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063A -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7063A
KR20120057063A KR1020100118626A KR20100118626A KR20120057063A KR 20120057063 A KR20120057063 A KR 20120057063A KR 1020100118626 A KR1020100118626 A KR 1020100118626A KR 20100118626 A KR20100118626 A KR 20100118626A KR 20120057063 A KR20120057063 A KR 20120057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static
film
polyester mat
mat film
biaxially stre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태
홍성희
강봉진
송진목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7063A/ko
Publication of KR20120057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06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08J7/047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1/00Adhesive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9J101/08Cellulose derivatives
    • C09J101/10Esters of organic acids
    • C09J101/12Cellulose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6Anti-stat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4Antist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은 대전방지층이 도포된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은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일축 연신하고, 전도성 고분자 수지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대전방지 코팅액을 제조하여 상기 일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의 단면 또는 양면에 상기 코팅액을 도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이축 연신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은 필름에 대전방지성을 갖는 코팅액을 단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여 간단하게 대전방지성을 우수하게 하므로 종래의 매트필름이 제조 공정이나 가공하는 공정에서 방전이 일어나 유기 용제를 사용하는 가공 공정 등에서 생길 수 있는 인화 위험 발생을 방지하고 뿐만 아니라 전기, 전자부품 등의 재료로 사용되어 일으킬 수 있는 정전기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Biaxial streched polyester film having an excellent antistatic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필름을 가공하는 공정 등에서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매트 필름의 단면 또는 양면에 전도성 고분자 수지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대전방지 코팅액을 일정하게 도포하여 대전방지성을 우수하게 개선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는 일반적으로 우수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고분자 가공제품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오고 있다. 한편, 상기한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등을 주재로 사용하여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필름으로도 제조되고 있는데, 이러한 다양한 필름은 사회의 발달 상에 부응하여 그 새로운 용도의 개발이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무광택 매트 필름은 기존의 라벨용도, 전사용도, 포장용도에서부터 사진용지, 이미지용지 등의 대체물로도 용도가 확장되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무광택 매트 필름은 일반적으로 필름 제조 원료에 적당량의 실리카 입자를 이용하는 매트 필름의 제조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에 따른 매트 필름은 제조 공정이나 필름을 가공하는 공정에서 방전이 일어나기 때문에, 가공 공정에서 유기 용제를 사용하는 경우 인화 위험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기, 전자부품 등의 재료로 사용될 경우 정전기 파손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들의 제조 시 대전방지 성능을 부여하는 것은 필수요건이 되고 있는데, 이러한 대전방지라 함은 절연체 표면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를 적절한 방법으로 방전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전방지를 위해서는 제품 표면에 축적되는 전하를 방전시킬 수 있는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매트 필름에 대전방지성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제안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7-267445호는 "매트필름"이라는 명칭으로, 이온도전성을 부여한 중합체 및 매트제를 포함한 대전방지 처리된 매트 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발명은 대전방지 기능에 한계가 있어 대략 109Ω/sq 이하의 표면저항을 얻을 수 없고, 대기 중의 수분 함량이 낮은 경우에는 대전방지성이 크게 저하되며, 용매 저항성이 매우 나쁘고 또한 다른 면으로의 전사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 때문에 적용이 크게 제한되고 있다.
