-26 | 2017-09-26 | Stmicroelectronics (Grenoble 2) Sas | Stack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rotective wafer bonded to a chip by an infused adhesive |
JP2016202830A (ja) * | 2015-04-28 | 2016-12-08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内視鏡先端部および内視鏡 |
DE102015225122A1 (de) * | 2015-12-14 | 2017-06-14 | Robert Bosch Gmbh |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optischen Elements |
KR101792442B1 (ko) * | 2016-12-12 | 2017-10-31 | 삼성전기주식회사 | 전자 모듈과 그 제조 방법 |
CN106843389B (zh) * | 2017-01-09 | 2022-08-05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电子装置 |
IL302577A (en) * | 2017-02-23 | 2023-07-01 | Corephotonics Ltd | Lens designs for a folded camera |
KR20200014930A (ko) * | 2017-06-16 | 2020-02-11 |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 다중 그룹 렌즈,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전자 기기 |
CN208999737U (zh) * | 2017-10-19 | 2019-06-18 |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 光学驱动机构 |
TWI831737B (zh) * | 2017-11-07 | 2024-02-11 | 揚明光學股份有限公司 | 鏡頭及其製造方法 |
CN109814224A (zh) * | 2017-11-22 | 2019-05-28 | 扬明光学股份有限公司 | 镜头及其制造方法 |
US11002937B2 (en) * | 2018-03-08 | 2021-05-11 | Robert Bosch Llc | Camera lens assembly |
CN110275263B (zh) * | 2018-03-16 | 2024-04-26 |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 光学镜头、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
US11899268B2 (en) * | 2018-03-16 | 2024-02-13 | Ningbo Sunny Opotech Co., Ltd. | Optical lens, camera module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
CN110275260B (zh) * | 2018-03-16 | 2023-12-29 |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 可成像光学器件及其制造方法 |
CN110275261B (zh) * | 2018-03-16 | 2023-06-20 |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 光学镜头、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
US12055783B2 (en) | 2018-04-28 | 2024-08-06 | Ningbo Sunny Opotech Co., Ltd | Optical lens, camera module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
TWI754098B (zh) * | 2018-09-21 | 2022-02-01 |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 光學成像模組 |
TWI754099B (zh) * | 2018-09-21 | 2022-02-01 |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 光學成像模組 |
JP2020068302A (ja) * | 2018-10-24 | 2020-04-30 |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撮像装置 |
TWM578388U (zh) | 2018-10-24 | 2019-05-2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成像鏡頭、相機模組及電子裝置 |
CN114615402A (zh) | 2019-01-03 | 2022-06-10 | 核心光电有限公司 | 双重相机 |
CN109788096B (zh) * | 2019-03-01 | 2021-02-19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终端设备 |
WO2020258327A1 (zh) * | 2019-06-28 | 2020-12-30 |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 光学镜头 |
CN210270323U (zh) * | 2019-08-09 | 2020-04-07 | 瑞声通讯科技(常州)有限公司 | 镜头模组 |
CN210270326U (zh) * | 2019-08-15 | 2020-04-07 | 瑞声通讯科技(常州)有限公司 | 镜头模组 |
KR102288615B1 (ko) | 2019-08-21 | 2021-08-11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큰 센서 포맷을 위한 작은 총 트랙 길이 |
US11656538B2 (en) | 2019-11-25 | 2023-05-23 | Corephotonics Ltd. | Folded zoom camera module with adaptive aperture |
WO2021140403A1 (en) | 2020-01-08 | 2021-07-15 | Corephotonics Ltd. | Multi-aperture zoom digital cameras and methods of using same |
EP3966631B1 (en) | 2020-05-30 | 2023-01-25 | Corephotonics Ltd. |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 super macro image |
KR102657473B1 (ko) | 2020-07-31 | 2024-04-12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폴디드 매크로-텔레 카메라 렌즈 설계 |
CN117331203A (zh) | 2020-09-18 | 2024-01-02 | 核心光电有限公司 | 弹出式变焦相机 |
WO2022118176A1 (en) | 2020-12-01 | 2022-06-09 | Corephotonics Ltd. | Folded camera with continuously adaptive zoom factor |
KR102685591B1 (ko) | 2021-09-23 | 2024-07-15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큰 애퍼처 연속 줌 폴디드 텔레 카메라 |