또 다른 예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0115299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대전방지를 위해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대전방지층 및 이형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대전방지층에 적층되는 실리콘 수지층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개시하였다. 상기 방법은 특정한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대전방지성능을 개선한 것에 대한 것이나, 이들의 대전방지 성능 및 그 제조공정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는 못 미치며, 따라서 그 개선의 여지가 아직 많은 것이 현실정이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7-267445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011529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기술적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무광택 필름으로 대전방지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부여하므로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 공정이나 유기 용제를 사용하여 가공하는 공정에서 생길 수 있는 방전으로 인한 인화 위험이나 정전기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전방지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적절한 가교제를 사용하여 가교 밀도 조절로 내용제성과 도막성능을 향상시킨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전방지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은;
대전방지층이 도포된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은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일축 연신하고, 전도성 고분자 수지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대전방지 코팅액을 제조하여 상기 일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의 단면 또는 양면에 상기 코팅액을 도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이축 연신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은 표면의 60도 광택도가 50% 이하이고 탁도가 90% 이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은 평균입자크기가 0.5 내지 20㎛인 실리카 입자를 0.5 내지 10중량%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대전방지성 부여를 위해 도포되는 단면 또는 양면 코팅층은 전도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100 내지 100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고분자 수지는 폴리음이온과 폴리티오펜 또는 그의 유도체를 중합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카보닐이미드계, 옥사졸린계, 에폭시계 및 멜라민계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대전방지층은 표면 저항이 109Ω/sq를 넘지 않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대전방지 코팅액은 고형분이 0.5 내지 10중량%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대전방지성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은 제조 공정 시 단면 또는 양면 인라인 코터로 단면 또는 양면 코팅하여 이축연신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의 제조방법은;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단계;
전도성 고분자 수지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대전방지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일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의 단면 또는 양면에 상기 코팅액을 도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이축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은 필름에 대전방지성을 갖는 코팅액을 단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여 간단하게 대전방지성을 우수하게 하므로 종래의 매트필름이 제조 공정이나 가공하는 공정에서 방전이 일어나 유기 용제를 사용하는 가공 공정 등에서 생길 수 있는 인화 위험 발생을 방지하고 뿐만 아니라 전기, 전자부품 등의 재료로 사용되어 일으킬 수 있는 정전기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단계, 전도성 고분자 수지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대전방지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일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의 단면 또는 양면에 상기 코팅액을 도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이축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일축 연신한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얻는 방법은;
실리카 입자를 0.5 내지 10중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칩을 다이를 통해 압출하여 캐스팅 드럼에서 냉각시켜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시트를 종방향으로 75 내지 130℃의 온도 범위에서 2.0 내지 4.0배 연신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시에 다량 사용되는 실리카 입자는 캐스팅 공정 시 고분자 용융물의 핵제로 작용하므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시 상기한 결정화 제어기술이 요구되며, 아울러 이들 입자는 매트필름의 연신성을 제한하므로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연신 조건과는 다른 연신 메커니즘의 이해와 제조조건이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의 연신 공정 시 다량의 비교적 큰 무기입자는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와 입자 간에 기공 생성을 유발하여 파단을 발생시키므로 파단제어 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요구 조건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한 발명의 제조 조건을 제시하여 그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사용되는 실리카 입자의 평균입자크기는 0.5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2 내지 10㎛ 범위가 선호된다. 평균입자크기가 0.5㎛ 미만이면 요구되는 무광택성을 얻기 어렵고, 평균입자크기가 20㎛를 초과하면 입자-매트릭스 간의 상호작용력이 약해서 연신 공정 시 기포생성이 너무 많아 공정 불안정의 또 다른 원인이 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실리카 입자의 첨가량은 0.5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5중량%의 범위가 선호되는데, 만일 첨가량이 0.5중량% 미만이면 요구되는 무광택성을 얻기 어렵고, 첨가량이 10중량% 초과되면 고분자의 유동적 특성이 변하고 연신성이 저하되어 제막공정의 어려움이 야기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으로, 상기 연신된 시트 상에 전도성 고분자와 가교제를 함유한 대전방지 코팅액을 단면 또는 양면 인라인 코터로 코팅한다. 본 발명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의 단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어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는 코팅액은 전도성 고분자 수지 및 가교제를 포함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전도성 고분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100 내지 100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전방지 코팅액에 포함되는 전도성 고분자 수지는 대전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폴리음이온과 폴리티오펜의 수분산체 또는 폴리음이온과 폴리티오펜 유도체의 수분산체를 사용한다.
상기 폴리음이온은 산성 폴리머이며, 고분자 카르복실산 또는 고분자 술폰산, 폴리비닐술폰산 등이다. 고분자 카르복실산으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말레산 등이 있으며, 고분자 술폰산으로는 폴리스티렌술폰산 등이 있다. 또한, 폴리티오펜 또는 폴리티오펜 유도체에 대하여 폴리 음이온은 고형분 중량비로 과잉으로 존재하게 하는 편이 전도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폴리티오펜 또는 폴리티오펜 유도체 1중량%에 대하여 폴리음이온은 1중량%보다는 많고, 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보다 많고 3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0.5중량%와 폴리스티렌설폰산(분자량 Mn=150,000) 0.8중량%를 함유하는 중합체의 수분산체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교제는 대전방지층과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내용제성 및 도막성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카보닐이미드계, 옥사졸린계, 에폭시계 및 멜라민계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첨가되는 가교제의 양은 전도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수지 100 내지 1000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만일 가교제 수지의 첨가량이 100 중량부 미만이면 대전방지성이 발현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고, 내용제성이 약하여 백화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1000 중량부를 초과하면 투명성은 양호하지만 대전방지성이 발현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 코팅액은 전체 코팅액 100중량%에 대하여 고형분의 함량이 0.5 내지 10.0중량%가 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형분의 함량이 1.0 내지 5.0중량%가 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의 함량이 0.5중량% 미만이면, 코팅층의 피막형성 및 대전방지 기능을 발현하기에 충분하지 못하고, 10.0중량%를 초과하면 필름의 투명성에 영향을 주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대전방지 코팅액에 사용되는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물을 주 매체로 하는 수성 코팅액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코팅액은 도포성의 향상, 투명성의 향상 등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정도의 적당한 유기용매를 함유해도 좋다. 예컨대, 이소프로필알콜, 부틸셀로솔브, t-부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코팅액 중에 다량의 유기용매를 함유시키면, 인라인 코팅법에 적용할 경우에 건조, 연신 및 열처리 공정에서 폭발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그 함유량은 코팅액 중에 10중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로 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일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의 단면 또는 양면에 대전방지 코팅액을 도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는데, 구체적으로 대전방지 코팅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기로는 메이어 바 방식, 그라비아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포하기 전에 필름 표면에 극성기를 도입하여, 코팅층과 필름과의 접착성이나 도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코로나 방전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전방지 코팅액의 안정성, 웨팅성 및 도포 레벨링 향상을 위하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에틸셀로솔브, t-부틸셀로솔브 등의 에테르류,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등의 케톤류, 디메틸에탄올아민 등의 아민류 또는 이온성/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일축 연신한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 상에 대전방지 조액을 단면 또는 양면 도포한 후, 횡방향으로 90 내지 145℃의 온도 범위에서 3.0 내지 5.0배 연신하는 단계와, 상기 연신된 필름을 200 내지 250℃의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거쳐 본 발명에 따른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다음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얻어진 필름의 물성평가에 있어서 60도 광택도는 ASTM D 523, 탁도(Haze)는 ASTM D 1003, 대전방지성은 JIS K 7194에 의거하여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평균입자크기가 약 10㎛인 실리카 입자를 3.25중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를 건조 후 다이를 통해 압출하여 캐스팅 드럼에서 냉각시켜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 시트를 종방향으로 100℃의 온도 범위에서 3.0배 연신한 후, 코팅할 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고, 코로나 처리된 면에 고형분으로서 전도성 고분자 수지(나가세켐텍사, DENATRON #5002SZ;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0.5중량%와 폴리스티렌술폰산 0.8중량%를 함유하는 수분산체)를 100중량부와 멜라민 가교제(사이텍사, CYMEL385) 200 중량부를 물에 혼합하여 제조한 대전방지 코팅액을 #6 메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하였다. 이때 고형분의 함량은 전체 대전방지 코팅액에 대하여 1.5중량%를 함유하도록 하였다. 도포 후, 횡방향으로 약 120℃의 온도 범위에서 3.3배 연신하여 약 230℃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38㎛ 두께의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필름에 대해 상기한 방법으로 표면저항, 탁도 및 광택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2
실리카 함량을 2.25중량% 함유하고, 전도성 고분자 수지(나가세켐텍사)를 100 중량부, 에폭시 가교제(나가세컴텍사, DENACOL EX-614) 300 중량부를 사용하여 전체 고형분 함량이 2.0중량%가 되도록 대전방지 코팅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리카 함량을 1.25중량% 함유하고, 전도성 고분자 수지(나가세켐텍사)를 100 중량부, 에폭시 가교제(나가세켐텍사, DENACOL EX-614) 500 중량부를 사용하여 전체 고형분 함량이 2.5중량%가 되도록 대전방지 코팅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평균입자크기가 약 10㎛인 실리카 입자를 3.25중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를 건조 후 다이를 통해 압출하여 캐스팅 드럼에서 냉각시켜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 시트를 종방향으로 100℃의 온도 범위에서 3.0배 연신한 후, 횡방향으로 약 120℃의 온도 범위에서 3.3배 연신하여 약 230℃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38㎛ 두께의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리카 함량을 2.25중량% 함유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리카 함량을 1.25중량% 함유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리카함량(중량%) 표면저항