WO2023079403A1 (en) | 2021-11-02 | 2023-05-11 | Corephotonics Ltd. | Compact double folded tele cameras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81351A (en) | 1995-06-02 | 1998-07-14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Mounting structure of objective lens for optical pick-up used for optical disk device |
JPH0935312A (ja) * | 1995-07-11 | 1997-02-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光ピックアップ用対物レンズ取付構造 |
JP3996709B2 (ja) * | 1998-09-25 | 2007-10-24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レンズ鏡枠構造およびレンズ鏡枠の光学的芯出し方法 |
JP2004354482A (ja) * | 2003-05-27 | 2004-12-16 | Seiko Epson Corp | 投写光学系、投写光学系の製造方法、および投写光学系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
JP2006154764A (ja) | 2004-11-08 | 2006-06-1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レンズユニット |
CN100462763C (zh) | 2004-11-08 | 2009-02-18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透镜单元 |
JP2006195331A (ja) * | 2005-01-17 | 2006-07-2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撮影レンズ |
JP2008145929A (ja) * | 2006-12-13 | 2008-06-26 | Konica Minolta Opto Inc | レンズユニット、撮像装置、及びレン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 |
CN101241219B (zh) * | 2007-02-08 | 2012-09-05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摄像装置 |
JP2009128680A (ja) * | 2007-11-26 | 2009-06-11 | Olympus Corp | 鏡枠及びレンズユニット |
-
2009
- 2009-08-31 JP JP2009199714A patent/JP567168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08-05 WO PCT/JP2010/004928 patent/WO201102438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8-05 CN CN201080022931.1A patent/CN10244952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8-05 KR KR1020117028485A patent/KR2012005757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08-05 US US13/375,063 patent/US858788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09334B2 (en) | 2019-05-02 | 2023-07-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20147489A1 (en) | 2012-06-14 |
CN102449523A (zh) | 2012-05-09 |
JP2011053283A (ja) | 2011-03-17 |
CN102449523B (zh) | 2014-01-29 |
JP5671684B2 (ja) | 2015-02-18 |
US8587883B2 (en) | 2013-11-19 |
WO2011024387A1 (ja) | 2011-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57575A (ko) | 렌즈 경통,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 | |
JP2012002979A (ja) | レンズ鏡筒、撮像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 |
CN100468192C (zh) | 照相机模组的固定结构、其固定方法及应用其的移动终端 | |
US20070263116A1 (en) |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JP4189769B2 (ja) | 撮像装置 | |
US8175453B2 (en) | Imaging apparatus | |
KR20020088364A (ko) | 촬상 렌즈, 촬상 장치 및 촬상 렌즈의 성형 방법 | |
JP2010191345A (ja) | 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レン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 | |
US11971601B2 (en) | Imaging lens assembly,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 |
US20190033553A1 (en) |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 |
US20090040360A1 (en) | Imag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 |
CN114706185B (zh) | 使用金属固定环的成像镜头、相机模块及电子装置 | |
JP2007150708A (ja) | 撮像モジュールおよび撮像装置 | |
KR102284138B1 (ko)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기술 기기 | |
KR20100009410A (ko) |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 |
JP5026199B2 (ja) | レンズユニット、レンズ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 |
JP4721136B2 (ja) | 撮像装置 | |
CN113873121A (zh) | 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电子设备 | |
KR102402900B1 (ko) | 카메라 모듈 제작 방법 및 카메라 모듈 제작용 키트 | |
JP2002320122A (ja) | 撮像装置 | |
CN110475049B (zh) | 相机模块及其制造方法 | |
KR100752708B1 (ko) | 카메라 모듈 패키지 | |
JP2010252283A (ja) | 可変焦点液晶レンズ組込撮像装置 | |
JP2006279353A (ja) | 固体撮像装置、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 |
CN114900604B (zh) | 摄像模组及其制造方法、电子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