(Ω/sq)
탁도
(Haze, %)
광택도(60°,%)
FRONT BACK
실시예 1 3.25 5 x 107 88 22 23
실시예 2 2.25 7 x 107 84 21 22
실시예 3 1.25 4 x 107 81 20 21
비교예 1 3.25 3 x 1015 88 22 22
비교예 2 2.25 5 x 1015 84 21 21
비교예 3 1.25 6 x 1015 81 20 20

Claims (10)

  1. 대전방지층이 도포된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은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일축 연신하고, 전도성 고분자 수지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대전방지 코팅액을 제조하여 상기 일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의 단면 또는 양면에 상기 코팅액을 도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이축 연신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은 표면의 60도 광택도가 50% 이하이고 탁도가 90% 이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은 평균입자크기가 0.5 내지 20㎛인 실리카 입자를 0.5 내지 10중량%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성 부여를 위해 도포되는 단면 또는 양면 코팅층은 전도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100 내지 100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수지는 폴리음이온과 폴리티오펜 또는 그의 유도체를 중합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카보닐이미드계, 옥사졸린계, 에폭시계 및 멜라민계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층은 표면 저항이 109Ω/sq를 넘지 않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 코팅액은 고형분이 0.5 내지 10중량%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성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은 제조 공정 시 단면 또는 양면 인라인 코터로 단면 또는 양면 코팅하여 이축연신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
  10.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단계;
    전도성 고분자 수지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대전방지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일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의 단면 또는 양면에 상기 코팅액을 도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을 이축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00118626A 2010-11-26 2010-11-26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57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626A KR20120057063A (ko) 2010-11-26 2010-11-26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626A KR20120057063A (ko) 2010-11-26 2010-11-26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063A true KR20120057063A (ko) 2012-06-05

Family

ID=46609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626A KR20120057063A (ko) 2010-11-26 2010-11-26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70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0612A (ko) * 2012-12-12 2014-07-0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열수축성 적층필름 및 이를 기재로 이용한 열수축성 라벨
CN105128475A (zh) * 2015-10-12 2015-12-09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聚酯薄膜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0612A (ko) * 2012-12-12 2014-07-0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열수축성 적층필름 및 이를 기재로 이용한 열수축성 라벨
CN105128475A (zh) * 2015-10-12 2015-12-09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聚酯薄膜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4707B2 (ja) 帯電防止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その方法で製造された帯電防止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用途
KR100902033B1 (ko)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0902034B1 (ko)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WO2013146155A1 (ja) 塗布フィルム
JP5764277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912260B1 (ko) 도포 필름
JP5595485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20057063A (ko)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243052B1 (ko) 극성용매가 함유된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TWI556963B (zh) 聚酯薄膜及其製造方法
KR101491596B1 (ko)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89982B1 (ko)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231050B2 (ja) 塗布フィルム
JP6057724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693792B1 (ko) 올리고머 차단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359625B1 (ko)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84912B1 (ko) 대전방지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589138B1 (ko) 고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970116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7065035A (ja) 金属層積層用フィルム
JP6805520B2 (ja) 金属層付き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057739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4145000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5205439A (ja) 導電性フィルム用保護フィルム用基材
JP2014231151A (ja) 導電性フィルム用保護フィルム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